KR20150110890A - 외과용 봉합기 - Google Patents

외과용 봉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890A
KR20150110890A KR1020140032913A KR20140032913A KR20150110890A KR 20150110890 A KR20150110890 A KR 20150110890A KR 1020140032913 A KR1020140032913 A KR 1020140032913A KR 20140032913 A KR20140032913 A KR 20140032913A KR 20150110890 A KR20150110890 A KR 20150110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needle
upper thread
crankshaft
beve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라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3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0890A/ko
Publication of KR20150110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91Sewing machines fo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처 부위 또는 수술을 위한 절개 부위를 자동으로 봉합하게 함으로써, 시술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균일한 봉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봉합부위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봉합할 수 있게 하는 외과용 봉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는 윗실과 밑실이 얽혀 바늘땀을 형성하여 봉합부위를 봉합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는, 윗실이 꿰어지는 바늘귀가 형성된 바늘과, 상하 왕복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부에는 바늘이 끼워져 고정되는 바늘대를 가지는 윗실제공수단;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후크바디와, 후크바디에 수납되는 보빈케이스, 및 보빈케이스에 수납되고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을 가지는 밑실제공수단; 및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크랭크축에 연결되어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상하로 왕복운동 시키는 힘으로 변환하여 바늘대에 전달하는 제 1 동력전달부, 및 상기 크랭크축에 연결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상기 후크바디에 전달하는 제 2 동력전달부를 가지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외과용 봉합기{SURGICAL SUTURING DEVICE}
본 발명은 외과용 봉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처 부위 또는 수술을 위한 절개 부위를 봉합할 수 있게 하는 외과용 봉합기에 관한 것이다.
외과 수술에서 있어서, 장막, 근육, 근막, 피부 등과 같은 인체 조직의 각종 층을 봉합하는 과정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봉합 과정에서의 주요 관심사는, 봉합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에 따라 시술을 하는 외과의사의 피로와 환자의 마취시간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상처의 치유를 촉진하며, 환자의 혈액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환자를 위한 미용적인 측면에서, 수술로 인한 흉터를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한 관심사가 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봉합부위에 대한 봉합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의 봉합부위를 봉합하는 봉합사 고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종래 상처 부위 또는 수술을 위한 절개부위(이하 "봉합부위"라 한다)를 봉합하기 위해서는, 우선 봉합침(1)에 봉합사(2)를 꿰어, 홀더(도시되지 않음)로 봉합침(1)을 잡은 후, 봉합부위(3)에 봉합침(1)을 꽂아서 봉합부위(3)를 꿰매어 붙이고(도 1a 내지 도 1d), 봉합사(2)를 고정시키는(도 1e)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봉합사(2)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집게(4)로 봉합사(2)의 일측을 감은 후(도 2a), 다른 일측을 집게(4)로 잡는다(도 2b). 그리고 감은 봉합사(2)의 고리 안으로 꺼내어 봉합사(2)를 1차로 고정시키고(도 2c), 다시 봉합사(2)의 일측을 감은 후, 다른 일측을 집게(4)로 잡은(도 2d) 다음 감은 봉합사(2)의 고리 안으로 꺼내어 봉합사(2)를 2차로 고정시키는(도 2e)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봉합방법은 시술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봉합에 소요되는 시간이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정되게 되므로, 경우에 따라 수술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시술자의 피로가 증대되고, 환자의 마취 시간이 길어지며, 혈액관리 등이 어려운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봉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흉터의 정도는 바늘땀이 얼마나 균일하고 촘촘한지에 따라 좌우될 수 있는데, 종래의 봉합방법은 바늘땀의 균일성과 밀도를 보장하기 어려운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2012-0030031호(공개일: 2012. 03. 27, 명칭: "재봉 기능을 갖는 봉합 기구")가 있다.
본 발명은 상처 부위 또는 수술을 위한 절개 부위를 자동으로 봉합하게 함으로써, 시술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균일한 봉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봉합부위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봉합할 수 있게 하는 외과용 봉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윗실과 밑실이 얽혀 바늘땀을 형성하여 봉합부위를 봉합하는 외과용 봉합기에 있어서, 외과용 봉합기는, 윗실이 꿰어지는 바늘귀가 형성된 바늘과, 상하 왕복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부에는 바늘이 끼워져 고정되는 바늘대를 가지는 윗실제공수단;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후크바디와, 후크바디에 수납되는 보빈케이스, 및 보빈케이스에 수납되고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을 가지는 밑실제공수단; 및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크랭크축에 연결되어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상하로 왕복운동 시키는 힘으로 변환하여 바늘대에 전달하는 제 1 동력전달부, 및 상기 크랭크축에 연결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상기 후크바디에 전달하는 제 2 동력전달부를 가지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동력전달부는, 크랭크축의 연장단에 직교하도록 고정 장착되는 구동레버; 및 구동레버와 상기 바늘대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링크부재는 일단이 구동레버의 연장단에 피벗 지지되는 제 1 링크바와, 일단이 제 1 링크바의 타단에 피벗 지지되고 타단은 바늘대에 피벗 지지되는 제 2 링크바;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구동레버에는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관성력을 지우기 위한 무게 추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동력전달부는,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 및 타측으로 반회전 운동을 반복수행하는 제 1 기어부; 및 후크바디가 반 바퀴를 반복적이고 교대로 회전되도록 제 1 기어부의 회전력을 후크바디에 전달하는 제 2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기어부는, 크랭크축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수직한 제 1 베벨기어; 및 제 1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수평한 제 2 베벨기어;를 포함하며, 제 1 베벨기어는 크랭크핀을 지지하는 크랭크암이 이루는 가상의 원의 직경보다 2배 이상 큰 직경을 가지면서 제 1 베벨기어는 일단이 크랭크축에 형성된 크랭크핀에 연결되고 타단은 기어가 형성되지 않은 제 1 베벨기어의 외경에 인접한 타측면 상에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에 의해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 및 타측으로 반회전 운동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기어부는, 수직한 전달축에 의해 상기 제 2 베벨기어와 연결되는 수평한 연결기어; 후크바디의 하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작동축 상에 형성되는 수평한 구동기어; 및 연결기어와 구동기어를 연결하는 전달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외과용 봉합기는, 윗실제공수단, 밑실제공수단, 및 구동수단을 내부 및 외부에 한정하는 케이싱수단;을 더 포함하며, 케이싱수단은, 내부에는 윗실제공수단이 배치되고 외부에는 구동모터가 배치되는 상부기체; 윗실제공수단과 마주하도록 밑실제공수단이 배치되는 하부기체; 및 윗실제공수단 및 밑실제공수단에 간섭되지 않게 상부기체와 하부기체를 연결하는 연결기체;를 포함하며, 윗실제공수단과 밑실제공수단 사이에는 봉합부위가 수용되는 봉합공간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는, 자동으로 봉합부위를 봉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봉합부위를 균일하게 봉합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는, 봉합부위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봉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자의 피로와 환자의 마취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는, 봉합부위에 대한 봉합 시 윗실과 밑실이 서로 얽혀 바늘땀을 형성하기 때문에 별도의 윗실과 밑실이 풀리지 않도록 매듭을 형성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봉합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봉합사 고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를 절개하여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윗실제공수단 및 밑실제공수단을 구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과 유사한 재봉기에서 바늘땀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100)는 봉합부위를 봉합하기 위해 윗실(U)과 밑실(D)을 제공함과 아울러 윗실(U)과 밑실(D)이 얽혀 바늘땀을 형성하게 하는 윗실제공수단(120) 및 밑실제공수단(130)과, 윗실제공수단(120)과 밑실제공수단(130)을 연동되게 작동시키는 구동수단(14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100)는 윗실제공수단(120), 밑실제공수단(130), 및 구동수단(140)을 내부 및 외부에 한정하는 케이싱수단(110)을 더 포함한다.
먼저, 케이싱수단(110)은 윗실제공수단(120)이 배치되는 상부기체(112)와, 밑실제공수단(130)이 배치되는 하부기체(114), 그리고 상부기체(112)와 하부기체(114)를 연결하는 연결기체(116)를 포함한다.
이때, 상부기체(112)에 배치되는 윗실제공수단(120)과 하부기체(114)에 배치되는 밑실제공수단(130)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데, 이렇게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윗실제공수단(120)과 밑실제공수단(130) 사이에는 봉합부위가 수용되는 봉합공간부(118)가 제공된다. 즉 상부기체(112), 하부기체(114), 및 연결기체(116)로 이루어진 케이싱수단(110)은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자 형상을 가진다.
한편, 윗실제공수단(120)은 상부기체(112)에서 하부기체(114) 측으로 상하 왕복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윗실제공수단(120)은 통상의 재봉기(sewing machine)에서 윗실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의 윗실안내장치로써, 윗실제공수단(120)은 윗실(U)이 꿰어지는 바늘귀(124)가 형성된 수술용 바늘(122)과, 상부기체(112)에 상하 왕복운동에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부에는 수술용 바늘(122)이 끼워져 고정되는 바늘대(12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밑실제공수단(130)은 상부기체(112)와 배치된 윗실제공수단(120)과 마주하는 하부기체(114)에 상부면 상에 형성된 침강공(132)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밑실제공수단(130)은 통상의 재봉기(sewing machine)에 밑실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의 회전 북 장치로써, 밑실제공수단(130)은 윗실제공수단(120)과 연동하는 후크바디(134; 바깥 가마)와, 후크바디(134)에 수납되는 보빈케이스(136;안쪽 가마), 및 보빈케이스(136)에 수납되고 밑실(D)이 권취되는 보빈(138)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윗실제공수단(120)과 밑실제공수단(130)은 통상적인 재봉기(sewing machine)에서와 같이 윗실(U)과 밑실(D)이 얽히게 하여 바늘땀을 형성하게 하는 것으로, 윗실제공수단(120) 및 밑실제공수단(130)은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구동수단(140)은 구동모터(142)와, 구동모터(142)의 구동력을 윗실제공수단(120)에 전달하는 제 1 동력전달부(150), 및 구동모터(142)의 구동력을 밑실제공수단(130)에 전달하는 제 2 동력전달부(162)를 포함한다.
구동모터(1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윗실제공수단(120)이 배치된 상부기체(112)의 외부면 상에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구동모터(142)에는 크랭크축(144)의 일단이 연결되고 크랭크축(144)의 타단은 윗실제공수단(120)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142)에 연결된 크랭크축(144)에는 제 1 동력전달부(150) 및 제 2 동력전달부(162)가 연결된다.
제 1 동력전달부(150)는 구동레버(152), 및 구동레버(152)와 윗실제공수단(120)의 바늘대(126)를 연결하는 링크부재(156)를 포함한다.
구동레버(1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축(144)의 연장단에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구동레버(152)에는 바늘대(126)의 상하운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관성력을 지우기 위한 무게 추(154;밸런스)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무게 추(154)의 기능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링크부재(156)는 일단이 구동레버(152)의 연장단에 피벗 지지되는 제 1 링크바(158)와, 일단이 제 1 링크바(158)의 타단에 피벗 지지되고 타단은 바늘대(126)에 피벗 지지되는 제 2 링크바(160)를 포함한다.
즉 구동모터(152)에 의해 구동레버(152)가 회전하면, 구동레버(152)의 회전이 제 1, 제 2 링크바(158, 160)에 의해 바늘대(126)를 상하로 왕복운동 시키는 힘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구동레버(152)와 바늘대(126)는 하나의 링크바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으나, 바늘(122)이 장착된 바늘대(126)의 이동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본 발명과 같이 구동레버(152)와 바늘대(126)를 제 1, 제 2 링크바(158, 160)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동력전달부(162)는 크랭크축(14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 및 타측으로 반회전 운동을 반복수행하는 제 1 기어부(164)와, 제 1 기어부(164)의 회전력을 밑실제공수단(130)에 전달하여 후크바디(134)를 일측 및 타측으로 반 바퀴를 반복적이고 교대로 회전시키는 제 2 기어부(174)를 포함한다.
제 1 기어부(164)는 크랭크축(144)의 하부에서 크랭크축(144)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166)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수직한 제 1 베벨기어(168)와, 제 1 베벨기어(168)와 맞물리는 수평한 제 2 베벨기어(172)를 포함한다.
제 1 베벨기어(168)는 일단이 크랭크축(144)에 형성된 크랭크핀(146)에 연결되고 타단은 기어가 형성되지 않은 제 1 베벨기어(168)의 타측면 상에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170)에 의해 크랭크축(144)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이때 제 1 베벨기어(168)는 크랭크핀(146)을 지지하는 크랭크암(148)이 이루는 가상의 원의 직경보다 2배 이상 큰 직경을 가지는데, 커넥팅 로드(170)의 타단은 제 1 베벨기어(168)의 외경에 인접한 타측면 상에 연결된다.
따라서 크랭크축(144)이 일측 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하더라도 제 1 베벨기어(168)는 커넥팅 로드(170)에 의해 일측 및 타측으로 반회전 운동, 즉 상사점을 기준하여 일측으로 180도 미만 그리고 상사점을 기준하여 타측으로 180도 미만으로 반회전 운동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제 2 기어부(174)는 하부기체(114) 내에 배치되고 연결기체(116)를 통해 연장되는 수직한 전달축(176)에 의해 제 2 베벨기어(172)와 연결되는 수평한 연결기어(178)와, 밑실제공수단(130)의 후크바디(134)의 하부에서 하부기체(114) 내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작동축(180) 상에 형성되는 수평한 구동기어(182)와, 마찬가지로 하부기체(114) 내부에 배치되어 연결기어(178)와 구동기어(182)를 연결하는 전달기어(184)를 포함한다.
즉 제 1 베벨기어(168)와 맞물린 제 2 베벨기어(172)가 제 1 베벨기어(168)에 의해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하면, 제 2 베벨기어(172)의 회전력이 전달축(176)을 통해 연결기어(178)에 전달되고, 연결기어(178)에 전달된 회전력은 전달기어(184)를 통해 구동기어(182)에 전달되어 밑실제공수단(130)의 후크바디(134)를 일측 및 타측으로 실질적으로 반 바퀴를 반복적이고 교대로 회전시킨다.
하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봉합부위를 봉합하기 위해서 구동수단(140)을 작동시키면, 구동수단(140)의 구동모터(142)와 연결된 제 1 동력전달부(150) 및 제 2 동력전달부(162)를 서로 연동되면서 윗실제공수단(120) 및 밑실제공수단(130)을 작동시킨다.
이렇게 윗실제공수단(120) 및 밑실제공수단(130)이 작동하게 되면, 윗실제공수단(120)의 바늘(122)에 궤어진 윗실(U) 및 밑실제공수단(130)의 후크바디(134) 외부로 나와 있는 밑실(D)은 서로 얽히면서 봉합부위에 바늘땀을 형성해 나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윗실제공수단(120) 및 밑실제공수단(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재봉기에서 바늘땀을 형성하는 과정과 유사한 과정으로 바늘땀을 형성하게 되는데, 윗실(U)이 꿰어진 바늘(122)이 봉합부위의 조직을 윗실(U)을 끌고 내려오면, 봉합부위 밑으로 내려온 윗실(U)을 회전하는 후크바디(134)가 걸어 회전시킨다(도 6a). 이렇게 후크바디가 윗실(U)을 걸어 회전하면 후크바디가 회전하면서 자연스럽게 윗실(U) 고리가 만들어지는데(도면 6b), 이렇게 만들어진 윗실(U) 고리는 후크바디(134)가 계속해서 회전하므로 보빈(138)을 감싸게 된다(도면 6c). 그리고 보빈(138)을 감싼 윗실(U) 고리는 계속하여 회전하는 후크바디(134)에 의해서 걸림이 해제되는데, 이때 윗실(U) 고리는 봉합부위에서 상승하는 바늘(122)에 의해 고리의 크기가 줄어들어 윗실(U) 고리는 밑실(D)과 얽히면서 봉합부위에 밀착하게 되어 하나의 바늘땀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윗실(U)과 밑실(D)은 수술 또는 외상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부를 봉합하는데 쓰이는 통상의 흡수성 봉합사(absorbable suture), 또는 비흡수성 봉합사(non-absorbable suture)임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100)는, 자동으로 봉합부위를 봉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봉합부위를 균일하게 봉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100)는, 봉합부위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봉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자의 피로와 환자의 마취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100)는, 봉합부위에 대한 봉합 시 윗실(U)과 밑실(D)이 서로 얽혀 바늘땀을 형성하기 때문에 별도의 윗실(U)과 밑실(D)이 풀리지 않도록 매듭을 형성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외과용 봉합기(100)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외과용 봉합기 110 : 케이싱수단
112 : 상부기체 114 : 하부기체
116 : 연결기체 120 : 윗실제공수단
122 : 바늘 126 : 바늘대
130 : 밑실제공수단 132 : 침강공
134 : 후크바디 136 : 보빈케이스
138 : 보빈 140 : 구동수단
142 : 구동모터 144 : 크랭크축
150 : 제 1 동력전달부 152 : 구동레버
156 : 링크부재 162 : 제 2 동력전달부
164 : 제 1 기어부 174 : 제 2 기어부

Claims (7)

  1. 윗실과 밑실이 얽혀 바늘땀을 형성하여 봉합부위를 봉합하는 외과용 봉합기에 있어서,
    상기 외과용 봉합기는,
    상기 윗실이 꿰어지는 바늘귀가 형성된 바늘과, 상하 왕복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바늘이 끼워져 고정되는 바늘대를 가지는 윗실제공수단;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후크바디와, 상기 후크바디에 수납되는 보빈케이스, 및 상기 보빈케이스에 수납되고 상기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을 가지는 밑실제공수단; 및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크랭크축에 연결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상하로 왕복운동 시키는 힘으로 변환하여 상기 바늘대에 전달하는 제 1 동력전달부, 및 상기 크랭크축에 연결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상기 후크바디에 전달하는 제 2 동력전달부를 가지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력전달부는,
    상기 크랭크축의 연장단에 직교하도록 고정 장착되는 구동레버; 및
    상기 구동레버와 상기 바늘대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이 상기 구동레버의 연장단에 피벗 지지되는 제 1 링크바와, 일단이 상기 제 1 링크바의 타단에 피벗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바늘대에 피벗 지지되는 제 2 링크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레버에는 상기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관성력을 지우기 위한 무게 추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동력전달부는,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 및 타측으로 반회전 운동을 반복수행하는 제 1 기어부; 및
    상기 후크바디가 반 바퀴를 반복적이고 교대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 1 기어부의 회전력을 상기 후크바디에 전달하는 제 2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부는,
    상기 크랭크축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수직한 제 1 베벨기어; 및
    상기 제 1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수평한 제 2 베벨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베벨기어는 크랭크핀을 지지하는 크랭크암이 이루는 가상의 원의 직경보다 2배 이상 큰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베벨기어는 일단이 상기 크랭크축에 형성된 상기 크랭크핀에 연결되고 타단은 기어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 1 베벨기어의 외경에 인접한 타측면 상에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 및 타측으로 반회전 운동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어부는,
    수직한 전달축에 의해 상기 제 2 베벨기어와 연결되는 수평한 연결기어;
    상기 후크바디의 하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작동축 상에 형성되는 수평한 구동기어; 및
    상기 연결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연결하는 전달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외과용 봉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과용 봉합기는,
    상기 윗실제공수단, 상기 밑실제공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을 내부 및 외부에 한정하는 케이싱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수단은,
    내부에는 상기 윗실제공수단이 배치되고 외부에는 상기 구동모터가 배치되는 상부기체;
    상기 윗실제공수단과 마주하도록 상기 밑실제공수단이 배치되는 하부기체; 및
    상기 윗실제공수단 및 상기 밑실제공수단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상부기체와 상기 하부기체를 연결하는 연결기체;를 포함하며,
    상기 윗실제공수단과 상기 밑실제공수단 사이에는 봉합부위가 수용되는 봉합공간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기.
KR1020140032913A 2014-03-20 2014-03-20 외과용 봉합기 KR20150110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913A KR20150110890A (ko) 2014-03-20 2014-03-20 외과용 봉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913A KR20150110890A (ko) 2014-03-20 2014-03-20 외과용 봉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890A true KR20150110890A (ko) 2015-10-05

Family

ID=5434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913A KR20150110890A (ko) 2014-03-20 2014-03-20 외과용 봉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08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8551A (zh) * 2017-06-27 2017-09-26 江苏新科达滤袋有限公司 一种自动缝合装置
CN107582117A (zh) * 2017-10-10 2018-01-16 史惠忠 一种缝合器及其工作方法
CN113995455A (zh) * 2021-12-30 2022-02-01 杭州锐健马斯汀医疗器材有限公司 缝合器及缝合方法
WO2023201461A1 (zh) * 2022-04-18 2023-10-26 迈磊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自动缝合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8551A (zh) * 2017-06-27 2017-09-26 江苏新科达滤袋有限公司 一种自动缝合装置
CN107582117A (zh) * 2017-10-10 2018-01-16 史惠忠 一种缝合器及其工作方法
CN113995455A (zh) * 2021-12-30 2022-02-01 杭州锐健马斯汀医疗器材有限公司 缝合器及缝合方法
WO2023201461A1 (zh) * 2022-04-18 2023-10-26 迈磊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自动缝合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0890A (ko) 외과용 봉합기
US20160106415A1 (en) Suture stitches for continuous surgical suturing
JP5925857B2 (ja) 裁縫機能を有する外科用縫合器具
KR20120032527A (ko) 조직 교정 방법 및 키트
CN110638497B (zh) 一种组织缝合器
CN104739465B (zh) 表皮缝合器
KR101796685B1 (ko) 봉합용 매듭 및 봉합장치
CN101015467A (zh) 一种外科手术全自动缝合器
CN115429357B (zh) 一种跟腱自动锁扣缝合装置
KR101782371B1 (ko) 봉합사를 선택하여 공급하기 위한 봉합 기구
CN102988090A (zh) 一种半月板损伤手术缝合线
KR101990064B1 (ko) 재봉 기능을 갖는 봉합 기구
CN209153814U (zh) 一种切口内壁组织缝合器
KR101782372B1 (ko) 고정 수단을 갖는 봉합 기구
KR102530993B1 (ko) 의료용 봉합기
CN114831678A (zh) 内镜下自动连续缝合器
CN216876457U (zh) 一种腔镜下缝合装置
CN106137283B (zh) 一种具有调节功能的自然腔道器械运动旋转开关
CN109199546A (zh) 具有缝合功能的穿刺芯组件及其穿刺器
CN116849738A (zh) 一种腹腔镜缝合器中曲针往复驱动机构
CN116983035A (zh) 一种连续往复运动腹腔镜缝合器
CN202604926U (zh) 腹腔镜胆囊切除腹壁牵引缝合器
CN116763379A (zh) 一种缝合针结构及其使用方法
CN115337061A (zh) 一种用于腹腔镜手术切口的微创筋膜缝合器
CN109171852A (zh) 一种切口内壁组织缝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