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9158A -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 Google Patents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9158A
KR20150109158A KR1020140032247A KR20140032247A KR20150109158A KR 20150109158 A KR20150109158 A KR 20150109158A KR 1020140032247 A KR1020140032247 A KR 1020140032247A KR 20140032247 A KR20140032247 A KR 20140032247A KR 20150109158 A KR20150109158 A KR 20150109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valve
plate
reed
suction r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우
송세영
윤영섭
안휴남
이성명
임승택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2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9158A/ko
Priority to EP14185736.7A priority patent/EP2865893B1/en
Priority to CN201410492009.9A priority patent/CN104454464B/zh
Priority to US14/494,196 priority patent/US10316831B2/en
Publication of KR2015010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04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27/0821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component parts, details, e.g. valves, sealings, lubrication
    • F04B27/0839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component parts, details, e.g. valves, sealings, lubrication valve means, e.g. valv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04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27/0821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component parts, details, e.g. valves, sealings, lubrication
    • F04B27/086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component parts, details, e.g. valves, sealings, lubrication swash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6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with tongue-shaped lamin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6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aerating only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에 관한 것으로, 흡입리드의 다리부 사이의 거리가 밸브부쪽 보다 기단부쪽이 넓게 형성되고, 각 다리의 폭이 밸브브쪽 보다 기단부쪽이 좁게 형성됨으로써 비틀림 강성이 향상되고, 기단부쪽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게 됨으로써 내구 수명이 연장된다.

Description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Suction valve of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본 발명은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에 관한 것으로, 내구성이 향상되어 압축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된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냉각시스템에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으며, 이와 같은 압축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구성이 왕복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여기서,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회전축에 설치된 사판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워블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워블 플레이트식이 있고,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 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한편, 사판식 압축기로는 사판의 설치각도가 고정된 고정 용량형 타입과, 사판의 경사각을 변화시켜 토출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 용량형 타입이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가변 사판식 압축기(10, 이하, '압축기')에는 압축기(10)의 외관과 골격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린더블럭(20)이 구비된다. 이때, 실린더블럭(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센터보어(21)가 형성되며, 이 센터보어(21)에는 회전축(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센터보어(21)를 방사상으로 둘러싸도록 복수의 실린더보어(22)가 실린더블럭(2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실린더보어(22)의 내부에는 피스톤(23)이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피스톤(23)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린더보어(22)는 이에 대응되는 원통형의 공간이며, 피스톤(23)의 왕복 운동에 의해 실린더 보어(22) 내로 냉매가 흡입되거나 압축된 냉매가 배출된다.
실린더블럭(20)의 전방에 전방하우징(40)이 결합된다. 전방하우징(40)은 실린더블럭(20)과의 대향면이 요입되어 실린더블럭(20)과 함께 내부에 크랭크실(41)을 형성한다.
전방하우징(40)의 전방에는 엔진 등 외부 동력원(미도시)과 연결되는 풀리(4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풀리(4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축(30)이 회전하게 된다.
실린더블럭(20)의 후방에는 후방하우징(50)이 결합된다. 이때, 후방하우징(50)에는 실린더보어(2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후방하우징(50)의 외주 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를 따라 토출실(51)이 형성되고, 토출실(51)의 반경방향 내측 즉, 후방하우징(50)의 중앙부에는 흡입실(52)이 형성된다.
이때, 실린더블럭(20)과 후방하우징(50) 사이에는 밸브플레이트(60)가 개재되며, 토출실(51)은 밸브플레이트(60)에 형성되는 토출구(61)를 통해 실린더보어(22)와 연통되고, 흡입실(52)은 밸브플레이트(60)의 흡입구(62)를 통해 실린더보어(22)와 연통된다.
한편, 회전축(30)의 일측에 로터(70)가 설치되는데, 로터(70)는 회전축(30) 회전시 회전축(30)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로터(70)는 회전축(30)이 중앙을 관통하도록 크랭크실(41) 내에 설치되며, 로터(70)의 일면에는 힌지부(71)가 돌출 형성된다.
로터(70)와 이격하여 회전축(30) 상에 사판(80)이 설치된다. 사판(80)에는 로터(70)의 힌지부(71)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수용부(81)가 돌출 형성되며, 힌지핀(72)에 의해 로터(70)의 힌지부(71)와 사판(80)의 힌지수용부(81)가 힌지 결합되어, 로터(70) 회전시 사판(8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사판(80)은 슈(82)에 의해 각각의 피스톤(23)과 연결되며, 사판(80)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23)은 실린더보어(22)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흡입하거나 압축하여 배출하게 된다.
이때, 압축기(10)의 냉매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회전축(30)에 대한 사판(80)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토출실(51)과 크랭크실(41)을 연통하는 유로(미도시)의 개도가 압력조절밸브(미도시)에 의해 조절되며, 크랭크실(41)의 압력 변화에 의해 사판(80)의 경사각이 변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가변 사판식 압축기가 국내특허공개 10-2003-0048228(2003.06.19 공개)와, 국내특허등록 10-125976(2013.04.24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밸브플레이트(60)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의 밸브플레이트(60)와 흡입리드플레이트(6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밸브플레이트(60)의 타측면에는 토출리드플레이트가 구비된다. 밸브플레이트(60)는 원판 형상의 금속성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각각의 실린더보어(22)와 대응하도록 토출구(61)와 흡입구(62)가 형성된다. 이때, 밸브플레이트(60)의 실린더블럭(20) 쪽 일면에 흡입리드플레이트(63)가 결합되는데, 흡입리드플레이트(63)에는 밸브플레이트(60)의 흡입구(62)를 개폐하는 복수의 흡입리드(64)가 절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리드플레이트(63)에 리드홀(65)이 형성됨으로써 흡입리드(64)가 냉매 유입에 따라 흡입구(6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밀려질 수 있게 형성된다. 흡입리드(64)의 내측에는 흡입리드플레이트(63)의 반경 방향 외측 부분에 토출홀(66)이 형성됨으로써 피스톤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밸브플레이트(60)의 토출구(61)를 통해 그 이면에 배치된 토출리드플레이트의 토출리드를 밀어줄 수 있게 된다.
리드홀(65)과 토출홀(66)에 의해 흡입리드(64)는 밸브플레이트(60)의 흡입구(62)를 개폐하는 밸브부(64a)와, 밸브부(64a)를 흡입리드플레이트(63)에 연결하는 한 쌍의 다리부(64b)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게 된다.
한편, 압축기(10)가 작동할 때, 흡입리드(64)는 회전축(30) 1회전당 1회씩 개폐작동을 하게 되고, 이에 흡입리드(64)는 압축기(10) 작동 속도에 따라 초당 수십 ~ 수백회씩 고속으로 개폐 작동된다.
따라서, 흡입리드(64)의 다리부(64b) 기단 즉, 흡입리드(64)와 흡입리드플레이트(63)의 연결 부분이 휘었다 펴지는 동작을 무수히 반복하게 된다.
흡입리드(64)에 대한 응력분포를 분석한 결과, 도 4와 같이, 다리부(64b)의 기단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때 다리부(64b) 기단 외측에 걸리는 최대주응력은 436.69 Mpa에 이른다.
또한, 흡입리드(64)의 양쪽 다리부(64b)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개폐작동시 작용하는 비틀림 하중에 취약한 구조이다.
따라서, 개폐 반복에 의해 피로가 누적되면 흡입리드(64)의 다리부(64b) 파단이 용이하게 발생한다. 다리부(64b)가 파단되면 흡입리드(64)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므로 밸브플레이트(60)의 흡입구(62)를 통한 냉매 흡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이에 냉매의 압축과 배출 과정도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결국 압축기(10)가 작동 불능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반복 하중에 의한 피로 파괴 문제를 흡입리드플레이트(63)의 소재를 개선하여 해결하고자 할 경우, 상당한 원가 상승 부담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재 변경 없이, 흡입리드의 형상을 변경하여 흡입리드 다리부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압축기 내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된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린더블럭과 후방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되고 다수의 흡입구가 형성된 밸브플레이트와,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실린더블럭측 면에 설치된 흡입리드플레이트와, 상기 흡입리드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리드는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밸브부와 밸브부를 흡입리드플레이트에 연결하는 한 쌍의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다리부는 밸브부쪽 연결부 사이의 거리에 비해 기단측 연결부 사이의 거리가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각의 다리부는 밸브부쪽 폭에 비해 기단측 폭이 더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리드의 다리부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홀이 밸브부쪽으로 확장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홀은 밸브플레이트의 흡입구 경계에 대응하는 위치에 근접한 위치까지 확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홀의 흡입리드플레이트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다리부의 기단 내측부가 완만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리드는 밸브플레이트의 흡입구와 동수로 형성된다.
상기 흡입리드는 흡입리드플레이트에 리드홀이 천공 형성됨으로써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리드 다리부 기단에 걸리는 응력이 분산되고, 최대주응력의 크기가 감소하여 흡입리드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흡입리드의 파손이 방지됨으로써 냉매의 흡입으로부터 압축과 배출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어, 압축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압축기의 내구 수명이 연장된다.
소재의 변경 없이 흡입리드의 내구성 향상이라는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압축기 생산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흡입리드의 비틀림 하중에 대한 대응 강성이 향상됨으로써 냉매 흡입구 개폐 작동이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도.
도 2는 밸브플레이트와 종래 흡입리드플레이트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종래 흡입리드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4는 종래 흡입리드의 응력 분포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리드플레이트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리드의 응력 분포도.
도 7은 종래 흡입리드와 본 발명에 따른 흡입리드의 최대주응력을 비교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변 사판식 압축기에서 냉매의 유입과 배출은 실린더블럭의 후방에 결합된 후방하우징을 통해 이루어진다.
실린더블럭의 중심에는 회전축의 일단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센터보어가 형성되고, 그 센터보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실린더보어가 형성된다.
실린더보어는 실린더블럭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실린더보어에는 피스톤이 내장되어, 회전축 회전시 사판에 의해 왕복 이동된다.
후방하우징에는 후방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내측공간과 외측공간으로 구획하는 원형의 격벽이 형성된다. 실린더블럭과 후방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격벽은 실린더보어들을 가로지르는 형태가 되어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 중 내측공간은 실린더보어의 내측(실린더블럭의 반경방향으로 내측) 일부 공간과 대응되고, 외측공간은 실린더보어의 나머지 외측 공간과 대응된다.
상기 후방하우징의 내측공간과 외측공간이 각각 냉매의 흡입실과 토출실이 된다. 후방하우징에는 흡입실과 연결되는 냉매 유입구와 토출실과 연결되는 냉매 배출구가 형성된다.
한편, 후방하우징과 실린더블럭 사이에는 밸브플레이트가 구비되고, 밸브플레이트에는 흡입실에 대응되는 부분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토출실에 대응되는 부분에 토출구가 형성된다. 흡입구와 토출구는 모든 실린더보어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밸브플레이트에 형성된 흡입구와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밸브플레이트의 양쪽에는 리드플레이트가 설치된다. 실린더블럭과 밸브플레이트 사이에는 흡입리드플레이트가 설치되어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기밸브를 구성하고, 밸브플레이트와 후방하우징 사이에는 토출리드플레이트가 설치되어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밸브를 구성한다.
흡입밸브는 흡입구를 실린더보어쪽으로만 개방하여 후방하우징의 흡입실로부터 실린더보어로 냉매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토출밸브는 토출구를 후방하우징의 토출실쪽으로만 개방하여 피스톤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실린더보어로부터 토출실로 토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리드플레이트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흡입리드플레이트(200)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으로서 도시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도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흡입리드플레이트(200)에는 밸브플레이트의 흡입구를 개폐하는 복수의 흡입리드(230)가 절개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는, 흡입리드(230)는 밸브플레이트에 형성된 흡입구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된다. 즉, 각 피스톤이 내장된 실린더보어마다 전용의 흡입구가 구비되고, 그 흡입구마다 전용의 흡입리드(230)가 구비되는 것이다.
흡입리드플레이트(200)에 흡입리드(230)를 둘러싸는 리드홀(210)이 형성됨으로써 리드홀(210)의 형상에 따라 흡입리드(230)가 냉매 유입에 따라 밸브플레이트의 흡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밀려질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된다.
흡입리드(230)의 내측에는 후술할 밸브부(231)와 다리부(232)를 제외한 부분이 천공되어 토출홀(220)이 형성됨으로써 실린더보어에서 피스톤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밸브플레이트의 토출구를 통해 그 이면에 배치된 토출리드플레이트의 토출리드를 밀어줄 수 있게 된다.
리드홀(210)과 토출홀(220)에 의해 흡입리드(230)는 밸브플레이트의 흡입구를 개폐하는 밸브부(231)와, 밸브부(231)를 흡입리드플레이트(200)에 연결하는 한 쌍의 다리부(232)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게 된다.
흡입리드(230)의 양측 다리부(232)는 서로 평행하지 않게 형성된다. 밸브부(231)에 연결된 쪽에 비해 흡입리드플레이트(200)에 연결된 쪽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된다.
두 다리부(232)의 폭방향 중심을 가로지르는 각각의 폭방향 중심선을 설정했을때 두 중심선 간 밸브부(231)측 거리(A)에 비하여 다리부(232)의 기단측 거리(B)가 더 길게 형성된다.(A<B)
간단히 말해 흡입리드(230)의 다리부(232)는 흡입리드플레이트(200)에 연결되는 기단쪽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각각의 다리부(232)는 밸브부(231)측 폭(a)에 비하여 기단측 폭(b)이 좁은 형상으로 형성된다.(a>b)
즉, 각각의 다리부(232)는 밸브부(231)쪽에서 기단측으로 갈 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흡입리드(230)에서 각각의 다리부(232)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홀(220)이 다리부(232)의 기단쪽 부분으로부터 밸브부(231)쪽 방향으로 확장 성형된다.
즉, 밸브부(231)가 밸브플레이트의 흡입구를 차단할 수 있는 최소한의 면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그 최소 면적의 경계선에 접하는 상태로 토출홀(220)이 확장 성형된다.
다시 말해, 토출홀(220)은 흡입리드(230)에서 밸브플레이트의 흡입구 경계에 대응하는 위치에 근접한 위치까지 확장 형성된다.
한편, 토출홀(220)의 흡입리드플레이트(200)의 반경방향 외측부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다리부(232)의 내측 기단부가 완만하게 만곡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의해 기단부의 응력 분산이 보다 넓은 범위로 이루어져 기단부의 응력 집중이 방지된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후방하우징의 흡입실에 냉매가 유입된 상태에서 실린더보어 내에서 피스톤이 상사점으로 이동하면(도 1에서 왼쪽방향) 흡입리드(230)가 실린더보어 쪽으로 휘어지면서 밸브플레이트의 흡입구가 개방되어 흡입실의 냉매가 실린더보어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리드(230)의 밸브부(231)가 밸브플레이트의 흡입구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흡입구가 개방되는 것이며, 이때 다리부(232)는 밸브부(231)의 이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휘어진 상태에서 밸브부(231)가 흡입리드플레이트(20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후 피스톤의 하사점 이동에 의해 토출압이 형성될 때 밸브부(231)가 정확한 경로로 리턴되어 흡입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기와 같은 개폐 작동시, 흡입리드(230)의 다리부(232)가 밸브부(231)에서 기단쪽으로 갈수록 벌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A<B) 흡입리드(232)의 비틀림 강성이 향상된다.
밸브부(231)에 전체에 흡입 부압과 냉매압이 균일하게 작용하지 않는 경우 밸브부(231)가 기울어지면서 다리부(232)에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양쪽 다리부(232) 사이의 거리가 기단쪽으로 갈수록 증가함으로써 밸브부(231)에 발생하는 비틀림에 대해 보다 견고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리부(232)의 기단에 비틀림 변형에 의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피로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다리부(232)는 밸브부(231)쪽 폭(a)에 비해 기단쪽 폭(b)이 좁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단쪽 부분이 상대적으로 유연하여 기단쪽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아준다.
다리부(232) 사이의 토출홀(220)이 밸브부(231) 쪽으로 확장 성형되어 밸브부(231)의 면적이 감소함으로써 흡입리드(230)가 개방된 상태에서 밸브부(231)에 작용하는 압력이 감소된다. 따라서, 다리부(232)의 기단쪽 부분(= 다리부(232)와 흡입리드플레이트(200)의 연결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된다.
토출홀(220)의 외측 변 즉, 흡입리드플레이트(200)의 반경방향 외측부가 원형(정확히는 반원의 범위를 넘어서는 부분 원형)으로 형성되어 다리부(232)의 기단 내측부가 완만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다리부(232) 기단부의 응력 분산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다리부(232) 기단쪽 부분의 응력 집중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리드(230)의 여러 가지 형상적 요인에 의해 다리부(232)의 기단쪽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고, 그 주변 부분으로 응력이 분산되어, 피로 누적으로 인한 다리부(232) 파손이 방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이 적용된 흡입리드(230)의 응력분포도로서, 다리부(232)의 기단쪽 부분에, 도 4의 종래 경우에 비해, 보다 넓은 부분에 걸쳐 응력이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붉은색으로 표시된 최대주응력의 크기도 337.23 MPa 로써 종래의 최대주응력 436.69 MPa 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7에서 종래 흡입리드의 최대주응력선도(①)와 본 발명에 따른 흡입리드(200)의 최대주응력선도(②)를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흡입리드(200)의 최대주응력선도(②)가 종래 흡입리드의 최대주응력선도(①)에 비해 작은 값을 나타내는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00 : 흡입리드플레이트 210 : 리드홀
220 : 토출홀 230 : 흡입리드
231 : 밸브부 232 : 다리부

Claims (7)

  1. 실린더블럭과 후방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되고, 다수의 흡입구가 형성된 밸브플레이트;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실린더블럭측 면에 설치된 흡입리드플레이트(200)와;
    상기 흡입리드플레이트(200)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리드(23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리드(230)는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밸브부(231)와, 밸브부(231)를 흡입리드플레이트(200)에 연결하는 한 쌍의 다리부(232)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다리부(232)는 밸브부(231)쪽 연결부 사이의 거리(A)에 비해 기단측 연결부 사이의 거리(B)가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다리부(232)는 밸브부(231)쪽 폭(a)에 비해 기단측 폭(b)이 더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리드(230)의 다리부(232)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홀(220)이 밸브부(231)쪽으로 확장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토출홀(220)은 밸브플레이트의 흡입구 경계에 대응하는 위치에 근접한 위치까지 확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토출홀(200)의 흡입리드플레이트(200)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다리부(232)의 기단 내측부가 완만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리드(230)는 밸브플레이트의 흡입구와 동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흡입리드(230)는 흡입리드플레이트(200)에 리드홀(210)이 천공 형성됨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KR1020140032247A 2013-09-23 2014-03-19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KR20150109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247A KR20150109158A (ko) 2014-03-19 2014-03-19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EP14185736.7A EP2865893B1 (en) 2013-09-23 2014-09-22 Valve assembly for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CN201410492009.9A CN104454464B (zh) 2013-09-23 2014-09-23 可变斜盘式压缩机的阀组件
US14/494,196 US10316831B2 (en) 2013-09-23 2014-09-23 Valve assembly for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247A KR20150109158A (ko) 2014-03-19 2014-03-19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839A Division KR102195808B1 (ko) 2020-05-19 2020-05-19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158A true KR20150109158A (ko) 2015-10-01

Family

ID=5433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247A KR20150109158A (ko) 2013-09-23 2014-03-19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91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6831B2 (en) Valve assembly for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KR100917449B1 (ko) 압축기
WO2009082176A1 (en) Valve plate of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2032395B1 (ko)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밸브어셈블리
KR102195808B1 (ko)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KR20150109158A (ko)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KR101452888B1 (ko)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조립체
KR102186604B1 (ko) 2단 로터리 압축기
KR20040021062A (ko) 압축기
KR20160034119A (ko)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KR101983699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20080029077A (ko) 압축기
KR20180095247A (ko) 압축기의 맥동 저감 구조
KR20080107617A (ko) 압축기
KR20100120358A (ko) 용량가변형 압축기
KR101613986B1 (ko)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조립체
KR101300992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1099106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2040965B1 (ko) 압축기의 밸브 조립체
KR20150060199A (ko) 왕복식 압축기
KR20130092880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밸브어셈블리
KR101998276B1 (ko) 압축기용 밸브 유니트
KR20180098848A (ko) 압축기
KR20140021180A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20180098892A (ko) 흡입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