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9094A - 투명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투명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9094A
KR20150109094A KR1020140032116A KR20140032116A KR20150109094A KR 20150109094 A KR20150109094 A KR 20150109094A KR 1020140032116 A KR1020140032116 A KR 1020140032116A KR 20140032116 A KR20140032116 A KR 20140032116A KR 20150109094 A KR20150109094 A KR 20150109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ongation
protective film
transparent protective
horizontal direc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근식
이원범
김민철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2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9094A/ko
Publication of KR20150109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09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4Polyvinyl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J23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한 신율이 2.5% 이하이거나, 하기 수학식 2에 의한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가 8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학식 1]
신율(%) = 수직방향(MD) 신율 + 수평방향(TD) 신율
[수학식 2]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 = (보호필름의 두께(μm)×투습도(g/m2/day)×수평방향(TD) 파단신율(%))1/2

Description

투명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투명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침수 또는 고온·고습에 의한 박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투명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LCD(Liquid Crystal Display)는 TV나 컴퓨터 등의 모니터에 사용되고 있는 음극선관을 대체하기 위한 표시장치로, 액정 분자에 입사되는 빛의 진동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편광필름을 사용함으로써 경량과 박형의 설계가 용이하고, 고화질, 저소비전력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산업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LCD에 사용되는 편광필름은 액정 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하여 LCD 패널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여기서 편광필름은 액정 표시 소자에 특정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광학 소자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편광필름은 PVA(폴리비닐알코올, Polyvinyl alcohol)계 필름을 염착, 가교 및 연신하여 제조된다. 즉, 일반적인 편광필름 제조 공정은 PVA계 필름을 요오드 또는 염료로 염착하는 단계, 붕산 등을 첨가하여 요오드 또는 염료를 PVA계 필름에 가교시키는 단계 및 PVA계 필름을 연신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이 때 상기 염착, 가교 및 연신 단계는 개별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각각의 단계들의 순서 역시 고정적이지 않다. PVA계 필름의 염착, 가교 및 연신 단계가 완료된 다음, 이를 건조시킴으로써 편광기능을 가지는 PVA계 편광자가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제조된 PVA계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PVA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보호 필름을 접착시킴으로써 편광필름이 완성된다.
종래의 편광 필름은 상온·상습 또는 고온·고습 조건에서 패널의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필름의 흡습 팽창계수를 한정하거나 치수 변화율을 3%이하로 한정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편광 필름은 보호필름의 내수성이 충분하지 못하여 고온·고습의 환경에서 편광자와 보호 필름간의 박리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편광 필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52243호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이 적층된 편광 필름은 침수 또는 고온·고습의 환경에서 편광자와 보호 필름간의 박리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내수성이 우수한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하여 편광자와 보호 필름간의 박리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편광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한 신율이 2.5% 이하이거나, 하기 수학식 2에 의한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가 8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수학식 1]
신율(%) = 수직방향(MD) 신율 + 수평방향(TD) 신율
[수학식 2]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 = (보호필름의 두께(μm)×투습도(g/m2/day)×수평방향(TD) 파단신율(%))1/2
또한, 본 발명은 (1)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2)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한 신율이 2.5% 이하이거나, 하기 수학식 2에 의한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가 8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수학식 1]
신율(%) = 수직방향(MD) 신율 + 수평방향(TD) 신율
[수학식 2]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 = (보호필름의 두께(μm)×투습도(g/m2/day)×수평방향(TD) 파단신율(%))1/2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투명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은 침수 또는 고온·고습한 환경에서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간의 박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투명 보호필름>
본 발명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된 투명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필름에서, 침수 또는 고온·고습환경에서 상기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간의 박리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투명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한 신율이 2.5% 이하이거나, 하기 수학식 2에 의한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가 8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수학식 1]
신율(%) = 수직방향(MD) 신율 + 수평방향(TD) 신율
[수학식 2]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 = (보호필름의 두께(μm)×투습도(g/m2/day)×수평방향(TD) 파단신율(%))1/2
상기 신율 및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는 60℃의 온도 및 90%의 습도 조건에서 측정되는 것으로, 상기 조건에서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측정된 신율이 2.5%이하 또는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측정된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가 800이하일 경우 침수 또는 고온·고습의 환경에서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간의 박리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신율이 2.5% 이하이면 수분에 의한 팽창률이 작아 투명 보호 필름과 편광자간의 박리현상이 작게 발생하고,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가 800이하이면 수분에 의한 편광자(PVA)의 스웰링(Swelling) 현상이 작아 투명 보호 필름과 편광자간의 박리현상이 작게 발생한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으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수지 필름, 아크릴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필름,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필름 및 노르보르넨과 같은 환상 올레핀을 단량체로 하는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수지 필름을 사용하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수지 필름의 구체적인 예로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및 디아세틸 셀룰로오스 등이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은 10 내지 100μ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μm이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두꺼울수록 취급성이 용이하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지만,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편광필름의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LCD 모듈을 박형으로 제조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제조 방법은
(1)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2)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한 신율이 2.5% 이하이거나, 하기 수학식 2에 의한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가 800 이하인 투명 보호 필름이다.
[수학식 1]
신율(%) = 수직방향(MD) 신율 + 수평방향(TD) 신율
[수학식 2]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 = (보호필름의 두께(μm)×투습도(g/m2/day)×수평방향(TD) 파단신율(%))1/2
<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아세트산 비닐 및 상기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이 있다. 상기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및 불포화 술폰산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85 내지 100 몰%이고,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0 몰%이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중합도가 1,000 내지 10,000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 정도의 중합도를 가진다.
상기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막으로 형성한 것이 편광자의 원반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막으로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으로 막을 형성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원반 필름의 막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이다.
< 편광자 >
상기에서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를 흡착시키는 공정, 요오드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상기 붕산 수용액 처리 후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편광자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일축 연신은 요오드 염색 전에 행할 수도 있고, 요오드 염색과 동시에 행할 수도 있으며, 요오드 염색 후에 행할 수도 있다. 상기 일축 연신을 요오드 염색 후에 행하는 경우에는 붕산 처리 전에 행할 수도 있고, 붕산 처리 중에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단계에서 일축 연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축 연신을 할 때에는 주속(周速)이 다른 롤 사이에서 일축으로 연신할 수도 있고, 열 롤을 이용하여 일축으로 연신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 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일 수도 있으며, 용제로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일 수도 있다. 연신 배율은 통상 4 내지 8배 정도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를 흡착하기 위해서는 요오드를 포함하는 수용액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함으로써 흡착할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상기 염색 처리 전에 물에 침지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에서 요오드의 함량은 물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되고, 요오드화칼륨의 함량은 물 100 중량부 대비 0.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온도는 20 내지 40 ℃이고, 상기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침지 시간은 20 내지 1,800 초 정도이다.
상기 요오드 흡착 후의 붕산 처리는 요오드로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실시한다. 상기 붕산 수용액에서 붕산의 함량은 물 100 중량부 대비 2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중량부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 붕산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붕산 수용액이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요오드화칼륨의 함량은 물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요오드로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붕산 수용액에 침지 시간은 60 내지 1,200 초,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600 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 초이다.
상기 붕산 침지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수세 처리 과정을 거친다. 상기 수세 처리는 붕산에 침지시켰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물에 침지함으로써 수행된다. 수세 후에는 건조 처리 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요오드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 즉 요오드계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본 발명의 투명 보호 필름을 적층하여 편광필름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투명 보호 필름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한 신율이 2.5% 이하이거나, 하기 수학식 2에 의한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가 8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보호 필름이다.
[수학식 1]
신율(%) = 수직방향(MD) 신율 + 수평방향(TD) 신율
[수학식 2]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 = (보호필름의 두께(μm)×투습도(g/m2/day)×수평방향(TD) 파단신율(%))1/2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신율 또는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의 측정은 60℃의 온도 및 90%의 습도 조건에서 측정된 것이다. 또한,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100μm이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μm이다.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의 적층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 알코올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 폴리머계 라텍스형 접착제 및 수용성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등이 있다. 상기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수용액을 포함하여 사용되며, 수용액을 포함한 접착제는 접착제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60중량% 의 고형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할 수 있는 것 뿐만 아니라, 투명 보호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할 수 있으며, 투명 보호 필름 및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여 편광자에 투명 보호 필름을 적층시킬 수 있다.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적층할 경우, 양면의 투명 보호 필름이 동일할 수도 있으며, 각각 상이할 수도 있다.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는 건조를 실시하여 접착층을 형성시키며,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의 접착 처리는 롤 라미네이터 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1 내지 5μm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투명 보호 필름을 편광자에 적층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하면, 침수 또는 고온·고습의 환경에서 투명 보호 필름과 편광자 간의 박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편광 필름에서 투명 보호 필름이 노출된 부위에 반사 방지층, 방현층, 하드 코팅층 또는 접착층 등의 각 종 기능성 층을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편광 필름을 제공하며,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사용한 투명 보호필름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이며, 10 내지 100μm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100mmX25mm 시편을 채취하여 Dong-il SHIMADZU제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60℃의 온도, 90%의 습도 조건에서 1 시간 동안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신율(伸率) 최대치를 구하였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신율을 구하였다. 또한, 하기 수학식 2에 따른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를 구하였으며, 그 값을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수학식 1]
신율(%) = 수직방향(MD) 신율 + 수평방향(TD) 신율
[수학식 2]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 = (보호필름의 두께(μm)×투습도(g/m2/day)×수평방향(TD) 파단신율(%))1/2
하기 표 1에 기재된 신율 및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의 특성을 가지는 각각의 보호 필름을 3.5 내지 5.0N 농도 및 45 내지 55℃의 KOH 수용액에 침지시킨 후 20 내지 30℃ 순수로 세척하고, 80 내지 95℃의 온도로 건조하여 비누화 과정을 거친 투명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접착제는 변성폴리비닐알코올(품명 고세파이마 Z200, 일본합성화학공업 제), 글리오키실산나트륨 10% 수용액(품명 SPM-01, 일본합성화학공업 제) 및 물이 3:3:100의 중량비로 혼합된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접착제를 편광자의 양면에 도포한 후 상기의 투명 보호 필름을 적층하여 접합 후 최대온도가 85℃인 온도범위 내에서 5분간 건조를 실시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 편광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광학용 감압점착제층을 형성하였으며, 일면은 유리 또는 패널이 접합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부여하였으며, 다른 일면은 휘도향상필름(품명 APF, 3M 제) 등의 기능성 필름의 접합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구분
 
투명 보호막 종류 흡습 팽창율(신율) 투명 보호막 특성
두께(μm) 두께방향
위상차(Rth)
MD(%) TD(%) MD+TD(%) 투습도
(g/m2/day)
수평방향
파단 신율(%)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
실시예1 25 13 1.17 0.97 2.1 1176 17 706
실시예 2 25 2.2 1.18 1.02 2.2 1275 19.2 782
실시예 3 40 36 1.34 1.07 2.4 790 15.4 697
실시예 4 40 2.9 1.27 1.1 2.4 835 19 797
실시예 5 60 45 1.20 1.05 2.3 518 20.1 790
비교예 1 25 16 1.35 1.78 3.1 1192 30.2 949
비교예 2 25 -0.9 1.22 1.34 2.6 1340 25 915
비교예 3 40 34 1.23 1.33 2.6 1062 24.8 1027
비교예 4 40 -2.2 1.13 1.65 2.8 941 31.9 1096
비교예 5 60 45 1.23 1.32 2.6 543.4 37.0 1098
실험예 1. 편광 필름의 내수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편광 필름의 내수성, 즉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간의 박리 길이를 관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편광필름을 50mm×150mm로 하여 무알카리 Glass(품명 Eagle XG, 코닝 제)에 접합하고, 22 내지 28℃의 순수에 편광필름의 장변 방향이 40mm가 잠기도록 하여 3 시간 동안 침수시켰다.
침수 후, Glass 접합 편광필름의 물기를 제거하고, 침수된 편광필름의 코너부에 박리 평가용 셀로판테이프(품명 CT-24, NICHIBAN 제)를 접합 후 135° 방향으로 30mm/초의 속도로 박리하여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간의 박리길이를 측정하였다. 박리길이가 길수록 내수성에 취약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구분 박리 길이
1회 2회 3회 평균(mm)
실시예 1 40.2 40.5 40.0 40.2
실시예 2 40.0 40.3 40.1 40.1
실시예 3 40.0 41.0 40.5 40.5
실시예 4 40.0 40.2 40.2 40.1
실시예 5 40.0 40.0 40.2 40.1
비교예 1 42.5 42.0 42.0 42.2
비교예 2 43.0 42.0 42.0 42.3
비교예 3 42.0 43.0 42.5 42.5
비교예 4 43.0 42.0 42.0 42.3
비교예 5 42.0 42.4 42.2 42.2
상기 결과에서,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신율이 2.5%이하 또는 상기 수학식 2에 따른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가 800이하의 특성을 가지는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5의 편광 필름은 투명 보호필름과 편광자간의 박리 길이가 약 40mm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신율이 2.6 내지 3.1% 또는 상기 수학식 2에 따른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가 900이상인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비교예 1 내지 5의 편광 필름은 투명 보호 필름과 편광자간의 박리 길이가 약 42mm로 실시예 1 내지 5의 편광 필름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실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편광 필름은 내수성이 우수하여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간의 박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하기 수학식 1에 의한 신율이 2.5% 이하이거나, 하기 수학식 2에 의한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가 8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보호 필름.
    [수학식 1]
    신율(%) = 수직방향(MD) 신율 + 수평방향(TD) 신율
    [수학식 2]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 = (보호필름의 두께(μm)×투습도(g/m2/day)×수평방향(TD) 파단신율(%))1/2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율 및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는 60℃의 온도 및 90%의 습도에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보호 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은 10 내지 100μ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보호 필름.
  4. (1)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2)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한 신율이 2.5% 이하이거나, 하기 수학식 2에 의한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가 8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제조 방법.
    [수학식 1]
    신율(%) = 수직방향(MD) 신율 + 수평방향(TD) 신율
    [수학식 2]
    수평방향 파단투습계수 = (보호필름의 두께(μm)×투습도(g/m2/day)×수평방향(TD) 파단신율(%))1/2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요오드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제조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은 10 내지 100μ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제조 방법.
  7. 청구항 4의 방법으로 제조된 편광 필름.
  8. 청구항 7의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40032116A 2014-03-19 2014-03-19 투명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50109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116A KR20150109094A (ko) 2014-03-19 2014-03-19 투명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116A KR20150109094A (ko) 2014-03-19 2014-03-19 투명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094A true KR20150109094A (ko) 2015-10-01

Family

ID=5433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116A KR20150109094A (ko) 2014-03-19 2014-03-19 투명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90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73295B (zh) 起偏镜及偏振片
JP6985555B2 (ja) 偏光子、偏光フィルム、積層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1373294B (zh) 起偏镜的制造方法
KR20140086018A (ko)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
CN105874364B (zh) 光学膜制造用初始膜
TW201842386A (zh) 偏光板、影像顯示裝置及該影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KR20160146540A (ko) 편광 필름 및 그것을 포함하는 편광판
KR101790108B1 (ko) 편광판
KR101626194B1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613596B1 (ko) 편광자, 이의 제조방법, 이것이 구비된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WO2021039784A1 (ja) 偏光フィルム、積層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21039781A1 (ja) 偏光フィルム、積層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50109094A (ko) 투명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70021476A (ko) 편광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01275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편광자
JP7161004B1 (ja) 光学積層体
KR20170006855A (ko) 편광자의 제조 방법
JPWO2017010355A1 (ja) 偏光子の製造方法
KR20160080335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KR20150039982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편광자
KR20160104306A (ko) 광학 필름의 건조방법
KR20150001273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편광자
JP2024056037A (ja) 偏光膜および偏光フィルム
JP2021167948A (ja) 偏光フィルム
KR20150041211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편광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