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8651A -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8651A
KR20150108651A KR1020140031716A KR20140031716A KR20150108651A KR 20150108651 A KR20150108651 A KR 20150108651A KR 1020140031716 A KR1020140031716 A KR 1020140031716A KR 20140031716 A KR20140031716 A KR 20140031716A KR 20150108651 A KR20150108651 A KR 20150108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server
management system
barcod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9813B1 (ko
Inventor
구용국
남경수
Original Assignee
(주)남강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남강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남강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4003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813B1/ko
Publication of KR20150108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7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quality surveillance of prod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한 개의 컨베이어에 여러 공정의 장비가 설치되어 작업이 이루어지는 표면실장라인에서 바코드의 인식이 불가한 공정에서의 생산관련 데이터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은, 표면실장을 위한 보드를 투입하는 로더장비와, 로더장비로부터 투입되는 보드에 소정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장비로 이루어진 표면실장라인 및, 일련의 작업이 완료된 보드를 배출하는 언로더장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로더장비의 후단 및 언로더장비의 전단에는 각각 제 1추가 바코드리더기 및 제 2추가 바코드리더기가 설치되고; 제 1추가 바코드리더기와, 표면실장라인을 구성하는 각 장비 및, 제 2추가 바코드리더기에는 해당 보드의 바코드 정보 또는 각 장비의 실시간 생성 데이터가 전송되는 제 1장비서버 내지 제 n장비서버가 각각 대응되게 연계되어 구성되며; 제 1장비서버 내지 제 n장비서버는 상호 연계됨과 동시에 생산관리시스템 서버와 연결되어, 로더장비를 통해 투입된 후 일련의 표면실장 작업을 거쳐 언로더장비를 통해 배출되는 보드의 표면실장 과정이 생산관리시스템 서버에서 통합 관리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MANAGEMENT SYSTEM FOR BAR-CODE OMISSION PROCESS OF SURFACE MOUNTING TECHNOLOGY L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개의 컨베이어에 여러 공정의 장비가 설치되어 작업이 이루어지는 표면실장라인에서 바코드의 인식이 불가한 공정에서의 생산관련 데이터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면실장라인(SMT Line: Surface Mounting Technology Line)은 한 개의 컨베이어에 여러 공정의 장비가 설치되어 작업이 이루어지는 생산라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표면실장라인에서 생산되는 제품들은 최근 제품의 소형화 및 고집적화 추세에 따라 그 작업에 어려움이 따르면서 불량률이 높아지고 있어, 이를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생산관리시스템이 적용되는 사례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최근 적용되고 있는 표면실장라인의 생산관리시스템은 각 공정별, 장비별 가동 및 생산현황, 그리고 완제품의 각종 생산 관련 통계 및 사후 추적 관리가 주목적이며, 이러한 모든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생산 라인에 투입되는 인쇄회로기판의 구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 위에 바코드를 인쇄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상술한 바와 같은 표면실장라인에서 사용되는 장비들은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리더기가 옵션 장치이거나, 또는 리더기가 구비되지 않은 장비가 다수 존재하여, 각 보드 별로 생산관리 데이터를 취합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면실장라인의 개략적인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표면실장라인은 로더장비(1)와, 납도포기장비(2)와, 납도포검사기(3)와, 칩마운터(4)와, 이형마운터(5)와, 리플로우(6)와, 실장검사기(7) 및, 언로더장비(8)를 매개로 한 제 1공정 내지 제 8공정으로 이루어지되, 이때 검사장비인 제 3공정에서의 납도포검사기(3) 및 제 7공정에서의 실장검사기(7)의 경우, 검사를 위한 장비이기 때문에 대부분 바코드를 읽을 수 있는 바코드리더기가 구비되어 있으나, 그 이외의 나머지 장비들은 옵션 장치의 구매 여부에 따라 장치 부착 유무가 결정되게 되는데, 이때 각 장비로부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9) 측으로의 생산데이터를 전송은 상기 바코드리더기의 유무에 따라 그 방법이 구분되게 된다.
먼저, 해당 장비에 상기 바코드리더기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각 장비 별로 인쇄회로기판의 구분을 위한 바코드를 읽어들인 후 그 보드에 해당하는 생산관련 데이터들을 읽어들인 바코드와 함께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9)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해당 장비에 상기 바코드리더기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바코드의 정보가 누락된 상태로 현재 생산중인 보드에 해당하는 생산관련 데이터만을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9)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에서, 한 개의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실장 작업이 완료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공정 내지 제8공정들이 모두 완료되어야 하며, 이때 각 공정의 장비로부터 발생하는 생산 데이터는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9)에서 한 개의 정보로 취합되어져야만 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공정에 구비되는 장비로부터 해당 작업이 이루어지는 인쇄회로기판의 바코드를 읽지 못한 경우, 생산 데이터의 취합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먼저 '작업 1'에서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보드들을 1번, 2번, 3번 보드가 순차적으로 투입되며, '작업 2'의 [장비 1]에서는 1번 보드의 바코드를 읽고 작업을 진행한 후 생산관련 데이터를 바코드와 함께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 측으로 송부함과 동시에 1번 보드를 다음 장비로 이송하게 되며, 이에 상기 1번 보드는 생산라인의 모든 공정을 거친 후 '작업 6'에서 완제품으로 생산이 완료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 2'의 [장비 1]은 상기 1번 보드를 다음 장비로 이송한 후 연속적으로 2번 보드의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장비 1]에서의 상기 2번 보드 작업 과정에서 불량이 발견되어 다음 공정인 '작업 4'로 이송되지 못하고 '작업 3'에 의해서 보드가 제거되면, 상기 '작업 2'에서는 다시 3번 보드에 대한 작업을 진행한 후 '작업 4'의 [장비 2]로 상기 3번 보드를 이송하게 되며, 상기 3번 보드가 모든 공정 작업에 문제가 없는 경우 '작업 6'에서 완제품으로 생산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상기 '작업 3'을 통해 제거된 2번 보드는 불량이 수리된 후 '작업 5'에 의해 다시 생산라인에 투입되어 이후 공정에 문제가 없이 '작업 6'까지 진행되어 생산이 완료되게 되면, 최종적으로 생산이 완료된 보드의 작업 순서는 1번, 2번, 3번 보드가 아닌 1번, 3번, 2번 보드의 순서가 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장비로부터 실시간으로 생성되어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 측으로 전송된 생산데이터들도 일부 장비에서는 1번, 2번 ,3번 보드의 순서로 이루어지게 됨과 아울러, 다른 일부의 장비에서는 1번, 3번, 2번 보드의 순서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에서 취합되는 모든 생산데이터 안에는 각 보드의 바코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야만 최종적으로 생산이 완료된 보드의 각 장비별 생산데이터를 취합하는데 문제가 없게 되지만, 상기 '작업 4'의 [장비 2]에는 바코드 리더기가 장착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로의 생산데이터 송부 시 바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가 없으므로, 바로 앞 단계인 '작업 2'에서의 2번 보드 제거여부를 판단하지 못한채 그대로 1번, 3번, 2번 보드 순서로 생산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작업 2'에서 전송한 보드 순서인 1번, 2번, 3번과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바코드리더기가 장착되어 있는 장비와 상기 바코드 리더기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장비가 복잡하게 혼재된 실제 표면실장라인에서에서는 어느 작업공정에서 보드가 제거될지 예상할 수가 없으며, 또한 제거된 보드가 완전히 폐기될지 또는 어느 시점에 재투입이 이루어질지의 여부를 인지할 수가 없게 되므로, 각 장비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되어 전송되는 생산데이터를 동일 보드의 것으로 통합관리 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따라서 생산관리시스템에서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관리하고 재활용하는 데이터에도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254782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278999호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한 개의 컨베이어에 여러 공정의 장비가 설치되어 작업이 이루어지는 표면실장라인에서 바코드의 인식이 불가한 공정에서의 생산관련 데이터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은, 표면실장을 위한 보드를 투입하는 로더장비와, 상기 로더장비로부터 투입되는 보드에 소정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장비로 이루어진 표면실장라인 및, 일련의 작업이 완료된 보드를 배출하는 언로더장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로더장비의 후단 및 상기 언로더장비의 전단에는 각각 제 1추가 바코드리더기 및 제 2추가 바코드리더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 1추가 바코드리더기와, 상기 표면실장라인을 구성하는 각 장비 및, 상기 제 2추가 바코드리더기에는 해당 보드의 바코드 정보 또는 각 장비의 실시간 생성 데이터가 전송되는 제 1장비서버 내지 제 n장비서버가 각각 대응되게 연계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 1장비서버 내지 제 n장비서버는 상호 연계됨과 동시에 각각 생산관리시스템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로더장비를 통해 투입된 후 일련의 표면실장 작업을 거쳐 언로더장비를 통해 배출되는 보드의 표면실장 과정이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에서 통합 관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장비서버 내지 제 n장비서버는 각각의 장비로부터 생성되는 생산 관리용 데이터를 취합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각 장비별로 독립적으로 분리 구성되거나, 또는 한 개의 프로그램으로 통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장비서버 내지 제 n장비서버는, 한 개의 컴퓨터를 매개로 통합 운영되거나, 또는 다수 개의 컴퓨터를 통해 각각 분리 운영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 1장비인 로더장비로부터 투입된 보드의 바코드 정보가 제 1추가 바코드리더기에서 판독되어 제 1장비서버 측으로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로더장비 다음에 배치된 제 2장비로 해당 보드가 투입된 후, 상기 제 2장비에서 생성된 생산 데이터가 제 2장비서버 측으로 전송되며, 상기 제 2장비서버는 그 정보를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 측으로 전송하되, 상기 제 2장비에 바코드리더기가 구비된 경우에는 바코더 정보가 포함된 생산 데이터를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한편, 바코드리더기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1장비서버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를 생산 데이터에 매칭하여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2장비 다음에 배치된 제 3장비로 해당 보드가 투입된 후, 상기 제 3장비에서 생성된 생산 데이터가 제 3장비서버 측으로 전송되며, 상기 제 3장비서버는 그 정보를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 측으로 전송하되, 상기 제 3장비에 바코드리더기가 구비된 경우에는 바코더 정보가 포함된 생산 데이터를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한편, 바코드리더기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2장비서버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를 생산 데이터에 매칭하여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n-2장비 다음에 배치된 제 n-1장비로 해당 보드가 투입된 후, 상기 제 n-1장비에서 생성된 생산 데이터가 제 n-1장비서버 측으로 전송되며, 상기 제 n-1장비서버는 그 정보를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 측으로 전송하되, 상기 제 n-1장비에 바코드리더기가 구비된 경우에는 바코더 정보가 포함된 생산 데이터를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한편, 바코드리더기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n-2장비서버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를 생산 데이터에 매칭하여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 n장비인 언로더장비 전단에 설치된 제 2추가 바코드리더기에서 표면실장작업이 완료된 보드의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제 n장비서버 측으로 전송하며, 그 정보가 상기 샌산관리시스템 서버로 전송됨에 따라, 유효성이 인정된 보드의 표면실장 과정이 통합 관리되는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장비서버는 상기 제 1추가 바코드리더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생산관리시스템 서버에 기저장된 바코드 정보와 비교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며, 그 비교결과, 해당 바코드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에 해당 보드의 투입을 통보하는 한편, 해당 바코드 정보가 무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상기 생산관리 시스템 서버에 통보하여 작업이 중지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코드리더기가 구비된 소정 장비와 연계된 장비서버는 상기 바코드리더기에서 판독된 바코드 정보를 전단계의 장비서버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와 비교하며, 그 결과 무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를 생산관리 시스템 서버에 통보하여 작업이 중지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한 개의 컨베이어에 여러 공정의 장비가 설치되어 작업이 이루어지는 표면실장라인에서, 바코드의 인식이 불가한 공정에서도 생산관련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해 생산되는 모든 인쇄회로기판의 생산 관리용 통합 데이터를 모든 공정 및 장비로 세분화하여 정확히 파악할 수가 있게 됨으로서, 생산관리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여 표면실장라인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표면실장라인 생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표면실장라인 생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생산작업의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생산작업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생산작업의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한 개의 컨베이어에서 여러 공정에 걸친 다수의 장비가 설치되어 작업이 이루어지는 표면실장라인에 있어서, 다수 개의 공정 중 바코드의 인식이 불가한 공정에서의 생산관련 데이터도 바코드 정보의 매칭을 통해 정확히 파악되어 관리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은, 표면실장을 위한 보드를 투입하는 로더장비(10)와, 상기 로더장비(10)로부터 투입되는 보드에 소정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장비로 이루어진 표면실장라인 및, 일련의 작업이 완료된 보드를 배출하는 언로더장비(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시스템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표면실장라인을 구성하는 장비로는 납도포기장비(20)와, 납도포검사기(30)와, 칩마운터(40)와, 이형마운터(50)와, 리플로우(60)와, 실장검사기(70) 등의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바코드리더기는 검사장비인 납도포검사기(30) 및 실장검사기(70) 등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표면실장라인에 표면실장을 위한 보드를 투입하는 착공단계인 로더장비(10)의 후단 및 표면실장이 완료된 보드를 배출하는 완공단계인 언로더장비(80)의 전단에는 각각 제 1추가 바코드리더기(90) 및 제 2추가 바코드리더기(9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추가 바코드리더기(90,92)의 설치위치의 전이나 후에 구비되는 장비에 바코드리더기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바코드리더기를 추가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상기 표면실장라인을 구성하는 특정 장비의 중간에도 필요에 따라 추가 바코드리더기를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 1추가 바코드리더기(90)와, 상기 표면실장라인을 구성하는 장비인 납도포기장비(20)와, 납도포검사기(30)와, 칩마운터(40)와, 이형마운터(50)와, 리플로우(60)와, 실장검사기(70) 및, 상기 제 2추가 바코드리더기(92)에는 해당 보드의 바코드 정보나 각 장비의 실시간 생성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 1장비서버 내지 제 8장비서버(12,22,32,42,52,62,72,82)가 각각 대응되게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1장비서버 내지 제 8장비서버(12,22,32,42,52,62,72,82)는 연계된 각 장비에서 생성되는 생산 관리용 데이터를 취합하는 프로그램으로서, 각 공정에 따라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한 개의 프로그램으로 통합 구성될 수도 있다.
또, 상기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컴퓨터는 라인의 구성이나 취합하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적당히 변경 설계하여 구성할 수가 있는데, 즉 한 개의 컴퓨터에 상기 제 1장비서버 내지 제 8장비서버(12,22,32,42,52,62,72,82) 모두를 구성하여 운영할 수도 있으며, 또는 모든 장비서버의 프로그램이 각각 별도의 컴퓨터에서 운영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각 장비와 연계된 상기 제 1장비서버 내지 제 8장비서버(12,22,32,42,52,62,72,82)는 상호 연계됨과 동시에 모두 생산관리시스템 서버(100)와 연결되어 취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로더장비(10)를 통해 투입된 후 일련의 표면실장 작업을 거쳐 언로더장비(80)를 통해 배출되는 보드의 표면실장 작업에 따른 생산 데이터들은 각 공정별로 생산관리시스템 서버(100) 측으로 전송되어 통합 관리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이 제어되는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로더장비인 장비1(10)을 통해 표면실장 작업을 위한 인쇄회로기판인 1번 보드(B)가 투입되면, '작업 1(S 1)'에서 상기 제 1추가 바코드리더기(90)는 투입되는 보드(B)의 바코드를 읽은 후, 이를 제 1장비서버 측으로 전송한다.
이에, 상기 제 1장비서버는 '작업 1-1(S 1-1)'에서 상기 제 1추가 바코드리더기(90)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를 사전에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100)로부터 받은 바코드 정보(생산모델, 로트, 수량정보 등)와 비교하여 해당 보드(B)의 바코드 정보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고, 문제가 없는 경우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100)에 1번 보드(B)의 라인 투입을 통보하고, 이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 서버(100)의 제어에 따라 1번 보드(B)에 대한 본격적인 실장 작업이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만약 상기 제 1추가 바코드리더기(90)로부터 제 1장비서버 측으로 전송된 해당 보드(B)의 바코드 정보가 무효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그에 따른 정보가 상기 제 1장비서버로부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100)에 통보되어, 작업이 즉시 중단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해당 라인의 작업자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 2(S 2)'에서는 납도포장비인 장비2로부터 생성되는 생산데이터가 제 2장비서버 측으로 전송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장비2에는 바코드 리더기가 구비되어있지 않음에 따라 그 생산데이터를 바코드 정보 없이 상기 제 2작업서버 측으로 전달하게 되며, 또한 상기 제 2작업서버는 '작업2-1(S 2-1)'을 통해서 상기 제 1작업서버로부터 전달받은 1번 보드(B)의 바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2에서 생성된 생산데이터와 상호 매칭시킨 후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100)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3(S 3)'에서 검사 기능을 수행하는 검사장비인 장비3에서는 생성되는 1번 보드(B)의 생산데이터를 상기 제 3장비서버 측으로 전달하게 되며, 이때 상기 장비3에는 바코드리더기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100) 측으로 전달되는 생산데이터에는 판독된 바코드 정보가 함께 포함된 상태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제 3장비서버는 생산데이터를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100) 측으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 2장비서버로부터 전달받은 1번 보드(B)의 바코드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장비3에서 인식한 바코드 정보의 유효성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유효성 여부의 확인 결과, 해당 바코드 정보가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그 정보를 즉시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100)에 통보하여, 작업자가 문제 해결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 5(S 5)'에서는 최종적으로 생산이 완료된 1번 보드(B)의 바코드 정보를 제 2추가 바코드리더기(92)를 매개로 다시 판독한 후, '작업 5-1(S 5-1)'을 통해 생산관리시스템 서버(100) 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업 5-1(S 5-1)'을 포함하여, 상기 '작업 4(S 4)' 및 '작업 5(S 5)' 사이에 포함된 장비들의 생산 관리용 데이터는 상기 '작업 2(S 2)' 내지 '작업 4(S 4)'까지의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하면서 바코드의 유효성 및 각 장비에서 생성된 생산 관리용 데이터에 대한 바코드 통합 작업을 진행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모두 거쳐 상기 1번 보드(B')에 대한 표면실장 작업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1번 보드의 투입이 완료된 직후에는 순차적으로 2번 보드가 투입되면서 1번 보드와 동일한 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이때, 예를 들어 장비3으로부터 2번 보드의 불량이 발견되었을 경우, 작업자는 즉시 불량 보드인 2번 보드를 생산 라인에서 제거하게 되며, 이에 '작업 3'에서는 불량에 관련한 생산 정보를 포함한 생산 데이터를 제 3장비서버를 통해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 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 후, 상기 2번 보드가 제거된 상태에서 3번 보드는 불량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 검사장비인 장비3을 통과하게 되면서, 상기 1번 보드와 동일한 모든 작업 절차를 거쳐 표면실장 작업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에 의해 불량이 발견되어 제거된 상기 2번 보드의 조치가 완료되어, 상기 3번 보드 이후에 바로 생산 라인에 투입되게 되면, 투입된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작업 1(S 1)' 내지 '작업 5-1(S 5-1)'의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2번 보드에 대한 생산 관리용 데이터가 항상 유효한 바코드 정보와 함께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100) 측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면실장 작업을 위한 보드가 투입되는 로더장비 및 표면실장이 완료된 보드가 배출되는 언로더장비 상호간의 사이에 납도포장비와 검사장비 및 실장장비 등을 포함하는 간략한 구성의 표면실장라인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제 표면실장라인의 구성은 바코드리더기가 장착되어 있는 장비와 바코드리더기가 장착되어 있지않은 장비가 복잡하게 혼재되어 있음은 물론, 임의의 공정에서 보드가 제거된 후, 제거된 보드가 폐기되는 경우, 제거된 보드가 재투입되는 경우 등이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된 내용을 기초로 다양하게 응용하여 적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10: 로더장비, 20: 납도포기장비,
30: 납도포검사기, 40: 칩마운터,
50: 이형마운터, 60: 리플로우,
70: 실장검사기, 80: 언로더장비,
90: 제 1추가 바코더리더기, 92: 제 2추가 바코드리더기,
100: 생산관리시스템 서버.

Claims (6)

  1. 표면실장을 위한 보드를 투입하는 로더장비와, 상기 로더장비로부터 투입되는 보드에 소정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장비로 이루어진 표면실장라인 및, 일련의 작업이 완료된 보드를 배출하는 언로더장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로더장비의 후단 및 상기 언로더장비의 전단에는 각각 제 1추가 바코드리더기 및 제 2추가 바코드리더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 1추가 바코드리더기와, 상기 표면실장라인을 구성하는 각 장비 및, 상기 제 2추가 바코드리더기에는 해당 보드의 바코드 정보 또는 각 장비의 실시간 생성 데이터가 전송되는 제 1장비서버 내지 제 n장비서버가 각각 대응되게 연계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 1장비서버 내지 제 n장비서버는 상호 연계됨과 동시에 각각 생산관리시스템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로더장비를 통해 투입된 후 일련의 표면실장 작업을 거쳐 언로더장비를 통해 배출되는 보드의 표면실장 과정이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에서 통합 관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비서버 내지 제 n장비서버는 각각의 장비로부터 생성되는 생산 관리용 데이터를 취합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각 장비별로 독립적으로 분리 구성되거나, 또는 한 개의 프로그램으로 통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비서버 내지 제 n장비서버는,
    한 개의 컴퓨터를 매개로 통합 운영되거나, 또는 다수 개의 컴퓨터를 통해 각각 분리 운영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
  4. 제 1장비인 로더장비로부터 투입된 보드의 바코드 정보가 제 1추가 바코드리더기에서 판독되어 제 1장비서버 측으로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로더장비 다음에 배치된 제 2장비로 해당 보드가 투입된 후, 상기 제 2장비에서 생성된 생산 데이터가 제 2장비서버 측으로 전송되며, 상기 제 2장비서버는 그 정보를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 측으로 전송하되, 상기 제 2장비에 바코드리더기가 구비된 경우에는 바코더 정보가 포함된 생산 데이터를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한편, 바코드리더기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1장비서버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를 생산 데이터에 매칭하여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2장비 다음에 배치된 제 3장비로 해당 보드가 투입된 후, 상기 제 3장비에서 생성된 생산 데이터가 제 3장비서버 측으로 전송되며, 상기 제 3장비서버는 그 정보를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 측으로 전송하되, 상기 제 3장비에 바코드리더기가 구비된 경우에는 바코더 정보가 포함된 생산 데이터를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한편, 바코드리더기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2장비서버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를 생산 데이터에 매칭하여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n-2장비 다음에 배치된 제 n-1장비로 해당 보드가 투입된 후, 상기 제 n-1장비에서 생성된 생산 데이터가 제 n-1장비서버 측으로 전송되며, 상기 제 n-1장비서버는 그 정보를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 측으로 전송하되, 상기 제 n-1장비에 바코드리더기가 구비된 경우에는 바코더 정보가 포함된 생산 데이터를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한편, 바코드리더기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n-2장비서버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를 생산 데이터에 매칭하여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 n장비인 언로더장비 전단에 설치된 제 2추가 바코드리더기에서 표면실장작업이 완료된 보드의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제 n장비서버 측으로 전송하며, 그 정보가 상기 샌산관리시스템 서버로 전송됨에 따라, 유효성이 인정된 보드의 표면실장 과정이 통합 관리되는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장비서버는 상기 제 1추가 바코드리더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생산관리시스템 서버에 기저장된 바코드 정보와 비교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며,
    그 비교결과, 해당 바코드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생산관리시스템 서버에 해당 보드의 투입을 통보하는 한편, 해당 바코드 정보가 무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상기 생산관리 시스템 서버에 통보하여 작업이 중지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바코드리더기가 구비된 소정 장비와 연계된 장비서버는 상기 바코드리더기에서 판독된 바코드 정보를 전단계의 장비서버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와 비교하며, 그 결과 무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를 생산관리 시스템 서버에 통보하여 작업이 중지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40031716A 2014-03-18 2014-03-18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59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716A KR101559813B1 (ko) 2014-03-18 2014-03-18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716A KR101559813B1 (ko) 2014-03-18 2014-03-18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651A true KR20150108651A (ko) 2015-09-30
KR101559813B1 KR101559813B1 (ko) 2015-10-26

Family

ID=5424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716A KR101559813B1 (ko) 2014-03-18 2014-03-18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8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2324A (zh) * 2019-04-17 2020-10-27 深圳长城开发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smt生产线的在线自动扫描条码方法和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629B1 (ko) 2020-03-30 2022-03-16 김종렬 Smt 설비 라인 내 pcb 위치추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2163B2 (ja) 2009-04-15 2013-09-18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電子回路部品実装システム
KR101195183B1 (ko) 2010-06-29 2012-10-29 (주)넥스티지 부품 실장 상태 검사 장치
KR101155467B1 (ko) 2010-07-16 2012-06-15 보성테크 주식회사 실시간 smt 생산 라인 자재 운영 시스템 및 방법
JP5903583B2 (ja) 2012-05-08 2016-04-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および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における生産履歴情報生成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2324A (zh) * 2019-04-17 2020-10-27 深圳长城开发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smt生产线的在线自动扫描条码方法和系统
CN111832324B (zh) * 2019-04-17 2024-01-30 深圳长城开发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smt生产线的在线自动扫描条码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813B1 (ko) 201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48981B (zh) 制造安装基板的方法
US20110218754A1 (en) Method for supporting analytical work of solder printing state and solder printing inspection machine
US9804587B2 (en) Production system and program switching method used in the same
CN109583526A (zh) Pcb板的二维码应用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30262903A1 (en) Inspection and production of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ies
US20100224014A1 (en) Method of inspecting mount state of component
EP3499330A1 (e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EP2916188B1 (en) System for monitoring production on component mounting line
KR101559813B1 (ko) 표면실장라인 바코드 누락공정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3065776A (zh) 原材料管理方法及系统
CN107396538A (zh) 一种主板生产线自动化生产管理方法
CN113065778A (zh) 生产管理方法及系统
JP6008633B2 (ja) 部品実装システム
US20120146794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for collecting stage-by-stage manufacturing and/or post-manufactur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circuit board
KR101008585B1 (ko) 인쇄 회로 기판 검사를 위한 티칭 데이터 생성 장치 및 그방법
EP3043629A1 (en) Data processing device to be used by substrate working machine, and substrate working system having same
CN111751705B (zh) 测试结果展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存储介质
CN111421954A (zh) 智能判定回馈方法及装置
KR20170066046A (ko) Pcb용 마킹 자동화 장치
JP2007115038A (ja) プリント基板品質情報管理システム
KR102375629B1 (ko) Smt 설비 라인 내 pcb 위치추적 시스템
KR20100056234A (ko) 2d바코드를 이용한 제품 관리시스템 및 방법
JP4148365B2 (ja) プリント基板の検査装置
JP2016046487A (ja) 搬送装置
GB2417072A (en) A machine visio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