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904A -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904A
KR20150107904A KR1020140028745A KR20140028745A KR20150107904A KR 20150107904 A KR20150107904 A KR 20150107904A KR 1020140028745 A KR1020140028745 A KR 1020140028745A KR 20140028745 A KR20140028745 A KR 20140028745A KR 20150107904 A KR20150107904 A KR 20150107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rticle
purchase
stor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900B1 (ko
Inventor
임재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900B1/ko
Priority to PCT/KR2014/012361 priority patent/WO2015108286A1/ko
Priority to CN201480073468.1A priority patent/CN105917368A/zh
Priority to US15/111,683 priority patent/US20160350807A1/en
Publication of KR20150107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물품 구매 정보에서 물품 정보, 구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정보 식별부, 상기 정보 식별부에서 식별된 물품 정보 또는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결제 처리된 결제 대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에 분배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selling goods based on combination of on-line and off-lin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판매점에 비치된 물품의 코드 인식을 통해 물품정보를 입력받고, 그 물품정보에 대한 구매정보가 입력된 경우, 물품 정보 또는 구매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고, 결제 처리된 결제 대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에 분배하는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판매처와 같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물품을 구매하는 일반적인 방식은 구매자가 진열대에 진열된 물품을 확인하고 이를 카트나 장바구니에 담아 계산대로 이동한 후, 계산대에서 계산원이 각 물품을 일일이 확인하며 바코드를 인식시키고, 현금, 카드 등을 이용하여 결제한 후 계산된 물품을 다시 담아 가져와야 한다.
이러한 오프라인 구매 방식은 구매자가 쇼핑을 끝낼 때까지 매장 내에서 물품을 직접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고, 계산대에 줄을 서서 계산을 기다려야 할 뿐만 아니라, 계산된 물품을 직접 집으로 들고 가야한다.
판매자 입장에서는 계산대를 운영하고, 계산원을 고용해야 하며, 진열대의 물품이 소진된 경우, 이를 다시 채워 넣는 등 매장을 관리해야 하는 수고가 필요하다.
한편, 현재 일반적인 온라인 구매 방식은 판매자가 온라인 사이트에 물품을 물품 설명(사진, 텍스트, 동영상 등)과 함께 업로드하면, 구매자가 물품 설명을 확인하고 결제하며, 판매자는 결제된 물품을 구매자에게 배송한다.
종래의 온라인 구매 방식은 구매자가 물품을 직접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온라인 사이트에서 옷을 구매하는 경우, 옷이 자신의 몸에 맞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실측 사이즈가 제공되기는 하나, 개인의 체형을 반영하지 못한다). 식품의 경우 신선도를 확인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물품 주문 후에는 배송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즉, 구매 후 수령까지의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고 때로는 배송 사고도 발생한다.
아래 문헌번호를 기재한 선행기술 1은 오프라인 지역 판매점을 연계한 전자상거래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 1은 종래의 오프라인 구매 방식 및 온라인 구매 방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시된 발명이나, 물품의 정보를 온라인에서 확인하는 불편을 그대로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물품 주문 후 배송을 받기 까지 시간이 소요되는 점에서 종래 온라인 구매 방식의 단점을 해결하지 못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8071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라인 쇼핑과 오프라인 쇼핑을 연동하여 새로운 형태의 물품 구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판매점에서 물품을 카트에 담아 계산하지 않더라도, 물품을 직접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구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물품 확인 이후 물품의 구매/결제 절차를 간소화하여 구매자 편의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가 다르더라도, 결제 금액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에 분배함으로써, 물품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이익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를 위한 구매 처리 장치는 단말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물품 구매 정보에서 물품 정보, 구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정보 식별부, 상기 정보 식별부에서 식별된 물품 정보 또는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결제 처리된 결제 대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에 분배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를 위한 구매 처리 장치는 구매 정보에 포함된 판매점 장치로 배송 명령을 전송하는 배송 처리부, 판매점 장치와 위치 정보의 매칭 관계를 저장한 판매점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사용자들의 물품 구매 내역이 저장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식별부는 상기 구매 정보를 분석하여 물품 판매점과 물품 정보 제공점을 식별하거나,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물품 판매점과 물품 정보 제공점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를 위한 단말장치는 구매 처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물품 구매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부, 판매점에 비치된 물품의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부, 구매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코드 인식부에 의해 물품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구매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물품정보 또는 구매정보를 포함하는 물품 구매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구매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구매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는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매 처리부는 위치 측정부에서 측정된 위치 정보를 물품 구매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구매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인식부는 판매점에 비치된 물품의 바코드, QR코드, NFC 태그, 다차원 코드, 컬러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시스템은 물품 정보 및 구매 정보를 수신하고, 물품 정보, 구매 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품 구매 정보를 구매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장치,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물품 정보 또는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결제 처리된 결제 대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에 분배하는 구매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매 처리 장치는 구매 정보를 분석하여 물품 판매점과 물품 정보 제공점을 식별하거나,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물품 판매점과 물품 정보 제공점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판매점 장치로 배송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처리 장치가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장치로부터 물품 구매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물품 구매정보에서 물품 정보, 구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물품 정보 또는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결제 처리된 결제 대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가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판매점에 비치된 물품의 코드를 통해 물품 정보를 인식하고, 구매 정보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구매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구매처 정보,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매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물품정보, 구매정보를 포함하는 물품 구매 정보를 구매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물품 정보를 인식하는 것은 판매점에 비치된 물품의 바코드, QR코드 또는 진열대에 포함된 QR코드, NFC 태그를 인식하여 물품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과 오프라인 쇼핑의 장점을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물품 구매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구매자는 물품을 직접 확인한 후에 구매하므로 구매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매장 내에서 물품을 들고 이동하거나, 계산대에 가서 계산하지 않더라도 물품 구매가 가능하므로 시간 및 노력을 아낄 수 있다.
또한,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가 다르더라도, 결제 금액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에 분배함으로써, 물품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이익을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를 위한 구매 처리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를 위한 단말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말장치가 물품 정보를 획득하는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시스템은 물품 정보 및 구매 정보를 수신하고, 물품 정보, 구매 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품 구매 정보를 구매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장치,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물품 정보 또는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고, 결제 처리된 결제 대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에 분배하는 구매 처리 장치, 구매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배송 명령에 따라, 결제 처리된 물품에 대한 배송을 처리하는 판매점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말장치는 스마트폰, 테블릿 PC와 같이 이동성이 있고, 구매자가 휴대 가능한 이동통신 장치이다. 바코드, QR코드, NFC 태그와 같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정보 저장 수단을 인식할 수 있는 장치로, 본 발명에서는 판매처의 진열대 또는 물품에 부착, 표시된 다양한 정보 저장 수단을 인식하고 그 안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들인다.
구매 처리 장치는 단말장치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 결제 절차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로서, 단말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통신이 가능하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서버, 컴퓨터와 같은 장치이다.
구매 처리 장치는 구매 정보를 분석하여 물품 판매점과 물품 정보 제공점을 식별하거나,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물품 판매점과 물품 정보 제공점을 식별하고, 식별된 판매점 장치로 배송 명령을 전송한다.
판매점 장치는 구매 처리 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이 가능하고, 구매 처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배송 명령에 관한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장치이다. 구매 처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여러 형태의 서버, 컴퓨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실시예에 따라 다르긴 하나 판매처 등 물품 판매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시스템이 구동되는 방식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물품 판매 시스템이 구동되기 위해서는 먼저 판매처 내 진열대 또는 물품에 해당 물품에 관한 정보를 수록한 정보 저장 수단이 표시되어 있어야 한다. 그 일 예가 도 4에 나타나 있다.
정보 저장 수단에는 물품의 가격을 비롯하여, 제조 일자, 유통 기한과 같은 물품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물품의 판매처, 판매 주체와 같은 유통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판매처, 판매 주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현재 물품이 진열된 장소의 위치 정보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정보 저장 수단의 일 예로 판매점에 비치된 물품의 바코드, QR코드 또는 진열대에 포함된 QR코드, NFC 태그 등이 가능하며, 구매자는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정보 저장 수단을 인식하여 물품 정보를 단말장치에 입력한다.
구매자는 판매처에 진열된 물품을 구경하다가 구매하려는 물품이 있으면, 해당 물품에 표시되거나 또는 진열대에 표시된 정보 저장 수단을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인식한다. 종래와 같이 카트를 끌고 다니면서 물품을 일일이 카트에 담아 이동할 필요가 없이 단말장치로 물품에 관한 정보만을 읽어들이면 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훨씬 편하게 쇼핑을 즐길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를 제어하여 물품 정보를 입력한 여러 물품 중에서 구매하지 않을 물품에 대해서는 해당 물품 정보를 삭제하거나, 수량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제어도 가능하다. 따라서 쇼핑 도중 마음이 바뀌어 물품을 더 사고 싶거나 덜 사고 싶을 때 이를 진열대에 다시 갖다 놓아야 하는 종래의 오프라인 구매 방법에 비하여 훨씬 간단하고도 편하게 쇼핑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단말장치에 물품 정보를 입력한 이후에 구매자는 구매, 결제를 위한 정보, 예를 들어 신용카드 정보, 계좌 정보와 같이 현재 온라인 쇼핑에서 결제를 위해 요구되는 정보 및 배송지 등의 정보, 구매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등을 단말장치에 입력하고 이를 물품 정보와 함께 구매 처리 장치로 전송하면, 구매 처리 장치는 요청받은 물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한다. 이 때 상기 물품 정보 및 구매 정보와 더불어 위치 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위치 정보는 구매자의 현재 위치, 즉 구매자가 현재 쇼핑을 하고 있는 판매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장치 내에 장착된 GPS 등을 이용하여 식별하여 이를 구매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판매처의 물품 진열대에 포함된 QR코드 또는 NFC 태그에 판매처의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구매자가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QR코드 또는 NFC 태그를 읽어들일 때 판매처의 위치 정보가 함께 단말장치에 입력되도록 하고, 이를 물품 정보, 구매 정보와 함께 구매 처리 장치로 전송시켜 구매 처리 장치에서 현재 구매자가 쇼핑을 하고 있는 판매처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구매 처리 장치에서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물품 정보 및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한 후에는,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점 장치로 결제 처리된 물품에 대한 배송 명령을 전송한다. 구매 처리 장치 내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는 위치 정보와 판매점 장치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고, 구매 처리 장치는 수신된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 또는 인접한 위치 정보와 매칭된 판매점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판매점 장치로 배송 명령을 전송한다. 배송 명령에는 구매자가 구매한 물품의 종류, 수량, 구매자 정보, 구매 일시, 배송지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판매점 장치는 구매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배송 명령에 따라, 결제 처리된 물품에 대한 배송을 처리한다. 즉, 판매점 장치에는 앞서 언급한 배송 명령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고, 전송된 정보는 판매점 장치를 운영하는 주체가 확인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어, 판매점 장치의 운영 주체는 배송 명령에 포함된 물품을 구매자가 수령하거나 배송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매자가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구매 정보에 물품을 배송시킬 것인지 또는 포장시킬 것인지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되고, 이는 구매 처리 장치를 거쳐 판매점 장치로 전송되며, 판매점 장치는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배송 처리 방식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는 구매자가 물품 수령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매자는 자신의 필요에 따라 바로 사용해야 할 물품의 경우, 매장에서 직접 수령하여 갈 수도 있고, 바로 사용할 필요가 없거나 배송시키는 것이 편리한 경우에는 물품이 배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매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가 물품 배송인 경우, 구매 처리 장치는 상기 구매 정보에 포함된 배송지 정보의 근접 거리 내에 위치한 판매점 장치로 배송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배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구매자가 직접 수령 보다는 물품 배송을 원하는 경우, 굳이 현재 물품 판매처에서 물품을 배송할 필요 없이, 배송지와 가까운 판매처에서 물품을 배송시키는 거리, 시간, 비용적인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이므로, 구매자로부터 입력된 배송지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지 정보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판매점에서 배송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물품 판매 시스템에 따르면 구매자는 판매처에서 진열된 물품을 구경하고 구매하려는 물품에 관한 정보를 단말장치로 읽어들여 결제하기만 하면, 물품 구매가 완료되고 이를 직접 수령하거나 또는 집으로 바로 배송시킬 수도 있어, 종래와 같이 카트를 끌고 다니며 이동하고, 계산대에 줄을 서서 물품을 일일이 계산하며, 계산된 물품을 포장하고, 집으로 가져오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즉, 종래 오프라인 구매 방식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온라인 구매 방식에서 물품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구매할 수 없다는 불편이 있었는데, 본 발명은 물품을 실제로 확인한 후 구매할 수 있고, 구매자 선택에 따라 물품을 직접 수령할 수도 있으므로, 종래 온라인 구매 방식의 단점(물품을 직접 확인할 수 없음, 배송까지 시간이 걸림, 교환/환불 등의 절차가 복잡함)을 해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를 위한 구매 처리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매 처리 장치는 단말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통신부를 통해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물품 구매 정보에서 물품 정보, 구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정보 식별부, 정보 식별부에서 식별된 물품 정보 또는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고, 결제 처리된 결제 대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에 분배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단말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유무선 통신을 비롯하여 현재 널리 통용되는 다양한 통신 규약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구성이다.
정보 식별부는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정보를 구별하고 추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단말장치에서 전송되는 정보 중에서 물품 정보, 위치 정보, 구매 정보를 각각 구별한다. 그 일예로 각각의 정보는 서로 다른 헤더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전송 순서(시간)에 따라 구별될 수도 있고, 데이터 필드의 어느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에 따라 구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정보의 구별 및 식별 방식은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정보 식별부는 구매 정보를 분석하여 물품 판매점과 물품 정보 제공점을 식별하거나,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물품 판매점과 물품 정보 제공점을 식별한다. 여기서, 물품 정보 제공점은 사용자가 물품을 확인한 판매점일 수 있고, 물품 판매점은 사용자가 물품 배송을 원하는 판매점일 수 있다.
정보 식별부에 의해서 식별된 물품 정보 및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부는 구매자가 선택한 물품에 대해 결제 절차를 진행한다. 구매 정보에는 결제 수단에 관한 정보, 구매자의 식별 정보, 물품 판매점 정보, 물품 정보 제공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결제를 진행하고, 결제 처리된 결제 대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에 분배한다. 이를 통해 물품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판매점은 이익을 공유할 수 있다. 구매자의 인증, 금융 기관과의 연동 방식 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구매 처리 장치는 구매 정보에 포함된 판매점 장치로 배송 명령을 전송하는 배송 처리부, 판매점 장치와 위치 정보의 매칭 관계를 저장한 판매점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사용자들의 물품 구매 내역이 저장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송 처리부는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또는 구매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점 장치로 배송 명령을 전송한다.
판매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판매점 장치와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구매자에게 적합한 판매점 장치에서 물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사용자들의 물품 구매 내역이 저장되어 있다.
한편, 정보 식별부, 결제 처리부, 배송 처리부는 기능에 따라 구분된 개념이며 구매 처리 장치 내에서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각각 독립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를 위한 단말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는 구매 처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물품 구매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부, 판매점에 비치된 물품의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부, 구매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코드 인식부에 의해 물품정보를 인식하고, 입력부로부터 구매 정보가 수신된 경우, 물품정보 또는 구매정보를 포함하는 물품 구매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구매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구매 처리부를 포함한다.
코드 인식부는 판매점에 비치된 물품의 바코드, QR코드, NFC 태그, 다차원 코드, 컬러 코드 등의 코드를 인식한다. 즉, 코드 인식부는 판매점에 비치된 물품의 바코드, QR코드 또는 진열대에 포함된 QR코드, NFC 태그를 인식하여 물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는 판매처 내에서 카트를 이동시켜 물품을 직접 담는 불편을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장치를 조작하여 물품의 수량 등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장치 또는 판매점의 위치 정보는 단말장치 내에 포함된 GPS 등에 의해 획득할 수도 있고, 진열대에 포함된 QR코드, NFC 태그 또는 이와 유사한 정보 인식 수단 내에 물품이 진열된 매장의 위치 정보를 수록하여, QR코드나 NFC 태그를 인식함과 동시에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추후 구매 처리 장치가 판매점 장치로 배송 명령을 전송하거나, 판매점 장치가 배송 명령을 처리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말장치는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매 처리부는 위치 측정부에서 측정된 위치 정보를 물품 구매 정보에 포함시켜 구매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에 대해 도 5를 통해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물품 판매 방법은 단말장치는 판매점에 비치된 물품의 코드를 통해 물품 정보를 인식한다(S510). 그러면, 단말장치는 인식된 물품 정보에 대한 구매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구매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S520).
단말장치 사용자는 구매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구매처 정보,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매 정보를 입력하고(S530), 단말장치는 물품정보, 구매정보를 포함하는 물품 구매 정보를 구매 처리 장치로 전송한다(S540). 구매자가 판매처에서 물품을 구경하다가 원하는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물품 또는 진열대에 배치된 정보 인식 수단을 이용하여 물품 정보를 입력하고, 구매를 위해 필요한 구매 정보를 입력하면, 단말장치는 이를 구매 처리 장치로 전송한다. 이 때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거나 또는 판매점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구매자가 어느 판매점에서 쇼핑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구매 처리 장치로 전송한다.
구매 처리 장치는 물품 정보 또는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고(S550), 결제 처리된 결제 대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에 분배한다(S560).
그런 후, 구매 처리 장치는 판매점 장치로 결제 처리된 물품에 대한 배송 명령을 전송한다(S570). 그러면, 판매점 장치는 해당 물품을 해당 사용자에게 배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장치는 판매점에 비치된 물품의 바코드, QR코드 또는 진열대에 포함된 QR코드, NFC 태그를 인식하여 물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는 판매처 내에서 카트를 이동시켜 물품을 직접 담는 불편을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장치를 조작하여 물품의 수량 등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 또는 판매점의 위치 정보는 단말장치 내에 포함된 GPS 등에 의해 획득할 수도 있고, 진열대에 포함된 QR코드, NFC 태그 또는 이와 유사한 정보 인식 수단 내에 물품이 진열된 매장의 위치 정보를 수록하여, QR코드나 NFC 태그를 인식함과 동시에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추후 구매 처리 장치가 판매점 장치로 배송 명령을 전송하거나, 판매점 장치가 배송 명령을 처리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구매자는 물품을 직접 확인한 후에 구매하므로 구매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매장 내에서 물품을 들고 이동하거나, 계산대에 가서 계산하지 않더라도 물품 구매가 가능하므로 시간 및 노력을 아낄 수 있다.
또한,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가 다르더라도, 결제 금액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에 분배함으로써, 물품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이익을 공유할 수 있다.

Claims (13)

  1. 단말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물품 구매 정보에서 물품 정보, 구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정보 식별부; 및
    상기 정보 식별부에서 식별된 물품 정보 또는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결제 처리된 결제 대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에 분배하는 결제 처리부;
    를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를 위한 구매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매 정보에 포함된 판매점 장치로 배송 명령을 전송하는 배송 처리부;
    판매점 장치와 위치 정보의 매칭 관계를 저장한 판매점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사용자들의 물품 구매 내역이 저장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를 위한 구매 처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식별부는 상기 구매 정보를 분석하여 물품 판매점과 물품 정보 제공점을 식별하거나,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물품 판매점과 물품 정보 제공점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를 위한 구매 처리 장치
  4. 구매 처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물품 구매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부;
    판매점에 비치된 물품의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부;
    구매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코드 인식부에 의해 물품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구매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물품정보 또는 구매정보를 포함하는 물품 구매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구매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구매 처리부;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매 처리부는 위치 측정부에서 측정된 위치 정보를 물품 구매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구매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인식부는 판매점에 비치된 물품의 바코드, QR코드, NFC 태그, 다차원 코드, 컬러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물품 정보 및 구매 정보를 수신하고, 물품 정보, 구매 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품 구매 정보를 구매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장치;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물품 정보 또는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결제 처리된 결제 대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에 분배하는 구매 처리 장치;
    를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매 처리 장치는 구매 정보를 분석하여 물품 판매점과 물품 정보 제공점을 식별하거나,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물품 판매점과 물품 정보 제공점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판매점 장치로 배송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시스템.
  9. 구매처리 장치가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장치로부터 물품 구매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물품 구매정보에서 물품 정보, 구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물품 정보 또는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처리된 결제 대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물품 판매처와 물품 정보 제공처에 분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10. 청구항 9에 기재된 /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단말장치가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판매점에 비치된 물품의 코드를 통해 물품 정보를 인식하고, 구매 정보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구매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구매처 정보,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매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물품정보, 구매정보를 포함하는 물품 구매 정보를 구매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정보를 인식하는 것은 판매점에 비치된 물품의 바코드, QR코드 또는 진열대에 포함된 QR코드, NFC 태그를 인식하여 물품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13. 청구항 11에 기재된 /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028745A 2014-01-17 2014-03-12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102326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745A KR102326900B1 (ko) 2014-03-12 2014-03-12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PCT/KR2014/012361 WO2015108286A1 (ko) 2014-01-17 2014-12-15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201480073468.1A CN105917368A (zh) 2014-01-17 2014-12-15 线下店铺广告服务系统及其方法和应用的装置
US15/111,683 US20160350807A1 (en) 2014-01-17 2014-12-15 Off-line store advertis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for, and apparatus appli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745A KR102326900B1 (ko) 2014-03-12 2014-03-12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904A true KR20150107904A (ko) 2015-09-24
KR102326900B1 KR102326900B1 (ko) 2021-11-17

Family

ID=5424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745A KR102326900B1 (ko) 2014-01-17 2014-03-12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9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390A (ko) * 2020-12-11 2022-06-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3d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189A (ko) * 1999-10-22 2001-05-15 권혁인 인터넷 수퍼마켓 시스템
JP2001283027A (ja) * 2000-03-31 2001-10-12 Nec Corp 商品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センタ端末、決済装置、設備側装置、ユーザ端末並びに記録媒体
KR20080038850A (ko) * 2006-10-31 2008-05-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80716A (ko) 2011-01-10 2012-07-18 김형주 오프라인 지역 판매점을 연계한 전자 상거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189A (ko) * 1999-10-22 2001-05-15 권혁인 인터넷 수퍼마켓 시스템
JP2001283027A (ja) * 2000-03-31 2001-10-12 Nec Corp 商品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センタ端末、決済装置、設備側装置、ユーザ端末並びに記録媒体
KR20080038850A (ko) * 2006-10-31 2008-05-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80716A (ko) 2011-01-10 2012-07-18 김형주 오프라인 지역 판매점을 연계한 전자 상거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390A (ko) * 2020-12-11 2022-06-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3d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900B1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27662A (ja) 以前に注文された商品を自動的に再注文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11080771B2 (en) Self-checkout system for bypassing in-store checkout
KR20240023378A (ko) 마트 쇼핑용 상품 구매 시스템
KR20150028768A (ko) 상점에서 구매가능하나 진열되지 않은 상품을 검색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점 운영 방법
KR101570034B1 (ko) 도매업과 소매업이 웹으로 연동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시스템
KR101731937B1 (ko) 상품 주문 및 수령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JP7145606B2 (ja) 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03009B1 (ko) 배송업체 중심 판매 시스템 및 방법
TW201729150A (zh) 商品行銷方法及用於商品行銷方法的伺服端
KR102326900B1 (ko)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101945008B1 (ko) 상품할인정보 자동예측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100917A (ko) 결제 토큰 기반 주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301155B1 (ko)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78643A (ko)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자동판매기 상품판매 시스템
KR2017014116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최적화된 쇼핑 방법
KR20180077617A (ko) 핀테크 결제 기능이 구비된 자동판매기
KR20150094843A (ko) Nfc 태그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쇼핑 방법
KR101427790B1 (ko) 고정가 패키지 상품의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80610A (ko) 검색과 연계된 위시리스트 활용 서버 및 그 제어방법
NZ750900B2 (en) Self-checkout system for bypassing in-store checkout
US20190172113A1 (en) Classified ad enablement
JP5829835B2 (ja) 販売管理装置及び販売管理プログラム
CN112634549A (zh) 信息处理装置及存储介质
JP2006127006A (ja) 販売システム
CN110689390A (zh) 商品销售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