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308A - Front subframe for car body - Google Patents

Front subframe for car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308A
KR20150107308A KR1020140030015A KR20140030015A KR20150107308A KR 20150107308 A KR20150107308 A KR 20150107308A KR 1020140030015 A KR1020140030015 A KR 1020140030015A KR 20140030015 A KR20140030015 A KR 20140030015A KR 20150107308 A KR20150107308 A KR 20150107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b
subframe
protrud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0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75460B1 (en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0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460B1/en
Publication of KR20150107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3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4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subframe which can secure vehicle body structural rigidity and maximize a space of an engin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front subframe for a vehicle body. Moreover, a new type of a front subframe structure is realized by being applied with a front structure extended in a subframe side having a protruding type structure and a reinforcing member for a vehicle body connection reinforcement structure, thereby securing vehicle body rigidity capable of actively dealing with new vehicle safety evaluation and maximizing a space of an engine room.

Description

자동차 차체의 프론트 서브 프레임{Front subframe for car bod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subframe for a car body,

본 발명은 자동차 차체의 프론트 서브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 구조적 강성 확보 및 엔진룸의 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돌출형 구조의 프론트 서브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subframe of an automobile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ont subframe having a protruding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structural rigidity of a vehicle body and maximizing space in an engine room.

일반적으로 자동차 차체는 메인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서브 프레임은 차체의 전방 하단을 형성하는 프론트 서브 프레임과 차체의 후방 하단을 형성하는 리어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Generally, an automobile body is composed of a main frame and a subframe, and the subframe is composed of a front subframe forming the lower front end of the vehicle body and a rear subframe forming the rear lower end of the vehicle body.

상기 프론트 서브 프레임의 윗쪽에는 엔진을 비롯한 변속기 등의 장치들이 장착되며, 측면쪽에는 프론트 서스펜션의 로어 암과 연결되어 차량의 구조 강성을 확보하면서 하중 전달을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Devices such as a transmission including an engine ar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sub-frame, and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ub-frame is connected to a lower arm of the front suspension to secur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vehicle and facilitate load transmission.

그리고, 프론트 서브 프레임은 앞쪽과 뒷쪽의 두 곳의 위치에 차체가 연결되고, 차체와 마찬가지로 앞쪽과 뒷쪽의 두 곳의 위치에 프론트 로어암이 연결된다.In the front subframe, the vehicle body is connected to two positions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and the front lower arm is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in the same manner as the vehicle body.

이러한 프론트 서브 프레임은 한국등록특허 10-0831470호, 한국공개특허 10-2007-0060400호 등에 다양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Such front subframes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831470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7-0060400.

일 예로서, 도 8에서는 일반적인 자동차 차체의 프론트 서브 프레임을 보여준다. As an example, FIG. 8 shows a front sub-frame of a typical automobile body.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서브 프레임(100)은 전방에 프론트 멤버(110), 후방에 리어 멤버(120), 좌우의 길이 방향으로 사이드 멤버(130)를 포함하는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8, the front sub-frame 100 has a rectangular frame including a front member 110 at the front, a rear member 120 at the rear, and a side member 130 at the left and r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이러한 프론트 서브 프레임(100)은 전방과 후방의 양측 4부분에 차체 마운팅부(140)를 갖추고 있으며, 이때의 차체 마운팅부(140)는 프론트 서브 프레임(100)의 좌우 부재와 전후 부재가 만나는 부위에 위치한다.The front subframe 100 is provided with a body mounting portion 140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ont subframe 100. The bodyfitting portion 140 at this tim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members of the front subframe 100 and the front and rear members .

그러나, 종래의 프론트 서브 프레임 구조는 점차 강화되는 추세에 있는 신차 안전도 평가(New Car Assessment Program;NCAP)에 적극 대응하는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으며, 전반적으로 엔진룸의 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많아 다양한 엔진, 파워트레인 등의 부품 설계 및 레이아웃 설정 시 자유도가 떨어지는 등 제약을 많이 받는 불리한 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front sub-frame structure is limited in terms of positively responding to the New Car Assessment Program (NCAP) in the trend of strengthening gradually,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space of the engine room as a who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egree of freedom is low when designing parts and layout of parts such as a power train, and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돌출형 구조의 서브 프레임측에서 연장되는 전방 구조물, 차체 연결 강화 구조를 위한 보강 멤버 등을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프론트 서브 프레임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신차 안전도 평가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차체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엔진룸의 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자동차 차체의 프론트 서브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ont sub-frame structure in which a front structure extending on the side of a sub-frame of a protruding structure, a reinforcement member for a body-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front subframe of a vehicle body capable of securing body rigidity capable of responding positively to a new vehicle safety evaluation and maximizing the space of the engine roo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 차체의 프론트 서브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ont sub-frame of a vehicle body having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 프론트 서브 프레임은 전방의 범퍼 백빔과 후방의 휀더 에이프런, 그리고 상기 범퍼 백빔과 휀더 에이프런 사이에 연결되는 양쪽의 사이드 멤버로 구성되는 프레임 구조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프론트 서브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론트 서브 프레임은 프레임 구조물(13)측에 연결 지지되면서 선단부 양편에서 돌출 형성되는 전방 구조물 연결부를 가지는 돌출형 서브 프레임과, 상기 돌출형 서브 프레임의 전방 구조물 연결부에 후단 지지됨과 더불어 전개 방향이 앞쪽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대되는 형태의 사이드 구조물과 상기 양쪽의 사이드 구조물의 선단 사이에 가로걸쳐 연결되는 프론트 구조물로 구성되는 전방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Wherein the front sub-frame is a front sub-frame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a frame structure composed of a front bumper back beam, a rear fender apron, and side members connected between the bumper back beam and the fender apron, A protruding sub-frame having a front structure connection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end por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rame structure 13 and a rear end supported by a front structure connection portion of the protruding sub-frame, And a front structure connected transversely between the side structures of the side structures and the front ends of the side structures.

따라서, 상기 프론트 서브 프레임은 돌출형 서브 프레임 구조를 통해 엔진룸의 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ront sub-frame can maximize the space of the engine room through the protruding sub-frame structure.

여기서, 상기 돌출형 서브 프레임의 양쪽의 전방 구조물 연결부는 대나무 타입 파이프를 내장하고 있는 사각 튜브 형태로서, 일정각도 외측으로 벌어진 자세로 형성되고, 상기 대나무 타입 파이프의 선단에는 로워암 "A"점이 조립될 수 있다.Here, the front structural joints on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sub-frame are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having a bamboo-type pipe embedded therein and formed in a posture angled out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lower arm "A" .

특히, 상기 프론트 서브 프레임은 프레임 구조물에 있는 사이드 멤버의 바깥쪽으로 배치되면서 범퍼 백빔와 휀더 에이프런 사이에 연결 설치됨과 더불어 선단부 하단을 통해 프론트 서브 프레임의 전방 구조물에 연결되어 차체 연결을 강화해주는 박스형 단면구조의 양쪽의 보강 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울/휀더 에이프런 강화와 전방 구조물 앞쪽을 강화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front sub-frame is disposed outside the side member in the frame structure and connected to the bumper back beam and the fender apron,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structure of the front sub-frame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ront end portion, Thereby reinforcing the cowl / fender aprons and strengthening the front of the front structure.

그리고, 상기 보강 멤버는 프레임 구조물의 사이드 멤버와 일부 길이구간에서 나란하게 접합되면서 사이드 멤버와 함께 이중 박스형 단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inforcing member is preferably joined to the side member of the frame structure in parallel with the side member in a lengthwise section, so that the reinforcing member can have a double box-shaped cross-section.

또한, 상기 양쪽의 보강 멤버의 경우 길이를 기준할 때 직선 형태, 수직절곡구간을 갖는 형태, 경사진 구간을 갖는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좌우 대칭 또는 좌우 비대칭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s of both sides may have a straight shape, a shape having a vertical bending section, a shape having a sloping section, and the like, and may be installed symmetrically or asymmetrically.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 차체의 프론트 서브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The front subframe of the automobile body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돌출형 전방 구조물의 전개 방향을 외측으로 확대하여 엔진룸의 제한된 공간을 극복할 수 있다. First,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ed space of the engine room by enlarging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protruding front structure outwardly.

둘째, 현재 양산 중인 다양한 차량의 엔진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등 기 양산 차종의 활용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Seco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of use of mass production vehicles, which can be applied without changing the engines of various vehicles under mass production at present.

셋째, 돌출형 전방 구조물의 전/후 마운팅 구조를 개선하고, 기존 골격 구조에 돌출형 전방 구조물을 적용하여 충돌하중 흡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충돌 성능 및 골격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ird, the front and rear mounting structure of the protruding type front structure can be improved, and the protruding type front structure can be applied to the existing skeletal structure to increase the collision load absorption efficiency and to increase the collision performance and skeletal rigid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서브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서브 프레임에서 전방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서브 프레임에서 돌출형 서브 프레임의 제작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서프 프레임에서 보강 멤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서브 프레임에서 기존 구조와 개선 구조의 갭 확보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서브 프레임에서 엔진 탑재 시 갭 확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서브 프레임에 대한 정면 신차 안전도 평가 해석을 나타내는 그래프 및 시뮬레이션 사진
도 8은 종래의 일반적인 프론트 사브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ont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front structure in a front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abricating a protruding sub-frame in a front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reinforcing member in a front surf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securing a gap between an existing structure and an improved structure in a front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p is ensured when the engine is mounted in a front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graph and a simulation photograph showing a frontal new-vehicle safety evaluation analysis for a front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general front saver fram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서브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ont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서브 프레임(14)은 엔진룸 등이 조성되는 차체 앞부분의 프레임 구조물(13)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체 앞부분의 구조적 강성을 강화할 수 있고, 또 엔진룸 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the front sub-frame 14 may be installed under the frame structure 13 at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such as an engine room, to enhanc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body, It can be maximized.

이를 위하여, 상기 프론트 서브 프레임(14)은 앞쪽에 배치되는 범퍼 백빔(10)과 뒷쪽에 배치되는 휀더 에이프런(11), 그리고 상기 범퍼 백빔(10)과 휀더 에이프런(11)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양쪽의 사이드 멤버(12)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물(13)의 하부에 배치된다. The front subframe 14 includes a bumper back beam 10 disposed at the front side and a fender apron 11 disposed at the rear side of the front subframe 14 and a fender apron 11 disposed between the bumper back beam 10 and the fender apron 11, The side members 12 of the frame structure 13. [0031]

그리고, 이렇게 배치되는 프론트 서브 프레임(14)은 아래쪽의 전방 구조물(19)과 양쪽의 보강 멤버(22)를 포함하며, 이때의 전방 구조물(19)은 후술하는 돌출형 서브 프레임(16)에 있는 양쪽의 차체측 연결부(21)에 의해 사이드 멤버(12)의 후단 저면 부근에 연결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사이드 구조물(17a,17b)을 이용하여 보강 멤버(22)측과 연결되는 구조로 지지된다. The front sub-frame 14 disposed in this way includes a lower front structure 19 and both reinforcing members 22. The front structure 19 at this time is located in a protruding sub- Side connecting portions 21 of the side members 12 and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22 by using side structures 17a and 17b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보강 멤버(22)는 박스형 단면구조를 가지면서 차체 연결을 강화시켜주는 부재로서, 프레임 구조물(13)에 있는 양쪽 사이드 멤버(12)의 바깥쪽으로 배치되면서 범퍼 백빔(10)와 휀더 에이프런(11) 사이에 연결 설치된다. The reinforcement member 22 is a member that has a box-like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strengthens the conn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reinforcement member 22 is disposed outside the side members 12 on the frame structure 13, (11).

즉, 보강 멤버(22)의 후단부는 휀더 에이프런(11)측에 연결되고, 선단부는 범퍼 백빔(10)측에 연결되는 동시에 그 선단부 하단을 통해 프론트 서브 프레임(14)의 전방 구조물(19)을 구성하는 사이드 구조물(17a,17b)의 선단부 상면에 연결된다. That is,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22 is connected to the fender apron 11 side, the front end portion thereof is connected to the bumper back beam 10 side, and the front structure 19 of the front sub-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ide structures 17a and 17b.

이러한 보강 멤버(22)는 사이드 멤버(12)의 바깥쪽 옆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멤버 길이를 기준할 때 직선으로 뻗은 형태 형태, 길이 중간부분이 수직절곡구간으로 이루어진 형태, 길이 중간부분이 경사진 구간으로 이루어진 형태 등을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e reinforcing member 22 may be formed of two pieces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outer side of the side member 12 and may have a shape extending straightly with reference to the length of the member, And a shape in which the middle part of the length is inclined.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보강 멤버(22)는 차종의 사양에 따라 동일한 형태의 것이 좌우에 배치되는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거나, 서로 다른 형태의 것이 좌우에 배치되는 좌우 비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게 된다. The reinforcing members 22 having various shapes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symmetric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ame type of vehicl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type or may be installed so as to have a left- .

도 1에서는 좌측에 수직절곡구간을 가지는 형태의 보강 멤버(22)가 설치되고, 우측에 직선형의 형태로 되어 있는 보강 멤버(22)가 설치되는 예를 보여준다.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reinforcing member 22 having a vertical bending section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a reinforcing member 22 having a straight shape on the right side is provided.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서브 프레임에서 전방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front structure in a front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구조물(19)은 프레임 구조물(13)의 사이드 멤버(12)측에 연결 지지됨과 더불어 선단부의 양편에서 돌출 형성되는 전방 구조물 연결부(15a,15b)를 가지는 돌출형 서브 프레임(16)을 포함한다. 2A and 2B, the front structure 19 is connected to the side members 12 of the frame structure 13 and has front structure connection portions 15a and 15b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front structure. Shaped sub-frame 16 having a convex shape.

이러한 돌출형 서브 프레임(16)의 선단부 양편 상면에는 차체 연결부(21)가 각각 형성되며, 이때의 차체 연결부(21)가 사이드 멤버(12)의 후단부 저면에 연결되므로서, 돌출형 서브 프레임(16)이 전체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The vehicle body connecting portion 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protruding sub frame 16 and the vehicle body connecting portion 21 is connected to the bottom end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ide member 12, 16 can be supported as a whole.

그리고, 상기 전방 구조물 연결부(15a,15b)는 사각의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돌출형 서브 프레임(16)의 선단부에서 앞쪽으로 연장될수록 일정각도, 예를 들면 사이드 구조물(17a,17b)이 외측으로 벌어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외측으로 벌어진 자세로 형성된다. The front structure connecting portions 15a and 15b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tube and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angles such that the side structures 17a and 17b extend out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protruding sub frame 16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양쪽의 전방 구조물 연결부(15a,15b)의 내측에는 대나무 타입 파이프(20), 즉 선단부에 경사지게 깍여 있는 형태의 대나무 타입 파이프(20)가 내장되며, 이때의 대나무 타입 파이프(20)의 선단는 전방 구조물 연결부(15a,15b)의 측면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이곳에 로워암 "A"점이 연결될 수 있게 된다. A bamboo-type pipe 20, that is, a bamboo-type pipe 20 sloped and sloped at the front end portion is built in the inside of the front structure connecting portions 15a and 15b of both the front and the back of the bamboo-type pipe 20, The front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 portions of the front structure connecting portions 15a and 15b, and the lower arm "A "

특히, 상기 전방 구조물(19)은 박스형 단면을 가지는 중공의 바 형태로 이루어진 2개의 사이드 구조물(17a,17b)과 1개의 프론트 구조물(18)을 포함한다. Particularly, the front structure 19 includes two side structures 17a and 17b and a front structure 18, each of which has a hollow bar shape having a box-shaped cross section.

상기 사이드 구조물(17a,17b)은 돌출형 서브 프레임(16)에 있는 전방 구조물 연결부(15a,15b)에 후단이 볼트나 용접 등으로 연결되어 지지되고, 이와 더불어 전개 방향이 앞쪽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대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The side structures 17a and 17b are connected to the front structure connecting portions 15a and 15b in the protruding sub frame 16 by a bolt or welding and the rear ends thereof are expanded and extended toward the front side .

이때, 상기 양쪽의 사이드 구조물(17a,17b)이 이루는 각도는 20∼60°(?)의 각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각도에 한정되지 않고 사양에 따라 각도범위는 이보다 좁게 또는 넓게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ngle formed by the side structures 17a and 17b may be set to an angle of 20 to 60 °, and the angular range may be set narrower or wider have.

그리고, 상기 프론트 구조물(18)은 양쪽의 사이드 구조물(17a,17a)의 선단 사이에 가로걸쳐져 연결되면서 대략 차체 폭방향을 따라 나란한 상태로 설치된다. The front structure 18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structure 18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vehicle body width direction while being horizontally connected between the front ends of the side structures 17a and 17a.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서브 프레임에서 돌출형 서브 프레임의 제작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abricating a protruding subframe in a front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돌출형 서브 프레임(16)에 전방 구조물 연결부(15a,15b)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As shown in FIG. 3, the process of forming the front structure connecting portions 15a and 15b in the protruding sub-frame 16 is shown here.

예를 들면, 상기 돌출형 서브 프레임(16)의 선단부 양편에 각각 로워암 "A"점(미도시)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용 홀 역할을 하는 대나무 타입 파이프(20)가 각각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대나무 타입 파이프(20)를 내측으로 수용하는 전방 구조물 연결부(15a,15b)가 그 후단을 통해 돌출형 서브 프레임(16)측에 연결 고정된다. For example, a bamboo type pipe 20 serving as an assembly hole for assembling lower arm "A" points (not shown) is provided on each of both ends of the protruding sub frame 16, Front structure connecting portions 15a and 15b for receiving the bamboo type pipe 20 inside are fixed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protruding sub frame 16 through the rear end thereof.

이때의 전방 구조물 연결부(15a,15b)는 박스형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서, 하판 등이 초강력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front structure connecting portions 15a and 15b have a box-shaped cross-section, so that a bottom plate or the like can be made of super strong steel.

그리고, 상기 전방 구조물 연결부(15a,15b)의 내부에 위치되는 대나무 타입 파이프(20)의 선단부, 즉 비스듬히 경사지게 깍인 형태의 선단부는 전방 구조물 연결부(15a,15b)의 측면을 통해 노출되고, 이렇게 노출되는 선단부를 이용하여 로워암 "A"점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amboo-type pipe 20 located inside the front structure connection portions 15a and 15b, that is,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obliquely sloped shape is exposed through the side surfaces of the front structure connection portions 15a and 15b, The lower arm "A "

여기서, 상기 대나무 타입 파이프(20)는 돌출형 서브 프레임(16)의 선단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자세를 취하게 되고, 상기 전방 구조물 연결부(15a,15b)의 경우 외측으로 일정각도 벌어진 상태의 자세를 취하게 되므로, 대나무 타입 파이프(20)의 선단부가 전방 구조물 연결부(15a,15b)의 측면으로 자연스럽게 노출될 수 있게 된다. The bamboo-type pipe 20 is vertically extended from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rotruding sub-frame 16, and in the case of the front structure connecting portions 15a and 15b,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bamboo type pipe 20 can be exposed to the side of the front structure connecting portions 15a and 15b naturall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서프 프레임에서 보강 멤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4 is a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reinforcing member in a front surf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경사진 길이구간을 가지는 보강 멤버(22)를 적용한 예를 보여준다. As shown in Fig. 4, here, an example in which a reinforcing member 22 having an inclined length section is applied is shown.

상기 보강 멤버(22)는 사이드 멤버(12)의 바깥쪽에 배치되면서 범퍼 백빔(10)와 휀더 에이프런(11)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이와 함께 보강 멤버(22)의 선단부 하단은 전방 구조물(19)의 사이드 구조물(17a,17b) 선단부 상면에 연결 설치된다. The reinforcing member 22 is disposed outside the side member 12 and connected between the bumper back beam 10 and the fender apron 11 while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member 22 is connected to the front structure 19, The side structures 17a and 17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렇게 설치되는 보강 멤버(22)로 인해 휀더 에이프런에서 사이드 멤버가 연결되는 부위의 강성이 강화될 수 있게 된다. The stiffening member 22 thus installed can strengthen the stiff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side member is connected at the fender apron.

특히, 상기 보강 멤버(22)의 경우 프레임 구조물(13)의 사이드 멤버(12)와 일부 길이구간에서 나란하게 접합되면서 사이드 멤버(12)와 함께 이중 박스형 단면을 형성함으로써, 전방 구조물과 사이드 멤버 전방부위의 강성이 강화될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reinforcement member 22, by forming the double box-shaped cross-section together with the side member 12 while being joined in parallel with the side member 12 of the frame structure 13 in a part of the longitudinal section, The rigidity of the region can be enhanced.

이와 같이, 차체의 기본 골격 구조에 돌출형 전방 구조물과 보강 멤버를 적용함으로써, 충돌 성능 및 골격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Thus, by applying the protruding front structure and the reinforcing member to the basic skeleton structure of the vehicle body, the collision performance and the skeletal rigidity can be increas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서브 프레임에서 기존 구조와 개선 구조의 갭 확보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FIG. 5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securing a gap between an existing structure and an improved structure in a front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구조물(19)에 있는 사이드 구조물(17a,17b)의 전개 방향을 외측으로 확대한 구조(개선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기존 구조에 비해 보다 확장된 엔진룸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5, by implementing a structure (improved structure) in which the deploying direction of the side structures 17a and 17b in the front structure 19 is enlarged outward, a more extended engine room space .

예를 들면, 전방 엔진룸 공간의 경우 98mm 정도의 확대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후방 엔진룸 공간의 경우 43mm 정도의 확대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ront engine room, an enlarged space of about 98 mm can be ensured, and in a rear engine room, an enlarged space of about 43 mm can be secured.

이렇게 확대된 엔진룸 공간의 확보로 엔진, 파워트레인 등의 탑재 시 여유공간을 둘 수 있고, 결국 엔진룸 레이아웃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This enlargement of the engine room space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 space for mounting an engine, a power train, and the like, and as a result, the degree of freedom of engine room layout design can be increas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서브 프레임에서 엔진 탑재 시 갭 확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p is ensured when the engine is mounted in a front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구조물(19)의 양쪽 사이드 구조물(17a,17b)을 외측으로 확대하여 다양한 엔진이나 파워트레인 등의 탑재 시 갭(점선 원 부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기존 파워트레인을 변경하지 않고도 갭 확보가 가능하며, 따라서 기 양산 차종의 활용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It is possible to enlarge the side structures 17a and 17b of the front structure 19 outward to secure a gap (dotted circle) when mounting various engines or power trains, as shown in Fig. 6, It is possible to secure a gap without changing the train, and thu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of utilization of the mass-produced vehicl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서브 프레임에 대한 정면 신차 안전도 평가 해석을 나타내는 그래프 및 시뮬레이션 사진이다. FIG. 7 is a graph and a simulation image illustrating a frontal new-vehicle safety evaluation analysis for a front sub-fra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론트 서브 프레임을 갖춘 신차에 대한 정면 충돌 및 옵셋 충돌 시의 결과는 아래의 표 1의 검토3안(본 발명)에서 볼 수 있듯이 북미 정면 NCAP 차량 펄스가혹도가 3.8% 개선(60.1%→56.3%) 및 최대 펄스 7G 감소(54G→47G) 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IIHS 옵셋 충돌 시 차체 변형량이 11mm 개선(107mm→96mm)된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results of frontal collision and offset collision for a new vehicle equipped with a front sub-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able 3 below. (60.1% → 56.3%) and maximum pulse 7G reduction (54G → 47G), and that the IIHS offset collision improved the car body deformation by 11mm (107mm → 96mm).

구분division 베이스Base 검토1안Review 1 plan 검토2안Review 2 검토3안Review 3 정면face RTE(%)RTE (%) 60.160.1 56.356.3 54.854.8 56.356.3 디핑(mm)Dipping (mm) 6666 7373 7272 6868 옵셋Offset 변형(mm)Deformation (mm) 107107 123123 121121 9696 중량weight 기준standard +7.5kg+ 7.5kg +6.7kg+ 6.7kg +6.0kg+ 6.0kg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돌출형 구조의 서브 프레임측에서 연장되는 전방 구조물, 차체 연결 강화 구조를 위한 보강 멤버 등을 적용함으로써, 신차 안전도 평가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차체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엔진룸의 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front structure extending on the side of the subframe of the protruding structure, the reinforcing member for the body connection strengthening structure, etc.,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body rigidity capable of positively responding to the evaluation of the safety degree of the new vehicle, The space of the room can be maximized.

10 : 범퍼 백빔 11 : 휀더 에이프런
12 : 사이드 멤버 13 : 프레임 구조물
14 : 프론트 서브 프레임 15a,15b : 전방 구조물 연결부
16 : 돌출형 서브 프레임 17a,17b : 사이드 구조물
18 : 프론트 구조물 19 : 전방 구조물
20 : 대나무 타입 파이프 21 : 차체측 연결부
22 : 보강 멤버
10: Bumper back beam 11: Fender apron
12: side member 13: frame structure
14: Front subframe 15a, 15b: Front structure connection
16: protruding sub frame 17a, 17b: side structure
18: Front structure 19: Front structure
20: Bamboo type pipe 21: Body side connection part
22: Reinforced member

Claims (5)

전방의 범퍼 백빔(10)과 후방의 휀더 에이프런(11), 그리고 상기 범퍼 백빔(10)과 휀더 에이프런(11) 사이에 연결되는 양쪽의 사이드 멤버(12)로 구성되는 프레임 구조물(13)의 하부를 지지하는 프론트 서브 프레임(14)으로서,
상기 프론트 서브 프레임(14)은 프레임 구조물(13)측에 연결 지지되면서 선단부 양편에서 돌출 형성되는 전방 구조물 연결부(15a,15b)를 가지는 돌출형 서브 프레임(16)과, 상기 돌출형 서브 프레임(16)의 전방 구조물 연결부(15a,15b)에 후단 지지됨과 더불어 전개 방향이 앞쪽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대되는 형태의 사이드 구조물(17a,17b)과 상기 양쪽의 사이드 구조물(17a,17a)의 선단 사이에 가로걸쳐 연결되는 프론트 구조물(18)로 구성되는 전방 구조물(1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의 프론트 서브 프레임.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structure 13 constituted by the front bumper back beam 10 and the rear fender apron 11 and both side members 12 connected between the bumper back beam 10 and the fender apron 11 A front sub-frame 14 for supporting the front sub-
The front sub-frame 14 includes a protruding sub-frame 16 having front structure connecting portions 15a and 15b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front en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rame 13, Side structures 17a and 17b of the side structure 17a and 17b that are extend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extend outward toward the front and the front ends of the side structures 17a and 17b exten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front structure (19) composed of a front structure (18) connected to the front structure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서브 프레임(16)의 양쪽의 전방 구조물 연결부(15a,15b)는 대나무 타입 파이프(20)를 내장하고 있는 사각 튜브 형태로서, 일정각도 외측으로 벌어진 자세로 형성되고, 상기 대나무 타입 파이프(20)의 선단에는 로워암 "A"점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의 프론트 서브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structure connection portions 15a and 15b on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sub frame 16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tube having the bamboo type pipe 20 therein, 20) is assembled to the front end of the lower sub-frame of the automobile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13)에 있는 사이드 멤버(12)의 바깥쪽으로 배치되면서 범퍼 백빔(10)와 휀더 에이프런(11) 사이에 연결 설치됨과 더불어 선단부 하단을 통해 프론트 서브 프레임(14)의 전방 구조물(19)에 연결되어 차체 연결을 강화해주는 박스형 단면구조의 양쪽의 보강 멤버(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의 프론트 서브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structure of the front subframe 14 is connected to the fender apron 11 via the bottom end of the fender apron 11 while being disposed outside the side member 12 of the frame structure 13, And a reinforcing member (22) of a box-like cross-sectional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connection of the vehicle bod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 멤버(22)는 프레임 구조물(13)의 사이드 멤버(12)와 일부 길이구간에서 나란하게 접합되면서 사이드 멤버(12)와 함께 이중 박스형 단면을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의 프론트 서브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member (22) is joined to the side member (12) of the frame structure (13) in parallel with the side member (12) Subfram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양쪽의 보강 멤버(22)는 길이를 기준할 때 직선 형태, 수직절곡구간을 갖는 형태, 경사진 구간을 갖는 형태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고, 좌우 대칭 또는 좌우 비대칭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의 프론트 서브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s (22) of both sides are formed in one of a shape having a linear shape, a shape having a vertical bending section and a sloping section with respect to a length, and being installed in a symmetrical manner or asymmetric shape Lt; / RTI >
KR1020140030015A 2014-03-14 2014-03-14 Front subframe for car body KR1015754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015A KR101575460B1 (en) 2014-03-14 2014-03-14 Front subframe for car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015A KR101575460B1 (en) 2014-03-14 2014-03-14 Front subframe for car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308A true KR20150107308A (en) 2015-09-23
KR101575460B1 KR101575460B1 (en) 2015-12-07

Family

ID=54245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015A KR101575460B1 (en) 2014-03-14 2014-03-14 Front subframe for car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46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1769B2 (en) 2016-06-24 2018-09-11 Hyundai Motor Company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KR20200069873A (en) 2018-12-07 2020-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for eco-friendly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0048B2 (en) 2001-11-19 2007-04-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Body front structure
JP3974567B2 (en) 2003-10-08 2007-09-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Front body structure of automobile
JP5573413B2 (en) * 2010-06-28 2014-08-20 マツダ株式会社 Lower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1769B2 (en) 2016-06-24 2018-09-11 Hyundai Motor Company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KR20200069873A (en) 2018-12-07 2020-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for eco-friendly vehicle
US11242090B2 (en) 2018-12-07 2022-02-08 Hyundai Motor Company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460B1 (en) 201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2975B2 (en) Vehicle skeleton structure
DE102012015615B4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a vehicle
JP4424208B2 (en) Body front structure
JP4751620B2 (en) Body front structure
CN102991584B (en) The Front part body structure of vehicle
JP6527355B2 (en) Body structure
JP7139817B2 (en) Suspension subframe structure
JP5775382B2 (en) Body front structure
CN104290822B (en) The floor structure of automobile
JP6457763B2 (en) Vehicle underfloor frame system
US20110175400A1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2014515331A (en) Body and its use
KR101575460B1 (en) Front subframe for car body
JP2595760B2 (en) Car body structure
JP2008230421A (en) Lower body structure of vehicle
JP2020152153A (en) 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JP2012006513A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JP4729016B2 (en) Auto body structure
JP2021054389A (en) Vehicle body front part structure
JP6052231B2 (en) Vehicle body structure
KR100792874B1 (en) Mounting reinforcement structure for front strut housing part of vehicle
JP2006199172A (en) Car body structure
JP6206303B2 (en) Vehicle frame structure
KR101689581B1 (en)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JP2015054585A (en) Side part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