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120A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 Google Patents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120A
KR20150107120A KR1020140029546A KR20140029546A KR20150107120A KR 20150107120 A KR20150107120 A KR 20150107120A KR 1020140029546 A KR1020140029546 A KR 1020140029546A KR 20140029546 A KR20140029546 A KR 20140029546A KR 20150107120 A KR20150107120 A KR 20150107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body
storage tank
base support
pump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진
김대중
전상언
황정오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7120A/ko
Publication of KR20150107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바닥면의 상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제 2 플레이트 및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중공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바닥면에 세워지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PUMP TOWER BASE SUPPORT OF LNG STORAGE TANK}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운반선의 액화천연가스(LNG) 저장탱크는 대략 -163℃로 냉각된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므로,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되며, 열응력 및 열수축에 강하고, 열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인슐레이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는 탱크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1차방벽, 상부단열보드, 2차방벽 및 하부단열보드를 구비하고, 내부선체(inner hull)와 결합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는 액화천연가스를 로딩(loading) 및 언로딩(unloading) 시키는 펌프타워를 포함한다. 펌프타워는 로딩장치에 연결되어 저장탱크 내부로 액화천연가스를 유입시키기 위한 충전파이프(Filling pipe), 언로딩장치에 연결되어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유출시키기 위한 방출 파이프(discharge pipe) 등 다양한 부속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펌프타워의 파이프는 트러스(truss) 구조의 파이프 구조물 형태로 제공된다.
펌프타워는 통상적으로 선미 쪽의 격벽(Bulkhead)에 가깝게 설치되고, 리퀴드돔(Liquid dome)에 고정된 상태에서 저장탱크 바닥에 마련된 베이스서포트(Base support) 구조체에 의해 지지된다. 펌프타워의 설치과정은 펌프타워의 탑재 이전에 베이스서포트를 설치하고, 단열방벽 작업을 수행한 이후, 베이스서포트와 펌프타워의 하부를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경우, 베이스서포트는 상부 측에 배치되는 원통형 성형물과, 상기 원통형 성형물 하부로부터 저장탱크의 내측 바닥면(inner bottom wall)까지 이어지는 콘형 성형물로 구성되었다. 상기 콘형 성형물은 저장탱크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1차방벽의 상측 일정부분까지 직경이 점점 줄어드는 형상(하부의 직경이 더 큰 콘형)이다.
위와 같은 콘형 성형물의 경우, 펌프타워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 있어서 구조적인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원통형 성형물과 콘형 성형물은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데, 펌프타워의 하중 및 시간의 경과에 따라 용접피로가 접합 부위에 누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원통형 성형물과 콘형 성형물을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는 기술적으로 매우 복잡한 작업이고, 또 제작 후 설치 및 관리 역시 어렵다.
따라서, 구조적 안정성을 보장하면서도, 제작,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3003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작,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바닥면의 상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제 2 플레이트 및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중공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바닥면에 세워지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과 제 1 플레이트 사이 및/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강대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보강대는 상기 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대의 상단부 및 하단부 사이의 부분은 만곡 절곡되어 중앙 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본체의 방사방향으로 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대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보강대 각각의 하단부는 상기 본체의 방사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작,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의 정단면도.
도 5는 도 4의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를 도 4의 A-A선을 따라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이하, 베이스서포트)(100)의 사시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1의 경우, 베이스서포트(100)의 내부 구성을 표현하기 위해 베이스서포트(100)를 z 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것이다. x 방향은 원통 형상인 본체(130)의 방사방향, y 방향은 본체(130)의 원주방향, z 방향은 본체(130)의 길이방향을 가리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서포트(100)는 제 1 플레이트(110), 제 2 플레이트(120) 및 본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베이스서포트(100)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 내부 바닥면(2)에 설치될 수 있고, 펌프타워(미도시)는 베이스서포트(100) 상에 설치되어 베이스서포트(100)에 의해 지지 받을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110)는 저장탱크(1) 내부 바닥면(2)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120)는 제 1 플레이트(120)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130)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서 제 1 및 2 플레이트(110, 120)를 관통하여 그 하단부가 저장탱크(1) 바닥면(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장탱크(1)에는 단열방벽층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방벽층은 저장탱크(1)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1차방벽, 1차단열보드, 2차방벽 및 2차단열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방벽층의 구성과 베이스서포트(100)의 구성 간의 관계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및 2 플레이트(110, 12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형의 판상 부재일 수 있다. 그러나, 제 1 및 2 플레이트(110, 120)의 형상이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130)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형 부재일 수도 있다. 제 1 및 2 플레이트(110, 120)가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형의 판상 부재인 경우의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서포트(100)의 설치 과정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체(130)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바닥면(2)과 제 1 플레이트(110) 사이 및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 사이에 대응되는 공간에는 강화 폼(foam)이 충진될 수 있다. 강화 폼은 단열 성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글라스 울(glass wo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120)는 primary level, 제 1 플레이트(110)는 secondary level로 불리기도 한다.
본체(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중공 원통 형상으로서, 하나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130)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바닥면(2)과 제 1 플레이트(110) 사이,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 사이 및 제 2 플레이트(120) 상부에 각각 제공한 후 이들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는 것이 아니라, 바닥면(2)에서 제 2 플레이트(120)의 상부까지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높이의 원통 부재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본체(130)는 제 1 및 2 플레이트(110, 120)를 관통하여 저장탱크(1)의 바닥면(2)에 세워질 수 있다. 펌프타워는 이러한 본체(130) 상에 설치되어 지지 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1 및 2 플레이트(110, 120)가 사각형의 판상 부재인 경우, 제 1 및 2 플레이트(110, 120)는 각각 두 부분으로 나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2 플레이트(110, 120)는 본체(130) 내부에 해당하는 부분과 본체(130) 외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나뉠 수 있고, 본체(130) 내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원판형 부재일 수 있으며, 본체(130) 외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중앙부에 원형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판상 부재일 수 있다.
먼저 본체(130)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후, 제 1 및 2 플레이트(110, 120)의 본체(130) 외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본체(13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110)의 본체(130) 외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본체(130)의 기설정된 높이 지점의 외주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접하는 부위에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제 2 플레이트(120)의 본체(130) 외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같은 방식으로 본체(130)에 끼워져 본체(130)의 기설정된 높이 지점의 외주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접하는 부위에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및 2 플레이트(110, 120) 중 본체(130) 내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110)의 본체(130) 내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본체(130)의 기설정된 높이 지점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접하는 부위에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제 2 플레이트(120)의 본체(130) 내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같은 방식으로 본체(130) 내부에 삽입되어 본체(130)의 기설정된 높이 지점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접하는 부위에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제 1 및 2 플레이트(110, 120)의 본체(130) 외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본체(130) 내부에 해당하는 부분보다 먼저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제 1 및 2 플레이트(110, 120)의 본체(130) 내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먼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위에서는 상대적으로 아래에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110)를 제 2 플레이트(120) 보다 먼저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작업 환경 등에 따라 제 2 플레이트(120)를 제 1 플레이트(110) 보다 먼저 제공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 1 및 2 플레이트(110, 120)의 본체(130) 외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중앙부에 원형 개구부가 형성된 원판형 부재일 수도 있다. 한편, 본체(130)의 상부 내측면에는 링 형상의 보조지지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2 개의 보조지지부(131)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이러한 보조지지부(131)는 본체(130)의 내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거나, 제작 당시부터 본체(130)와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30)는 직경의 변화가 없는 원통 형상이기 때문에, 본체(130) 상에 설치되는 펌프타워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130)는 최초 제작 단계부터 일체형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작 및 설치가 편리하고, 유지보수 등의 관리 역시 용이하다.
한편, 제 2 플레이트(120)는 1차방벽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1차방벽은 액화천연가스와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 높은 기밀성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극저온의 액화천연가스와 접할 때 열수축에 따른 열응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낮은 면강성(in-plane stiffness)을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1차방벽의 상면에는 주름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주름부는 열수축 발생 시 일정량 변형됨으로써 열응력을 줄여줄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110)는 2차방벽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2차방벽은 예컨대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황동, 아연 등의 금속재료로 제작된 복수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금속시트와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포함하는 복합재료시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30)의 외측 영역에 있어서,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 사이의 공간에는 1차단열보드가, 제 1 플레이트(110)와 바닥면(2) 사이의 공간에는 2차단열보드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1차단열보드 및 2차단열보드는 각각 상부보호판, 단열부재 및 하부보호판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재질은 1차단열보드와 2차단열보드에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보호판과 하부보호판은 플라이우드(plywood) 등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고, 단열부재는 폴리우레탄폼(PUF)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체(130)는 1차단열보드 및 2차단열보드와 직접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30)와 2차단열보드 사이에는 복수의 단열블록 형태로 마련된 단열층이 개재될 수 있다. 단열층은 예컨대 플라이우드, 우든박스(wooden box)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제 1 및 2 플레이트(110, 120)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111, 1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단차부(111, 121)에 의해 제 1 및 2 플레이트(110, 120)의 두께는 본체(130)의 방사방향으로 갈수록 얇아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차부(111, 121)를 기준으로 제 1 및 2 플레이트(110, 120)의 본체(130)와 더 인접한 구간의 두께는 본체(130)로부터 더 이격된 구간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단차부(111, 121)에 1차 방벽 또는 2차 방벽의 일단부가 배치될 수 있고, 이어서 용접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본체(130)에는 본체(130)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30)의 바닥면(2)과 제 1 플레이트(110)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본체(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 1 홀(140)이 형성될 수 있고, 본체(130)의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본체(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 2 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베이스서포트(100) 내의 압력과 1차/2차 단열공간 내의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제 1 홀(140)은 베이스서포트(100)의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제 1 홀(140)과 제 2 홀(150)은 본체(130)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홀(140)과 제 2 홀(150)은 본체(130)의 길이방향의 하나의 선(line)을 따라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체(130)의 제 2 플레이트(120) 상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 3 홀(16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홀(160)을 이용하여 1차방벽이 설치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엔드 주름부(end corrugation)의 설치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서포트(200)의 사시도 및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서포트(200)를 도 4의 A-A선을 따라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서포트(200)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대(260 내지 2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강대(260)를 중심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내용들은 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강대(260 내지 265)는 본체(230)의 외주면에 접하여 본체(230)를 본체(230) 내측을 향해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강대(260 내지 265)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바닥면(2)과 제 1 플레이트(210) 사이 및/또는 제 1 플레이트(210)와 제 2 플레이트(22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면(2)과 제 1 플레이트(210) 사이에 4개, 제 1 플레이트(210)와 제 2 플레이트(220) 사이에 4개의 보강대가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보강대(260 내지 265)의 하단부 및 상단부는 바닥면(2) 및 제 1 플레이트(210)에 각각 접하거나, 제 1 플레이트(210) 및 제 2 플레이트(220)에 각각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복수의 보강대(260 내지 265) 중 하나의 보강대(260)를 특정하여 설명하면, 보강대(260)의 상단부(260a)는 제 1 플레이트(210)의 하면에, 하단부(260b)는 바닥면(2) 상에 각각 접하며, 보강대(260)의 일측면은 본체(130)의 외주면에 접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대(260)는 제 1 플레이트(210)의 배치 전에 바닥면(2) 상에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제 1 플레이트(210)의 배치 후에 바닥면(2)과 제 1 플레이트(210) 사이에 끼워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보강대(260)의 구조로 인해 베이스서포트(200)의 전체 구조적 안정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보강대(260 내지 265)는 본체(230)의 외주면에 본체(2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보강대(262 내지 265)는 본체(2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보강대(262 내지 265) 간의 간격이 일정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5에서의 보강대(262 내지 265) 각각의 폭을 증가시켜 도 5에서 볼 수 있는 평면 모습이 부채꼴 형상이도록 할 수 있고, 그 폭의 증가 정도에 따라 4 개의 보강대(262 내지 265)는 상호 접하여 본체(230)의 외주면 전체를 감쌀 수도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보강대(260)의 상단부(260a)보다 하단부(260b)의 길이가 더 클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강대(260)의 하단부(260b)는 상단부(260a)보다 본체(230)로부터 본체(230)의 방사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보강대(260) 자체 및 베이스서포트(200)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대(260)의 상단부(260a) 및 하단부(260b) 사이의 부분(260c)은 본체(230) 측으로 만곡 절곡되어, 보강대(260)의 중앙 지점으로 갈수록 보강대(260)는 본체(230)로부터 본체(230)의 방사방향으로 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보강대(260)의 상단부(260a) 및 하단부(260b) 사이의 부분(260c)은 본체(260)의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어 보강대(260)의 중앙 지점으로 갈수록 보강대(260)는 본체(230)로부터 본체(230)의 방사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보강대(260)의 상단부(260a) 및 하단부(260b) 사이의 부분(260c)은 만곡되지 않도록 제공되어 보강대(260)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2)과 제 1 플레이트(210) 사이 및 제 1 플레이트(210)와 제 2 플레이트(220) 사이 모두에 보강대(260, 262)가 제공될 수 있고, 이들 보강대(260, 262)는 본체(230)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아래쪽의 보강대(260)의 상단부(260a)와 위쪽의 보강대(262)의 하단부(262b)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아래쪽의 보강대(260)의 상단부(260a)와 위쪽의 보강대(262)의 하단부(262b)는 본체(230)의 방사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위로부터 제 2 플레이트(220), 제 1 플레이트(210) 및 바닥면(2)으로 이어지는 지지 구조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제 1 플레이트(210)의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보강대(260)의 본체(230) 측 일측면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 부분은 본체(230) 반대 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모서리 부분은 바닥면(2), 제 1 플레이트(210)와 직접 접하지 않게 되어 여유공간(2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여유공간(270)의 형성으로 인하여 바닥면(2), 본체(230), 제 1 및 2 플레이트(210, 220)의 연결에 사용될 수 있는 용접 비드와의 간섭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2: 바닥면
100, 200: 베이스서포트 110, 210: 제 1 플레이트
120, 220: 제 2 플레이트 130, 230: 본체
111, 121: 단차부 131, 231: 보조지지부
140, 240: 제 1 홀 150, 250: 제 2 홀
160, 260: 제 3 홀 260-265: 보강대

Claims (5)

  1.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바닥면의 상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제 2 플레이트; 및
    일체로 형성된 중공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바닥면에 세워지는 본체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과 제 1 플레이트 사이 및/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보강대는 상기 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의 상단부 및 하단부 사이의 부분은 만곡 절곡되어 중앙 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본체의 방사방향으로 덜 돌출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보강대 각각의 하단부는 상기 본체의 방사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돌출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KR1020140029546A 2014-03-13 2014-03-13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KR20150107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546A KR20150107120A (ko) 2014-03-13 2014-03-13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546A KR20150107120A (ko) 2014-03-13 2014-03-13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120A true KR20150107120A (ko) 2015-09-23

Family

ID=5424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546A KR20150107120A (ko) 2014-03-13 2014-03-13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71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990A (ko) * 2016-11-04 2018-05-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저장 탱크의 펌프 타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990A (ko) * 2016-11-04 2018-05-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저장 탱크의 펌프 타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643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보강구조
KR101444342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구조체
KR20160119343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가스 배출방법
KR10145563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101276128B1 (ko) 펌프타워의 베이스 지지대 설치 구조
KR101805667B1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101523906B1 (ko) 베이스서포트와 화물창 단열방벽 간의 연결구조체
US10480714B2 (en) Low temperature liquid tank
KR101337637B1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101444313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구조체
KR20150107120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KR20120136320A (ko) 베이스서포트 구조체와 저장탱크 단열방벽 간의 연결구조체
KR10168650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1571425B1 (ko) 화물창용 베이스서포트
KR101739463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2490346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분리 구조형 펌프 타워 베이스 서포트
KR102490348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펌프 타워 베이스 서포트
KR101337630B1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102050940B1 (ko) 족장장치
KR101985214B1 (ko) 카고탱크 구조체 및 카고탱크 구조체의 설치방법
KR101310967B1 (ko) 펌프타워의 베이스 지지대 설치 구조
KR101732568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체 및 그 제작방법
KR20190071181A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및 그 단열시스템의 멤브레인 배치구조
KR101644374B1 (ko) 액화가스 단열구조체의 고정지지구
KR101741633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펌프타워 지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