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907A - 재획득 절차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재획득 절차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907A
KR20150106907A KR1020157021509A KR20157021509A KR20150106907A KR 20150106907 A KR20150106907 A KR 20150106907A KR 1020157021509 A KR1020157021509 A KR 1020157021509A KR 20157021509 A KR20157021509 A KR 20157021509A KR 20150106907 A KR20150106907 A KR 20150106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quisition
optimized
duration
length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벤카타 시바 프라사드 구데
데베쉬 쿠마르 사후
자가디쉬와르 닐라
조지 체리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06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5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 H04W76/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7Efficiency-related aspects
    • H04B2201/7071Efficiency-related aspects with dynamic control of receiver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액세스 단말기들은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에 대해 재획득 절차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 따르면, 액세스 단말기는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그 다음,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액세스 단말기는,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가 획득될 때까지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시간의 길이를 증분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액세스 단말기는, 최적화된 수의 저장된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이 획득될 때까지, 저장되는 의사랜덤 잡음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의 수를 증분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의 각각의 어웨이크 상태 동안 저장될 최적화된 수의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양태들, 실시형태들, 및 특징들이 또한 포함된다.

Description

재획득 절차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REACQUISITION PROCEDURES}
이 특허 출원에서 개시된 기술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고,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 (slotted idle mode) 에서 동작하는 액세스 단말들 (access terminals) 에 대한 재획득 절차들 (reacquisition procedures) 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들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널리 사용된다. 이들 시스템은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유형들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다수의 디바이스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 (예를 들어, 시간, 주파수, 및 전력) 을 공유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 (CDMA) 시스템, 시분할 다중 접속 (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FDMA) 시스템들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OF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액세스 단말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일부 액세스 단말들은 정지형일 수도 있거나, 또는 머신-투-머신 (machine-to-machine; M2M) 통신들 (또한 때로는 머신-타입 통신 또는 MTC 라 지칭된다) 에 대해 구성된 액세스 단말들과 같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정지형일 수도 있다. M2M 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사용자 상호작용 (interaction) 없이도 동작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단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M2M 구성된 액세스 단말들은 배터리와 같은 제한된 전력 소스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양태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개요를 제시한다. 이 개요는 본 개시의 고려되는 특징들의 확장적 개관이 아니며, 본 개시의 모든 양태들의 주요한 또는 결정적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고 또한 본 개시의 임의의 또는 모든 양태들의 범위를 기술하려는 의도도 아니다. 개요의 유일한 목적은 나중에 제시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전제부로서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몇몇 개념들을 단순화된 형태로 제시하려는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전력을 절약하고, 액세스 단말기의 제한된 전력 소스의 동작 수명을 연장하는데 도움이 되는 특징들이 유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특징들 및 양태들은 최적화된 슬롯팅된 모드 동작들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액세스 단말기 (access terminal) 에서 전력 절약 (power conservation) 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응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전력 절약형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프로그래밍을 갖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 매체는, 재획득 절차들 (reacquisition procedures) 을 위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체계적으로 (systematically) 조정하도록 프로그래밍 (programming) 을 실행하도록 적응되는 (adapted) 프로세싱 회로와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재획득에서의 조정들 또는 수정들은 감소된 프로세싱으로 이끌 수 있어, 이에 의해, 전력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전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들은, 프로세싱 회로에 커플링된 저장 매체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는 액세스 단말기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는, 초기에, 재획득 주기들 (reacquisition periods) 에 대한 디폴트 지속기간 (default duration) 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후속하여,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최적화된 지속기간을 결정하고, 그 최적화된 지속기간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재획득 절차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추가적인 양태들은, 액세스 단말기들 상에서 동작할 수 있는 방법들 및/또는 이러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들의 하나 이상의 예들은,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 (slotted idle mode) 에서 동작하는 단계, 및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추가적인 양태들은, 액세스 단말기와 같은, 컴퓨터 상에서 동작가능한 프로그래밍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들에 따르면, 이러한 프로그래밍은 컴퓨터로 하여금,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에서 동작하게 하도록 적응될 수도 있다. 이 프로그래밍은, 컴퓨터로 하여금,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최적화된 지속기간 및/또는 재획들 절차들에서 사용할 최적화된 수의 의사랜덤 잡음 (pseudorandom noise;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 (positions) 과 같은,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게 하도록 더 적응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실시형태들이 또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또 다른 방법 실시형태는 슬롯팅된 모드에서 동작하는 액세스 단말기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재획득 윈도우 (reacquisition window) 의 지속기간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재획득 윈도우에 대한 표시된 지속기간과는 상이한 수정된 지속기간을 이용하여 재획득 시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통신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재획득 윈도우의 지속기간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재획득 모듈; 및 최적의 재획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재획득 윈도우를 수정 (modify) 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 특징들, 및 실시형태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의 구체적,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이하의 설명을 검토하면,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이하, '통상의 기술자' 라 함) 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이 이하의 특정 실시형태들 및 모습들에 관해 논의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이로운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이 어떤 이로운 특징들을 갖는 것으로서 논의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라서 사용될 수도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이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방법 실시형태들로서 이하 논의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디바이스, 시스템들, 및 방법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이 애플리케이션을 발견할 수도 있는 네트워크 환경의 블록도이다.
도 2 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도 1 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선택 컴포넌트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액세스 단말기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는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어웨이크 상태들의 반복, 및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에서의 어웨이크 상태들의 일부 특정 양태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 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액세스 단말기의 선택 컴포넌트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재획득 주기들을 체계적으로 감소시키는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액세스 단말기 상에서 동작가능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최적화된 시간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다양한 단계들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연계하여 이하 전개되는 상세한 설명은, 여러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된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개념들 및 특징들이 실시될 수도 있는 구성들만을 나타내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은 여러 개념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 상세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이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음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몇몇 경우들에서, 설명된 개념들 및 특징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잘 알려진 회로, 구조들, 기법들 및 컴포넌트들은 블록도의 형태로 도시된다.
이 개시물 전반에 걸쳐 제시된 여러 개념들은 폭넓은 원격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architectures), 및 통신 표준들에 걸쳐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은 3GPP2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lx 프로토콜들 및 시스템들에 대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며, 관련 용어가 이하의 설명의 많은 부분에서 발견될 수도 있다. 그러나,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물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이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통신 프로토콜 및 시스템들에서 채용되어 포함될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개시물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이 애플리케이션을 발견할 수도 있는 네트워크 환경의 블록도가 도시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102) 및 액세스 단말들 (104) 사이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기지국들 (102) 및 액세스 단말들 (104) 은 무선 신호들을 통해 서로 상호작용 (interact)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이러한 무선 상호작용은 다중 캐리어들 (상이한 주파수들의 파형 신호들) 상에서 일어날 수도 있다. 각 변조된 신호는 제어 정보 (예를 들어, 파일럿 신호들), 오버헤드 정보, 데이터 등을 반송 (carry) 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은 기지국 안테나를 통해 액세스 단말들 (104) 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들 (102) 은 각각,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으로의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 (104) 에 대한) 무선 접속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로서 일반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지국 (102) 은 또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BTS), 라디오 베이스 스테이션, 라디오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 베이직 서비스 셋트 (BSS), 및 확장된 서비스 셋트 (ESS), 노드 B, 펨토 셀, 피코 셀, 또는 몇몇 다른 적합한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은 기지국 제어기 (도 2 를 참조) 의 제어 하에 액세스 단말들 (104) 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기지국 (102) 은 각각의 지리적 영역에 대해 통신 커버리지 (coverage) 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 (102) 에 대한 커버리지 영역 (106) 은 여기에서 셀들 (106-a, 106-b, 또는 106-c) 로서 식별된다. 기지국 (102) 에 대한 커버리지 영역 (106) 은 섹터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커버리지 영역의 일부분만을 구성함) 로 분할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시스템 (100) 은 상이한 타입들의 기지국들 (102) 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 (104) 은 커버리지 영역들 (106) 전반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각각의 액세스 단말 (104) 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102) 과 통신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 (104) 은 무선 신호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을 일반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액세스 단말 (104) 은 또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사용자 장비 (UE), 이동국 (MS),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 스테이션,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몇 다른 적절한 용어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 (104) 은 모바일 단말 및/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고정형인 단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 (104) 의 예들은 모바일 폰, 페이저, 무선 모뎀,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개인 정보 매니저 (PIM), 퍼스널 미디어 플레이어, 팜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텔레비전, 애플리언스, e-리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DVR), 미터,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센서, 컴퓨팅 디바이스, 전기 디바이스, 머신-투-머신 (M2M)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다른 통신/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도 2 로 가면,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선택 컴포넌트들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적어도 일 예에 따라 나타내어진다. 예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102) 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202) 의 적어도 일부분으로서 포함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202) 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 (104) 과, 하나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 이를 테면, 코어 네트워크 (204) 에 포함된 네트워크 엔티티들 사이의 트래픽 (traffic) 및 시그널링 (signaling) 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202) 는 다양한 구현형태들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기지국 서브시스템 (BSS), 액세스 네트워크, GSM 에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GERAN), UTRAN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102) 에 더하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202) 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RNC) 로서 또한 지칭될 수도 있는 기지국 제어기 (BSC) (206) 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제어기 (206) 는 일반적으로 기지국 제어기 (206) 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102) 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들 내에서의 무선 접속들의 확립, 해제, 및 유지를 일반적으로 담당한다. 기지국 제어기 (206) 는 코어 네트워크 (204) 의 하나 이상의 노드들 또는 엔티티들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204) 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202) 를 통하여 접속된 액세스 단말들 (104) 에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일부이다. 코어 네트워크 (204) 는 CS (circuit-switched) 도메인 및 PS (packet-switched) 도메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회선 교환 엔티티들의 일부 예들은 MSC/VLR (208) 로서 식별되는 모바일 스위칭 센터 (MSC) 및 비지터 로케이션 레지스터 (VLR) 뿐만 아니라 게이트웨이 MSC (GMSC) (210) 를 포함한다. 패킷 교환 엘리먼트들의 일부 예들은 서빙 GPRS 서포트 노드 (SGSN) (212) 및 게이트웨이 GPRS 서포트 노드 (GGSN) (214) 를 포함한다.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 이를 테면, EIR, HLR, VLR 및/또는 AuC 가 포함될 수도 있고,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 도메인들 양쪽 모두에 의해 공유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 (104) 은 회선 교환 도메인을 통한 공중 교환 전화망 (PSTN) (216) 에 대한 액세스 그리고 패킷 교환 도메인을 통한 IP 네트워크 (218) 에 대한 액세스를 획득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들 (104) 은 액세스 단말 (104) 과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 (예를 들어, 기지국 (102), 기지국 제어기 (206)) 사이에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해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처를 통상적으로 채용한다. 프로토콜 스택은 일반적으로, 계층들이 그들의 수치 지정의 순서로 표현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을 위한 계층화된 아키텍처의 개념적 모델을 포함하고, 여기서, 전송된 데이터는 그들의 표현 순서대로, 각 계층에 의해 순차적으로 프로세싱된다. 그래픽적으로, "스택 (stack)" 은 통상적으로 수직적으로 나타나고, 최저 수치 지정을 갖는 계층이 베이스에 나타난다. 도 3 은 액세스 단말 (104)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는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처는 도 3 에서 일반적으로 3 개의 계층들: 계층 1 (L1), 계층 2 (L2), 및 계층 3 (L3) 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계층 1 (302) 은 최저 계층이고, 다양한 물리 계층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계층 1 (302) 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물리 계층 (302) 으로서 지칭된다. 물리 계층 (302) 은 액세스 단말 (104) 과 기지국 (102) 사이의 무선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을 제공한다.
계층 2 (또는 "L2 계층") 으로 불리는,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 (302) 위에 있고, 계층 3 에 의해 생성된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달 (delivery) 을 담당한다. L2 계층 (304) 은 물리 계층 (302) 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들을 이용한다. L2 계층 (304) 은 2 개의 서브레이어들 (sublayers): 매체 액세스 제어 (MAC) 서브레이어 (306), 및 링크 액세스 제어 (LAC) 서브레이어 (30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MAC 서브레이어 (306) 는 L2 계층 (304) 의 하위 서브레이어이다. MAC 서브레이어 (306) 는 매체 액세스 프로토콜을 구현하고, 물리 계층 (302) 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들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들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전송을 담당한다. MAC 서브레이어 (306) 는 상위 계층들로부터 공유된 에어 인터페이스로의 데이터의 액세스를 관리할 수도 있다.
LAC 서브레이어 (308) 는 L2 계층 (304) 의 상위 서브레이어이다. LAC 서브레이어 (308) 는 계층 3 에서 생성된 시그널링 메시지들의 정확한 전송 및 전달을 제공하는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LAC 서브레이어는 하위 계층들 (예컨대, 계층 1 및 MAC 서브레이어) 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들을 이용한다.
상위 계층 또는 L3 계층이라고도 불리는, 계층 3 (310) 은 기지국 (102) 과 액세스 단말 (104)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의 시맨틱들 (semantics) 및 타이밍에 따라 시그너링 메시지들을 발신 및 종결한다. L3 계층 (310) 은 L2 계층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들을 이용한다. 정보 (데이터 및 음성 양자) 메시지가 또한 L3 계층 (310) 을 통해 패스된다.
액세스 단말 (104) 이 시스템 (100) 내에서 동작함에 따라, 액세스 단말 (104) 은 전용 모드 (dedicated mode) 및 아이들 모드(idle mode) 를 포함하는 다양한 모드들의 동작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전용 모드에서, 액세스 단말 (104) 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예컨대, 도 1 에서의 기지국들 (102)) 과 데이터 (예컨대, 음성 또는 데이터 호들 (calls) 또는 세션들 (sessions)) 를 활발하게 교환할 수도 있다. 아이들 모드에서, 액세스 단말 (104) 은 메시지들을 페이징하기 위한 페이징 채널 (PCH) 과 같은 제어 채너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페이징 메시지들은 액세스 단말 (104) 에 착신 음성 또는 데이터 호의 발생을 경보하는 메시지들, 및 시스템 정보 및 액세스 단말 (104) 을 위한 다른 정보를 반송하는 제어/오버헤드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CDMA 2000 1x 라고도 지칭되는, 3GPP2 1x 프로토콜들 및 기술들을 채용하는 구현형태들에서, 일부 제어/오버헤드 메시지들은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 (SPM), 확장된 시스템 파라미터들 메시지 (ESPM), 액세스 파라미터들 메시지 (APM)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아이들 모드에서 동작할 때, 페이징 메시지들은 지정된 시간 간격들로 액세스 단말 (104) 로 페이징 채널 (paging channel) 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페이징 채널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대신에, 액세스 단말 (104) 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불연속적 수신 모드 또는 DRX 모드로 또한 지칭될 수도 있는,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에서 페이징 채널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해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에서, 액세스 단말 (104) 은 알려진 시간 간격들에서 "슬립 (sleep)" 상태로부터 웨이크업하여 "어웨이크 (awake)" 상태에 진입하고 메시지들을 위해 페이징 채널을 프로세싱한다. 추가적인 통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액세스 단말 (104) 은 다음 지정된 시간까지 슬립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4 는 적어도 일 예에 따른,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에서 어웨이크 상태들의 몇몇 특정 양태들 및 어웨이크 상태들의 반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 (104) 은 미리결정된 간격들로 어웨이크 상태들 (400) 에 주기적으로 (periodically) 진입한다. 각 어웨이크 상태 (400) 의 시작 시에, 그리고, 페이징 채널 (PCH) 상에서 송신물들이 예상되는 시간 이전에, 액세스 단말 (104) 은 웨이크업하여 웜업 주기 (402) 에 진입한다. 웜업 주기 (402) 동안, 액세스 단말 (104) 은 하나 이상의 수신기 컴포넌트들을 워밍업 (예컨대, 파워온) 하는 것을 시작한다. 웜업 주기 (402) 에 이어, 액세스 단말 (104) 은, 액세스 단말 (104) 이 적합한 파일럿 신호를 획득하는 재획득 주기 (reacquisition period) (404) 에 진입한다. 적합한 파일럿이 발견된 후에 그리고 슬롯의 시작을 나타내는 슬롯 경계에 이어, 액세스 단말 (104) 은 슬롯 (406) 동안 페이징 채널 (PCH) 을 통해 송신물들 (transmissions) (예컨대, 일반적인 페이지 메시지들) 을 수신할 수 있다.
재획득 주기 (404) 동안, 액세스 단말 (104) 은 일반적으로, 적합한 파일럿 신호를 발견하기 위해 그것의 활성 셋트 및 그것의 이웃 (neighbor) 셋트에서 식별된 셀들로부터 송신된 파일럿 신호들을 스캔한다. 활성 셋트는 액세스 단말 (104) 의 관점에서 현재 활성인 셀들의 셋트를 지칭한다. 이웃 셋트는 가장 최근의 서빙 셀 (serving cell) 에 이웃하는 셀들의 셋트를 지칭한다. 액세스 단말 (104) 이 재획득 스캔을 위해 채용하는 시간의 지속기간은 통상적으로 활성 셋트 윈도우 (active set window; ASW) 에 의해 정의된다. 활성 셋트 윈도우 (ASW) 의 값은 시스템 파라미터들 메시지와 같은 오버헤드 메시지에서 액세스 단말 (104) 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고, 통상적으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지정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의 Verizon Wireless 에 의해 운용되는 네트워크에서, 활성 윈도우 셋트의 지속기간 (duration) 은 40 칩들이다. 미국에서의 Sprint 에 의해 운용되는 네트워크에서, 활성 셋트 윈도우의 지속기간은 28 칩들이다. 중국에서의 China Telecom 에 의해 운용되는 네트워크에서, 활성 셋트 윈도우의 지속기간은 60 칩들이다. 다른 네트워크들은 여러 ASW 셋팅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ASW 시간 주기들은 저장 매체 (예컨대, 레지스터 또는 메모리의 다른 형태) 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
도 4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재획득 주기 (404) 는 통상적으로, 활성 셋트 윈도우의 지정된 지속기간 (예컨대, 40 칩들, 28 칩들, 60 칩들) 에 따라, 각각의 어웨이크 상태 (400) 에 대해 일정한 지속기간을 유지할 수도 있다. 활성 셋트 윈도우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재획득 주기 (404) 의 지속기간은 액세스 단말 (104) 에서의 전력 소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긴 지속기간은 보다 긴 스캔 및 보다 많은 전력 소모를 초래한다. 역으로, 보다 짧은 지속기간은 보다 짧은 스캔 및 보다 적은 전력 소모를 초래한다. 또한, 보다 긴 지속기간은 액세스 단말 (104) 에 가장 강한 파일럿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보다 긴 시간을 제공하고, 이는 퍼포먼스 (performance) 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광대역 CDMA (WCDMA) 와 같은 다른 시스템들에서, 액세스 단말 (104) 은 파일럿 신호들을 탐색하는 것에 대해 상기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가장 강한 의사랜덤 잡음 (pseudorandom noise; PN) 신호를 탐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 (104) 은 일정한 지속기간의 재획득 주기 (404) 를 이용하여 가장 강한 PN 신호를 탐색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액세스 단말 (104) 은 재획득 절차 동안 그리고 슬립으로 다시 돌아가기 전에 미리정의된 수의 최강 PN 신호들 (예컨대, 4 개의 최강 PN 신호들) 의 PN 포지션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후속하는 어웨이크 상태 (400) 의 재획득 주기 (404) 동안, 액세스 단말 (104) 은 저장된 PN 포지션들에 대한 신호 강도를 추정하고, 저장된 PN 포지션들 중 가장 강한 것에 래치 (latch) 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액세스 단말 (104) 은 정지형 또는 실질적으로 정지형일 수도 있다. 정지형 또는 실질적으로 정지형인 액세스 단말 (104) 의 일 예는, 머신-투-머신 (M2M) 통신들 (또한 때로는 머신-타입 통신 (MTC) 이라고도 지칭됨) 에 대해 구성된 액세스 단말 (104) 을 포함한다. M2M 적응형 액세스 단말 (104) 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사용자 상호작용 없이,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을 통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과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M2M 액세스 단말들 (104) 은,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에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을 통해 중계되는 이벤트를 캡처하도록 구성된 통신 디바이스 (예컨대, 온도를 캡처하기 위한 센서, 재고 수준을 캡처하기 위한 미터)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벤트 데이터는 유의미한 정보 (예컨대, 온도가 하강/상승될 필요성, 아이템들이 보충될 필요성, 디바이스 전력 온/오프 상태들, 전력 사용의 조절 등) 로 전환될 수 있다. M2M 액세스 단말들 (104) 은 때로는 영원히 정적일 수도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M2M 액세스 단말 (104) 은 온도조절장치, 전기 미터, 가스 미터, 물 미터, 스프링클러 시스템, 스마트-미터, 애플리언스, 알람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M2M 액세스 단말들은 이동형일 수 있고, 또는, 이동형 및 정지형 구성들 중 변화하는 교번 상태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정지형 또는 실질적으로 정지형인 액세스 단말들 (104) 은 비교적 확장적인 기간에 걸쳐 동일한 기지국 (102) 또는 기지국들의 그룹 (102) 과 통신할 수 있다. 동일한 기지국(들) (102) 을 이용한 결과로서, 액세스 단말 (104) 은 어느 파일럿 신호(들) (또는 PN 신호(들)) 가 최강일 가능성이 높을 지를 이미 알 수도 있다. 이러한 액세스 단말 (104) 은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수정하기 위한 능력으로부터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 (104) 은, 재획득 주기 (404) 를 보다 짧은 지속기간으로 수정함으로써, 또는, 이전 페이지 슬롯 동안 저장된 PN 들 및 PN 포지션들의 수를 수정함으로써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액세스 단말들은,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의 어웨이크 상태와 연관된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체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전력 절약을 촉진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일부 예들에서, 이들 특징들은 도 3 을 참조하여 상기 언급된 프로토콜 스택의 물리 계층 (302) 에서 채용된 프로그래밍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체계적인 조정들은 동적인 방식으로 초기 ASW 기간으로부터 반복적으로 벗어나는 것 (예를 들어, 반복적인 방식으로 ASW 기간을 증가 또는 감소)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로 가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른 액세스 단말 (500) 의 선택 컴포넌트들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액세스 단말 (500) 은 통신 인터페이스 (504) 및 저장 매체 (506) 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도록 배치되거나 커플링된 프로세싱 회로 (502) 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 (502) 는 데이터를 획득, 프로세싱, 및/또는 전송하고, 데이터 액세스 및 저장을 제어하며, 명령들을 발행하고, 다른 원하는 동작들을 제어하도록 배열된다. 프로세싱 회로 (502) 는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적절한 매체들에 의해 제공된 원하는 프로그래밍을 구현하도록 적응된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 (502)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하나 이상의 제어기들, 및/또는 실행가능 프로그래밍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구조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회로 (502) 의 예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반도체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로직 컴포넌트,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뿐만 아니라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회로 (502) 는 컴퓨팅 컴포넌트들의 조합, 이를 테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ASIC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수의 여러 구성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회로 (502) 의 이들 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다른 적절한 구성들이 또한 고려된다.
프로세싱 회로 (502) 는 프로그래밍의 실행을 포함한 프로세싱을 위해 적응되며, 프로그래밍은 저장 매체 (506) 상에 저장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프로그래밍 (programming)" 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 또는 달리 그 외의 것으로 지칭되든 간에 제한없이, 명령들, 명령 셋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가능체들, 실행 스레드들, 절차들, 함수들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도록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 (504) 는 액세스 단말 (500) 의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 (504) 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예컨대, 네트워크 노드들) 에 대한 양방향으로의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응된 회로 및/또는 프로그래밍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504) 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미도시) 에 커플링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회로 (508)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수신기 체인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회로 (510)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신기 체인들) 를 포함하는, 무선 트랜시버 회로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 (506) 는 프로그래밍, 이를 테면 프로세서 실행가능 코드 또는 명령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전자 데이터,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다른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머신 판독가능, 및/또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디바이스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저장 매체 (506) 는 또한 프로그래밍을 실행할 때 프로세싱 회로 (502) 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저장 매체 (506) 는 휴대용 또는 고정형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저장 디바이스들, 및 프로그래밍을 저장, 포함 및/또는 수송가능한 여러 다른 매체들을 포함하는, 범용 또는 특수용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저장 매체 (506) 는 컴퓨터 판독가능, 머신 판독가능, 및/또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저장 매체, 이를 테면, 자기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학 저장 매체 (예를 들어, CD (compact disk), DVD (digital versatile disk)),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RAM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OM), EPROM (erasable P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M), 레지스터, 탈착가능 디스크, 및/또는 프로그래밍을 저장하기 위한 다른 매체들 뿐만 아니라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 매체 (506) 는 프로세싱 회로 (502) 가 저장 매체 (506) 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싱 회로 (502)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즉, 저장 매체 (506) 가 프로세싱 회로 (502) 에 일체형인 경우의 예들, 및/또는 저장 매체 (506) 가 프로세싱 회로 (502) 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경우의 예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 (500) 에 상주하는 것, 액세스 단말 (500) 에 외부에 있는 것, 다수의 엔티티들에 걸쳐 분산되어 있는 것) 을 포함하여, 저장 매체 (506) 가 프로세싱 회로 (502) 에 의해 적어도 액세스가능하도록 프로세싱 회로 (502) 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저장 매체 (506) 에 의해 저장된 프로그래밍은 프로세싱 회로 (502) 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회로 (502) 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설명된 여러 기능들 및/또는 프로세스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끔 한다. 예를 들어, 저장 매체 (506) 는 프로세싱 회로 (502) 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재획득 절차들을 위해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을 채용하게 하도록 적응된 재획득 오퍼레이션들 (operations) (512)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재획득 오퍼레이션들 (512) 은 재획득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재획득 주기를 위한 최적화된 지속기간, 각 페이지 슬롯 동안 저장된 최적화된 수의 PN 들 및 PN 포지션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물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에 따르면, 프로세싱 회로 (502) 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액세스 단말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 (104), 액세스 단말 (500)) 의 어느 것 또는 모두에 대한 프로세스들,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루틴들 중 어느 것 또는 모두를 (저장 매체 (506) 와 결합하여) 수행하도록 적응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프로세싱 회로 (502) 와 관련한 용어 "적응된 (adapted)" 은, 프로세싱 회로 (502) 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여러 특징들에 따른 특정 프로세스, 기능, 단계 및/또는 루틴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채용된, 구현된, 또는 프로그래밍된 것 중 하나 이상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동작에서, 액세스 단말 (500) 은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수정 또는 조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액세스 단말 (500) 은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가 발견될 때까지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시간의 길이 (지속기간) 를 체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및 이하 논의되는 바와 같이, ASW 시간 주기들에 대한 조정들은 반복적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조정들은, 최적의 ASW 시간 주기에 도달하도록 ASW 시간 주기들을 감소 및/또는 증가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적의 시간 주기는, 성공적인 재획득을 위해 적당한 시간을 제공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한편으로는 재획득이 발생한 후에 ASW 시간 주기를 불필요하게 연장하지 않는 그런 시간 주기이다. 사실상, 최적의 시간 주기는, 재획득이 발생할 만큼 충분히 길지만 재획득 후 ASW 에서 남을 만큼 그렇게 충분히 길지는 않다.
도 6 은 재획득 주기들을 체계적으로 감소시키는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 (500) 은 복수의 어웨이크 상태들 (600A-600D) 을 통해 순환한다. 제 1 어웨이크 상태 (600A) 에서, 액세스 단말 (500) 은 재획득 주기 (602) 에 대한 초기 지속기간 (initial duration) 을 채용한다. 이 초기 지속기간은 네트워크에 의해 특정된 디폴트 지속기간일 수도 있다. 또는, 초기 지속기간은, 액세스 단말 (500) 이, 지속기간이 가장 최적이도록 보장하기 위해 새로운 결정을 수행하고 있을 때 마지막으로 사용되었던 최적화된 지속기간일 수도 있다. 다른 시나리오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복수의 이전에 이용된 최적화된 ASW 시간 주기들을 저장할 수도 있고, 이들 저장된 ASW 시간 주기들은 초기 지속기간 주기들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재획득이 성공적일 때, 액세스 단말 (500) 은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시간의 길이를 미리결정된 양만큼 감소시키도록 적응될 수 있다. 도 6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어웨이크 상태 (600B) 는 그 후, 재획득 주기 (604) 에 대한 감소된 지속기간을 채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재획득 주기 (604) 는 성공적인 재획득을 초래한다고 가정된다. 이에 따라, 지속기간은 미리결정된 양만큼 다시 감소될 수 있고, 다음 어웨이크 상태 (600C) 는 재획득 주기 (606) 에 대해 새롭게 감소된 지속기간을 채용할 수 있다. 다시, 지속기간은 다음 어웨이크 상태 (600D) 에 대해 미리결정된 양만큼 감소될 수 있고, 여기서, 재획득 주기 (608) 에 대한 추가적인 감소된 지속기간이 채용된다. 재획득 주기들에 대해 채용될 시간의 길이에서의 감축은, 재획득 절차가 성공적이지 않을 때까지 계속 감소될 수 있다. 성공적이지 않은 재획득이 발생할 때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 (500) 이 최강 파일럿 신호 또는 PN 신호를 획득하지 않을 때), 액세스 단말 (500) 은 마지막 성공적인 지속기간으로 지속기간을 복귀시키고, 그것을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로서 식별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 (500) 은 그 다음, 후속하는 재획득 주기들에 대해 이 최적화된 지속기간을 채용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액세스 단말 (500) 은, 후속하는 어웨이크 상태 (600) 에서의 재획득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해 어웨이크 상태 (600) 동안 저장되는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의 수를 유사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 (500) 은 네개 (4) 의 PN 신호들과 같이, 디폴트 수의 PN 들로 시작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 (500) 은 처음에 모든 4 개의 PN 신호들에 대해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후속하는 재획득 절차가 성공적일 때, 액세스 단말 (500) 은 세개 (3) 의 최강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이러한 정보가 재획득 절차들을 수행함에 있어 반복적으로 성공적인 경우에 액세스 단말 (500) 이 오직 하나 (1) 의 PN 신호 및 PN 포지션을 저장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도 7 은 액세스 단말 (500) 과 같은 액세스 단말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7 을 참조하면, 액세스 단말 (500) 은 단계 702 에서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 (502) 는, 불연속적 수신 (DRX) 모드로서 또한 지칭될 수도 있는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것은 프로세싱 회로 (502) 가 액세스 단말 (500) 에서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파워 다운 또는 오프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관련 오퍼레이팅 표준들 (예를 들어, CDMA 2000 1x, WCDMA) 에 따르면 그리고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회로 (502) 는 슬립 상태와 어웨이크 상태 사이에서 교번할 수 있다. 어웨이크 상태 동안, 프로세싱 회로 (502) 는 다양한 메시지들에 대해 통신 인터페이스 (504) 의 수신기 회로 (508) 를 통해 페이징 채널 (PCH) 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계 704 에서, 액세스 단말 (500) 은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 동안 채용된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은, 프로세싱 회로 (502) 가 후속하는 재획득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해 저장 매체 (506) 에 저장하는 다수의 의사랜덤 잡음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 및/또는 재획득 주기에 대한 지속기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파라미터가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시간의 길이를 포함하는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재획득 절차가 성공적인 각 시간에 대해 재획득 주기들의 지속기간을 미리결정된 값만큼 증분적으로 (incrementally)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세스는 초기 지속기간으로 시작할 수 있고, 재획득 절차가 성공적이지 않을 때 종료할 수도 있다. 성공적이지 않은 재획득 절차에 응답하여,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마지막 성공적인 값으로 다시 지속기간을 복귀시킬 수 있다. 이 마지막 성공적인 지속기간은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에 의해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최적화된 지속기간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다수의 시간 주기 데이터가 나중의 분석 또는 재획득에서의 사용을 위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도 8 은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라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프로세싱 회로 (502) 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래밍 (예컨대, 재획득 동작들 (512) 의 일부) 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는 알고리즘의 다양한 단계들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처음에,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단계 802 에서 재획득 주기들의 지속기간에 대한 초기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초기 값은 저장 매체 (506) 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이 초기 값은 통신 인터페이스 (504) 로부터 수신된 송신물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초기 값은 재획득 주기들에 대해 네트워크에 의해 특정된 디폴트 지속기간일 수도 있고, 또는, 초기 값은, 프로세싱 회로 (502) 가 그것이 여전히 바람직한 값인 것을 보장하기 위해 최적화된 값을 재결정하고 있는 이전에 채용된 최적화된 값일 수도 있다.
단계 804 에서, 초기 지속기간은 미리정의된 값만큼 감소될 수 있다. 특정 값은 임의의 원하는 값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 값은 현재 지속기간의 분수 또는 퍼센티지 (예컨대, 1/2, 1/3), 일정한 시간의 양 (예컨대, x 초, 1 칩, 2 칩들, 5 칩들, 10 칩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값일 수도 있다.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재획득 주기에 대해 초기 지속기간을 이용하여 초기에 성공적인 재획득 절차 후에 재획득 주기를 감소시킬 수도 있고, 또는, 초기 지속기간은 단순히 재획득 절차 이전에 감소될 수도 있다.
단계 806 에서, 재획득 절차는 재획득 주기에 대해 감소된 시간의 길이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재획득 절차에 대해 수행되는 적어도 일부 프로세스들은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되었다. 일반적으로,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페이징 채널 (PCH) 을 모니터링하는 적합한 신호를 식별하기 위해 파일럿 신호들 또는 PN 신호들을 스캔할 수 있다.
결정 마름모꼴 (808) 에서, 재획득이 성공적이었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적합한 파일럿 신호 또는 PN 신호가 식별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재획득 절차가 성공적이지 않았던 경우에는, 단계 810 에서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지속기간이 증가된다. 일부 예들에서,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시간의 길이는 단계 804 에서 감소되었던 것과 동일한 미리정의된 값만큼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속기간이 단계 804 에서 1/2 만큼 감소되었던 경우에는, 지속기간은 단계 810 에서 2 배만큼 증가될 수 있다. 단계 812 에서, 최적화 표시자가 오프 (OFF) 로 설정될 수 있다. 최적화 표시자는, 최적화된 지속기간이 결정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프로세싱 회로 (502) 에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된 플래그 또는 다른 표시자일 수도 있다. 표시자가 오프로 설정될 때, 프로세싱 회로 (502) 는,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현재의 지속기간이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이고 아무런 수정들도 이루어져서는 안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적화 표시자가 오프로 설정되고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가 결정됨에 따라, 프로세싱 회로 (502) 는 단계 814 에서 슬립으로 가서 다음 어웨이크 상태를 기다릴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결정 마름모꼴 (808) 에서 재획득 절차가 성공적이었다고 결정되었던 경우에는, 결정 마름모꼴 (810) 에서 최적화 표시자가 온 (ON) 인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표시자가 오프로 설정되는 경우, 프로세싱 회로 (502) 는 단계 814 에서 슬립으로 가서 다음 어웨이크 상태를 기다릴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최적화 표시자가 온으로 설정되는 경우,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가 여전히 결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단계 818 로 갈 수 있고, 여기서,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지속기간이 미리결정된 값만큼 감소된다. 프로세싱 회로 (502) 는 그 다음, 단계 814 에서 다음 어웨이크 상태를 대기한다.
다음 어웨이크 상태가 도달할 때, 재획득 절차는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가장 최근의 시간의 길이를 이용하여 단계 806 에서 다시 한번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획득 주기들에 대한 시간의 길이는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가 결정될 때까지 증분적으로 수정 (예컨대, 감소 및/또는 증가) 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최적화된 지속기간이 결정되고 최적화 표시자가 오프로 설정된 후에, 타이머는 미리정의된 기간 후에 최적화 표시자를 다시 온으로 재설정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액세스 단말 (500) 이 도 8 에서의 단계 816 으로부터 단계 814 로가 아니라 단계 816 으로부터 단계 818 로 진행함으로써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최적화된 지속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종종 (예컨대 매 1 시간, 12 시간, 1 일 등) 재시작할 수 있도록 타이머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7 을 다시 참조하면,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은, 프로세싱 회로 (502) 가 차후의 재획득 절차에서의 사용을 위해 저장 매체 (506) 에 저장하는 다수의 의사랜덤 잡음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최적화된 수의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이 결정될 때까지,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을 증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각 어웨이크 상태 동안 4 개의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을 처음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다음 어웨이크 상태 동안,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그 수를 감소시켜 오직 3 개의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다음 어웨이크 상태 동안, 3 개의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이 성공적인 경우에는,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2 개의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것은, 저장된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의 수가 재획득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 성공적이지 않을 때까지 계속할 수 있다. 이것이 발생할 때,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저장된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의 수를 1 만큼 증분시키고 이 수를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의 최적화된 수로서 식별할 수 있다.
도 7 에서의 방법의 단계 706 에서, 액세스 단말 (500) 은 재획득 절차를 위한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재획득 절차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재획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재획득 주기가 상당히 더 짧도록 재획득 주기에 대한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를 채용하여 액세스 단말이 어웨이크 상태에 있는 시간의 양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서, 재획득 동작들 (512) 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 (502) 는, 더 적은 PN 신호들이 모니터링되고 저장되도록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의 최적화된 수를 채용하여, 스캔이 발생하는 시간의 양 및 사용되는 전력의 양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채용하는 것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서의 전력 절약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에서 동작하는 시간의 상당량을 쓰는, M2M 가능형 액세스 단말들과 같은 정지형 디바이스들에 대해, 이러한 최적화들은 긴 기간의 코스에 걸쳐 상당한 전력 보존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논의된 양태들, 배열들, 및 실시형태들이 구체적인 상세들 및 특수성을 가지고 논의되었지만, 도 1, 2, 3, 4, 5, 6, 7, 및/또는 8 에서 도시된 컴포넌트들, 단계들, 특징들, 및/또는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은 단일 컴포넌트, 단계, 특징, 또는 기능으로 재배열 및/또는 결합되거나 수개의 컴포넌트들, 단계들, 또는 기능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단계들, 및/또는 기능들이 또한 본 개시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추가되거나 이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 2, 및/또는 5 에서 도시된 장치, 디바이스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은 도 3, 4, 6, 7, 및/또는 8 에서 기술된 방법들, 특징들, 파라미터들, 및/또는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 또는 채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신규한 알고리즘들은 또한 유효하게 소프트웨어로 구현 및/또는 하드웨어에 매립될 수도 있다.
또한, 적어도 일부 구현형태들은 플로우차트, 흐름도, 구조도, 또는 블록도로 나타내어진 프로세스로서 기술되었음에 유의한다. 플로우차트가 순차적인 프로세스로서 동작들을 기술할 수도 있지만, 많은 동작들은 병행하여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동작들의 순서는 재배열될 수도 있다. 프로세스는 그것의 동작들이 완료될 때 종료된다. 프로세스는 방법, 기능, 절차, 서브루틴, 서브프로그램 등에 대응할 수도 있다. 프로세스가 함수에 대응하면, 그것의 종료는 호출 함수 또는 메인 함수로의 그 함수의 리턴에 대응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여러 방법들은, 머신 판독가능, 컴퓨터 판독가능, 및/또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머신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프로그래밍 (예를 들어,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 에 의해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이 상호 교환성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성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고 첨부 도면들에서 도시된 예들과 연관된 여러 특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이한 예들 및 구현형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구체적인 구성들 및 배열들이 첨부된 도면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어 있지만, 기술된 실시형태들에 대한 여러 다른 추가들 및 변경들 및 이들로부터의 삭제들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형태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개시물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다음에 오는 청구항들의 문언적 언어 및 법적인 균등물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Claims (30)

  1. 전력 절약형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프로그래밍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및
    상기 저장 매체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체계적으로 조정하도록 상기 프로그래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절약형 무선 통신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은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시간의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가 획득될 때까지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시간의 길이를 체계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절약형 무선 통신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가 획득될 때까지 상기 시간의 길이를 미리결정된 양 만큼 체계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시간의 길이를 체계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절약형 무선 통신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상기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는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디폴트 시간의 길이보다 더 짧은, 전력 절약형 무선 통신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은, 각각의 재획득 절차를 위해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다수의 의사랜덤 잡음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최적화된 수의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이 획득될 때까지 각각의 재획득 절차를 위해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상기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의 수를 체계적으로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전력 절약형 무선 통신 디바이스.
  6. 액세스 단말기로서,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 매체;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그리고 상기 저장 매체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디폴트 지속기간을 획득하고;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최적화된 지속기간을 결정하며; 그리고
    재획득 절차에 대한 상기 최적화된 지속기간을 이용하여 상기 재획득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상기 최적화된 지속기간은 상기 디폴트 지속기간보다 더 짧은, 액세스 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상기 디폴트 지속기간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송신물로부터 획득되는, 액세스 단말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상기 최적화된 지속기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디폴트 지속기간으로 시작하고, 재획득 절차가 성공적이지 않을 때까지 각각의 성공적인 재획득 절차 후에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상기 지속기간을 미리결정된 값만큼 증분적으로 감소시키고;
    성공적이지 않은 상기 재획득 절차에 응답하여 상기 지속기간을 마지막 성공적인 재획득 절차와 연관된 지속기간으로 증가시키며; 그리고
    상기 마지막 성공적인 재획득 절차와 연관된 상기 지속기간을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상기 최적화된 지속기간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재결정 타이머의 만료 후에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최적화된 지속기간에 대한 다른 결정을 개시하도록 더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기.
  11. 액세스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 및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재획득 주기들에 대해 채용될 디폴트 시간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물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폴트 시간의 길이는 상기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보다 더 긴, 액세스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는, 초기 시간의 길이로 시작하고, 재획득 절차가 성공적이지 않을 때까지 각각의 성공적인 재획득 절차에 응답하여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상기 시간의 길이를 미리결정된 값만큼 증분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는, 성공적이지 않은 상기 재획득 절차에 응답하여, 상기 성공적이지 않은 재획득 절차와 연관된 상기 시간의 길이를,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상기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미리결정된 값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차후의 재획득 절차에서의 사용을 위해 저장할 최적화된 수의 의사랜덤 잡음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상기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을 채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
  18.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한 수단; 및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의 결정은,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의 결정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상기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는,
    재획득 절차가 성공적이지 않을 때까지 각각의 성공적인 재획득 절차에 응답하여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상기 시간의 길이를 미리결정된 값만큼 증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 및
    성공적이지 않은 상기 재획득 절차에 응답하여, 상기 성공적이지 않은 재획득 절차와 연관된 상기 시간의 길이를,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상기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미리결정된 값만큼 증가시키는 것
    에 의해 결정되는, 액세스 단말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재획득 주기들에 대해 채용될 디폴트 시간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폴트 시간의 길이는 상기 최적화된 시간의 길이보다 더 긴, 액세스 단말기.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의 결정은, 차후의 재획득 절차에서의 사용을 위해 저장할 최적화된 수의 의사랜덤 잡음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의 결정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상기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을 채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24. 프로그래밍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래밍은 컴퓨터로 하여금,
    슬롯팅된 아이들 모드에서 동작하게 하고; 그리고,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게 하는 상기 프로그래밍은, 컴퓨터로 하여금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최적화된 지속기간을 결정하게 하는 프로그래밍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상기 최적화된 지속기간을 결정하게 하는 상기 프로그래밍은,
    컴퓨터로 하여금,
    초기 지속기간으로 시작하게 하고;
    재획득 절차가 성공적이지 않을 때까지 각각의 성공적인 재획득 절차에 응답하여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상기 지속기간을 미리결정된 값만큼 증분적으로 감소시키게 하며; 그리고
    성공적이지 않은 상기 재획득 절차에 응답하여, 상기 성공적이지 않은 재획득 절차와 연관된 상기 지속기간을, 상기 재획득 주기들에 대한 상기 최적화된 지속기간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미리결정된 값만큼 증가시키게 하는
    프로그래밍을 포함하는,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게 하는 상기 프로그래밍은,
    컴퓨터로 하여금,
    차후의 재획득 절차에서의 사용을 위해 저장할 최적화된 수의 의사랜덤 잡음 (PN) 신호들 및 PN 포지션들을 결정하게 하는
    프로그래밍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제 24 항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재획득 절차들을 위한 상기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파라미터들을 채용하게 하는 프로그래밍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슬롯팅된 모드에서 동작하는 액세스 단말기에서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재획득 윈도우의 지속기간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재획득 윈도우에 대한 표시된 상기 지속기간과는 상이한 수정된 지속기간을 이용하여 재획득 시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0.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재획득 윈도우의 지속기간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재획득 모듈; 및
    최적의 재획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재획득 윈도우를 수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KR1020157021509A 2013-01-11 2013-12-20 재획득 절차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KR201501069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39,480 2013-01-11
US13/739,480 US9357488B2 (en) 2013-01-11 2013-01-11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reacquisition procedures
PCT/US2013/077309 WO2014109896A1 (en) 2013-01-11 2013-12-20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reacquisition procedu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907A true KR20150106907A (ko) 2015-09-22

Family

ID=4995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509A KR20150106907A (ko) 2013-01-11 2013-12-20 재획득 절차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57488B2 (ko)
EP (1) EP2918115A1 (ko)
JP (1) JP2016504883A (ko)
KR (1) KR20150106907A (ko)
CN (1) CN104904277A (ko)
WO (1) WO20141098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9315B (zh) * 2018-12-20 2021-06-1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伪随机序列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1687A (ja) * 1996-05-27 1997-12-12 Fujitsu Ltd 無線通信機器
US5790589A (en) 1996-08-14 1998-08-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apidly reacquiring a pilot channel
US5920549A (en) * 1996-12-19 1999-07-06 Motorola, Inc. Method of handing off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101173A (en) * 1998-03-16 2000-08-08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reacquisition time in a slotted paging environment
US6775252B1 (en) 2000-03-31 2004-08-10 Qualcomm, Inc. Dynamic adjustment of search window size in response to signal strength
US7263078B2 (en) * 2002-12-18 2007-08-2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in wireless computing devices
KR100606129B1 (ko) * 2003-04-30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측정 및보고 방법
US20050245269A1 (en) * 2004-04-30 2005-11-03 Intel Corporation Channel scanning in wireless networks
WO2005107378A2 (en) * 2004-05-10 2005-11-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f neighbor base station by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WO2007031855A2 (en) * 2005-09-16 2007-03-22 Nokia Corporation Techniques to provide measurement pilot transmission information in wireless networks
US7957360B2 (en) 2007-01-09 2011-06-0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system for the support of a long DRX in an LTE—active state in a wireless network
US8169957B2 (en) 2007-02-05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DTX and DRX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19340B2 (en) * 2007-03-07 2011-09-13 Motorola Mobility, Inc. Reduced scanning within a uniform period in out-of-service conditions
US8098630B2 (en) * 2008-05-09 2012-01-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Scann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system acquisition
US8638701B2 (en) * 2008-09-26 2014-01-28 Nxp, B.V.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personal area networks
US8553728B2 (en) 2008-10-09 2013-10-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obust slotted mode operation in fading wireless environments
KR101199573B1 (ko) * 2008-12-05 2012-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매크로셀 내 펨토셀 도입 시 효율적 셀 선택 및 핸드오프를 위한 단말 위치기반의 주변 기지국 리스트 관리 방법
KR101617888B1 (ko) 2010-01-08 2016-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절전 수신모드 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페이징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US8121596B1 (en) * 2010-03-16 2012-02-21 Sprint Spectrum L.P. Selective scanning of the active set
US8391897B1 (en) * 2010-10-28 2013-03-05 Sprint Spectrum L.P. Intelligent paging-channel scanning based on location relative to zone of last registration
US8737994B2 (en) 2010-11-05 2014-05-27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transmission in femtocells
US9872220B2 (en) * 2011-05-10 2018-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04277A (zh) 2015-09-09
WO2014109896A1 (en) 2014-07-17
US20140198693A1 (en) 2014-07-17
JP2016504883A (ja) 2016-02-12
US9357488B2 (en) 2016-05-31
EP2918115A1 (en)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217B1 (ko) 액세스 단말기들이 적은 이동도 또는 무 이동도를 나타낼 경우 변경된 셀 재선택 파라미터들 및 절차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JP6379106B2 (ja) 間欠受信中の動的電力低減を容易に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EP3085191B1 (en) Facilitating tune-away oper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EP2829092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odifying performance attributes based on device capabilities
US11722962B2 (en) Method of receiving a wake-up signal, wireless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93637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pilot acquisi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882488B2 (ja) マシンタイプ通信デバイスのための低減された周期的な登録
US935748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reacquisition procedures
US903649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overhead message updat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JP6466455B2 (ja) スロットアイドルモードで動作しているアクセス端末においてアウェイク状態持続時間を減少させ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