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471A - 제약 광고 방법 및 제약 광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약 광고 방법 및 제약 광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471A
KR20150106471A KR1020140028108A KR20140028108A KR20150106471A KR 20150106471 A KR20150106471 A KR 20150106471A KR 1020140028108 A KR1020140028108 A KR 1020140028108A KR 20140028108 A KR20140028108 A KR 20140028108A KR 20150106471 A KR20150106471 A KR 20150106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information
price
advertisement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691B1 (ko
Inventor
김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to KR1020140028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691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제약 광고 방법 및 제약 광고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약 광고 방법은, 약품 리스트를,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약품 리스트에 포함되는 약품정보 중에서 가격 변경에 따른 갱신 약품정보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광고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광고 영역으로, 상기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삽입하되, 상기 광고 영역과 연관되어 상기 갱신 약품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약 광고 방법 및 제약 광고 시스템{MEDICINE ADVERTISING METHOD AND MEDICINE ADVERTISING SYSTEM}
본 발명은 병원 내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에 대한 온라인 업데이트 시, 화면의 일부 광고 영역으로 갱신된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를 제공 함으로써, 의사 등의 사용자에게 갱신된 약품정보에 대한 처방 및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제약 광고 방법 및 제약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온라인 업데이트는, 선정된 기관(예,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 의해 고시되는 약품 가격이 변동 됨에 따라, 상기 EMR 시스템에서, 약품정보를 갱신하여 반영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다.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은, 기존 종이 차트로 관리되던 의무 기록 관리 방식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병원에서 발생하는 의료 정보를 일체 수정하지 않고 모두 전산화하는 의료정보시스템을 지칭한다.
이러한 EMR 시스템을 통해 의사인 사용자는, 환자 개인별 병력, 투약상태, 검사결과 등의 의료 정보를 쉽게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의료 정보를 편리한 형태로 정보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건복지부 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같은 기관에서는,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약품에 대한 변경 사항을 주기적으로 고시하고 있다. 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여부, 적용 비율 등이 변경 됨에 따라 해당 약품의 가격이 변경되는 경우, EMR 시스템 제조사 측에서는, 온라인 업데이트를 통해 병원 내 EMR 시스템으로 약품에 대한 변경 사항(예를 들면, 약품의 보험 적용 가격 인하)을 반영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변경 사항이 반영된 EMR 시스템에서 의무 기록, 환자 수납 및 보험 청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약품의 보험 적용 가격 인하 등의 약품에 대한 변경 사항을, EMR 시스템을 사용하는 의사가 보다 인지하기 쉽도록 안내하여, 해당 약품에 대한 처방 및 사용을 유도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정된 기관에 의해 고시되는 약품 가격이 변동 됨에 따라, 병원 내 EMR 시스템에 대한 온라인 업데이트를 통해 갱신 약품정보를 반영 시, 화면의 일부 광고 영역으로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갱신된 약품정보에 대한 처방 및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제약 광고 방법 및 제약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광고 영역과 연관되어 갱신 약품정보가 표시되도록, 화면에 표시되는 약품 리스트를 조정 함으로써, 사용자가 약품 리스트에서 갱신 약품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처방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약 광고 방법 및 제약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약 광고 방법은, 약품 리스트를,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약품 리스트에 포함되는 약품정보 중에서 가격 변경에 따른 갱신 약품정보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광고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광고 영역으로, 상기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삽입하되, 상기 광고 영역과 연관되어 상기 갱신 약품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약 광고 시스템은, 약품 리스트를,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약품 리스트에 포함되는 약품정보 중에서 가격 변경에 따른 갱신 약품정보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광고 영역으로 할당하는 할당부, 및 상기 할당된 광고 영역으로, 상기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삽입하되, 상기 광고 영역과 연관되어 상기 갱신 약품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선정된 기관에 의해 고시되는 약품 가격이 변동 됨에 따라, 병원 내 EMR 시스템에 대한 온라인 업데이트를 통해 갱신 약품정보를 반영 시, 화면의 일부 광고 영역으로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갱신된 약품정보에 대한 처방 및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고 영역과 연관되어 갱신 약품정보가 표시되도록, 화면에 표시되는 약품 리스트를 조정 함으로써, 사용자가 약품 리스트에서 갱신 약품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처방 및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약 광고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약품 리스트가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를 광고 영역으로 할당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할당된 광고 영역으로,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삽입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진료 화면 상에 가격 변경에 관한 변경 안내 정보를 팝업 형태로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약 광고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약 광고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표시부(110), 할당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40) 및 결정부(150)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참고로,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병원 또는 약국으로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을 제공하거나, 제공된 EMR 시스템에 대한 온라인 업데이트를 실시하는 EMR 시스템 제조사 서버(17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EMR 시스템이 구동되는 단말(190)의 내부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약 광고 시스템(100)이, 병원 또는 약국에서 EMR 시스템이 구동되는 단말(190)의 내부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표시부(110)는, 약품 리스트를,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일례로, 표시부(110)는, 약품에 관한 약품명, 제약사, 약품코드, 약가 변경일 및 약품 가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작성되는 약품정보를 포함하는 약품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110)는, 병원 또는 약국 내 단말(190)에서 EMR 시스템의 구동에 연동하여, 단말(190)의 화면(예, 진료 화면) 상에 「제품명, 제약사, 단가, 적용일」과 같이 작성되는 약품정보를 포함하는 약품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10)는, 약품 'A'에 관해 작성되는 약품정보 「세리진캡슐, 동아제약, 105, 13/12/1」와, 약품 'B'에 관해 작성되는 약품정보 「프리토정, GSK, 200, 13/11/1」를, 단말(190)의 진료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0)는, 약품에 관한 약가 변경일(예, 약품정보 내 '적용일')을 기준으로, 각각의 약품정보를 정렬하여 약품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10)는, 상기 약품 'A'와 상기 약품 'B' 중에서, '단가'에 대한 '적용일'이 가장 최근인 약품 'A'에 관한 약품정보 「세리진캡슐, 동아제약, 105, 13/12/1」를, 약품 'B'에 관한 약품정보 「프리토정, GSK, 200, 13/11/1」에 우선하도록 정렬한 약품 리스트를 진료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10)는, '적용일' 별로 약품정보를 그룹화하여 약품 리스트로 표시할 수 있고, 또는 '적용일'이 보다 최근인 그룹에 속하는 약품정보를 별도의 독립된 약품 리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할당부(120)는, 상기 약품 리스트에 포함되는 약품정보 중에서 가격 변경에 따른 갱신 약품정보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광고 영역으로 할당한다.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보건복지부 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같은 선정된 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약가 고시 서버(16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약품에 대한 변경 사항(예를 들면, 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여부, 보험 적용 비율 변화에 따른 약품 가격 등)을 바탕으로 갱신 약품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40) 및 결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약품에 대한 제1 약품 가격을 저장한다.
결정부(150)는, 지정된 약가 고시 서버(160)로부터, 상기 제1 약품 가격과 상이한 제2 약품 가격이 수신되면, 상기 약품의 약품정보를 상기 갱신 약품정보로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약품 가격은, 보건복지부 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의해 운영되는 약가 고시 서버(16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결정부(150)는, 상기 제2 약품 가격이, 상기 제1 약품 가격보다 낮거나, 또는 높은 약품의 약품정보를 상기 갱신 약품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40)는, 약품 'B'에 관한 약품정보 「프리토정, GSK, 200, 13/11/1」에 포함되는 제1 약품 가격 '200'을 저장할 수 있다. 약가 고시 서버(160)로부터 상기 약품정보'B'에 대한 변경 사항으로서, 제2 약품 가격 '105'을 수신하는 경우, 결정부(150)는, 상기 약품정보 「프리토정, GSK, 200, 13/11/1」에서 단가 '200'을 '105'로 변경한 후 해당 약품정보를 갱신 약품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할당부(120)는, 상기 갱신 약품정보의 결정에 따라 업데이트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업데이트 명령에 연동하여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광고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업데이트 명령은, 상기 약품정보에 대해, 상기 제1 약품 가격에서 상기 제2 약품 가격으로 약가 변경되도록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품 'B'에 관한 약품정보가 「프리토정, GSK, 200, 13/11/1」이면, 후술하는 제어부(130)는, 상기 업데이트 명령에 따라, 제1 약품 가격 '200' 및 약가 변경일 '13/11/1' 각각을, 제2 약품 가격 '105' 및 약가 변경일 '14/1/1'로 변경되도록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0)는, 상기 약품의 약품정보에 대해 상기 제1 약품 가격을, 상기 제2 약품 가격으로 수정하여 갱신 약품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40)는 약품 'B'에 관한 약품정보 「프리토정, GSK, 200, 13/11/1」를, 「프리토정, GSK, 105, 14/1/1」로 수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할당부(120)는,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약품 리스트가 점유하는 비율, 상기 갱신 약품정보의 개수, 및 상기 광고 문구의 데이터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광고 영역의 크기 및 개수를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할당부(120)는, 단말(190)의 전체 화면에서, 상기 약품 리스트가 점유하는 비율이 50%를 넘는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광고 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또는, 할당부(120)는, 상기 약품 리스트 내 약품정보 중에서, 갱신 약품정보로 결정되는 약품정보의 수가 많을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해당 수에 상응하는 광고 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또는, 할당부(120)는, 광고 영역으로 삽입할 광고 문구의 데이터 크기가 100 byte를 넘는 경우,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 광고 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할당부(120)는, 제1 약품 가격과 제2 약품 가격 간 가격 차이가 클수록, 큰 크기의 광고 영역을 할당하거나, 보다 많은 개수의 광고 영역을 할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할당부(120)는, 가격 갱신된 약품 '프리토정'이 '95'만큼 가격 인하되고, 가격 갱신된 약품 '플루옥신'이 '22'만큼 가격 인하된 경우, 약품 '프리토정'의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삽입할 광고 영역을, 약품 '플루옥신'의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삽입할 광고 영역 보다 큰 크기의 광고 영역을 할당하거나, 또는 보다 많은 개수의 광고 영역을 할당 할 수 있다.
상술에서는, 광고 영역의 할당이, 약품 리스트가 표시되는 화면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일실시예에 불과하고, 실시예에 따라, 할당부(120)는, 약품 리스트 내 여유 공간으로, 광고 영역을 할당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할당된 광고 영역으로, 상기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삽입하되, 상기 광고 영역과 연관되어 상기 갱신 약품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한다.
일례로, 제어부(130)는, 상기 광고 영역과 가장 가까운 상기 약품 리스트 내 위치로, 상기 갱신 약품정보를 이동시켜,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약품 '프리토정'에 대한 광고 영역 'Ad001'이 화면 최상단으로 할당 됨에 따라, 상기 '프리토정'에 관한 갱신 약품정보 「프리토정, GSK, 105, 14/1/1」를, 상기 광고 영역 'Ad001'과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약품 '플루옥신'에 대한 광고 영역 'Ad002'이, 상기 광고 영역 'Ad001' 보다 아래인 화면의 중단으로 할당 됨에 따라, 상기 약품 '플루옥신'에 관한 갱신 약품정보 「플루옥신, Pfizer, 378, 14/1/1」를 상기 광고 영역 'Ad002'의 아래로 위치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30)는, 광고 문구를 읽은 사용자가, 상기 광고 문구와 관련되는 갱신 약품정보에 보다 쉽게 노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광고 문구로서, 상기 갱신 약품정보에 대한 제약사 로고, 제약사 홈페이지 링크 및 약품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광고 영역으로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상기 광고 문구로서, 제약사 로고를 화면 최하단으로 할당되는 광고 영역 'Ad003'에 삽입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상기 제약사 로고에 제약사 홈페이지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광고 문구로 포함되는 약품 가격을 강조하거나, 제약사 홈페이지를 상기 갱신 약품정보와 링크시켜,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갱신 약품정보에 대한 약품 리스트에서 약품 가격을 볼드체로 강조하고, 제약사 홈페이지 링크를 추가하여, 「프리토정 , GSK , 105, 14/1/1」, 「플루옥신 , Pfizer , 378 , 14/1/1」, 「코노텍정 , 미래제약, 95 , 14/1/1」 등과 같이 화면에 약품 리스트를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예, 의사)는, 진료 중, 화면에서 제약사 로고 또는 약품 리스트를 선택하는 것으로, 제약사 홈페이지에 신속하게 접속하여 갱신 약품정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광고 문구로서, 상기 갱신 약품정보에 대한 '1/1 프리토정 가격 대폭 인하', '이제 고혈압에는 플루옥신 처방하세요(Pfizer)' 등과 같은 약품 광고를 광고 영역으로 삽입할 수도 있다.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약가 고시 서버(160)로부터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제2 약품 가격을 수신 시, EMR 시스템 제조사 서버(170)로부터 상기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광고 문구는, 상기 갱신 약품정보에 대한 제약사 서버(180)에 의해 제공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고 문구는, 제약사 서버(180)에 의해 크기가 지정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로그인 화면 또는 진료 화면 상에, 상기 가격 변경에 관한 변경 안내 정보를, 문서 또는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10)는, 가격 변경된 약품에 관한 약품명, 제약사, 약품코드, 약가 변경일 및 제2 약품 가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변경 안내 정보, 즉 '프리토정 40mg (650001450)은 2014년 1월 1일자로 200원에서 105원으로 약가가 인하되었습니다. 처방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를, 로그인 화면 또는 진료 화면 상에 팝업 형태로 표시 함으로써, 사용자가 진료 중 보험 적용 등으로 약가 인하된 갱신 약품정보에 대해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갱신 약품정보에 대한 처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0)는, 상기 갱신 약품정보를 목록화하여 문서 형태로 작성된 변경 안내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험 적용 등으로 약가 인하된 갱신 약품정보에 대해 진료 전에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선정된 기관(예,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 의해 고시되는 약품 가격이 변동 됨에 따라, 병원 내 EMR 시스템에 대한 온라인 업데이트를 통해 갱신 약품정보를 반영 시, 화면의 일부 광고 영역으로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예, 의사)에게 갱신된 약품정보에 대한 처방 및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고 영역과 연관되어 갱신 약품정보가 표시되도록, 화면에 표시되는 약품 리스트를 조정 함으로써, 사용자가 약품 리스트에서 갱신 약품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처방 및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약품 리스트가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를 광고 영역으로 할당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약 광고 시스템은, EMR 시스템의 구동에 연동하여, 화면(200) 상에 「제품명, 제약사, 단가, 적용일」과 같이 작성되는 복수의 약품정보를 포함하는 약품 리스트(210, 2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약 광고 시스템은, '적용일'이 '13/12/1'로서 상대적으로 최근인 약품정보에 관한 약품 리스트(210)를, '적용일'이 '13/11/1'인 약품정보에 관한 약품 리스트(220) 보다 화면(200)의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약 광고 시스템은, 약가 고시 서버로부터, 약품 리스트(210, 220)에 포함된 약품정보 내 제1 약품 가격(즉, 단가)과 상이한 제2 약품 가격이 수신되는 경우, 화면(200)의 적어도 일부를 광고 영역(230, 240, 250)으로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약품 '프리토정'에 관한 제1 약품 가격 '200'과 상이한 제2 약품 가격 '105'가 수신되는 경우, 제약 광고 시스템은, 약품 '프리토정'의, 약품 리스트(210) 내 약품정보를 변경하여 갱신 약품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약 광고 시스템은, 상기 갱신 약품정보의 결정에 따라 생성되는 업데이트 명령에 연동하여, 화면(200)의 상단을, 상기 '프리토정'의 갱신 약품정보와 연관된 광고 문구를 삽입할 광고 영역(230)으로 할당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약품 '플루옥신'에 관한 제1 약품 가격 '400'이 '22' 만큼 가격 인하된 경우, 제약 광고 시스템은, 약품 '플루옥신'의, 약품 리스트(220) 내 약품정보를 변경하여 갱신 약품정보로 결정하고, 상기 갱신 약품정보의 결정에 따라 생성되는 업데이트 명령에 연동하여, 화면(200)의 중단을, 상기 '플루옥시'의 갱신 약품정보와 연관된 광고 문구를 삽입할 광고 영역(240)으로 할당할 수 있다.
도 3은 할당된 광고 영역으로,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삽입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약 광고 시스템은, 할당된 광고 영역(310, 320, 330)으로,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삽입하되, 상기 광고 영역(310, 320, 330)과 연관되어 갱신 약품정보가 표시되도록, 약품 리스트(340, 350)를 조정할 수 있다.
제약 광고 시스템은, 상기 광고 문구로서, 제약사 로고(331, 332, 333)를 화면(300)의 최하단으로 할당되는 광고 영역(330)에 삽입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약 광고 시스템은, 제약사 로고(331, 332, 333) 각각으로 제약사 홈페이지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약 광고 시스템은, 갱신 약품정보에 대한 약품 리스트(340)에서 약품 가격을 볼드체 또는 약품정보 전체를 강조하거나, 제약사 홈페이지 링크를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제약 광고 시스템은, 「프리토정 , GSK , 105, 14/1/1」, 또는 「플루옥신, Pfizer , 378 , 14/1/1」 등과 같이 약품정보에 대해 볼드체와 링크 기능을 추가한 약품 리스트(340, 350)를 화면(3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예, 의사)는, 진료 중, 화면(300)에 표시된 제약사 로고(331, 332, 333) 또는 약품 리스트(340, 350) 내 약품정보를 선택하는 것으로, 제약사 홈페이지에 신속하게 접속하여 갱신 약품정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제약 광고 시스템은, 상기 광고 문구로서, 약품 '프리토정'의 갱신 약품정보에 대한 '1/1 프리토정 가격 대폭 인하'과 같은 약품 광고를 화면(300)의 상단에 할당된 광고 영역(310)으로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제약 광고 시스템은, 광고 영역(310)이 화면(300)의 상단으로 할당 됨에 따라, 약품 '프리토정'의 갱신 약품정보 「 프리토정 , GSK , 105, 14/1/1 」를, 기존 약품 리스트(350)에서, 새로운 약품 리스트(340) 내 상기 광고 영역(310)과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약 광고 시스템은, 상기 광고 문구로서, 약품 '플루옥신'의 갱신 약품정보에 대한 '이제 고혈압에는 플루옥신 처방하세요(Pfizer)'과 같은 약품 광고를 화면(300)의 중단에 할당된 광고 영역(320)으로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제약 광고 시스템은, 광고 영역(320)이, 화면(300)의 중단으로 할당 됨에 따라, 약품 '플루옥신의 갱신 약품정보 「플루옥신, Pfizer, 378, 14/1/1」를, 상기 광고 영역(320)과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켜 약품 리스트(350)를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약 광고 시스템은, 제1 약품 가격과 제2 약품 가격 간 가격 차이가 클수록, 또는 제2 약품 가격의 약가 변경일이 최근일수록, 갱신 약품정보에 대한 광고 영역을 화면 상단으로 할당하고, 갱신 약품정보에 대한 약품 리스트를 상기 할당된 광고 영역과 근접하도록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진료 화면 상에 가격 변경에 관한 변경 안내 정보를 팝업 형태로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약 광고 시스템은, 가격 변경된 약품에 대한 약품명, 제약사, 약품코드, 약가 변경일 및 제2 약품 가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변경 안내 정보(410)를, '프리토정 40mg (650001450)은 2014년 1월 1일자로 200원에서 105원으로 약가가 인하되었습니다. 처방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등과 같이 진료 화면(400) 또는 로그인 화면 상에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예, 의사)는, 진료 중, 변경 안내 정보(410)를 통해 보험 적용 등으로 약가 인하된 갱신 약품정보에 대해 손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환자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이 적은 약품을 처방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약 광고 시스템은, 가격 변경된 갱신 약품정보를 목록화하여 문서 형태로 작성된 변경 안내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험 적용 등으로 약가 인하된 갱신 약품정보에 대해 진료 전에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약 광고 시스템(1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약 광고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약 광고 방법은, 상술한 제약 광고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약품 리스트를,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약품 'A'에 관해 작성되는 약품정보 「세리진캡슐, 동아제약, 105, 13/12/1」와, 약품 'B'에 관해 작성되는 약품정보 「프리토정, GSK, 200, 13/11/1」를, 단말의 진료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단가'에 대한 '적용일'이 가장 최근인 약품 'A'의 약품정보를 포함하는 약품 리스트를, 약품 'B'의 약품정보에 포함하는 약품 리스트에 우선하도록 정렬하여, 진료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상기 약품 리스트에 포함되는 약품정보 중에서 가격 변경에 따른 갱신 약품정보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광고 영역으로 할당한다.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약품 리스트가 점유하는 비율, 상기 갱신 약품정보의 개수, 및 상기 광고 문구의 데이터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광고 영역의 크기 및 개수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제1 약품 가격과 제2 약품 가격 간 가격 차이가 클수록, 큰 크기의 광고 영역을 할당하거나, 보다 많은 개수의 광고 영역을 할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가격 갱신된 약품 '프리토정'이 '95'만큼 가격 인하되고, 가격 갱신된 약품 '플루옥신'이 '22'만큼 가격 인하된 경우, 약품 '프리토정'의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삽입할 광고 영역을, 약품 '플루옥신'의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삽입할 광고 영역 보다 큰 크기의 광고 영역을 할당하거나, 또는 보다 많은 개수의 광고 영역을 할당 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상기 할당된 광고 영역으로, 상기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삽입하되, 상기 광고 영역과 연관되어 상기 갱신 약품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한다.
일례로,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 영역과 가장 가까운 상기 약품 리스트 내 위치로, 상기 갱신 약품정보를 이동시켜,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약품 '프리토정'에 대한 광고 영역 'Ad001'이 화면 최상단으로 할당 됨에 따라, 상기 '프리토정'에 관한 갱신 약품정보 「프리토정, GSK, 105, 14/1/1」를, 상기 광고 영역 'Ad001'과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 문구로서, 상기 갱신 약품정보에 대한 제약사 로고, 제약사 홈페이지 링크 및 약품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광고 영역으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제약 광고 시스템(100)은 로그인 화면 또는 진료 화면 상에, 상기 가격 변경에 관한 변경 안내 정보를, 문서 또는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선정된 기관(예,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 의해 고시되는 약품 가격이 변동 됨에 따라, 병원 내 EMR 시스템에 대한 온라인 업데이트를 통해 갱신 약품정보를 반영 시, 화면의 일부 광고 영역으로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예, 의사)에게 갱신된 약품정보에 대한 처방 및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고 영역과 연관되어 갱신 약품정보가 표시되도록, 화면에 표시되는 약품 리스트를 조정 함으로써, 사용자가 약품 리스트에서 갱신 약품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처방 및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제약 광고 시스템 110: 표시부
120: 할당부 130: 제어부
140: 데이터베이스 150: 결정부
160: 약가 고시 서버 170: EMR 시스템 제조사 서버
180: 제약사 서버 190: 단말

Claims (16)

  1. 약품 리스트를,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약품 리스트에 포함되는 약품정보 중에서 가격 변경에 따른 갱신 약품정보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광고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광고 영역으로, 상기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삽입하되, 상기 광고 영역과 연관되어 상기 갱신 약품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약 광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영역과 가장 가까운 상기 약품 리스트 내 위치로, 상기 갱신 약품정보를 이동시켜,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약 광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광고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약품 리스트가 점유하는 비율, 상기 갱신 약품정보의 개수, 및 상기 광고 문구의 데이터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광고 영역의 크기 및 개수를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약 광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약품에 대한 제1 약품 가격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지정된 약가 고시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약품 가격과 상이한 제2 약품 가격이 수신되면, 상기 약품의 약품정보를 상기 갱신 약품정보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약품에 대한 상기 제1 약품 가격을, 상기 제2 약품 가격으로 수정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약 광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광고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갱신 약품정보의 결정에 따라, 상기 약품의 약품정보에 대해, 상기 제1 약품 가격에서 상기 제2 약품 가격으로 약가 변경되도록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하는 것과 관련되는 업데이트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 명령에 연동하여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광고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약 광고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약품 가격은, 보건복지부 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의해 운영되는 상기 약가 고시 서버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약품정보를 상기 갱신 약품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약품 가격이, 상기 제1 약품 가격보다 낮거나, 또는 높은 약품의 약품정보를 상기 갱신 약품정보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약 광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리스트를,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약품에 관한 약품명, 제약사, 약품코드, 약가 변경일 및 약품 가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작성되는 상기 약품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약품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약 광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문구로서, 상기 갱신 약품정보에 대한 제약사 로고, 제약사 홈페이지 링크 및 약품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광고 영역으로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약 광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문구는,
    제약사 서버에 의해 크기가 지정되는
    제약 광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로그인 화면 또는 진료 화면 상에, 상기 가격 변경에 관한 변경 안내 정보를, 문서 또는 팝업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약 광고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문구로 포함되는 약품 가격을 강조하거나, 제약사 홈페이지를 상기 갱신 약품정보와 링크시켜,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약 광고 방법.
  12. 약품 리스트를,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약품 리스트에 포함되는 약품정보 중에서 가격 변경에 따른 갱신 약품정보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광고 영역으로 할당하는 할당부; 및
    상기 할당된 광고 영역으로, 상기 갱신 약품정보에 관한 광고 문구를 삽입하되, 상기 광고 영역과 연관되어 상기 갱신 약품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제약 광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 영역과 가장 가까운 상기 약품 리스트 내 위치로, 상기 갱신 약품정보를 이동시켜, 상기 약품 리스트를 조정하는
    제약 광고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부는,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약품 리스트가 점유하는 비율, 상기 갱신 약품정보의 개수, 및 상기 광고 문구의 데이터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광고 영역의 크기 및 개수를 할당하는
    제약 광고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약품에 대한 제1 약품 가격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지정된 약가 고시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약품 가격과 상이한 제2 약품 가격이 수신되면, 상기 약품의 약품정보를 상기 갱신 약품정보로 결정하는 결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할당부는,
    상기 갱신 약품정보의 결정에 따라 업데이트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업데이트 명령에 연동하여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광고 영역으로 할당하는
    제약 광고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로그인 화면 또는 진료 화면 상에, 상기 가격 변경에 관한 변경 안내 정보를, 문서 또는 팝업 형태로 표시하는
    제약 광고 시스템.
KR1020140028108A 2014-03-11 2014-03-11 제약 광고 방법 및 제약 광고 시스템 KR101602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108A KR101602691B1 (ko) 2014-03-11 2014-03-11 제약 광고 방법 및 제약 광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108A KR101602691B1 (ko) 2014-03-11 2014-03-11 제약 광고 방법 및 제약 광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471A true KR20150106471A (ko) 2015-09-22
KR101602691B1 KR101602691B1 (ko) 2016-03-14

Family

ID=5424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108A KR101602691B1 (ko) 2014-03-11 2014-03-11 제약 광고 방법 및 제약 광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624B1 (ko) * 2021-11-03 2022-05-30 주식회사 바로팜 약가인하에 따른 보상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9504A (ja) * 2005-12-28 2007-07-12 Icd Kk 情報配信処理方法、情報配信処理システム、配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11142486A1 (ja) * 2010-05-14 2011-11-17 Umeda Shigeto 広告表示uiおよび広告システム
KR20120090243A (ko) * 2011-02-07 2012-08-17 에누리닷컴 주식회사 가격정보 제공 방법
KR20130124925A (ko) * 2013-08-21 2013-11-15 박경애 약국 전용 결제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9504A (ja) * 2005-12-28 2007-07-12 Icd Kk 情報配信処理方法、情報配信処理システム、配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11142486A1 (ja) * 2010-05-14 2011-11-17 Umeda Shigeto 広告表示uiおよび広告システム
KR20120090243A (ko) * 2011-02-07 2012-08-17 에누리닷컴 주식회사 가격정보 제공 방법
KR20130124925A (ko) * 2013-08-21 2013-11-15 박경애 약국 전용 결제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624B1 (ko) * 2021-11-03 2022-05-30 주식회사 바로팜 약가인하에 따른 보상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691B1 (ko) 201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4880B2 (en) Interactive patient medication list
Boriani et al.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in interventional electrophysiology and device therapy: a position paper of the European Heart Rhythm Association
JP7134614B2 (ja) 薬剤情報表示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薬剤情報表示装置
Oung et al. Evaluation of medication adherence in chronic disease at a federally qualified health center
Singleton et al. Future-proofing the pharmacy profession in a hypercompetitive market
DeVore et al. Hospitalization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n analysis from ROCKET AF
McFarland Telepharmacy for remote hospital inpatients in north-west Queensland
Brown et al. Discussing out-of-pocket expenses during clinical appointments: an observational study of patient-psychiatrist interactions
KR101602691B1 (ko) 제약 광고 방법 및 제약 광고 시스템
Freixa et al. Large protruding thrombus over left atrial appendage occlusion device successfully treated with apixaban
KR101859401B1 (ko) 처방전 작성 방법 및 처방전 작성 시스템
Bott et al. Barriers and enablers to medication adherence in glaucoma: A systematic review of modifiable factors using the Theoretical Domains Framework
Baker et al. Comparison of readmission data between different categories of antipsychotic drugs at a state psychiatric hospital in Oregon
Pitts et al. Discontinuation of outpatient medications: implications for electronic messaging to pharmacies using CancelRx
Lachman et al. Use of barcode technology can make a difference to patient safety in the post-COVID era
Dylst et al. Analysis of Spanish generic medicines retail market: recommendations to enhance long-term sustainability
Proudfoot et al.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d a LVEF less than 40% present an overall lowe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an those with LVEF between 40% and 60%: a multinational real-world survey in EU
Sunkara et al.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cleft lip and palate websites and patient education information
Choi et al. P4782 Direct comparison of dabigatran, apixaban, rivaroxaban and edoxaban for effectiveness and safety among patients with non-valvular atrial fibrillation
Senatore et al. Standardized classification and framework for reporting and interpreting medication non-adherence in clinical trials
US202202618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rug pricing information
Stewart et al. Presence of a practice nurse to facilitate an intensive, structured care approach to hypertension management in primary care results in improved adherence to the strategy and better BP control
Angermann et al. Real-world drug prescription patterns and mortality risk in patients hospitalized with acute heart hailure: impact of multimorbidity and heart failure phenotype
Hlinomaz et al. Clinical outcomes with drug-eluting stents, bare-metal stents, and bioresorbable scaffolds implanted in patients with AMI treated with primary PCI. Data from the Prague-18 trial
Cosin Sales et al. Real vs perceived LDL cholesterol control in clinical practice in Spain: Which factors are related to real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