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155A - 단말간 직접통신에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간 직접통신에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155A
KR20150106155A KR1020140028290A KR20140028290A KR20150106155A KR 20150106155 A KR20150106155 A KR 20150106155A KR 1020140028290 A KR1020140028290 A KR 1020140028290A KR 20140028290 A KR20140028290 A KR 20140028290A KR 20150106155 A KR20150106155 A KR 20150106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terminal
search
dense region
re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553B1 (ko
Inventor
김상효
류현석
김대균
박승훈
강진환
고명훈
장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8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553B1/ko
Priority to US14/645,163 priority patent/US10149302B2/en
Publication of KR2015010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간섭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단말의 위치가 미리 결정된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제1지역에 포함되는 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지역에 위치함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1단말이 상기 직접 통신의 대상 단말을 탐색하는 신호의 가용 자원 중 상기 제1지역의 전용 자원을 구성하는 일부 자원을 상기 신호의 자원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간 직접통신에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OF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단말간 직접통신에서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공간 내의 단말들은 한정된 자원 예를 들어, 시간 및 주파수 등을 공유하여 사용한다. 특정 공간에 단말이 지나치게 많이 존재하게 되면, 단말 당 할당되는 통신자원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다수의 단말들은 만족할 만한 통신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한다. 그리하여, 기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 밀집에 따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셀 소형화(small cell),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등과 같은 기지국 중심의 기법들을 사용해왔다. 구체적인 예로, 다수의 사람들이 밀집하는 쇼핑몰, 공항 등의 지역(이하, '밀집지역'이라 칭하기로 함)에는 소형 기지국, 중계기 등을 설치하여 다량의 트래픽(traffic)에 대비하고, Wi-Fi AP(Access Point) 등을 설치하여 이종 네트워크로 트래픽을 분산시킨다. 또한, 특정 기간과 장소에 사람들이 몰리는 환경, 예를 들어 크리스마스의 번화가 같은 상황에서는 이동형 기지국을 배치시켜서 트래픽 폭증에 대비하기도 한다.
이와 비교하여, 단말들이 기지국, Wi-Fi AP 등의 인프라 설비를 활용하지 않고 통신하는 분산형 통신 중 하나인 단말간 직접 통신(device-to-device, D2D)은 상당 부분의 동작을 단말 스스로 수행해야 한다. 그리하여, 기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밀집지역의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서 앞서 설명한 방법들은, D2D 통신에 바로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분산형 통신 환경에서 밀집지역의 간섭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D2D 통신과 같은 분산형 통신 환경에서 밀집지역 내 자원을 관리하고 및 간섭을 제어하는 방안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D2D 통신을 수행할 각 단말들이 스스로 밀집지역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단말이 밀집지역으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하면, 자원 분할을 이용하여 간섭을 제어하는 방안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간섭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단말의 위치가 미리 결정된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제1지역에 포함되는 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지역에 위치함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1단말이 상기 직접 통신의 대상 단말을 탐색하는 신호의 가용 자원 중 상기 제1지역의 전용 자원을 구성하는 일부 자원을 상기 신호의 자원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간섭 제어를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가 미리 결정된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제1지역에 포함되는 지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1지역에 위치함을 확인한 경우, 상기 직접 통신의 대상 단말을 탐색하는 신호의 가용 자원 중 상기 제1지역의 전용 자원을 구성하는 일부 자원을 상기 신호의 자원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단말은 자신이 밀집지역 내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밀집지역 내에 위치할 경우, 가용 자원 중 밀집지역의 전용 자원에서 탐색 신호를 송신할 자원을 선택함으로써, 다른 기기들로 인해서 발생하는 간섭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단말 탐색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그물형 네트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일반적인 D2D 통신을 위한 타이밍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D2D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밀집지역 판단 조건에 따라 자신의 밀집지역 위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밀집지역 위치한 단말이 동일 밀집지역에 위치한 다른 단말들에 의한 간섭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 단위의 자원 분할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반송파 단위의 자원 분할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밀집지역 별로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을 다르게 선택하는 랜덤 자원 영역 선택 방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 분할 방안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고정된 밀집지역 내에 설치된 주변 기기를 통해서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고정용 밀집지역 이외의 밀집지역에서 밀집지역용 탐색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밀집지역용 탐색자원에서 해당 단말의 DRB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방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밀집지역용 탐색자원에서 해당 단말의 DRB를 선택하는 방안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밀집지역용 탐색자원에서 해당 단말의 DRB를 선택하는 방안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영역을 위한 자원 분할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RB 선택 방법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 분할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 분할을 단일 탐색 구간에 적용한 경우의 성능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 분할이 적용된 지역별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 분할을 반복 탐색 구간에 적용한 경우의 성능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다음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일반적인 D2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단말이 D2D 통신이 가능한 거리 및 D2D 통신을 수행할 다른 단말들을 검색하는 단말 탐색(discovery) 절차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단말 탐색 절차는 D2D 통신을 수행할 단말들 간의 링크(link)를 설정하고, 해당 링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본격적인 통신 과정 이전에 반드시 수행되어야 할 기본 절차이다.
도 1a는 일반적인 단말 탐색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그물형 네트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일 예로, 총 7개의 단말1 ~7(102~112) 각각이 단말 탐색 절차를 수행한다.
그리고, 도 1b는 일반적인 D2D 통신을 위한 타이밍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D2D 통신을 위한 시구간은, 일 예로, 해당 단말이 다른 단말과 동기를 맞추는 동기 구간(114)과, 해당 단말이 D2D 통신을 수행할 상대 단말 탐색 절차를 수행하는 디스커버리 구간(116) 및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는 페이징 구간(118) 및 실제 상대 단말과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D2D 통신 구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커버리 구간(116)을 제외한 구간들은 일반적인 D2D 통신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커버리 구간(116)에서 상기 단말 1(100) 내지 단말7(112) 각각은 네트워크 주소를 비롯한 단말 탐색에 필요한 정보를 주변 단말들이 들을 수 있도록 방송(broadcast)하고, 이와 동시에 다른 단말들이 방송한 신호를 복원하여 주변 단말의 탐색정보를 식별한다.
도 2는 일반적인 D2D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예로, 단말 1(202)이 D2D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단말1(202)은 D2D통신이 가능한 거리(200)와, D2D 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한 인접 단말들 예를 들어, 단말 2(204), 단말3(206) 및 단말 4(208)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단말 탐색 절차를 수행한다. D2D 통신을 위한 타이밍 구조(220)는 도 1b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 구조(220)에서 단말 탐색 절차가 수행되는 디스커버리 구간(116)과 같이 별도의 시간 및 주파수로 구성된 통신 자원(이하, '전체 탐색 자원'이라 칭함)이 할당된다. 상기 디스커버리 구간(116)에 할당된 전체 탐색 자원은 미리 결정된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위치한 모든 단말들이 공유하기 때문에, 단말 탐색 절차는 다중-접속(multiple-access)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그리고, 해당 단말이 D2D 통신을 수행할 상대 단말을 탐색하기 위해서 송신하는 탐색 신호는 일반적인 통신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길이보다 짧다. 그리고, 상기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각 단말은 상기 디스커버리 구간(116)에 할당된 전체 탐색 자원 중 일부 자원을 이용하여 탐색 신호를 방송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일부 자원은 상기 디스커버리 구간(116)에 할당된 전체 탐색 자원에 대응하는 시간 및 주파수에서 일 예로, 동일한 시간 간격을 갖는 부분 시간 및 부분 주파수로 구성된 탐색 자원 블록(DRB: Discovery Resource Block)들 중 하나를 탐색 신호를 방송한다. 도 2에서 음영 표기된 블록들이 각 단말 별로 할당된 DRB를 나타낸다. D2D 통신은, 각 단말에게 배타적인 자원을 할당해 줄 기지국과 같은 인프라 설비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각 단말 스스로 탐색 신호를 송신할 DRB를 선택한다.
만약, 이러한 단말 탐색 절차가 밀집지역에서 수행될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해당 단말은 다른 단말들과 상기 디스커버리 구간(116)에 할당된 전체 탐색 자원을 구성하는DRB들을 나누어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단말과 중복된 DRB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은 밀집지역 외부에 위치한 단말(이하, '외부 단말'이라 칭함)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간섭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D2D 통신을 위한 단말 탐색 절차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D2D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단말이 자신이 밀집지역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탐색 환경 자가 판단 방안을 제안한다. 그리고, 해당 단말이 자신이 밀집지역에 위치함을 확인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단말 탐색 절차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자원 분할이나 전력 제어, 탐색 주기 제어 등을 이용하여 밀집지역에게 전용 자원을 할당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분산형 통신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산형 통신 중 하나인 D2D 통신을 대표적인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탐색 환경 자가 판단 방안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D2D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단말은 자신이 밀집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수신 전력값의 통계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전력값의 통계적 분석 방법은 해당 단말이 수신한 탐색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의 내용과 관계없이, 상기 수신한 탐색 신호의 전력값을 데이터화하여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탐색 신호는 단말 탐색 환경에 대한 어떠한 추가 정보도 포함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별도의 오버헤드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밀집지역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밀집지역을 수학적으로 정의하면, 특정 범위 내에 일정 수 이상의 단말이 존재하는(즉, 해당 단말의 반경 X 미터 이내에 Y 개 이상의 이웃 단말이 존재하는) 환경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반경 X 미터 내에 단말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X와 Y는 측정과 계산이 용이한 수 일 예로, X는 '수십 미터', Y는 '수십 개' 내외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밀집지역의 수학적 정의는 각 단말이 스스로가 밀집지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수신 신호의 전력을 측정함으로써 밀집지역 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과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간의 물리적인 거리가 짧은 만큼 시야가 확보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물리적인 거리가 짧은 단말 쌍들은, 상대적으로 LOS(line of sight)가 확보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해당 단말이 밀집지역에 존재할 경우, 밀집지역에서의 단말들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가깝다. 그러므로,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을 갖는 탐색 신호를 다수 수신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해당 단말이 인접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탐색 신호 송신에 할당된 DRB의 전력 레벨을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 결과, "특정 전력 레벨 이상의 DRB들이 미리 결정된 수 이상"인 조건(이하, '밀집지역 판단 조건'이라 칭함)을 만족할 경우, 상기 단말은 자신이 밀집지역에 위치함을 인지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단말은, 상기 밀집지역 판단 조건의 구성 요소인 "특정 전력 레벨"과 상기 특정 전력 레벨 이상인 DRB들의 "미리 결정된 수" 각각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이 수신한 탐색 신호의 전력 레벨의 기준이 될 상기 "특정 전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잡음 전력(PN: Power Noise) 레벨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열 잡음(thermal noise) 전력 레벨은 대부분의 통신시스템 환경에서 쉽게 주어지는 정보이며, 보통 사용 주파수 대역 외의 외부 주파수 대역에서 측정된다. 만약, 열 잡음의 전력 레벨을 별도로 활용할 수 없을 경우, 수신한 탐색 신호들 각각에 대해 측정된 DRB의 전력값들 중 최소값을 열-잡음 전력으로 가정할 수 있다. 또는, DRB의 전력값들 중 최소값을 갖는 일정 비율의 DRB들의 평균값을 열-잡음 전력값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열-잡음 전력값 즉, 전력 레벨은 편의상, 데시벨(dB) 단위로 주어진 경우를 가정하자.
그리고, 수신한 탐색 신호들의 DRB들 중, 설정된 열-잡음 전력값(PN)을 기준으로 결정된 밀집지역 판단 조건인 'PN +α' dB 이상의 전력값을 갖는 DRB들의 수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DRB들의 수가 미리 설정한 수 λ보다 클 경우, 해당 단말은 자신이 현재 밀집지역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상기한 밀집지역 판단 조건은 앞서 설명한 밀집지역의 수학적 정의에 기반한다. 즉, 반경 X 미터 내에 Y개의 단말이 존재하는, 밀집지역의 수학적 정의를 기반으로, 열-잡음 레벨 대비 전력(SNR: Signal to noise Ratio) α는 경로 손실 모델을 고려하여 반경 X를 반영할 수 있도록 결정될 것이다. 또한, 상기 미리 결정한 수 λ는 Y를 고려하여 설정될 것이다. 즉, 이 동작은 수신 SNR α 이상의 신호를 송신한 단말이 해당 단말 주변에 최소 λ개 이상임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밀집지역 판단 조건에 따라 자신의 밀집지역 위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의 일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예로, SNR α는 -70dB로 설정되고, SNR α(300) 이상인 DRB들의 수가 상기 미리 결정한 수 λ를 초과하는 점선(302)의 경우 해당 단말이 밀집지역에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SNR α(300) 이상인 DRB들의 수가 상기 미리 결정한 수 λ 이하인 실선(304)의 경우, 해당 단말이 밀집지역의 외부 지역에 있다고 판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α와 λ에 의해서 구성된 밀집지역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각 단말은 자신이 밀집지역에 속해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밀집지역 판단 조건을 구성하는 파라미터(parameter)인 α 및 λ의 값이 정확할수록 밀집지역 판단 동작의 정확성이 높아질 것이다. 이를 위해서 밀집지역 판단 조건을 구성하는 파라미터 α와 λ는 단말 제조사 혹은 통신서비스 제공자가 디폴트(default) 값을 결정할 수 있고, 단말이 결정된 디폴트 값의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고정형 (static)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해당 단말이 과거에 수신한 탐색 신호 및 이들을 기반으로 밀집지역을 판단한 결과를 축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파라미터들 각각의 값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학습형 (learning)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말 탐색 절차에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안
한편,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은 자신과 동일한 밀집지역에 위치한 다른 단말들의 탐색 신호가 간섭으로 작용하여 성능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이 단말 탐색 절차를 수행할 경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동일 밀집지역 위치한 다른 단말의 신호에 의한 간섭을 조절하기 자원 분할(resource partitioning) 방안을 제안한다.
도 4는 밀집지역 위치한 단말이 동일 밀집지역에 위치한 다른 단말들에 의한 간섭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예로, 단말1(402)이 밀집지역으로 이동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리고, 상기 단말1(402) 은 앞서 설명한 밀집지역 판단 조건을 만족함을 확인하여 자신이 밀집지역(400)에 위치함을 인지한 상태를 가정하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밀집지역 내에 위치한 단말들간의 거리는 수십미터(m) 이하로 상당히 가까우며, 해당 단말들의 탐색 신호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경로 손실을 겪는다. 이로 인해, 상기 단말1(402)은 동일한 밀집지역 내 다른 단말들의 탐색 신호를 복원하기에 충분한 전력으로 수신한다. 이로 인해서, 상기 단말1(402)은 동일한 밀집지역 내 위치한 다른 단말들의 탐색 신호들을 수신함과 동시에 이들로 인한 내부 대역 방출(IBE: in-band emission) 간섭의 전력 또한 상당히 크게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IBE란 신호 전송에 따른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으로, 임의의 탐색 신호가 특정 서브프레임(시간), 특정 대역(주파수)을 통해 전송되면, 상기 탐색 신호의 전력 일부가 동일 서브프레임의 다른 대역에 간섭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2(404) 및 단말3(406)이 단말1(402)과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DRB를 선택할 경우, 상기 단말1(402)은 상기 단말2(404) 및 단말3(406)이 송신한 탐색 신호들로 인한 IBE 간섭을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들 각각이 전체 탐색 자원(410)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 모두에서 탐색 신호를 위한 DRB(전체 탐색 자원(410) 중 음영 표기된 서브 블록에 대응)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모든 DRB들이 상당히 큰 IBE 간섭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 간섭이 없는 경우를 가정한 상태에서 식별 가능한 거리에 존재하는 단말들 일 예로, 단말2(404)가, 송신한 탐색 신호는 상기 밀집지역(400)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들로 인한 IBE 간섭에 묻혀 단말1(402)이 복원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단말의 탐색 신호를 위해서 할당된 전체 가용 자원(이하, '전체 탐색 자원'이라 칭함) 중 일부를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들이 탐색 신호를 위한 자원(이하,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이라 칭함)으로 사용하는 자원 분할 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자원 분할 방안은 실시 예에 따라 서브 프레임 단위와 부반송파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 단위의 자원 분할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의 실시 예에서는 동일한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들이 전체 탐색 자원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들 중 일부 서브프레임에서만 탐색 신호를 위한 DRB를 선택하고, 선택한 DRB를 사용하여 탐색 신호를 전송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단말1(501)은 앞서 설명한 밀집지역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자신이 밀집지역(500)에 위치함을 인지한 경우를 가정한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1(501)은 인접 단말들로부터 자신이 밀집지역(500) 내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밀집 지역(500) 내에 위치한 상기 단말1(501)의 인접 단말들이 존재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1(501)은 상기한 인접 단말들과의 탐식 신호를 과정에서 상기 인접 단말들로부터 수신하는 탐색신호에 현재 진입한 상기 밀집지역(500)이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밀집지역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도 7 동작에서 상세히 후술된다.그러면, 상기 단말1(501)은 상기 밀집지역(500)에서 탐색 신호를 위해서 사용 가능한 자원 즉,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에 대한 정보의 획득 과정은 실시 예에 따라 인접 단말로부터 획득하는 방법과 상기 밀집지역(500) 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의 탐색 신호를 분석하여 획득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획득 과정은 하기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밀집지역(500)에 대한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504)은 전체 탐색 자원(502)에 대응하는 프레임 중 일부 서브 프레임에 대응하는 부분 영역(504)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1(501)이 상기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504)의 위치를 확인하면, 상기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504) 중 자신의 탐색 신호를 송신할 DRB를 선택하고, 선택한DRB를 사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반송파 단위의 자원 분할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단말2(511) 역시 앞서 설명한 밀집지역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자신이 밀집지역(510)에 위치함을 인지한 경우를 가정한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2(511)는 인접 단말들로부터 자신이 밀집지역(510) 내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단말2(511)는 상기 밀집지역(510)에서 탐색 신호를 위해서 사용 가능한 자원 즉,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에 대한 정보의 획득 과정은 실시 예에 따라 인접 단말로부터 획득하는 방법과 상기 밀집지역(510) 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의 탐색 신호를 분석하여 획득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획득 과정 역시 하기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밀집지역(510)에 대한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514)은 전체 탐색 자원(502)을 구성하는 부반송파들 중 일부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부분 영역(514)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2(511)가 상기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514)의 위치를 확인하면, 상기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514) 중 자신의 탐색 신호를 송신할 DRB를 선택하고, 선택한 DRB를 사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을 전체 탐색 자원 중 일부 서브프레임과 일부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분할하는 방안 역시 고려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밀집지역의 외부(이하, '비 밀집지역'이라 칭함)에 위치한 단말(이하, '외부 단말'이라 칭함)이 탐색 신호를 위한 DRB를 선택하는 자원 영역에 대한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한다. 즉, 외부 단말은 전체 탐색 자원에서 DRB를 선택하여 탐색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전체 탐색 자원 중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에서 자신의 탐색 신호를 위한 DRB를 선택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외부 단말이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 이외의 나머지 자원에서 탐색 신호를 위한 DRB를 선택할 경우, 상기 외부 단말의 탐색 신호는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들의 탐색 신호들의 송신으로 인한 간섭이 작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SINR(Signal to Interference to Noise Ratio)을 가지며, 이로 인하여 탐색 확률도 커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자원 분할로 인한 다양화(diversity)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밀집지역마다 선택 가능한 서브프레임, 혹은 부반송파 영역을 다르게 선택할 수 있다.
도 6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밀집지역 별로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을 다르게 선택하는 랜덤 자원 영역 선택 방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각 밀집지역 예를 들어, 밀집지역A(600)와 밀집지역 B(610) 각각에 대해 전체 탐색 자원 중 선택할 수 있는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의 비율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때,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의 비율은 밀집지역 별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해당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들의 수와, 밀집지역의 물리적인 범위 등과 같은, 각 밀집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밀집지역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밀집지역A(600)와, 상기 밀집지역B(610) 각각의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의 비율이 동일하게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해당 비율을 기반으로, 각 밀집지역을 위한 자원 분할은 랜덤하게 결정된다. 구체적인 예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밀집지역A(600)에 대한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606)를 실시 예에 따라 밀집지역 별로 랜덤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체 탐색 자원(604)에서 상기 시작 위치(606)로부터 정해진 비율(608)만큼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전체 탐색 자원(604)은 정해진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으로 한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체 탐색 자원(604)의 가로 축은 시간 영역에 대응하고 세로 축은 주파수 영역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집지역 B(610)용 탐색 자원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614)를 일 예로, 상기 전체 탐색 자원(604)을 구성하는 시간 영역의 끝에서 a비율만큼 떨어진 지점인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서브 프레임 시작 위치(614)부터 상기 a 비율에 대응하는 부분 서브 프레임과, 전체 탐색 자원(604)에 대응하는 서브 프레임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b 비율에 대응하는 부분 서브 프레임을 밀집지역 B(610)용 탐색 자원의 비율(a+b)에 대응하는 자원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밀집지역은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 자원 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 관련 정보로서, 해당 밀집지역의 서브 프레임 시작 위치와, 전체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이 차지하는 비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그에 대응하는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도6a,b는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이 자신의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을 서브 프레임 단위로 획득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이 부반송파 단위로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을 획득할 수도 있고, 서브 프레임 단위 및 부반송파 단위를 혼용하여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을 획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원 분할 방식은 하기 도 10a 내지 10c를 기반으로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 분할 방안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참조하면, 단말1(702)이 밀집지역(700)으로 이동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701단계에서 상기 단말1(702)는 자신이 밀집지역(700)에 위치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경우,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1(702)은 직접 앞서 설명한 밀집지역 판단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주변 기기 혹은 인접 단말로부터 밀집지역(700)에 위치하는 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708a)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주변 기기는 상기 밀집지역(700) 내에 설치된 기지국, 중계국 또는 WI-FI AP,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센서 등에 등이 해당한다. 만약, 밀집지역(700)의 정보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704)가 설치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밀집지역(700)에 진입하는 단말 일 예로, 단말1(706)은 상기 주변 기기(704)가 송신하는 밀집지역(700)의 정보를 직접 수신(708b)하여 자신이 현재 밀집지역으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혹은, 상기 밀집지역(700)을 이미 인식하고 있는 인접 단말 일 예로, 인접단말1(706)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탐색 신호에 포함된 밀집지역 여부 정보를 확인(708a)하여 밀집지역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말1(702)이 상기 밀집지역(700)에 자신이 위치함을 인지하면, 708a,b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일 예로, 인접 단말1(706) 또는 주변 기기(704)를 통해서 상기 밀집지역(700)용 탐색 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에 대한 정보는 전체 탐색 자원(712) 중 밀집지역(700)용 탐색 자원이 시작되는 서브 프레임의 위치 및 밀집지역(700)용 탐색 자원이 전체 탐색 자원(712)에서 점유하는 비율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시작되는 서브 프레임의 위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부반송파의 위치 또는, 서브 프레임과 부반송파의 위치로 표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밀집지역(700)용 탐색 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주변 기기(일 예로, 도 7의 704에 대응함)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하거나, 인접 단말의 탐색 신호를 분석하는 동작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밀집지역(700)이 쇼핑몰, 공항, 사무실과 같은 유동 인구가 많은 건물일 경우, 해당 건물 내에 다수의 단말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건물을 고정적 밀집지역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은 고정적 밀집지역 내 단말들의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해당 건물 내에 중계기나 Wi-Fi AP 등의 주변 기기를 별도로 배치한다. 또한, 건물과 같은 고정된 공간이라는 특성에 따라 RFID, 적외선 센서와 같은 다양한 통신 보조기기의 설치가 용이하다. 즉, 건물 내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인프라구조가 잘 구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고정된 밀집지역 내에 설치된 주변 기기를 통해서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적 밀집지역(810)의 입구에 보조 기기(808)가 설치된 경우를 가정하자. 그리고, 단말(802)이 상기 고정적 밀집지역(810)으로 이동(804)할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이동 중, 806단계에서 상기 단말(802)은 상기 고정적 밀집지역(810)의 입구에서 상기 보조 기기(808)가 전송하는 상기 고정적 밀집지역(810)용 탐색 자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기기(808)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상기 단말(802)이 진입함을 감지하면, 상기 고정적 밀집지역(810)용 탐색 자원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802)은 자신이 상기 고정용 밀집지역(810)의 진입 여부를 인지할 경우, 상기 보조 기기(808)에게 직접 상기 고정적 밀집지역(810)용 탐색 자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고정용 밀집지역 이외의 밀집지역에서 밀집지역용 탐색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예로 대상 단말(902)가 이동을 통해서 밀집지역(900)으로 이동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리고, 상기 밀집지역(900)에 위치한 다른 단말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 분할 방안을 통해서 결정된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 내에서 탐색 신호를 위한 DRB를 선택 완료한 상태임을 가정하자.
만약, 상기 밀집지역(900)에 위치한 단말들 각각이 송신하는 탐색 신호 내에 상기 밀집지역(900)용 탐색자원 중 선택 가능한 자원 정보가 명시적으로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904단계에서 상기 대상 단말(902)은 상기 밀집지역(900)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의 탐색 신호를 통해서 상기 선택 가능한 자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단말의 탐색 신호에 명시된 선택 가능한 자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반면,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 별로 선택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를 송신함에 따른 오버헤드(overhead)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밀집지역(900)에 위치한 다른 단말들이 상기 선택 가능한 자원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탐색 신호를 송신할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대상 단말(902)은 수신되는 다른 단말 별 탐색 신호의 전력값을 바탕으로, 전체 탐색 자원 중 선택 가능한 자원을 유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대상 단말(902)은 다른 단말의 탐색 신호로부터 선택 가능한 자원 정보를 획득하거나, 직접 유추한 선택 가능한 자원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선택 가능한 자원 내에 자신의 탐색 신호를 위한 DRB 선택한다. 만약, 상기 대상 단말(902)이 탐색 신호를 반복적으로 송신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선택 가능한 자원 내에서 DRB를 실시 예 별로 랜덤하게 선택하거나, 라틴 스퀘어 (Latin square)같은 정해진 패턴을 사용하여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집지역용 자원 분할은 단말의 동작, 주변기기의 설치 여부에 따라 하기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한 3가지 방식으로 DRB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밀집지역용 탐색자원에서 해당 단말의 DRB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방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0a 내지 도 10c에서 후술할 대상 단말(1002)은 설명의 편의상, 자신이 밀집지역(1000)에 위치함을 인지하고 있으며, 상기 밀집지역(1000)에 대해 선택 가능한 자원 정보를 획득한 도 9의 대상 단말(902)에 대응한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전체 탐색 자원(1004) 중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1006)을 구성하는 DRB들 중 선택된 DRB들은 음영 표기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대상 단말(1002)은 자신이 위치한 밀집지역(1000)용 탐색자원(1006)을 구성하는 DRB들 중 선택 가능 자원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 가능한 DRB들 중 하나(1008)를 임의로 선택한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밀집지역용 탐색자원에서 해당 단말의 DRB를 선택하는 방안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IBE 간섭은 해당 신호가 전송된 동일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다른 DRB들에게만 영향을 미치므로, IBE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각 서브프레임 별로 균일한 DRB를 선택한다. 이를 위해서 도 10b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대상 단말(1002)은 상기 밀집지역(1000)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들의 탐색 신호로부터 해당 단말이 선택한 DRB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대상 단말(1002)은 상기 밀집지역(1000)용 탐색 자원(1006)을 구성하는 각 서브프레임의 전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대상 단말(1002)은 가장 낮은 전력을 갖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하나의 DRB(1018)를 임의로 선택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1006)을 구성하는 서브 프레임 별로 균일한 일 예로, 총 3개의 DRB들이 선택된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밀집지역용 탐색자원에서 해당 단말의 DRB를 선택하는 방안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c는 IBE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밀집지역(1000)을 관리하는 주변기기(1004)가 설치된 경우, 상기 주변 기기(1004)를 통해서 구현 가능하다. IBE 간섭은 해당 단말의 탐색 신호가 전송된 DRB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DRB일수록 크게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도 10c의 실시 예는 주변 기기(1004)가 상기 밀집지역(1000)에 위치한 단말들의 DRB들을 분산적으로 할당한다. 즉, 도 10c의 실시 예에 따른 주변 기기(1004)는 상기 밀집지역(1000)용 탐색자원(1006)에서 단말 별 DRB 사용 현황을 인지하고 있는 상태임을 가정하자. 그리고, 상기 주변 기기(1004)는 상기 대상 단말(1002)로부터 DRB 할당 요청을 수신하면, 전체 탐색 자원(1004) 중 상기 밀집지역(1000)용 탐색자원(1006)에서 할당 가능한 DRB들 중 이미 다른 단말들에게 할당된 DRB들의 서브 프레임 및 부반송파와 일정 간격만큼 떨어진 DRB(1028)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전체 탐색 자원 중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외부 단말들의 탐색 신호를 위한 DRB를 할당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영역을 위한 자원 분할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밀집지역(1100) 내에 위치한 단말 1(1102)은 전체 탐색 자원(1106) 중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 영역(1108)을 구성하는 DRB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밀집지역(1100)의 외부에 위치한 단말 중 일 예로 외부 단말(1104)은 상기 전체 탐색 자원(1106) 중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 영역(1108)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하, '외부 자원 영역'이라 칭함, 1109)을 구성하는 DRB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결과적으로, 도 11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 할당 방식을 통해서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들과 외부 단말들 각각은 탐색 신호를 위한 배타적 자원을 할당받게 된다.
도 11의 실시 예를 위해서는 상기 외부 단말(1104)이 상기 외부 자원 영역(1109)에 대한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만약, 상기 외부 단말(1104)이 상기 밀집지역(1100)에 위치하였다가 이탈한 경우에는, 전체 탐색 자원(1106) 중 미리 획득한 밀집지역용 탐색자원(1108)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탐색 신호를 위한 DRB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 단말(1104)이 이탈한 위치의 서빙 기지국에 의해서 상기 외부 단말(1104)의 DRB 선택 가능 영역이 할당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상기 외부 단말(1104)이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DRB 선택 가능 영역 내에서 탐색 신호를 위한 DRB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10a 내지 도 10c에서 설명한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DRB 선택 방법과, 도 11에서 설명한 외부 단말의 자원 분할 방법을 조합하여 다양한 DRB 선택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RB 선택 방법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RB 선택 방법은,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이 요구하는 조건에 따라 3가지 DRB 할당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외부 단말 역시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과의 분리 여부에 따라 2가지로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RB 선택 방법은 도 12에 도시한 총 6개의 경우의 수로 설명될 수 있다.
먼저,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DRB 선택 방법을 구분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조건은,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DRB 선택 시, 해당 단말의 추가적이 동작이 요구되지 않고, 주변 기기를 고려하지 않으며, 추가적인 오버헤드의 최소화 조건을 요구하는 경우,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은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을 구성하는 DRB들 중 임의의 DRB를 선택한다. 두 번째 조건은,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DRB 선택 시, 단말의 추가 동작으로 인한 오버 헤드 및 지연이 허용될 경우, 또는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이 겪는 간섭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은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을 구성하는 서브 프레임들 각각의 전력을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된 전력 중 가장 낮은 전력 값을 갖는 서브 프레임을 구성하는 DRB들 중 하나를 임의로 선택한다. 세 번째 조건은, 밀집지역을 관리하는 주변 기기가 설치된 경우, 상기 주변 기기는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들이 할당받은 DRB 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새로운 단말이 밀집지역에 진입하면, 상기 주변 기기는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에서 사용 가능한 자원을 구성하는 DRB들 중 상기 새로운 단말을 위한 DRB를 서브 프레임 및 부반송파 단위로 기 할당된 DRB들과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선택한다.
다음으로, 밀집지역 외에 위치한 외부 단말의 경우,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DRB를 선택하는 자원 분리 방식을 적용할 것인지 아니면,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의 구분 없이 외부 단말의 DRB를 선택하는 방식을 적용할지 여부에 따라 해당 DRB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한 조건들을 기반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방식 #1(1200)은 상기 첫번째 조건에 따라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DRB를 선택하고, 상기 자원 분리 방식을 적용하지 않고 외부 단말의 DRB를 선택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방식 #2(1204)는 외부 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경우 방식 #1과 동일하게 DRB를 선택하고, 밀접 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경우, 상기 두번째 조건에 따라 DRB를 선택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그리고 방식 #4(1208)는 상기 첫번째 조건에 따라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DRB를 선택하고, 상기 자원 분리 방식을 적용하여 외부 단말의 DRB를 선택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방식 #3(1206)은 상기 세번째 조건에 따라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DRB를 선택하고, 상기 자원 분리 방식을 적용하지 않고 외부 단말의 DRB를 선택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방식 #5(1210)은 상기 두번째 조건에 따라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DRB를 선택하고, 상기 자원 분리 방식을 적용하여 외부 단말의 DRB를 선택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방식 #6(1212)은 상기 세번째 조건에 따라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DRB를 선택하고, 상기 자원 분리 방식을 적용하여 외부 단말의 DRB를 선택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D2D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단말은 1300단계에서 자신의 현재 위치가 밀집지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밀집지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단말이 앞서 설명한 밀집지역 판단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밀집지역 판단 조건은 이전 설명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밀집지역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1305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일반적인 D2D 통신을 위한 동작들을 수행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밀집지역에 위치한 경우, 1310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밀집지역용 전용 자원을 기반으로, 탐색 신호를 위한 DRB를 선택한다. 상기 밀집지역용 전용 자원은 도 12에 도시한 6개의 DRB 선택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선택한다. 그리고, 1315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선택한 DRB를 이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1400)은 제어부(1405)와, 송수신부(1410)와, 밀집지역 판단부(1415) 및 자원 할당부(1420)를 포함한다. 상기한 단말(1400)을 구성하는 서브 유닛들은 설명의 편의상 일 예로서 예시된 것일 뿐, 실시 예 혹은 사업자의 의도에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되거나, 세부적인 동작들을 위한 서브 유닛들로 분할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405)의 지시에 따라 상기 밀집지역 판단부(1415)는 상기 단말(1400)의 현재 위치가 밀집지역인지 여부를 앞서 설명한 밀집지역 판단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에 따라 판단한다. 상기 단말(1400)이 밀집지역에 위치함을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1405)는 밀집지역용 전용 자원을 기반으로, 도 12에 도시한 6개의 DRB 선택 방법 중 하나로 탐색 신호를 위한 DRB를 선택하도록 상기 자원 할당부(1420)를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송수신부(1410)는 상기 제어부(1405)의 지시에 따라 상기 선택된 DRB를 사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 분할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네트워크 환경, 3GPP RAN(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adio Access Network)-1 회의에서 합의된 2-티어 네트워크 옵션(Tier Network option) 1을 따르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에 따라, 도 15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500의 셀 구성은, 각 셀에 설치된 기지국 사이의 거리(ISD: Inter-Site Distance)는 500미터이며, 각 셀은 3개의 섹터(sector)로 구성되고, 해당 섹터마다 일 예로, 가로 120미터, 세로 50미터의 건물이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각도로 회전되어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각 섹터에는 일 예로, 총 150개의 단말이 배치되고, 밀집지역에 100개의 단말이 위치하고, 나머지 50개의 단말 중 20개는 반경 1.5m 의 차량 및 작은 건물(이하, '가상 실내'로 칭하기로 함) 내부에 위치하고 30개는 건물 외부에 위치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탐색 신호에 대한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시간-주파수, 1505)은 일 예로, NFㅧNT = 44ㅧ50 = 2200 개의 DRB로 구성된다. NF는 주파수 자원의 부분 블록 수를 나타내고, NT 는 시간 자원의 부분 블록 수를 나타낸다.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 및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단말은 자신이 밀집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도 12에서 설명한 6가지 방식 중 하나의 방식에 따라 탐색 신호를 송신할 DRB 선택한다. 만약, D2D 통신을 위한 탐색 구간의 반복에 대한 성능 평가를 수행할 때, DRB 호핑은 정해진 각 규칙에 대해서 랜덤하게 이루어진 경우로 설정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 분할을 단일 탐색 구간에 적용한 경우의 성능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성능 결과는 도 15의 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X축은 해당 단말이 탐색한 단말들의 수를 나타내고, Y축은 상기 탐색한 단말들의 수를 발견할 확률을 CDF(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로 나타낸다. 성능 결과 그래프는 가상 실내와, 밀집지역 및 건물 외부 각각의 결과를 구분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 분할이 적용될 경우, 밀집지역 단말의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그리고, 건물 외부에서는 밀집지역 단말이 선택하지 않은 자원을 사용할 경우, 간섭이 감소하기 때문에 탐색 성능이 향상되었다. 본 발명의 자원 분할이 적용되지 않는 랜덤 방식을 사용할 경우, 해당 단말이 평균 탐색 단말 수가 가장 낮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 분할 방식 즉, 도 12에 도시한 6개의 DRB 선택 방법 중 방식 #6의 평균 탐색 단말 수가 가장 높음을 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 분할이 적용된 지역별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 분할을 수행하게 되면,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성능 향상폭이 건물 외부나 가상 실내 등에 위치한 다른 단말들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 분할을 반복 탐색 구간에 적용한 경우의 성능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각 탐색 구간마다 누적되는 탐색 단말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 경우, 자원 분할을 적용하지 않는 랜덤 방식에 비해 자원 분할을 적용한 방식 #1 내지 #6 의 평균 탐색 단말 수가 높다. 그리고, 특히, 탐색 구간의 반복 초반(첫번째 주기)에 성능 향상이 크게 나타나고, 이후의 탐색 구간이 반복되어 64번째 주기에서도 각 방식 별 평균 탐색 단말의 수의 향상된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또한, 단일 탐색 구간은 방식 #6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낸 반면, 반복 탐색 구간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식 #1 내지 #6의 성능 차이가 크지 않다. 따라서, 반복 탐색 구간에서는 단일 탐색 구간과 같이, 완벽한 자원 분리, 서브프레임과 부반송파 단위로 균일 간격을 갖는 DRB를 선택하는 등의 매우 복잡한 기법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밀집지역용 탐색 자원 내의 DRB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방식만으로도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4)

  1.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간섭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단말의 위치가 미리 결정된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제1지역에 포함되는 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지역에 위치함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1단말이 상기 직접 통신의 대상 단말을 탐색하는 신호의 가용 자원 중 상기 제1지역의 전용 자원을 구성하는 일부 자원을 상기 신호의 자원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간섭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조건은,
    상기 제1단말이 인접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획득한 전력 레벨들 중, 미리 결정된 전력 레벨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전력 레벨이 미리 결정 수보다 크거나 같은 조건임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자원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지역의 전용 자원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전용 자원 정보는, 상기 가용 자원 중 상기 전용 자원이 시작하는 서브 프레임의 위치 및 부반송파의 위치 및 상기 가용 자원에서 상기 전용 자원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간섭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자원을 상기 신호의 자원으로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전용 자원을 구성하는 부분 자원들 중 임의의 부분 자원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간섭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자원을 상기 신호의 자원으로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전용 자원을 구성하는 시간 단위의 부분 자원들이 균일하게 할당되도록 해당 부분 자원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간섭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자원을 상기 신호의 자원으로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전용 자원을 구성하는 부분 자원들 중 다른 단말에게 할당된 부분 자원들과 시간 단위 및 주파수 단위로 균일한 간격을 갖는 해당 부분 자원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간섭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자원을 상기 신호의 자원으로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가용 자원 중 상기 전용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을 구성하는 일부 자원을 상기 제1지역 외부에 위치한 외부 단말이 상기 직접 통신의 대상 단말을 탐색하는 신호를 위한 자원으로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간섭 제어 방법.
  8.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간섭 제어를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가 미리 결정된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제1지역에 포함되는 지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1지역에 위치함을 확인한 경우, 상기 직접 통신의 대상 단말을 탐색하는 신호의 가용 자원 중 상기 제1지역의 전용 자원을 구성하는 일부 자원을 상기 신호의 자원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조건은,
    상기 제1단말이 인접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획득한 전력 레벨들 중, 미리 결정된 전력 레벨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전력 레벨이 미리 결정 수보다 크거나 같은 조건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의 자원을 송수신부를 통해서 획득한 상기 제1지역의 전용 자원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일부 자원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전용 자원 정보는, 상기 가용 자원 중 상기 전용 자원이 시작하는 서브 프레임의 위치 및 부반송파의 위치 및 상기 가용 자원에서 상기 전용 자원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용 자원을 구성하는 부분 자원들 중 임의의 부분 자원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용 자원을 구성하는 시간 단위의 부분 자원들이 균일하게 할당되도록 해당 부분 자원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용 자원을 구성하는 부분 자원들 중 다른 단말에게 할당된 부분 자원들과 시간 단위 및 주파수 단위로 균일한 간격을 갖는 해당 부분 자원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용 자원 중 상기 전용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을 구성하는 일부 자원을 상기 제1지역 외부에 위치한 외부 단말이 상기 직접 통신의 대상 단말을 탐색하는 신호를 위한 자원으로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40028290A 2014-03-11 2014-03-11 단말간 직접통신에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79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290A KR102079553B1 (ko) 2014-03-11 2014-03-11 단말간 직접통신에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US14/645,163 US10149302B2 (en) 2014-03-11 2015-03-1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290A KR102079553B1 (ko) 2014-03-11 2014-03-11 단말간 직접통신에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155A true KR20150106155A (ko) 2015-09-21
KR102079553B1 KR102079553B1 (ko) 2020-04-07

Family

ID=54070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290A KR102079553B1 (ko) 2014-03-11 2014-03-11 단말간 직접통신에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49302B2 (ko)
KR (1) KR102079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3054A1 (ko) * 2016-01-14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d2d 단말이 지리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44525A1 (en) * 2014-05-08 2017-08-24 Fujitsu Limited Resource allocation
US10057752B2 (en) * 2014-08-08 2018-08-21 Koninklijke Kpn N.V. Interference avoidance in D2D communications
US10548069B2 (en) * 2016-08-19 2020-01-2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Wireless audio device provisioning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1339A1 (en) * 2005-10-31 2007-05-03 Shrum Kenneth W System for and method of multi-dimensional resource management
US20100240312A1 (en) * 2009-03-23 2010-09-2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erence avoidance in mixed device-to-device and cellular environment
US20130066966A1 (en) * 2011-09-14 2013-03-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eer discovery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US20130150058A1 (en) * 2011-12-07 2013-06-13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resources for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base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130272262A1 (en) * 2012-04-13 2013-10-17 Qinghua Li Multi-access scheme and signal structure for d2d communications
US20140226504A1 (en) * 2013-02-14 2014-08-14 Qualcomm Incorporated Joint scheduling of device-to-device (d2d) links and wide area network (wan) uplink (ul) user equipments (ues)
US20150148965A1 (en) * 2013-11-22 2015-05-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to control a communication rate between a thermostat and a cloud based serv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5860B2 (en) 2009-03-16 2012-10-09 Apple Inc. Efficient service discovery for peer-to-peer networking devices
NL2002729C2 (en) * 2009-04-08 2010-10-11 Riet Equipment B V Van Conveying device and pusher shoe for use in the device.
US8634771B2 (en) 2011-06-15 2014-01-21 Microsoft Corporation Simple peer-to-peer network formation
US8520650B2 (en) 2011-07-06 2013-08-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OFDM peer discovery
US20130010618A1 (en) 2011-07-07 2013-01-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lexibility in peer discovery range and frequency of updates
US10212646B2 (en) * 2013-01-25 2019-02-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ell discover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1339A1 (en) * 2005-10-31 2007-05-03 Shrum Kenneth W System for and method of multi-dimensional resource management
US20100240312A1 (en) * 2009-03-23 2010-09-2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erence avoidance in mixed device-to-device and cellular environment
US20130066966A1 (en) * 2011-09-14 2013-03-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eer discovery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US20130150058A1 (en) * 2011-12-07 2013-06-13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resources for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base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130272262A1 (en) * 2012-04-13 2013-10-17 Qinghua Li Multi-access scheme and signal structure for d2d communications
US20140226504A1 (en) * 2013-02-14 2014-08-14 Qualcomm Incorporated Joint scheduling of device-to-device (d2d) links and wide area network (wan) uplink (ul) user equipments (ues)
US20150148965A1 (en) * 2013-11-22 2015-05-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to control a communication rate between a thermostat and a cloud based serv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3092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3054A1 (ko) * 2016-01-14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d2d 단말이 지리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64695A1 (en) 2015-09-17
US10149302B2 (en) 2018-12-04
KR102079553B1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89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tracking channel
CN107666681B (zh) 传输数据的方法及设备
US9955484B2 (en) Position information based access to a shared radio access channel
KR102280577B1 (ko) D2d 통신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7852649B (zh) 用于测量和延迟敏感型车辆有关通信的方法、基站、基础设施节点以及终端
KR102087665B1 (ko)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인가 대역 채널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JP643921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8583099B2 (en) Method for uplink commun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KR101725123B1 (ko) 상이한 기술들의 다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단거리 기지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536951B2 (en) Methods, base station, infrastructure node and terminal
KR102079553B1 (ko) 단말간 직접통신에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EP2884800B1 (en) Signal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EP2282565A1 (en) Used frequency setting method, network device and wireless base station
KR2013012274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셀 내 마이크로 셀을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17175B1 (ko) 인-밴드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간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JP7246925B2 (ja) 共有通信媒体上での共存のためのオペレータ識別
US20140080498A1 (en) Controller for coordinating wireless transmissions between a plurality of radio units and one or more user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