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938A - 석판 재단장치 - Google Patents

석판 재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938A
KR20150105938A KR1020150122309A KR20150122309A KR20150105938A KR 20150105938 A KR20150105938 A KR 20150105938A KR 1020150122309 A KR1020150122309 A KR 1020150122309A KR 20150122309 A KR20150122309 A KR 20150122309A KR 20150105938 A KR20150105938 A KR 20150105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ir
cutting
base frame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임성진
이지수
서한식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주)빗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주)빗살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2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5938A/ko
Publication of KR20150105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1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with cylinder saws, e.g. trepanning; saw cylinders, e.g. having their cutting rim equipped with abrasiv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석판 재단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석판 재단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석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유닛; 및, 상기 본체부 상에서 좌우, 전후, 상하 위치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 상에 일렬로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커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사각틀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컨베이유닛이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커팅유닛을 전후로 위치이동시키는 전후 가이드부; 상기 전후 가이드부에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커팅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전후 가이드부에 대해 좌우 및 상하 위치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커팅유닛을 좌우 또는 상하 위치이동시키는 복수의 좌우 및 상하 가이드부; 및,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의해 이송된 상기 석판을 일측으로 밀어 고정시키는 실린더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석판 재단장치 {CUTTING APPARATUS FOR STONE PLATE}
본 발명은 석판 재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판을 일정크기로 커팅하여 재단하는 석판 재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재나 외장 마감재, 기타 여러 용도로 사용되는 석판("석판재" 또는 "석재판"이라고도 함)은 석판 재단장치를 이용해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기존의 석판 재단장치는 단일의 원형톱날이 이동하면서 석판을 커팅하는 구조도 있었으며, 복수의 원형톱날이 한꺼번에 석판을 여러조각으로 커팅하는 구조도 있었다.
이러한 기존의 석판 재단장치는 석판을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커팅하지 못해서, 정교하고 정밀한 치수의 커팅을 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커팅시 분진가루가 비산하여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며 작업환경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커팅시 톱날과 석판의 마찰열에 의해 톱날이 가열되면서 쉽게 톱날이 마모되어 톱날이 수명이 짧아질 뿐 아니라, 톱날이 가열됨으로써 주변 부품들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기존의 석판재단장치가 다수의 톱날로 이루어진 구조일 경우, 각각의 톱날의 폭을 독립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쉽지 않아, 석판을 다양한 폭을 갖는 복수의 조각으로 커팅하는 것이 어려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7675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2906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석판을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다수의 톱날에 의해 복수의 조각으로 정밀하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한 석판 재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수를 분사하여 톱날과 석판의 마찰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절기시 컨베이어유닛의 결빙이 방지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석판 재단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인 커팅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뿐 아니라, 효율적인 커팅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석판 재단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석판 재단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석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유닛; 및, 상기 본체부 상에서 좌우, 전후, 상하 위치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 상에 일렬로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커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사각틀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컨베이유닛이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커팅유닛을 전후로 위치이동시키는 전후 가이드부; 상기 전후 가이드부에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커팅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전후 가이드부에 대해 좌우 및 상하 위치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커팅유닛을 좌우 또는 상하 위치이동시키는 복수의 좌우 및 상하 가이드부; 및,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의해 이송된 상기 석판을 일측으로 밀어 고정시키는 실린더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후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전후방향을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레일; 상기 한 상의 제1레일 각각에 안내되어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후이동부재; 상기 한 쌍의 전후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빔;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한 쌍의 전후 이동부재를 전후 방향을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연결빔상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 상기 연결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연결빔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구동모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제1구동축;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레크; 및, 상기 제1구동축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레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레크를 직선운동하게 하는 피니언;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좌우 및 상하 가이드부 각각은, 상기 연결빔의 전면에 대해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좌우 이동부재; 및, 상기 좌우 이동부재에 대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상하 이동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좌우 이동부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상하 이동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전후 이동부재에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 및,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전후 이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볼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구동모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제2구동축;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부는, 상기 상하 이동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제3구동모터; 및,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부는 상기 상하 이동부재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단은 상기 제3구동모터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타측부는 상기 좌우 이동부재에 볼스크류방식으로 연결되는 제3구동축;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팅유닛 각각은 상기 상하 이동부재의 전방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모터; 상기 상하 이동부재의 전방 하부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원형톱날;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팅유닛 각각은, 상기 회전축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원형톱날의 상부를 감싸는 한 쌍의 안전커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팅유닛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안전커버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안전커버 내에서 회전하는 상기 한 쌍의 원형톱날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팅유닛 각각은 상기 연결빔에 대해 개별적으로 좌우 위치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팅유닛 각각은 상기 복수의 좌우 이동부재에 대해 개별적으로 상하 위치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드럼;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을 감싸서,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판상을 이동하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단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 중 하나의 회전드럼의 양측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회전지지부재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을 관통하는 전산볼트; 상기 전산볼트와 나사체결되며, 상기 전산볼트와 나사체결정도에 따라, 한 쌍의 회전지지부재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의 사이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용 너트;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컨베이어 구동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판과 상기 컨베이어벨트 사이에 있는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즈히터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단부에 좌우 길이방향을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유닛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석판을 지지하는 지지바;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유닛은 전동실린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 상의 이송된 상기 석재의 이송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유닛, 상기 커팅수단 및, 상기 전후 가이드부을 제어하여, 상기 석판이 상기 실린더유닛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커팅수단이 전진하여 상기 석판이 일정크기로 절단되게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상에 투입된 석판이 실린더유닛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커팅유닛이 전진하여 복수의 조각으로 커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석판을 정밀하게 커팅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팅시, 냉각수(물)이 원형톱날로 분사되어 원형톱날을 냉각시켜 주기 때문에, 원형톱날의 마모를 줄일 수 있으며, 커팅열에 의한 주변부품의 손상을 줄여 줄 뿐 아니라, 커팅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여 작업환경을 청결해 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석판이 컨베이어유닛에 의해 이송된 후, 실린더유닛에 의해 고정된 다음, 커팅유닛의 전진 및 후진에 의해 커팅되고 다시 컨베이어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일련의 커팅공정이 전체적으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커팅공정이 이루어지며, 작업자를 필요로 하지 않아 인건비를 줄일 수 있고, 신속한 커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판 재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컨베이어유닛의 컨베이어벨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일부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판 재단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유닛의 컨베이어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좌우 및 상하 가이드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판 재단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판 재단장치의 커팅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판 재단장치의 커팅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석판 재단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판 재단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석판 재단장치는 본체부(100), 컨베이어유닛(200), 복수의 커팅유닛(300)을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베이스프레임(101), 전후가이드부(110), 좌우 및 상하 가이드부(130) 및, 실린더유닛(150)으로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101)은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05)가 구비되어, 지면으로부터 베이스프레임(101)이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지지된다.
전후 가이드부(110)는 복수의 커팅유닛(300)을 베이스프레임(10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전후이동부재(111), 제1레일(112), 연결빔(117)을 포함함다.
전후 이동부재(111)는 한 쌍의 구성되어, 각각이 베이스프레임(101)의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제1레일(112)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베이스프레임(101)의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며, 전후 이동부재(111)가 제1레일(112)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연결빔(117)은 한 쌍의 전후 이동부재(111)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한 쌍의 전후 이동부재(111)가 한 쌍의 제1레일(112)을 따라 전후 이동하면, 이와 연동하여 연결빔(117)도 전후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본체부(100)는 전후 이동부재(111)를 베이스프레임(10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120)를 포함한다.
제1구동부(120)는 제1구동모터(121), 제1구동축(123), 레크(125) 및 피니언(127)으로 구성된다.
제1구동모터(121)는 연결빔(117)의 중간부 상단에 설치된 브라켓(118) 상에 고정설치되며, 제1구동축(123)은 연결빔(117)의 후면에 설치된 회전지지편(12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1구동모터(121)의 회전축과 제1구동축(123) 상에는 각각 풀리(121a, 123a)가 형성되며, 이 풀리들(121a,123a)은 벨트나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제1구동모터(121)의 회전력에 의해 제1구동축(123)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레크(125)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본체프레임(101)의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피니언(127)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1구동축(123)의 양측단에 설치된다.
각각의 피니언(127)은 각각의 레크(127)에 레크-피니언 결합으로 연결되어 제1구동축(123)의 회전에 따라 레크(125)가 회전하고, 이 레크(125)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127)이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1구동모터(121)의 회전에 따라, 전후 이동부재(111)가 전후로 이동되게 됨으로써, 좌우 및 상하 가이드부(130)을 통해 전후가이드부(110)와 연결되게 설치된 커팅유닛(130)이 베이스프레임(101)에 대해 전후로 이동되게 된다.
좌우 및 상하 가이드부(130)는 커팅유닛(300)을 베이스프레임(101)에 대해 좌우 또는 상하로 위치이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우 이동부재(131) 및 상하 이동부재(133)를 포함한다.
좌우 및 상하 가이드부(130)는 복수의 커팅유닛(300)의 수에 대응되게 복수개로 구성되며, 각각이 연결빔(117)를 따라 일렬로 설치되게 된다.
좌우 이동부재(131)는 연결빔(117)의 전단에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하 이동부재(133)는 좌우 이동부재(131)에 대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좌우이동부재(131)의 후면에는 슬릿(132)이 형성되어, 연결빔(117)의 상단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연결빔(117)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본체부(100)는 좌우이동부재(131)들을 연결빔(117)에 대해 좌우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2구동부(144)와, 상하이동부재(133)들을 좌우이동부재(131)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3구동부(141)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좌우 및 상하 가이드부(130)는 5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2구동부(144)는 5개로 구성된다.
제2구동부(144)는 제2구동축(145)과 제2구동모터(147)를 포함한다.
제2구동축(145)은 5개로 구성된다. 제2구동축(145)은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전후 이동부재(111)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좌우이동부재(131)의 후방돌출부(131a, 도 6참조)에 볼-스크류방식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2구동축(145)의 회전에 따라 좌우이동부재(131)가 제2구동축(145)을 따라 연결빔(117)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제2구동모터(147)는 전후 이동부재(111)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이때, 제2구동모터(147)는 한 쌍의 전후 이동부재(111) 중 하나에는 2개, 나머지 하나에는 3개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제2구동모터(147)의 회전축과 제2구동축(145)의 일측단에는 각각 풀리(147a,146)가 구비되고, 이 풀리(147a,146)들은 벨트나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부재(미도시)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구동모터(147)의 회전에 따라, 좌우 이동부재(131)가 연결빔(117)을 따라 좌우로 위치이동함으로써, 상하 이동부재(133)를 통해 좌우 이동부재(131)와 연결되게 설치된 커팅유닛(130)이 베이스프레임(101)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위치이동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5개의 제2구동축(145)과 5개의 제2구동모터(147)로 구성된 5개의 제2구동부(144)가 설치됨으로써, 5개의 커팅유닛(300)이 각각 개별적으로 베이스프레임(101)에 대해 좌우 위치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좌우 및 상하 가이드부(130)는 5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3구동부(141)는 5개로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구동부(141)는 제3구동축(143)과 제3구동모터(142)를 포함한다.
제3구동축(143)은 5개의 좌우 및 상하 가이드부(130)에 대응되게 5개로 구성된다. 제3구동축(143)은 일측단(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단은 제3구동모터(142)의 회전축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타측부는 좌우이동부재(131)의 전방돌출부(131b)에 대해 볼-스크류방식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3구동축(143)의 회전에 따라 상하이동부재(133)가 좌우 이동부재(13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위치이동되게 된다.
제3구동모터(142)는 5개로 이루어져, 각각의 상하이동부재(133)의 상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3구동모터(142)의 회전에 따라, 상하이동부재(133)가 좌우이동부재(131)에 대해 상하로 위치이동함으로써, 상하 이동부재(133)에 설치된 커팅유닛(130)이 베이스프레임(10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위치이동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5개의 제2구동축(143)과 5개의 제2구동모터(142)로 구성된 5개의 제2구동부(141)가 설치됨으로써, 5개의 커팅유닛(300)이 각각 개별적으로 베이스프레임(101)에 대해 상하 위치이동될 수 있다.
실린더유닛(150)은 공압실린더, 전동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린더유닛(15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베이스프레임(101)의 후측에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실린더유닛(150)은 세개로 구성되어, 베이스프레임(101)의 좌우 길이방향에 대해 양측부에 2개가 설치되고 그 사이에 1개가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실린더유닛(150)은 실린더본체(151)와, 이 실린더본체(151)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로드(153)로 구성되며, 이러한 실린더유닛(150)의 구성은 공지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서, 실린더유닛(150)은 로드(153)의 신축에 따라 컨베이어유닛(200) 상에 놓여진 석재를 전방으로 밀어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프레임(101)의 전단에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지지바(107)가 설치되어, 컨베이어유닛(200) 상에 놓여진 석재를 로드(153)가 지지바(107)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석재가 지지바(107)에 지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컨베이어유닛(200)은 베이스프레임(101)의 내측에 설치되어, 석판을 복수의 커팅유닛(300) 전방 즉 커팅작업공간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판(201), 한 쌍의 회전드럼(210), 컨베이어벨트(220)로 구성된다.
지지판(201)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01)의 내측에 설치된다.
한 쌍의 회전드럼(210)은 베이스프레임(101)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컨베이어벨트(220)는 한 쌍의 회전드럼(210)을 감싸서, 회전드럼(220)의 회전에 따라 지지판(210) 상을 이동한다.
한편, 본 발명은 회전드럼(210)를 회전시키기 위해 컨베이어구동부(230)를 구성한다.
컨베이어구동부(230)는 베이스프레임(101)의 일측 후방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모터(231)와, 이 컨베이어모터(231)의 회전비를 제어하며, 베이스프레임(101)에 설치되는 감속기(235)로 구성된다.
컨베이어모터(231)의 회전축과 감속기(235)에는 풀리(232,233)가 구비되고, 이 풀리(232,233) 들은 벨트나 체인 등의 동력전달부재(미도시)를 통해 연결되며, 감속(235)의 종동축부는 회전드럼(210)의 회전축(213)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컨베이어모터(231)의 회전은 감속기(235)를 거쳐 회전비가 제어된 상태로 회전드럼(210)에 전달되어, 회전드럼(210)을 일정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장시간 사용에 따라 컨베이어벨트(220)가 느슨해져서 석판을 이송시키지 못하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컨베이어벨트(2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회전지지부재(215)가 베이스프레임(101)의 일측단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의 회전드럼(210) 중 일측의 회전드럼(210)의 양측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이때, 한 쌍의 회전지지부재(215)는 베이스프레임(101)에 대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한 쌍의 회전지지부재(215)는 일측으로 전산볼트(217)가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이 전산볼트(217)는 베이스프레임(101)의 일측단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이 전산볼트(217)에는 장력조절용 너트(217)가 나사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장력조절용 너트(217)를 전산볼트(217)에 체결해주는 나사체결정도에 따라, 한 쌍의 회전지지부재(215)를 베이스프레임(101)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한 쌍의 회전드럼(210)의 사이거리를 조절해 줌으로써 컨베이어벨트(2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본체부(100)의 일측 구체적으로 컨베이어유닛(100)의 석재유입부 상에 석재의 이송을 감지하는 감지부(250)를 구비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감지부(250)는 힌지핀(251), 제1작동바(252), 제2작동바(256) 및 근접센서(258)로 구성된다.
힌지핀(251)은 소정길이로 구성되며, 베이스프레임(101)의 좌측부에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작동바(252)는 힌지핀(251)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컨베이어벨트(220)를 통해 이송되는 석판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작동바(252)의 끝단에는 회전롤러(254)가 구비된다.
제2작동바(256)는 제1작동바(252)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힌지핀(251)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근접센서(258)는 다양한 종류의 근접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각주형 근접센서로 구성된다. 근접센서(258)는 베이스프레임(101)의 좌측부에 설치되되, 제2작동바(256)의 회동에 따라, 제2작동바(256)의 끝단이 근접되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컨베이어벨트(220) 상에 석판이 들어오게 되면, 회전롤러(254)가 석판과 접촉되면서 석판이 제1작동바(252)를 밀어주게 되어 제1작동바(252)가 석판에 의해 소정각도 회동하게 되고, 이 제1작동바(252)의 회동에 따라 연동하여 제2작동바(256)도 회동하여 제2작동바(256)의 끝단이 근접센서(258)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컨베이어벨트(220)에 석판이 이송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근접센서(258)는 베이스프레임(101)의 일측에 설치된 제어부(160, 컨트롤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근접센서(258)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160)가 컨베이어모터(23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60)는 근접센서(258)에서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컨베이어모터(231)를 설정된 시간동안만 구동하였다가 정지시켜 줌으로써, 컨베이어벨트(220)에 의해 이송되는 석판이 베이스프레임(101)의 내측영역 즉, 복수의 커팅유닛(300)의 전방영역 다시 말해, 커팅공정이 이루어지는 커팅영역 내에 위치대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석판이 컨베이어벨트(220)를 따라 이송될 경우, 석판이 감지부(250)를 통해 감지되어, 근접센서(258)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160)는 컨베이어모터(231)를 일정시간동안만 더 구동시킨 후 정지해 줌으로써, 석재가 컨베이어벨트(220)에 의해 이송되다가 베이스프레임(101)의 내측영역에 완전히 들어오게 되면 정지하여, 커팅대기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도 2,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커팅유닛(300)은 베이스프레임(101)의 좌우방향을 따라 일렬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커팅유닛(300) 각각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하나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 도 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커팅유닛(300)은 회전축부(305)와, 한 쌍의 원형톱날(310)과, 모터(330)를 포함한다.
회전축부(305)는 상하 이동부재(133)의 전방 하부에 좌우 수평하게 설치되며, 양단에 원형톱날(310)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원형톱날(310)의 회전축부(305)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모터(330)는 상하 이동부재(133)의 전방 상부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모터의 회전축과 회전축부(305)에는 각각 풀리(333,307)가 구비되고, 이 풀리(333,307)는 벨트나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부재(미도시)를 통해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모터(330)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원형톱날(310)이 동시에 회전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커팅유닛(300)은 회전축부(305)의 양단에 상기 한 쌍의 원형톱날(310)의 상부를 감싸는 안전커버(310)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원형톱날(310)을 통해 석판을 커팅할 때, 돌가루들이 상방이나 측상방으로 튀지 않게 해준다.
아울러,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팅유닛(300)은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분사부(360)가 구성된다.
이 물분사부(360)는 튜브형태로 형성되며, 이 물분사부(360)는 물공급펌프(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물분사부(360)의 끝단은 안전커버(32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안전커버(320) 내에서 회전하는 원형톱날(310)에 물(냉각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원형톱날(310)을 통해 석판을 커팅할 때 발생하는 원형톱날(310)을 열을 식혀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커팅시 발생되는 분진(돌가루)의 비산을 방지하게 해준다.
한편, 원형톱날(310)을 냉각시키기 위해 분사되었던 물(냉각수)이 지지판(201)과 컨베이어벨트(220) 사이에 스며들어, 동절기시 결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베이어벨트(220)가 지지판(201)에 달라붙어, 컨베이어모터(231)가 가동되더라도 컨베이어벨트(220)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컨베이어모터(231)가 과부하됨으로써 컨베이어유닛(200)이 고장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7과 같이, 지지판(201)의 저면에 복수의 시즈히터(400)를 설치하여, 시즈히터(400)를 가열하여 지지판(201)에 열을 공급함으로써, 지지판(201)과 컨베이어벨트(220) 사이의 물(냉각수)이 결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즈히터(400)는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커팅유닛(300)을 구동하여 커팅공정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시즈히터(400)를 오프시키고, 커팅유닛(300)을 정지시켜 커팅공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시즈히터(400)를 온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160)는 다양한 방식으로 시즈히터(400)를 온/오프시킬 수 있으며, 제어부(160)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시즈히터(400)를 온/오프 시킬 수 있음은 물롱니다.
본 발명은 제어부(160)에 의해 자동으로 전체적인 커팅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가 컨베이어모터(231)를 구동시켜 석판이 컨베이어벨트(220)를 통해 이송되면, 석판이 컨베이어벨트(220)를 통해 이송되면서 감지부(250)가 작동하여 근접센서(258)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제어부(160)는 근접센서(258)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일정시간동안 더 컨베이어모터(231)를 구동한 후 정지시킴으로써, 석판은 베이스프레임(101)의 내측의 커팅영역에 이송되어 정지되게 된다.
이후, 제어부(160)는 복수의 실린더유닛(150)을 구동하여, 석판을 베이스프레임(101)의 전방을 향해 밀어줌을써, 석판이 지지바(107)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지지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복수의 커팅유닛(300)을 온시키고 제1구동부(120)를 구동하여 복수의 커팅유닛(300)의 원형톱날(310)들이 회전하면서 전진하고 후진하게 함으로써, 컨베이어벨트(220) 상에 놓여진 석판을 일정크기를 갖는 11개의 조각으로 정밀하게 절단하게 된다.
제어부(160)는 제1구동부(120)를 구동하기 전에 각각의 제2구동부(144) 및 각각의 제3구동부(141)를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커팅유닛(300)의 좌우 및 상하 위치를 독립적으로 조정하여, 커팅유닛(300)들의 사이 좌우간격 및 각각의 커팅유닛(300)의 상하높이를 조정한 후, 제1구동부(120)를 구동하여 커팅유닛(300) 들을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다.
원형톱날(310)들에 석판의 절단이 완료된 후, 제어부(160)는 제1구동부(120)를 구동하여 복수의 커팅유닛(300)을 완전히 후퇴시키고, 다음으로, 컨베이어모터(231)를 다시 가동함으로써, 절단된 석판조각들을 컨베이어유닛(200)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제어부(160)는 원형톱날(310)이 석판을 커팅할 때, 물분사부(360)의 밸브(미도시)를 개방시킴으로써, 물(냉각수가 원형톱날(310)에 분사되어, 커팅에 의한 열을 냉각시키고, 분진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제어부(160)는 동절기 시에는 커팅공정이 끝난 다음, 시즈히터(400)를 일정시간동안 온시켜 줌으로써, 컨베이어벨트(220)와 지지판(201) 사이에 남아 있는 물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시켜 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160)은 제어부
이처럼, 본 발명은 일련의 전체커팅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게 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커팅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전체적으로 자동으로 가동되는 형태가 될 수 있을 뿐 더러, 제어부(160)에 구비된 조작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으로 반자동 형태로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본체부
101...베이스프레임
105...지지다리
110...전후 가이드부
111...전후 이동부재
117...연결빔
120...제1구동부
121...제1구동모터
123...제1구동축
125...레크
127...피니언
130...좌우 및 상하 가이드부
131...좌우 이동부재
133...상하 이동부재
141...제3구동부
142...제3구동모터
143...제3구동축
144...제2구동부
145...제2구동축
147...제2구동모터
150...실린더유닛
151...실린더본체
153...로드
160...제어부
200...컨베이어유닛
201...지지판
210...회전드럼
220...컨베이어벨트
230...컨베이어구동부
231...컨베이어모터
235...감속기
250...감지부
251...회전핀
252...제1작동바
256...제2작동바
258...근접센서
300...커팅유닛
305...회전축부
310...원형톱날
320...보호커버
330...모터
400...시즈히터

Claims (21)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석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유닛; 및,
    상기 본체부 상에서 좌우, 전후, 상하 위치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 상에 일렬로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커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사각틀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컨베이유닛이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커팅유닛을 전후로 위치이동시키는 전후 가이드부;
    상기 전후 가이드부에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커팅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전후 가이드부에 대해 좌우 및 상하 위치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커팅유닛을 좌우 또는 상하 위치이동시키는 복수의 좌우 및 상하 가이드부; 및,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의해 이송된 상기 석판을 일측으로 밀어 고정시키는 실린더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전후방향을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레일;
    상기 한 상의 제1레일 각각에 안내되어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후이동부재;
    상기 한 쌍의 전후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한 쌍의 전후 이동부재를 전후 방향을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연결빔상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
    상기 연결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연결빔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구동모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제1구동축;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레크; 및,
    상기 제1구동축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레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레크를 직선운동하게 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좌우 및 상하 가이드부 각각은,
    상기 연결빔의 전면에 대해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좌우 이동부재; 및,
    상기 좌우 이동부재에 대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상하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좌우 이동부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상하 이동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전후 이동부재에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 및,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전후 이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볼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구동모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제2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동부는,
    상기 상하 이동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제3구동모터; 및,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부는 상기 상하 이동부재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단은 상기 제3구동모터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타측부는 상기 좌우 이동부재에 볼스크류방식으로 연결되는 제3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팅유닛 각각은
    상기 상하 이동부재의 전방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모터;
    상기 상하 이동부재의 전방 하부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원형톱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팅유닛 각각은,
    상기 회전축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원형톱날의 상부를 감싸는 한 쌍의 안전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팅유닛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안전커버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안전커버 내에서 회전하는 상기 한 쌍의 원형톱날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팅유닛 각각은 상기 연결빔에 대해 개별적으로 좌우 위치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팅유닛 각각은 상기 복수의 좌우 이동부재에 대해 개별적으로 상하 위치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드럼;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을 감싸서,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판상을 이동하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단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 중 하나의 회전드럼의 양측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회전지지부재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을 관통하는 전산볼트;
    상기 전산볼트와 나사체결되며, 상기 전산볼트와 나사체결정도에 따라, 한 쌍의 회전지지부재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의 사이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용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컨베이어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판과 상기 컨베이어벨트 사이에 있는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즈히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단부에 좌우 길이방향을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유닛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석판을 지지하는 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유닛은
    전동실린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재단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 상의 이송된 상기 석재의 이송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재단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유닛, 상기 커팅수단 및, 상기 전후 가이드부을 제어하여, 상기 석판이 상기 실린더유닛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커팅수단이 전진하여 상기 석판이 일정크기로 절단되게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재단장치.






KR1020150122309A 2015-08-31 2015-08-31 석판 재단장치 KR20150105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309A KR20150105938A (ko) 2015-08-31 2015-08-31 석판 재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309A KR20150105938A (ko) 2015-08-31 2015-08-31 석판 재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938A true KR20150105938A (ko) 2015-09-18

Family

ID=5424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309A KR20150105938A (ko) 2015-08-31 2015-08-31 석판 재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59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3436A (zh) * 2016-09-13 2018-03-20 株式会社迪思科 切削装置
CN107839084A (zh) * 2017-11-23 2018-03-27 广东嘉俊陶瓷有限公司 一种瓷砖切割装置
CN114434510A (zh) * 2022-02-14 2022-05-06 东莞市华创碳纤维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纤维橱柜把手生产的可控型分切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3436A (zh) * 2016-09-13 2018-03-20 株式会社迪思科 切削装置
CN107839084A (zh) * 2017-11-23 2018-03-27 广东嘉俊陶瓷有限公司 一种瓷砖切割装置
CN114434510A (zh) * 2022-02-14 2022-05-06 东莞市华创碳纤维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纤维橱柜把手生产的可控型分切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5938A (ko) 석판 재단장치
US20060060179A1 (en) Track drive adjustment for a concrete saw
KR101067711B1 (ko) 환봉 절단 장치
KR101415939B1 (ko) 절단 길이의 조정이 가능한 컷팅기
KR20120075666A (ko) 흄관 절단기
KR101375444B1 (ko) 냉장고용 섀시의 표면연마장치
KR100794379B1 (ko) 보도블럭 절단장치
KR20170101676A (ko) 냉동육 고속 절단기
KR200439542Y1 (ko) 동결 생선 절단기
US20190176252A1 (en) Magazine wire saw
WO2014064628A1 (en) Equipment for cutting slabs of ceramic material
US20180229391A1 (en) Device and method for cutting insulation
KR101243205B1 (ko) 포지셔너 횡형 이동 동조장치
KR100300535B1 (ko) 와이퍼제조용 절단장치
CA3166280A1 (en) Ride-on roadway maintenance machine
KR101143841B1 (ko) 자동 석재 절단 장치
US8354617B2 (en) Coolant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a wet saw
KR20050029062A (ko) 석재 자동 절단기
KR20100110601A (ko) 파이프 엔디 페이싱 장치
KR101320834B1 (ko) 압연 제품용 절단기
KR101069535B1 (ko) 티-바 제조장치
KR200270827Y1 (ko) 석재절단기
US2023006769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utting insulation
KR200209808Y1 (ko) 파이프 단열재 가공기
KR101325408B1 (ko) 냉각설비의 주수 마스킹 장치를 이용한 소재 냉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