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157A -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 - Google Patents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157A
KR20150105157A KR1020140027457A KR20140027457A KR20150105157A KR 20150105157 A KR20150105157 A KR 20150105157A KR 1020140027457 A KR1020140027457 A KR 1020140027457A KR 20140027457 A KR20140027457 A KR 20140027457A KR 20150105157 A KR20150105157 A KR 20150105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stage
signal
virtual
video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철
장석희
장순호
홍태수
Original Assignee
이모션웨이브 주식회사
장석희
홍태수
장순철
장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모션웨이브 주식회사, 장석희, 홍태수, 장순철, 장순호 filed Critical 이모션웨이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7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5157A/ko
Publication of KR20150105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와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탑재한 호스트 클라이언트 및 하나 이상의 게스트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망을 통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라인 가상공간인 가상무대 개설요청 신호와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음향 신호를 상기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호스트 클라이언트; 상기 가상무대 개설요청 신호에 따른 가상무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사업자 서버;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온라인 아바타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온라인 아바타의 상기 생성된 가상무대에 대한 참여신청 신호를 상기 사업자 서버로 각각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게스트 클라이언트; 를 포함하고, 상기 사업자 서버는,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된 가상무대 개설요청 신호에 따라 가상무대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된 참여신청 신호에 따라 상기 온라인 아바타 각각을 상기 생성된 가상무대에 포함시켜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와 게스트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MMO 관리 모듈과, 상기 전송된 영상음향 신호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모듈을 포함하는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는, 상기 MMO 모듈로부터 전송된 가상무대와 상기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를 합성하여 호스트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게스트 클라이언트는, 상기 MMO 모듈로부터 전송된 가상무대와 상기 스트리밍 모듈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영상음향 신호를 합성하여 게스트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하는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스트와 게스트가 하나의 가상무대에서 동일한 영상과 음향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게스트가 자신의 온라인 아바타를 이용해 직접 가상무대의 객석에 참여하여 보다 현실감 있는 무대와 많은 게스트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ON-LINE VIRTUAL STAGE SYSTEM FOR THE PERFORMANCE SERVICE OF MIXED-REALITY TYPE}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의 가상무대를 개설하고 참여하도록 하는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스트와 게스트가 하나의 가상무대에서 동일한 영상과 음향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게스트가 자신의 온라인 아바타를 이용해 직접 가상무대의 객석에 참여하여 보다 현실감 있는 무대와 많은 게스트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온라인 가상무대는, 소위 아프리카 TV 등과 같이 단순히 호스트가 자신의 단말기 및 자신의 단말기에 장착된 영상음향장치를 이용해 다른 게스트의 단말기에 전송하고, 호스트와 게스트는 그 화면 상에서 채팅 등만을 수행하는 정도의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러한 기존의 온라인 가상무대 기술은, 가상무대를 꾸미고 제공하는 호스트와 그 가상무대에 참여하는 게스트들에게 실제 공연무대와 같은 현장감이 제공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가상무대에 대한 상황별 이벤트가 적시에 일치되어 발생되지 못하고, 게스트들에게도 보다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의 유도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6927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공개특허공보 등 역시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설되는 가상무대에 호스트 클라이언트에서 획득되는 영상음향신호가 합성되고, 게스트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에 대한 온라인 아바타가 그 가상무대에 함께 포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호스트와 게스트가 하나의 가상무대에서 동일한 영상과 음향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게스트가 자신의 온라인 아바타를 이용해 직접 가상무대의 객석에 참여하여 보다 현실감 있는 무대와 많은 게스트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호스트 클라이언트의 호스트가 개설되는 가상무대에 각종 이벤트 아이템을 포함시키고, 특정 영상신호 출력과 동시에 이벤트 아이템의 효과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가상무대에 대한 다양한 이벤트 효과를 각 상황의 발생과 동기화되어 발생되도록 하는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호스트 클라이언트에서 획득되는 영상에 대한 크로마키 처리에 의해, 실제 호스트의 모습만이 영상처리되어 가상무대에 합성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호스트에 의한 가상무대가 현실적이고 생동감 넘치게 출력되도록 하는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와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탑재한 호스트 클라이언트 및 하나 이상의 게스트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망을 통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라인 가상공간인 가상무대 개설요청 신호와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음향 신호를 상기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호스트 클라이언트; 상기 가상무대 개설요청 신호에 따른 가상무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사업자 서버;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온라인 아바타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온라인 아바타의 상기 생성된 가상무대에 대한 참여신청 신호를 상기 사업자 서버로 각각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게스트 클라이언트; 를 포함하고, 상기 사업자 서버는,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된 가상무대 개설요청 신호에 따라 가상무대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된 참여신청 신호에 따라 상기 온라인 아바타 각각을 상기 생성된 가상무대에 포함시켜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와 게스트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MMO 관리 모듈과, 상기 전송된 영상음향 신호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모듈을 포함하는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는, 상기 MMO 모듈로부터 전송된 가상무대와 상기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를 합성하여 호스트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게스트 클라이언트는, 상기 MMO 모듈로부터 전송된 가상무대와 상기 스트리밍 모듈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영상음향 신호를 합성하여 게스트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 중 영상 신호에 대한 크로마키(chromakey) 처리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는,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 중 영상 신호에 대한 크로마키(chromakey) 처리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MMO 모듈로부터 전송된 가상무대와 상기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를 합성하되, 상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 중 영상신호를 상기 입력받은 크로마키 처리 신호에 따라 처리하여 합성하고, 상기 입력받은 크로마키 처리 신호를 상기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사업자 서버는 상기 전송받은 크로마키 처리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게스트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상기 게스트 클라이언트는, 상기 MMO 모듈로부터 전송된 가상무대와 상기 스트리밍 모듈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영상음향 신호를 합성하되, 상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영상음향 신호 중 영상신호를 상기 전송받은 크로마키 처리 신호에 따라 처리하여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가상무대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event) 아이템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는,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아이템 생성 신호를 상기 사업자 서버로 더 전송하며, 상기 사업자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아이템 생성 신호에 따른 하나 이상의 이벤트 아이템이 포함된 가상무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는, 상기 탑재된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 중 영상신호의 특정 시점에 상기 이벤트 아이템에 대한 이벤트 발생 신호의 큐 트리거 신호를 입력받아 삽입하여 상기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가상무대에 포함된 이벤트 아이템에 대한 이벤트가 상기 큐 트리거 신호가 입력된 순간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사업자 서버의 스트리밍 모듈은, 상기 큐 트리거 신호가 삽입된 영상음향 신호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게스트 클라이언트는,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모듈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영상음향 신호를 합성하여 게스트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영상음향 신호 중 상기 큐 트리거 신호가 삽입된 영상신호의 프레임 출력시 상기 큐 트리거 신호에 따른 상기 이벤트 아이템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호스트와 게스트가 하나의 가상무대에서 동일한 영상과 음향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게스트가 자신의 온라인 아바타를 이용해 직접 가상무대의 객석에 참여하여 보다 현실감 있는 무대와 많은 게스트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무대에 대한 다양한 이벤트 효과를 각 상황의 발생과 동기화되어 발생되도록 하는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을 제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호스트에 의한 가상무대가 현실적이고 생동감 넘치게 출력되도록 하는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한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의 신호처리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MMO 모듈과 스트리밍 모듈에 의한 신호처리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가상무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크로마키 처리된 음향영산 신호와 게스트 클라이언트에 의해 가상공간에 온라인 아바타가 참여된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한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의 신호처리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도 3은 MMO 모듈과 스트리밍 모듈에 의한 신호처리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4는 가상무대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5는 크로마키 처리된 음향영산 신호와 게스트 클라이언트에 의해 가상공간에 온라인 아바타가 참여된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은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110)을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100)와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110)을 제공받아 탑재한 호스트 클라이언트(200) 및 하나 이상의 게스트 클라이언트(300) 간의 통신망(10)을 통한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은,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110)을 통해, 온라인 가상공간인 가상무대 개설요청 신호와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를 상기 사업자 서버(100)로 전송하는 호스트 클라이언트(200)와, 상기 가상무대 개설요청 신호에 따른 가상무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사업자 서버(100), 및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110)을 통해, 자신의 온라인 아바타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온라인 아바타의 상기 생성된 가상무대에 대한 참여신청 신호를 상기 사업자 서버로 각각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게스트 클라이언트(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업자 서버(100)는,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110)을 통해 전송된 가상무대 개설요청 신호에 따라 가상무대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된 참여신청 신호에 따라 상기 온라인 아바타 각각을 상기 생성된 가상무대에 포함시켜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200)와 게스트 클라이언트(300)에 전송하는 MMO(Massively Multi-play Online) 관리 모듈(131)과, 상기 전송된 영상음향 신호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모듈(132)을 포함하는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1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사업자 서버(100)는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200)에 탑재된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가상무대 개설요청 신호와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200)와 연결된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MMO 모듈은 상기 가상무대 개설요청 신호에 따라 가상무대가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스트리밍 모듈(132)은 상기 전송받은 영상음향 신호를 상기 게스트 클라이언트로 모두 전송한다,
이때,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MMO 모듈(131)로부터 전송된 가상무대와 상기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를 합성하여 호스트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게스트 클라이언트(300)는, 상기 MMO 모듈(131)로부터 전송된 가상무대와 상기 스트리밍 모듈(132)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영상음향 신호를 합성하여 게스트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한다.
즉,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200)에서는 가상무대 개설요청 신호에 따라 개설된 가상무대에 자신의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이 합성되어 자신의 디스플레이인 호스트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고, 상기 게스트 클라이언트(300)에서는 상기 MMO 모듈(131)로부터 전송된 가상무대에 상기 스트리밍 모듈로부터 전송된 영상음향신호가 합성되어 자신의 디스플레이인 게스트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한다.
이로써, 호스트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에 의해 개설된 가상무대에 호스트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자신의 영상과 음향이 합성되어 제공되고, 그러한 가상무대에 하나 이상의 게스트 클라이언트에 의해 각각 생성된 온라인 아바타가 참여되도록 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호스트 클라이언트 사용자들이 상기 가상무대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 중 영상 신호에 대한 크로마키(chromakey) 처리 기능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 중 영상 신호에 대한 크로마키(chromakey) 처리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MMO 모듈(131)로부터 전송된 가상무대와 상기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를 합성하되, 상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 중 영상신호를 상기 입력받은 크로마키 처리 신호에 따라 처리하여 합성하고, 상기 입력받은 크로마키 처리 신호를 상기 사업자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사업자 서버(100)는 상기 전송받은 크로마키 처리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게스트 클라이언트(300)로 전송하고, 상기 게스트 클라이언트(300)는, 상기 MMO 모듈(131)로부터 전송된 가상무대와 상기 스트리밍 모듈(132)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영상음향 신호를 합성하되, 상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영상음향 신호 중 영상신호를 상기 전송받은 크로마키 처리 신호에 따라 처리하여 합성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200)의 사용자는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되는 가상무대에 스테이지와 객석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은 호스트 클라이언트에서 획득된 영상이 스테이지에서 크로마키 처리되어 합성되도록 하고, 상기 객석에 상기 하나 이상의 호스트 클라이언트(300)에 의해 각각 생성된 온라인 아바타들이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가상무대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event) 아이템 기능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아이템 생성 신호를 상기 사업자 서버로 더 전송하고, 상기 사업자 서버(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아이템 생성 신호에 따른 하나 이상의 이벤트 아이템이 포함된 가상무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이벤트 아이템은 상기 가상공간에 포함되는 조명, 카메라, 안개효과 장치 등의 아이템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200)에서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 이상의 이벤트 아이템 생성 신호를 상기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사업자 서버는 생성되는 가상무대에 상기 이벤트 아이템 생성 신호에 따른 이벤트 아이템을 포함시키고,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200)와 게스트 클라이언트(300)에서는 상기 이벤트 아이템이 포함된 가상공간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탑재된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 중 영상신호의 특정 시점에 상기 이벤트 아이템에 대한 이벤트 발생 신호의 큐 트리거 신호를 입력받아 삽입하여 상기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가상무대에 포함된 이벤트 아이템에 대한 이벤트가 상기 큐 트리거(cue trigger) 신호가 입력된 순간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사업자 서버의 스트리밍 모듈(132)은, 상기 큐 트리거 신호가 삽입된 영상음향 신호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며, 상기 게스트 클라이언트(300)는,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모듈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영상음향 신호를 합성하여 게스트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영상음향 신호 중 상기 큐 트리거 신호가 삽입된 영상신호의 프레임 출력시 상기 큐 트리거 신호에 따른 상기 이벤트 아이템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도록 한다.
즉,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음향신호 중 영상신호의 특정 시점에 큐 트리거 신호를 삽입시킨 영상음향신호를 사업자 서버(100)로 전송하고, 동시에 큐 트리거 신호가 삽입된 순간 호스트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가상무대에 포함된 이벤트 아이템의 이벤트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사업자 서버의 스트리밍 모듈(312)은 상기 큐 트리거 신호가 삽입된 영상음향 신호를 게스트 클라이언트에 각각 전송하고, 상기 게스트 클라이언트는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가상공간에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에서 획득된 영상음향신호가 합성되어 출력되고, 상기 큐 트리거 신호가 삽입된 영상음향신호의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출력되는 순간 이벤트 아이템의 이벤트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가상공간 시스템은, 호스트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각종 이벤트 아이템이 포함된 자신의 가상무대를 온라인 상에 개설하고, 그 개설된 가상무대에 하나 이상의 게스트 클라이언트에 의한 온라인 아바타들이 참여하도록 하며, 특정 영상 또는 특정 음향이 출력되는 순간 이벤트 아이템에 의한 효과, 즉 조명 이벤트 아이템의 경우 조명효과가 발생하거나, 안개발생장치 이벤트 아이템의 경우 안개효과가 발생되도록 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실감나는 가상무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게스트들 역시 자신의 온라인 아바타를 이용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실제와 같은 무대효과가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은, 호스트가 노래방 또는 극장 등에서 자신의 호스트 클라이언트에서 획득되는 영상음향 신호를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실제 노래방 또는 극장에서 진행되는 호스트의 노래나 춤 등이 실제 온라인 상의 가상무대에 현실적으로 제공되고, 이를 다수의 게스트들이 자신의 아바타를 이용해 가상무대에 관객으로 참여하여 가상과 현실이 융합된 혼합현실형 가상무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통신망 100: 사업자 서버
110: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 120: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 제공부
130: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
131: MMO 관리모듈 132: 스트리밍 모듈
150: 가상무대 151: 이벤트 아이템
200: 호스트 클라이언트 210: 영상음향장치
220: 크로마키 처리된 영상 250: 영상신호
215: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프레임
255: 큐 트리거 신호 300: 게스트 클라이언트
320: 온라인 아바타

Claims (4)

  1.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와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탑재한 호스트 클라이언트 및 하나 이상의 게스트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망을 통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라인 가상공간인 가상무대 개설요청 신호와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음향 신호를 상기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호스트 클라이언트;
    상기 가상무대 개설요청 신호에 따른 가상무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사업자 서버;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온라인 아바타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온라인 아바타의 상기 생성된 가상무대에 대한 참여신청 신호를 상기 사업자 서버로 각각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게스트 클라이언트; 를 포함하고,
    상기 사업자 서버는,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된 가상무대 개설요청 신호에 따라 가상무대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된 참여신청 신호에 따라 상기 온라인 아바타 각각을 상기 생성된 가상무대에 포함시켜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와 게스트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MMO 관리 모듈과, 상기 전송된 영상음향 신호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모듈을 포함하는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는,
    상기 MMO 모듈로부터 전송된 가상무대와 상기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를 합성하여 호스트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게스트 클라이언트는,
    상기 MMO 모듈로부터 전송된 가상무대와 상기 스트리밍 모듈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영상음향 신호를 합성하여 게스트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하는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 중 영상 신호에 대한 크로마키(chromakey) 처리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는,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 중 영상 신호에 대한 크로마키(chromakey) 처리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MMO 모듈로부터 전송된 가상무대와 상기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를 합성하되, 상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 중 영상신호를 상기 입력받은 크로마키 처리 신호에 따라 처리하여 합성하고, 상기 입력받은 크로마키 처리 신호를 상기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사업자 서버는 상기 전송받은 크로마키 처리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게스트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상기 게스트 클라이언트는,
    상기 MMO 모듈로부터 전송된 가상무대와 상기 스트리밍 모듈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영상음향 신호를 합성하되, 상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영상음향 신호 중 영상신호를 상기 전송받은 크로마키 처리 신호에 따라 처리하여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가상무대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event) 아이템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는,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아이템 생성 신호를 상기 사업자 서버로 더 전송하며,
    상기 사업자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아이템 생성 신호에 따른 하나 이상의 이벤트 아이템이 포함된 가상무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클라이언트는,
    상기 탑재된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영상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음향 신호 중 영상신호의 특정 시점에 상기 이벤트 아이템에 대한 이벤트 발생 신호의 큐 트리거 신호를 입력받아 삽입하여 상기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가상무대에 포함된 이벤트 아이템에 대한 이벤트가 상기 큐 트리거 신호가 입력된 순간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사업자 서버의 스트리밍 모듈은,
    상기 큐 트리거 신호가 삽입된 영상음향 신호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게스트 클라이언트는,
    상기 가상무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모듈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영상음향 신호를 합성하여 게스트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영상음향 신호 중 상기 큐 트리거 신호가 삽입된 영상신호의 프레임 출력시 상기 큐 트리거 신호에 따른 상기 이벤트 아이템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
KR1020140027457A 2014-03-07 2014-03-07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 KR20150105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457A KR20150105157A (ko) 2014-03-07 2014-03-07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457A KR20150105157A (ko) 2014-03-07 2014-03-07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157A true KR20150105157A (ko) 2015-09-16

Family

ID=5424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457A KR20150105157A (ko) 2014-03-07 2014-03-07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51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543A (ko) *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로봇스퀘어 Ar 기반 퍼포먼스 영상 관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퍼포먼스 영상 제공 방법
GB2582164A (en) * 2019-03-13 2020-09-16 Mement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20220069379A (ko) * 2020-11-20 2022-05-27 이모션웨이브 주식회사 관객 참여형 확장현실 콘서트 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543A (ko) *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로봇스퀘어 Ar 기반 퍼포먼스 영상 관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퍼포먼스 영상 제공 방법
GB2582164A (en) * 2019-03-13 2020-09-16 Mement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20220069379A (ko) * 2020-11-20 2022-05-27 이모션웨이브 주식회사 관객 참여형 확장현실 콘서트 서비스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46459B2 (ja) ライブイベントの共有可能な視点をライブストリーミングすることによる、ローカル体験のシミュレーション
TWI437877B (zh) 資訊處理系統、資訊處理裝置、程式產品及電腦可讀取之記錄媒體
US9066144B2 (en) Interactive remote participation in live entertainment
Prins et al. TogetherVR: A framework for photorealistic shared media experiences in 360-degree VR
US20110214141A1 (en) Content playing device
US20180221762A1 (en) Video generation system, control device, and processing device
CN110910860B (zh) 线上ktv实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0359988B2 (en) Shared experience of virtual environments
JP2019511756A (ja) 情報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EP2800365B1 (en) Video playback system
JP6500847B2 (ja) 映像生成システムおよび映像生成プログラム
CN108322474B (zh) 基于共享桌面的虚拟现实系统、相关装置及方法
US20180063483A1 (en) Directional virtual reality system
US10289193B2 (en) Use of virtual-reality systems to provide an immersive on-demand content experience
CN106131700A (zh) 一种视频直播时的文件分享方法及装置
CN113457123A (zh) 基于云游戏的互动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1909788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ゲーム画像配信方法
CN106792244A (zh) 视频直播方法及装置
CN111641849B (zh) 通用镜像接收器
JP2024006973A (ja) データ処理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105157A (ko) 혼합현실형 공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가상무대 시스템
JP6688378B1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配信装置、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4268841A (zh) 直播互动方法及装置
CN117221615A (zh) 直播互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19107275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ゲーム画像配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