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094A - 피에조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피에조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094A
KR20150105094A KR1020140027307A KR20140027307A KR20150105094A KR 20150105094 A KR20150105094 A KR 20150105094A KR 1020140027307 A KR1020140027307 A KR 1020140027307A KR 20140027307 A KR20140027307 A KR 20140027307A KR 20150105094 A KR20150105094 A KR 20150105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piezo
weight
fixing jaw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이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호 filed Critical 이인호
Priority to KR1020140027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5094A/ko
Publication of KR20150105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5Mechanical details, e.g. housings
    • H02N2/0055Supports for driving or driven bodies; Means for pressing driving body against driven bod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1Driving devices, e.g. vibrators
    • H02N2/0015Driving devices, e.g. vibrators using only bending mo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02N2/043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stroke amplific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여주는 전원공급장치,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이 이루어지는 피에조, 상기 피에조가 부착되고 상기 피에조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른 벤딩 운동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피에조의 일부를 감싸는 피에조 고정턱을 구비한 진동판, 상기 진동판과 연결되어 상기 진동판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증폭시키기 위한 웨이트, 상기 진동판의 일부를 고정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어 상기 피에조, 상기 진동판, 상기 웨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진동판에 피에조 고정턱을 구비하여 진동판과 피에조를 결합시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며, 피에조의 측면까지 고정하여 진동판과 피에조가 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공진주파수 및 진동력 등의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특성이 달라져 발생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피에조 고정턱으로 인해 진동판의 스프링상수가 높아져 공진주파수가 상승할 수 있는데, 진동판의 일부에 스프링상수가 작은 탄성부를 구비하여 공진주파수를 낮춰 요구되는 공진주파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여줄 수 있으며, 외부 충격 등으로 웨이트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여도 스프링상수가 작은 탄성부가 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켜 피에조가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막아 피에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브라켓에 낙하 보정턱을 구비하여 외부 충격 등으로 웨이트가 과도하게 이동시 웨이트의 변위를 제한하여 웨이트가 진동판과 접촉하여 진동판의 변형이나 진동판에 결합된 피에조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할 때에도 진동판 및 피에조 등의 구성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이 없는, 낙하 및 충격에 강한 특성을 갖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피에조 액추에이터 {Piezo Actuator}
본 발명은 피에조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 휴대 단말기나 태블릿PC, 게임기 또는 리모콘 등에 장착되어 진동하도록 설계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능 중의 하나가 착신기능이다. 이러한 착신기능으로 소리 또는 진동으로 알려주는 기능이 있다.
이 중 진동기능은 스피커를 통해 멜로디나 벨이 외부로 전달되어 타인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진동을 위해서는 소형의 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 그 구동력이 기기의 케이스로 전달되도록 하여 기기가 진동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진동기능은 단순한 착신기능을 넘어 가상의 터치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진동을 이용하여 가상의 터치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빠른 응답성과 고진동의 성능을 가진 피에조 액추에이터가 사용된다.
종래의 피에조 액추에이터에서는 진동판과 피에조의 일측면만을 이용하여 결합하여 결합 강도가 약하여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구동이나 외부 충격시 피에조와 진동판이 분리될 수 있으며, 피에조와 진동판이 분리되면 전원이 인가된 피에조의 변형을 진동판에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없어 진동력이 감소하고 공진주파수가 달라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피에조와 진동판의 결합시 물리적으로 위치를 가이드하는 고정부가 없어 피에조의 위치가 틀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피에조 액추에이터 내부의 웨이트가 과도하게 이동하여 진동판과 접촉하여, 진동판 또는 피에조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진동판에 피에조 고정턱을 구비하여 진동판과 피에조를 결합시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며, 피에조의 측면까지 고정하여 진동판과 피에조가 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공진주파수 및 진동력 등의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특성이 달라져 발생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피에조 고정턱으로 인해 진동판의 스프링상수가 높아져 공진주파수가 상승할 수 있는데, 진동판의 일부에 스프링상수가 작은 탄성부를 구비하여 공진주파수를 낮춰 요구되는 공진주파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여줄 수 있으며, 외부 충격 등으로 웨이트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여도 스프링상수가 작은 탄성부가 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켜 피에조가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막아 피에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브라켓에 낙하 보정턱을 구비하여 외부 충격 등으로 웨이트가 과도하게 이동시 웨이트의 변위를 제한하여 웨이트가 진동판과 접촉하여 진동판의 변형이나 진동판에 결합된 피에조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할 때에도 진동판 및 피에조 등의 구성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이 없는, 낙하 및 충격에 강한 특성을 갖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여주는 전원공급장치,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이 이루어지는 피에조, 상기 피에조가 부착되고 상기 피에조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른 벤딩 운동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피에조의 일부를 감싸는 피에조 고정턱을 구비한 진동판, 상기 진동판과 연결되어 상기 진동판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증폭시키기 위한 웨이트, 상기 진동판의 일부를 고정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어 상기 피에조, 상기 진동판, 상기 웨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있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피에조 고정턱은 상기 진동판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에조 고정턱은 별도의 피에조 고정부재로 구비하여 상기 진동판에 결합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케이스의 일부에 낙하 보정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진동판은 상기 피에조 고정턱과 탄성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진동판의 일부에 폭, 두께를 상기 피에조 고정턱이 형성된 부분과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진동판의 일부에 홈을 구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진동판과 서로 다른 재질로 별도로 형성되어 일체로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은 진동판 고정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 고정턱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잇점들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진동판에 피에조 고정턱을 구비하여 진동판과 피에조를 결합시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며, 피에조의 측면까지 고정하여 진동판과 피에조가 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공진주파수 및 진동력 등의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특성이 달라져 발생하는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브라켓에 낙하 보정턱을 구비하여 외부 충격 등으로 웨이트가 과도하게 이동시 웨이트의 변위를 제한하여 웨이트가 진동판과 접촉하여 진동판의 변형이나 진동판에 결합된 피에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에조 고정턱으로 인해 진동판의 스프링상수가 높아져 공진주파수가 상승할 수 있는데, 진동판의 일부에 스프링상수가 작은 탄성부를 구비하여 공진주파수를 낮춰 요구되는 공진주파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여줄 수 있으며, 외부 충격 등으로 웨이트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여도 스프링상수가 작은 탄성부가 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켜 피에조가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막아 피에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1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단면도
도2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분해사시도
도3 진동판의 피에조 고정턱을 설명하는 도면
도4 피에조 고정턱의 실시 예
도5 피에조 고정턱의 다른 실시 예
도6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7 낙하 보정턱을 설명하는 도면
도8 진동판의 탄성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9 진동판에 구비되는 탄성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고, 도2는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여주는 전원공급장치(170), 상기 전원공급장치(170)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을 하며 변형하는 피에조(140), 상기 피에조(140)와 결합하여 상기 피에조(140)의 변형에 의해 구부러지는 진동판(130), 상기 진동판(130)의 양측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피에조(140) 및 상기 진동판(130)의 변형에 의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운동하는 웨이트(120), 상기 진동판(130)의 중앙부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브라켓(160), 상기 브라켓(160)과 연결되어 상기 피에조(140)와 상기 진동판(130) 및 상기 웨이트(1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있는 케이스(110), 상기 브라켓(160) 및 상기 케이스(110)와 내부의 구성물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댐핑부재(180)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170)의 일부는 상기 피에조(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 다른 일부에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외부와 연결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피에조(140)에 공급하여 준다. 상기 전원공급장치(170)는 상기 피에조(140)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일수 있도록 연성회로기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에조(140)는 상기 전원공급장치(170)를 통해 외부로부터 교류전원이 공급되면,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을 하며 변형을 한다. 상기 피에조(140)는 상기 진동판(130)과 결합하여 오목 또는 볼록하게 구부러져 진동을 발생한다. 이 때 상기 피에조(140)와 상기 진동판(130)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결합된 면의 일부가 떨어지게 되면 공진주파수, 진동력 등의 특성이 달라져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판(130)의 일부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에조 고정턱(210)을 구비하여 상기 피에조(140)와 결합 시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며, 상기 피에조(140)의 측면까지 고정하여 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에조 고정턱(210)으로 인하여 상기 진동판(130)의 스프링상수가 높아져 공진주파수가 상승할 수 있는데, 도7과 같이 상기 진동판(130)의 일부에 스프링상수가 작은 탄성부(240)를 구비하여 공진주파수를 낮춰 요구되는 공진주파수를 실현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 등으로 상기 웨이트(120)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여도 스프링상수가 작은 상기 탄성부(240)가 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켜 상기 피에조(140)가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막아 상기 피에조(1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120)는 상기 진동판(130)의 양측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피에조(140) 및 상기 진동판(130)이 오목 또는 볼록하게 구부러지며 발생하는 진동력을 증대시켜준다. 상기 웨이트(120)는 상기 진동판(130)과 용접 또는 코킹 또는 본딩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120)는 텅스텐 등의 비중이 큰 금속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160)은 일부에 지지축(190)을 형성하여 상기 진동판(130)을 고정하여 준다. 상기 지지축(190)은 상기 브라켓(160)의 일부를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별도의 기구물로 구성하여 상기 브라켓(160) 및 상기 진동판(130)과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브라켓(160)에 낙하 보정턱(220)을 구비하여 외부 충격 등으로 상기 웨이트(120)가 과도하게 이동시 상기 웨이트(120)의 변위를 제한하여 상기 웨이트(120)가 상기 진동판(130)에 접촉하여 상기 진동판(130)의 변형이나 상기 진동판(130)에 결합된 상기 피에조(14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낙하 보정턱(220)은 상기 브라켓(160)의 일부를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별도의 기구물로 구성하여 상기 브라켓(160)과 결합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피에조(140)와 상기 진동판(130) 및 상기 웨이트(1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이물을 방지하여 준다.
상기 댐핑부재(180)는 상기 웨이트(12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운동할 때, 상기 웨이트(120)가 상기 브라켓(160) 또는 상기 케이스(110)와 직접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켜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가 구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여 주고, 내부의 기구물을 보호한다. 또한 상기 웨이트(120)의 구동변위를 제한하여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진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댐핑부재(18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상기 진동판(130)에 구비되는 상기 피에조 고정턱(21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판(130)의 일부에 상기 피에조(14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피에조 고정턱(210)을 형성하여 상기 피에조(140)의 위치가 틀이지지 않도록 하며, 상기 피에조(140)의 측면까지 고정하여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3(b)는 상기 피에조 고정턱(210)을 구비하지 않은 진동판(130)과 피에조(140)의 결합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에조(140)의 일측면과 상기 진동판(130)의 일측면만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피에조(140)의 일측면만을 이용하여 결합시 결합 강도가 약하여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구동이나 외부 충격시 상기 피에조(140)와 상기 진동판(130)의 일부 또는 전체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피에조(140)와 상기 진동판(130)이 분리되면 전원이 인가된 상기 피에조(140)의 변형을 상기 진동판(130)에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없어 진동력이 감소하고, 결합 상태가 달라지면 공진주파수가 달라지는 등의 불량이 발생한다. 또한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판(130)과 상기 피에조(140)의 결합시 위치가 틀어져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진동판(130)의 일부에 상기 피에조 고정턱(21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진동판(130)과 상기 피에조(140)의 결합을 강하게 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상기 진동판(130)과 상기 피에조(140)을 정위치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상기 진동판(130)에 구비되는 상기 피에조 고정턱(21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4(a)는 상기 피에조 고정턱(210)은 상기 피에조(140)의 길이방향 전체를 감싸고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피에조 고정턱(210)이 길게 형성되면 상기 진동판(130)의 스프링상수가 크게되어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공진주파수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진동판(130)의 상기 피에조 고정턱(210)이 배치된 구간이 단단하여 변형하며 진동력을 발생시키기 어려우므로 진동력이 저하될 수 있다. 스프링상수가 크거나 진동력이 낮으면 도(b)와 같이 상기 피에조 고정턱(210)을 상기 피에조(140)의 측면의 일부만 감싸도록하여 상기 피에조 고정턱(210)의 배치 구간을 줄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피에조 고정턱(210)은 도(c)와 같이 상기 진동판(130)의 중심에서 멀어질 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5는 상기 피에조 고정턱(210)을 상기 진동판(130)에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기구물인 피에조 고정부재(230)를 구비하여 상기 진동판(130)과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피에조 고정부재(210)와 상기 진동판(130)은 용접, 코킹, 본딩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6은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무부하 상태일 때 도6(a)와 같이 상기 피에조(140)는 변화하지 않고, 따라서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는 정지 상태가 된다.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에 전압을 인가하면, 인가된 전압에 따라 상기 피에조(140)가 팽창 또는 수축하여 변형하게 되고 상기 진동판(130)과 결합되어 함께 오목 또는 볼록하게 구부러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지지축(190)에 의해 상기 진동판(130)의 중앙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상기 진동판(130)의 양측 끝단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며, 상기 진동판(130)의 양측 끝단에 결합된 상기 웨이트(12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며 진동하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낙하 보정턱(22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가 정상적으로 구동할 때에는 상기 웨이트(120)가 상기 댐핑부재(180)에 의해 변위가 제한된다. 상기 댐핑부재(180)는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웨이트(120)와 접촉시 완충작용을 하여 소음을 줄여줄 수 있으나, 외부 충격 등으로 큰 힘이 작용하면 부드러운 재질의 상기 댐핑부재(180)가 압축되어, 상기 웨이트(120)가 과도하게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웨이트(120)가 상기 진동판(130)과 접촉하여 상기 진동판(130)의 변형이나 상기 진동판(130)에 결합된 상기 피에조(140)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160)의 일부에 상기 낙하 보정턱(220)을 구비하여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가 정상 동작시에는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낙하 보정턱(220)이 상기 웨이트(120)와 접촉하지 않아 상기 낙하 보정턱(220)은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나,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 등의 큰 힘이 가해질 때에는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낙하 보정턱(220)이 상기 웨이트(120)와 접촉하여 상기 웨이트(120)의 이동 변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웨이트(120)가 상기 진동판(130)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웨이트(120)가 상기 진동판(130)과 충돌하여 상기 진동판(130) 또는 상기 피에조(14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낙하 보정턱(220)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낙하 보정턱(220)은 상기 브라켓(160)의 일부를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기구물로 구성하여 상기 브라켓(160)과 결합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상기 진동판(130)에 구비되는 탄성부(24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진동판(130)에 상기 피에조 고정턱(210)을 구비하면 상기 피에조 고정턱(210)에 의해 상기 진동판(130)이 단단해져 스프링상수가 커지므로 공진주파수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진동판(130)에 스프링상수가 작은 탄성부(240)를 구비하여 상기 진동판(130)의 스프링상수를 낮춰 요구되는 공진주파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하여 상기 웨이트(120)가 외력에 의해 이동을 하여도 스프링상수가 작은 상기 탄성부(240)가 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켜 상기 피에조(140)가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막아 상기 피에조(1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130)에 진동판 고정턱(250)을 구비하여 상기 진동판(130)이 상기 케이스(110)과 결합시 상기 진동판(130)의 결합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동판 고정턱(250)은 상기 진동판(130)의 일부를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기구물로 구성하여 상기 진동판(130)과 결합하여 일체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9는 상기 탄성부(24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9(a)는 일정한 폭을 가진 상기 진동판(130)에 피에조 고정턱(210)을 형성하고, 상기 피에조 고정턱(210)의 양측은 얇은 진동판(130)을 그대로 이용하여 상기 탄성부(240)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탄성부(240)의 스프링상수가 충분히 작게 구성되지 못하는 경우 도9(b)와 같이 상기 탄성부(240)의 폭을 줄여 스프링상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9(c)와 같이 상기 탄성부(240)에 홈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부(240)의 스프링상수를 낮출 수도 있으며, 도9(d)와 같이 상기 탄성부(240)에 복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부(240)의 스프링상수를 낮출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피에조 고정턱(210)의 기구 강도 및 제작 공정상의 편리성, 상기 피에조(140)와 상기 진동판(130)의 온도 계수 등의 요인으로 인해 제품의 조립과정에서 품질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240)를 상기 진동판(130)과 서로 다른 재질로 별도로 형성하여 용접이나 코킹, 본딩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피에조 액추에이터 110 : 케이스
120 : 웨이트 130 : 진동판
140 : 피에조 160 : 브라켓
170 : 전원공급장치 180 : 댐핑부재
190 : 지지축 210 : 피에조 고정턱
220 : 낙하 보정턱 230 : 피에조 고정부재
240 : 탄성부 250 : 진동판 고정턱

Claims (10)

  1.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여주는 전원공급장치;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이 이루어지는 피에조;
    상기 피에조가 부착되고 상기 피에조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른 벤딩 운동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피에조의 일부를 감싸는 피에조 고정턱을 구비한 진동판;
    상기 진동판과 연결되어 상기 진동판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증폭시키기 위한 웨이트;
    상기 진동판의 일부를 고정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어 상기 피에조, 상기 진동판, 상기 웨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고정턱은 상기 진동판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고정턱은 별도의 피에조 고정부재로 구비하여 상기 진동판에 결합하여 일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케이스의 일부에 낙하 보정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피에조 고정턱과 탄성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6. 제1 항 및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진동판의 일부에 폭, 두께를 상기 피에조 고정턱이 형성된 부분과 다르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7. 제1 항 및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진동판의 일부에 홈을 구비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8. 제1 항 및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진동판과 서로 다른 재질로 별도로 형성되어 일체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진동판 고정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10. 청구항 10
    제1 항 및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 고정턱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KR1020140027307A 2014-03-07 2014-03-07 피에조 액추에이터 KR20150105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307A KR20150105094A (ko) 2014-03-07 2014-03-07 피에조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307A KR20150105094A (ko) 2014-03-07 2014-03-07 피에조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094A true KR20150105094A (ko) 2015-09-16

Family

ID=54244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307A KR20150105094A (ko) 2014-03-07 2014-03-07 피에조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50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055B1 (ko) 진동발생장치
US9117999B2 (en) Piezoelectric vibration module
KR101354856B1 (ko) 압전진동모듈
KR101598584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454071B1 (ko) 압전진동모듈
KR20150082938A (ko) 압전 진동 모듈
JP2013134776A (ja) ハプティックフィードバックデバイス
KR101913341B1 (ko) 압전진동모듈
US9660172B2 (en) Vibrator
KR101515136B1 (ko) 피에조 엑츄에이터
KR101438477B1 (ko) 햅틱 액추에이터
US20150214466A1 (en)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150089441A (ko) 진동발생장치
KR101569007B1 (ko) 진동발생장치
KR20150105094A (ko) 피에조 액추에이터
KR101664257B1 (ko) 모바일 햅틱 액추에이터
KR20150114685A (ko) 피에조 액추에이터
KR20180017542A (ko) 피에조 액추에이터
KR101633363B1 (ko) 피에조 액추에이터
KR101343214B1 (ko) 압전진동모듈
KR20160137878A (ko) 피에조 액추에이터
KR20150014608A (ko) 피에조 액추에이터
KR102003372B1 (ko) 진동발생장치
KR20160082497A (ko) 피에조 액추에이터
KR102030600B1 (ko) 진동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