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497A - 피에조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피에조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497A
KR20160082497A KR1020160076884A KR20160076884A KR20160082497A KR 20160082497 A KR20160082497 A KR 20160082497A KR 1020160076884 A KR1020160076884 A KR 1020160076884A KR 20160076884 A KR20160076884 A KR 20160076884A KR 20160082497 A KR20160082497 A KR 20160082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iaphragm
fixing
piezo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테라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라다인 filed Critical (주)테라다인
Priority to KR1020160076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2497A/ko
Publication of KR20160082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02N2/043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stroke amplification

Landscapes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수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는 피에조, 상기 고정부의 일부에 길이방향의 일측 끝단이 고정되며 상기 피에조와 결합되어 상기 피에조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의 또 다른 일측 끝단에 형성된 웨이트 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진동판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증폭시키기 위한 웨이트를 포함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로서, 아주 작은 공간에서 진동력을 극대화하며 소모전류가 매우 적고 전자기적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피에조 액추에이터 {Piezo Actuator}
본 발명은 피에조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기기나 개인 휴대 단말기, 태블릿PC, 게임기 또는 리모콘 등에 장착되어 진동하도록 설계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능 중의 하나가 착신기능이다. 이러한 착신기능으로 소리 또는 진동으로 알려주는 기능이 있다.
이 중 진동기능은 스피커를 통해 멜로디나 벨이 외부로 전달되어 타인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진동을 위해서는 소형의 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 그 구동력이 기기의 케이스로 전달되도록 하여 기기가 진동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진동기능은 단순한 착신기능을 넘어 가상의 터치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진동을 이용하여 가상의 터치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빠른 응답성과 고진동의 성능을 가진 피에조 액추에이터가 사용된다.
그리고, 최근 마트폰의 보급이 활발해지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안경, 시계, 목걸이 등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기기로서 크기가 작아 그 구성부품도 소형화가 이루어 져야하고, 따라서 고성능의 소형 진동자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아주 작은 공간에서 진동력을 극대화하며 소모전류가 매우 적고 전자기적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수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는 피에조, 상기 고정부의 일부에 길이방향의 일측 끝단이 고정되며 상기 피에조와 결합되어 상기 피에조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의 또 다른 일측 끝단에 형성된 웨이트 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진동판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증폭시키기 위한 웨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판의 일부에 상기 웨이트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돌기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의 상기 고정돌기부는 상기 웨이트의 운동방향으로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와 상기 웨이트 사이에 댐핑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 와 상기 진동판 사이 또는 상기 피에조와 상기 웨이트 사이 또는 상기 피에조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댐핑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는 케이스와 브라켓을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웨이트는 상기 웨이트 고정부를 중심으로 길이방향으로 좌우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웨이트 고정부를 중심으로 일측면의 일부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웨이트의 상기 댐핑부재와 대항하는 면에 댐핑홈을 둘 수도 있다.
상기 웨이트와 상기 진동판을 용접, 본딩 또는 코킹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와 상기 진동판을 별도의 결합부재로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진동판을 상기 고정부에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피에조는 복수개로 구성되되 상기 진동판의 상측 및 하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피에조는 외부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의 상기 고정부와 대항하는 면이 상기 고정부와 평행한 면과 상기 고정부와 경사져서 대항하는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잇점들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주 작은 공간에서 진동력을 극대화하며 소모전류가 매우 적고 전자기적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도1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에 대한 단면도
도2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3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진동판에 구비되는 웨이트 고정부 실시 예
도4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웨이트 실시 예
도5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다른 실시 예
도6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단면도 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에조 액추에이터(100)는 피에조(140), 진동판(130), 웨이트(120)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00), 전원공급장치(170) 및 댐핑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에조(140)는 상기 전원공급장치(17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전압이 인가되는 방향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게 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피에조(140)의 일측면에 상기 진동판(130)이 결합되어 상기 피에조(140)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휘어지게 되어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피에조(14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판(130)의 상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고,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판(130)의 하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에조(140)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상기 진동판(130)의 상측 및 하측면에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피에조(140)로부터 발생되는 힘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진동판(130)은 상기 피에조(140)와 결합되어 상기 피에조(140)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상기 진동판(130)이 오목 또는 볼록하게 반복하여 구부러지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유연성이 있어야 하므로 탄성력이 있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에조(140)와 진동판(130)의 결합시 본딩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동판(130)은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에조(140)가 결합되는 피에조 고정부(220) 및 상기 웨이트(120)가 결합되는 웨이트 고정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댐핑부재(180)는 상기 고정부(200)와 상기 웨이트(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웨이트(120)가 상승 또는 하강하며 진동할 때, 상기 고정부(200)와 상기 웨이트(120)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격으로 인해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내부 부품의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댐핑부재(180)를 이용하여 상기 웨이트(120)의 구동변위를 제한하여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진동력을 조정하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댐핑부재(18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실리콘,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00)와 상기 진동판(130) 사이, 상기 피에조(140)와 상기 웨이트(120) 사이 또는 상기 피에조(140)와 상기 고정부(200) 사이에 댐핑부재(180)를 구비하여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구동시 또는 외부로부터 충격시 구성부품간의 충돌로 인하여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극대화 할 수도 있다.
상기 웨이트(120)는 상기 진동판(130)에 구비되는 상기 웨이트 고정부(210)에 고정되어 상기 피에조(140) 및 상기 진동판(130)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증폭시키기 위한 중량체이다. 상기 웨이트(120)는 무게를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텅스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웨이트(120)는 텅스텐 외에도 작은 부피에서도 큰 무게를 가질 수 있는 비중이 높은 재질이기만 하면 그 재질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웨이트(120)는 상기 진동판(130)과 용접, 본딩 또는 코킹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120)와 상기 진동판(130)을 고정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판(130)에 구비된 상기 웨이트 고정부(21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도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부(190)를 구비하여 상기 웨이트(120)와 상기 진동판(130)의 고정 강도를 증대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부(190)는 일부가 상기 웨이트(120)의 운동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웨이트(120)와 결합되는 면적을 크게 하여 결합강도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3의 (d) 또는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결합부재(23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웨이트 고정부(210) 또는 상기 고정돌기부(190), 상기 결합부재(230)의 형상은 상기 웨이트(120)와 고정될 때 일정하고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기만 하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웨이트(120)의 무게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 고정부(210)를 중심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120)를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지 않을 경우 상기 피에조(140)의 상측의 내부공간은 활용되지 못하여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하지 못하게 되므로 도4의 (a)에 도시된 구조가 더 효율적이다. 그러나 상기 웨이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시 상기 웨이트(120)의 연장부 끝단(①)을 직선으로 곧게 연장할 경우 도4의 (d) 및 (f)와 같이 상기 웨이트(12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의 이동시 상기 웨이트(120)의 연장부 끝단(①)이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피에조(140)와 충돌하여 파손 또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120)를 상기 웨이트 고정부(210)를 중심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되, 상기 웨이트(120)의 연장부 끝단(①) 두께가 상기 웨이트(120)가 상기 웨이트 고정부(210)와 결합되는 부분(②)의 두께보다 얇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웨이트(120)를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도4의 (c) 및 (e)와 같이 상기 웨이트(12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에도 상기 웨이트(120) 연장부의 끝단(①)이 상기 피에조(140) 또는 상기 고정부(200)와 충돌하지 않게되어 구성 부품의 파손 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된다.
즉, 상기 웨이트(120)의 상기 고정부(200)와 대항하는 면이 상기 고정부(200)와 평행한 면과 상기 고정부(200)와 경사져서 대항하는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120)의 상기 댐핑부재(180)와 대항하는 면에 댐핑홈(240)을 형성하여 상기 웨이트(120)가 상기 댐핑부재(180)의 일측면 전체와 안정적으로 맞닿을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댐핑부재(180)가 전체면적으로 충격을 분산하여 받도록 할 수 있어 충격흡수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는 내부 구성요소를 고정하고 외부의 충격 및 이물로부터 제품을 보호하며, 상기 피에조(140) 및 상기 진동판(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1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제조 공정을 위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되 일부가 개방된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개방된 측면에 결합되는 브라켓(160)을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장착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진동판(130)의 길이방향의 일측 끝단이 상기 고정부(200)의 일부에 고정되어 상기 피에조(140) 및 상기 진동판(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고정부(200)를 통해 외부로 전달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진동판(130)을 상기 고정부(200)에 결합하기 위해 고정부재(150)을 구비하여 상기 진동판(130)과 상기 고정부재(150) 또는 상기 고정부재(150)와 상기 고정부(200)을 용접, 본딩 또는 코킹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50)를 상기 고정부(200)와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구성부품 수를 줄이고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도 있다.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피에조(14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피에조(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부(2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전원공급장치(1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170)는 상기 피에조(140)가 진동 발생 시 상기 전원공급장치(170)로 전달되는 진동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연성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170)는 외부의 전원을 상기 피에조(140)와 연결할 수 있다면 인쇄회로기판 또는 금속판 등 구성 재질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진동판(130)과 웨이트(120)의 결합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판(130)은 피에조(140)와 결합되는 피에조 고정부(220)와 상기 웨이트(120)와 고정되는 웨이트 고정부(210)를 구비하여 상기 피에조(140) 및 상기 웨이트(120)와 일체로 결합된다.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 고정부(210)는 상기 진동판(130)의 상기 피에조(140)와 결합되는 피에조 고정부(220)의 영역 외측으로 상기 진동판(130)의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웨이트 고정부(210)를 형성하여 상기 웨이트 고정부(210)에 상기 웨이트(120)를 본딩, 용접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판(130)에 고정돌기부(190)를 구비하여 상기 웨이트(120)와 상기 진동판(130)의 고정 강도를 증대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부(190)는 일부가 상기 웨이트(120)의 운동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웨이트(120)와 결합되는 면적을 크게 하여 결합강도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도3의 (d) 또는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결합부재(230)를 구비하여 상기 진동판(130)과 상기 결합부재(230) 및 상기 웨이트(120)와 상기 결합부재(230)를 본딩, 용접 또는 코킹 등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 예는 상기 웨이트(120)와 상기 진동판(130)의 결합에 대한 일 실시 예로 상기 웨이트 고정부(210) 또는 상기 고정돌기부(190), 상기 결합부재(230)의 형상은 상기 웨이트(120)와 고정될 때 일정하고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기만 하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웨이트(12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4의 (a)는 웨이트(120)를 웨이트 고정부(210)를 중심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여 상기 웨이트(120)의 무게를 극대화시키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120)를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지 않을 경우 상기 피에조(140)의 상측의 내부공간은 활용되지 못하여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하지 못하게 되므로 도4의 (a)에 도시된 구조가 더 효율적이다. 그러나 상기 웨이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시 상기 웨이트(120)의 연장부 끝단(①)을 직선으로 곧게 연장할 경우 도4의 (d) 및 (f)와 같이 상기 웨이트(12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의 이동시 상기 웨이트(120)의 연장부 끝단(①)이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피에조(140)와 충돌하여 파손 또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120)를 상기 웨이트 고정부(210)를 중심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되, 상기 웨이트(120)의 연장부 끝단(①) 두께가 상기 웨이트(120)가 상기 웨이트 고정부(210)와 결합되는 부분(②)의 두께보다 얇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웨이트(120)를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도4의 (c) 및 (e)와 같이 상기 웨이트(12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에도 상기 웨이트(120) 연장부의 끝단(①)이 상기 피에조(140) 또는 상기 고정부(200)와 충돌하지 않게되어 구성 부품의 파손 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된다.
그리고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120)의 상기 댐핑부재(180)와 대항하는 면에 댐핑홈(240)을 형성하여 상기 웨이트(120)가 상기 댐핑부재(180)의 일측면 전체와 안정적으로 맞닿을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댐핑부재(180)가 전체면적으로 충격을 분산하여 받도록 할 수 있어 충격흡수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의 (a)는 피에조(140)를 진동판(130)의 하측면에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며, 도5의 (b)는 피에조(140)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진동판(130)의 상측 및 하측면에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피에조(140)로부터 발생되는 힘을 증대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5의 (c)는 상기 고정부(200)와 상기 진동판(130) 사이, 상기 피에조(140)와 상기 웨이트(120) 사이 또는 상기 피에조(140)와 상기 고정부(200) 사이에 댐핑부재(180)를 구비하여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구동시 또는 외부로부터 충격시 구성부품간의 충돌로 인하여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극대화 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의 (c)에 도시한 댐핑부재(180)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부품의 충격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상기 댐핑부재(180)의 형상이나 재질 또는 위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원공급장치(170)를 통해 피에조(140)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피에조(140)는 인가되는 전압의 방향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을 하게 되고, 상기 피에조(140)에 진동판(130)이 결합되어 상기 피에조(140)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상기 진동판(130)이 오목 또는 볼록하게 반복하여 구부러지며 상기 진동판(130)에 결합된 상기 웨이트(120)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며 진동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피에조 액추에이터 110 : 케이스
120 : 웨이트 130 : 진동판
140 : 피에조 150 : 고정부재
160 : 브라켓 170 : 전원공급장치
180 : 댐핑부재 190 : 고정돌기부
200 : 고정부 210 : 웨이트 고정부
220 : 피에조 고정부 230 : 결합부재
240 : 댐핑홈

Claims (16)

  1.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수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는 피에조;
    상기 길이방향으로 일자로 연장되고, 일면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피에조가 부착되어 상기 피에조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진동하며, 상기 길이방향의 일측 끝단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다른 일측 끝단에 마련된 웨이트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판에 의하여 진동하는 웨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판은, 일면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피에조가 면접촉되도록 부착되는 피에조 고정부와, 상기 피에조 고정부의 영역 외측으로 상기 진동판의 일부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웨이트가 결합되는 상기 웨이트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가 상기 웨이트 고정부를 중심으로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웨이트의 상기 고정부와 대향하는 면이 상기 고정부와 경사져서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일부에 상기 웨이트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상기 고정돌기부는 상기 웨이트의 운동방향으로 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웨이트 사이에 댐핑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와 상기 진동판 사이 또는 상기 피에조와 상기 웨이트 사이 또는 상기 피에조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댐핑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케이스와 브라켓을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웨이트 고정부를 중심으로 길이방향으로 좌우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웨이트 고정부를 중심으로 일측면의 일부가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의 상기 댐핑부재와 대항하는 면에 댐핑홈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와 상기 진동판을 용접, 본딩 또는 코킹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와 상기 진동판을 별도의 결합부재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을 상기 고정부에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는 복수개로 구성되되 상기 진동판의 상측 및 하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는 외부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의 상기 고정부와 대항하는 면이 상기 고정부와 평행한 면과 상기 고정부와 경사져서 대항하는 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KR1020160076884A 2016-06-20 2016-06-20 피에조 액추에이터 KR20160082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884A KR20160082497A (ko) 2016-06-20 2016-06-20 피에조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884A KR20160082497A (ko) 2016-06-20 2016-06-20 피에조 액추에이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904A Division KR101633363B1 (ko) 2014-12-31 2014-12-31 피에조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497A true KR20160082497A (ko) 2016-07-08

Family

ID=5650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884A KR20160082497A (ko) 2016-06-20 2016-06-20 피에조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24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3471B2 (ja) 振動発生装置
JP5496314B2 (ja) ハプティックフィードバックデバイス
KR101598584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412919B1 (ko) 진동발생장치
JP5843371B2 (ja) 振動発生装置
KR101539044B1 (ko) 음향을 발생시키는 장치
KR101354856B1 (ko) 압전진동모듈
KR20150078045A (ko) 선형 진동자
US9660172B2 (en) Vibrator
US9472746B2 (en) Vibrator
KR20140128525A (ko) 리니어 액추에이터
KR101607949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569007B1 (ko) 진동발생장치
KR20140115235A (ko) 진동발생장치
KR20150089475A (ko) 휴대 단말용 진동 발생 장치
KR101633363B1 (ko) 피에조 액추에이터
KR20160082497A (ko) 피에조 액추에이터
KR20180017542A (ko) 피에조 액추에이터
KR20160137878A (ko) 피에조 액추에이터
KR20150078037A (ko) 선형 진동자
KR20170057977A (ko) 피에조 액추에이터
KR20150102876A (ko) 선형 진동자
KR102059102B1 (ko) 진동발생장치
KR20160087531A (ko) 피에조 액추에이터
KR20150014608A (ko) 피에조 액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