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996A -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996A
KR20150104996A KR1020140027088A KR20140027088A KR20150104996A KR 20150104996 A KR20150104996 A KR 20150104996A KR 1020140027088 A KR1020140027088 A KR 1020140027088A KR 20140027088 A KR20140027088 A KR 20140027088A KR 20150104996 A KR20150104996 A KR 20150104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target
temperature
motor
discharg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4354B1 (ko
Inventor
민세원
유상준
김태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7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354B1/ko
Publication of KR20150104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6Control means therefor for improving a change in operation duty of a compressor in a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06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stopping, starting, idling or no-load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3292Compressor drive is electric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친환경 자동차의 실내에서 필요로 하는 열량과 현재 차실내에서 계측되는 내부 온도 사이의 차이를 기준으로 공조 시스템의 목표 토출 온도와 전동식 압축기의 목표 회전수를 연산한 다음, 현재의 온도 보다 목표 온도가 낮고 압축기의 최소 회전수 보다 목표 회전수가 낮으면 압축기의 구동을 오프시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하고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전술한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은 공조 시스템에 대한 목표 토출 온도를 연산하는 단계(S10), 상기 단계(S10)에서 연산된 목표 토출 온도를 기반으로 전동 압축기(10)의 목표 회전수를 연산하는 단계(S12), 상기 단계(S10)에서 연산된 목표 토출 온도를 현재 온도와 상호 비교하는 단계(S14), 상기 단계(S14)에서 차실내의 현재 온도 보다 목표 토출 온도가 낮으면, 상기 전동 압축기(10)에 대한 목표 회전수와 상기 전동 압축기(10)의 구동에 필요로 하는 최소 회전수를 상호 비교하는 단계(S16), 및 상기 단계(S16)에서 상기 전동 압축기(10)의 목표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 보다 낮으면, 상기 전동 압축기(10)의 구동을 오프시키는 단계(S18)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DRIVING ELECTRIC COMPRESSOR}
본 발명은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 자동차의 차실내에서 필요로 하는 열량과 현재 차실내에서 계측되는 내부 온도 사이의 차이를 기준으로 공조 시스템의 목표 토출 온도와 전동식 압축기의 목표 회전수를 연산한 다음, 현재의 온도 보다 목표 온도가 낮고 압축기의 최소 회전수 보다 목표 회전수가 낮으면 압축기의 구동을 오프시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하고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이나 디젤 등과 같은 화석 연료를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의 내연기관은 연료의 연소후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배기가스 중 포함되는 각종 유해 성분으로 인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바, 이산화탄소의 배출은 지구의 온난화 문제를 유발하게 되고, 오존의 생성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지구상에 존재하는 화석 연료는 그 양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갈을 대비한 새로운 대체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의 강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모터의 구동을 통해 주행을 실시하는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나, 엔진과 전기모터 등의 복합 에너지원을 활용하여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및 연료 전지로부터 생성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시켜 주행을 구현하는 연료전지 자동차(Fuel Cell Electric Vehicle, FCEV)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친환경 자동차를 개발하였다.
이 경우, 전기 자동차는 환경 문제를 최소화하고 자원의 고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저공해 친환경 차량(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환경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하고 자원의 고갈을 해소할 수 있는 무공해 친환경 차량(순수 전기자동차 및 연료전지 자동차)으로서,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모터와 더불어 전기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수단으로서 배터리(고전압 배터리)를 포함하며, 또한 전기모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인버터를 구비한다.
연료전지 자동차의 경우, 배터리와 같은 축전수단을 주동력원인 연료전지와 병렬로 연결하여 보조 동력원으로 활용하며, 보조 동력원으로 배터리 외에 수퍼커페시터(supercapacitor)를 구비하고 있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도 개발되고 있다. 인버터는 제어기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축전 수단(또는 연료전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 변환시켜 모터를 구동시키게 역할을 수행한다.
그 밖에 전기 자동차는 전력 변환을 위한 컨버터를 탑재하는데, 예컨대 고전압 배터리(메인 배터리)와 저전압 배터리(보조 배터리) 간의 전력 변환을 위한 저전압 DC-DC 컨버터(Low Voltage DC-DC Converter, LDC)를 구비한다.
한편, 전기 자동차는 친환경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일반 내연기관의 자동차와 동일하게 고전압 부품 등의 각종 부품에서 에너지 손실에 의한 열을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고, 특히 차량 실내의 열적 쾌적성을 제공하기 위해 냉난방 공조장치를 갖춰야 한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5537호에 개시된 친환경 차량의 냉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차량 냉방을 위해 전동 압축기를 사용하는 친환경 차량에서 차량의 냉방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냉방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a) 냉방 시스템의 작동시 제어기가 승객검출부의 신호로부터 승객석의 승객 탑승 여부를 확인하여 운전자만 탑승한 1인 탑승 모드와, 승객석에 승객이 추가 탑승한 추가 탑승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와; b) 1인 탑승 모드인 경우 제어기가 전동 압축기 및 공조 블로워의 전력공급량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추가 탑승 모드에 비해 줄이는 동시에 냉기가 운전석으로만 공급되도록 모드조절도어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친환경 차량의 냉방 시스템은 탑승하는 인원수에 따라 탑승 모드를 결정한 다음, 1인 탑승 모드이면 추가 탑승 모드에 비해 전력의 공급량을 줄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줄이면서 냉기의 공급 경로를 운전석에 한정하도록 도어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만을 갖추고 있으므로, 보다 근본적으로 에너지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종래 친환경 자동차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동식 압축기에 대한 제어는 목표 증발기 온도를 연산한 다음, 증발기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근접할 때까지 전동식 압축기의 구동 회전수(RPM)를 증감시키게 방식으로 구현되었는데, 특정의 조건에서 압축기의 구동을 위해 최소의 회전수(RPM)로 제어하여도 증발기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이르기까지 올라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전동식 압축기를 최소 회전수로 구동시 실제 증발기의 온도가 설정된 증발기의 목표온도 보다 낮은 경우, 외기의 유입을 조절하는 도어(Air Temperature Door; TEMP DOOR)의 개도량을 조절하고 증발기를 통과한 낮은 온도의 공기가 히터코어를 경유하게 함으로써 토출온도를 제어하였다.
또한,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전환하여 냉방과 난방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히트 펌프를 이용한 공조 시스템에서는 전동 압축기의 구동 회전수를 제어하여 원하는 토출 온도의 공기가 방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특정의 조건에서 목표하고 있는 토출 온도를 맞추기 위해 전동 압축기를 최소 회전수로 구동하여도 목표 토출온도가 더 낮을 경우에는 외기 유입용 도어를 냉방측 방향으로 제어하여 목표 토출온도를 맞추게 된다.
이 결과, 종래 친환경 자동차에서 운용되고 있는 공조 시스템에 있어 온도 조절을 위해 전동식 압축기를 제어하는 일련의 방법들은 압축기의 회전수를 가감하는 방식에만 국한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되는 전력을 저감하고 이를 통해 자동차의 연비 향상을 구현하고자 하는 취지에는 부합하지 못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5537호의 친환경 차량의 냉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친환경 자동차의 차실내에서 필요로 하는 열량과 현재 차실내에서 계측되는 내부 온도 사이의 차이를 기준으로 공조 시스템의 목표 토출 온도와 전동식 압축기의 목표 회전수를 연산한 다음, 현재의 온도 보다 목표 온도가 낮고 압축기의 최소 회전수 보다 목표 회전수가 낮으면 압축기의 구동을 오프시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하고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조 시스템의 오토 모드에서 전동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공조 시스템에 대한 목표 토출 온도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연산된 목표 토출 온도를 기반으로 전동 압축기의 목표 회전수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연산된 목표 토출 온도를 현재 온도와 상호 비교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차실내의 현재 온도 보다 목표 토출 온도가 낮으면, 상기 전동 압축기에 대한 목표 회전수와 상기 전동 압축기의 구동에 필요로 하는 최소 회전수를 상호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전동 압축기의 목표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 보다 낮으면, 상기 전동 압축기의 구동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단계에서 연산되는 목표 토출 온도는 차실내에서 필요로 하는 열량과 현재 측정된 차실내의 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단계에서 목표 토출 온도가 차실내의 현재 온도 보다 낮지 않으면, 상기 전동 압축기의 구동 제어는 상기 단계에서 연산된 목표 회전수에 맞춰 이루어지는 단계로 진입한 다음, 상기 목표 토출 온도를 연산하는 단계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전동 압축기의 목표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 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전동 압축기에 대한 목표 회전수를 다시 연산하는 단계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전동 압축기의 구동을 오프시킨 다음, 상기 목표 토출 온도를 연산하는 단계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은 전동식 압축기를 채택하는 친환경 자동차에서 현재 차량의 실내에서 계측되는 온도와 차실내에서 필요로 하는 열량을 상호 비교하고, 그 차이를 기준으로 공조 시스템의 목표 토출 온도와 전동식 압축기의 목표 회전수를 연산한 다음, 현재 차실내의 온도 보다 목표 온도가 낮고 전동식 압축기의 최소 회전수 보다 연산된 목표 회전수가 낮으면, 압축기에 대한 구동 제어를 오프시키는 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자동차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하고 이를 통해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식 압축기를 일시적으로 오프시키는 제어의 과정에서 목표 온도가 차실내의 현재 온도 보다 낮지 않으면 전동식 압축기의 구동을 목표 회전수로 제어하고, 현재 차실내의 온도 보다 목표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목표 회전수가 압축기의 최소 회전수 보다 작지 않으면 목표 회전수를 다시 연산한 다음 목표 온도와 현재의 온도를 비교하는 과정으로부터 이하의 과정을 반복하는 일련의 서브루틴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공조 시스템의 가동 전 과정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의 전반적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압축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은 친환경 자동차에 탑재되는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조 시스템은 전동 압축기(10), 응축기(12), 팽창밸브(14), 및 증발기(16)를 기본 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이에 부가하여 공조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공조모드 선택부(20)와 압축기 제어부(22)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검출부(30)를 입력요소로서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동 압축기(10)와 응축기(12), 팽창밸브(14), 및 증발기(16)는 기존의 공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기본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과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8은 상기 응축기(12)에서 이루어지는 냉매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공기를 제공받는 차량의 실내에 해당한다.
먼저, 상기 공조모드 선택부(2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공조 시스템의 운용 모드를 전환시키는 스위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조 시스템의 구동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선택되는 오토 모드 스위치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압축기 제어부(22)는 공조모드 선택부(20)의 조작에 따라 공조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작동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 유닛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온도 검출부(30)는 차량 실내(18)로 토출되는 공조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한 다음, 검출된 온도 정보를 상기 압축기 제어부(22)로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는 일종의 온도 센서에 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의 전반적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일련의 제어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공조 모드가 오토 모드로 선택되면, 자동차의 실내에서 필요로 하는 열량과 현재 차실내에서 계측되는 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목표 토출 온도를 연산한다.(S10)
이 과정에서, 상기 온도 검출부(30)는 차량 실내(18)로 제공되는 공조된 공기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계측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압축기 제어부(22)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 제어부(22)는 차실내의 내부 용적과 같은 고유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검출된 온도와 비교함으로써 공조에 필요로 하는 열량을 산출한 다음, 이를 상기 온도 검출부(30)를 통해 계측되는 차실내의 온도와 상호 비교하여 공조 시스템의 목표 토출 온도를 연산하게 된다.
이어, 상기 단계(S10)에서 연산된 목표 토출 온도를 기반으로 하여 전동 압축기(10)에 대한 목표 회전수를 연산한다.(S12)
이 과정에서, 상기 압축기 제어부(22)는 현재 차실내의 온도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열량을 기반으로 하여 이에 상응하여 전동 압축기(10)의 목표 회전수를 연산하고, 이에 부응하여 전동 압축기(10)의 회전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일련의 제어를 준비하게 된다.
이어, 상기 단계(S10)에서 산출된 목표 토출 온도와 측정된 현재 온도를 상호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4)
이 과정에서 상기 압축기 제어부(22)는 자동차 실내의 현재 온도 보다 목표 토출 온도가 낮으면, 전동 압축기(10)에 대한 구동 제어를 오프시키기 위한 일련의 후속 과정으로 진입하게 된다.
반대로, 목표 토출 온도가 차실내의 현재 온도 보다 낮지 않으면, 상기 압축기 제어부(22)는 전동 압축기(10)에 대한 제어를 상기 단계(S12)에서 연산한 목표 회전수에 맞춰 진행하게 된다.(S20)
이 과정은 차실내에서 필요로 하는 열량과 현재 차실내의 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목표 토출 온도를 연산하는 단계(S10)로부터 이하의 후속 과정을 다시 수행하는 것에 해당한다.
이어, 상기 단계(S14)에서 수행한 비교의 과정, 즉 차실내의 현재 온도 보다 목표 토출 온도가 낮으면, 전동 압축기(10)에 대한 목표 회전수와 전동 압축기(10)의 구동에 필요로 하는 최소 회전수를 상호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6)
이 과정에서 상기 압축기 제어부(22)는 목표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 보다 낮으면, 상기 전동 압축기(10)의 구동을 오프시키게 된다.(S18)
반대로, 상기 단계(S16)에서 전동 압축기(10)의 목표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 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단계(S10)에서 산출된 열량을 기반으로 전동 압축기(10)에 대한 목표 회전수를 다시 연산하는 단계(S12)로부터 이하의 후속 과정을 다시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계(S18)에서 전동 압축기(10)의 구동을 오프시킨 다음에는 상기 목표 토출 온도를 연산하는 단계(S10)로 복귀하여 이하의 과정을 다시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은 친환경 자동차에서 공조 시스템을 오토 모드로 운용할 때, 현재 차량의 실내에서 계측되는 온도와 차실내에서 필요로 하는 열량을 상호 비교하고, 그 차이를 기준으로 공조 시스템의 목표 토출 온도와 전동식 압축기의 목표 회전수를 연산한 다음, 현재 차실내의 온도와 목표 온도를 비교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현재 차실내의 온도 보다 목표 온도가 낮으면, 전동 압축기의 최소 회전수와 연산된 목표 회전수를 비교하게 된다. 이때, 전동식 압축기의 최소 회전수 보다 연산된 목표 회전수가 낮으면, 압축기에 대한 구동 제어를 오프시키는 방식으로 전환하게 된다.
이 결과, 전동 압축기의 구동이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친환경 자동차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크게 절감되고, 이를 통해 친환경 자동차의 연비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식 압축기를 일시적으로 오프시키는 제어의 과정에서 목표 온도가 차실내의 현재 온도 보다 낮지 않으면 전동식 압축기의 구동을 목표 회전수로 제어하고, 현재 차실내의 온도 보다 목표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목표 회전수가 압축기의 최소 회전수 보다 작지 않으면 목표 회전수를 다시 연산한 다음 목표 온도와 현재의 온도를 비교하는 과정으로부터 이하의 과정을 반복하는 일련의 서브루틴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공조 시스템의 가동 전 과정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전동 압축기 12-응축기
14-팽창밸브 16-증발기
20-공조모드 선택부 22-압축기 제어부
30-온도 검출부

Claims (5)

  1. 공조 시스템의 오토 모드에서 전동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공조 시스템에 대한 목표 토출 온도를 연산하는 단계(S10),
    상기 단계(S10)에서 연산된 목표 토출 온도를 기반으로 전동 압축기(10)의 목표 회전수를 연산하는 단계(S12),
    상기 단계(S10)에서 연산된 목표 토출 온도를 현재 온도와 상호 비교하는 단계(S14),
    상기 단계(S14)에서 차실내의 현재 온도 보다 목표 토출 온도가 낮으면, 상기 전동 압축기(10)에 대한 목표 회전수와 상기 전동 압축기(10)의 구동에 필요로 하는 최소 회전수를 상호 비교하는 단계(S16), 및
    상기 단계(S16)에서 상기 전동 압축기(10)의 목표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 보다 낮으면, 상기 전동 압축기(10)의 구동을 오프시키는 단계(S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S10)에서 연산되는 목표 토출 온도는 차실내에서 필요로 하는 열량과 현재 측정된 차실내의 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S14)에서 목표 토출 온도가 차실내의 현재 온도 보다 낮지 않으면, 상기 전동 압축기(10)의 구동 제어는 상기 단계(S12)에서 연산된 목표 회전수에 맞춰 이루어지는 단계(S20)로 진입한 다음, 상기 목표 토출 온도를 연산하는 단계(S10)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S16)에서 상기 전동 압축기(10)의 목표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 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전동 압축기(10)에 대한 목표 회전수를 다시 연산하는 단계(S12)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S18)에서 상기 전동 압축기(10)의 구동을 오프시킨 다음, 상기 목표 토출 온도를 연산하는 단계(S10)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KR1020140027088A 2014-03-07 2014-03-07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KR102004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088A KR102004354B1 (ko) 2014-03-07 2014-03-07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088A KR102004354B1 (ko) 2014-03-07 2014-03-07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996A true KR20150104996A (ko) 2015-09-16
KR102004354B1 KR102004354B1 (ko) 2019-07-29

Family

ID=5424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088A KR102004354B1 (ko) 2014-03-07 2014-03-07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228A1 (ko) * 2019-08-02 2021-02-11 동아전장주식회사 냉난방 통합 차량공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253A (ja) * 1999-03-04 2000-09-19 Denso Corp 空調装置
JP2002254917A (ja) * 2001-03-01 2002-09-11 Denso Corp 空調装置
KR20060085162A (ko) * 2005-01-21 2006-07-26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냉동 장치용 스크류 압축기
KR20120135537A (ko) 2011-06-07 2012-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차량의 냉방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00715A (ko) * 2012-03-02 2013-09-1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253A (ja) * 1999-03-04 2000-09-19 Denso Corp 空調装置
JP2002254917A (ja) * 2001-03-01 2002-09-11 Denso Corp 空調装置
KR20060085162A (ko) * 2005-01-21 2006-07-26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냉동 장치용 스크류 압축기
KR20120135537A (ko) 2011-06-07 2012-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차량의 냉방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00715A (ko) * 2012-03-02 2013-09-1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228A1 (ko) * 2019-08-02 2021-02-11 동아전장주식회사 냉난방 통합 차량공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354B1 (ko) 201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58722B (zh) 车辆用暖气控制装置及方法
JP5593087B2 (ja) 電気自動車の空気調和装置とその制御方法
US8774999B2 (en) Air-conditioning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JP5370402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4840372B2 (ja) 冷却液循環装置
US8245768B2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electric ca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ir-conditioning system
JP5044985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US9114686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JP5545284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US20110105003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9252688A (ja) 車両用蓄電池の温調システム
JP5702748B2 (ja) 電動車両高電圧機器冷却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高電圧機器の冷却方法
KR20120023409A (ko)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
JP2008126970A (ja) 車両用加熱装置
JP2011041357A (ja) 電動車両用バッテリ放電装置
KR102004354B1 (ko) 전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JP201502469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564093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10034705A (ko) 전기 구동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835137B (zh) 多驱动源搭载车辆
CN110341430B (zh) 驻车空调的供电控制方法及控制系统
KR101724723B1 (ko) 친환경차량의 냉방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H10109531A (ja) 自動車用冷暖房装置及び自動車の冷暖房方法
KR102082857B1 (ko) 연료전지 차량의 공조 장치 및 방법
KR20110139440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