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963A -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963A
KR20150104963A KR1020140027011A KR20140027011A KR20150104963A KR 20150104963 A KR20150104963 A KR 20150104963A KR 1020140027011 A KR1020140027011 A KR 1020140027011A KR 20140027011 A KR20140027011 A KR 20140027011A KR 20150104963 A KR20150104963 A KR 20150104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field
mac pdu
terminal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4889B1 (ko
Inventor
권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to KR1020140027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889B1/ko
Priority to US14/639,727 priority patent/US9596711B2/en
Priority to PCT/KR2015/002210 priority patent/WO2015133869A1/ko
Publication of KR20150104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963A/ko
Priority to US15/418,386 priority patent/US1011728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Abstract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소스 단말에 의한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은 단말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타겟 단말의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타겟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MAC PDU(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MAC PDU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MAC PDU의 헤더(header)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소스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소스 ID 필드 및 상기 타겟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타겟 I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DIA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정보를 구성하고 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간 통신(D2D: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은 아날로그 무전기 시절부터 가능했던 통신 방식으로, 매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간 통신은 기존의 단말간 통신과는 차별화된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간 통신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 또는 그 이외의 대역에서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기술을 이용하되 인프라(예를 들어, 기지국)를 거치지 않고 단말 간에 직접 사용자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을 의미한다. 이는 한정된 무선통신 인프라 이외의 지역에서 무선 통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무선통신 시스템의 망 부하를 줄이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간 통신을 위해서 단말은 수신된 데이터가 어느 단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수신된 데이터가 해당 단말이 수신하여야 하는 데이터가 맞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수신된 데이터 각각이 어느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에 해당되는 것인지를 알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무선통신 시스템은 이를 지원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소스 단말에 의한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은 단말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타겟 단말의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타겟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MAC PDU(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MAC PDU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MAC PDU의 헤더(header)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소스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소스 ID 필드 및 상기 타겟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타겟 I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은 단말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타겟 단말의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타겟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MAC PDU(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를 구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구성된 MAC PDU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MAC PDU의 헤더(header)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소스 ID 필드 및 상기 타겟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타겟 ID 필드를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간 통신 시 D2D 데이터에 대한 흐름제어,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 등을 지원할 수 있으므로 MAC에서 효율적으로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MAC(Media Access Control) PDU(Protocol Data Unit)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MAC 서브 헤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간 통신을 위한 MAC PDU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간 통신을 위한 MAC PDU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MAC PDU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MAC PDU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MAC PDU를 송신하는 단말과 상기 MAC PDU를 수신하는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로 E-UMTS 시스템(Evolved-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네트워크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E-UMTS 시스템은 E-UTRA(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advanced) 시스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은 단말(UE: User Equipment, 10)에게 제어 평면(CP: 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P: User Plane)을 제공하는 기지국(eNB: evolved NodeB, 20)을 포함한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S),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의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 기지국(femto-eNB), 피코 기지국(pico-eNB), 홈기지국(Home eNB), 릴레이(relay) 등의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들은 광케이블 또는 DSL(Digital Subscriber Line) 등을 통해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X2 또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신호 또는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1에는 일 예로, 기지국(20)들이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물리적 연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논리적 연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 30)와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20)은 S1-MME 인터페이스를 통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연결되고, S1-U 인터페이스를 통해 S-GW(Serving Gateway)와 연결된다. 기지국(20)은 MME와 S1-MME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10)의 목차(context) 정보 및 단말(10)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주고받는다. 또한 기지국(20)은 S1-U 인터페이스를 통해 S-GW와 각 단말(10)에 서비스할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EPC(30)는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MME, S-GW 및 P-GW(Packet data network-Gateway)를 포함한다. MME는 단말(10)의 접속 정보나 단말(10)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10)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며, P-GW는 PDN(Packet Data Network)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다.
E-UTRAN과 EPC(30)를 통합하여 EPS(Evolved Packet System)라 부를 수 있으며, 단말(10)이 기지국(20)에 접속하는 무선링크로부터 서비스 엔티티로 연결해주는 PDN까지의 트래픽 흐름은 모두 IP(Internet Protocol) 기반으로 동작한다.
한편, 단말(10)과 기지국(20)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Uu 인터페이스"라 한다. 단말(10)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계열의 무선통신 시스템(UMTS, LTE, LTE-Advanced 등)에서 정의한 제1 계층(L1), 제2 계층(L2) 및 제3 계층(L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제1 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며, 제3 계층에 위치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RRC 메시지를 교환하여 단말(10)과 네트워크 간에 무선자원을 제어한다.
도 2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사용자 평면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이고, 제어 평면은 제어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과 기지국의 물리계층(PHY(physical) layer)은 각각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 계층인 매체접근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계층과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된다. 데이터는 MAC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서 전송채널을 통해 전달된다. 전송채널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어떻게 전송되는가에 따라 분류된다. 또한, 데이터는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즉, 단말과 기지국의 물리계층 사이)에서 물리채널을 통해 전달된다. 상기 물리채널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변조될 수 있으며, 시간과 주파수 및 복수의 안테나로 생성된 공간을 무선자원으로 활용한다.
일 예로, 물리채널 중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단말에게 PCH(Paging CHannel)와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DL-SCH와 관련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를 알려주며, 단말로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나를 수 있다. 또한,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는 단말에게 PDCCH들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를 알려주고,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 또한,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 HARQ ACK/NAK 신호를 나른다. 또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는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K, 스케줄링 요청 및 CQI와 같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른다. 또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는 UL-SCH(UpLink Shared CHannel)을 나른다. 기지국의 설정 및 요청에 따라 필요 시 PUSCH는 HARQ ACK/NACK 및 CQI와 같은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과 전송채널 간의 매핑 및 논리채널에 속하는 MAC SDU(Service Data Unit)의 전송채널 상으로 물리채널로 제공되는 전송블록(transport block)으로의 다중화(multiplexing) 또는 역다중화(demultiplexing)를 수행할 수 있다. MAC 계층은 논리채널을 통해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논리채널은 제어 영역 정보의 전달을 위한 제어채널과 사용자 영역 정보의 전달을 위한 트래픽 채널로 나뉠 수 있다. 일 예로, MAC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들로서 데이터 전송(data transfer) 또는 무선 자원 할당(radio resource allocation)이 있다.
RLC 계층의 기능은 RLC SDU의 연결(concatenation), 분할(segmentation) 및 재결합(reassembly)을 포함한다. RLC 계층은 무선 베어러(RB: Radio Bearer)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해, 투명모드(TM: Transparent Mode), 비확인 모드(UM: Unacknowledged Mode) 및 확인모드(AM: Acknowledged Mode)의 세 가지 동작모드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투명모드는 초기 연결(initial connection)을 설정할 때 사용된다.
비확인 모드는 데이터 스트리밍 또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과 같은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으로, 데이터의 신뢰도 보다는 속도에 중점을 둔 모드이다. 반면, 확인 모드는 데이터의 신뢰도에 중점을 둔 모드이며, 대용량 데이터 전송 또는 전송 지연에 덜 민감한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기지국은 단말과 연결 설정되어 있는 각 EPS 베어러의 QoS(Quality of Service) 정보를 기반으로 각 EPS 베어러에 상응하는 RB 내 RLC의 모드를 결정하고 QoS를 만족할 수 있도록 RLC 내 파라미터들을 구성한다.
RLC SDU들은 다양한 사이즈로 지원되며, 일 예로 바이트(byte) 단위로 지원될 수 있다. RLC PDU(Protocol Data Unit)들은 하위계층(예, MAC 계층)으로부터 전송 기회(transmission opportunity)가 통보(notify)될 때에만 규정되며, 하위계층으로 전달된다. 상기 전송 기회는 전송될 총 RLC PDU들의 크기와 함께 통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 기회와 상기 전송될 총 RLC PDU들의 크기는 각각 분리되어 통보될 수도 있다.
사용자 평면에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기능은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및 암호화(ciphering)와 제어 평면 데이터의 전달 및 암호화/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ion)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RRC 계층은 RB들의 구성(configuration), 재구성(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1 계층(PHY 계층) 및 제2 계층(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를 의미한다. RB가 구성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RB는 SRB(Signaling RB), DRB(Data RB)로 구분될 수 있다. SRB는 제어 평면에서 RRC 메시지 및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DRB는 사용자 평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RRC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연결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의 RRC 계층과 E-UTRAN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ion)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 연결 상태(RRC connected stat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휴지 상태(RRC idle state)에 있게 된다.
단말이 외부 인터넷 망으로 사용자 데이터(user data: 예, IP 패킷)를 송신하거나 외부 인터넷 망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단말과 외부 인터넷 망 사이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엔티티(entity)들 간에 존재하는 여러 경로에 자원이 할당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네트워크 엔티티들 사이에 자원이 할당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진 경로를 베어러(bearer)라 한다.
도 4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MAC PDU(Protocol Data Unit)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MAC 서브 헤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MAC PDU는 전송블록(transport block)이라 불릴 수도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는 일 예로 MAC 헤더(header, 410), n개의 MAC 제어요소(420-1,...,420-n), m개의 MAC SDU(Service Data Unit, 430-1,...,430-m) 및 패딩(padding, 440)을 포함하는 MAC PDU(400)가 도시되어 있다. MAC PDU(400)는 MAC 헤더(410), 0(zero) 또는 적어도 하나의 MAC 제어요소(420-1,...,425-n), 0 또는 적어도 하나의 MAC SDU(430-1,...,430-m) 및 패딩(4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MAC 헤더(410)와 MAC SDU(430-1,...,430-m)의 크기는 가변될 수 있다.
MAC 헤더(41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헤더(sub-header, 410-1, 410-2, 410-3, 410-4,...,410-k)를 포함하며, 각 서브헤더(410-1, 410-2, 410-3, 410-4,...,410-k)는 각각 MAC 제어요소(420-1,...,420-n), MAC SDU(430-1,...,430-m) 또는 패딩(440)에 대응(corresponding)한다. 서브헤더(410-1, 410-2, 410-3, 410-4,...,410-k)의 순서는 MAC PDU(400)내에서 대응하는 MAC 제어요소(420-1,..., 420-n), MAC SDU(430-1,...,430-m) 또는 패딩(440)들의 순서와 동일하게 배치된다.
각 서브헤더(410-1, 410-2, 410-3, 410-4,...,410-k)는 R, R, E, LCID, F, L 이렇게 6개의 필드를 포함하거나, R, R, E, LCID 이렇게 4개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필드를 포함하는 서브헤더는 MAC 제어요소(420-1,..., 420-n) 또는 패딩(440)에 대응하는 서브헤더이며, 6개의 필드를 포함하는 서브헤더는 MAC SDU(430-1,...,430-m)에 대응하는 서브헤더이다.
MAC 제어요소(420-1,...,420-n)는 MAC 계층이 생성하는 제어메시지로서, MAC SDU(430-1,...,430-m) 앞에 위치한다. MAC SDU(430-1,...,430-m)는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서 전달된 RLC PDU와 같다. 패딩(440)은 MAC PDU(400)의 크기가 일정하도록 첨가되는 소정개수의 비트로서, 1 바이트(byte) 또는 2 바이트의 패딩이 요구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항상 MAC PDU(400)의 끝에 부가될 수 있다. 패딩(440)이 어떤 값을 가지던지 단말은 이를 무시한다. MAC 제어요소(420-1,...,420-n), MAC SDU(430-1,...,430-m) 및 패딩(440)을 합쳐서 MAC 페이로드(payload)라고도 한다.
도 5에는 일 예로, 6개의 필드(R, R, E, LCID, F, L)를 포함하는 MAC 서브헤더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4개의 필드(R, R, E, LCID)를 포함하는 MAC 서브헤더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MAC 서브헤더에 포함되는 필드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논리 채널 식별 정보(LCID: Logical Channel ID) 필드는 해당하는 MAC SDU의 논리채널을 식별하거나, 해당하는 MAC 제어요소 또는 패딩의 종류(type)를 식별하는 필드로서, LCID 필드의 길이(size)는 5비트일 수 있다. LCID 필드는 MAC PDU에 포함된 하나의 MAC SDU, 하나의 MAC 제어요소 또는 패딩 당 하나씩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를 위한 LCID 필드는 다음의 표 1과 같고, 상향링크를 위한 LCID 필드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Index LCID values
00000 CCCH
00001-01010 Identity of the logical channel
01011-11010 Reserved
11011 activation/deactivation
11100 UE Contention Resolution Identity
11101 Timing Advance Command
11110 DRX command
11111 Padding
Index LCID values
00000 CCCH
00001-01010 Identity of the logical channel
01011-11000 Reserved
11001 Extended Power Headroom Report
11010 Power Headroom Report
11011 C-RNTI
11100 Truncated BSR
11101 Short BSR
11110 Long BSR
11111 Padding
길이(L: Length) 필드는 해당 MAC SDU의 길이를 식별하거나, 가변 크기(variable-sized) MAC 제어요소의 길이를 식별하는 필드로서, L 필드의 길이는 포맷(F: Format) 필드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도 5에는 일 예로, L 필드의 길이가 7 비트인 경우와 15 비트인 경우의 서브헤더가 도시되어 있다.
F 필드는 L 필드의 길이를 식별하는 필드로서, 1 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만일 MAC SDU 또는 가변 크기 MAC 제어요소의 길이가 128 바이트보다 작을 경우 F 필드의 값은 "0"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외의 경우에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확장(E: Extension) 필드는 MAC 헤더에 다른 필드들이 존재하는지를 식별하는 플래그(flag)로서, "1"로 설정될 경우 적어도 R/R/E/LCID 필드의 또 다른 셋(set)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0"으로 설정될 경우 다음 바이트(byte)에서 MAC SDU, MAC 제어요소 또는 패딩이 시작됨을 나타낸다.
R(Reserved) 필드는 예비된 필드로서, "0"으로 설정된다.
단말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이하 D2D)을 위해서는 상기 MAC PDU를 수신한 단말은 상술한 MAC PDU가 어느 단말로부터 송신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MAC PDU를 수신한 단말은 단말 내 데이터 처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의 동작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 수신된 MAC PDU가 해당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맞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MAC PDU를 수신한 단말은 수신된 MAC PDU에 포함된 MAC SDU들이 각각 어느 논리채널에 해당되는 것인지를 알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말간 통신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의 MAC PDU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간 통신을 위한 MAC PDU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AC PDU의 MAC 헤더(700)는 소스(Source) ID 필드(710), 전송 타입 필드(720), 적어도 하나의 타겟 ID 필드(730-1,..,730-n), 패딩 필드(740), MAC 제어요소에 대한 서브헤더(750), 적어도 하나의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760-1,...,760-m) 및 MAC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패딩에 대한 서브헤더(77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ID 필드(710)는 소스 단말(D2D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의 제2 계층 주소 식별자(source L2 address ID, 이하 소스 ID)를 포함하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MAC 헤더(700)의 가장 처음에 포함될 수 있다. 소스 ID 필드(710)는 고정된 8비트, 16비트 또는 32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소스 ID는 접근인지 기반 서비스(ProSe: Proximity-based Services) ID 또는 ProSe 응용(application) ID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소스 단말은 상기 ProSe ID 또는 ProSe 응용 ID로부터 소스 ID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정보(예를 들어, key 값 또는 매핑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거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로부터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정보는 추후 단말이 커버리지(coverage)를 벗어나는 상황을 대비하기 위하여 단말 내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저장될 수 있다. 타겟 단말은 소스 ID 필드(710)에 포함된 소스 ID를 기반으로 해당 MAC PDU가 어느 단말로부터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송 타입 필드(720)는 소스 단말이 MAC PDU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지 또는 멀티캐스팅(multicasting)하는지 또는 유니캐스팅(unicasting)하는지에 대한 정보 즉, MAC PDU의 전송 타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타입 필드(720)는 일 예로 2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도 있으며 8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타겟 ID 필드(730-1,...,730-n)는 목적지(D2D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또는 멀티캐스팅인 경우 그룹)의 제2 계층 주소 식별자(destination L2 address ID, 이하 타겟 ID)를 포함하며, 전송 타입 필드(720) 다음에 포함될 수 있다. 타겟 ID 필드(730-1,...,730-n)는 고정된 8비트, 16비트 또는 32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만일 타겟 ID 필드에 그룹 ID가 포함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그룹 ID를 포함하는 타겟 ID 필드는 1 비트 내지 8 비트의 길이로 표현될 수도 있다. 타겟 ID 필드(730-1,...,730-n)는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MAC PDU가 멀티캐스팅 또는 유니캐스팅되는 경우 MAC 헤더(7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만일 MAC PDU가 브로드캐스팅되는 경우 타겟 ID 필드(730-1,...730-n)는 MAC 헤더(700)에 포함되지 않거나, 타겟 ID 필드(730-1,...730-n)에 포함된 정보는 무시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겟 ID 필드(730-1,...,730-n)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타겟 ID 필드(730-1,...,730-n)가 종료되는 지점을 나타내기 위해 마지막 타겟 ID 필드(730-n) 다음에는 모두 "0"으로 채워진 8비트 또는 16비트 길이의 패딩 필드(740)가 위치할 수 있다. 타겟 ID 또한 ProSe ID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타겟 단말은 상기 타겟 ID를 기반으로 수신된 MAC PDU가 해당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맞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전송 타입 필드(720)는 MAC PDU의 전송 타입에 대한 정보와 함께, 타겟 ID 필드(730-1,...,730-n)의 개수 또는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겟 ID 필드 개수 또는 길이에 대한 정보를 지시하는 필드는 2비트 내지 6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MAC PDU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전송 타입 필드(720)에 포함된 타겟 ID 필드(730-1,...,730-n)의 개수 또는 길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타겟 ID 필드(730-1,...,730-n)가 끝나는 지점을 알 수 있으므로, 해당 MAC PDU의 MAC 헤더(700)에는 패딩 필드(740)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전송 타입 필드(720)는 타겟 ID 필드(730-1,...,730-n)의 개수 또는 길이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겟 단말은 전송 타입 필드(720)의 값을 기초로 해당 MAC PDU가 브로드캐스팅, 멀티캐스팅 및 유니캐스팅 중 어느 방식으로 전송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MAC 헤더(700)에는 패딩 필드(740)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정수로 변환된 전송 타입 필드 값이 '0' 또는 전송 타입 필드 값의 최대값(예를 들어, FFFF)인 경우 이는 브로드캐스팅임을 지시할 수 있고, 기 설정된 값(예를 들어, 3) 이하인 경우 타겟 ID 필드는 멀티캐스팅임을 지시할 수 있으며, 상기 타겟 ID 필드가 그룹 ID를 포함하고 있다고 인식한다. 따라서 각 타겟 ID 필드의 길이는 그룹 ID를 포함하였을 때의 길이를 가진다고 인식한다. 상기 기 설정된 값 보다 크며 상기 전송 타입 필드 값의 최대값보다 작은 경우 이는 유니캐스팅임을 지시할 수 있으며, 상기 타겟 ID 필드가 타겟 ID를 포함하고 있다고 인식한다. 따라서 각 타겟 ID 필드의 길이는 타겟 ID를 포함하였을 때의 길이를 가진다고 인식한다. 전송 타입 필드(720)가 브로드캐스팅을 지시하는 경우 MAC 헤더(700)에는 타겟 ID 필드(730-1,...,730-n)가 포함되지 않거나, 타겟 ID 필드(730-1,...,730-n)에 포함된 정보는 무시될 수 있다.
MAC 제어요소에 대한 서브헤더(750)는 해당 MAC PDU에 MAC 제어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패딩 필드(740)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 MAC 제어요소에 대한 서브헤더(750)는 해당 MAC PDU가 브로드캐스팅됨에 따라 전송 타입 필드(720) 및 타겟 ID 필드(730-1,...,730-n)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스 ID 필드(710)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MAC 제어요소에 대한 서브헤더(750)는 전송 타입 필드(720)에 타겟 ID 필드(730-1,...,730-n)의 개수 또는 길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MAC 헤더(700)에 패딩 필드(74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마지막 타겟 ID 필드(730-n) 다음에 위치할 수도 있다.
MAC 제어요소에 대한 서브헤더(750)는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것이 같이 4개의 필드(R, R, E, LC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MAC 제어요소에 포함된 LCID 필드의 값은 사용자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MAC SDU에 대한 LCID 필드의 값과는 다른 고유한 값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D2D를 위한 MAC 제어요소의 LCID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LCID와 구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에는 D2D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MAC 계층과 무선통신 시스템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MAC 계층이 분리되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논리채널을 할당할 수 있는 범위는 각각 3 내지 10으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8에는 일 예로, 하나의 MAC 제어요소에 대한 서브헤더(750)가 도시되어 있지만, MAC PDU에 복수개의 MAC 제어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MAC 헤더(700)에는 복수개의 MAC 제어요소에 대한 서브헤더가 포함될 수 있다.
MAC 제어요소에 대한 서브헤더(750),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760-1,...,760-m) 및 패딩에 대한 서브헤더(770)의 구성은 기존 무선통신 시스템의 MAC PDU에 포함된 MAC 제어요소에 대한 서브헤더,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 및 패딩에 대한 서브헤더의 구성과 각각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D2D을 위한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760-1,...,760-m)에 포함된 LCID 필드의 값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에 포함된 LCID 필드의 값과 중복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D2D의 LC 값들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LC 값들과 동일한 범위에서 할당될 수 있다.
또는, D2D을 위한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760-1,...,760-m)에 포함된 LCID 필드의 값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에 포함된 LCID 필드의 값과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D2D의 LC 값들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LC 값들과 서로 다른 범위에서 할당될 수 있다.
한편,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MAC 제어요소는 D2D를 위한 TA(Timing Advance) 값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TA 명령(TA comman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간 통신 시에도 단말의 전력 절감을 위하여 D2D 자원 풀(resource pool)이 정의된 구간(D2D를 위해 구성된 시간구간)에서 정의되는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명령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간 통신을 위한 MAC PDU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AC PDU의 MAC 헤더(800)는 소스(Source) ID 필드(810), 타겟 ID 필드(820), MAC 제어요소에 대한 서브헤더(830), 적어도 하나의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840-1,...,840-m) 및 MAC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패딩에 대한 서브헤더(85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ID 필드(810)는 소스 단말의 제2 계층 주소 식별자(소스 ID)를 포함하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MAC 헤더(700)의 가장 처음에 포함될 수 있다. 소스 ID 필드(810)는 고정된 8비트, 16비트 또는 32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타겟 ID 필드(820)는 타겟 단말의 제2 계층 주소 식별자(타겟 ID)를 포함하며, 소스 ID 필드(810)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 타겟 ID 필드(820)는 MAC PDU가 브로드캐스팅, 멀티캐스팅 및 유니캐스팅 중 어느 방식으로 전송되는지를 지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타겟 ID 값은 3가지 범위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정수로 변환된 타겟 ID 값이 '0' 또는 타겟 ID 값의 최대값(예를 들어, FFFF)인 경우 이는 브로드캐스팅임을 지시할 수 있고, 기 설정된 값(예를 들어, 255) 이하인 경우 이는 멀티캐스팅임을 지시할 수 있으며, 상기 기 설정된 값 보다 크며 상기 타겟 ID 값의 최대값보다 작은 경우 이는 유니캐스팅임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스 ID와 타겟 ID는 ProSe ID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기지국이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MAC 제어요소에 대한 서브헤더(830)는 해당 MAC PDU에 MAC 제어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타겟 ID 필드(720)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 MAC 제어요소에 대한 서브헤더(830)는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것이 같이 4개의 필드(R, R, E, LC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MAC 제어요소에 포함된 LCID 필드의 값은 사용자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MAC SDU에 대한 LCID 필드의 값과는 다른 고유한 값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D2D를 위한 MAC 제어요소의 LCID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LCID와 구별될 수 있다.
MAC 제어요소에 대한 서브헤더(830),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840-1,...,840-m) 및 패딩에 대한 서브헤더(850)의 구성은 기존 무선통신 시스템의 MAC PDU에 포함된 MAC 제어요소에 대한 서브헤더,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 및 패딩에 대한 서브헤더의 구성과 각각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D2D을 위한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840-1,...,840-m)에 포함된 LCID 필드의 값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에 포함된 LCID 필드의 값과 중복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D2D의 LC 값들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LC 값들과 동일한 범위에서 할당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MAC PDU에 포함되는 각 필드의 순서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각 필드들이 다른 순서로 MAC PDU내에 포함되는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MAC PDU에 포함되는 각 필드의 명칭은 예시일 뿐 동일한 기능과 정의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AC PDU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소스 단말은 단말간 통신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타겟 단말의 식별자(타겟 ID)를 확인한다(S910). 그리고, 상기 타겟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MAC PDU를 구성하고(S920) 이를 D2D 자원 풀 내에 전송한다(S930). 여기서, 상기 MAC PDU의 헤더에는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D2D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의 식별자(소스 ID)를 포함하는 소스 ID 필드 및 상기 타겟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타겟 ID 필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스 ID 및/또는 타겟 ID는 ProSe ID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ProSe ID로부터 해당 단말의 식별자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네트워크로부터 NAS 계층을 통해 상기 구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정보는 해당 단말의 USIM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소스 단말은 상기 MAC PDU를 브로드캐스팅 또는 멀티캐스팅 또는 유니캐스팅으로 타겟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MAC PDU의 헤더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MAC PDU가 브로드캐스팅, 멀티캐스팅 및 유니캐스팅 중 어느 방식으로 전송되는지를 나타내는 전송 타입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단말은 상기 MAC PDU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경우 상기 MAC PDU에 상기 타겟 ID 필드를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MAC PDU의 헤더에 복수개의 타겟 ID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MAC PDU의 헤더는 상기 타겟 ID 필드가 종료되는 지점을 나타내는 패딩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딩 필드는 마지막 타겟 ID 필드 다음에 존재할 수 있으며, 8비트 또는 16비트 길이로서 모두 "0"으로 채워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송 타입 필드에 타겟 ID 필드의 개수 또는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되는 경우 타겟 단말은 상기 타겟 ID 필드의 개수 또는 길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타겟 ID 필드가 끝나는 지점을 알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MAC 헤더에는 패딩 필드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타겟 ID 필드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타겟 ID 필드의 값이 정수로 변환되는 경우 상기 MAC PDU가 브로드캐스팅, 멀티캐스팅 및 유니캐스팅 중 어느 방식으로 전송되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MAC 헤더에는 상기 전송 타입 필드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AC PDU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타겟 단말은 D2D 자원 풀 내의 D2D 데이터를 수신하면(S1010), 수신한 MAC PDU의 MAC 헤더에 포함된 타겟 ID 필드를 확인하여 해당 D2D 데이터가 해당 단말의 것인지를 판단한다(S1020). 해당 D2D 데이터가 자신에게 전송된 D2D 데이터로 판단되는 경우, 타겟 단말의 MAC 계층은 해당 D2D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하여 RLC 계층으로 전달한다(S1030). 또한, 타겟 단말은 MAC 헤더에 포함된 소스 ID 필드를 확인하여 해당 D2D 데이터가 어느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MAC 헤더에 포함된 전송 타입 필드 또는 타겟 ID 필드를 기초로 해당 D2D 데이터의 전송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MAC PDU를 송신하는 단말과 상기 MAC PDU를 수신하는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소스 단말(1100)은 프로세서(1101) 및 전송부(1102)를 포함하고, 타겟 단말(1150)은 수신부(1151) 및 프로세서(1152)를 포함한다.
소스 단말(1100)의 프로세서(1101)는 D2D 데이터를 수신할 타겟 단말(1150)의 식별자(타겟 ID)를 확인하여 타겟 ID를 포함하는 MAC PDU를 구성한다. 이 때, 상기 MAC PDU의 헤더에는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스 단말(1100)의 식별자(소스 ID)를 포함하는 소스 ID 필드 및 타겟 단말(115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타겟 ID 필드가 포함될 수 있다. 소스 단말(1100)의 프로세서(1101)는 ProSe ID로부터 상기 소스 ID 및/또는 타겟 ID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1101)는 ProSe ID로부터 해당 단말의 식별자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네트워크로부터 NAS 계층을 통해 상기 구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소스 단말(1100)의 프로세서(1101)는 상기 구성정보를 소스 단말(1100)의 USIM 칩 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소스 단말(1100)의 프로세서(1101)는 구성한 MAC PDU를 브로드캐스팅 또는 멀티캐스팅 또는 유니캐스팅으로 타겟 단말(115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MAC PDU의 헤더에 상기 MAC PDU가 브로드캐스팅, 멀티캐스팅 및 유니캐스팅 중 어느 방식으로 전송되는지를 나타내는 전송 타입 필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소스 단말(1100)의 프로세서(1101)는 상기 MAC PDU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경우 상기 MAC PDU에 상기 타겟 ID 필드를 포함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소스 단말(1100)의 프로세서(1101)는 복수개의 타겟 단말로 D2D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즉,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MAC PDU의 헤더에 복수개의 타겟 ID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MAC PDU의 헤더에 상기 타겟 ID 필드가 종료되는 지점을 나타내는 패딩 필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패딩 필드는 마지막 타겟 ID 필드 다음에 존재할 수 있으며, 8비트 또는 16비트 길이로서 모두 "0"으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소스 단말(1100)의 프로세서(1101)는 상기 전송 타입 필드에 타겟 ID 필드의 개수 또는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타겟 단말은 상기 타겟 ID 필드의 개수 또는 길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타겟 ID 필드가 끝나는 지점을 알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도 상기 MAC 헤더에 패딩 필드를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타겟 ID 필드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타겟 ID 필드의 값이 정수로 변환되는 경우 상기 MAC PDU가 브로드캐스팅, 멀티캐스팅 및 유니캐스팅 중 어느 방식으로 전송되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스 단말(1100)의 프로세서(1101)는 MAC 헤더에 전송 타입 필드를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전송부(1102)는 프로세서(1101)에서 구성된 MAC PDU를 타겟 단말(1150)로 전송한다.
타겟 단말(1150)의 수신부(1151)는 소스 단말(1100)로부터 MAC PDU를 수신하면 이를 타겟 단말(1150)의 프로세서(1152)로 전달한다.
타겟 단말(1150)의 프로세서(1152)는 수신한 MAC PDU의 MAC 헤더에 포함된 타겟 ID 필드를 확인하여 해당 D2D 데이터가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 타겟 단말(1150)의 프로세서(1152)는 상기 D2D 데이터가 자신에게 전송된 D2D 데이터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D2D 데이터를 역다중화하고, 자신에게 전송된 D2D 데이터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D2D 데이터를 무시한다.
타겟 단말(1150)의 프로세서(1152)는 수신한 MAC PDU의 MAC 헤더에 포함된 소스 ID 필드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D2D 데이터가 소스 단말(1100)에서 전송된 데이터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MAC 헤더에 포함된 전송 타입 필드 또는 타겟 ID 필드를 기초로 해당 D2D 데이터의 전송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700: MAC 헤더
710: 소스 ID 필드
720: 전송 타입 필드
730-1 ~ 730-n: 타겟 ID 필드
740: 패딩 필드
750: MAC 제어요소에 대한 서브헤더
760-1 ~ 760-m: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
770: 패딩에 대한 서브헤더

Claims (14)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소스 단말에 의한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단말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타겟 단말의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타겟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MAC PDU(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MAC PDU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MAC PDU의 헤더(header)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소스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소스 ID 필드 및 상기 타겟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타겟 ID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AC PDU의 헤더는,
    상기 MAC PDU가 브로드캐스팅, 멀티캐스팅 및 유니캐스팅 중 어느 방식으로 전송되는지를 나타내는 전송 타입 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타입 필드는,
    상기 타겟 ID 필드의 개수 또는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AC PDU의 헤더는,
    상기 타겟 ID 필드가 종료되는 지점을 나타내는 패딩 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단말의 식별자 또는 상기 타겟 단말의 식별자는,
    접근인지 기반 서비스(Proximity-based Services) 식별자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접근인지 기반 서비스 식별자로부터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정보는,
    상기 소스 단말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ID 필드는,
    상기 타겟 ID 필드의 값이 정수로 변환되는 경우 상기 MAC PDU가 브로드캐스팅, 멀티캐스팅 및 유니캐스팅 중 어느 방식으로 전송되는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단말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타겟 단말의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타겟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MAC PDU(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를 구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구성된 MAC PDU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MAC PDU의 헤더(header)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소스 ID 필드 및 상기 타겟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타겟 ID 필드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MAC PDU의 헤더에 상기 MAC PDU가 브로드캐스팅, 멀티캐스팅 및 유니캐스팅 중 어느 방식으로 전송되는지를 나타내는 전송 타입 필드를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타입 필드는,
    상기 타겟 ID 필드의 개수 또는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MAC PDU의 헤더에 상기 타겟 ID 필드가 종료되는 지점을 나타내는 패딩 필드를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접근인지 기반 서비스(Proximity-based Services)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ID 필드는,
    상기 타겟 ID 필드의 값이 정수로 변환되는 경우 상기 MAC PDU가 브로드캐스팅, 멀티캐스팅 및 유니캐스팅 중 어느 방식으로 전송되는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40027011A 2014-03-07 2014-03-07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124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011A KR102124889B1 (ko) 2014-03-07 2014-03-07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14/639,727 US9596711B2 (en) 2014-03-07 2015-03-05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dia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PCT/KR2015/002210 WO2015133869A1 (ko) 2014-03-07 2015-03-06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15/418,386 US10117284B2 (en) 2014-03-07 2017-01-27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dia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011A KR102124889B1 (ko) 2014-03-07 2014-03-07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963A true KR20150104963A (ko) 2015-09-16
KR102124889B1 KR102124889B1 (ko) 2020-06-19

Family

ID=5401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011A KR102124889B1 (ko) 2014-03-07 2014-03-07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596711B2 (ko)
KR (1) KR102124889B1 (ko)
WO (1) WO20151338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0788A (zh) * 2015-02-26 2018-01-12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单播设备到设备(d2d)通信和组播d2d通信之间区分的方法
KR20210044301A (ko) * 2018-09-21 2021-04-22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전송방법, 단말기 및 네트워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5018B2 (en) 2014-01-16 2019-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user plane protocol stack in connection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24889B1 (ko) * 2014-03-07 2020-06-1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160142897A1 (en) * 2014-11-14 2016-05-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nriched D2D Discovery Content
US10014984B2 (en) 2015-01-14 2018-07-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lexed HARQ feedbacks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0129855B1 (en) * 2015-05-07 2018-11-13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transmissions of multicast content to wireless devices
CN108029148B (zh) * 2015-07-23 2022-04-01 苹果公司 移动性中继方法和装置
WO2017025145A1 (en) * 2015-08-13 2017-02-16 Telecom Italia S.P.A.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inter-plmn proximity services
US9921637B2 (en) * 2015-10-26 2018-03-20 Nxp Usa, Inc. Multi-port power prediction for power management of data storage devices
CN107241786B (zh) * 2016-03-28 2020-10-0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进行通信配置的方法和设备
CN106209318B (zh) * 2016-07-18 2019-07-02 重庆邮电大学 一种用于td-lte的mac协议数据传输方法
US10749641B2 (en) 2016-10-11 2020-08-18 Qualcomm Incorporated Media access control header and transport block formats
EP3319252A1 (en) * 2016-11-04 2018-05-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Efficient multiplexing of control information in transport block
WO2018135913A1 (ko) * 2017-01-20 2018-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d2d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996306B (zh) 2017-12-29 2022-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设备
CN110312226B (zh) * 2018-03-20 2021-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和通信装置
CN108650234A (zh) * 2018-04-12 2018-10-12 上海交通大学 基于自定义的上下行mac pdu结构的通信方法
CN109496402B (zh) * 2018-10-12 2021-07-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标识更新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KR20200127402A (ko) * 2019-05-02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직접 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송수신 영역 결정 방법 및 장치
US20220086730A1 (en) * 2020-09-16 2022-03-17 Qualcomm Incorporated Unicast packet addressing and communication
JP2023150287A (ja) * 2022-03-31 2023-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2877B1 (en) * 2003-05-13 2008-03-1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loop-free ring topology
US20100202355A1 (en) * 2009-02-09 2010-08-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UPPORTING ROUTE OPTIMIZATION IN 6LoWPAN BASED MANEMO ENVIRONMENT
WO2013154326A1 (ko) * 2012-04-09 2013-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2900B2 (en) 2010-09-23 2014-07-29 Nokia Corporation Autonomous unlicensed band reuse in mixed cellular and device-to-device network
US20130029712A1 (en) 2011-07-26 2013-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service discovery and channel access control for proximity device-to-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EP2777322A4 (en) 2011-11-10 2015-12-2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DEVICES FOR EASIER USE OF A CARRIER AGGREGATION FOR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S
KR102036778B1 (ko) 2012-04-20 2019-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d2d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138532B1 (ko) 2012-06-22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기-대-기기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9982303B (zh) * 2012-11-01 2022-06-07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实现WLAN接近服务(WLAN ProSe)的方法
KR102058563B1 (ko) * 2013-08-07 2019-12-2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분산형 스케줄링
US10485018B2 (en) * 2014-01-16 2019-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user plane protocol stack in connection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24889B1 (ko) * 2014-03-07 2020-06-1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2877B1 (en) * 2003-05-13 2008-03-1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loop-free ring topology
US20100202355A1 (en) * 2009-02-09 2010-08-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UPPORTING ROUTE OPTIMIZATION IN 6LoWPAN BASED MANEMO ENVIRONMENT
WO2013154326A1 (ko) * 2012-04-09 2013-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0788A (zh) * 2015-02-26 2018-01-12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单播设备到设备(d2d)通信和组播d2d通信之间区分的方法
US10743161B2 (en) 2015-02-26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criminating between unicast device to device(D2D) communication and groupcast D2D communication
US11197138B2 (en) 2015-02-26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criminating between unicast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and groupcast D2D communication
KR20210044301A (ko) * 2018-09-21 2021-04-22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전송방법, 단말기 및 네트워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889B1 (ko) 2020-06-19
US10117284B2 (en) 2018-10-30
US20150257187A1 (en) 2015-09-10
US20170142768A1 (en) 2017-05-18
US9596711B2 (en) 2017-03-14
WO2015133869A1 (ko) 2015-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889B1 (ko)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641599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buffer status reporting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16541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sidelink buffer status reporting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2059042B1 (ko) 이중연결 시스템에서 멀티 플로우를 고려한 순차적 전달 방법 및 장치
US11140732B2 (en) Method for performing side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448441B2 (en) Method for receiving a priority for relay data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11001682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논리채널에 대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WO2017052106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buffer status report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034312B2 (en) Method for initiat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20150018300A (ko) 이종 네트워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WO2017069445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priority list reporting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7111316A1 (en) Method for allocating priorities to a logical channel group implicitly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2148243B1 (ko)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서의 데이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WO201707823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transmitting a sps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WO2017022959A1 (en) Method for indicating a priority for relay data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11001641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8447338B2 (en) Data unit reception management method and related system and device
WO201618234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contention-based pusc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20150109098A (ko)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상태보고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667286B2 (en) Method for selecting prose destinations or SL grants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204939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연결 제어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60037039A (ko) 동적 tdd 설정을 고려한 단말간 통신의 자원 설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