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870A - 용기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870A
KR20150104870A KR1020140026774A KR20140026774A KR20150104870A KR 20150104870 A KR20150104870 A KR 20150104870A KR 1020140026774 A KR1020140026774 A KR 1020140026774A KR 20140026774 A KR20140026774 A KR 20140026774A KR 20150104870 A KR20150104870 A KR 20150104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container body
cosmetics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5321B1 (ko
Inventor
이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026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321B1/ko
Publication of KR20150104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18Controlling escape of air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 본체 및 커버의 결합에 의해 제작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용기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커버의 조립에 의해 밀폐될 때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배출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는, 용기 본체와 커버를 결합할 때 커버에 의해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가해지는 공기압을, 용기 본체의 배출구를 개방함으로써 외부로 방출하여, 원활하게 용기를 조립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 고정 장치{An apparatus for holding a vessel}
본 발명은 용기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하는 용기의 용기 본체에 화장품 등이 수용된 후 커버가 덮여 결합될 때, 용기의 배출구를 개방시켜서 커버의 가압력에 의해 화장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기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나 고체 분말 등과 같은 화장품 등은 용기에 담겨져 판매되는데, 용기에 화장품을 담기 위해서는 용기 본체의 개방된 일측으로 노즐 등을 통해 화장품을 공급하여 용기 본체에 화장품을 충진한다.
이때 복수의 용기에 단시간 내에 화장품을 충진하기 위해서는, 원형 등의 테이블 형태를 갖고 테두리 주변에 복수의 용기 홀더를 갖는 회전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회전 장치에 형성된 용기 홀더 내에 용기를 삽입하거나 올려놓는 등의 방식으로 고정한 후, 어느 하나의 용기 홀더에 놓인 용기에 노즐이 대응되도록 하여 노즐을 통해 용기 본체에 화장품을 공급하며, 회전 장치를 불연속적으로 회전시키면서 다른 용기가 노즐에 순차적으로 대응되도록 함으로써 회전 장치에 고정된 모든 용기에 빠른 시간 내에 화장품이 충전되도록 하였다.
또한 회전 장치에는 인접하게 별도의 가압 장치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용기 본체를 밀폐하는 커버를 화장품 충진이 완료된 용기 본체에 올려놓게 되면, 가압 장치가 커버를 가압하여 용기 본체와 커버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장치에 놓인 상태로 화장품을 공급받은 용기 본체는, 작업자에 의해 올려진 커버가 가압 장치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커버와 결합되어 화장품이 담긴 용기를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화장품 충진 방식의 문제점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화장품 충진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1에서 용기 본체(11)는 개방된 일면이 상방으로 놓이도록 회전 장치에 안착되며, 노즐(2)은 화장품(C)을 하방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C)은 용기 본체(11)의 에어리스 펌프(13)의 상면에는 접하지 않는 높이까지 공급될 수 있고, 용기 본체(11)의 상부에는 커버(12)가 올려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는 가압 장치(3)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용기 본체(11)와 결합되는데, 이 경우 용기 본체(11)의 배출구(14)는 막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커버(12)에 의해 공기가 가압되어 용기 본체(11)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에 담겨진 화장품(C)은, 공기압에 의해 눌리게 되어 펌프(13) 측으로 이동하며, 펌프(13)의 내부를 따라 배출구(14)를 강제로 개방시켜서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즉 커버(12)를 결합할 때 커버(12)에 의해 가해지는 공기압이 용기 본체(1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화장품(C)에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되어, 화장품(C) 일부가 배출구(14)를 따라 배출됨으로써 작업 환경을 오염시키고, 화장품(C)을 낭비하게 된다는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화장품이 수용된 용기 본체에 커버가 결합될 때 펌프가 작동되도록 하여, 배출구를 개방하여 커버에 의한 공기압이 화장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용기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을 용기 본체에 충분히 충진한 뒤 커버를 이용하여 용기 본체를 밀폐할 시, 커버가 가압 장치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하방으로 가압되는 공기를 배출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커버를 결합할 때 화장품이 배출구로 누출되어 낭비되거나 작업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는, 용기 본체 및 커버의 결합에 의해 제작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용기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커버의 조립에 의해 밀폐될 때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배출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물질을 수용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를 밀폐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물질을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펌프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커버가 일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용기 본체에 의해서 가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는,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 개방부는,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버튼을 가압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는, 상기 이동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는, 상기 이동부를 탄성 지지하고 상기 배출 개방부를 고정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의 몸체는, 다른 하나의 몸체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단이 상기 몸체에 안착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부에 밀착된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는, 용기 본체와 커버를 결합할 때 커버에 의해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가해지는 공기압을, 용기 본체의 배출구를 개방함으로써 외부로 방출하여, 원활하게 용기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는, 커버에 의해 눌리는 공기가 화장품을 펌프 측으로 밀어내는 것을 방지하고자, 커버를 가압할 시 펌프를 작동시켜서 커버의 내부 공간과 배출구를 연통시켜 화장품이 공기압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기 제작 시 화장품이 배출구로 빠져나가 주변을 오염시키고 화장품을 불필요하게 소모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화장품 충진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에 의한 화장품 충진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들을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기(1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비록 종래의 화장품(C) 충진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용기(10)는 종래의 용기가 아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용기(10)일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0)에 종래의 방식으로 화장품(C)을 충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용기(10)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1)에 의해 지지되는 용기(10)는, 고체 또는 액체 물질이 수용되는 용기(10)일 수 있으며, 이때 고체 또는 액체 물질은 분말형 화장품이나 액상 화장품(C) 등을 의미할 수 있고, 물론 물질은 화장품(C) 외에도 용기(10)에 수용되어 사용되는 다양한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물질은 편의상 화장품(C)인 경우로 한정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용기(10)는 용기 본체(11)와 커버(12), 펌프(13), 버튼(15)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본체(11)는 액체 등의 물질이 수용되는 통 형태(일례로 원통형 또는 타원통형)이며, 일측, 구체적으로 도면 기준으로 상측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 용기 본체(11)는 화장품(C)의 수용을 위해 뒤집어진 상태이며, 실제로 용기(10)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때 기준으로 용기 본체(11)는 하측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노즐(2)을 통해 분사되는 화장품(C) 등은 용기 본체(11)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용기 본체(11)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이후 용기 본체(11)에 충분한 양의 화장품(C) 등이 공급되면, 용기 본체(11)는 커버(12)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용기 본체(11)는 테두리가 챔퍼 형상일 수 있으며, 테두리가 후술할 이동부(30)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용기 본체(11)는 외측부(111)와 내측부(112)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내측부(112)는 커버(12)와 결합되어 화장품(C)이 수용된 공간을 밀폐하는 구성이고, 외측부(111)는 용기(10)를 수용하는 별도의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기 위한 구성이다.
용기 본체(11)의 일면에는 배출구(14)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4)는 화장품(C)이 후술할 펌프(1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화장품(C)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커버(12)는 용기 본체(11)에 화장품(C)이 수용된 이후, 용기 본체(11)의 상부에 안착된 뒤 가압 장치(3)에 의해 가압되어 용기 본체(11)와 결합된다. 이때 커버(12)가 가압 장치(3)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 커버(12)는 용기 본체(11)의 내부를 가압하게 된다. 만약 용기 본체(11)의 배출구(14)가 밀폐된 상태라면 용기 본체(11)의 내부 공간은 커버(12)에 의해 밀폐되기 때문에, 공기압에 의해 밀려나는 화장품(C)은 펌프(13)를 거쳐 배출구(14)를 통해 강제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커버(12)가 용기 본체(11)에 결합될 때, 용기 본체(11)에 구비된 펌프(13)가 작동되어 배출구(14)가 개방되도록 하여, 커버(12)에 의해 가해지는 공기압이 용기 본체(11)의 화장품(C)에 적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펌프(13)는, 용기 본체(11)의 내부에 구비되며 화장품(C) 등을 배출구(14)로 배출한다. 펌프(13)는 에어리스 펌프일 수 있으며, 액상의 화장품(C)을 빨아들였다가 배출구(14)로 배출하는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및 피스톤(도시하지 않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펌프(13)는 일반적인 에어리스 펌프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펌프(13)의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펌프(13)는, 버튼(15)에 의해 가압되어 동작할 수 있고, 버튼(15)은 배출구(14)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구비될 수 있는바, 펌프(13)는 버튼(15)이 눌릴 때 버튼(15)에 의해 작동되기 위하여 가압판(131)을 구비할 수 있다.
버튼(15)은, 펌프(13)를 작동시킨다. 버튼(15)은 용기(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용기(10)가 이동부(30)를 밀어낼 때 버튼(15)이 배출 개방부(4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버튼(15)은 배출구(14)에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버튼(15)은 가압판(131)을 통해 펌프(13) 내부의 피스톤을 가압하여 펌프(13)를 작동시킬 수 있다.
버튼(15)이 가압되면 용기 본체(11)의 내부 공간과 배출구(14)가 연통되고, 버튼(15)의 가압이 해제되면 용기 본체(11)의 내부 공간과 배출구(14)의 연통이 차단된다. 결국 화장품(C) 등의 배출 측면에서 볼 때, 버튼(15)은 배출구(14)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버튼(15)은 배출 개방부(40)에 가압됨에 따라 배출구(14)를 개방하여, 커버(12)에 의해 가해지는 공기압이 배출구(14)를 따라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공기압은 펌프(13)를 거쳐 배출구(14)로 전달되며, 펌프(13)는 버튼(15)이 눌려져 있으므로 용기 본체(1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용기 본체(11)와 커버(12) 등과 같이 적어도 2개의 구성의 결합에 의해 밀폐되되 화장품(C)을 배출하는 배출구(14)를 구비한다면 본 실시예의 용기(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1)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에 의한 화장품 충진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1)는, 몸체(20), 이동부(30), 배출 개방부(40)를 포함한다.
몸체(20)는, 용기 고정 장치(1)의 외면을 형성한다. 몸체(20)는 이동부(3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원통 형태일 수 있다. 물론 몸체(20)의 형태는 용기(1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몸체(20)는 내부에 이동부(30)와 배출 개방부(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부(30)는 용기(10)에 의해 가압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탄성체(31)에 의해 지지되는데, 몸체(20)는 탄성체(31)를 지지할 수 있다. 다만 배출 개방부(40)는 후술할 버튼(15)을 가압하기 위해 일정 위치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배출 개방부(40)는 몸체(2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몸체(20)는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몸체(21)는 이동부(30)를 탄성 지지하고 배출 개방부(40)를 고정하며, 상부 몸체(20)일 수 있다. 제1 몸체(21)에는 이동부(30)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31)가 안착되며, 제1 몸체(21)의 내측에 배출 개방부(40)가 볼트나 기타 결합 방식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 몸체(22)는, 제1 몸체(21)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제1 몸체(21)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몸체(20)일 수 있다. 제2 몸체(22)는 제1 몸체(21)와 마찬가지로 원통 형태일 수 있으며 제1 몸체(21)보다 직경이 작을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제1 몸체(21) 및 제2 몸체(22)의 형태 및 크기를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 몸체(22)는 제1 몸체(21)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몸체(21)는 단차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제1 몸체(21)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하부 부분에 제2 몸체(22)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몸체(21) 및 제2 몸체(22) 중 어느 하나의 몸체(20)는, 다른 하나의 몸체(2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몸체(21)는 제2 몸체(22)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때 제2 몸체(22)에는 별도의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구동 모터가 제1 몸체(21)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또는 제2 몸체(22)는 고정된 상태로 제1 몸체(21)가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도 있다. 제2 몸체(22)가 제1 몸체(21)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일 경우 제2 몸체(22)와 제1 몸체(21)의 사이에는 제1 몸체(21)의 회전을 위해 베어링(23)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몸체(21)를 회전시키는 것은, 제1 몸체(21)에 이동부(30) 및 배출 개방부(40)가 구비됨에 따라 제1 몸체(21)에 용기 본체(11)가 안착되므로, 노즐(2)을 통해 화장품(C)을 공급할 때 용기 본체(11)에 화장품(C)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하나의 노즐(2)을 구비하고, 노즐(2)을 통해 용기 본체(11)에 화장품(C)을 공급할 경우, 화장품(C)의 점성으로 인하여 화장품(C)이 일정 부분에만 치중될 수 있다.
그러나 노즐(2)을 통해 화장품(C)을 공급하는 동시에 용기 본체(11)가 안착되어 있는 제1 몸체(21)를 회전시키면, 하나의 노즐(2)에 의해 화장품(C)이 공급되더라도 용기 본체(11)의 내부에는 고르게 화장품(C)이 분포될 수 있다. 다만 노즐(2)은 용기 본체(11)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화장품(C)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기 본체(11)의 중심 부분에는 화장품(C)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을 수 있으나, 용기 본체(11)의 중심에는 펌프(13)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결론적으로 화장품(C)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이동부(30)는, 용기(10)를 지지하며 용기(10)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한다. 이때 이동부(30)가 지지하는 용기(10)는, 용기 본체(11) 및 커버(12)의 결합에 의해 제작되고 배출구(14)를 갖는 용기(10)일 수 있다.
이동부(30)는 용기(10)에 의해 가압되어 도면 기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용기(10)에 구비된 버튼(15)이 배출 개방부(40)에 의해 가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30)는, 커버(12)가 일방향으로 가압되어 용기 본체(11)에 결합될 때 용기 본체(11)에 의해서 가압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용기 본체(11)의 테두리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동부(30)는 스프링 등의 탄성체(31)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데, 탄성체(31)는 일단이 몸체(20)에 안착되고 타단이 이동부(30)에 밀착될 수 있다. 탄성체(31)의 탄성력은, 커버(12)가 용기 본체(11)에 가압될 때 커버(12)에 의해 발생되는 용기 본체(11) 내부의 압력 상승에 따라 화장품(C)이 펌프(13)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정도로 결정될 수 있다.
배출 개방부(40)는, 용기(10)가 용기 본체(11) 및 커버(12)의 조립에 의해 밀폐될 때 배출구(14)를 개방한다. 배출구(14)가 개방되지 않는다면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12)에 의해 용기 본체(11)의 내압이 상승됨에 따라, 용기 본체(11)에 담겨진 화장품(C)이 강제로 펌프(13)를 통해 배출구(14)로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배출 개방부(40)는 이동부(3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20) 및 이동부(30)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일 수 있다. 배출 개방부(40)는 몸체(20)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이동부(30)가 용기 본체(11)에 의해 하강함에 따라 용기 본체(11)에서 돌출되어 있는 버튼(15)이 배출 개방부(4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즉 배출 개방부(40)는 용기(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15)을 가압하여 배출구(14)를 개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커버(12)가 용기 본체(11)에 결합될 때 용기 본체(11)의 내부와 외부가 배출구(14)를 통해 연통되도록 하여, 커버(12)에 의해 용기 본체(11)의 내압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장품(C)의 누출을 막을 수 있다.
버튼(15)은 배출구(14)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 본체(11)는 몸체(20)에 다양한 각도(용기(10)를 수직 관통하는 축을 기준으로 하는 각도)로 안착될 수 있는바, 버튼(15)이 어떠한 위치에 있더라도 배출 개방부(40)가 용이하게 버튼(15)을 가압할 수 있도록, 배출 개방부(40)는 상면이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배출 개방부(40)는 버튼(15)을 충분히 가압할 수 있도록 버튼(15)보다 견고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1)에 의한 화장품(C) 충진 방식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용기 고정 장치(1)의 상부에는 용기 본체(11)가 뒤집어진 상태로 안착되어 있다. 이때 용기 본체(11)는 배출 개방부(40)와 이격되어 있고, 테두리가 이동부(30)에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용기 본체(11)에는 노즐(2)을 통해 공급되는 화장품(C)이 수용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몸체(21)가 회전할 수 있으므로, 일정 위치에서 노즐(2)을 통해 공급되는 화장품(C)은 용기 본체(11)에 고르게 충진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충분한 양의 화장품(C)이 용기 본체(11)에 수용될 수 있고, 이때 용기 본체(11)의 상부에는 작업자 등에 의해 커버(12)가 안착될 수 있다. 커버(12)는 용기 본체(11)의 내측부(112)를 감싸며 용기 본체(11)에서 화장품(C)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8의 경우 커버(12)는 용기 본체(11)에 안착될 뿐, 아직 용기 본체(11)에 결합되기 이전일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커버(12)는 가압 장치(3)에 의해 하강하면서 용기 본체(11)의 내측부(1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커버(12)가 하강하면 용기 본체(11)와 커버(12) 사이에 밀폐되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커버(12)가 지속적으로 가압될 시 밀폐된 공간의 내압이 상승하게 되고, 공간 내에 저장되어 있던 화장품(C)이 공기압에 의해 밀려나게 되어 펌프(13)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밀폐 공간 내부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여 화장품(C)이 밀려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커버(12)가 하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용기 본체(11) 역시 하방으로 가압되는데, 이때의 압력은 이동부(30)에 전달된다. 커버(12)가 결합되면서 이동부(30)에 전달되는 압력은 커지므로, 어느 순간 이동부(30)가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이동부(30)가 하강함에 따라 용기 본체(11) 역시 하강하게 되며, 용기 본체(11)의 하방에 돌출되어 있는 버튼(15)은 배출 개방부(40)에 닿게 된다.
이동부(30)가 지속적으로 하강하면 버튼(15)은 배출 개방부(40)에 의해 눌리게 되고, 버튼(15)이 눌림에 따라서 용기 본체(11)와 커버(1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배출구(14)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2)에 의해 전달되는 공기압은 배출구(14)로 방출되므로, 화장품(C)은 노즐(2)에 의해 용기 본체(11)에 공급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구(14)를 통해 원활하게 공기압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배출 개방부(40)의 상면에서 배출구(14)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함몰로(도시하지 않음)가 방사상의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함몰로는 이동부(30) 및 몸체(20)까지 연장 형성되어 공기가 원활하게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커버(12)에 의해 용기 본체(11)가 밀폐될 때, 용기 본체(11)와 커버(12) 내의 공간에서의 압력이 상승됨에 따라 화장품(C)이 배출구(14)로 강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화장품(C)의 낭비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용기 고정 장치 10: 용기
11: 용기 본체 111: 외측부
112: 내측부 12: 커버
13: 펌프 131: 가압판
14: 배출구 15: 버튼
20: 몸체 21: 제1 몸체
22: 제2 몸체 23: 베어링
30: 이동부 31: 탄성체
40: 배출 개방부 2: 노즐
3: 가압 장치 C: 화장품

Claims (11)

  1. 용기 본체 및 커버의 결합에 의해 제작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용기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커버의 조립에 의해 밀폐될 때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배출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물질을 수용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를 밀폐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물질을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커버가 일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용기 본체에 의해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개방부는,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버튼을 가압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이동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이동부를 탄성 지지하고 상기 배출 개방부를 고정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의 몸체는,
    다른 하나의 몸체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몸체에 안착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부에 밀착된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KR1020140026774A 2014-03-06 2014-03-06 용기 고정 장치 KR101585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774A KR101585321B1 (ko) 2014-03-06 2014-03-06 용기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774A KR101585321B1 (ko) 2014-03-06 2014-03-06 용기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870A true KR20150104870A (ko) 2015-09-16
KR101585321B1 KR101585321B1 (ko) 2016-01-13

Family

ID=5424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774A KR101585321B1 (ko) 2014-03-06 2014-03-06 용기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3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424Y1 (ko) 2007-05-11 2008-08-18 전순이 진공보관용기세트
JP5051783B2 (ja) 2009-01-20 2012-10-17 株式会社 ノサカテック 容器蓋体の結合方法
JP2011136736A (ja) 2009-12-28 2011-07-14 Suntory Holdings Ltd ボトル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321B1 (ko)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2403B2 (en) Refillable spray bottle
KR101554210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CN103662437A (zh) 流体产品分配瓶
US6099160A (en) Mixing system for mixing and dispensing reactive materials
JP2018517629A (ja) ピストンエアロゾルディスペンサ
KR101449663B1 (ko) 어플리케이트를 푸쉬버튼으로 사용하는 콤팩트
JP2014516882A (ja) エアゾールディスペンサを充填及び封止する方法
EP4122606A1 (en) Double-walled container
KR20180085252A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101481959B1 (ko) 잔량 개선을 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475589Y1 (ko) 화장품 용기
KR101521396B1 (ko) 밀폐식 액상 콤팩트 용기
US20160137393A1 (en) Refillable spray bottle
US36676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ely packaging two liquids which are to be simultaneously dispensed
KR200464876Y1 (ko) 진동수단이 구비된 펌프형 마사지 용기
KR101689389B1 (ko) 펌프 타입 콤팩트 용기
KR101585321B1 (ko) 용기 고정 장치
KR200488073Y1 (ko) 이종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한 액체 배출용기
WO2020084229A1 (fr) Machine de distribution de produit stocke en conteneur comprenant une poche souple et ensemble comprenant au moins un conteneur et ladite machine
JP2017031107A (ja) 多色化粧料の充填方法およびその充填装置
RU2211792C2 (ru) Патрон (варианты) и комплект для хранения и введения единичной дозы
JP5554160B2 (ja) 塗布具付き注出器
KR101912071B1 (ko) 이종 화장품원료의 혼합기능을 구비한 화장품용기
GB2508268A (en) Liquid pump device
JP2015150537A (ja) 材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