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843A -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843A
KR20150104843A KR1020140026725A KR20140026725A KR20150104843A KR 20150104843 A KR20150104843 A KR 20150104843A KR 1020140026725 A KR1020140026725 A KR 1020140026725A KR 20140026725 A KR20140026725 A KR 20140026725A KR 20150104843 A KR20150104843 A KR 20150104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lant
power generation
floating
generation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배
문영식
최정호
이승철
이정무
임혜원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6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4843A/ko
Priority to PCT/KR2015/000907 priority patent/WO2015133729A1/ko
Publication of KR20150104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843A/ko
Priority to PH12016501744A priority patent/PH1201650174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발전 플랜트에서 생산된 전력을 기존의 육상 변전소를 이용하여 육상의 전력 소비처로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에 있어서, 해수면에 부유하면서 전력을 생산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육상에 설치되어, 육상의 발전 플랜트가 정상 운행될 때는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에서 생산된 전력의 전압을 변경하여 전력망으로 공급하고,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가 정상 운행되지 않을 때는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에서 생산된 전력의 전압을 변경하여 상기 전력망으로 공급하는 변전소를 포함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USING FLOATING OFFSHORE PLANTS}
본 발명은 부유식 발전 플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에서 생산된 전력을 기존의 육상 변전소를 이용하여 육상의 전력 소비처로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natural gas)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고, 소량의 에탄(ethane), 프로판(propane) 등을 포함하는 화석연료로서, 최근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저공해 에너지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특히, LNG는 비교적 저렴하며 공해를 덜 유발하므로 발전연료로 적합하다.
최근에는 육지에 매립된 에너지의 고갈에 따라, 다양한 해양 자원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고, 해상에서 원유나 천연가스를 채굴하기 위한 유정 및 가스정 확보 및 개발도 각국에서 앞다퉈 이루어지고 있다.
천연가스는 가스 상태로 운반되기도 하고,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N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의해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되기도 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이하)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LNG의 이송을 위한 선박에는 LNG 수송선(LNG CARRIER), LNG RV(Regasification Vessel), LNG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Floating)-LNG 플랜트 등이 있다.
LNG 수송선은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LNG를 하역하고, LNG RV는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도착한 후 저장된 LNG를 재기화하여 천연가스 상태로 하역한다.
LNG FPSO(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는 해상에서 액화천연가스(LNG)의 저장 및 기화 기능을 겸비한 대형 특수선박으로, LNG FPSO는 채굴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정제한 후 액화플랜트에 의해 직접 액화시켜 저장하고, 필요시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싣기 위해 사용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또한, LNG FSRU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LNG를 카고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해수담수화플랜트, 발전플랜트, 공장 등)에 공급함으로써 육상의 저장 및 생산설비를 생략할 수 있게 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이러한 LNG FRSU 등에 의해 운반되는 액화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플랜트는 주로 육상, 특히 원료 수급이 용이하고 용지확보 비용이 저렴한 해안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섬이나 개발도상국의 현지 육상에서 발전 플랜트를 건설하려면 경험 및 기술이 있는 인력 고용 문제 및 기자재 조달 문제 등이 발생한다. 그리고, 육상 발전 플랜트의 건설로 인한 환경파괴 및 시설주변 오염 등의 환경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육상의 발전 플랜트는 유지 보수 및 개량 시에 전력 공급 공백 기간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발전 플랜트에 연결된 변전소가 유휴 상태가 되어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육상의 발전 플랜트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전 시스템이 설치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 생산된 전력을 육상으로 공급하려면 육상에 변전소를 신규로 건설해야 해서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 : 국내등록특허 제10-1358303호(2014.01.27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육상의 발전 플랜트의 유지 보수 기간 동안 발생하는 전력 공급 공백 기간 및 변전소의 유휴 상태를 방지하고, 해상 구조물에서 생산된 전력을 육상으로 공급하기 위해 육상에 변전소를 신규로 건설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에 있어서, 해수면에 부유하면서 전력을 생산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육상에 설치되어, 육상의 발전 플랜트가 정상 운행될 때는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에서 생산된 전력의 전압을 변경하여 전력망으로 공급하고,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가 정상 운행되지 않을 때는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에서 생산된 전력의 전압을 변경하여 상기 전력망으로 공급하는 변전소를 포함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는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에서 생산된 전력을 상기 변전소로 이송하는 전력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가 정상 운행되면,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는 전력 공급이 필요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는 복합화력발전 플랜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는 LNG 저장 탱크; 상기 LNG 저장 탱크의 LNG를 기화시켜 발전 장치로 공급하는 기화 장치; 및 상기 기화 장치로부터 공급된 기화 가스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는 상기 LNG 저장탱크 내의 자연 증발된 증발 가스를 재액화시키는 액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방법에 있어서, 육상의 발전 플랜트가 정상 운행될 수 없는 경우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와 육상에 위치한 변전소 간의 송전 케이블을 해체하는 단계; 부유식 발전 플랜트와 상기 변전소를 전력 공급 라인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운전을 시작하여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로부터 상기 변전소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방법은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의 정상 운행이 가능해지면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와 상기 변전소 간의 상기 전력 공급 라인을 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방법은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와 상기 변전소 간의 상기 송전케이블을 재연결하고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의 운전을 재시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방법은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가 전력 공급이 필요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는 복합화력발전 플랜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는 LNG 저장 탱크; 상기 LNG 저장 탱크의 LNG를 기화시켜 발전 장치로 공급하는 기화 장치; 및 상기 기화 장치로부터 공급된 기화 가스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는 상기 LNG 저장탱크 내의 자연 증발된 증발 가스를 재액화시키는 액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육상의 발전 플랜트의 유지 보수 기간 동안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력 공급 공백 기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육상의 발전 플랜트의 유지 보수 기간 동안 유지 보수 중인 발전 플랜트에 연결되었던 변전소를 이용하여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하여 전력을 육상의 소비처로 공급함으로써 신규 변전소 건설의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변전소 건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기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기 공급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기 공급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기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기 공급 장치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육상의 변전소를 이용하여 부유식 발전 플랜트에서 생산된 전력을 육상의 소비처로 공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기 공급 장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110), 전력 공급 라인(120) 및 변전소(130)를 포함한다.
부유식 발전 플랜트(110)는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플랜트가 설치된 부유식 구조물을 의미한다. 부유식 구조물은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식 해양 플랫폼(Offshore platform)을 통칭하는 의미로서, 자체 추진기가 마련된 해양 플랫폼 및 추진기 없이 예인선으로 해상에서 예인되는 부유식 해양 플랫폼을 모두 포함하며, 예로서 바지선(barge)이 있다. 즉, 부유식 발전 플랜트(110)의 선체는 해상에 부유식으로 계류되고, 필요 시에는 추진기관 또는 예인선을 통해 해상에서 항해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부유식 발전 플랜트(110)는 다양한 방식의 발전 플랜트일 수 있고, 일례로서 복합화력발전 플랜트일 수 있다.
복합화력 발전은 연료를 통한 1차 발전에서 생산된 에너지로 다시 2차 발전을 하는 것으로서, 천연가스나 경유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1차로 가스터빈을 돌려 발전하고, 가스터빈에서 나오는 배기가스열을 다시 보일러에 통과시켜 증기를 생산하여 2차로 증기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LNG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G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는 LNG 저장탱크(111), 기화 장치(112), 발전 장치(113) 및 액화 장치(114)를 포함할 수 있다.
LNG 저장탱크(111)는 LNG를 저장하는 탱크이다. LNG 저장탱크(111)는 LNG 공급라인을 통해 LNG 운반선, LNG FPSO 또는 육상의 LNG 공급처로부터 LNG를 공급받을 수 있다. LNG 저장탱크(111)는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선체의 갑판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천연가스의 액화 온도는 상압에서 약 -163℃의 극저온이므로, LNG는 그 온도가 상압에서 -163℃ 보다 약간만 높아도 증발된다. 따라서, LNG 저장탱크(111)에 단열처리가 되어 있더라도, 외부의 열이 LNG에 지속적으로 전달되므로, LNG 저장탱크(111) 내에서 LNG가 지속적으로 기화되어 LNG 저장탱크(111) 내에는 증발 가스(Boil-Off Gas)가 발생한다.
따라서, LNG 저장탱크(111)는 액화 장치(114)와 연결될 수 있고, 액화 장치(114)는 LNG 저장 탱크(111) 내의 자연 증발된 증발 가스를 재액화시킨다.
LNG 저장 탱크(111)와 액화 장치(114)는 LNG 공급 라인과 증발 가스 공급 라인로 연결되어, LNG 저장탱크(111)에서 발생된 증발 가스는 증발 가스 공급 라인을 통해 액화 장치(114)로 이송되고, 액화 장치(114)에서 재액화된 LNG는 LNG 공급 라인을 통해 LNG 저장 탱크(111)로 이송된다.
기화 장치(112)는 LNG 저장 탱크(111)의 LNG를 기화시켜 발전 장치(113)로 공급한다. LNG 저장 탱크(111)와 기화 장치(112)는 LNG 공급 라인으로 연결되어, LNG 저장 탱크(111)의 LNG가 LNG 공급 라인을 통해 기화 장치(112)로 이송된다. 기화 장치(112)는 선체의 갑판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발전 장치(113)는 기화 장치(112)로부터 공급된 기화 가스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기화 장치(112)와 발전 장치(113)는 기화 가스 공급 라인으로 연결되어, 기화 가스 공급 라인을 통해 기화 장치(112)로부터 발전 장치(113)로 기화 가스가 공급된다.
발전 장치(113)는 기화 장치(112)로부터 공급된 기화 가스를 연소시켜 전력을 생산한다. 예를 들어, 발전 장치(113)는 기화 가스를 연소시켜 발생한 열로 고온 고압의 수증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수증기에 의해 터빈을 구동시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전 장치(113)는 LNG 저장 탱크(111), 기화 장치(112) 등과의 배치 관계 및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선체의 갑판 상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부유식 발전 플랜트(110)에서 생산된 전력은 전력 공급 라인(120)을 통해 육상의 변전소(130)로 이송된다.
변전소(130)는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 선로나 배전 선로를 통하여 전력 소비처로 보내는 과정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성질을 바꾸기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이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를 전력 소비처로 수송하기 위해서는 매우 먼 거리의 송전 선로를 통과해야 한다. 이때 선로의 저항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전력손실이 발생한다. 전력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전선을 굵은 것으로 사용하여 저항을 낮추거나 송전전압을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경제적인 이유로 전선을 굵게 만드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변전소(130)에서 송전 전압을 높여 전력 소비처로 전력을 이송한다.
변전소(130)는 육상에 설치되어,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가 정상 운행될 때는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에서 생산된 전력의 전압을 변경하여 전력망으로 공급하고,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가 정상 운행되지 않을 때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110)에서 생산된 전력의 전압을 변경하여 전력망으로 공급한다.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가 정상 운행되지 않을 때는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가 전력을 생산하지 않은 때를 의미하고, 육상 발전 플랜트가 유지 보수 또는 개량될 때를 포함할 수 있다.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가 전력을 생산하지 않으면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에 연결된 변전소(130)는 유휴 상태가 되고,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던 전력 소비처(160)는 전력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가 정상 운행되지 않을 때, 부유식 발전 플랜트(110)를 변전소(130)와 연결하여, 부유식 발전 플랜트(110)로부터 변전소(130)로 전력을 공급하면 변전소(130)가 유휴 상태가 되지 않고, 전력 소비처(160)는 계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의 유지 보수 또는 개량이 완료되어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가 정상 운행되면, 부유식 발전 플랜트(110)는 전력 공급이 필요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다른 지역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정상 운행되지 않는 육상의 발전 플랜트가 있는 지역으로 이동하여 정상 운행되지 않는 육상의 발전 플랜트에 연결된 변전소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110)는 폐쇄된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에 연결되었던 변전소(130)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즉, 부유식 발전 플랜트(110)의 전력을 육상에 공급하기 위해 신규 발전소를 설치하지 않고, 유휴 중인 기존의 변전소(130)를 이용하여 육상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기 공급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기 공급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가 정상 운행될 수 없는 경우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와 육상에 위치한 변전소(130) 간의 송전 케이블을 해체한다(S310).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가 정상 운행될 수 없는 경우는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를 유지 보수 또는 개량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의 유지보수 또는 개량을 시작하고(S320), 부유식 발전 플랜트(110)와 변전소(130)를 전력 공급 라인(120)으로 연결한다(S330).
그리고, 부유식 발전 플랜트(110)의 운전을 시작하여 변전소(130)로 전력을 공급한다(S340). 그러면, 변전소(130)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11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전력망(140)을 통해 전력 소비처(160)로 공급한다.
그리고, 육상의 발전 플랜트의 유지보수 또는 개량이 완료되면(S350), 부유식 발전 플랜트(110)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부유식 발전 플랜트(110)와 변전소(130) 간의 전력 공급 라인(120)을 해체한다(S360).
그리고,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와 변전소(130) 간의 송전케이블을 재연결하고 육상의 발전 플랜트(150)의 운전을 재시작시키고(S370), 부유식 발전 플랜트(110)는 전력 공급이 필요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다(S38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부유식 발전 플랜트
120 : 전력 공급 라인
130 : 변전소
140 : 전력망
150 : 육상의 발전 플랜트
160 : 전력 소비처
111: LNG 저장탱크
112 : 기화 장치
113 : 발전 장치
114 : 액화 장치

Claims (13)

  1.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에 있어서,
    해수면에 부유하면서 전력을 생산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육상에 설치되어, 육상의 발전 플랜트가 정상 운행될 때는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에서 생산된 전력의 전압을 변경하여 전력망으로 공급하고,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가 정상 운행되지 않을 때는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에서 생산된 전력의 전압을 변경하여 상기 전력망으로 공급하는 변전소를 포함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에서 생산된 전력을 상기 변전소로 이송하는 전력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가 정상 운행되면,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는 전력 공급이 필요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는 복합화력발전 플랜트인,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는
    LNG 저장 탱크;
    상기 LNG 저장 탱크의 LNG를 기화시켜 발전 장치로 공급하는 기화 장치; 및
    상기 기화 장치로부터 공급된 기화 가스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는
    상기 LNG 저장탱크 내의 자연 증발된 증발 가스를 재액화시키는 액화 장치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7.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방법에 있어서,
    육상의 발전 플랜트가 정상 운행될 수 없는 경우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와 육상에 위치한 변전소 간의 송전 케이블을 해체하는 단계;
    부유식 발전 플랜트와 상기 변전소를 전력 공급 라인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운전을 시작하여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로부터 상기 변전소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의 정상 운행이 가능해지면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와 상기 변전소 간의 상기 전력 공급 라인을 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와 상기 변전소 간의 상기 송전케이블을 재연결하고 상기 육상의 발전 플랜트의 운전을 재시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가 전력 공급이 필요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는 복합화력발전 플랜트인, 전력 공급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는
    LNG 저장 탱크;
    상기 LNG 저장 탱크의 LNG를 기화시켜 발전 장치로 공급하는 기화 장치; 및
    상기 기화 장치로부터 공급된 기화 가스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발전 플랜트는
    상기 LNG 저장탱크 내의 자연 증발된 증발 가스를 재액화시키는 액화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 방법.
KR1020140026725A 2014-03-06 2014-03-06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50104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725A KR20150104843A (ko) 2014-03-06 2014-03-06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PCT/KR2015/000907 WO2015133729A1 (ko) 2014-03-06 2015-01-28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PH12016501744A PH12016501744A1 (en) 2014-03-06 2016-09-06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using barge mounted power 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725A KR20150104843A (ko) 2014-03-06 2014-03-06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843A true KR20150104843A (ko) 2015-09-16

Family

ID=5424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725A KR20150104843A (ko) 2014-03-06 2014-03-06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48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935A (ko) * 2018-10-29 2020-05-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플랫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935A (ko) * 2018-10-29 2020-05-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9522B2 (ja) 液化ガス貯蔵システム
KR20120066823A (ko) 해상 lng 저장 및 복합화력발전 유닛
AU2014324072A1 (en) Expandable LNG processing plant
KR101388871B1 (ko) 가스 및 전기 생산설비가 구비된 부유식 엘엔지 급유시설
KR102248128B1 (ko) 부유 저장식 가스 발전플랜트
KR101260994B1 (ko) 발전플랜트가 탑재된 부유식 구조물
KR101260992B1 (ko) 발전플랜트가 탑재된 부유식 구조물
KR20130108224A (ko) 해상 lng 저장 및 복합화력발전 유닛
KR102053936B1 (ko) Lng 벙커링 시스템
KR101260993B1 (ko) 발전플랜트가 탑재된 부유식 구조물
KR20150104843A (ko)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599379B1 (ko)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및 가스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50111567A (ko) 전력공급시스템
KR101654243B1 (ko) 전기 가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1662A (ko) Bog를 연료로 사용하는 부유식 발전선
KR101637372B1 (ko) 복합형 해상 부유식 구조물
KR102130716B1 (ko) 선박 또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60083700A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의 선외 전기 공급 장치 및 방법
WO2018139997A1 (en) Floating liquid natural gas storage, regasification, and generation vessel
KR20230083997A (ko) 이산화탄소 처리를 위한 부유식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처리 시스템
KR101480236B1 (ko) 해안발전시스템
KR20160044169A (ko) 재액화 장치를 구비하는 부유식 발전선
KR101475004B1 (ko) 육상 인프라를 이용한 lng 처리시스템
KR20090066427A (ko) 천연가스 액화/기화 장치를 설비한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
KR20120042378A (ko) Dpg를 연료가스로 이용하는 dpg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