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818A - 적층형 오일쿨러 - Google Patents

적층형 오일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818A
KR20150104818A KR1020140026641A KR20140026641A KR20150104818A KR 20150104818 A KR20150104818 A KR 20150104818A KR 1020140026641 A KR1020140026641 A KR 1020140026641A KR 20140026641 A KR20140026641 A KR 20140026641A KR 20150104818 A KR20150104818 A KR 20150104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outlet
inlet
tube membe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493B1 (ko
Inventor
이홍열
박정상
이종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14002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493B1/ko
Publication of KR20150104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16H57/0415Air cooling or ventilation; Heat exchangers; Thermal insu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02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2003/006Liquid cooling the liquid being 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부와, 플랜지부와, 지지플레이트와 엔드캡을 포함하되, 상기 튜브부재는, 유입홀과 유출홀에 각각 대응되도록 양측에 제1유입구와 제1유출구가 관통 형성된 상부플레이트와, 제1유입구와 제1유출구에 대응되는 양측에 제2유입구와 제2유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부플레이트와 상호 용융 접합되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는, 각각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와, 제1유출구 및 제2유출구 주변을 따라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여 조립 시 서로 맞닿아 용융 접합되는 내압보강부를 구비하는 적층형 오일쿨러를 제공한다.
따라서 내압이 가장 취약한 양측 라운드변에 내압보강부를 구비하여 내압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성 및 제품의 중량 및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적층형 오일쿨러 {Stack type oil cooler}
본 발명은 적층형 오일쿨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층형 오일쿨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각종 오일은 해당 부품 간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윤활기능은 물론, 마모나 마멸을 방지하는 등의 기능을 도모한다. 가령, 변속기에 사용되는 오일은 변속기의 토크 컨버터 내에 동력을 전달하고, 기어 또는 베어링 등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며, 각종 유압기구 즉, 밸브, 클러치 등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면서 변속기의 접동부를 냉각시키고, 이때의 오일은 트랜스미션 케이스 하측에 연결되는 오일 팬으로부터 펌프에 의해 각종 밸브기구 및 유압부품으로 공급된다.
한편, 이러한 자동차의 각종 오일은 부품 상호 간의 윤활작용과 함께 과열 등을 방지하기도 하는데, 성능유지를 위하여 오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과열된 오일을 냉각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별도의 오일 쿨러(Oil cooler)를 설치하여 고온의 오일을 냉각시키고 있다.
이에, 상기한 오일쿨러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68100호의 단위부재 및 그 단위부재를 이용한 자동차 변속기의 오일 쿨러가 개시된 바 있으며, 상기한 오일 쿨러는 오일이 유동하고 다수의 채널이 형성된 압출튜브와, 압출튜브의 양 끝단에 조립되는 캡과, 상기 압출튜브와 캡의 조립체 복수개를 서로 적층 조립하여 일체화 시키는 헤더와, 압출튜브 사이에 배치되는 아웃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적층형 오일쿨러(70)는, 적층 배열된 복수개의 튜브(10)의 내부에 방열성능을 높이기 위한 이너핀(20)이 삽입되며, 이때의 상기 이너핀(20)은 튜브(10) 내부의 끝단까지 모두 채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적층형 오일쿨러(70)는 내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연통홀(11)의 주변까지 아웃핀(30)을 구비하며, 최하단에는 구조적인 취약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긴 플레이트 형상의 엔드플레이트(4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51, 52는 각각 유입플랜지와 유출플랜지를 나타내며, 60은 탑플레이트를 나타낸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적층형 오일쿨러(70)는, 이너핀(20)이 튜브(10)의 끝단까지 채워져서, 양측 단부에 홀을 관통형성하고, 또한 튜브(10)의 형상에 대응하여 라운드형상으로 컷팅 하는 등 일련의 가공과정에서 이너핀(20)의 찌그러짐과 같은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적층형 오일쿨러(70)는, 얇은 두께의 이너핀(20)과 아웃핀(30)으로는 내압이 가장 취약한 양측 단부의 내압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최하단부의 엔드플레이트(40) 또한 보강이 불필요한 곳까지 보강하도록 긴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중량 및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너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층형 오일쿨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에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유입된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튜브부재 복수개가 서로 적층 배열되는 튜브부; 상기 튜브부재의 유입홀에 연통되게 결합하여 상기 튜브부재로 상기 열교환매체를 공급하는 유입플랜지와, 상기 튜브부재의 유출홀에 연통되게 결합하여 상기 튜브부재로부터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출되는 유출플랜지를 포함하는 플랜지부; 적층 배열 된 상기 튜브부재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부를 지지하고,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복수개의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튜브부에서 최하단의 상기 튜브부재의 하측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열교환매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엔드캡을 포함하되, 상기 튜브부재는,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각각 대응되도록 양측에 제1유입구와 제1유출구가 관통 형성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에 대응되는 양측에 제2유입구와 제2유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호 용융 접합되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 및 상기 제2유출구 주변을 따라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여 조립 시 서로 맞닿아 용융 접합되는 내압보강부를 구비하는 적층형 오일쿨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내압보강부는, 상기 튜브부재의 외측 라운드변을 따라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압보강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 주변에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내압보강부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내압보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조립 시 상기 제1내압보강부와 접촉하는 제2내압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내압보강부와 상기 제2내압보강부는, 각각 엠보(Embo)가공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튜브부재의 상기 유입홀 측에 결합하는 제1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튜브부재의 상기 유출구 측에 결합하는 제2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평단면형상이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을 중심으로 반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튜브부재는, 외측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난류 유체유동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엠보부들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일측 단부가 상기 엠보부에 접촉 지지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를 따라 형성되어 상측에 결합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를 따라 형성되어 하측에 결합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엔드캡과, 상기 엔드캡과 결합하는 최하단의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오조립방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오조립방지수단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 주변에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엔드캡의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튜브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서로 끼움 조립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조립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조립부는, 상기 튜브부재의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 주변에 형성된 조립홈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기 조립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조립홈에 끼움 결합하는 조립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립홈은, 상기 조립돌기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좁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오일쿨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열교환매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부분에 내압보강부를 통하여 내압을 보강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튜브부재 사이에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최하단의 엔드캡의 구조를 긴플레이트가 아닌 유입홀과 유출홀을 막을 수 있도록 한 쌍의 캡구조로 형성하여, 제품의 중량 및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넷째, 오조립방지수단과 조립부를 통하여 조립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조립을 없앰으로써 작업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가공 시 이너핀의 변형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적층형 오일쿨러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적층형 오일쿨러에서 유출구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오일쿨러에서 유입구측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적층형 오일쿨러의 플랜지부와 지지플레이트와 튜브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도 4의 상부플레이트와 내압보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지지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지지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지지플레이트를 조립부를 이용하여 그 위치를 고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최하측의 하부플레이트와 엔드캡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엔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엔드캡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오조립방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엔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엔드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오일쿨러(700)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탱크(Radiator tank;미도시) 내부에 삽입 장착되어, 열교환매체로서 변속기(Transmission)를 구동하는 미션오일이 엔진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각되도록 하며, 튜브부(100)와, 플랜지부(200)와, 지지플레이트(300)와, 엔드캡(40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적층형 오일쿨러(700)는, 상기 튜브부(100)의 내부에 이너핀(미도시)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부(100)는 엔진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유체의 난류유동을 유도하고, 내부로 유동하는 상기 열교환매체의 냉각을 도모할 수 있는 엠보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이너핀과 엠보부(1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구성과 대응되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공지의 적층형 오일쿨러와는 대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적층형 오일쿨러(700)는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유입부분과 열교환매체가 유출되는 유출부분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이중 유입부분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튜브부(100)는, 내부에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유로(131)가 형성되며, 일측에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유입된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을 통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유입된 상기 열교환매체는 상기 튜브부(100)를 따라 수평한 방향으로 분배되어 유동하고, 상기 유출홀을 통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유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 상기 튜브부(100)는, 복수개의 튜브부재(130)가 서로 적층 배열되어 있다. 상기 튜브부재(130)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있으며, 프레스로 판재를 성형하여 형성되며, 테두리부가 브레이징을 통하여 용융 접합되는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플레이트(110)는,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각각 대응되도록 양측에 제1유입구(111)와 제1유출구(미도시)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20)는, 상기 제1유입구(111)와 상기 제1유출구에 대응되는 양측에 제2유입구(121; 도 5참조)와 제2유출구(미도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131)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상호 용융 접합된다.
상기 튜브부재(130)는, 열교환매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외측 라운드변을 따라 내압보강부(140)가 형성되어, 내압으로 특히 취약한 유입홀과 유출홀 주변의 내압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내압보강부(14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내압보강부(14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여 조립 후 서로 맞닿아 브레이징 용융 접합된다. 또한, 상기 내압보강부(140)는, 내압이 특히 취약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상기 제1유입구(111) 및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의 제2유입구(121) 및 상기 제1유출구 주변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어 내압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내압보강부(14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제1내압보강부(141)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에 형성되며 조립 시 상기 제1내압보강부(141)와 맞닿아 브레이징 시 용융 접합되는 제2내압보강부(142;도 10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제1내압보강부(141)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상기 제1유입구(111)와 상기 제1유출구 각각의 주변에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내압보강부(142)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에서 상기 제1내압보강부(141)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조립 시 상측면이 상기 제1내압보강부(141)와 접촉한다.
한편, 상기 제1내압보강부(141)와 상기 제2내압보강부(142)는, 각각 엠보(Embo)가공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버링가공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상기한 내압보강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가공 공정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내압보강부(141)와 상기 제2내압보강부(142)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상기 제1유입구(111) 및 상기 제2유입구(121)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의 제2유입구(121) 및 상기 제1유출구 주변 외측을 따라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로(131) 내측으로 삽입되는 이너핀과의 간섭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호형상 외에 지그재그형상 등 내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그 길이 또한 이너핀과의 간섭 등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내압보강부(140)는, 상기 튜브부재(130)의 내압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홀과 유출되는 유출홀 모두에 형성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유입홀과 유출홀 중 특히 내압에 취약한 유입홀 주변에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플랜지부(2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에 결합하여 상기 튜브부(100)로 열교환매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며, 유입플랜지와, 유출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플랜지는, 최상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와 상기 튜브부(100)에서 최상측 튜브부재(130)의 제1유입구(111)에 연통되게 결합하고 유입구(201;도 4참조)가 형성되어 상기 튜브부(100)로 상기 열교환매체를 공급한다.
상기 유출플랜지는, 상기 유입플랜지와 동일한 구조로서 최상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와 상기 튜브부(100)에서 최상측 튜브부재(130)의 제1유출홀에 연통되게 결합하고 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튜브부(100)로부터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출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플랜지와 상기 유출플랜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구성과 대응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튜브부재(130)의 상기 유입홀 측과 유출홀 측 각각에 별개로 구비된다. 상세하게,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복수개로 적층 배열 된 상기 튜브부재(130)들과 상기 튜브부(100)와 상기 플랜지부(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부(100)를 지지하고,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301)이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평단면 형상이 상기 튜브부재(130)의 평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고, 상기 튜브부재(130)들 사이의 간격 등을 고려하여 그 두께를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평단면형상이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을 중심으로 반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튜브부재(130)와의 접촉면적 증대로 인한 보강면적을 늘림으로써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대하여 양측에 별개로 구비되기 때문에, 조립 후 흔들림 없이 각각의 위치가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에 상기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1실시예로 상기 적층형 오일쿨러(7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관통홀에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20)가 끼움 결합되게 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110)는, 상기 제1유입구(111)와 상기 제1유출구를 따라 상향 절곡되어 상측에 결합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관통홀(301)에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부(112;도 5참조)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120)는, 상기 제2유입구(121)와 상기 제2유출구를 따라 하향 절곡되어 하측에 결합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관통홀(301)에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부(122)를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상기 제1끼움부(112)와 상기 제2끼움부(122)를 통하여 상기 튜브부재(130)들과의 결속력을 확고하게 보장받을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엠보부(150)에 접촉 지지되도록 그 길이를 길게 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구성함으로써 그 위치가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와 상기 튜브부재(130)에 특별한 가공 없이도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로는, 상기 튜브부재(13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00)가 서로 끼움 조립되도록 조립부(500)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조립부(500)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튜브부재(130)의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 주변에 형성된 조립홈(510)과,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에서 상기 조립홈(5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조립홈(510)에 끼움 결합하는 조립돌기(520)를 포함하여, 상기 조립홈(510)과 상기 조립돌기(520)를 통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조립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하고,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립홈(510)은, 상기 조립돌기(52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조립돌기(520)가 보다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엔드캡(400)은, 상기 튜브부재(130)에서 최하단의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의 하측 상기 제2유입홀(121)과 상기 제2유출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제2유입홀(121)과 상기 제2유출홀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열교환매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엔드캡(400)은,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의 제2유입홀(121)에 끼움결합되도록 상향 돌출된 삽입부(410)가 형성되어 조립 후 상기 제2유입홀(121)에 접함 브레이징 된다. 한편, 상기 삽입부(410)는 유입되는 열교환매체에 대한 내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엔드캡(400a)과, 상기 하부플레이트(120a)는 오조립방지수단(600)을 더 구비하여, 조립 시 상기 엔드캡(400a)의 조립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오조립방지수단(600)은, 상기 하부플레이트(120a)의 상기 제2유입구(121)와 상기 제2유출구 주변에 형성된 끼움홈(610)과, 상기 엔드캡(400a)의 상기 끼움홈(6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홈(610)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620)로 이루어져, 상기 엔드캡(400a)의 오조립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홈(610)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정 깊이를 갖는 장공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410a는 상기 엔드캡(400a)에 형성된 삽입부를 나타낸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엔드캡(400b)은, 일측 단부가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의 엠보부(150)에 접촉 지지되도록 하여 조립 후 흔들림 없이 그 위치가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튜브부 110,110a... 상부플레이트
111... 제1유입구 120,120a... 하부플레이트
121... 제2유입구 130... 튜브부재
140... 내압보강부 141... 제1내압보강부
142... 제2내압보강부 200... 플랜지부
300,300a,300b... 지지플레이트 400,400a,400b... 엔드캡
500... 조립부 510... 조립홈
520... 조립돌기 600... 오조립방지수단
610... 끼움홈 620... 끼움돌기
700... 적층형 오일쿨러

Claims (12)

  1. 일측에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유입된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튜브부재 복수개가 서로 적층 배열되는 튜브부;
    상기 튜브부재의 유입홀에 연통되게 결합하여 상기 튜브부재로 상기 열교환매체를 공급하는 유입플랜지와, 상기 튜브부재의 유출홀에 연통되게 결합하여 상기 튜브부재로부터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출되는 유출플랜지를 포함하는 플랜지부;
    적층 배열 된 상기 튜브부재들과 상기 튜브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부를 지지하고,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복수개의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튜브부에서 최하단의 상기 튜브부재의 하측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열교환매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엔드캡을 포함하되,
    상기 튜브부재는,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각각 대응되도록 양측에 제1유입구와 제1유출구가 관통 형성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에 대응되는 양측에 제2유입구와 제2유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호 용융 접합되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 및 상기 제2유출구 주변을 따라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여 조립 시 서로 맞닿아 용융 접합되는 내압보강부를 구비하는 적층형 오일쿨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압보강부는,
    상기 튜브부재의 외측 라운드변을 따라 호형상으로 형성된 적층형 오일쿨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압보강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 주변에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내압보강부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내압보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조립 시 상기 제1내압보강부와 접촉하는 제2내압보강부를 포함하는 적층형 오일쿨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내압보강부와 상기 제2내압보강부는, 각각 엠보(Embo)가공을 통하여 형성되는 적층형 오일쿨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튜브부재의 상기 유입홀 측에 결합하는 제1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튜브부재의 상기 유출구 측에 결합하는 제2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적층형 오일쿨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평단면형상이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을 중심으로 반원형인 적층형 오일쿨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는, 외측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유체의 난류유동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엠보부들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일측 단부가 상기 엠보부에 접촉 지지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는 적층형 오일쿨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를 따라 형성되어 상측에 결합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를 따라 형성되어 하측에 결합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부를 구비하는 적층형 오일쿨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과, 상기 엔드캡과 결합하는 최하단의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오조립방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오조립방지수단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 주변에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엔드캡의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인 적층형 오일쿨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서로 끼움 조립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조립부를 더 구비하는 적층형 오일쿨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상기 튜브부재의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 주변에 형성된 조립홈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기 조립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조립홈에 끼움 결합하는 조립돌기인 적층형 오일쿨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은,
    상기 조립돌기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좁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층형 오일쿨러.
KR1020140026641A 2014-03-06 2014-03-06 적층형 오일쿨러 KR102176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641A KR102176493B1 (ko) 2014-03-06 2014-03-06 적층형 오일쿨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641A KR102176493B1 (ko) 2014-03-06 2014-03-06 적층형 오일쿨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818A true KR20150104818A (ko) 2015-09-16
KR102176493B1 KR102176493B1 (ko) 2020-11-09

Family

ID=54244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641A KR102176493B1 (ko) 2014-03-06 2014-03-06 적층형 오일쿨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842A (ko) * 2019-08-21 2021-03-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적층 플레이트형 열교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213A (ko) * 2001-12-19 2003-06-25 주식회사 엘티에스 오일 냉각장치
US20070000639A1 (en) * 2005-06-21 2007-01-04 Calsonic Kansei Corporation Oil cool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213A (ko) * 2001-12-19 2003-06-25 주식회사 엘티에스 오일 냉각장치
US20070000639A1 (en) * 2005-06-21 2007-01-04 Calsonic Kansei Corporation Oil coo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842A (ko) * 2019-08-21 2021-03-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적층 플레이트형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493B1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8910B1 (en) Aluminum-made heat exchanger with brazed joint portion
EP3124907B1 (en) Heat exchange device
EP2295834B1 (en) Oil cooler for transmission
US8857503B2 (en) Calibrated bypass structure for heat exchanger
JP5749356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EP0932011B1 (en) Oil cooler structure
KR20190033929A (ko) 오일쿨러
KR20150104818A (ko) 적층형 오일쿨러
CN110617120B (zh) 油冷却器
JP4857074B2 (ja) プレート型熱交換器
KR102189138B1 (ko) 적층형 열교환기
JP2009150587A (ja) 熱交換器
KR101062407B1 (ko) 적층 유로형 오일 열교환장치
KR100600561B1 (ko) 자동차의 엔진 오일 냉각용 수냉식 오일 쿨러
KR101970968B1 (ko) 적층식 오일쿨러
KR101707046B1 (ko) 오일측 통로저항감소 및 열교환성능향상을 위한 오일쿨러
JP2008304133A (ja) 熱交換器
JP7323976B2 (ja) フランジ構造および同構造を有する熱交換器
KR102088344B1 (ko) 적층형 오일쿨러
JP2017187059A (ja) 動力伝達装置
KR100988319B1 (ko) 열교환기
KR200336777Y1 (ko) 오일쿨러 내장형 라디에이터
KR20100099358A (ko) 자동차 변속기의 오일쿨러
WO2024017849A1 (en) A fluid management module for a vehicle
KR20180033488A (ko) 폐열회수용 열교환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