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588A - 사용 중인 귀에 오디오 신호를 맞추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 중인 귀에 오디오 신호를 맞추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588A
KR20150104588A KR1020157020924A KR20157020924A KR20150104588A KR 20150104588 A KR20150104588 A KR 20150104588A KR 1020157020924 A KR1020157020924 A KR 1020157020924A KR 20157020924 A KR20157020924 A KR 20157020924A KR 20150104588 A KR20150104588 A KR 20150104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host device
audio signal
audio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0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푸이 통 폴 리
카 쿠이 쳉
Original Assignee
에이스 커뮤니케이션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 커뮤니케이션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이스 커뮤니케이션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04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41Adaptation of stereophonic signal reproduc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1Input selection or mixing for amplifiers 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3Connection circuits to selectively connect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질의자, 전자 메커니즘 및 통보자를 포함한다. 질의자는 사용 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를 위해 호스트 장치에 질의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메커니즘은 트랜스듀서의 위치 및/또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귀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통보자는 식별된 귀에 기초하여 사용 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로 출력하기 위해 오디오 신호의 채널을 호스트 장치에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사용 중인 귀에 오디오 신호를 맞추기 위한 시스템{A SYSTEM FOR FITTING AUDIO SIGNALS FOR IN-USE EAR}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3년 1월 9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750,777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enhanced)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개개의 고유 청각 특성 및/또는 특정 신호 경로와 관련된 개개의 청각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 개선된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또는 음악 플레이어와 같은 오디오 장치는 이어피스(earpiece) 모드에 사용될 때 모노럴 방식으로 동작한다. 장치에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데 왼쪽 또는 오른쪽 귀를 이용하는 사용자 간에 차이가 없다. 이것은 각각의 귀가 고유하고 자신의 청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제를 생성한다. 각각의 귀를 별도의 엔티티로 인정하고 처리하는데 실패한 오디오 장치로, 사용자는 특정 귀에 맞추어진 사운드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게 되며, 따라서 더욱 풍부하고 알찬 청취 경험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잃게 된다.
이전에 언급된 문제에 대한 확실한 해결책은 오디오 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미리 선택되는 (고유 청각 특성 및/또는 사운드를 귀로 전송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사용되는 특정 신호 경로에 특정한 청각 특성이 장치에 저장되는) 귀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은 부자연스럽고 불편하다. 장치로부터 사운드를 듣기 위해 사용할 어떤 귀를 선택하기 위한 자유는 어떤 수단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사용자가 자신의 친구와 채팅할 시에 특정 귀를 사용해야 하거나, 예를 들어 대화하는 동안 귀를 전환하는 것이 제한받아야 하는 진짜 이유는 없다. 선택된 귀에 맞춘 맞춤형 사운드를 제공하는데 여분의 단계가 필요하지 않아야 한다.
그래서, 사용자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선택한 귀에 오디오 신호를 자동으로 맞추기 위한 장치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은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귀에 따른 모든 오디오 신호의 자동 맞춤(fitting)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는 사용 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를 위해 호스트 장치에 질의하도록 구성된 질의자(inquirer); 사용 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귀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메커니즘; 및 식별된 귀에 기초하여 오디오 신호의 채널을 사용 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로 출력하기 위해 호스트 장치에 명령하도록 구성되는 통보자(notifier)를 포함한다. 명령어는 식별된 귀 및/또는 신호를 식별된 귀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출되거나 통상의 신호 경로의 특성에 기초하여 오디오 신호의 특정 채널 또는 이의 개선을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는 양쪽 귀에 대한 귀의 특성의 적어도 하나의 차원(dimension)을 수집하도록 구성된 수집자(collector); 및 호스트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통보자로부터 식별된 귀의 특성 및 사양에 기초하여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개선시키며, 개선된 오디오 신호를 사용 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로 보내도록 구성된 수정자(modifier)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개개의 고유의 청각특성 및 특정 신호 경로와 관련된 개개의 청각 특성을 조정하여 개선된 오디오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오른쪽 귀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귀 스위칭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왼쪽 귀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양태를 구현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활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식별된 귀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활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출력 채널 설정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활동도이다.
도 1의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2)는 질의자(14), 전자 메커니즘(16), 통보자(24), 수집자(34) 및 수정자(37)를 포함한다.
호스트 장치(10)는 장치(12) 및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26)를 포함하는 다수의 구성 요소(11)를 하우징한다. 포함된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26)의 타입은 호스트 장치(10)의 의도와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26)는 하나 또는 한쌍의 이어폰, 이어피스, 스피커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가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하나의 명령어 또는 다수의 명령어를 수신하면, 질의자(14)는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26)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시에 호스트 장치(10)와 통신한다. 호스트 장치(10)는 이용 가능한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26)의 모두로부터 상태 업데이트를 끌어 당기고 검색된 업데이트를 질의자(14)로 밀어붙인다.
전자 메커니즘(16)은 적어도 하나의 관성 측정 유닛(18) 및 지능 모듈(17)을 포함한다. 관성 측정 유닛(18)은 예를 들어 속도, 방향, 기울기, 관성력 및/또는 중력과 같은 호스트 장치(10)와 관련된 운동학적 데이터를 측정하여 보고한다. 질의자(1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지능 모듈(17)은 적어도 하나의 관성 측정 유닛(18)으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끌어당겨 처리할 시의 필요성을 판단한다(도 6).
사례 1: 질의자(14)로부터의 정보는 사용 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28)가 타입 이어폰임을 명시한 경우, 지능 모듈(17)은 관성 측정 유닛(18) 중 어느 하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끌어당기거나 처리하지 않는다. 그것은 "양쪽 귀(both ears)"로서 식별된 귀를 단순히 표시할 것이다.
사례 2: 질의자(14)로부터의 정보는 사용 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28)가 타입 스피커폰임을 명시한 경우, 지능 모듈(17)은 관성 측정 유닛(18) 중 어느 하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끌어당기거나 처리하지 않는다. 그것은 "조합 귀(combination ears)"로서 식별된 귀를 단순히 표시할 것이다.
사례 3: 질의자(14)로부터의 정보는 사용 중인 생성 트랜스듀서(28)가 타입 이어피스임을 명시한 경우, 지능 모듈(17)은 관성 측정 유닛(18)으로부터(예를 들어, 관성 측정 유닛(18)이 단일 자이로스코프인 경우) 호스트 장치(10)의 피치, 요(yaw) 및 롤과 같은 측정 데이터를 끌어당길 것이다. 이 경우, 롤의 값이 (예를 들어, 폰의 왼쪽 가장자리는 일반적으로 폰의 오른쪽 가장자리 아래에 위치되고, 왼쪽 및 오른쪽은 폰 화면을 보는 하나의 관점에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 음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그것은 호스트 장치(10)가 왼쪽 귀 청취를 위한 사용자의 머리의 왼쪽에 위치된다는 표시이다. 그 다음, 지능 모듈(17)은 "왼쪽 귀"로서 식별된 귀를 표시한다. 다른 한편, 롤의 값이 (예를 들어, 폰의 오른쪽 가장자리는 일반적으로 폰의 왼쪽 가장자리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그것은 호스트 장치(10)가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오른쪽에 지향된다는 표시이다. 지능 모듈(17)은 "오른쪽 귀"로서 식별된 귀를 표시한다.
특히, 상술한 예에서 고려되고, 왼쪽 가장자리 다운(left edge down)이 왼쪽 귀를 사용 중임을 의미하고, 오른쪽 가장자리 다운이 오른쪽 귀를 사용 중임을 의미한다는 규칙은 아래의 두 위치에서 사람의 입이 일반적으로 양쪽 귀의 전방에 위치된다는 사실 때문에 사용자가 서 있거나 경사진 위치에 있는지, 평평하게 누워 있는지를 적용하는 경향이 있다. (사용자의 오른쪽 귀 방향으로) 왼쪽에 직면하는 폰의 이어피스의 전방에 마우스피스를 위치하는 것은 폰의 오른쪽을 아래로 직면하게 할 것이다(전방 및 왼쪽은 하나가 직면하는 어떤 방식에 따라 임의로 정의될 수 있지만, 이들 2개의 축이 정의되면, 위 및 아래가 결정된다). 특정 귀가 사용 중에 있을 때 일반적으로 항상 아래로 직면하는 폰의 가장자리가 식별될 수 있다는 사실은 어떤 귀가 사용 중에 있다는 정적 식별을 가능하게 렌더링(rendering)하는데 특히 유용하며, 움직임(movement)을 변화시키지 않는 관성 측정 유닛(18)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전달하거나 뒤에서 전방으로 전달하기 위해 참조 프레임(frame of reference)을 갖지 않지만, 중력장을 감지하는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위와 아래를 구별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다른 한편, 관성 측정 유닛(18)으로부터의 동적 위치와 움직임 데이터는 어떤 귀가 사용 중임을 판단하기 위해 정적 방향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의 움직임이 변화하는 어떤 상황에서, 장치의 움직임의 변화는 관성 측정 유닛(18)이 높은 신뢰도로 오른쪽과 왼쪽을 구별하도록 할 것이다. 예를 들면, 호스트 장치(10)는 보빙 업 및 다운(bobbing up and down)을 수반하면서 (중력장에 수직인 평면 방향의 가속도의 펄스로서 관성 측정 유닛(18)에 의해 펠트(felt)되고, 반대 방향의 가속도의 동일한 펄스는 따르지 않는) 걷기 페이스(walking pace)에서 특정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경우, 이것은 사용자가 아마 걷기 움직임의 방향으로 걷는 표시이다. (호스트 장치(10)가 관성 측정 유닛(18)을 포함하지 않거나 관성 측정 유닛(18)이 걷기 움직임을 오버룩(overlook)할지라도, 일정한 속도로 걷는 것은 데이터를 지능 모듈(17)로 전송하는 장치의 GPS 구성 요소에 의해 동시에 또는 대안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그 후, 관성 측정 유닛이 수직 축에 대해 180도 회전을 수반하면서 걷기 방향으로 식별된 방향에 대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10)를 오른쪽 귀에서 왼쪽 귀로 전환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마찬가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측면 움직임이 있으면,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10)를 왼쪽 귀에서 오른쪽 귀로 전환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호스트 장치(10)의 귀 사용중 위치의 다른 가능한 동적 표시기는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에 사용된 타입의 정전 용량형 센서, 압력 센서, 온도 센서 또는 다른 적절한 터치 센서와 같은 호스트 장치(10)의 터치 감지 구성 요소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귀에 대한 접촉부(contact) 및 이의 상실부(loss)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10)에 대해 사용중에 있을 귀를 수동으로 식별하여, 호스트 장치(10)를 이러한 귀와 접촉하게 하여 배치하거나,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고 특정 귀가 현재 사용중이며, 지속적인 접촉의 연장된 기간이 따르는 어떤 표시기로부터 자동으로 추론하면, 그 동안 (하나 이상의 축에 대하여) 호스트 장치(10)의 정적 각도 방향은 비교적 좁은 범위 내에서 (또는 보통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하고 나서, 호스트 장치(10)는 귀 접촉이 상실되고 회복되었음을 감지하며, 이때에 호스트 장치(10)는 좁은 범위 훨씬 밖에서 하나 이상의 각도로 위치되며, 이것은 사용자가 다른(반대측) 귀로 전환한 높은 신뢰도로 나타내며, 이는 초기에는 발견되지 않았다. 반대로, 접촉이 확립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사용중 귀를 선택한 후에 상실되지 않거나, 접촉이 장치가 귀가 사용중에 있음을 자동으로 추론한 후에 상실되지 않는 경우, 장치는 관성 데이터로부터 추론된 반대에 대한 어떤 표시에도 불구하고 초기에 식별된 귀가 사용중에 있다는 것을 거의 확실하게 추론할 수 있다. 연속적인 귀 사용 중에 있다는 확신(confidence)은 어떤 변칙적인 관성 데이터가 기간이 짧을 경우에 특히 높고, 객체를 픽업하기 위해 몸을 위로 굽히거나, 어떻게든 발견되지 않은 접촉의 상실 및 회복 보다 접촉에서 폰을 제거하지 않고 자신의 귀와 어깨 사이에 폰을 기대어 놓는 것과 같이 변형된 자세를 간단히 추정하는 사용자의 훨씬 높은 가능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귀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메커니즘(16)으로부터 상술한 설명에 따라 호스트 장치(10)의 정적 방향으로 나타내든 동적 움직임으로 나타내든, 통보자(24)는 오디오 신호의 채널을 사용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28)로 출력하기 위해 호스트 장치(10)에 명령한다(도 7). 귀 정보가 식별된 귀를 "왼쪽 귀"로 나타내는 경우, 통보자(24)는 왼쪽 채널을 출력하도록 호스트 장치(10)에 명령한다. 귀 정보가 식별된 귀를 "오른쪽 귀"로 나타내는 경우, 통보자(24)는 오른쪽 채널을 출력하도록 호스트 장치(10)에 명령한다. 귀 정보가 식별된 귀를 "조합 귀"로 나타내는 경우, 통보자(24)는 왼쪽 및 오른쪽 채널의 조합을 출력하도록 호스트 장치(10)에 명령한다. 귀 정보가 식별된 귀를 "양쪽 귀"로 나타내는 경우, 통보자(24)는 왼쪽 이어폰에 대한 왼쪽 채널 및 오른쪽 이어폰에 대한 오른쪽 채널을 출력하도록 호스트 장치(10)에 명령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채널은 특정 귀 및/또는 사운드를 이런 귀로 송신하는데 사용된 신호 경로의 통상의 공지 또는 검출된 특성에 맞추어진 특정 신호 또는 특정 오디오 개선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의 사용 동안, 사용자가 양측을 전환하거나 호스트 장치(10)의 위치를 시프트하는 것은 완전히 정상적이다(도 2, 도 3, 도 4). 장치(12)는 어떤 변경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필요하다면 최신 채널 정보로 호스트 장치(10)를 업데이트한다. 막후에서(behind the scenes), 사용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28)가 타입 이어피스인 한, 지능 모듈(17)은 관성 측정 유닛(18)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측정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끌어당기고, 검색하고, 모니터링하여, 이전에 설정된 측정과 비교한다. 또한, "머리 앞(front-of-head)" 위치는 사용자가 장치의 터치 스크린과 상호 작용할 때마다 리셋될 수 있고, 터치 스크린이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것을 강하게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사용자가 느낌에 의해서만 버튼을 식별하고 버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비록 낮은 신뢰도일지라도 호스트 장치(10)의 촉각 버튼과 상호 작용하는 경우에 머리 앞 위치는 유사하게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가 사실상 사용자의 얼굴을 마주하지 않는다는 다른 높은 신뢰도가 없을 경우, 촉각 버튼 상호 작용은 또한 머리 앞 위치의 리셋을 트리거할 수 있다. 질의자(14)는 사용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28)에서 변화가 있을때마다 지능 모듈(17)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한다. 측정 데이터의 차이가 (상당히 변경된 각도 방향을 수반하면서 귀 접촉 상실 및 회복의 위의 예에서와 같이) 미리 정해진 범위 밖에 있을 경우, 호스트 장치(10)는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전환되었다는 표시일 것이다. 그 다음, 지능 모듈(17)은 새로운 배치를 통보자(24)에게 통지한다. 통보자(24)로부터 새로운 배치를 수신하면, 호스트 장치(10)는 오디오 신호의 적절한 채널을 출력할 시에 사용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28)에 명령한다.
오디오 신호가 특정 귀에 맞추어질 수 있기 전에, 각각의 귀의 특성은 수집될 필요가 있다. 수집자(34)는 청각 테스트 모듈(35) 및 저장 모듈(36)을 포함한다. 청각 테스트 모듈(35)은 결과를 저장 모듈(36)에 저장하기 전에 청력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최소 가청 강도/데시벨 레벨을 찾고자 한다. 청각 테스트 모듈(35)은 다른 요인으로부터 사용자의 귀의 고유 청각 특성(예를 들어, 주파수 응답)을 분리하거나 거의 분리하는 청각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타입, 또는 입력 전기 신호에서 사용자의 귀로의 전체 신호 경로의 순 응답을 캡처하고, 예를 들어 환경 소음, 트랜스듀서의 특성, 및/또는 사용자의 귀에 대한 트랜스듀서 위치 및 방향을 포함하는 "형상의(shaped}" 청각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타입일 수 있으며, 신호 경로는 신호 경로는 이점으로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사운드를 귀로 전달하는 데 사용하는 실제 신호 경로에 대응한다. 자기 관리된 사운드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과 관련하여, 이러한 두가지 타입의 청각 테스트는 미국 특허 출원 제13/184,776호 및 가출원 제61/750,779로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이의 각각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통합된다.
저장 모듈(36)은 또한 다른 소스로부터의 귀의 특성, 예를 들어, 청능사(audiologist)로부터의 청력도 및/또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신호 개선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클라우드에 저장된 다른 청각 특성을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저장 모듈(36)에 하나 이상의 특성의 세트가 있는 경우, 이러한 특성은 특정 순서로 또는 사전 규정된 규칙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수정자(37)는 호스트 장치(1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개선된 오디오 신호를 사용 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38)로 지향시키기 전에 저장 모듈(36) 및 전자 메커니즘(16)으로부터의 식별된 귀의 최신 특성 및 사양에 기초하여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개선시킨다(도 5).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호스트 장치(1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 중인 귀에 대한 맞춤형 사운드를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다른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낸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Claims (15)

  1. 장치로서,
    베이스 프레임;
    사용 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를 위해 호스트 장치에 질의하도록 구성된 질의자;
    상기 트랜스듀서의 위치 및/또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귀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전자 메커니즘; 및
    식별된 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로 출력하기 위해 오디오 신호의 채널을 상기 호스트 장치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보자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개개의 귀의 청각 특성의 적어도 하나의 차원을 수집하도록 구성된 수집자; 및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보자로부터 식별된 귀의 특성 및 사양에 기초하여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개선시키며, 개선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사용 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로 보내도록 구성된 수정자를 더 포함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커니즘은 지능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관성 측정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귀를 식별할 시에 적어도 하나의 관성 측정 유닛으로부터의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대한 상기 호스트 장치의 방향을 평가하기 위해 구성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 모듈은 이전에 확립된 측정에서 어떤 변화를 추적하고 검출하여, 사용자가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귀를 재식별할 시에 사용자의 머리에 대한 상기 호스트 장치의 방향을 재평가하기 위해 더 구성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커니즘은 상기 추적, 검출 및 평가를 자동으로 실시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커니즘은 가변 시간 간격 추적, 검출 및 평가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측정 유닛은 자이로스코프인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측정 유닛은 가속도계인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측정 유닛은 가속도계 및 자이로스코프인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자는 자기 관리된 청각 테스트인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자는 청각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3. 방법으로서,
    사용 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를 위해 호스트 장치에 질의하는 단계;
    상기 사용 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로 출력하기 위해 오디오 신호의 채널을 상기 호스트 장치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양쪽 귀의 귀 특성의 적어도 하나의 차원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통보자로부터 식별된 귀의 특성 및 사양에 기초하여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개선시키는 단계; 및
    개선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사용 중인 오디오 생성 트랜스듀서로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자기 관리된 청각 테스트는 특정 신호 경로에 대한 개개의 왼쪽 귀 및 오른쪽 귀 청각 특성을 측정하며, 상기 특정 신호 경로는
    청각 테스트 표준을 충족하는 트랜스듀서와 상이한 주파수 응답 특성을 갖는 트랜스듀서; 및
    검출 가능한 환경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57020924A 2013-01-09 2014-01-09 사용 중인 귀에 오디오 신호를 맞추기 위한 시스템 KR201501045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50777P 2013-01-09 2013-01-09
US61/750,777 2013-01-09
PCT/CN2014/070407 WO2014108084A1 (en) 2013-01-09 2014-01-09 A system for fitting audio signals for in-use e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588A true KR20150104588A (ko) 2015-09-15

Family

ID=5106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924A KR20150104588A (ko) 2013-01-09 2014-01-09 사용 중인 귀에 오디오 신호를 맞추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584920B2 (ko)
EP (1) EP2944095A4 (ko)
JP (1) JP3202083U (ko)
KR (1) KR20150104588A (ko)
CN (1) CN104956690B (ko)
HK (1) HK1212535A1 (ko)
WO (1) WO20141080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795A (ko) * 2013-11-29 201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16011288A1 (en) 2014-07-16 2016-01-21 Eariq, Inc.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on and reproduction of audio signals based on auditory feedback
US11533560B2 (en) * 2019-11-15 2022-12-20 Boomcloud 360 Inc. Dynamic rendering device metadata-informed audio enhancement system
GB2600123A (en) * 2020-10-21 2022-04-27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Audio personalisation method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4055B2 (en) * 2005-12-22 2010-06-08 Microsoft Corporation User configurable headset for monaural and binaural modes
US7590233B2 (en) * 2005-12-22 2009-09-15 Microsoft Corporation User configurable headset for monaural and binaural modes
WO2007110807A2 (en) 2006-03-24 2007-10-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ata processing for a waerable apparatus
US8229145B2 (en) 2007-09-05 2012-07-24 Avay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handheld audio device using ear biometrics
US8532285B2 (en) * 2007-09-05 2013-09-10 Avay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control using mo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CN101488081A (zh) * 2008-01-14 2009-07-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音频设备及其播放装置和音频播放方法
US8792659B2 (en) * 2008-11-04 2014-07-29 Gn Resound A/S Asymmetric adjustment
US20100119093A1 (en) 2008-11-13 2010-05-13 Michael Uzuanis Personal listening device with automatic sound equalization and hearing testing
KR20100060550A (ko) * 2008-11-27 2010-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청각 보정 단말기
EP2202998B1 (en) * 2008-12-29 2014-02-26 Nxp B.V. A device for and a method of processing audio data
KR101567362B1 (ko) * 2009-06-09 2015-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EP2292144A1 (en) * 2009-09-03 2011-03-09 National Digital Research Centre An auditory test and compensation method
CN102026082B (zh) * 2009-09-21 2014-06-04 联想(北京)有限公司 用于发声装置的声道自适应方法和装置
US8265321B2 (en) * 2010-04-08 2012-09-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pair of ear phones at a user
CN102316394B (zh) * 2010-06-30 2014-09-03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蓝牙设备和利用该蓝牙设备的音频播放方法
CN106851512B (zh) * 2010-10-14 2020-11-10 索诺瓦公司 调整听力设备的方法及根据所述方法可操作的听力设备
CN102111699A (zh) * 2011-03-11 2011-06-29 华为终端有限公司 终端及其兼容对讲耳机和立体声耳机的方法
EP2503794B1 (en) * 2011-03-24 2016-11-09 Oticon A/s Audio processing device, system, use and method
WO2013025190A1 (en) * 2011-08-12 2013-02-21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Usage recommendation for mobile device
US9237601B2 (en) * 2012-05-18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function selection using position in relation to a user
US9113246B2 (en) * 2012-09-20 2015-08-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left-right headphone earpiece ident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71661A1 (en) 2017-06-15
CN104956690A (zh) 2015-09-30
US10057683B2 (en) 2018-08-21
HK1212535A1 (en) 2016-06-10
US20140192992A1 (en) 2014-07-10
US9584920B2 (en) 2017-02-28
CN104956690B (zh) 2018-08-10
WO2014108084A1 (en) 2014-07-17
EP2944095A1 (en) 2015-11-18
JP3202083U (ja) 2016-01-21
EP2944095A4 (en) 201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9265B2 (en) Hearing aid device comprising a sensor member
US9949008B2 (en) Reproduction of ambient environmental sound for acoustic transparency of ear canal device system and method
CN105451111B (zh) 耳机播放控制方法、装置及终端
EP2775738B1 (en) Orientation free handsfree device
JP2009171544A5 (ko)
US20200251124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reconstructing speech sig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0057683B2 (en) System for fitting audio signals for in-use ear
CN110460721B (zh) 一种启动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180120930A1 (en) Use of Body-Area Network (BAN) as a Kinetic User Interface (KUI)
CN109918006A (zh) 一种屏幕控制方法及移动终端
JP2014042213A (ja) 補聴器
CN109039355B (zh) 语音提示方法及相关产品
US20180279086A1 (en) Device control
US20130215010A1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visualizing sound
CN108055606B (zh) 一种电子设备的信息提示方法及电子设备
JP6884854B2 (ja) 音声提供装置、音声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72537A (ja) 姿勢報知システム及び姿勢検出ユニット
CN114710726B (zh) 智能穿戴设备的中心定位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6980819A (zh) 虚拟现实提供装置与音频处理方法
JP6053707B2 (ja) 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JP2012156939A (ja) 映像表示装置、シャッタメガネ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