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362B1 -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362B1
KR101567362B1 KR1020090050972A KR20090050972A KR101567362B1 KR 101567362 B1 KR101567362 B1 KR 101567362B1 KR 1020090050972 A KR1020090050972 A KR 1020090050972A KR 20090050972 A KR20090050972 A KR 20090050972A KR 101567362 B1 KR101567362 B1 KR 101567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earphone
terminal
output device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2247A (ko
Inventor
장주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0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362B1/ko
Priority to US12/783,786 priority patent/US8724826B2/en
Priority to EP10163391.5A priority patent/EP2262209B1/en
Priority to CN201010198545.XA priority patent/CN101924971B/zh
Publication of KR20100132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247A/ko
Priority to US14/273,645 priority patent/US949753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3Connection circuits to selectively connect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말기와 이어폰 혹은 외장기기를 연결하는 이어폰 단자와, 이어폰 단자에 상기 이어폰 혹은 외장기기가 연결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모뎀과, 상기 외장기기기의 연결이 감지될 시, 상기 모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를 고출력 증폭시켜 상기 외장기기로 출력하는 증폭기를 포함하여, 상기 외장기기에서 오디오 증폭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에게 고출력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오디오 증폭기의 미구비로 인해 상기 외장기기의 단가를 절약할 수 있다.
스피커, 이어폰, 이어잭, 오디오 신호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OUPUTING AUDIO SIGNAL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어잭을 통해 외장기기가 연결되었을 시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가 휴대의 편리성으로 인해 그 사용이 급격히 확산됨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 제공되는 대부분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MP3플레이어 혹은 미디어 플레이어, 게임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추가로 이어폰 단자(이어잭)를 통해 외장기기와 연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생시에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외장기기로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외장기기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본래 이어폰 출력을 위한 신호로서, 그 크기가 2~5mW 정도로 작은 신 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외장기기에서는 고출력 증폭기를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크게 증폭시켜 사용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폰 단자를 통해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고출력 증폭기를 구비하지 않은 외장기기의 경우에는 상기 작은 오디오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는데 불편함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잭을 통해 외장기기가 연결될 시, 고출력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잭을 통해 외장기기가 연결될 시, 스피커 출력 신호를 상기 이어잭으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는, 상기 단말기와 이어폰 혹은 외장기기를 연결하는 이어폰 단자와, 이어폰 단자에 상기 이어폰 혹은 외장기기가 연결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모뎀과, 상기 외장기기기의 연결이 감지될 시, 상기 모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를 고출력 증폭시켜 상기 외장기기로 출력하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은, 이어폰 단자를 통해 이어폰 혹은 외장기기가 연 결되는지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외장기기의 연결이 감지될 시, 오디오 신호를 고출력 증폭시켜 상기 외장기기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를 이어폰 혹은 외장기기와 연결하는 이어폰 단자와, 이어폰 단자에 상기 이어폰 혹은 외장기기가 연결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모뎀과, 상기 외장기기기의 연결이 감지될 시, 상기 모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를 고출력 증폭시켜 상기 외장기기로 출력하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잭을 통해 외장기기가 연결될 시, 스피커 출력될 고출력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이어잭으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외장기기에서 오디오 증폭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에게 고출력 오디오 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오디오 증폭기의 미구비로 인해 상기 외장기기의 단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보다 큰 출력의 오디오 신호를 필요로할 경우, 상기 외장기기에 구비된 오디오 증폭기를 이용하여 쉽게 보다 더 큰 출력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 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잭을 통해 외장기기가 연결되었을 시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100)는 베이스밴드 모뎀(Baseband Modem)(110), 증폭기(Amplifier)(120), 스위치(130), 스피커(140) 및 이어잭(15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밴드 모뎀(110)은 오디오 신호 출력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이어잭(150)에 이어폰 혹은 외장기기(16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140)로 출력할 것인지 혹은 이어잭(150)으로 출력할 것인지 판단한다. 상기 베이스밴드 모뎀(110)은 상기 이어잭(150)에 이어폰 혹은 외장기기(160)가 연결된 것이 감지될 시, 상기 이어잭(150)에 연결된 것이 이어폰인지 외장기기(160)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밴드 모뎀(110)은 상기 이어잭(150)에 연결된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 값을 통해 상기 이어잭(150)에 이어폰이 연결되었는지 혹은 외장기기(160)가 연결되었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밴드 모뎀(110)은 상기 전압 값이 임계범위에 속한 값이면 상기 이어폰 이 연결되었음을 판단하고, 상기 전압 값이 임계범위에 속하지 않는 값이면 외장기기(160)가 연결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밴드 모뎀(110)은 상기 이어잭에 외장기기(160)가 연결된 것이 판단될 시, 외장기기(160)가 연결됨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증폭기(120)와 상기 스위치(130)로 출력하고, 상기 이어잭에 이어폰이 연결된 것이 판단될 시, 이어폰이 연결됨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증폭기(120)로 출력하며, 상기 이어잭에 어떤 기기도 연결되지 않은 것이 판단될 시,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증폭기(120)와 상기 스위치로 출력한다.
상기 증폭기(120)는 상기 베이스밴드 모뎀(11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용 혹은 이어폰용으로 증폭시켜 해당 기기와 연결된 포트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증폭기(120)는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는 높은 레벨로 증폭시키며, 상기 이어폰용 오디오 신호는 증폭시키지 않거나 작은 레벨로 증폭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증폭기(120)는 상기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는 약 1W 정도로 크게 증폭시키고, 상기 이어폰용 오디오 신호는 2~5mW정도로 작게 증폭시킨다. 상기 증폭기(120)는 상기 베이스밴드 모뎀(110)으로부터 외장기기(160) 연결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거나 아무 기기도 연결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용으로 증폭시켜 상기 스피커(140)와 연결된 포트로 출력하며, 이때, 상기 이어잭(150)과 연결된 포트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증폭기(120)는 상기 베이스밴드 모뎀(110)으로부터 이어폰 연결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용으로 증폭시켜 상기 이어잭(150)과 연결된 포트로 출력하며, 이때 상기 스피커(140)와 연결된 포트를 차단한다.
상기 스위치(130)는 상기 베이스밴드 모뎀(110)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증폭기(12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140) 혹은 이어잭(150)으로 제공한다. 즉, 상기 스위치(130)는 상기 이어잭(150)에 외장기기(160)가 연결될 시, 상기 베이스밴드 모뎀(110)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증폭기(12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상기 이어잭(150)으로 입력되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이어잭(150)에 외장기기(160)가 연결되지 않을 시, 상기 베이스밴드 모뎀(110)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증폭기(12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상기 스피커(140)로 입력되도록 스위칭한다.
상기 스피커(140)는 상기 증폭기(120)로부터 제공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이어잭(150)은 상기 증폭기(120)로부터 제공된 오디오 신호를 연결 중인 외장기기(160) 혹은 이어폰으로 출력한다.
도 2는 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는 201단계에서 이어잭(150)에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 결과 상기 이어잭(150)에 기기가 연결되었을 시, 상기 단말기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어잭(150)에 연결된 기기가 외장기기(160)인지 혹은 이어폰인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이어잭(150)에 연결된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 값을 통해 상기 이어잭(150)에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와 연결된 기기가 이어폰인지 혹은 외장기기(160)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이어잭(150)으로부터의 전압 값이 임계범위에 속한 값이면 상기 이어폰이 연결되었음을 판단하고, 상기 전압 값이 임계범위에 속하지 않는 값이면 외장기기(160)가 연결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연결된 기기가 외장기기일 경우, 상기 단말기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용으로 증폭시키고, 207단계에서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스피커용으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이어잭으로 출력한다. 이후, 상기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연결된 기기가 이어폰일 경우, 상기 단말기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용으로 증폭시키고, 211단계에서 상기 이어폰용으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이어잭으로 출력한다. 이후, 상기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201단계의 감지 결과 상기 이어잭(150)에 기기가 연결되지 않았을 시, 상기 단말기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용으로 증폭시키고, 215단계에서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스피커용으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후, 상기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증폭기에서 스피커용으로 증폭된 신호를 스피커와 연결된 포트로 출력하고, 이어폰용으로 증폭된 신호를 이어잭과 연결된 포트로 출력함으로써, 외장 기기 연결시에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용으로 증폭된 신호를 외 장기기로 출력하였다. 이는, 상기 증폭기가 물리적으로 구분된 두 개의 증폭기, 즉, 스피커용 증폭기와 이어폰용 증폭기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증폭기가 물리적으로 구분된 스피커용 증폭기와 이어폰용 증폭기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하나의 증폭기 내에서 스피커용 증폭과 이어폰용 증폭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상기 외장기기 연결 시에 상기 증폭기가 오디오신호를 스피커용으로 증폭시켜 이어잭으로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단말기에서는 스테레오 효과를 얻기 위하여, 스피커용으로 증폭된 고출력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와 상기 외장기기가 연결된 이어잭으로 동시에 출력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2는 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15)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외부 출력 기기를 연결하는 이어폰 단자;
    상기 이어폰 단자에 연결된 외부 출력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모뎀; 및
    상기 이어폰 단자에 이어폰이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제1 레벨로 증폭시키고, 상기 이어폰 단자에 외장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제2 레벨로 증폭시키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이어폰 단자로 제공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상기 외부 출력 기기가 연결되지 않은 것에 대응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제2 레벨로 증폭시키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벨은 상기 제1 레벨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이어폰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 값을 통해 상기 이어폰 단자와 연결된 상기 외장 출력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에 있어서,
    이어폰 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 출력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이어폰 단자에 이어폰이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오디오 신호를 제 1 레벨로 증폭시키는 과정; 및
    상기 이어폰 단자에 외장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제2 레벨로 증폭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외부 출력 기기와 연결된 이어폰 단자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기기가 연결되지 않은 것에 대응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제 2레벨로 증폭시키는 과정; 및
    상기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벨은 상기 제1 레벨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이어폰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출력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된 외부 출력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모뎀;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이어폰이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오디오 신호를 제1 레벨로 증폭시키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외장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제2 레벨로 증폭시키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모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외부 출력 기기로 제공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외부 출력 기기가 연결되지 않은 것에 대응하여 상기 증폭기에서 제2 레벨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모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벨은 상기 제1 레벨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외부 출력 기기의 연결로부터 생성되는 신호의 전압 값을 통해 상기 외부 출력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90050972A 2009-06-09 2009-06-09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1567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972A KR101567362B1 (ko) 2009-06-09 2009-06-09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US12/783,786 US8724826B2 (en) 2009-06-09 2010-05-20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in a portable terminal
EP10163391.5A EP2262209B1 (en) 2009-06-09 2010-05-20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signal in portable terminal
CN201010198545.XA CN101924971B (zh) 2009-06-09 2010-06-07 在便携式终端中输出音频信号的设备和方法
US14/273,645 US9497531B2 (en) 2009-06-09 2014-05-09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signal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972A KR101567362B1 (ko) 2009-06-09 2009-06-09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247A KR20100132247A (ko) 2010-12-17
KR101567362B1 true KR101567362B1 (ko) 2015-11-09

Family

ID=42712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972A KR101567362B1 (ko) 2009-06-09 2009-06-09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724826B2 (ko)
EP (1) EP2262209B1 (ko)
KR (1) KR101567362B1 (ko)
CN (1) CN1019249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4936A1 (en) * 2007-08-02 2012-02-09 Sure Best Limited Associated communication apparatus
US8954177B2 (en) 2011-06-01 2015-02-10 Apple Inc. Controlling operation of a media device based upon whether a presentation device is currently being worn by a user
CN102843631B (zh) * 2011-06-23 2016-05-04 炬芯(珠海)科技有限公司 一种音频线头插拔检测直驱电路及方法
US9648409B2 (en) 2012-07-12 2017-05-09 Apple Inc. Earphones with ear presence sensors
US20140146982A1 (en) 2012-11-29 2014-05-29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and Accessories with Media Streaming Control Features
US9049508B2 (en) 2012-11-29 2015-06-02 Apple Inc. Earphones with cable orientation sensors
US9344792B2 (en) 2012-11-29 2016-05-17 Apple Inc. Ear presence detection in noise cancelling earphones
CN103079144B (zh) * 2012-12-24 2016-08-03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
WO2014108084A1 (en) * 2013-01-09 2014-07-17 Ace Communications Limited A system for fitting audio signals for in-use ear
CN104967945B (zh) * 2015-06-03 2019-06-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耳机功率放大器及耳机功率放大器的控制方法
US9921800B2 (en) * 2016-05-25 2018-03-20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DK3343956T3 (en) * 2016-12-30 2021-05-03 Sonion Nederland Bv A circuit and a receiver comprising the circuit
CN106792358B (zh) * 2017-01-06 2020-12-11 上海艾为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音频控制系统和音频系统
CN108632439B (zh) * 2017-03-23 2020-07-10 北京小唱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和音频接收设备的通信方法和装置
CN106851488B (zh) * 2017-03-30 2020-06-30 重庆辉烨通讯技术有限公司 音频输出的控制方法、装置和电路
CN107318068B (zh) * 2017-07-05 2020-12-2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音频输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513225A (zh) * 2018-07-05 2018-09-07 广州笙达电器有限公司 一种功放唱机与线路电平切换电路
CN110191221A (zh) * 2019-04-15 2019-08-30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音频处理方法、电路和终端
CN112672252B (zh) * 2020-12-07 2022-07-22 阮兰敏 一种医疗床用助听器电路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727B1 (ko) * 1996-05-07 1999-02-01 김광호 핸드폰의 마이크/헤드폰 잭을 이용한 무선 데이타 통신 시스템
KR20020069963A (ko) * 2001-02-28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키패드 분리형 이동 전화기 및 그 분리형 키패드
US20030104842A1 (en) * 2001-11-30 2003-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s-free speakerphone device for mobile terminals
US7890284B2 (en) 2002-06-24 2011-02-15 Analog Devices, In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y one of a number of different types of devices
KR100475861B1 (ko) 2002-08-27 2005-03-15 현대 이미지퀘스트(주) 오디오 출력장치 선택회로를 구비한 모니터
US6928176B2 (en) * 2003-05-13 2005-08-09 Princeton Technology Corporation Switching circuit built in IC for earphone and loudspeaker of portable information device
KR100575158B1 (ko) * 2004-06-25 2006-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6064800A1 (ja) * 2004-12-13 2006-06-22 Fujitsu Limited 音声出力制御装置
KR100788670B1 (ko) * 2005-11-03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폰에 최적화된 디지털 앰프의 출력 파워 제어 방법 및장치
US20070142942A1 (en) * 2005-12-16 2007-06-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udio profiles for portable music playback device
KR100689576B1 (ko) * 2006-03-02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 출력 장치
GB2444988B (en) * 2006-12-22 2011-07-20 Wolfson Microelectronics Plc Audio amplifier circuit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095088B2 (en) * 2007-05-17 2012-01-10 Harris Stratex Networks Operating Corporation Compact wide dynamic range transmitter for point to point radio
US8260348B2 (en) * 2008-03-19 2012-09-04 Google Inc. Wireless communicator for laptop compu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62209B1 (en) 2019-07-03
CN101924971B (zh) 2014-12-24
US8724826B2 (en) 2014-05-13
CN101924971A (zh) 2010-12-22
EP2262209A3 (en) 2012-05-02
KR20100132247A (ko) 2010-12-17
US20140241542A1 (en) 2014-08-28
US9497531B2 (en) 2016-11-15
US20100310097A1 (en) 2010-12-09
EP2262209A2 (en)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36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TWI539830B (zh) 電子設備及其音頻輸出控制方法
CN102143262B (zh) 电子装置及切换其音频输入通道的方法
US20080175420A1 (en) Media player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equalizer parameters thereof
KR10164696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폰 인식 회로 장치
KR20080038586A (ko) 청력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오디오 볼륨 조절 방법 및 장치
US930731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headset type by audio signal
CN101877807A (zh) 扬声器及音源播放的方法
CN111031435A (zh) 音频电路、头戴显示设备及头戴显示系统
CN105142072B (zh) 一种外接播放器的音频装置及音频播放方法
KR20070022442A (ko) 이어폰 삽입 순간의 팝업 노이즈 차단 기능을 가진이동통신 단말기
US8983086B2 (en) Audio output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JP2002101491A (ja) 音声信号処理装置、及び携帯電話機
CN103825995A (zh) 移动电子设备及其音量控制方法
JP2006115192A (ja) 音声出力装置
JP5661948B2 (ja) 携帯型音声再生装置
KR10062225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테레오 음향제공회로
KR100455148B1 (ko) 4극잭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락방지회로
EP3253067B1 (en) Terminal device,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212519402U (zh) 一种用于耳机和喇叭工作状态切换的电视板
CN102724348A (zh) 具有功放功能的移动终端
US9241219B2 (en) Audio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20065404A (ko) 자동 부하 검출기능을 이용한 오디오 기기의 앰프 출력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8158855U (zh) 一种音量放大配件及终端
KR20010011150A (ko) 오디오 출력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