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150A - 오디오 출력 회로 - Google Patents

오디오 출력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150A
KR20010011150A KR1019990030391A KR19990030391A KR20010011150A KR 20010011150 A KR20010011150 A KR 20010011150A KR 1019990030391 A KR1019990030391 A KR 1019990030391A KR 19990030391 A KR19990030391 A KR 19990030391A KR 20010011150 A KR20010011150 A KR 20010011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digital
optical
jack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30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1150A/ko
Publication of KR20010011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15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2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tub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출력 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오디오 제어부가 아날로그 신호 뿐 아니라 디지털을 지원하는데도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서만 신호 처리하여 오디오를 출력하였기 때문에 노트북 컴퓨터의 사용자에게 풍부한 사운드의 확장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디오 제어부의 디지털 오디오 출력단을 광학잭의 디지털 신호 입력단에 연결하고,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광학잭의 좌,우 아날로그 신호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광학잭의 헤드폰 플러그 검출단 및 광학 디지털 플러그 검출단은 각각 증폭부 및 오디오 제어부에 연결하고, 상기 헤드폰 플러그 검출단에는 저항을 통해 전원을 인가하며 캐소드는 상기 헤드폰 플러그 검출단에 접속하고 애노드는 광학 디지털 플러그 검출단에 접속된 다이오드로 구성하여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잭을 구비하고 상기 잭에 꽂히는 플러그의 종류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운드의 확장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디오 출력 회로{AUDIO OUTPUT CIRCUIT}
본 발명은 오디오 출력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트북 컴퓨터에 사용되는 오디오 칩을 이용하여 노트북 컴퓨터의 오디오 출력잭에 연결되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 아날로그 및 디지털 사운드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출력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노트북 컴퓨터의 오디오 출력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소스를 출력하는 오디오 제어부(1)와; 상기 오디오 제어부(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소스를 증폭하여 스피커(SP1)로 출력하거나 오디오 잭(J1)으로 출력하는 증폭부(2)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오디오 출력 회로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오디오 제어부(1)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사운드를 모두 지원하며 스테레오(Stereo) 오디오 소스를 증폭부(2)에 출력하면 증폭부(2)는 아날로그 소스를 증폭하여 스피커(SP1)에 출력함과 동시에 오디오 잭(J1)으로도 증폭된 스테레오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디오 잭(J1)으로 도3의 (a)와 같은 헤드폰 플러그를 꽂으면 헤드폰 검출신호(HP DETECT)가 증폭부(2)로 인가되고, 이에 따라 증폭부(2)는 스피커(SP1)로 출력되던 신호를 차단하여 외부로 오디오가 출력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오디오 제어부가 아날로그 신호 뿐 아니라 디지털을 지원하는데도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서만 신호 처리하여 오디오를 출력하였기 때문에 노트북 컴퓨터의 사용자에게 풍부한 사운드의 확장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잭을 구비하고 상기 잭에 꽂히는 플러그의 종류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출력 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노트북 컴퓨터의 오디오 출력 회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출력 회로도.
도3은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는 헤드폰 플러그 및 광학신호를 입력받는 디지털 플러그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 : 저항 D1 : 다이오드
J2 : 광학잭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디오 제어부의 디지털 오디오 출력단을 광학잭의 디지털 신호 입력단에 연결하고,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광학잭의 좌,우 아날로그 신호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광학잭의 헤드폰 플러그 검출단 및 광학 디지털 플러그 검출단은 각각 증폭부 및 오디오 제어부에 연결하고, 상기 헤드폰 플러그 검출단 및 광학 디지털 플러그 검출단에는 각각 전원 인가 저항 저항과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각 플러그가 꽂혔을 경우 전원전압에 의한 '하이'신호가 인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출력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 제어부(1)의 디지털 오디오 출력단을 광학잭(J2)의 디지털 신호 입력단(I1)에 연결하고, 증폭부(2)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광학잭(J2)의 좌,우 아날로그 신호 입력단(I2,I3)에 연결하고, 상기 광학잭(J2)의 헤드폰 플러그 검출단(O1) 및 광학 디지털 플러그 검출단(O2)은 각각 증폭부(2) 및 오디오 제어부(1)에 연결하고, 상기 헤드폰 플러그 검출단(O1)에는 저항(R1)을 통해 전원을 인가하며 캐소드는 상기 헤드폰 플러그 검출단(O1)에 접속하고 애노드는 광학 디지털 플러그 검출단(O2)에 접속된 다이오드(D1)로 구성한 것으로 이하,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광학잭(J2)에 플러그가 꽂히지 않으면 헤드폰 플러그 검출단(O1) 및 광학 디지털 플러그 검출단(O2)은 '로우'가 되어 오디오 제어부(1)에서는 아날로그 오디오 소스를 증폭부(2)로 출력하고, 증폭부(2)에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스피커(SP1)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광학잭(J2)에 헤드폰 플러그가 꽂히게 되면 헤드폰 플러그 검출신호(HP DETECT)가 '하이'레벨이 되어 증폭부(2)에 인가되고, 이에 따라 증폭부(2)는 스피커(SP1)에 인가되던 신호를 차단하고 대신 광학잭(J2)의 아날로그 신호 입력단(I2,I3)으로 오디오 소스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광학잭(J2)에 꽂힌 플러그가 도3의 (b)와 같이 광학 디지털 플러그일 경우에는 디지털 플러그 검출신호(SPDIF DETECT)도 '하이'레벨이 되어 오디오 제어부(1)에 인가되고, 이에 따라 오디오 제어부(1)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소스를 출력하여 광학잭(J2)의 디지털 오디오 입력단(I1)에 인가하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광학잭(J1)에 어떤 플러그가 꽂히는지에 따라 이를 구분하여 헤드폰 플러그와 같은 아날로그 플러그일 경우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부(2)를 통해 광학잭(J2)의 좌,우 아날로그 신호 입력단(I2,I3)에 인가하고, 광학 디지털 플러그일 경우에는 디지털 신호를 광학잭(J2)의 디지털 신호 입력단(I1)에 인가하여 사용자에게 아날로그 및 디지털 사운드를 모두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오디오 출력 회로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잭을 구비하고 상기 잭에 꽂히는 플러그의 종류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운드의 확장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오디오 제어부의 디지털 오디오 출력단을 광학잭의 디지털 신호 입력단에 연결하고,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광학잭의 좌,우 아날로그 신호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광학잭의 헤드폰 플러그 검출단 및 광학 디지털 플러그 검출단은 각각 증폭부 및 오디오 제어부에 연결하고, 상기 헤드폰 플러그 검출단 및 광학 디지털 플러그 검출단에는 각각 전원 인가 저항 저항과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각 플러그가 꽂혔을 경우 전원전압에 의한 '하이'신호가 인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회로.
KR1019990030391A 1999-07-26 1999-07-26 오디오 출력 회로 KR20010011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391A KR20010011150A (ko) 1999-07-26 1999-07-26 오디오 출력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391A KR20010011150A (ko) 1999-07-26 1999-07-26 오디오 출력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150A true KR20010011150A (ko) 2001-02-15

Family

ID=19604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391A KR20010011150A (ko) 1999-07-26 1999-07-26 오디오 출력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11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842A (ko) * 2004-10-26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842A (ko) * 2004-10-26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36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0286374B1 (ko) 오디오제어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7335090B2 (ja) 高性能オーディオアンプの安定化
KR100283570B1 (ko) 헤드폰 삽입 유, 무에 따른 pc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10011150A (ko) 오디오 출력 회로
JP2006115192A (ja) 音声出力装置
JP2018160712A (ja) 音楽再生装置、プラグ、ヘッドホン、及び、アダプタ
TW201901164A (zh) 耳機阻抗偵測系統
KR100455148B1 (ko) 4극잭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락방지회로
KR200321299Y1 (ko) 헤드폰 잭 삽출부를 이용한 액티브 우퍼 사운드 출력 장치
KR20050122732A (ko) 컴퓨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65404A (ko) 자동 부하 검출기능을 이용한 오디오 기기의 앰프 출력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2519402U (zh) 一种用于耳机和喇叭工作状态切换的电视板
KR200162251Y1 (ko) 오디오 뮤트 생성 회로.
KR200146250Y1 (ko) 음성신호 스위칭 회로
JP3190309B2 (ja) 音声信号出力回路
KR0128673Y1 (ko) 멀티미디어 모니터의 사운드구현회로
JP2004120413A (ja) 音響装置
KR20000001756U (ko) 보청기와 이어폰의 일체형구동장치
KR20000015545U (ko) 외장 마이크 장착을 인식할 수 있는 듀얼마이크 시스템
JPH03239004A (ja) 増幅器
KR200268255Y1 (ko) 금융 단말기용 사운드 장치
KR200312252Y1 (ko) 차량용 오디오 장치
KR100768811B1 (ko) 오디오 증폭 회로
JP2005269291A (ja) ヘッドフォン出力ジャックを具えた音響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