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529A - 전기적 활동을 검출하기 위한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및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적 활동을 검출하기 위한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및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529A
KR20150104529A KR1020150030483A KR20150030483A KR20150104529A KR 20150104529 A KR20150104529 A KR 20150104529A KR 1020150030483 A KR1020150030483 A KR 1020150030483A KR 20150030483 A KR20150030483 A KR 20150030483A KR 20150104529 A KR20150104529 A KR 20150104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sensor device
power
electrical activity
rf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리 루지르
쟝-이브 르 나우르
쟝-뤽 로베르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50104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using analogue/digital converters of the type with conversion of voltage or current into frequency and measuring of this frequenc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1Measur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to, or emission from, the device under test, e.g. EMC, EMI, EMP or ESD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04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2203/5408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using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33Remote me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41Wireless systems or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45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83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coupling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전기 디바이스의 전기적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케이블에 부착가능한 센서 디바이스를 기초로 한다.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의 변화에 응답하여 전력 케이블에서 생성된 전기 펄스와 자기 결합하며 데이터를 전력 케이블을 통해 판독기에 전송하는 이중 기능을 수행하는 안테나 소자를 포함한다.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는 또한 센서 디바이스를 구비한 각각의 전력 케이블에 의해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디바이스의 전기적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제공된다.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는 판독기 및 판독기-전력선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적 활동을 검출하기 위한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및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ELECTRICAL ACTIVITY SENSOR DEVICE FOR DETECTING ELECTRICAL ACTIVITY AND ELECTRICAL ACTIVITY MONIT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기 디바이스의 전기적 활동, 특히 전력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전기 디바이스들의 전기적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는 무선 주파수 식별 디바이스(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를 기초로 한다.
전기 디바이스들의 전기적 활동의 모니터링은 예컨대 에너지 소모, 사용자 활동 프로파일의 구축, 및 보안 또는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분야에서 많은 유용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찾아냈다. 예컨대, 가정환경에서, 세탁기, 조명 기기들, 쿠커, 토스터기 또는 커피 머신과 같은 전기 디바이스들의 활동에 대한 지식은 가정 습관 및 사용자 활동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프로파일이 구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기 디바이스들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공지된 해법은 전력 콘센트(power outlet)에 플러그가 끼워진 원격 제어 모듈들(remote controlled modules)을 기초로 하며 각각의 전력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 설비의 전기 소모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복잡한 전기 미터 시스템을 채택한다. 이런 원격 제어 모듈들은 전형적으로 대응하는 전기 기구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해서 저전력 무선 기술을 기초로 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비한다. 그러나 이런 진보된 미터 시스템들은 복잡하고 값비싼 맞춤 설치를 요구한다. 사실, 가정 자동화 및 모니터링에 대한 최근의 연구 보고서는 가격 및 기술적인 복잡성을 광범위한 채택에 반하는 주력 시장의 장애물 및 저해물인 것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런 기술의 다른 단점은 전기 디바이스들이 한 전력 콘센트에서 다른 전력 콘센트로 옮겨질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조명 기기들과 같은 일부 디바이스들은 항상 전력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은 아니다.
전기 디바이스들의 활동을 검출하기 위한 다른 해법은 전력 공급 네트워크의 하나 또는 여러 포인트에서 전력선들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전기 디바이스의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시그너처(signature)"를 감지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그러나 이들 기술은 다양한 디바이스의 EMI 시그너처를 학습하기 위한 맞춤형 교정 및 트레이닝 프로세스를 요구한다. 더욱이 EMI 시그너처들은 시간이 갈수록 진화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양한 능동 디바이스들의 시그너처들을 분해하기 위해 복잡한 신호 처리 기술들이 요구되며, 얻어진 결과는 항상 매우 정확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앞서 말한 내용을 염두에 두고 발명되었다.
일반적인 형태에서 본 발명은 예컨대 무선 주파수 식별 디바이스와 같은 안테나 디바이스를 기초로 한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전기 디바이스의 전기적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는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케이블에 부착가능한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센서 디바이스는 검출가능한 전기 신호를 유도하기 위해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에서의 변화에 의해 전력 케이블에서 생성된 전기 펄스와 자기 결합하도록 동작가능한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고, 안테나 소자는 또한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력 케이블을 통해 판독기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따라서 전기적 활동의 검출은 단순하고 저 비용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센서는 전기적 활동 검출 기능 및 전기적 활동 데이터의 전송 기능의 이중 기능을 갖는다.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판독기에 의한 질의에 응답하여 전력 공급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판독기에 전송된다. 센서 디바이스의 동작 범위는 데이터가 무선이 아닌 전력 네트워크를 통해 판독기에 전송되므로 확장된다. 더욱이 데이터의 전송이 예컨대 집안 전력 기반시설을 이용하여 전력 케이블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은 다른 무선 시스템으로부터의 간섭 또는 장애물의 존재에 덜 민감하다.
한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에서의 변화는 디바이스의 스위칭 온, 디바이스의 스위칭 오프, 대기 모드에서 온 전력 상태로의 스위칭, 온 전력 상태에서 대기 모드로의 스위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 소자는 그의 동작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전기 펄스와의 자기 결합(magnetic coupling)과 전력 케이블을 통한 데이터 전송 모두를 수행한다. 이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추가적인 신호 처리를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순화된 검출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 소자는 전력 케이블의 형상에 적응된 폼 팩터(form factor)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 소자에 의한 데이터의 전송은 판독기 디바이스로부터 전력 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RF 신호의 후방 산란(backscattering)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디바이스는 검출된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며, 안테나 소자는 센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데이터를 판독기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 소자는 루프 안테나로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 소자는 유도 코일을 형성하기 위해 전력 공급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이런 구성은 보다 효율적인 자기 결합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전기 디바이스의 스위칭 온으로부터 유도된 전기 신호와 전기 디바이스의 스위칭 오프로부터 유도된 전기 신호를 구별하도록 구성된 펄스 검출기를 포함한다. 예컨대 펄스 검출기는 전기 디바이스의 스위칭 온으로부터 유도된 전기 신호와 전기 디바이스의 스위칭 오프로부터 유도된 전기 신호를 구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펄스 검출기는 대기 모드에서 온 상태로의 스위칭으로부터 유도된 전기 신호와 온 상태에서 대기 모드로의 스위칭으로부터 유도된 전기 신호를 구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특정 실시예에서, 펄스 검출기는 오프 상태와 온 상태 간의 스위칭으로부터 유도된 전기 신호들과 대기 모드와 온 상태 간의 스위칭으로부터 유도된 전기 신호들을 구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전력 상태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디바이스는 RFID 판독기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RFID 태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RFID 센서 디바이스는 단거리 RFID 태그로서 동작가능하다. 전력 네트워크를 통한 유선 전송과 결합된 단거리 통신은 장거리 무선 RFID 태그 시스템에 비하여 전력 소모가 줄어들 수 있게 하고 기존 케이블 기반시설을 통한 전송에 의해 확장된 커버리지가 제공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디바이스는 전력 케이블을 통한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수동 센서 디바이스로서 동작가능하다. 이는 배터리 구동 센서들의 사용을 회피하여 전력 소모가 줄어들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는 전기 디바이스가 스위칭 온될 때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소모 측정 모듈을 포함하며, 안테나 소자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는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는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의 변화가 검출된 후의 지속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기 디바이스의 전기적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 디바이스는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케이블에 부착가능한 RFID 센서 디바이스 - RFID 센서 디바이스는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의 변화에 응답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전력 케이블에서 생성된 전기 펄스와 자기 결합하도록 동작가능한 안테나 소자를 포함함 -; 및 생성된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며, 안테나 소자는 또한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RFID 센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데이터를 전력 공급 케이블을 통해 RFID 판독기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RFID 센서 디바이스를 구비한 각각의 전력 케이블에 의해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디바이스의 전기적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되며,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는,
질의 신호들을 하나 이상의 RFID 센서 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하고 질의 신호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RFID 센서 디바이스들의 온/오프 전기적 상태 데이터 및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RFID 판독기 모듈 - 각각의 RFID 센서 디바이스는 전기 디바이스의 각각의 전력 케이블에 부착되며, 식별 데이터 및 상태 데이터는 전력 공급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전력 케이블을 경유해서 각각의 RFID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고, 전기적 상태 데이터는 각각의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의 변화를 나타냄 -; 및 RFID 판독기 모듈을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 전기 결합하며, 전력 공급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고 전력 공급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을 위해 질의 신호를 삽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은 외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 내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본 발명의 제2 양상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르는 장치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전기 디바이스의 전기적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및 본 발명의 제2 양상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소모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에 연결된 전기 미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에 따르면, 전기 디바이스의 전기적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 센서 디바이스는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케이블에 부착가능하고,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의 변화에 응답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전력 케이블에서 생성된 전기 펄스와 자기 결합하도록 동작가능한 안테나 소자; 및 생성된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고, 안테나 소자는 또한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센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데이터를 전력 공급 케이블을 통해 판독기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에 따르면, 센서 디바이스를 구비한 각각의 전력 케이블에 의해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디바이스의 전기적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판독기 모듈이 제공되며, 이 판독기 모듈은 질의 신호들을 하나 이상의 센서 디바이스들에 전송하고 질의 신호들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센서 디바이스들의 전기적 상태 데이터 및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동작가능하고, 각각의 센서 디바이스는 전기 디바이스의 각각의 전력 케이블에 부착되며, 식별 데이터 및 상태 데이터는 전력 공급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전력 케이블을 경유해서 각각의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고, 전기적 상태 데이터는 각각의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며, 판독기 모듈은 판독기 모듈을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 전기 결합하며, 전력 공급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고 전력 공급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을 위해 질의 신호들을 삽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소자들에 의해 구현되는 일부 프로세스들은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런 소자들은 완전한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한 소프트웨어 실시예(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함), 또는 일반적으로 이하 "회로", "모듈" 또는 "시스템"으로서 모두가 언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양상들을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런 소자들은 매체에 구현된 컴퓨터 이용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표현의 임의의 유형 매체에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자들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임의의 적당한 캐리어 매체를 통해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 캐리어 매체는 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CD-RO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디바이스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디바이스 등과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시적인 캐리어 매체는 신호, 예컨대 전기 신호, 전자 신호, 광학 신호, 음향 신호, 자기 신호,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RF 신호와 같은 전자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하 다음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RFID 센서 디바이스의 개요 블록도이다.
도 3a-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RFID 센서 디바이스의 개요도이다.
도 4는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케이블에 부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RFID 센서 디바이스를 예시한 개요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RFID 센서 디바이스의 소자들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RFID 센서에 의해 구현되는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예시한 그래프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의 개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는 RFID 센서 디바이스의 개요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요 블록도이다.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n개의 전기 디바이스들(101_1 내지 101_n)의 전기적 상태의 변화를 모니터링한다. 각각의 전기 디바이스(101_1 내지 101_n)는 각각의 전력 케이블(102_1 내지 102_n)에 의해 전력 공급 네트워크(110)의 전력 콘센트(103_1 내지 103_n)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전기 디바이스(101_1 내지 101_n)가 각각의 전력 콘센트(103_1 내지 103_n)에 연결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기 디바이스들이 동일한 전력 콘센트(103_x)에 연결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각각의 전력 케이블(102_1 내지 102_n)은 각각의 RFID 센서 유닛(200_1 내지 200_n)을 구비한다.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전력 공급 네트워크(110)에 연결된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300)를 더 포함한다. 전력 공급 네트워크(110)는 전력 공급 네트워크(110)에서의 전기 소모를 측정하기 위한 스마트 전기 미터(400)를 구비한다.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300)는 시스템의 전기적 활동에 대한 데이터가 예컨대 전력 공급 회사의 서버와 같은 원격 서버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도록 인터넷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NET)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RFID 센서 디바이스(200)의 개요 블록도이다.
RFID 센서 디바이스(200)는 안테나(210), 펄스 검출 모듈(220), 및 전기적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칩(230)을 포함한다. RFID 센서 디바이스는 또한 RFID 태그, RFID 라벨, RFID 트랜스듀서 등으로서 언급될 수 있다. 도 2의 센서 디바이스가 RFID 센서 디바이스일지라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디바이스는 도 2의 실시예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센서 디바이스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안테나(210)는 이중 기능을 갖는다. 먼저, RFID 센서 유닛(200_x)의 안테나(210)는 대응하는 전기 디바이스(101_x)가 전력 상태의 변화를 경험할 때, 예컨대 스위칭 온 또는 스위칭 오프될 때, 각각의 전력 케이블(102_x)에서 생성된 전기 펄스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사실, 생성된 전기 펄스는 각각의 전기 디바이스(101_x)의 전력 상태의 변화로부터 생긴다. 전기 디바이스(101_x)가 스위칭 온 또는 오프될 때, 전류 펄스가 전기 디바이스의 각각의 전력 케이블(102_x)에 흐른다. 전력 케이블(102_x)에 부착된 각각의 RFID 센서 디바이스(200_x)의 안테나(210)는 펄스 검출 모듈(22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전기 펄스를 생성하는 전류 펄스와 자기 결합한다.
안테나(210)의 제2 기능은 데이터를 메모리 칩(230)으로부터 각각의 전력 케이블(102_x)를 통해 모니터링 디바이스(300)의 RFID 판독기에 전송하는 것이다. 사실, 안테나(210)의 동작 주파수 범위는 자기 결합에 의한 임펄스 검출 기능과 전력 케이블을 통한 RFID 판독기로의 데이터 전송 기능 모두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RFID 센서 디바이스(200)는, UHF 주파수 대역, 예컨대 800MHz 내지 960MHz의 범위, 예로서 860MHz 또는 900MHz의 영역 또는 433MHz의 영역, 또는 HF 주파수 대역, 예컨대 13.6MHz의 영역에서 동작하는 근거리/단거리 RFID 태그이다.
RFID는 비특정 단거리 디바이스로서 고려된다. RFID는 라이센스 없이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RFID는 전형적으로 현지 규정들(ETSI, FCC 등)에 부합해야 한다.
- LF: 125kHz - 134.2kHz: 저주파수
- HF: 13.56MHz: 고주파수
- UHF: 860MHz-960MHz: 극초단파
- SHF: 2.45GHz: 초고주파
RFID 센서 디바이스(200)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은 RFID 판독기로부터의 질의에 응답하여 전력 케이블을 통한 후방 산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 칩(230)은 대응하는 전기 디바이스(101_x)의 전기적 상태의 변화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케이블(102_x)에서의 전기 펄스에 의해 안테나(210)에서 유도되며 펄스 검출기(220)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은 메모리 칩(230)을 활성화하여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동형 RFID 태그의 경우, 안테나(210)는 RFID 센서 디바이스(200)의 모듈들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전력 케이블에서 전류 펄스로부터 전력을 거둬들일 수 있는 전력-커플링-인덕터로서 작용한다. 이런 특정 실시예에서 RFID 센서 디바이스(200)가 수동 RFID 센서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배터리와 같은 전원으로부터 RFID 센서 디바이스(200)로 전력이 끊임없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RFID 센서 디바이스(200)가 자신의 전력 공급 수단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능동형 RFID 태그 또는 배터리 보조 수동형 RFID 태그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전기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각각의 RFID 센서 디바이스(200)는 모니터링 디바이스(300)가 그것을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식별 코드를 구비한다.
RFID 센서 디바이스(200)는 예컨대 아교, 스티킹 테이프(sticking tape) 또는 스티커와 같은 접착제에 의해; 예컨대 스테이플(staple), 나사, 못과 같은 기계적 결합에 의해; 또는 각각의 전력 케이블(102_x)의 절연 외장 커버(insulating sheath cover)에 내장됨에 의해, 등등, 임의의 형태의 고정 수단에 의해 각각의 전력 케이블(102_x)에 부착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센서 디바이스(200A)는 스티커의 형태로 제공되는데 이 스티커를 각각의 전력 케이블(102_x)에 부착하기 위하여 스티커의 아랫면에 접착제(252A)가 제공되는 반면, 스티커의 윗면에는 안테나(210A), 펄스 검출기 모듈(220A) 및 메모리 칩(230A)이 제공되며 보호 커버층(255A)에 의해 커버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안테나(210)는 전력 케이블(102_x)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들어맞도록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RFID 센서 디바이스(200)의 안테나(210)는 루프 안테나의 형태를 가지며 각각의 전력 케이블(102_x)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되어 사용된다.
도 3b는 전류 펄스 검출 기능 및 전력 케이블을 통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이중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적당한 RFID 근거리 UHF 태그들(200B1 및 200B2)의 예들을 개요적으로 도시한다. 각각의 RFID 태그들(200B1 및 200B2)은 각각 루프 안테나 소자(210B1 및 210B2), 및 RFID 메모리 칩(230B1 및 230B2)을 포함한다. RFID 태그들(200B1 및 200B2)은 각각의 안테나 소자(210B1 및 210B2)가 각각의 케이블(102_x)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열되는 상태로 각각의 케이블(102-x)에 부착된다. 이런 구성에서, 안테나(210B1 또는 210B2)는 케이블의 외부에 부착되거나 또는 케이블에 내장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채택될 수 있는, 루프 안테나(210C1 및 210C2) 및 메모리 칩(230C1 및 230C2)을 각각 구비한 RFID 태그(200C1 및 200C2)의 예를 개요적으로 도시한다. 루프 안테나들(210C1 및 210C2)의 형상은 전력 케이블의 폼 팩터로서 구성된다. 이는 HF 또는 UHF 주파수에서 전류 흐름과 자기 결합하는 것을 보장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 4는 전기 기구(101), 본 예에서는 헤어드라이어의 전력 케이블(102)에 부착된 RFID 센서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개요적으로 도시한다. RFID 센서(200)는 전력 케이블(102)의 일부 주변을 둘러싸는 플렉시블 스티커의 형태를 갖는다.
도 5a는 안테나(210)가 루프 안테나의 형태를 갖는 RFID 센서 디바이스(200)의 펄스 검출기 모듈(220)의 동작 예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전력 상태 변화 펄스 신호(A)가, 자기 결합 효과에 의해서, 루프 안테나(210)에 의해 획득된다. 전력 상태 변화 펄스 신호(A)의 크기가 미리결정된 임계치(예컨대 1V)를 초과할 때, 블록 비교기(221)가 입력 펄스 신호를 검출하고 이에 응답하여 출력 신호(B)의 상태를 변경한다. 멀티 트리거링을 회피하기 위하여, 지연 디바이스(temporization device)(222)가 설정된 지연 시간 동안 비교기로부터 나오는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C)를 출력에 제공하기 위해서 비교기(221)의 출력에 연결될 수 있다. D 플립플롭 모듈(223)은 상태 비트(D)를 생성한다. 상태 비트(D)는 각각의 클록킹된 임펄스마다 변경되는데, 그 이유는 D 플립플롭 모듈(223)이 지연 모듈(222)의 출력 신호(C)에 의해 클록킹(clocking)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비트 신호(D)의 최종 비트는 각각의 검출된 펄스(스위치 온 또는 오프)에서 상태를 변경한다. 따라서 상태는 전력 상태 변화를 가리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비트 값은 RFID 센서 디바이스(200)의 메모리 칩(230)에 저장된다. 각각의 전기 디바이스(101_x)의 전력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이런 정보는 RFID 센서 디바이스(200)의 식별 코드 ID와 함께 모니터링 디바이스(300)에 전송될 수 있다. 도 5a의 동작의 신호들(A, B, C 및 D)은 도 5b에 그래프로 표현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는 카운터 리셋에서 전기 디바이스(101_x)의 초기 전력 상태를 알고 있음으로 인해, 비트 신호(D)의 상태로부터 전기적 변화가 온/오프 전기적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지 또는 오프/온 전기적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이전 판독에서 전기 디바이스의 온 또는 오프 전력 상태를 알고 있음으로 인해 후속하는 판독에서 온 또는 오프 전력 상태가 추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300)를 개요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300)는 RFID 판독기 디바이스(310)(또한 RFID 기지국 또는 RFID 송수신기로 알려짐), 전력선 인터페이스 디바이스(320) 및 모니터링 디바이스(330)를 포함한다.
RFID 판독기 디바이스(310)는 전력선 네트워크(110)의 전력선들을 통해 RFID 센서들(200)로부터 RFID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RFID 질의 신호(또한 여기 신호로 알려짐)를 RFID 센서들(200)에 전송하기 위해 전력선 인터페이스 디바이스(320)에 결합하는 RFID 인터페이스(311); 및 RFID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RFID 처리 디바이스(312)를 포함하는 근거리 RFID형 판독기이다. RFID 판독기 디바이스(310)는 RFID 안테나가 없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RFID 센서 디바이스(200)와 통신이 무선 통신이 아닌 전력 공급 네트워크(110)의 전력선들을 통해 일어나기 때문이다.
전력선 인터페이스 디바이스(320)는 RF 변환기(321), 전력 변압기(322) 및 DC 전압 생성기(323)를 포함한다. RF 변환기(321)는 RFID 신호가 전력선을 통해 RFID 센서 디바이스(200)에 전송하기 위한 질의 신호를 삽입하기 위해 전력선과 결합하도록 RFID 판독기 디바이스(321)에 의해 방출된 HF 또는 UHF RFID 신호를 처리한다.
RF 변환기는 RFID 동작 주파수 대역(HF, VHF 또는 UHF)에 따라서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의 커버리지의 확장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RF 변환의 전송 손실은 최소화된다. RF 변환기는 RFID 판독기(310)에 의한 판독을 위해 데이터 신호를 전력선들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추출 디바이스로서, 그리고 RFID 판독기 디바이스로부터 질의 신호를 전력 네트워크에 삽입하기 위한 신호 삽입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전력 변압기(322)는 주 전력선(110)의 AC 전압을 낮은 부 AC 전압으로 변환한다. DC 전압 생성기(323)는 낮은 부 AC 전압을 RFID 판독기 디바이스(310) 및 모니터링 디바이스(330)을 위한 DC 전압으로 변환한다.
모니터링 디바이스(330)는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전기 디바이스들(101_1 내지 101_n)의 전력 상태 변화 활동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RFID 판독기 디바이스(310)로부터 수신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디바이스(330)는 시스템의 전력 공급 네트워크(110)에 연결된 스마트 타입 전기 미터(400)에 연결된다. 전기 미터(400) 및 모니터링 디바이스(330)는 무선 또는 유선 연결로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전기 미터(400)는 전력 네트워크(110)에 연결된 전기 디바이스들(101_1 내지 101_n)의 전력 소모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스마트 전기 미터(400)는 전력 소모의 변화: 예컨대 전력 네트워크(110)에 의해 제공된 하나 이상의 전기 디바이스들(101_1 내지 101_n)의 스위칭 온으로부터 생길 수 있는 전력 소모의 속도의 증가, 또는 전력 네트워크(110)에 의해 제공된 하나 이상의 전기 디바이스들(101_1 내지 101_n)의 스위칭 오프로부터 생길 수 있는 전력 소모의 속도의 감소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전력 소모에서 검출된 변화에 응답하여, RFID 판독 프로세스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명령 신호가 모니터링 디바이스(330)로부터 RFID 판독기 디바이스(310)에 전송된다. RFID 판독기 디바이스(310)는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RFID 센서 디바이스들(200_1 내지 200_n)의 각각의 RFID 메모리 칩(230_1 내지 230_n)에 저장된 전기적 상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하여 질의 신호를 RFID 센서 디바이스(200_1 내지 200_n)에 전송한다. RFID 판독기(310)로부터 하나 이상의 RFID 센서 디바이스들(200)에 전송될 질의 신호는 RF 변환기(321)에 의해 전력 네트워크 라인 신호에 삽입되며 전력 네트워크(110)의 전력선들을 따라서 RFID 센서 디바이스들(200_1 내지 200_n)을 구비한 전력 케이블들(102_1 내지 102_n)에 전파한다. 질의 신호는 RFID 센서 디바이스들(200_1 내지 200_n)에 의해 전력 케이블들(102_1 내지 102_n)을 따라서 모니터링 장치(300)를 향하여 후방산란된다. RFID 센서 디바이스들(200_1 내지 200_n)로부터의 후방산란된 신호들 각각은 각각의 전기 디바이스들(102_1 내지 102_n)의 식별 코드, 및 각각의 RFID 메모리 칩(230)에 저장된 대응하는 전력 상태 변화 정보를 포함한다. 수집된 전력 상태 변화 정보 신호는 인터페이스 디바이스(320)에서 수신되며, RFID 판독기 디바이스(310)의 RFID 처리 모듈(312)에 의해 판독되도록 변환된다. 처리된 전력 상태 변화 활동 정보는 그 후 모니터링 디바이스(330)에 전송된다.
모니터링 디바이스(330)는 또한, 수신된 전력 상태 변화 정보를 처리하거나, 또는 전력 상태 변화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원격 디바이스에 전달한다.
예컨대, 가정용 전력 공급 네트워크(110)에 연결된 커피 머신과 같은 전기 디바이스(101_x)가 스위칭 온되면(예컨대, 오프 전력 상태로부터 또는 대기 모드로부터):
1. 전체 전력 소모는 커피 머신에 의해 소모된 전력에 대응하는 양만큼 증가할 것이다. 이런 전력 소모의 변화는 스마트 전기 미터(400)에 의해 측정될 것이다.
2. 스위칭 온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전력 케이블에서 생성된 전류 임펄스는 각각의 전력 케이블에 부착된 대응하는 RFID 센서 디바이스(200)를 활성화하고, 상태 정보 변화(오프에서 온으로)는 비트("상태 비트")를 0(오프 상태에 대응함)에서 1(온 상태에 대응함)로 스위칭함으로써 RFID 메모리 칩에 저장된다.
스마트 전기 미터(400)에 의해 측정된 전력 소모의 증가는 모니터링 디바이스(33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검출된 증가에 응답하여, RFID 판독기 디바이스(310)의 판독 단계를 트리거하기 위해 판독 명령이 RFID 판독기 디바이스(300)에 전송된다. RFID 판독기 모듈(310)은 전력 네트워크(110)에 연결된 전기 디바이스들(101_1 내지 101_n)의 RFID 센서 디바이스들(200_1 내지 200_n) 모두를, 질의 신호를 전송함에 의해 판독한다. 각각의 RFID 센서(200_1 및)의 판독 정보는 그것의 식별 데이터 및 그것의 전기적 온/오프 변화 상태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판독된 모든 RFID 센서 디바이스들의 전기적 변화 상태를, 이전 판독 단계에서의, 전기 디바이스의 상태 데이터세트에 저장된 이전 상태와 비교함에 의해, 어느 전기 디바이스들에 전력이 공급되었는지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기 디바이스 상태 데이터세트가 이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대응하는 RFID 메모리 칩상에 저장된 각각의 상태 비트 신호의 상태는 어느 전기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이 스위칭 온 또는 오프되었는지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기 디바이스에 대한 본 발명의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서, 온에서 오프 또는 대기로의 전력 상태 변화에 의해 생성된 전기 펄스는, 펄스 신호들을 특징화함에 의해, 오프 또는 대기에서 온으로의 전력 상태 변화에 의해 생성된 전기 펄스와 구별될 수 있다. 이런 실시예들의 RFID 센서 디바이스(200)의 임펄스 검출기(220)는 생성된 전기 펄스 신호의 특징들로부터 전기 펄스가 온에서 오프 또는 대기로의 전력 상태 변화에서 생기는지, 또는 오프 또는 대기에서 온으로의 전력 상태 변화에서 생기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임펄스 검출기는 최종 펄스 신호들을 특징화함에 의해 오프에서 온과 대기에서 온을 구별하고; 온에서 대기와 온에서 오프를 구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디바이스(101-x)에 의해 소모된 전력은 예컨대 오프에서 온으로의 전력 상태 변화 또는 대기에서 온으로의 전력 상태 변화를 검출한 다음, 전기 디바이스가 온 상태에 놓이는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 후 전력 소모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전력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RFID 판독기 디바이스(300)에 전송되는 방식과 동일하게 전력 네트워크(110)에 의해서 대응하는 RFID 센서 디바이스(200_x)로부터 RFID 판독기 디바이스(300)에 전달될 수 있다.
전력 상태 변화 데이터 또는 소모 데이터는 전력 네트워크(110)의 전기적 활동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예컨대 가정용 사용자 프로파일을 구축하고, 전력 소모의 증가를 검출 및 경고하며/하거나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한 추천을 제공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RFID 판독기는, 모니터링 디바이스(330)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RFID 판독기로부터 RFID 센서 디바이스로 질의 신호를 전송하는 대신,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명령받지 않고, RFID 센서 디바이스들에 자동으로, 예컨대 주기적으로 질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외부 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정용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전체 가정 전력 소모의 실시간 추적이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가정용 전기 공급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전기 공급자는 원격 서버로부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통해 신호를 전송함에 의해 RFID 판독기의 판독 단계를 트리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는 RFID 센서 디바이스(700)의 개요적인 기능 블록도이다.
RFID 센서 디바이스(700)는 안테나(710), 펄스 검출 모듈(720), 및 RFID 센서의 식별 데이터 및 전기적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칩(730)을 포함한다. 이들 소자는 도 2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소자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도 2의 실시예에 대하여, RFID 센서 디바이스(700)는 타이머(740)를 더 포함한다. 타이머(740)는 펄스 검출기(720)에 의해 펄스가 검출된 때로부터 시간량을 측정함에 의해 전기 디바이스가 전기적 상태가 변경된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시간 데이터는 메모리(730)에 저장되며 ID 데이터 및 전기적 상태 데이터와 함께 RFID 판독기에 전송될 수 있다. 이 타이밍 데이터는 디바이스가 스위칭 온 또는 오프된 시간량이 결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참고로 위와 같이 설명되었다 할지라도, 본 발명은 이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수정들이 자명할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예들이 가정용 전력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해 설명되었다 할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 디바이스들이 연결되는 임의의 전력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더욱이 시스템은 보안 또는 안전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전력 상태가 변화된, 예컨대 스위칭 온 또는 스위칭 오프되는 전기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들이 RFID 태그 및 판독기를 이용하여 설명되었다 할지라도, 본 발명은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임의의 센서 디바이스 및 이 센서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판독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 기술에 정통한 자들이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면 이들에게 많은 추가적인 수정들 및 변형들이 암시될 것이며,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단지 예로서 주어지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특히, 다른 실시예들로부터의 다른 특징들이 적절히 교환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기 디바이스(101)의 전기적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로서,
    상기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케이블(102)에 부착가능한 센서 디바이스(200; 70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디바이스(200; 700)는 검출가능한 전기 신호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의 변화에 의해 상기 전력 케이블에서 생성된 전기 펄스와 자기 결합하도록 동작가능한 안테나 소자(210; 710)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소자(210; 710)는 또한 상기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전력 케이블(102)을 통해 판독기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한,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는 상기 전력 케이블의 형상에 적응된 폼 팩터를 갖는,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에 의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은 상기 판독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력 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RF 신호의 후방산란을 포함하는,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210; 710)는 그것의 동작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전기 펄스와의 자기 결합과 상기 전력 공급 케이블(102)을 통한 데이터 전송 둘 다를 수행하는,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디바이스는 상기 검출된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230; 730)을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소자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200; 700)를 식별하는 식별 데이터를 상기 판독기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210; 710)는 루프 안테나로서 형성되는,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210; 710)는 유도 코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력 공급 케이블(102)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디바이스의 스위칭 온으로부터 유도된 전기 신호와 상기 전기 디바이스의 스위칭 오프로부터 유도된 전기 신호를 구별하도록 구성된 펄스 검출기(220; 720)를 포함하는,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디바이스는 RFID 판독기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RFID 태그를 포함하는,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센서 디바이스(200; 700)는 단거리 RFID 태그로서 동작가능한,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디바이스(200; 700)는 상기 전력 케이블을 통한 전자기 유도에 의해 구동되는 수동 센서 디바이스로서 동작가능한,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디바이스가 스위칭 온될 때 상기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소모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소자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는 상기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의 변화가 검출된 후의 지속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740)를 더 포함하는,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14. 센서 디바이스(200)를 구비한 각각의 전력 케이블(102)에 의해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디바이스(101)의 전기적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로서,
    질의 신호들을 하나 이상의 센서 디바이스들(200)에 전송하고 상기 질의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디바이스들(200)의 전기적 상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기 모듈(310) - 상기 센서 디바이스들(200) 각각은 전기 디바이스의 각각의 전력 케이블(102)에 부착되며, 상기 전기적 상태 데이터는 상기 각각의 전력 케이블(102)을 통해 상기 각각의 센서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전기적 상태 데이터는 상기 각각의 전기 디바이스(101)의 전력 상태 변화를 나타냄 -; 및
    상기 판독기 모듈을 상기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 전기 결합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 -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력 공급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신호들을 추출하고 상기 전력 공급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을 위해 질의 신호들을 삽입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 모듈(310)은 상기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기 미터(400)에 의해 측정된 전력 소모에서 검출된 변화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질의 신호들의 전송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원격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 모듈(310)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질의 신호들의 전송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 모듈은 RFID 태그와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RFID 판독기를 포함하고, 상기 RFID 판독기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RFID 데이터를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 및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20. 외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 내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장치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20150030483A 2014-03-05 2015-03-04 전기적 활동을 검출하기 위한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및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 KR201501045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305313.0 2014-03-05
EP14305313.0A EP2916465A1 (en) 2014-03-05 2014-03-05 Electrical activity sensor device for detecting electrical activity and electrical activity monitor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529A true KR20150104529A (ko) 2015-09-15

Family

ID=5034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483A KR20150104529A (ko) 2014-03-05 2015-03-04 전기적 활동을 검출하기 위한 전기적 활동 센서 디바이스 및 전기적 활동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785809B2 (ko)
EP (2) EP2916465A1 (ko)
JP (1) JP2015171154A (ko)
KR (1) KR20150104529A (ko)
CN (1) CN104897978A (ko)
AU (1) AU2015201094A1 (ko)
HK (1) HK1214689A1 (ko)
TW (1) TW2015349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4034B2 (en) 2007-09-18 2012-01-10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Detecting actuation of electrical devices using electrical noise over a power line
EP2796834A1 (en) * 2013-04-23 2014-10-29 Thomson Licen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WO2016037095A1 (en) * 2014-09-04 2016-03-10 Sidhant Gupta Detecting user-driven operating states of electronic devices from a single sensing point
FR3038049B1 (fr) * 2015-06-26 2017-08-11 Centre Nat Rech Scient Dispositif rfid de determination de l'etat de fonctionnement et d'identifcation d'un appareil electrique
EP3193140A1 (en) * 2016-01-15 2017-07-19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 on/off impulse detection
US10750252B2 (en) 2017-02-22 2020-08-18 Sense Labs, Inc. Identifying device state changes using power data and network data
CN110574389B (zh) * 2017-02-22 2022-05-27 圣思实验室公司 使用功率数据和网络数据来识别设备状态改变
DE102017204667A1 (de) * 2017-03-21 2018-09-27 Robert Bosch Gmbh Überwachungssystem und Überwachungsverfahren
US10878343B2 (en) 2018-10-02 2020-12-29 Sense Labs, Inc. Determining a power main of a smart plug
US11768228B2 (en) 2019-07-11 2023-09-26 Sense Labs, Inc. Current transformer with calibration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078B1 (ko) * 1999-12-21 2002-12-12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적산 계량기의 무선 원격 검침시스템 및 무선 원격 검침방법
US7103240B2 (en) * 2001-02-14 2006-09-05 Current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ductive coupling and decoupling of high-frequency, high-bandwidth data signals directly on and off of a high voltage power line
JP2006109634A (ja) * 2004-10-06 2006-04-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化製品稼動検出器、電力監視システム、電力監視装置および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9164924A (ja) 2008-01-08 2009-07-23 Sony Corp 通信装置並びに通信システム
JP2010068601A (ja) 2008-09-09 2010-03-25 Tamura Seisakusho Co Ltd 盗電防止システム、電源コンセント、電源プラグまたは電気製品
CN101706862B (zh) * 2009-10-30 2012-07-18 东莞市太平洋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测试rfid阅读器接收灵敏度的方法及设备
JP5452373B2 (ja) * 2010-06-01 2014-03-26 株式会社ガスター 情報お知らせシステム
KR20130103296A (ko) * 2010-08-24 2013-09-23 소니 주식회사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US8810373B2 (en) 2010-11-19 2014-08-19 Moon J. Kim Active energy harvesting for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s
CN201892954U (zh) * 2010-12-10 2011-07-06 珠海银邮光电技术发展股份有限公司 具有监控功能的新型天线系统
US20120280828A1 (en) * 2011-05-02 2012-11-08 Kim Moon J Rfid-based electricity metering system
CN102324052A (zh) 2011-07-05 2012-01-18 苏州希格玛建筑智能化工程有限公司 基于rfid的电能远程自动监控系统
EP2725678A4 (en) * 2011-07-28 2014-09-10 Panasonic Corp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program
BR112014008720A2 (pt) * 2011-10-11 2017-06-13 Senseonics, Incorporated sistema de ativação de intensidade de campo eletrodinâmico
CN203216989U (zh) * 2013-04-26 2013-09-25 苏州德诚物联科技有限公司 Rfid标签天线的非接触式测试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34935A (zh) 2015-09-16
EP2916466B1 (en) 2019-05-01
EP2916466A1 (en) 2015-09-09
US20150254482A1 (en) 2015-09-10
HK1214689A1 (zh) 2016-07-29
AU2015201094A1 (en) 2015-09-24
EP2916466B8 (en) 2019-06-12
US9785809B2 (en) 2017-10-10
EP2916465A1 (en) 2015-09-09
CN104897978A (zh) 2015-09-09
JP2015171154A (ja) 201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3863B2 (en) Electrical activity sensor device for detecting electrical activity and electrical activity monitoring apparatus
US9785809B2 (en) Electrical activity sensor device for detecting electrical activity and electrical activity monitoring apparatus
EP2916464A1 (en) Electrical activity sensor device for detecting electrical activity and electrical activity monitoring apparatus
US9459673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remotely interacting with items present in an environment for communicating with computing device
US9893411B2 (en) Electrical activity sensor device for detecting electrical activity and electrical activity monitoring apparatus
JP2015171154A5 (ko)
JP2016518805A5 (ko)
JP2012231463A (ja) 非接触受信機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
US9824249B2 (en) Electrical activity sensor device for detecting electrical activity and electrical activity monitoring apparatus
US10229299B2 (en) RFID device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status and identification of an electric appliance
EP3141915A1 (en) Electrical activity sensor device for detecting electrical activity and electrical activity monitoring apparatus
BR102015004805A2 (pt) Dispositivo sensor de atividade elétrica para detectar atividade elétrica e aparelho para monitorar atividade elétrica
US20170307661A1 (en) Electrical activity sensor device for detecting electrical activity and electrical activity monitoring apparatus
CN102123531A (zh) 电磁炉炉具探测的方法
KR101210600B1 (ko) 구조물 인식 장치 및 방법
JP2003091789A (ja) 電化製品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電化製品、管理装置、id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媒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