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387A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387A
KR20150104387A KR1020140026062A KR20140026062A KR20150104387A KR 20150104387 A KR20150104387 A KR 20150104387A KR 1020140026062 A KR1020140026062 A KR 1020140026062A KR 20140026062 A KR20140026062 A KR 20140026062A KR 20150104387 A KR20150104387 A KR 20150104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magnet
sensing
housing member
coi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258B1 (ko
Inventor
이성민
박상옥
이준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40026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258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5/001825 priority patent/WO2015133759A1/ko
Priority to CN201580024027.7A priority patent/CN106461908B/zh
Priority to JP2016555679A priority patent/JP6615770B2/ja
Priority to CN201910661282.2A priority patent/CN110531480B/zh
Priority to US16/655,943 priority patent/USRE48667E1/en
Priority to US15/123,906 priority patent/US10295781B2/en
Priority to CN201910661265.9A priority patent/CN110568578B/zh
Priority to EP15758167.9A priority patent/EP3115819B1/en
Priority to EP20168004.8A priority patent/EP3706298A1/en
Publication of KR20150104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387A/ko
Priority to US16/289,466 priority patent/US11353679B2/en
Priority to JP2019201698A priority patent/JP6910411B2/ja
Priority to KR1020210000933A priority patent/KR102333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258B1/ko
Priority to JP2021112328A priority patent/JP7331046B2/ja
Priority to US17/661,686 priority patent/US11698509B2/en
Priority to KR1020220141166A priority patent/KR102647355B1/ko
Priority to US18/322,272 priority patent/US20230296858A1/en
Priority to JP2023130061A priority patent/JP2023162242A/ja
Priority to KR1020240033338A priority patent/KR20240037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6Bracketing for image capture at varying focus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며, 외주면에 코일유닛이 배치되는 보빈; 상기 코일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하우징 부재; 상기 보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보빈의 렌즈 광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 및 상기 보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유닛은 보빈 외주면에 설치되는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 부재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마주보는 내측 면에 위치감지센서가 배치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필터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들로 구성되는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계에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렌즈 구동장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보이스 코일유닛 모터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보이스 코일유닛 모터는 하우징에 고정된 마그네트와 렌즈배럴이 결합된 보빈의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유닛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동작하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이스 코일 모터 방식의 액츄에이터 모듈은 상하 이동하는 보빈이 하부 및 상부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면서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최근에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렌즈가 설치된 보빈의 위치 정보를 피드백 받아, 최적의 포커싱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렌즈 구동장치의 개발니즈가 있으나, 전자기력의 불안정화, 자기력에 의한 렌즈배럴의 편심 등 렌즈 구동장치의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보빈의 위치 정보를 피드백 받을 수 있는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며, 외주면에 코일유닛이 배치되는 보빈; 상기 코일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하우징 부재; 상기 보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보빈의 렌즈 광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 및 상기 보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유닛은 보빈 외주면에 설치되는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 부재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마주보는 내측 면에 위치감지센서가 배치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상기 하우징 부재를 감싸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대응되는 면에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상기 센싱 마그네트가 장착되는 마그네트 장착부;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 장착부는 상기 코일유닛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 장착부는 상기 코일유닛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2개 면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마그네트는 대면되지 않도록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홀 센서이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복수 개의 단자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 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렌즈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의 외측면에 센싱 마그네트를 설치하여, 센싱 마그네트의 위치를 홀 센서와 같은 위치감지센서로 감지할 수 있어, 오토 포커싱 동작 중의 보빈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센싱 마그네트를 보빈의 외측면에 설치하므로 조립 공정이 간단하다.
또한, 짝수 개의 마그네트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여 보빈의 광축 방향 움직임을 제어하므로, 코일유닛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센싱 마그네트와 대응되는 부분의 커버부재에 윈도우를 형성하여 센싱 마그네트와 커버부재 사이의 인력에 의한 보빈의 선행 운동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보빈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I-I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을 제거한 렌즈 구동장치의 정면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보빈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I-I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을 제거한 렌즈 구동장치의 정면도 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베이스(20), 보빈(30), 커버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60)가 카메라 모듈의 외곽을 형성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 할 마그네트(41)를 지지하는 하우징 부재(40)가 커버부재(60)의 안쪽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베이스(20)는 상기 커버부재(6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빈(30)은 상기 커버부재(60)의 내부 공간에 광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빈(30)은 외주면에 코일유닛(3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빈(3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32a)가 설치되는 렌즈배럴(3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렌즈배럴(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30)의 내부에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렌즈배럴(32)이 상기 보빈(3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되거나, 렌즈배럴(32) 없이 상기 한 장 이상의 렌즈(32a)가 보빈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렌즈(32a)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보빈(30)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한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51)(52)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는 일단은 보빈(3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부재(60) 또는 하우징 부재(40)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하우징부재(40)에 결합되는 경우 하우징부재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탄성부재(52)는 일단은 보빈(3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20)의 상부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0) 하측에는 하부 탄성부재(52) 결합을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탄성부재(52)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홀(hole) 또는 홈(recess)이 형성되어 이들의 결합으로 하부 탄성부재(52)가 고정될 수 있으며,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단단한 고정을 위해 접착제 등이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탄성부재(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몸으로 구성되고, 하부 탄성부재(52)는 2분할 구조로 2개의 스프링으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즉, 미도시된 터미널을 통해 인가된 전원은 하부 탄성부재(52)의 2개의 스프링에 전달되고, 이 전원은 보빈(30)에 권선된 코일유닛(31)에 인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 탄성부재(52)과 코일유닛(31)은 솔더링 등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2개의 스프링과 코일유닛(31)의 양끝단이 솔더링 등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상부 탄성부재(51)가 이분할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 탄성부재(52)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51)(52)에 의해 상기 보빈(30)은 광축 방향에 대하여 양방향 이동이 지지될 수 있다. 즉, 보빈(30)은 베이스(20)와 일정 거리 이격 되어 있어 보빈(30)의 초기 위치를 중심으로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보빈(30)의 초기위치가 베이스(20)의 상면이 되어, 보빈(30)의 초기위치를 중심으로 상측으로만 이동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유닛(31)은 상기 보빈(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코일블록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코일이 직접 보빈(30)의 외주면에 권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코일유닛(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30)의 하부면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보빈(30)의 형상에 따라 직선면과 곡선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코일블록으로 형성된 코일유닛(31)은 각 형상일수 있으며, 8각 형상 일수 있다. 즉, 곡선면 없이 모두 직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대향 되게 배치되는 마그네트(41)와의 전자기작용을 고려한 것인데, 마그네트(41)의 대응되는 면이 평면이면 대면하는 코일유닛(31)의 면도 평면일 경우에 전자기력을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사양에 따라 마그네트(41)의 면과 코일유닛(31)의 면은 모두 곡면, 모두 평면, 또는 하나는 곡면 다른 하나는 평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빈(30)은 상기 코일유닛(31)이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직선면과 대응되는 면에 평평하게 형성된 제 1 면과 상기 곡선면과 대응되는 면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 2 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 2 면도 평평하게 형성된 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면의 상측에는 후술할 이너요크(61)와 대응되는 요홈(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유닛(31)은 요홈(33)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코일유닛(31)의 일부가 요홈(33) 부근에까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너 요크(61) 대신 별도의 요크가 마련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 부재(4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 부재(4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각각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51)(52)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조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각 면에는 마그네트(4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2와 같이 마그네트(41)가 설치되는 장착공(42a)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장착공(42a) 없이 하우징 부재(40)의 내주면에 마그네트(41)가 직접 접착 고정될 수도 있다. 이처럼 마그네트(41)가 하우징 부재(40)에 직접 고정될 경우, 마그네트(41)는 하우징 부재(40)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직접 본딩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 부재(40)는 장착공(42a) 외에 통공(42b)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는데, 통공(42b)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후술할 센싱 마그네트(100)와 마주보는 하우징 부재(40)의 벽면에 센싱 마그네트(100)의 크기보다 크게 통공(42b)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통공(42b)은 사각형일 수도 있고,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기존에 4개의 장착공(42a)을 가지는 하우징 부재(40)를 그대로 사용하여 2개의 장착공(42a)에는 마그네트(41)를 설치하고, 나머지 2개를 통공(42b)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와 다르게 별도의 하우징부재(40)없이 커버부재(60)만이 있을 수 있다. 커버부재(60)는 철과 같은 강자성체인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60)는 보빈(30)을 모두 감쌀 수 있도록 상측에서 보았을 때 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60)는 도 1과 같이 사각형상일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8각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측에서 보았을 때 커버부재(60)가 8각형상일 경우, 하우징 부재(40)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마그네트(41)의 형상이 상측에서 보았을 때 사다리꼴 형상이라면 하우징 부재의 모서리에서 방출되는 자기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60)는 상기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이너 요크(6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너 요크(61)는 일측 면은 상기 코일유닛(31)과 일정 거리 이격 되고, 타측 면은 상기 보빈(30)과 일정 거리 이격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요크(61)는 하우징 부재(40)의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요크(61)는 상기 하우징 부재(40)의 상부면에서 안쪽으로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요크(61)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절곡 된 부분과 근접한 위치에 도피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도피 홈은 한쌍으로 또는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피홈이 형성된 절곡부는 병목구간을 형성하는데, 이 도피 홈 형성 구간으로 인해, 보빈(30)의 상하 이동시 이너 요크(61)와 보빈(30)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보빈(30)의 상방향 이동시 이너요크의 모서리 부분의 간섭에 의한 보빈(30) 일부 파손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요크(61)의 끝단은 기준 위치에서 상기 요홈(33)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상기 보빈(30)의 왕복 이동 시 가장 높은 위치에서 상기 이너 요크(61)의 끝단과 상기 요홈(33)의 바닥면과 접촉 및 간섭 되지 않도록 하지 위함이다. 또한, 상기 이너요크(61)의 끝단은 상기 보빈(30)이 설계사양(design specification) 이외의 구간까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하우징 부재(40)가 없는 경우, 마그네트(41)는 커버부재(60)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직접 본딩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마그네트(41)의 자화방향은 보빈(30)을 바라보는 쪽과 커버부재(60)를 바라보는 면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자화 방향이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보빈(3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감지유닛은 센싱 마그네트(100), 위치감지센서(210) 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감지센서(210)는 회로기판(200)에 설치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100)는 상기 마그네트(41)에 비해 작고 얇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직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원형 등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다.
센싱 마그네트(100)는 보빈(30)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빈(30)에 마련된 마그네트 장착부(110)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 장착부(110)는 보빈(3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리브 형상의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센싱 마그네트(100)가 배치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리브 형상의 가이드는 도 3과 같이, 하측에 개구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센싱 마그네트(100)의 적어도 3개 면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 장착부(110)의 가이드의 돌출 높이는 상기 센싱 마그네트(100)의 두께와 대응되거나 낮거나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 등으로 센싱 마그네트(100)를 마그네트 장착부(110)에 고정하면, 상기 가이드 바깥으로 센싱 마그네트(100)가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 마그네트(100)는 코일유닛(31)과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보빈(30)의 하측에 코일유닛(31)이 설치되면, 상기 센싱 마그네트(100)는 코일유닛(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코일유닛(31)이 보빈(30)의 광축방향 승강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센싱 마그네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트(41)와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마그네트(41)는 2개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평행하면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하우징 부재(40)가 사각형으로 마련될 경우, 상기 마그네트(41)가 설치되는 2개의 면과 마주보는 위치에는 센싱 마그네트(100)가 설치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센싱 마그네트(100)를 마그네트(41)와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하는 이유는 센싱 마그네트(100)의 자기력의 변화가 마그네트(41)의 자기력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위치감지센서(210)가 정확하게 보빈(30)의 움직임을 피드백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회로기판(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30)과 하우징 부재(40) 및/또는 커버부재(60)의 각 측벽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쉴드 캔 역할을 수행하는 커버부재(60)가 마련될 수 있는데, 회로기판(200)은 커버부재(60)의 측벽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200)은 커버부재(6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접촉 고정될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60)의 윈도우(300)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200)은 후술할 이미지 센서(11)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 끝단에 단자(20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200)을 통하여 코일유닛(31)에 전류가 인가되기 위하여 코일유닛(31)이 회로기판(200)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코일유닛(31)이 2개로 분할된 하측 스프링에 연결된 후 2개 하측 스프링이 회로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솔더링, 전도성에폭시, Ag에폭시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200)의 안쪽면에 홀 센서와 같은 위치감지센서(210)가 배치되므로, 위치감지센서(21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센서(210)와 대응되는 커버부재(60)의 측벽에는 윈도우(300)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 부재(40)에도 통공(42b)이 형성되어, 상기 위치감지센서(210)는 윈도우(300)를 통과하여, 상기 센싱 마그네트(100)와 일정 거리 이격 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부재(40)에 형성된 통공(42b)은 마그네트(41)가 설치되기 위한 장착부(42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100)보다 큰 폭과 높이를 가지는 통공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회로기판(200)에는 복수 개의 단자(201)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단자(201)는 상기 위치감지센서(210)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면서 코일유닛(31)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빈(30)의 광축 방향 움직임을 센싱 마그네트(100)를 이용하여 피드백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오토 포커싱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보빈(30)에 코일유닛(31)이 권선된 상태로 동작하며, 보빈(30)의 외벽에 얇고 가벼운 센싱 마그네트(100)를 부착하고, 센싱 마그네트(100)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감지센서(210)를 카메라 모듈의 일측 벽면에 밀착 배치하여 구성하므로, 응답 특성의 저하 우려 없이 보다 정밀하고 신속하게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위치감지센서(210)의 중심과 센싱 마그네트(100)의 중심은 일치될 수 있으며, 센싱 마그네트(100)의 세로길이(두 개로 자화 된 부분)는 위치감지센서(210)의 감지부분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싱 마그네트(100)는 위치감지센서(210)와 대향하는 면이 두 개의 부분으로 자화되어, 위치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통공(42b) 및/또는 윈도우(300)의 세로길이는 보빈(30)의 상하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센싱 마그네트(100)의 공간 및/또는 위치감지센서(2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210)는 자이로센서, 각속도센서, 가속도센서, 포토리플렉터 등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모두 가능하다.
카메라 모듈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렌즈 구동장치, 보빈(30)에 결합되는 렌즈배럴(32), 이미지 센서(11), 인쇄회로기판(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쇄회로기판(10)은 이미지 센서(11)가 실장 되며,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20)는 상기 이미지 센서(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부재(4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부재(4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의 통전을 위해 별도의 터미널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고, 표면 전극 등을 이용하여 터미널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이미지 센서(11)를 보호하는 센서홀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베이스(20)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센서홀더가 베이스(2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인쇄회로기판 11; 이미지 센서
20; 베이스 30; 보빈
31; 코일유닛 32; 렌즈배럴
40; 하우징 부재 51, 52;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
60; 커버부재 100; 센싱 마그네트
110; 마그네트 장착부 200; 회로기판
210; 위치감지센서 300; 윈도우

Claims (10)

  1.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며, 외주면에 코일유닛이 배치되는 보빈;
    상기 코일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하우징 부재;
    상기 보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보빈의 렌즈 광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 및
    상기 보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유닛은,
    보빈 외주면에 설치되는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 부재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마주보는 내측 면에 위치감지센서가 배치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를 감싸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대응되는 면에 윈도우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렌즈 구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센싱 마그네트가 장착되는 마그네트 장착부;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렌즈 구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장착부는,
    상기 코일유닛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장착부는,
    상기 코일유닛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2개 면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렌즈 구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마그네트는 대면되지 않도록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홀 센서이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복수 개의 단자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렌즈 구동장치.
  10.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 된 인쇄회로기판; 및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40026062A 2014-03-05 2014-03-05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201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062A KR102201258B1 (ko) 2014-03-05 2014-03-05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CN201580024027.7A CN106461908B (zh) 2014-03-05 2015-02-25 透镜驱动装置和包含该透镜驱动装置的摄像头模块
JP2016555679A JP6615770B2 (ja) 2014-03-05 2015-02-25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CN201910661282.2A CN110531480B (zh) 2014-03-05 2015-02-25 透镜移动单元和包含该透镜移动单元的摄像头模块
US16/655,943 USRE48667E1 (en) 2014-03-05 2015-02-25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US15/123,906 US10295781B2 (en) 2014-03-05 2015-02-25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CN201910661265.9A CN110568578B (zh) 2014-03-05 2015-02-25 透镜移动单元、透镜驱动装置、摄像头模块和智能电话
EP15758167.9A EP3115819B1 (en) 2014-03-05 2015-02-25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PCT/KR2015/001825 WO2015133759A1 (ko) 2014-03-05 2015-02-25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EP20168004.8A EP3706298A1 (en) 2014-03-05 2015-02-25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US16/289,466 US11353679B2 (en) 2014-03-05 2019-02-28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JP2019201698A JP6910411B2 (ja) 2014-03-05 2019-11-06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0210000933A KR102333224B1 (ko) 2014-03-05 2021-01-05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JP2021112328A JP7331046B2 (ja) 2014-03-05 2021-07-06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US17/661,686 US11698509B2 (en) 2014-03-05 2022-05-02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KR1020220141166A KR102647355B1 (ko) 2014-03-05 2022-10-28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US18/322,272 US20230296858A1 (en) 2014-03-05 2023-05-23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JP2023130061A JP2023162242A (ja) 2014-03-05 2023-08-09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0240033338A KR20240037916A (ko) 2014-03-05 2024-03-08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062A KR102201258B1 (ko) 2014-03-05 2014-03-05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933A Division KR102333224B1 (ko) 2014-03-05 2021-01-05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387A true KR20150104387A (ko) 2015-09-15
KR102201258B1 KR102201258B1 (ko) 2021-01-11

Family

ID=5424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062A KR102201258B1 (ko) 2014-03-05 2014-03-05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2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581A (ko) * 2015-01-12 2016-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17207555A (ja) * 2016-05-16 2017-11-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N111948873A (zh) * 2019-05-14 2020-11-17 新思考电机有限公司 驱动装置、相机模组、电子设备及驱动装置组装方法
KR20220083999A (ko) * 2017-11-30 2022-06-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EP3865938A4 (en) * 2018-10-08 2022-07-13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7051A (ja) * 2010-07-20 2012-02-09 Panasonic Corp 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20078915A (ko) * 2011-01-03 2012-07-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및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 방법
KR20120090379A (ko) * 2011-02-07 2012-08-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30060535A (ko) * 2011-11-30 2013-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13190705A (ja) * 2012-03-15 2013-09-26 Ps-Tokki Inc 絞り羽根駆動装置
KR101343197B1 (ko) * 2012-09-07 2013-12-1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7051A (ja) * 2010-07-20 2012-02-09 Panasonic Corp 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20078915A (ko) * 2011-01-03 2012-07-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및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 방법
KR20120090379A (ko) * 2011-02-07 2012-08-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30060535A (ko) * 2011-11-30 2013-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13190705A (ja) * 2012-03-15 2013-09-26 Ps-Tokki Inc 絞り羽根駆動装置
KR101343197B1 (ko) * 2012-09-07 2013-12-1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581A (ko) * 2015-01-12 2016-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17207555A (ja) * 2016-05-16 2017-11-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KR20220083999A (ko) * 2017-11-30 2022-06-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EP3865938A4 (en) * 2018-10-08 2022-07-13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CN111948873A (zh) * 2019-05-14 2020-11-17 新思考电机有限公司 驱动装置、相机模组、电子设备及驱动装置组装方法
KR20210022689A (ko) * 2019-05-14 2021-03-03 뉴 시코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전자기기 및 구동장치의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258B1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2646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232029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CN105807538B (zh) 透镜驱动装置、摄影机模块及光学设备
CN110568578B (zh) 透镜移动单元、透镜驱动装置、摄像头模块和智能电话
KR20230031873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201258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240037916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559023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70089506A (ko) 카메라 모듈
KR102376814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178923B1 (ko) 카메라 모듈
KR20220115909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80008848A (ko) 카메라 모듈
KR102417672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462343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510574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384603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554388B1 (ko) 카메라 모듈
KR20160092668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