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323A -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323A
KR20150104323A KR1020140025906A KR20140025906A KR20150104323A KR 20150104323 A KR20150104323 A KR 20150104323A KR 1020140025906 A KR1020140025906 A KR 1020140025906A KR 20140025906 A KR20140025906 A KR 20140025906A KR 20150104323 A KR20150104323 A KR 20150104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aunch
vehicle
image information
f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8983B1 (ko
Inventor
이재은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5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983B1/ko
Publication of KR20150104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 F42B15/01Arrangements thereon for guidance 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공개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목표물에 대한 제1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1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유도 비행체의 발사와 관련한 교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교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도 비행체의 발사를 위한 발사정보를 생성하는 발사통제 장비; 및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상기 발사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발사정보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를 발사하는 발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발사 장치는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상기 제1영상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제1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교전정보를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교전정보를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및 방법{Guided air vehicle launch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가 가능한 발사통제 장비 및 발사 장치를 이용하여 유도 비행체를 발사하기 위한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대공, 대지, 대함, 대잠 등) 세부 구성이 약간씩 달라지나 크게 교전 계획 수립 및 교전 통제, 위협 평가, 표적 선정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발사통제 장비, 유도 비행체에 전원 공급 및 신호 전달을 통해 유도 비행체를 발사하기 위한 발사 장치 및 발사통제 장비에서 식별한 실제적인 목표물에 대한 타격을 담당하는 유도 비행체로 구성할 수 있다.
종래의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은 특정한 시설물 파괴가 주요 목적이며, 전투에 핵심이 되는 요인 제거 및 기습, 인명살상에는 실제적으로 그다지 큰 두각을 들어 내지 못하였고 아직 까지도 이러한 점은 저 차원적인 개인 화기 및 중대 대대급 화력 무기에 의존하고 있다.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에서 유도 비행체는 지령에 의해 목표물로 유도 가능한 로켓 추진식 발사체를 말한다. 이러한 유도 비행체는 관성 유도 방식 또는 추적 유도 방식에 따라 목표물까지의 방향과 거리가 계산되면 계산된 방향과 거리에 따라 비행 특성 조절을 통해 목표물로 유도된다.
이러한 유도 비행체는 발사통제 장비에서 목표물로 유도하여 발사된다. 발사통제 장비는 무인 항공기로부터 수집된 목표물 정보를 전송 받아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를 말하며,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의 두뇌 역할을 하는 장비로 크게 교전 계획 수립, 교전 통제, 위협 평가, 표적 선정 및 상황 전시 등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종래의 발사통제 장비는 다수의 컴퓨터와 통신 장비로 구성되어 부피가 크고 무거워서 운반이 용이하지 않으며, 컴퓨터와 통신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외부전원 장치가 필요하므로 휴대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도 비행체는 여러 종류의 발사 장치에 장착되어 발사된다. 기존의 발사 장치는 휴대성이 없는 사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지상 고정형 발사 장치, 휴대성이 있더라도 부피가 다소 크고 소음 및 기동성 때문에 적진 근처에서 운용이 불가한 차량 고정형 발사 장치, 차량에 견인하며 운용하는 견인타입 발사 장치, 장갑차에 탑재형 발사 장치 또는 대전차용 발사 장치가 있다. 이러한 발사 장치들은 발사통제 장비를 갖춘 일체형으로 크기가 방대하여 고정된 사이트에서 발사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고정식 발사 장치는 평상 시 상대에게 위치가 노출되어 감시의 대상이 될 수 있고, 유도 비행체 발사 직전에도 움직임이 포착되어 상대가 즉시 대응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국내 공개특허 제10-2013-0057223호는 병사용 미사일 발사장치 및 발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병사가 팔에 장착하는 미사일 발사장치가 기계식으로 1단 발사를 한 후 일정거리 이격된 후에 병사용 미사일에 장착된 화염추진력 발생장치인 추진부에 의해 2단 발사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미사일을 발사하는 병사에게 손상을 가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미사일 발사장치는 운용자가 직접 발사하므로, 미사일 발사시 운용자의 위치 노출에 대한 위험이 동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가능한 발사통제 장비와 발사 장치를 이용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목표물에 대한 제1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1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유도 비행체의 발사와 관련한 교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교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도 비행체의 발사를 위한 발사정보를 생성하는 발사통제 장비; 및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상기 발사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발사정보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를 발사하는 발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발사 장치는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상기 제1영상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제1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교전정보를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교전정보를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전정보는 상기 목표물의 위치에 상응하는 좌표 및 상기 좌표에 위치하는 상기 목표물에 상기 유도 비행체가 도착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예상한 예상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사통제 장비는 무인항공기로부터 목표물에 대한 제1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발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교전정보를 상기 발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영상정보와 상기 교전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제1영상정보와 상기 교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발사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운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명령에 따라 상기 교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발사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사 장치는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상기 제1영상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교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 전송하고, 상기 교전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발사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발사정보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의 열전지를 점화하여 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사 장치는 상기 발사 정보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가 최적 궤적으로 상기 목표물을 향해 비행될 수 있도록 고각을 조절하고, 고각 조절이 끝나면 상기 유도 비행체의 열전지를 점화하여 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사 장치는 상기 유도 비행체가 상기 목표물을 향해 비행 중에 획득한 상기 목표물에 대한 제2영상정보와 상기 유도 비행체의 속도, 고도 및 방향을 포함하는 비행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사통제 장비는 상기 발사 장치로부터 상기 제2영상정보와 상기 비행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2영상정보와 상기 비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의 비행 경로를 변경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 발사 방법은 발사통제 장비가 외부로부터 목표물에 대한 제1영상정보를 수신하면, 발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사 장치가 수신된 상기 제1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유도 비행체의 발사와 관련한 교전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발사통제 장비가 상기 교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도 비행체의 발사를 위한 발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발사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교전정보를 상기 발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상기 교전정보를 기반으로 운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의 발사와 관련한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받은 명령에 따라 상기 발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발사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사 장치가 상기 발사정보에 따라 고각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각 조절이 끝나면 상기 유도 비행체의 열전지를 점화하여 발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사 장치가 상기 유도 비행체로부터 비행 중에 획득한 상기 목표물에 대한 제2영상정보와 상기 유도 비행체의 속도, 고도 및 방향을 포함하는 비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발사통제 장비가 상기 발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영상정보와 상기 비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의 비행경로를 변경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전정보를 산출하는 기능을 발사통제 장비가 아닌 발사 장치에 구현하고, 발사 장치에 들어가는 케이블을 제거하여 무게와 부피가 줄어든 발사통제 장비와 발사 장치에 스트랩부 및 착용부를 장착하여 휴대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성이 높아진 발사통제 장비를 이용하는 운용자가 발사 장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원격으로 발사 장치를 제어하여 유도 비행체의 발사를 수행하므로 유도 비행체 발사시 운용자의 위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사통제 장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 발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10)은 발사통제 장비(100), 발사 장치(200)로 구성된다.
발사통제 장비(100)는 발사 장치(200)를 제어하여 유도 비행체(300)를 발사시키는 장치이다. 발사통제 장비(100)는 외부로부터 목표물에 대한 제1영상정보를 수신한다. 제1영상정보는 목표물의 위치, 규모 및 움직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외부란 무인항공기, 지상통제소 및 목표물의 근처 아군 등을 지칭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무인항공기는 광학(Electro Optical;EO) 카메라, 적외선(Infrared Ray; IR) 카메라 및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 등의 영상 획득 수단을 구비하여 목표물의 위치, 규모 및 움직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제1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무인항공기는 무선 송수신 장치를 구비하여 획득한 제1영상정보를 발사통제 장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무인항공기는 정찰활동으로 획득한 제1영상정보를 미리 구축된 데이터 링크를 통해 발사통제 장비(100)로 전송한다. 제1영상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데이터 링크의 지연 시간에 따라 달라지 수 있으나 수 초 이내에 가능하다. 여기서 전송되는 제1영상정보는 무인항공기뿐만 아니라 지상통제소 또는 목표물 근처의 아군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발사통제 장비(100)는 수신한 제1영상정보를 발사 장치(200)에 전송한다. 발사통제 장비(10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발사 장치로부터 교전정보를 수신한다.
발사통제 장비(100)는 제공받은 교전정보를 운용자가 볼 수 있도록 영상으로 출력하고 이를 본 운용자로부터 유도 비행체(300)의 발사와 관련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이때 명령을 입력 받는 동작은 운용자가 발사버튼을 누르는 동작일 수 있다.
발사통제 장비(100)는 입력받은 교전정보를 기반으로 유도 비행체(300)의 발사를 위한 발사정보를 생성한다. 발사정보는 발사 장치(200)가 유도 비행체(3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유도 비행체(300)의 열전지를 착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발사통제 장비(100)는 생성한 발사정보를 발사 장치(200)에 전송하여 유도 비행체(300)를 발사시킬 수 있다.
또한, 발사통제 장비(100)는 목표물을 향해 비행중인 유도 비행체(300)로부터 제2영상정보와 비행정보를 발사 장치(200)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제2영상정보는 유도 비행체(300)의 위치 이동에 따른 수시로 변화하는 목표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비행정보는 유도 비행체(300)의 속도, 고도 및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발사통제 장비(100)는 전달 받은 제2영상정보 및 비행정보를 기반으로 유도 비행체(300)를 제어하는 명령을 운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여기서 입력받는 명령은 유도 비행체(300)의 비행경로를 변경하는 명령 또는 유도 비행체(300)를 수동으로 폭발시키는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 비행체(300)의 비행경로를 변경하는 명령은 운용자가 제2영상정보 및 비행정보를 기반으로 유도 비행체(300)가 목표물을 향해 날아가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시 유도 비행체(300)로 전송되어 유도 비행체(300)의 비행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유도 비행체(300)를 수동 폭발시키는 명령은 운용자가 자동 폭발 시점 보다 현재 시점에서 폭발할 때 더욱 큰 타격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을 시 유도 비행체(300)로 전송되어 유도 비행체(300)를 폭파시킬 수 있다.
발사 장치(200)는 발사통제 장비(100)와 연동하여 내부에 장착한 유도 비행체(300)를 발사하는 장치이다. 발사 장치(200)는 발사통제 장비(100)로부터 제1영상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발사 장치(200)는 종래의 발사통제 장비(100)의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수신한 제1영상정보를 기반으로 목표물에 대한 유도 비행체(300) 발사와 관련한 교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교전정보에는 유도 비행체(300)를 목표물에 발사하는데 필요한 교전계획, 목표물 선정, 목표물의 위협에 대한 평가 등이 있다.
교전계획은 유도 비행체(300)의 발사여부 및 유도 비행체(300)가 목표물에 도착하는 예상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 비행체(300)의 발사여부는 무인항공기(100)로부터 수신한 제1영상정보를 통하여 유도 비행체(300)가 목표물을 향하는 도중에 장애물의 유무, 유도 비행체(300)의 비행 거리 이내에 목표물이 위치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 및 목표물의 움직임이 빠르게 변화하여 좌표 설정의 어려움의 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사 장치(200)는 유도 비행체(300)가 목표물에 도달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유도 비행체(300)가 목표물에 도착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인 예상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발사 장치(200)는 목표물의 좌표정보, 발사준비 시간 및 유도 비행체(300)의 비행시간 등을 기반으로 예상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물의 좌표정보는 목표물이 위치하고 있는 지점의 좌표를 말한다. 발사준비 시간은 발사 결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발사 결정 직후부터 유도 비행체(300)의 이륙까지의 준비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행시간은 유도 비행체(300)가 최적 궤적으로 목표물을 향해 비행시 소요되는 시간을 말한다.
목표물의 위협에 대한 평가는 둘 이상의 목표물 중 어느 하나의 목표물이 다른 모든 목표물보다 아군에게 위협이 될만한 요소가 있을 때, 그 목표물에 대한 타격 순위를 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목표물 선정은 이러한 아군에 위협이 될만한 다수의 목표물 중 타격 순위가 가장 높은 목표물을 선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발사 장치(200)는 발사통제 장비(100)로부터 발사정보를 수신하여 발사 장치에 장착된 유도 비행체(300)를 발사한다. 이때, 발사 장치(200)는 유도 비행체(300)의 열전지를 착화시키는 전원을 공급하여 발사한다.
여기서, 발사통제 장비(100)와 발사 장치(200) 간에는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이 사용되는데 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 이더넷 및 광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사통제 장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의하면 발사통제 장비(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제어장치(120), 입력버튼(130) 및 스트랩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발사통제 장비(200)의 전면에 위치하여 앞서 상술한 제1영상정보 및 교전정보를 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장치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유도 비행체(300)로부터 수신한 목표물에 대한 제2영상정보 및 유도 비행체(300)의 상태를 나타내는 비행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각종 정보들은 유도 비행체(300) 발사를 제어하는 운용자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0)는 평면형태의 디스플레이지만 향후 개발에 따라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제어장치(120)는 발사통제 장비(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제어장치(210)는 발사통제 장비(100)의 측면으로 출입이 가능한 형태이다. 이러한 제어장치(120)는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제어장치(120)는 특정한 상황에서 쉽게 탈착되어 발사통제 장비의 기능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20)는 운용자의 입력을 받아 유도 비행체(300)를 발사시키는 발사정보를 생성한다. 제어장치(120)는 발사정보를 발사 장치(200)에 전송하여 유도 비행체(300)를 발사시킨다.
또한, 제어장치(120)는 유도 비행체(300)의 비행경로를 변경 또는 유도 비행체(300)를 비상 폭파시키는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장치(120)는 이러한 정보들을 유도 비행체(300)에 전송하여 유도 비행체(300)를 제어한다.
입력버튼(130)은 다수 개로 구성되며, 운용자로부터 유도 비행체(300) 발사와 관련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이다. 입력버튼(130)은 기본적으로 발사통제 장비(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버튼(131), 유도 비행체(300)를 발사시키는 발사버튼(132), 유도 비행체(300) 발사를 중지시키는 발사중지버튼(133) 및 유도 비행체(300)를 비상 폭파시키는 비상폭파버튼(13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버튼(130)은 발사통제 장비(100)의 내장된 기능의 수에 따라 추가 될 수 있다.
스트랩부(140)는 발사통제 장비(100)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한 장치이다. 스트랩부(140)는 운용자의 손목 또는 팔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스트랩부(140)는 운용자의 손목이나 팔을 감싸는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을 발사통제 장비(100)에 연결시키는 권취부로 구성될 수 있다. 스트랩은 가죽이나 천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권취부는 발사통제 장비(100)의 양측에 위치하여 스트랩에 연결되어 스트랩을 발사통제 장비(100)에 결합시킨다.
또한, 스트랩부(140)는 운용자의 맥박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는 운용자의 생존여부를 상급부대에 알리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안테나(150)는 전술 지휘 자동화 체계에서 상급 부대, 무인항공기 및 발사 장치(200)와 연동하여 각종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것이다. 또한 안테나(150)는 발사, 발사중지, 비상폭파 등의 핵심 명령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요소이다. 안테나(150)는 여러 방향으로 신호가 나가게 되어 신호의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는 무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고하면, 발사 장치(200)는 가방형태로 형성되며 제어장치(210), 발사관(220), 고각조절장치(230), 착용부(240) 및 안테나(250)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장치(210)는 발사관(220)옆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제어장치(210)는 착탈이 용이한 형태로서 특정한 상황에서 탈착되어 발사 장치(200)의 기능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제어장치(210)는 케이블이 필요없어 경량화에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210)는 종래의 발사통제 장비(100)가 수행하던 교전정보를 산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제어장치(210)는 발사통제 장비(100)로부터 수신한 제1영상정보를 기반으로 교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발사 장치(200)는 제어장치(210)를 통해 발사통제 장비(100)와 떨어진 위치에서 유도 비행체(300)를 발사할 수 있다.
발사관(220)은 유도 비행체(300)가 발사 전 대기 하는 장소로서 기본적으로 3개로 구성되나 필요에 따라 더 늘어날 수 있다. 발사관(220)은 유도 비행체(300)가 내부에 장착될 시 발사를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발사관(220)은 내부에 유도 비행체(3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해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도 비행체(300)는 발사관(22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컴팩트한 형태이며, 발사관(220)의 개수에 맞게 여러 개가 마련될 수 있다.
고각조절장치(230)는 유도 비행체(300)가 목표물에 최적 궤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발사 장치(200)의 고각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상부프레임(231), 고각조절기(232) 및 하부프레임(2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231)은 발사 장치(200)의 몸체를 지지하고 고각조절기(232)는 상부프레임(231)과 하부프레임(233)을 연결시킴과 동시에 고각을 조절하며 하부프레임(233)은 지면에 배치되어 발사 장치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하부프레임(233)은 지면에 고정되기 위한 형태이다.
착용부(240)는 어깨 끈과 등 받침대로 구성되어 운용자가 발사 장치(300)를 허리나 어깨에 메고 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어깨 끈과 등 받침대는 가죽으로 이루어져 운용자가 발사 장치(200)를 장시간 휴대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250)는 발사통제 장비(100)와 연동하여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안테나(250)는 기본적으로 무지향성 안테나이며, 사용 주파수에 따라 다른 안테나가 적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유도 비행체(300)는 폭발력을 갖추어 인명살상에 쓰이는 유도 무기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도 비행체(300)는 발사통제 장비(100)에서 생성한 발사정보에 따라 발사 장치(200)로부터 발사되어 목표물을 향해 비행하게 된다.
유도 비행체(300)는 목표물 근처에 도착하면 공중에서 폭발하여 목표물을 타격한다. 이때 유도 비행체(300)는 알루미늄 또는 강화플라스틱 소재의 자탄을 이용하여 폭발시 목표물에 피해를 입힌다.
유도 비행체(300)는 비행 중에 정찰 수단을 통해 전방에 대한 제2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 비행체(300)는 획득한 제2영상정보와 내부에 구비되어있는 GPS와 자이로스코프로부터 획득한 속도, 고도 및 방향을 포함하는 비행정보를 발사 장치를 통해 발사통제 장비로 전송한다.
유도 비행체(300)는 전송한 제2영상정보와 비행정보를 기반으로 유도 비행체(300)의 궤도나 상태에 이상이 감지 될 시 운용자의 명령에 의해 비행경로가 수정되거나 비상 폭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300) 발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사통제 장비(100)는 외부로부터 예컨대, 무인항공기로부터 목표물의 위치, 규모 및 움직임 등을 포함하는 제1영상정보를 획득하고(S401), 획득한 제1영상정보를 발사 장치(200)로 전송한다.(S403)
발사 장치(200)는 수신한 제1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유도 비행체(300) 발사와 관련한 목표물의 좌표 및 유도 비행체가 목표물에 도착하기까지의 예상시간을 포함하는 교전정보를 산출한다.(S405) 발사 장치(200)는 산출한 교전정보를 발사통제 장비로 전송한다.(S407)
발사통제 장비(100)는 기수신한 제1영상정보와 교전정보를 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한다.(S409) 발사통제 장비(100)는 발사 장치(20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표시된 제1영상정보와 교전정보를 기반으로 운용자로부터 유도 비행체(300)의 발사 명령을 입력받는다.(S411) 발사통제 장비(100)는 입력받은 명령에 따라 발사정보를 생성한다.(S413) 발사통제 장비(100)는 생성된 발사정보를 발사 장치(200)로 전송한다.(S415)
발사 장치(200)는 수신한 발사정보에 따라 목표물 방향으로 유도 비행체(300)가 최적 궤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고각을 조절한다.(S417)
발사 장치(200)는 고각 조절이 끝나면 유도 비행체(3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유도 비행체(300)의 열전지를 착화시켜 목표물을 향해 발사한다.(S419)
도 5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도 비행체(300)는 발사정보에 따라 발사되면 비행중에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목표물에 대한 제2영상정보 및 유도 비행체(300)의 속도, 고도, 방향을 포함하는 비행정보를 획득한다.(S501) 유도 비행체(300)는 획득한 제2영상정보 및 비행정보를 발사 장치(200)로 전송한다.(S503)
발사 장치(200)는 유도 비행체(300)로부터 수신한 제2영상정보와 비행정보를 발사통제 장비(100)로 전송한다.(S505)
발사통제 장비(100)는 수신한 제2영상정보와 비행정보를 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한다. 여기서 발사통제 장비(100)는 표시된 제2영상정보와 비행정보를 기반으로 유도 비행체(300)의 비행경로를 변경하는 명령 또는 유도 비행체(300)를 비상 폭파시키는 명령을 운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S507)
발사통제 장비(100)는 입력받은 유도 비행체(300)를 제어하는 명령들을 유도 비행체(300)에 전송하여 유도 비행체(300)를 제어한다.(S509)
예컨대, 유도 비행체(300)는 비행경로를 변경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명령에 따라 기존의 비행 경로를 벗어나 새로운 비행 경로를 통해 목표물을 향해 비행하게 된다.(S511) 또한, 유도 비행체(300)는 비상 폭파시키는 명령을 수신하면 현재 위치에서 비상 폭파하여 내부에 구비된 자탄을 이용하여 목표물을 타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100: 발사통제 장비
110: 디스플레이부
120: 제어장치
130: 입력버튼
131: 전원버튼
132: 발사버튼
133: 발사중지버튼
134: 비상폭파버튼
140: 스트랩부
150: 안테나
200: 발사 장치
210: 제어장치
220: 발사관
230: 고각조절장치
240: 착용부
250: 안테나
300: 유도 비행체

Claims (11)

  1. 외부로부터 목표물에 대한 제1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1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유도 비행체의 발사와 관련한 교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교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도 비행체의 발사를 위한 발사정보를 생성하는 발사통제 장비; 및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상기 발사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발사정보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를 발사하는 발사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발사 장치는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상기 제1영상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제1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교전정보를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교전정보를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전정보는
    상기 목표물의 위치에 상응하는 좌표 및 상기 좌표에 위치하는 상기 목표물에 상기 유도 비행체가 도착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예상한 예상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통제 장비는
    무인항공기로부터 목표물에 대한 제1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발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교전정보를 상기 발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영상정보와 상기 교전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제1영상정보와 상기 교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발사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운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명령에 따라 상기 교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발사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 장치는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상기 제1영상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교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 전송하고,
    상기 교전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발사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발사정보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의 열전지를 점화하여 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 장치는
    상기 발사 정보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가 최적 궤적으로 상기 목표물을 향해 비행될 수 있도록 고각을 조절하고, 고각 조절이 끝나면 상기 유도 비행체의 열전지를 점화하여 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 장치는
    상기 발사정보에 따라 발사된 상기 유도 비행체로부터 획득된 상기 목표물에 대한 제2영상정보와 상기 유도 비행체의 속도, 고도 및 방향을 포함하는 비행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통제 장비는
    상기 발사 장치로부터 상기 제2영상정보와 상기 비행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2영상정보와 상기 비행정보를 기반으로 운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의 비행 경로를 변경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8. 발사통제 장비가 외부로부터 목표물에 대한 제1영상정보를 수신하면, 발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사 장치가 수신된 상기 제1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유도 비행체의 발사와 관련한 교전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발사통제 장비가 상기 교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도 비행체의 발사를 위한 발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발사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교전정보를 상기 발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상기 교전정보를 기반으로 운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의 발사와 관련한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받은 명령에 따라 상기 발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발사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 장치가 상기 발사정보에 따라 고각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각 조절이 끝나면 상기 유도 비행체의 열전지를 점화하여 발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 장치가 상기 유도 비행체로부터 비행 중에 획득한 상기 목표물에 대한 제2영상정보와 상기 유도 비행체의 속도, 고도 및 방향을 포함하는 비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발사통제 장비가 상기 발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영상정보와 상기 비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의 비행경로를 변경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방법.
KR1020140025906A 2014-03-05 2014-03-05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및 방법 KR101558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906A KR101558983B1 (ko) 2014-03-05 2014-03-05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906A KR101558983B1 (ko) 2014-03-05 2014-03-05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323A true KR20150104323A (ko) 2015-09-15
KR101558983B1 KR101558983B1 (ko) 2015-10-19

Family

ID=5424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906A KR101558983B1 (ko) 2014-03-05 2014-03-05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9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5910A1 (ko) * 2015-12-29 2017-07-06 국방과학연구소 시간 지연이 존재하는 맨 인 더 루프 시스템에서 가중치 융합을 이용한 표적 추적 방법 및 장치
KR102066228B1 (ko) * 2019-04-22 2020-01-14 국방과학연구소 비정상 시나리오 기반의 비행시험 중 비상폭파 추천 방법
KR102125543B1 (ko) * 2020-02-18 2020-06-2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플러그 앤 플레이 유도무기 무장통제 운용 장치 및 방법
KR102480564B1 (ko) * 2022-07-28 2022-12-22 한화시스템(주) 강화 학습을 이용한 전투차량 능동방호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697B1 (ko) * 2011-01-31 2013-03-19 국방과학연구소 이동식 발사체계를 위한 발사통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5910A1 (ko) * 2015-12-29 2017-07-06 국방과학연구소 시간 지연이 존재하는 맨 인 더 루프 시스템에서 가중치 융합을 이용한 표적 추적 방법 및 장치
KR102066228B1 (ko) * 2019-04-22 2020-01-14 국방과학연구소 비정상 시나리오 기반의 비행시험 중 비상폭파 추천 방법
KR102125543B1 (ko) * 2020-02-18 2020-06-2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플러그 앤 플레이 유도무기 무장통제 운용 장치 및 방법
KR102480564B1 (ko) * 2022-07-28 2022-12-22 한화시스템(주) 강화 학습을 이용한 전투차량 능동방호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983B1 (ko) 201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85033B2 (ja) 目標航空機の無力化のための密接に近接する対策手段
US11940251B2 (en) Remotely controllable aeronautical ordnance
US11645922B2 (en) Active shooter response drone
US20180257780A1 (en) Kinetic unmanned aerial vehicle flight disruption and disabling devic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11994369B2 (en) Vehicle with a conducted electrical weapon
KR101558983B1 (ko)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및 방법
KR101483064B1 (ko)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통제 장비 및 운용 방법
KR20130009894A (ko) 공간정보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정밀타격 무인항공기시스템
KR20170020705A (ko) 총기 및/또는 로켓에 의한 타격 표시용 장치 및 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US11486677B2 (en) Grenade launcher aiming control system
KR101726252B1 (ko) 무인 비행체 연동 시스템
KR20150088642A (ko) 포발사 시스템
RU2578524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комплексными методами борьбы с малогабаритными беспилотными летательными аппаратами
US20230140441A1 (en) Target acquisition system for an indirect-fire weapon
US20230088169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iming and guiding interceptor UAV
KR101502090B1 (ko)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
KR20150145472A (ko) 무인 방어 시스템
CN114485268B (zh) 一种察打一体无人直升机火控系统
JP2004257724A (ja) 弾の誘導装置および誘導方法
KR101483063B1 (ko)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의 운용 방법
KR20240060412A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하는 사격 레저 시스템
PL233014B1 (pl) Optyczny system lokalizacji na terenie poligonu miejsc uderzeń pocisków artyleryjskich lub rakietowy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