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252A - Poi 검색 서비스 시스템, poi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Poi 검색 서비스 시스템, poi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252A
KR20150104252A KR1020140025489A KR20140025489A KR20150104252A KR 20150104252 A KR20150104252 A KR 20150104252A KR 1020140025489 A KR1020140025489 A KR 1020140025489A KR 20140025489 A KR20140025489 A KR 20140025489A KR 20150104252 A KR20150104252 A KR 20150104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it
poi
terrain block
road network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475B1 (ko
Inventor
박헌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5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475B1/ko
Publication of KR20150104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POI 검색 서비스 시스템, POI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단말 장치로부터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수신하고,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도로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상응하는 POI를 검색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다.

Description

POI 검색 서비스 시스템, POI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YSTEM FOR SERVICING POI SEARCH, METHOD OF SERVICING POI SEARCH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지도에서 POI를 검색하는 POI 검색 서비스 시스템, POI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철 역 출구를 기준으로 도로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 가능한 지형 블록을 설정하고, 이를 대상으로 검색을 수행하는 POI 검색 서비스 시스템, POI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지도에서 지하철 역 출구 근방의 POI를 검색할 때에는 지하철 역의 명칭이나 지하철 역 출구의 번호로 검색을 수행한다. 이 경우, 지하철 역 또는 지하철 역 출구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POI를 검색하게 된다. 이 경우 의도치 않은 길 건너의 다른 출구 근방의 POI가 검색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지하철 역 출구를 기준으로 길을 건너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으로 대상을 한정하여 POI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면 지하철 역 근방의 수많은 POI 중 무의미하거나 필요 없는 POI를 제외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어 효율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다.
따라서, 지하철 역 출구 근방의 도로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기반하여 검색의 대상이 되는 영역을 한정하고 상기 영역을 대상으로 POI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POI 검색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1-0094872A호, 2002년 9월 23일 공개 (명칭: 지하철관련정보 제공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색의 대상이 되는 영역을 도로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 가능한 지형 블록으로 한정하여 실제 사용자가 쉽게 도달할 수 있는 포인트가 검색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철 역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POI 검색이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방문 가능성이 높은 POI가 검색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준 출구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검색 대상 영역을 한정하여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은 POI만이 검색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지도 상에서 검색된 POI와 함께 검색의 대상이 된 영역을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장치는, 단말 장치로부터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도로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부; 및 상기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상응하는 POI를 검색하는 POI 검색부를 포함한다.
이 때, 도로 네트워크는 보행자가 횡단을 위해 횡단보도, 지하도 및 육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도로의 집합이고, 상기 블록 생성부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을 상기 지형 블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블록 생성부는 상기 도로 네트워크와 함께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블록 생성부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상기 기준 출구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하인 영역을 상기 지형 블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블록 생성부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가장 가까운 지하철 역 출구가 상기 기준 출구인 영역을 상기 지형 블록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전송하고,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의해 검색된 POI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POI를 지도와 함께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 때,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에 상응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는 보행자가 횡단을 위해 횡단보도, 지하도 및 육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도로의 집합일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은 상기 도로 네트워크와 함께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는 상기 지도 및 상기 POI와 함께 상기 지형 블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상기 기준 출구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하인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가장 가까운 지하철 역 출구가 상기 기준 출구인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방법은, 단말 장치로부터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도로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상응하는 POI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POI를 포함한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도로 네트워크는 보행자가 횡단을 위해 횡단보도, 지하도 및 육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도로의 집합이고, 상기 지형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을 상기 지형 블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 네트워크와 함께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의해 검색된 POI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POI를 지도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에 상응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는 보행자가 횡단을 위해 횡단보도, 지하도 및 육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도로의 집합일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은 상기 도로 네트워크와 함께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지도 및 상기 POI와 함께 상기 지형 블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수신하고,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상응하는 POI를 검색하는 POI 검색 서비스 장치;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준 출구를 입력 받아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전송하고, 상기 질의에 의해 검색된 POI를 포함하는 상응하는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POI를 지도와 함께 표시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의 대상이 되는 영역을 도로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 가능한 지형 블록으로 한정하여 실제 사용자가 쉽게 도달할 수 있는 포인트가 검색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철 역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POI 검색이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방문 가능성이 높은 POI가 검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 출구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검색 대상 영역을 한정하여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은 POI만이 검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지도 상에서 검색된 POI와 함께 검색의 대상이 된 영역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OI 검색 서비스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출구 및 지형 블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출구 및 지형 블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출구 및 지형 블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방법(서비스 장치 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방법(단말 장치 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POI 검색 서비스 장치(110), 단말 장치(120)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POI 검색 서비스 장치(110)는 단말 장치로부터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수신하고,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도로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상응하는 POI를 검색한다.
이 때, 도로 네트워크는 보행자가 횡단을 위해 횡단보도, 지하도 및 육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도로의 집합일 수 있다.
이 때, POI 검색 서비스 장치(110)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을 상기 지형 블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준 출구로부터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을 상기 지형 블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POI 검색 서비스 장치(110)는 상기 도로 네트워크와 함께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POI 검색 서비스 장치(110)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상기 기준 출구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하인 영역을 상기 지형 블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POI 검색 서비스 장치(110)는 상기 기준 출구와 기설정된 거리 이하에 위치한 지하철 역 출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단말 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입력 받고,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전송하고,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의해 검색된 POI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POI를 지도와 함께 표시한다.
이 때, 단말 장치(120)는 상기 지도 및 상기 POI와 함께 상기 지형 블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단말 장치(120)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POI 검색 서비스 장치와 질의 및 응답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단말 장치(12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20)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TV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130)는 POI 검색 서비스 장치(110) 및 단말 장치(120)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30)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130)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OI 검색 서비스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POI 검색 서비스 장치는 통신부(210), 블록 생성부(220) 및 POI 검색부(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 장치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POI 검색 서비스 장치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POI 검색 서비스 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는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POI 검색 서비스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210)는 단말 장치로부터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수신한다.
이 때, 지하철은 지하 철도를 달리는 열차뿐만 아니라, 노선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지상에 설치된 철도를 달리는 전철, 고속 철도, 경전철 및 모노레일 등 그 형태, 종류, 규격 및 명칭에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생성부(220)는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도로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을 생성한다.
이 때, 지형 블록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모양의 영역으로서, 검색의 대상이 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도로 네트워크는 보행자가 횡단을 위해 횡단보도, 지하도 및 육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도로의 집합일 수 있다.
이 때, 블록 생성부(220)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을 상기 지형 블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준 출구로부터 보행자가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을 상기 지형 블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블록 생성부(220)는 상기 도로 네트워크와 함께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블록 생성부(220)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상기 기준 출구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하인 영역을 지형 블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도로 네트워크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이더라도 기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 제외하고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생성부(220)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상기 기준 출구에서 200 미터 이내의 영역을 지형 블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으로는 지형 블록에 포함되는 영역의 거리를 길게 설정하고, 상기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지형 블록에 포함되는 영역의 거리를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블록 생성부(220)는 상기 기준 출구와 기설정된 거리 이하에 위치한 지하철 역 출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도로 네트워크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이라도 다른 지하철 역 출구에서 더 가까운 영역을 제외하고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지하철 역 출구까지의 거리의 측정은 단순히 직선 거리로 측정할 수도 있지만, 보행자가 실제로 이동할 수 있는 길을 따라 측정하여 가장 가까운 지하철 역 출구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 때, 지하철 역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비교가 되는 지하철 역 출구는 동일한 역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지하철 역의 출구가 더 가까운 영역은 제외하고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남역 10번 출구가 기준 출구일 때, 강남역 10번 출구를 포함하고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에서 강남역 10번 출구보다 강남역 9번 출구가 더 가까운 영역을 제외하고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도 있고, 강남역 10번 출구보다 신논현역 6번 출구가 더 가까운 영역을 더 제외하고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POI 검색부(230)는 상기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상응하는 POI를 검색한다.
즉, 상기 질의에 포함된 기준 출구에 기반하여 생성된 지형 블록의 영역으로 검색 대상 영역을 한정하여 POI를 검색한다.
이 때, POI는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으로서, 전자지도 상의 건물이나 시설 등을 통칭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는 입력부(310), 통신부(320) 및 표시부(330)를 포함한다.
입력부(31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는다. 또한, 입력부(31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입력부(310)는 표시부(33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31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입력 받는다.
이 때, 지하철은 지하 철도를 달리는 열차뿐만 아니라, 노선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지상에 설치된 철도를 달리는 전철, 고속 철도, 경전철 및 모노레일 등 그 형태, 종류, 규격 및 명칭에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POI 검색 서비스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32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320)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 장치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POI 검색 서비스 장치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POI 검색 서비스 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는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POI 검색 서비스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320)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전송하고,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의해 검색된 POI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한다.
이 때, 지형 블록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모양의 영역으로서, 검색의 대상이 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도로 네트워크는 보행자가 횡단을 위해 횡단보다, 지하도 및 육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도로의 집합일 수 있다.
즉,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로부터 보행자가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POI는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으로서, 전자지도 상의 건물이나 시설 등을 통칭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은 상기 도로 네트워크와 함께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상기 기준 출구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하인 영역에 상응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지형 블록은 도로 네트워크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이더라도 기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 제외한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상기 기준 출구에서 200 미터 이내의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으로는 지형 블록에 포함되는 영역의 거리를 길게 설정하고, 상기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지형 블록에 포함되는 영역의 거리를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와 기설정된 거리 이하에 위치한 지하철 역 출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지형 블록은 도로 네트워크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이라도 다른 지하철 역 출구에서 더 가까운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지하철 역 출구까지의 거리의 측정은 단순히 직선 거리로 측정할 수도 있지만, 보행자가 실제로 이동할 수 있는 길을 따라 측정하여 가장 가까운 지하철 역 출구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 때, 지하철 역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비교가 되는 지하철 역 출구는 동일한 역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지하철 역의 출구가 더 가까운 영역은 제외한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남역 10번 출구가 기준 출구일 때, 강남역 10번 출구를 포함하고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에서 강남역 10번 출구보다 강남역 9번 출구가 더 가까운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상응할 수도 있고, 강남역 10번 출구보다 신논현역 6번 출구가 더 가까운 영역을 더 제외한 영역에 상응할 수도 있다.
표시부(330)는 단말 장치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330)는 단말 장치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3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33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표시부(330)는 입력부(31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330)는 상기 POI를 지도와 함께 표시한다.
이 때, 표시부(330)는 상기 지도 및 상기 POI와 함께 상기 지형 블록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출구 및 지형 블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준 출구(410) 및 지형 블록(420)이 존재한다.
기준 출구(410)는 지하철 역 출구들 중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로, 사용자로부터 단말 장치를 통하여 입력 받고, 기준 출구(410)를 포함하는 질의가 POI 검색 서비스 장치로 전송된다.
이 때, 지하철은 지하 철도를 달리는 열차뿐만 아니라, 노선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지상에 설치된 철도를 달리는 전철, 고속 철도, 경전철 및 모노레일 등 그 형태, 종류, 규격 및 명칭에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출구(410)는 8번 출구이다.
이 때, 지형 블록(420)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모양의 영역으로서, 검색의 대상이 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420)은 상기 기준 출구(410)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에 상응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기준 출구(410)로부터 보행자가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도로 네트워크는 보행자가 횡단을 위해 횡단보도, 지하도 및 육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도로의 집합일 수 있다.
POI 검색 서비스 장치는 지형 블록(420)에 상응하는 영역으로 검색 대상 영역을 한정하여 POI의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된 POI를 포함하는 응답을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이 때, POI는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으로서, 전자지도 상의 건물이나 시설 등을 통칭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는 상기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POI를 지도와 함께 표시한다.
이 때, 단말 장치는 상기 지도 및 상기 POI와 함께 상기 지형 블록(420)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의 대상이 된 영역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출구 및 지형 블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준 출구(510) 및 지형 블록(520)이 존재한다.
기준 출구(510)는 지하철 역 출구들 중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로, 사용자로부터 단말 장치를 통하여 입력 받고, 기준 출구(510)를 포함하는 질의가 POI 검색 서비스 장치로 전송된다.
이 때, 지하철은 지하 철도를 달리는 열차뿐만 아니라, 노선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지상에 설치된 철도를 달리는 전철, 고속 철도, 경전철 및 모노레일 등 그 형태, 종류, 규격 및 명칭에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출구(510)는 8번 출구이다.
이 때, 지형 블록(520)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모양의 영역으로서, 검색의 대상이 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520)은 상기 기준 출구(510)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상기 기준 출구(510)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하인 영역에 상응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지형 블록(520)은 도로 네트워크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이더라도 기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 제외한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도로 네트워크는 보행자가 횡단을 위해 횡단보도, 지하도 및 육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도로의 집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형 블록(520)는 기준 출구(510)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상기 기준 출구(510)에서 200 미터 이하인 영역에 상응한다.
이 때, 도 5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기준 출구(510)의 진행 방향으로는 지형 블록(520)에 포함되는 영역의 거리를 길게 설정하고, 상기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지형 블록(520)에 포함되는 영역의 거리를 짧게 설정할 수 있다.
POI 검색 서비스 장치는 지형 블록(520)에 상응하는 영역으로 검색 대상 영역을 한정하여 POI의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된 POI를 포함하는 응답을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이 때, POI는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으로서, 전자지도 상의 건물이나 시설 등을 통칭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는 상기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POI를 지도와 함께 표시한다.
이 때, 단말 장치는 상기 지도 및 상기 POI와 함께 상기 지형 블록(520)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의 대상이 된 영역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출구 및 지형 블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준 출구(610) 및 지형 블록(620)이 존재한다.
기준 출구(610)는 지하철 역 출구들 중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로, 사용자로부터 단말 장치를 통하여 입력 받고, 기준 출구(610)를 포함하는 질의가 POI 검색 서비스 장치로 전송된다.
이 때, 지하철은 지하 철도를 달리는 열차뿐만 아니라, 노선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지상에 설치된 철도를 달리는 전철, 고속 철도, 경전철 및 모노레일 등 그 형태, 종류, 규격 및 명칭에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출구(610)는 8번 출구이다.
이 때, 지형 블록(620)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모양의 영역으로서, 검색의 대상이 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620)은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가장 가까운 지하철 역 출구가 상기 기준 출구(610)인 영역에 상응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지형 블록(620)은 도로 네트워크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이라도 다른 지하철 역 출구에서 더 가까운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지하철 역 출구까지의 거리의 측정은 단순히 직선 거리로 측정할 수도 있지만, 보행자가 실제로 이동할 수 있는 길을 따라 측정하여 가장 가까운 지하철 역 출구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 때, 지하철 역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형 블록(620)은 기준 출구(610)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7번 출구(611) 및 6번 출구(612)를 포함한 다른 출구보다 기준 출구(610)가 가까운 영역에 상응한다.
이 때, 도로 네트워크는 보행자가 횡단을 위해 횡단보도, 지하도 및 육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도로의 집합일 수 있다.
POI 검색 서비스 장치는 지형 블록(620)에 상응하는 영역으로 검색 대상 영역을 한정하여 POI의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된 POI를 포함하는 응답을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이 때, POI는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으로서, 전자지도 상의 건물이나 시설 등을 통칭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는 상기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POI를 지도와 함께 표시한다.
이 때, 단말 장치는 상기 지도 및 상기 POI와 함께 상기 지형 블록(620)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의 대상이 된 영역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방법(서비스 장치 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방법은 단말 장치로부터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수신한다(S710).
이 때, 지하철은 지하 철도를 달리는 열차뿐만 아니라, 노선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지상에 설치된 철도를 달리는 전철, 고속 철도, 경전철 및 모노레일 등 그 형태, 종류, 규격 및 명칭에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방법은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도로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을 생성한다(S720).
이 때, 지형 블록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모양의 영역으로서, 검색의 대상이 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도로 네트워크는 보행자가 횡단을 위해 횡단보도, 지하도 및 육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도로의 집합일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을 상기 지형 블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준 출구로부터 보행자가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을 상기 지형 블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 네트워크와 함께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상기 기준 출구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하인 영역을 지형 블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도로 네트워크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이더라도 기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 제외하고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형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상기 기준 출구에서 200 미터 이내의 영역을 지형 블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으로는 지형 블록에 포함되는 영역의 거리를 길게 설정하고, 상기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지형 블록에 포함되는 영역의 거리를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출구와 기설정된 거리 이하에 위치한 지하철 역 출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도로 네트워크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이라도 다른 지하철 역 출구에서 더 가까운 영역을 제외하고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비교가 되는 지하철 역 출구는 동일한 역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지하철 역의 출구가 더 가까운 영역은 제외하고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남역 10번 출구가 기준 출구일 때, 강남역 10번 출구를 포함하고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에서 강남역 10번 출구보다 강남역 9번 출구가 더 가까운 영역을 제외하고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도 있고, 강남역 10번 출구보다 신논현역 6번 출구가 더 가까운 영역을 더 제외하고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지하철 역 출구까지의 거리의 측정은 단순히 직선 거리로 측정할 수도 있지만, 보행자가 실제로 이동할 수 있는 길을 따라 측정하여 가장 가까운 지하철 역 출구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 때, 지하철 역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방법은 상기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상응하는 POI를 검색한다(S730).
즉, 상기 질의에 포함된 기준 출구에 기반하여 생성된 지형 블록의 영역으로 검색 대상 영역을 한정하여 POI를 검색한다.
이 때, POI는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으로서, 전자지도 상의 건물이나 시설 등을 통칭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POI를 포함한 응답을 전송한다(S740).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방법(단말 장치 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입력 받는다(S810).
이 때, 지하철은 지하 철도를 달리는 열차뿐만 아니라, 노선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지상에 설치된 철도를 달리는 전철, 고속 철도, 경전철 및 모노레일 등 그 형태, 종류, 규격 및 명칭에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방법은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전송한다(S82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방법은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의해 검색된 POI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한다(S830).
이 때, 지형 블록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모양의 영역으로서, 검색의 대상이 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도로 네트워크는 보행자가 횡단을 위해 횡단보다, 지하도 및 육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도로의 집합일 수 있다.
즉,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로부터 보행자가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POI는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으로서, 전자지도 상의 건물이나 시설 등을 통칭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은 상기 도로 네트워크와 함께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상기 기준 출구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하인 영역에 상응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지형 블록은 도로 네트워크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이더라도 기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 제외한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상기 기준 출구에서 200 미터 이내의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으로는 지형 블록에 포함되는 영역의 거리를 길게 설정하고, 상기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지형 블록에 포함되는 영역의 거리를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와 기설정된 거리 이하에 위치한 지하철 역 출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지형 블록은 도로 네트워크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이라도 다른 지하철 역 출구에서 더 가까운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지하철 역 출구까지의 거리의 측정은 단순히 직선 거리로 측정할 수도 있지만, 보행자가 실제로 이동할 수 있는 길을 따라 측정하여 가장 가까운 지하철 역 출구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 때, 지하철 역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비교가 되는 지하철 역 출구는 동일한 역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지하철 역의 출구가 더 가까운 영역은 제외한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남역 10번 출구가 기준 출구일 때, 강남역 10번 출구를 포함하고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에서 강남역 10번 출구보다 강남역 9번 출구가 더 가까운 영역을 제외하고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도 있고, 강남역 10번 출구보다 신논현역 6번 출구가 더 가까운 영역을 더 제외한 영역에 상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방법은 상기 POI를 지도와 함께 표시한다(S840).
이 때,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지도 및 상기 POI와 함께 상기 지형 블록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입력 받는다(S910).
단말 장치(120)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전송한다(S911).
POI 검색 서비스 장치(110)는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도로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을 생성한다(S920).
이 때, 도로 네트워크는 보행자가 횡단을 위해 횡단보도, 지하도 및 육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도로의 집합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POI 검색 서비스 장치(110)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을 상기 지형 블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POI 검색 서비스 장치(110)는 상기 도로 네트워크와 함께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POI 검색 서비스 장치(110)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상기 기준 출구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하인 영역을 상기 지형 블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POI 검색 서비스 장치(110)는 상기 기준 출구와 기설정된 거리 이하에 위치한 지하철 역 출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지형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POI 검색 서비스 장치(110)는 상기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상응하는 POI를 검색한다(S930).
POI 검색 서비스 장치(110)는 단말 장치(120)에 상기 POI를 포함한 응답을 전송한다(S931).
단말 장치(120)는 상기 POI를 지도와 함께 표시한다(S940).
이 때, 단말 장치(120)는 상기 지도 및 상기 POI와 함께 상기 지형 블록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순서, 그 역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OI 검색 서비스 시스템, POI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철 역 출구 주변의 POI를 검색할 때에 검색의 대상이 되는 영역을 한정하여 효율적인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기준 출구로부터 보행자가 도로를 횡단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무의미하거나 필요 없는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110: POI 검색 서비스 장치 120: 단말 장치
130: 네트워크 210: 통신부
220: 블록 생성부 230: POI 검색부
310: 입력부 320: 통신부
330: 표시부 410: 기준 출구
420: 지형 블록

Claims (20)

  1. 단말 장치로부터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도로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부; 및
    상기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상응하는 POI를 검색하는 POI 검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I 검색 서비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로 네트워크는
    보행자가 횡단을 위해 횡단보도, 지하도 및 육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도로의 집합이고,
    상기 블록 생성부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을 상기 지형 블록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I 검색 서비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록 생성부는
    상기 도로 네트워크와 함께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지형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I 검색 서비스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블록 생성부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상기 기준 출구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하인 영역을 상기 지형 블록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I 검색 서비스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블록 생성부는
    상기 기준 출구와 기설정된 거리 이하에 위치한 지하철 역 출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지형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I 검색 서비스 장치.
  6. 사용자로부터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전송하고,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의해 검색된 POI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POI를 지도와 함께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에 상응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는 보행자가 횡단을 위해 횡단보도, 지하도 및 육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도로의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형 블록은
    상기 도로 네트워크와 함께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지도 및 상기 POI와 함께 상기 지형 블록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 중 상기 기준 출구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하인 영역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와 기설정된 거리 이하에 위치한 지하철 역 출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단말 장치로부터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도로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상응하는 POI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POI를 포함한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I 검색 서비스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도로 네트워크는
    보행자가 횡단을 위해 횡단보도, 지하도 및 육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도로의 집합이고,
    상기 지형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을 상기 지형 블록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I 검색 서비스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형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 네트워크와 함께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지형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I 검색 서비스 방법.
  15. 사용자로부터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의해 검색된 POI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POI를 지도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I 검색 서비스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지형 블록은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경계로 하는 영역에 상응하고,
    상기 도로 네트워크는 보행자가 횡단을 위해 횡단보도, 지하도 및 육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도로의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I 검색 서비스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지형 블록은
    상기 도로 네트워크와 함께 상기 기준 출구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I 검색 서비스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지도 및 상기 POI와 함께 상기 지형 블록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I 검색 서비스 방법.
  19. 청구항 12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20. 검색의 기준이 되는 지하철 역 출구인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수신하고, 상기 기준 출구에 상응하는 지형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지형 블록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질의에 상응하는 POI를 검색하는 POI 검색 서비스 장치;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준 출구를 입력 받아 상기 기준 출구를 포함한 질의를 전송하고, 상기 질의에 의해 검색된 POI를 포함하는 상응하는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POI를 지도와 함께 표시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I 검색 서비스 시스템.
KR1020140025489A 2014-03-04 2014-03-04 Poi 검색 서비스 시스템, poi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27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489A KR102127475B1 (ko) 2014-03-04 2014-03-04 Poi 검색 서비스 시스템, poi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489A KR102127475B1 (ko) 2014-03-04 2014-03-04 Poi 검색 서비스 시스템, poi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252A true KR20150104252A (ko) 2015-09-15
KR102127475B1 KR102127475B1 (ko) 2020-06-26

Family

ID=5424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489A KR102127475B1 (ko) 2014-03-04 2014-03-04 Poi 검색 서비스 시스템, poi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23681A (zh) * 2020-05-28 2020-09-29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室内路网生成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872A (ko) 2000-04-07 2001-11-03 박경용 지하철관련정보 제공 시스템
KR20070046384A (ko) * 2005-10-31 2007-05-03 한국과학기술원 경로 상의 최근접 객체 검색 방법
KR20100116421A (ko) * 2009-04-22 2010-11-0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네트워크 상에서 k-최근접 이웃 검색을 위한 최단 경로 탐색 방법 및 장치
KR20130094764A (ko) * 2013-08-01 2013-08-26 (주) 씨이랩 랜드마크 기반의 poi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872A (ko) 2000-04-07 2001-11-03 박경용 지하철관련정보 제공 시스템
KR20070046384A (ko) * 2005-10-31 2007-05-03 한국과학기술원 경로 상의 최근접 객체 검색 방법
KR20100116421A (ko) * 2009-04-22 2010-11-0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네트워크 상에서 k-최근접 이웃 검색을 위한 최단 경로 탐색 방법 및 장치
KR20130094764A (ko) * 2013-08-01 2013-08-26 (주) 씨이랩 랜드마크 기반의 poi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23681A (zh) * 2020-05-28 2020-09-29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室内路网生成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723681B (zh) * 2020-05-28 2024-03-08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室内路网生成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475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55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extual menu in a map display
EP30484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levant point of interest on a multi-modal route
CN103940441A (zh) 一种兴趣点搜索方法和装置
KR20190086573A (ko) 공통적으로 카테고리화된 엔터티를 디스플레이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60117051A (ko) 대중교통 노선 서비스와 지도 서비스를 연결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N105812541A (zh) 旅游协助方法及移动终端
KR102086989B1 (ko) 복수의 poi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35331B1 (ko) 복수의 poi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hahzada et al. Dynamic vehicle navigation: An A* algorithm based approach using traffic and road information
KR20150104252A (ko) Poi 검색 서비스 시스템, poi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016495A (zh) 城市区域相关性的确定方法、装置和终端设备
KR102109612B1 (ko) 위치 기반의 지리 관계 서비스를 위한 장치
KR101786875B1 (ko) 교통 수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79032A (ko)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KR102166714B1 (ko) 회귀경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20042302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맞춤형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6441330B (zh) 导航方法及装置
JP2017083350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90691B1 (ko) 교통 수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01164B1 (ko) 지도를 이용한 관심 지점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517486B2 (ja) 地図表示システム
KR20190068136A (ko)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JP495961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89554A (ko) 애드혹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140048577A (ko)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