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052A - 원격 무선 유닛,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및 하우징 - Google Patents

원격 무선 유닛,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및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052A
KR20150104052A KR1020150029858A KR20150029858A KR20150104052A KR 20150104052 A KR20150104052 A KR 20150104052A KR 1020150029858 A KR1020150029858 A KR 1020150029858A KR 20150029858 A KR20150029858 A KR 20150029858A KR 20150104052 A KR20150104052 A KR 20150104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ion frame
insertion hole
hous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125B1 (ko
Inventor
페이 가오
광시 자오
진페이 주
오승준
원성 첸
장춘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04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strain relief being achieved by molding parts around cable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조립체는 일 단부에 케이블이 관통하는 개구를 가지는 연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의 타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제1 측면에 고정된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한 자유단을 가지는 제1 락킹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 고정된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한 자유단을 가지는 제2 락킹부; 및 상기 연결 프레임을 둘러싸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실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무선 유닛,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및 하우징{REMOTE RADIO UNIT, ITS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HOUSING}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원격 통신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 무선 유닛 및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및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원격 무선 유닛은 신호를 전송하고 파워를 공급하기 위한 소정의 외부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원격 무선 유닛은 일반적으로 열악한 환경(hostile environment)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먼지 또는 빗물이 원격 무선 유닛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외부 포트에 대한 정기적인 보수가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외부 포트는, 많은 종류와 많은 양을 가지며, 안테나, 파워 서플라이 및 데이터 광 섬유와의 연결을 위하여 빈번하게 발생하는 플러그 동작과 함께, 컴팩트한 구조, 작은 부피 및 열악한 탑재 공간을 가지기 때문에, 원격 무선 유닛의 외부 포트는 편리하고 빠른 플러그 동작, 컴팩트한 구조, 안정적인 보호 및 낮은 가격의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원격 무선 유닛에서는, 원격 무선 유닛의 내부와 케이블 사이의 연결에 도달하도록, 밀봉 링이 정의된 플랜지와 고정 스크류를 사용하여, 탑재 패널에 외부 포트를 탑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과도한 구성 부품들, 많은 재질의 소비, 높은 가공 난이도 및 높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플랜지의 추가적인 사용으로 인해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작동이 복잡할 수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며 밀봉 효과를 개선하며 작동이 편리한 원격 무선 유닛과,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및 하우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조립체는,
일 단부에 케이블이 관통하는 개구를 가지는 연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의 타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제1 측면에 고정된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한 자유단을 가지는 제1 락킹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 고정된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한 자유단을 가지는 제2 락킹부; 및
상기 연결 프레임을 둘러싸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락킹부의 상기 자유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과 소정의 경사 각도를 형성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락킹부의 상기 자유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기 일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락킹부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며, 상기 케이블의 둘레를 둘러싸며, 상기 케이블을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부는 벨로즈(bellows)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부 및 상기 실링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외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기 일 단부의 크기가 타 단부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 고정 설치된 위치 블록과, 상기 연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위치 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무선 유닛은,
상술한 케이블 연결 조립체; 및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기 케이블 연결 조립체의 상기 연결 프레임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과, 상기 몸체의 상기 삽입홀의 양 측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 연결 조립체의 상기 제1, 제2 락킹부에 결합하는 제1,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제2 락킹부의 개구에 삽입 가능한 돌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무선 유닛의 하우징은,
몸체;
상기 몸체에 상술한 케이블 연결 조립체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
상기 몸체의 상기 삽입부의 양 측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 연결 조립체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1,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상기 특징들, 측면 및 장점들은 이하 설명, 청구항 및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원격 무선 유닛과,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및 하우징은, 자유단을 가지는 제1, 제2 락킹부를 통해, 케이블 연결 조립체가 원격 무선 유닛의 하우징에 조립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원격 무선 유닛에 케이블 연결 조립체를 빠르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락킹부를 케이블 연결 조립체의 양 측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양 측면을 제외한 측면에는 조립 공간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하여, 케이블 연결 조립체의 조립을 위한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복수의 케이블 연결 조립체를 함께 배열될 때, 더 많은 공간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 연결 조립체의 연결 프레임을 둘러싸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실링부를 포함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연결 프레임과 하우징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더불어, 실링부의 외주면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밀봉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더군다나, 케이블에 고정된 위치 블록과, 위치 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 슬리브를 포함함으로써, 케이블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외력이 케이블과 PCB 플러그 사이의 연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그리하여, 원격 무선 유닛과 케이블의 안정적인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조립체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원격 무선 유닛의 하우징과 케이블 연결 조립체를 탑재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원격 무선 유닛의 하우징과 케이블 연결 조립체를 탑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B-B 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원격 무선 유닛,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및 하우징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을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조립체(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조립체(10)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케이블 연결 조립체(10)는 연결 프레임(20), 케이블 지지부(31), 제1, 제2 락킹부(40a, 40b) 및 실링부(30)를 포함한다.
연결 프레임(20)은 케이블(50)이 관통하는 관통 홀(200)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20)의 일 단부(20a) 및 타 단부(20b) 각각에는 케이블(50)이 관통하는 개구(201, 202)가 형성된다.
연결 프레임(20)은 고강도 플라스틱이거나, 케이블 연결 조립체(10)가 변형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쉽게 변형되지 않는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20)은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프레임(20)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다만, 연결 프레임(20)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각형이거나 원형, 타원형일 수도 있다.
연결 프레임(20)의 일 단부(20a)의 크기(S1)는 타 단부(20b)의 크기(S2)보다 작을 수 있다.
연결 프레임(20)의 타 단부(20b)에는 케이블 지지부(31)가 연결된다. 케이블(50)은 연결 프레임(20) 및 케이블 지지부(31)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지지부(31)는 케이블(50)을 지지한다.
케이블 지지부(31)는 사용자에 의해 인장, 수축 또는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지지부(31)는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 예를 들어 PPE(Polyphenylene Ether)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지지부(31)는 주름진 외관을 가지는 벨로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 프레임(20)의 제1 측면(211)에 제1 락킹부(40a)가 배치되며, 제1 측면(211)에 대향하는 제2 측면(212)에 제2 락킹부(40b)가 배치된다.
제1 락킹부(40a)는 연결 프레임(20)의 제1 측면(211)에 고정된 고정단(401)과 고정단(401)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한 자유단(402)을 가진다. 제2 락킹부(40b)는 연결 프레임(20)의 제2 측면(212)에 고정된 고정단(401)과 고정단(401)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한 자유단(402)을 가진다.
제1 락킹부(40a)과 제2 락킹부(40b)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420)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락킹부(40a)에 2개의 개구(420)가 형성되며, 제2 락킹부(40b)에 2개의 개구(42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제2 락킹부(40a, 40b)에 형성된 개구(42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제1, 제2 락킹부(40a, 40b)에 1개 또는 3개 이상의 개구(4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락킹부(40a)의 개구(420)의 개수와 제2 락킹부(40b)의 개구(420)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제2 락킹부(40a, 40b)의 자유단(402)은 연결 프레임(20)의 일 단부(20a)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프레임(20)의 일 단부(20a)는, 고정단(401)보다 자유단(402)에 가까울 수 있다.
제1 락킹부(40a)의 자유단(402)은 연결 프레임(20)의 제1 측면(211)과 소정의 경사 각도를 형성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락킹부(40b)의 자유단(402)은 연결 프레임(20)의 제2 측면(212)과 소정의 경사 각도를 형성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경사 각도는 예각이거나 둔각일 수 있다.
제1, 제2 락킹부(40a, 40b) 각각은, 굴곡 부분(41), 연장 부분(42) 및 가이드 부분(43)을 포함한다.
굴곡 부분(41)은 연결 프레임(20)의 제1 측면(211) 또는 제2 측면(212)에 고정된다. 연장 부분(42)은 굴곡 부분(4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측면(211) 또는 제2 측면(212)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가이드 부분(43)의 일단은 연장 부분(42)에 연결되며, 타단이 연결 프레임(20)에 소정의 경사 각도를 형성하도록 기울어진다.
개구(420)는 연장 부분(42)에 정의 또는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개구(42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가이드 부분(43)에 정의 또는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50)은 연결 프레임(20)과 케이블 지지부(31)를 관통하며, 케이블 지지부(31)의 상기 연결 프레임(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단에 의해 고정되며, 케이블 지지부(31)에 의해 밀봉된다.
케이블(50)의 단부에는 이음부(joint, 51)가 배치될 수 있다. 이음부(51)는 원격 무선 유닛(1)의 하우징(70)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 보드 플러그(미도시)에 연결되는데 사용되는 케이블(50)의 단자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30)는 연결 프레임(20)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부(30)는 연결 프레임(20)의 둘레를 커버한다. 실링부(3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부(30)는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일 수 있다. 실링부(30)는 후술할 하우징(70)의 삽입 홀(701)에 타이트하게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실링부(30)는 하우징(70)에 연결되는 부분에 요철(301)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301)은 실 립(seal lip)으로 불리울 수 있다. 요철(301)은 하우징(70)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철(301)의 단면 형상은 톱니 모양의 이 형상(serration)을 가질 수 있다. 요철(301)의 단면 형상은 연결 프레임(20)의 일 단부(20a)에 위치한 개구(201)에 가까운 측이 보다 완만하고, 개구(201)에서 먼 측은 보다 경사질 수 있다. 케이블 연결 조립체(10)가 하우징(70)에 결합될 때, 요철(301)에 의해 밀봉 성능이 보다 개선될 수 있으며, 방진 또는 방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철(301)을 포함한 실링부(30)에 의한 방진 및 방수 특성은, IP (Ingress Protection) 67 등급일 수 있다.
케이블(50)에는 위치 블록(52)이 고정 설치된다. 연결 프레임(20)의 내부에는 위치 슬리브(22)가 배치되며, 이러한 위치 슬리브(22)는 위치 블록(52)의 이동을 제한한다. 케이블(50)이 외력에 의해 잡아당겨질 때, 위치 슬리브(22)는 위치 블록(5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50)에 고정 설치된 위치 블록(52)은 위치 슬리브(22)에 접촉하기 전까지 이동이 가능하지만, 위치 슬리브(22)에 접촉될 경우 케이블(5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위치 블록(52)은 이동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케이블(5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케이블(50)의 단부에 설치된 이음부(51)에 대한 외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케이블 연결 조립체(10)에서 연결 프레임(20), 실링부(30) 및 제1, 제2 락킹부(40a, 40b)의 고정단(401)의 위치 관계가 고정되도록, 연결 프레임(20), 실링부(30) 및 제1, 제2 락킹부(40a, 40b)는 일체형(all in o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연결 조립체(10)는, 연결 프레임(20)에 제1, 제2 락킹부(40a, 40b)를 배치하는 제1 인서트 몰딩 공정(insert injection process) 및 상기 연결 프레임(20)의 둘레에 실링부(30)을 둘러싸는 제2 인서트 몰딩 공정을 적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순한 구조 및 단순한 제조 방법에 의해, 케이블 연결 조립체(10)의 단가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조립체(10)는, 일반적인 케이블 조립체의 단가의 7 % ~ 10 %의 단가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원격 무선 유닛(1)의 하우징(70)과 케이블 연결 조립체(10)를 탑재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원격 무선 유닛(1)의 하우징(70)과 케이블 연결 조립체(10)를 탑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B-B 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원격 무선 유닛(1)은 케이블 연결 조립체(10)와 하우징(70)을 포함한다. 케이블 연결 조립체(10)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하우징(70)은 몸체(700)와, 상기 몸체(7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홀(701)과, 상기 몸체(700)에 삽입 홀(701)의 양 측에 이격 배치된 제1, 제2 결합부(71a, 71b)를 포함한다.
삽입 홀(701)은 연결 프레임(20)의 삽입을 위해 제공된다. 제1, 제2 결합부(71a, 71b)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710)를 포함한다. 돌기(710)는, 제1, 제2 락킹부(40a, 40b)의 개구(420)에 결합된다. 돌기(710)를 가진 제1, 제2 결합부(71a, 71b)는 펀치 또는 절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1, 제2 결합부(71a, 71b)는 하우징(70)의 몸체(700)의 삽입 홀(701)의 양 측에 이격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제1, 제2 결합부(71a, 71b)를 몸체에 조립하기 위하여 볼트(711)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제2 결합부(71a, 71b)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제2 결합부(71a, 71b)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또는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복수의 삽입 홀(701)은 하우징(70)에 나란히 배치된다. 삽입 홀(701)을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가공 비용이 감소하고, 삽입 홀(701)에 대한 케이블 연결 조립체(10)의 설치가 수월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삽입 홀(701)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 제1, 제2 결합부(71a, 71b)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삽입 홀(701)들(80)이 세로 방향으로 배열될 때, 제1, 제2 결합부(71a, 71b)은 삽입 홀(701)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따른 원격 무선 유닛(1)의 장착 및 분리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원격 무선 유닛(1)의 하우징(70)에 케이블 연결 조립체(10)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다.
케이블 연결 조립체(10)의 장착을 위하여, 먼저 벨로즈 형상을 가지는 케이블 지지부(31)가 수축되도록 가압한다. 이 때, 케이블(50)의 일부는 케이블 지지부(31)에 의해 지지되고 밀봉된 상태이다. 케이블 지지부(31)의 수축에 의해, 케이블(50)의 이음부(51)를 소정 길이만큼 연결 프레임(20)의 일 단부(20a)에 형성된 개구(201) 밖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돌출된 이음부(51)를 하우징(70)의 삽입 홀(701)에 삽입하여, 대응하는 내부 PCB(미도시)에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 프레임(20)의 일 단부(20a)를 하우징(70)의 삽입 홀(701)에 삽입한다. 연결 프레임(20)의 일 단부(20a)의 크기는 타 단부(20b)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하여, 삽입 홀(701)에 연결 프레임(20)의 일 단부(20a)가 삽입되며, 삽입 홀(701) 주변 일부는 연결 프레임(20)의 타 단부(20b)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하우징(70)의 삽입 홀(701)에 연결 프레임(20)의 일 단부(20a)를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하우징(70)의 제1, 제2 결합부(71a, 71b)의 돌기(710)가 제1, 제2 락킹부(40a, 40b)의 개구(420)에 삽입되도록 연결 프레임(20)의 양 측에 배치된 제1, 제2 락킹부(40a, 40b)를 가압된다. 그리하여, 하우징(70)에 케이블 연결 조립체(10)가 장착 및 고정된다. 이 때, 연결 프레임(20)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오동작 없이, 제1, 제2 락킹부(40a, 40b)가 제1, 제2 결합부(71a, 71b)를 향하도록 연결 프레임(20)을 삽입 홀(701)에 삽입할 수 있다.
케이블 연결 조립체(10)가 하우징(70)에 장착 및 고정된 상태일 때, 연결 프레임(20)을 둘러싼 실링부(30)는 하우징(70)의 삽입 홀(701)에 의해 탄성 변형된 상태이다. 즉, 연결 프레임(20)과 삽입 홀(701) 사이는, 실링부(30)에 의해 밀봉된 상태이다. 게다가, 실링부(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301)(10)에 의해, 연결 프레임(20)과 삽입홀 사이의 밀봉 효과는 더 클 수 있다. 추가적인 밀봉 효과 개선을 위해, 요철(301)에 대응하는 형상의 요철(702)이 하우징(70)의 삽입 홀(701)의 내면에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원격 무선 유닛(1)은 IP (Ingress Protection) 67 등급의 방수/방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연결 조립체(10)는 위치 슬리브(22)와 위치 블록(52)을 가지기 때문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케이블(5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50)에 고정 설치된 위치 블록(52)은 위치 슬리브(22)에 접촉하기 전까지 이동이 가능하지만, 위치 슬리브(22)에 접촉될 경우 케이블(5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위치 블록(52)은 이동되지 않는다. 케이블(50)에 작용한 외력은, 위치 블록(52)에 의해 위치 슬리브(22)로 전달되며, 위치 슬리브(22)에 전달된 외력은 연결 프레임(20), 제1, 제2 락킹부(40a, 40b)를 거쳐, 하우징(70)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하여, 케이블(50)에 갑작스런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케이블(50)의 단부에 설치된 이음부(51)와 하우징(70) 내부의 PCB 플러그의 연결이 외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그에 따라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원격 무선 유닛(1)의 하우징(70)으로부터 케이블 연결 조립체(10)를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원격 무선 유닛(1)의 하우징(70)으로부터 케이블 연결 조립체(10)를 분리하기 위하여, 먼저 제1, 제2 락킹부(40a, 40b)의 개구(420)와 제1, 제2 결합부(71a, 71b)의 돌기(710)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1, 제2 락킹부(40a, 40b)를 가압하고, 케이블 연결 조립체(10)를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긴다.
이에 더하여, 케이블(50)의 이음부(51)가 충분한 길이만큼 드러나도록 케이블 지지부(31)를 압축한다.
다음으로, 하우징(70)의 삽입 홀(701)에 손가락을 찔러 넣고 케이블(50)의 이음부(51)를 내부 PCB로부터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제1, 제2 락킹부(40a, 40b)에 의해, 케이블 연결 조립체(10)가 하우징(70)에 조립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빠르고 편리한 연결이 가능해진다.
또한, 연결 프레임(20)의 제1, 제2 측면(212)에 배치된 제1, 제2 락킹부(40a, 40b)를 이용하여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케이블 연결 조립체(10)와 하우징(70)의 고정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측면을 이용하여 케이블 연결 조립체(10)를 조립 및 분리에 필요한 공간의 60 ~ 70 %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케이블 연결 조립체(10)와 하우징(70)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복수의 케이블 연결 조립체(10)를 하우징(70)의 작은 공간에서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인접한 케이블 연결 조립체(10)의 중심 거리를 28 mm 이하로 줄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특정 유형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다른 버전들도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는 여기에 포함된 바람직한 버전의 설명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1 : 원격 무선 유닛 10 : 케이블 연결 조립체
20 : 연결 프레임 20a : 일 단부
20b : 타 단부 22 : 위치 슬리브
30 : 실링부 31 : 케이블 지지부
40a, 40b : 제1, 제2 락킹부 401 : 고정단
402 : 자유단 420 : 개구
50 : 케이블 51 : 이음부
52 : 위치 블록 70 : 하우징
701 : 삽입 홀 71a, 71b : 제1, 제2 결합부
710 : 돌기

Claims (14)

  1. 일 단부에 케이블이 관통하는 개구를 가지는 연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의 타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제1 측면에 고정된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한 자유단을 가지는 제1 락킹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 고정된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한 자유단을 가지는 제2 락킹부; 및
    상기 연결 프레임을 둘러싸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실링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락킹부의 상기 자유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과 소정의 경사 각도를 형성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락킹부의 상기 자유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기 일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케이블 연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락킹부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며, 상기 케이블의 둘레를 둘러싸며, 상기 케이블을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부는 벨로즈(bellows) 형상을 가지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부 및 상기 실링부는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 연결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외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된, 케이블 연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케이블 연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기 일 단부의 크기가 상기 타 단부의 크기보다 작은, 케이블 연결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 고정 설치된 위치 블록과,
    상기 연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위치 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 슬리브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케이블 연결 조립체;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기 케이블 연결 조립체의 상기 연결 프레임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과, 상기 몸체의 상기 삽입홀의 양 측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 연결 조립체의 상기 제1, 제2 락킹부에 결합하는 제1,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원격 무선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제2 락킹부의 개구에 삽입 가능한 돌기를 가지는, 원격 무선 유닛.
  14. 몸체;
    상기 몸체에,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케이블 연결 조립체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
    상기 몸체의 상기 삽입홀의 양 측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 연결 조립체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1,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원격 무선 유닛의 하우징.
KR1020150029858A 2014-03-04 2015-03-03 원격 무선 유닛,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및 하우징 KR102329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076072.4A CN103904477B (zh) 2014-03-04 2014-03-04 一种户外通信设备线缆防护接头组件、壳体及户外通信设备
CN201410076072.4 2014-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052A true KR20150104052A (ko) 2015-09-14
KR102329125B1 KR102329125B1 (ko) 2021-11-19

Family

ID=5099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858A KR102329125B1 (ko) 2014-03-04 2015-03-03 원격 무선 유닛,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및 하우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27807B2 (ko)
KR (1) KR102329125B1 (ko)
CN (1) CN1039044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745B1 (ko) * 2013-12-06 2020-12-14 주식회사 쏠리드 광 중계 시스템의 리모트 장치
EP3387716B1 (en) * 2015-12-08 2020-1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able protection kit and radio remote unit including the same
CN105591232B (zh) * 2016-02-29 2018-05-18 深圳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户外通信设备电源连接器及其电源连接组件
CN109560421B (zh) * 2018-12-11 2020-05-22 林利斌 一种防止电线断裂的插头
CN111081415A (zh) * 2019-12-20 2020-04-28 盐城迈斯杰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监控摄像机
CN111009096A (zh) * 2019-12-20 2020-04-14 江苏森德邦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消防报警装置
WO2021236478A1 (en) * 2020-05-20 2021-11-25 Commscope Technologies Llc Active optical cable assemblies
JP2023527371A (ja) 2020-05-27 2023-06-28 コムスコープ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光相互接続を保護するための封止ブーツおよび関連アセンブリ
CN112271503A (zh) * 2020-10-22 2021-01-26 深圳华添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外置sas接口转内置接口的线缆
CN116780290A (zh) * 2022-03-10 2023-09-19 普罗斯通信技术(苏州)有限公司 通信线缆连接头及通信线缆连接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5931A (en) * 1996-05-03 1998-07-0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latching system
KR20010089270A (ko) * 2000-03-20 2001-09-29 루이스 에이. 헥트 전기 커넥터용 래칭 장치
US20050208818A1 (en) * 2004-03-16 2005-09-22 George Mtchedlishvili Connector assembly
CN201029114Y (zh) * 2005-12-30 2008-02-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US20110053437A1 (en) * 2009-09-02 2011-03-03 De France Robert V Electrical connector with collapsible coupl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1386A (en) * 1986-01-22 1987-07-21 Lance Wire And Cable, Inc. Integral connector having plastic spring-clips
US4998896A (en) * 1989-09-25 1991-03-12 Amp Incorporated Sealed stamped and formed pin
CN102055112A (zh) * 2009-10-30 2011-05-11 苏州华旃航天电器有限公司 快锁密封防水电连接器组件
CN202017822U (zh) 2011-02-25 2011-10-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户外线缆防水密封组件
CN203826675U (zh) * 2014-03-04 2014-09-10 深圳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户外通信设备线缆防护接头组件、壳体及户外通信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5931A (en) * 1996-05-03 1998-07-0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latching system
KR20010089270A (ko) * 2000-03-20 2001-09-29 루이스 에이. 헥트 전기 커넥터용 래칭 장치
US20050208818A1 (en) * 2004-03-16 2005-09-22 George Mtchedlishvili Connector assembly
CN201029114Y (zh) * 2005-12-30 2008-02-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US20110053437A1 (en) * 2009-09-02 2011-03-03 De France Robert V Electrical connector with collapsible coup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04477A (zh) 2014-07-02
US20150255921A1 (en) 2015-09-10
CN103904477B (zh) 2016-10-05
KR102329125B1 (ko) 2021-11-19
US9627807B2 (en)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125B1 (ko) 원격 무선 유닛,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및 하우징
US9608388B2 (en) Connector
CN110474205B (zh) 防水连接器及设备壳体的防水结构
US8066518B2 (en) Waterproof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of waterproof connector and mounting method of waterproof connector
KR20140061942A (ko) 접속모듈
KR20170036529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rf 커넥터 일체형 커넥터 조립체
US20160020551A1 (en) Housing for a contact device
US10001604B2 (en) Connector-incorporating plug
CN106488159B (zh) 喇叭安装结构及显示设备
EP3270190A1 (en) Multiple-optical-axis photoelectric sensor with sealed front surface
EP3346557B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connector
CN112821129B (zh) 背板连接器组件及背板连接器用密封组件
CN112134067A (zh) 线缆组件及防水连接组件
KR20170123174A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제조방법
US9190768B2 (en) Connector having a first seal and a second seal and a pressing rib
CN107196058B (zh) 大型天线外罩结构及其制作方法
EP3387716B1 (en) Cable protection kit and radio remote unit including the same
KR101695827B1 (ko) 커넥터 연결부 방수장치
US9028263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communication connector
JPH10326635A (ja) 同軸ケーブル接続器
CN215494258U (zh) 一种光缆接头盒
CN211629407U (zh) 插座连接器
CN219124582U (zh) 电子设备
US7314381B2 (en) Electric component having connector attached to case via seal member
KR20200096127A (ko) 무선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