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915A -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915A
KR20150102915A KR1020150118789A KR20150118789A KR20150102915A KR 20150102915 A KR20150102915 A KR 20150102915A KR 1020150118789 A KR1020150118789 A KR 1020150118789A KR 20150118789 A KR20150118789 A KR 20150118789A KR 20150102915 A KR20150102915 A KR 20150102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s
multimedia
communications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상주
왕지현
백승재
백승윤
신용태
Original Assignee
왕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상주 filed Critical 왕상주
Priority to KR1020150118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2915A/ko
Publication of KR20150102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04W76/0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신 단말기에 의하여 통신 요청 신호가 발생하면 기 설정된 복수 개의 착신 단말기 중 가용한 하나의 착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간의 통신 채널을 구성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목적지로 하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송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통신 채널이 설정된 통신 단말기를 확인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상기 확인된 통신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통신 채널 요청 신호가 송신됨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에게 발신 호가 송신되고, 상기 통신 채널이 설정된 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가장 먼저 수신한 연결 명령 메시지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채널 요청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나타내는 그룹 신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Multimedia communication apparatus, multimedia communication relaying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 단말기에 의하여 통신 요청 신호가 발생하면 기 설정된 복수 개의 착신 단말기 중 가용한 하나의 착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간의 통신 채널을 구성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폰(interphone)은 별도의 교환기를 통하지 않고, 일정 구역 안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학교, 병원, 공장, 사무실 등의 구내 연락용이나, 일반 가정에서 현관과 실내간의 통신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인터폰은 단순히 음성만을 전달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영상 및 음성을 모두 전달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에 따라 현관 밖의 방문자는 실내에 있는 해당 장소의 구성원과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인터폰을 통한 통신 채널은 통신을 원하는 당사자에 의한 통신 요청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관 밖의 방문자가 버튼을 누르면 실내에서는 알림 벨이 울리게 되고, 구성원이 수화기를 집어 들거나 버튼을 누르는 등의 행위를 하면 방문자와 구성원간의 통신 채널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방문자가 버튼을 누르는 행위가 방문자의 통신 요청에 해당하고, 구성원이 수화기를 집어 들거나 버튼을 누르는 행위가 구성원의 통신 요청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당사자 중 어느 하나라도 통신 요청을 수행하지 않으면 통신 채널은 구성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가정에서 인터폰이 이용되는 상황에서 구성원 모두가 집을 비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때에는 구성원에 의한 통신 요청이 없기 때문에 방문자와 구성원간의 통신 채널이 구성되지 않아 상호간의 의사 전달이 수행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인터폰을 통한 방문자에 의한 통신 요청이 발생한 경우 해당 장소의 구성원들의 위치와 무관하게 방문자와 구성원들 중 하나간의 통신 채널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발신 단말기에 의하여 통신 요청 신호가 발생하면 기 설정된 복수 개의 착신 단말기 중 가용한 하나의 착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간의 통신 채널을 구성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목적지로 하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송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통신 채널이 설정된 통신 단말기를 확인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상기 확인된 통신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통신 채널 요청 신호가 송신됨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에게 발신 호가 송신되고, 상기 통신 채널이 설정된 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가장 먼저 수신한 연결 명령 메시지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채널 요청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나타내는 그룹 신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는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목적지로 하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에게 송신한 발신 호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 명령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확인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선택된 하나의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통신 채널 요청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나타내는 그룹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통신 단말기는 상기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가장 먼저 수신된 연결 명령 메시지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방법은 멀티미디어 장치가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선택된 하나의 통신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목적지로 하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송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통신 채널이 설정된 통신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상기 확인된 통신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통신 채널 요청 신호가 송신됨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에게 발신 호가 송신되고, 상기 통신 채널이 설정된 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가장 먼저 수신한 연결 명령 메시지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채널 요청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나타내는 그룹 신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방법은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목적지로 하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에게 발신 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호 송신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 명령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선택된 하나의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 채널 요청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나타내는 그룹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통신 단말기는 상기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가장 먼저 수신된 연결 명령 메시지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발신 단말기에 의하여 통신 요청 신호가 발생하면 기 설정된 복수 개의 착신 단말기 중 가장 먼저 응답한 하나의 착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간의 통신 채널을 구성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한 통화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채널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멀티미디어가 송수신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번호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채널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멀티미디어가 송수신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가정 또는 사무실 등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여 선택적으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하는 장소의 경우 인터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방문자가 인터폰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면 내부에 구비된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하여 벨이 울리게 되고, 가정 또는 사무실의 내부에 있는 내부인(이하, 구성원이라 한다)은 구비된 별도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방문자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대상 장소의 내부에 구성원이 없는 경우 외부인의 호출에 대하여 응답할 수 없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는 구성원이 휴대하고 있는 통신 단말기(121, 122, 123)와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가 인터폰뿐만 아니라 통신 수단의 역할까지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방문자가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에 구비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벨을 울린 이후에도 내부에 구비된 장치를 통한 응답이 없는 경우 또는 외출 모드로 설정한 경우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는 이동 통신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구성원의 통신 단말기(121, 122, 123)와 통신을 시도하는 것이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와 통신 단말기(121, 122, 123)간에는 음성 통신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음성 통신과 함께 영상 통신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 및 통신 단말기(121, 122, 123)에는 음성 입출력 수단 및 영상 입출력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은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와 통신 단말기(121, 122, 123)간의 통신이 이동 통신 시스템(200)만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동 통신 시스템(200) 및 인터넷 통신 시스템(810)의 선택적 조합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와 통신 단말기(121, 122, 123)간의 통신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방문자는 가정 또는 사무실의 구성원 중 누구와 통화하더라도 무관한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200)은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121, 122, 123) 중 하나를 선택하여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와의 통신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장소(가정 또는 사무실)에 대한 구성원1, 2, 3이 있는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200)은 각 구성원이 휴대하고 있는 통신 단말기(121, 122, 123)로 발신 호를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가장 먼저 연결 명령 메시지(connection order message)를 송신한 통신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간의 통신 채널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연결 명령 메시지(connection order message)는 호 신호를 수신한 통신 단말기(121, 122, 123)의 벨이 울림에 따라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누르는 경우 통신 단말기(121, 122, 123)가 송신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121, 122, 123)로 발신 호를 송신함에 따른 응답으로 가장 먼저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 채널이 구성됨에 따라, 방문자와 구성원간의 통화 가능성이 향상되며, 구성원과의 통화 대기 시간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121, 122, 123)로 발신 호가 송신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통신 단말기 2(122)가 가장 먼저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하고, 통신 단말기 1(121)이 두 번째로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하며, 통신 단말기 3(123)은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하는 않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200)은 통신 단말기 2(122)와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간의 통신 채널을 구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의 용도는 인터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휴대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의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면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는 이동 통신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121, 122, 123) 중 하나와 통신 채널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200)의 이동 통신망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통신 시스템(200)의 이동 통신망은 다른 유형의 이동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
이동 통신 시스템(200)은 기지국(211, 212), 무선망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220), 이동 통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230), 장비 신원 등록기(Equipment Identity Register; EIR)(240),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250), 인증 장치(Authentication Center; AuC)(260), 단문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270), 서비스 제어 장치(Service Control Point; SCP)(280), 패킷 교환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290) 및 패킷 관문 지원 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통신 단말기(120)는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 또는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400)에 의하여 선택되어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와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선택되지 않은 통신 단말기도 선택된 통신 단말기(120)와 같이 후술하는 통신 기능 및 기타 기능을 구비하고 있음은 자명하다.
통신 단말기(120)는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이동 통신 장치일 수 있는데, 통신 단말기(120)는 단말기 식별자를 보유할 수 있다. 단말기 식별자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해당 단말기(120)를 식별해주는 고유한 값으로서, 통신 단말기(120)가 생산될 때 단말기 제조업체나 공인된 기관에 의해 단말기별로 할당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20)에는 가입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 카드가 연결될 수 있다. 가입자 식별자는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고유한 정보로서, 그 일 예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들 수 있다. 또한, 정보 카드는 소정의 인증 함수를 이용하여 인증값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인증값은 이동 통신망에서 가입자를 인증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정보 카드는 통신 단말기(120)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고, 가입자가 임의로 통신 단말기(120)로부터 정보 카드를 분리하지 못하도록 통신 단말기(120)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정보 카드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소정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카드의 예로써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를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와 같은 영상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이동 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도 통신 단말기(120)와 마찬가지로 단말기 식별자가 보유되어 있으며, 가입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 카드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는 이동 통신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각 장비들이 하나씩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이동 통신 시스템(200)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동 통신 시스템(200)은 복수 개의 각 장비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일부 장비가 제거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통신 시스템(200)은 둘 이상이 장비가 하나로 통합되어 운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장비에 의하여 수행되는 기능이 복수 개의 장비로 분할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211, 212)은 통신 단말기(120) 또는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이하, 단말기(110, 120)라 한다)의 일차 접속 지점으로서, 단말기(110, 120)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기지국(211, 212)은 안테나와 송수신 모뎀으로 구성된 무선 모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망 제어기(220)는 기지국(211, 212)을 제어하고 무선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망 제어기(220)는 단말기(110, 120)에 대한 통신 채널의 할당을 기지국(211, 212)에게 지시하고, 기지국(211, 212)의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망 제어기(220)는 기지국(211, 212)간을 이동하는 단말기(110, 120)에 대한 핸드오버(hand over)를 지원할 수도 있다.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하나 이상의 무선망 제어기(220)와 연결되어, 통신 단말기(120)와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단말기(110, 120)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단말기 제조업체에서 생산되는 단말기들의 단말기 식별자를 관리할 수 있다. 단말기 식별자의 일 예로써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들 수 있다. 신규로 생산된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는 단말기 제조업체로부터 직접 획득될 수도 있고, 각 제조업체의 신규 단말기에 대한 등록을 처리하는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도 관리할 수 있다.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는 단말기(110, 120)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는 '정상(White)', '비정상(Black)', 및 '비정상 추정(Gray)'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는 '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도난신고가 접수된 단말기나 이동 통신망에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는 '비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망에서 요구되는 통신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단말기나 상태 정보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불명확한 단말기의 상태 정보는 '비정상 추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동 통신망에서 상태 정보가 '비정상'인 단말기(110, 120)의 통신은 차단될 수 있는데, 상태 정보가 '비정상 추정'인 단말기(110, 120)에 대한 통신 차단 여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각 단말기(110, 120)의 단말기 식별자에 해당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를 매핑시켜 매핑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로 생성된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를 획득한 경우,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단말기 식별자에 상태 정보로서 '정상'을 매핑시킬 수 있다. 만약, 단말기(110, 120)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된다면,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해당 단말기(110, 120)의 단말기 식별자에 매핑된 상태 정보를 '정상'에서 '비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110, 120)에 제공할 지능망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100)에 대해 SMS(Short Message Service)나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s Data) 기반의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110, 120)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단말기(110, 120)에게 적합한 서비스 로직을 구동시킬 수 있다.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 제조업체가 생산하는 각종 단말기의 속성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물론 속성 정보를 관리하는 별도의 서버(도시하지 않음)가 존재하고,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해당 서버에 접근하여 단말기(110, 120)의 속성 정보를 확인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여기서 속성 정보는 단말기(110, 120)가 지원 가능한 언어, 단말기(110, 120)의 화면 해상도, 단말기(110, 120)에 구비된 코덱(codec)의 종류 등 단말기(110, 120)의 기능이나 성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위치 등록기(250)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110, 120)가 현재 위치한 곳의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주소, MSC 주소 등)와 가입자 부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인증 장치(260)는 이동 통신망 가입자에 대한 인증 및 무선 통화 구간에 대한 암호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에는 인증 장치(260)가 홈 위치 등록기(250)로부터 독립된 장치로 도시되어 있지만, 인증 장치(260)는 홈 위치 등록기(2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패킷 교환 지원 노드(290)는 패킷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데, 패킷 데이터에 대한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패킷 관문 지원 노드(300)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기간 망과 외부 패킷 데이터 망간의 접속 기능을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패킷 관문 지원 노드(300)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290)와 패킷 데이터 망(Packet Data Network; PDN) 사이의 무선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GPRS 망의 실체로서, 단말기(110, 120)는 패킷 관문 지원 노드(300)를 통하여 패킷 데이터 망에 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패킷 관문 지원 노드(300)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290)로부터 수신되는 GPRS 패킷을 적당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acket Data Protocol; PDP) 형식으로 변환하고, 착신 패킷 데이터의 PDP 주소를 착신 단말기의 주소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패킷 관문 지원 노드(300)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290)의 위치 레지스터에 있는 단말기의 패킷 교환 지원 노드(290)의 주소와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인증과 요금 부과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는 통신 단말기(120)와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기(120)를 목적지로 하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홈 위치 등록기(250)를 참조하여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를 확인하고, 발신 호를 통신 단말기(120)로 송신한다.
그리고, 발신 호를 수신한 통신 단말기(120)의 사용자 즉, 구성원이 착신 호에 대한 응답으로 통화 버튼 등을 누름으로써 통신 채널을 허용한다는 명령(연결 명령)을 입력하면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와 통신 단말기(120)간의 통신 채널이 구성되고, 양 단말기(110, 120)간의 멀티미디어 통신이 수행된다.
여기서, 전송되는 대상이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이므로 영상은 패킷 교환 지원 노드(290) 및 패킷 관문 지원 노드(300)를 통하여 송수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선택된 하나(120)와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간의 통신 채널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전화 번호)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각 통신 단말기로 발신 호를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 명령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하나의 통신 단말기(120)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가장 먼저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 통신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간에 통신 채널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단문 서비스 센터(270)는 문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통신 단말기(12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가 생성된 경우, 방문자가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는데, 단문 서비스 센터(270)는 수신된 메시지를 통신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선택된 하나의 통신 단말기(120)뿐만 아니라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모두에게 송신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는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가 이동 통신 시스템(200)의 기지국(211)에 직접 접속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는 유선망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2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상은 패킷 관문 지원 노드(300)에 의한 패킷 데이터의 중계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200)은 고속 패킷 접속(High Speed Packet Access; HSPA)을 기반으로 패킷 데이터의 중계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단말기(110, 120)는 고속 패킷 접속을 지원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와 통신 단말기(120)간의 통신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와이파이(Wi-Fi) 또는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와 같은 인터넷 망을 통한 통신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 및 통신 단말기(120)가 인터넷 망 즉, 인터넷 통신 시스템(810)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이하, 인터넷 접속 수단이라 한다)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 및 통신 단말기(120)는 인터넷 통신 시스템(810)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와 통신 단말기(120) 중 하나는 인터넷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다른 하나는 인터넷 접속 수단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때에는 이동 통신 시스템(200)과 인터넷 통신 시스템(810)간의 중계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와 통신 단말기(120)가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는 인터넷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통신 단말기(120)는 인터넷 접속 수단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인터넷 통신 시스템(810)은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동 통신 시스템(200)으로 전달하여 해당 데이터가 통신 단말기(120)로 송신되도록 하고, 이동 통신 시스템(200)은 통신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인터넷 통신 시스템(810)으로 전달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가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로 송신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터넷 통신 시스템(810)과 이동 통신 시스템(200)은 상호 통신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결국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 및 통신 단말기(120)는 통신 시스템(800)에 포함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200) 또는 인터넷 통신 시스템(810)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인터넷 통신 시스템(810)에 포함되어 있는 인터넷 통신 서버(미도시)는 전술한 이동 통신 교환기(23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통신 서버는 단말기(110, 120)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작업을 수행하고, 수신된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참조하여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를 확인하며, 통신 단말기(120)로 발신 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그 위치를 관리하는 별도의 위치 관리 서버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때 인터넷 통신 서버는 위치 관리 서버에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를 문의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통신 서버는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선택된 하나(120)와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간의 통신 채널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인터넷 통신 서버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전화 번호 또는 IP 번호)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각 통신 단말기로 발신 호를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 명령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하나의 통신 단말기(120)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 통신 서버는 가장 먼저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 통신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간에 통신 채널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통신 서버는 전술한 단문 서비스 센터(270)의 역할을 수행하여 문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통신 단말기(12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문자가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가 생성하여 송신하면, 인터넷 통신 서버는 수신된 메시지를 통신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선택된 하나의 통신 단말기(120)뿐만 아니라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모두에게 송신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별도의 메시지 송신 서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는 멀티미디어 입력부(310), 알람 출력부(320), 저장부(330), 제어부(340), 명령 입력부(350), 통신부(360) 및 멀티미디어 출력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명령 입력부(350)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의 생성 명령을 입력 받은 역할을 수행한다. 명령 입력부(350)는 버튼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데,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의 영상 출력부(371)가 터치 스크린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영상 출력부(371)가 명령 입력부(35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명령 입력부(350)는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설정하고, 후술하는 지연 시간 또는 모드를 설정하여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알람 출력부(320)는 명령 입력부(350)의 입력에 따라 음성 알람(alarm)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명령 입력부(350) 및 알람 출력부(320)가 인터폰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방문자가 명령 입력부(350)로 명령을 입력하면 알람 출력부(320)가 음성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내부의 구성원으로 하여금 방문자가 있음을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340)는 명령 입력부(350)를 통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를 목적지로 하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송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참조하여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통신 채널이 설정된 통신 단말기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는 착신 단말기에 의하여 연결 명령 메시지가 발생한 경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신 채널이 구성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로서,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는 통신 채널이 설정된 통신 단말기(120)와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연결 명령 메시지를 가장 먼저 송신한 통신 단말기가 통신 채널이 설정된 통신 단말기(120)로 결정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어부(340)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의 생성 명령을 입력 받은 이후 사전에 설정된 일정 시간(지연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대상 장소의 내부에 구성원이 있는 경우에도 이동 통신망이 이용된다면 이는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로서, 본 발명의 제어부(340)는 명령 입력부(350)를 통하여 명령이 입력되면 우선은 알람 출력부(320)를 통하여 음성 알람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구성원으로 하여금 응답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고, 만일 해당 시간 이내에 응답이 없는 경우 구성원이 내부에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지연 시간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만일 시간이 '0' 또는 '지연 시간 없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340)는 명령이 입력됨과 동시에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지연 시간이 아닌 모드별로 통신 채널 요청 신호의 생성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는데, 모든 구성원이 외출하였음을 나타내는 외출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340)는 명령이 입력됨과 동시에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원이 대상 장소의 내부에 있음을 나타내는 인터폰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340)는 명령이 입력되더라도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명령이 입력된 경우라면 위의 어느 경우라도 제어부(340)는 알람 출력부(320)로 제어 명령을 전달하여 음성 알람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360)는 생성된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이동 통신 시스템(200)으로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부(360)는 통신 채널이 설정된 통신 단말기(120)와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360)는 이동 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부(360)는 이동 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며, 통신 단말기(120)와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통신 채널 요청 신호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발신 호 또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나타내는 그룹 신호를 나타낸다.
통신 채널 요청 신호가 발신 호인 경우 통신부(360)는 복수 개의 발신 호를 동시에 송신하는 것으로서, 이동 통신 교환기(230) 또는 인터넷 통신 서버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로 발신 호를 송신하고, 그 중 가장 먼저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 통신 단말기(120)와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간의 통신 채널을 제공한다.
통신 채널 요청 신호가 그룹 신호인 경우 이는 이동 통신 교환기(230) 또는 인터넷 통신 서버가 해당 그룹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통신부(360)가 그룹 신호를 송신하면 이동 통신 교환기(230) 또는 인터넷 통신 서버는 저장된 테이블(이하, 그룹 번호 테이블이라 한다)(700)을 참조하여 해당 그룹 신호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추출하여, 각 통신 단말기로 발신 호를 송신하며, 그 중 가장 먼저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 통신 단말기(120)와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간의 통신 채널을 제공하게 된다.
저장부(330)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전화 번호 또는 IP 번호) 또는 그룹 신호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부(330)에 저장된 정보 또는 그룹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340)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통신 채널 요청 신호의 생성뿐만 아니라, 제어부(340)는 멀티미디어 입력부(310), 알람 출력부(320), 저장부(330), 명령 입력부(350), 통신부(360) 및 멀티미디어 출력부(37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각 모듈간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360)는 제어부(340)에 의하여 생성된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며, 통신 채널이 설정된 통신 단말기(120)와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부(360)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송신하면서 영상 입력부(311)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및 사전에 설정된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영상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로 명령을 입력한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으며, 텍스트를 통하여 방문자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촬영된 영상 및 텍스트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송신될 수 있으며, 별도로 송신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로 발신 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통신부(360)는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통신 모듈은 고유한 전화 번호가 부여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 통신 모듈을 통하여 발신 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가 송신할 수 있는 발신 호의 수는 통신부(360)에 포함된 통신 모듈의 수로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360)에 의하여 복수 개의 발신 호가 동시에 송신된다고 하는 것은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로의 복수 개의 발신 호가 송신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정확한 특정 시점에 복수 개의 발신 호가 모두 송신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각 통신 모듈의 처리 성능 또는 제어부(34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신호의 순서에 따라 약간의 시간 차를 두고 송신되는 것도 동시에 송신되는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어느 하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기 이전에 모든 발신 호를 송신하는 것도 동시에 송신되는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통신부(360)는 이동 통신 시스템(200)의 기지국(211) 또는 인터넷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미도시)과 직접 통신할 수 있으며, 유선망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200) 또는 인터넷 통신 시스템에 접속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입력부(310)는 영상 및 음성을 입력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멀티미디어 입력부(310)는 방문자에 대한 영상 및 방문자의 음성을 입력 받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멀티미디어 입력부(310)는 영상 입력부(311) 및 음성 입력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영상 입력부(311)는 카메라(미도시) 및 영상 생성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카메라가 피사체에 대한 상을 입력 받으면, 영상 생성부가 입사된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다.
음성 입력부(312)는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음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폰(microphone)이 음성 입력부(312)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출력부(370)는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멀티미디어 출력부(370)는 통신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구성원에 대한 영상 및 구성원의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멀티미디어 출력부(370)는 영상 출력부(371) 및 음성 출력부(3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영상 출력부(371)는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액정 화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의 영상 표시 수단이 구비된 모듈로서 전달 받은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음성 출력부(372)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음성 정보가 포함된 전기 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음파를 복사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스피커(speaker)가 음성 출력부(372)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서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400)는 이동 통신 교환기(230) 또는 인터넷 통신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400)는 통신부(410), 저장부(420), 제어부(430) 및 메시지 생성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420)는 그룹 번호 테이블(700)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룹 번호 테이블(7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430)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를 목적지로 하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로 송신한 발신 호에 대한 응답을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수신된 통신 채널 요청 신호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발신 호 또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나타내는 그룹 신호일 수 있다.
통신 채널 요청 신호가 발신 호인 경우 통신부(410)는 복수 개의 발신 호를 대응하는 각각의 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
한편, 그룹 신호가 수신된 경우 통신부(410)는 그룹 신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통신 단말기로 발신 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통신 채널 요청 신호가 그룹 신호인 경우 제어부(430)는 저장부(420)에 저장된 그룹 번호 테이블(700)을 참조하여 그룹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데, 통신부(410)는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통신 단말기로 발신 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전화 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서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로부터 영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 때 통신부(410)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송신한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확인 결과를 참조하여 제어부(430)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에 따른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하나(120)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가장 먼저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 통신 단말기를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와의 통화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440)는 확인 결과를 참조하여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선택된 하나의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통신부(410)는 생성된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송신한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와 선택된 통신 단말기(120)간의 통신 채널 설정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의미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통신 채널을 구성할 통신 단말기 선택이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에 구비된 통신부(360)가 복수 개의 통신 모듈로 구성된 경우 또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에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전화 번호)를 삽입함으로써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로 발신 호가 송신되도록 하는 경우, 각 발신 호에 대한 응답이 개별적으로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로 수신될 수 있는데,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는 수신된 응답을 참조하여 통신 채널을 구성할 통신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가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400)로 송신하면(S510),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400)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로 발신 호를 송신하고(S520), 그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다(S530, S550).
한편, 통신 채널 요청 신호가 그룹 신호인 경우,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400)에 의하여 그룹 신호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의 정보가 추출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도 6은 통신 단말기 2(122)가 가장 먼저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하고(S530), 통신 단말기 1(121)이 그 다음으로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하며(S550), 통신 단말기 3(123)은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은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연결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400)는 각 연결 명령 메시지에 대한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로 송신한다(S540, S560).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와 통신 단말기 1, 2(121, 122)간의 통신 채널이 구성될 수 있는데,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는 먼저 수신된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 2(122)와의 통신 채널을 유지하고(S570), 통신 단말기 1(121)과의 통신 채널을 해제할 수 있다(S58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통신 채널을 구성할 통신 단말기 선택이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40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가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400)로 송신하면(S610),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400)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로 발신 호를 송신하고(S620), 그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다(S630, S650).
한편, 통신 채널 요청 신호가 그룹 신호인 경우,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400)에 의하여 그룹 신호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의 정보가 추출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도 7은 통신 단말기 2(122)가 가장 먼저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하고(S630), 통신 단말기 1(121)이 그 다음으로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하며(S650), 통신 단말기 3(123)은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은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연결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400)는 가장 먼저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 통신 단말기 2(122)를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의 통화 대상으로 결정하고, 통신 단말기 2(122)의 연결 명령 메시지에 대한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로 송신한다(S640). 즉,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400)는 연결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이후의 연결 명령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해당 연결 명령 메시지에 대한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것이다.
한편, 통신 단말기 1(121)로부터 두 번째 연결 명령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400)는 통신 단말기 1(121)과의 통신 채널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와 통신 단말기 2(122)간의 통신 채널이 구성된다(S66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번호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룹 번호 테이블(700)은 그룹 번호 필드(710) 및 단말기 정보 필드(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룹 번호 필드(710)에는 해당 그룹을 나타내는 고유 번호가 명시되고, 단말기 정보 필드(720)에는 각 그룹별로 할당된 단말기의 정보가 명시된다.
그룹 번호 필드(710)에 명시되는 그룹의 고유 번호는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의 전화 번호 또는 IP 번호에 또 다른 식별 번호가 부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의 전화 번호가 019-xxxx-xxxx이고, 해당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에 부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 식별 번호가 2357인 경우 그룹 고유 번호는 019-xxxx-xxxx-2357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 식별 번호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임의로 부여되거나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0)의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다.
도 8의 그룹 번호 필드(710)에 명시된 "2357", "8493", "0857"은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 식별 번호를 나타낸다.
단말기 정보 필드(720)에 명시된 단말기의 정보는 전화 번호 또는 IP 번호일 수 있는데, 도 8은 단말기 정보로서 단말기 전화 번호 또는 IP 번호가 명시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룹 번호 테이블(700)은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400)의 저장부(420)에 저장되는데, 통신 채널 요청 신호로서 그룹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430)는 저장부(420)에 저장된 그룹 번호 테이블(700)을 참조하여 해당 그룹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310: 멀티미디어 입력부 320: 알람 출력부
330: 저장부 340: 제어부
350: 명령 입력부 360: 통신부
370: 멀티미디어 출력부

Claims (4)

  1.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목적지로 하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송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통신 채널이 설정된 통신 단말기를 확인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상기 확인된 통신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통신 채널 요청 신호가 송신됨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에게 발신 호가 송신되고,
    상기 통신 채널이 설정된 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가장 먼저 수신한 연결 명령 메시지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채널 요청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나타내는 그룹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
  2.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목적지로 하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에게 송신한 발신 호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 명령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는 제어부;
    상기 확인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선택된 하나의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통신 채널 요청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나타내는 그룹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통신 단말기는 상기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가장 먼저 수신된 연결 명령 메시지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
  3. 멀티미디어 장치가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선택된 하나의 통신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목적지로 하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통신 채널 요청 신호를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송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통신 채널이 설정된 통신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상기 확인된 통신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통신 채널 요청 신호가 송신됨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에게 발신 호가 송신되고,
    상기 통신 채널이 설정된 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가장 먼저 수신한 연결 명령 메시지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채널 요청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나타내는 그룹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방법.
  4.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목적지로 하는 통신 채널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에게 발신 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 호 송신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 명령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선택된 하나의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채널 설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 채널 요청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전체를 나타내는 그룹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통신 단말기는 상기 연결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가장 먼저 수신된 연결 명령 메시지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방법.
KR1020150118789A 2015-08-24 2015-08-24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02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789A KR20150102915A (ko) 2015-08-24 2015-08-24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789A KR20150102915A (ko) 2015-08-24 2015-08-24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740A Division KR20130054293A (ko) 2013-03-11 2013-03-11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915A true KR20150102915A (ko) 2015-09-09

Family

ID=54243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789A KR20150102915A (ko) 2015-08-24 2015-08-24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29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8772B2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4301857A (zh) 用于通信终端之间的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US20160157206A1 (en)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instant notification device
JPWO2016147600A1 (ja) 通信装置、通信端末、情報配信方法、情報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672336B (zh) 实现外部认证的方法、通信装置及通信系统
CN107835488B (zh) ProSe信息的传输方法、终端及通信设备
KR20060013064A (ko) 피티티 시스템에서의 호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02915A (ko)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32254A (ko) 애칭 전송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92387A (ko)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US1188938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distribu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130054293A (ko)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 멀티미디어 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KR100708363B1 (ko) 패킷서비스통지기능이 구비된 더불유씨디엠에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609494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 in femto cell
KR20130095073A (ko) 멀티심 모바일 단말에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50075470A (ko) 단문 메시지 발신자 위치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23022469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5257161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2010068184A (ja) 小型基地局
KR100615278B1 (ko) 발신자 식별 영상의 표시 방법
KR20060120723A (ko) 통신 상태 실시간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72304A (ko)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공유 방법 및 단말기
KR20100057728A (ko) 이동 단말의 벨소리 상태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72192A (ko) 긴급 알림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1102091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contents, and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multimedia con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