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829A -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829A
KR20150102829A KR1020140024472A KR20140024472A KR20150102829A KR 20150102829 A KR20150102829 A KR 20150102829A KR 1020140024472 A KR1020140024472 A KR 1020140024472A KR 20140024472 A KR20140024472 A KR 20140024472A KR 20150102829 A KR20150102829 A KR 20150102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luid
portable body
discharging device
fluid discharg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형운
황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베이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베이,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베이
Priority to KR1020140024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2829A/ko
Publication of KR20150102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와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원격제어하기 위한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선으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와 제어서버를 연결하여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출력하고, 사용자가 직접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모니터링 도중에 연결이 끊어지면 이에 대한 경보신호를 발생시켜서 환자나 병원 측에서 모두 계속적인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monitoring and remote-controlling portable device for body fluid drainag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환자의 휴대용 체액매출장치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늑막 배액과 같은 환자의 체액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흉이나 폐암 수술 등의 후에는 늑막 사이에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각종 기체와 체액이 고이기 때문에 이러한 늑막배액 등을 흡입해 배출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배출장치는 체액 및 슬러지 등의 배액량, 공기 누기량, 음압(Suction pressure) 등을 의료진이 계속하여 모니터링하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장치를 제어해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체액 배출장치를 이용하는 환자는 계속하여 병원에 입원하고 있을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체액을 배출해야 하는 점 외에는 거동이 크게 불편하지 않은 환자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자신의 볼 일을 보고 싶어하거나 간단한 산책 등을 원하는 경우도 많은데, 체액 배출장치를 이용하고 있는 동안에는 외부에 나갈 수 없고 병원에 있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에도 병원 외부에서 의사의 진료 등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많이 연구되었으나, 이러한 연구는 주로 일회성으로 진료를 받는 분야에 한정되고 체액배출장치와 같이 계속적인 모니터링 및 제어가 필요한 분야에서는 연구가 미약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078070호(2013.7.10 공개) (원격 혈압측정방법) 요약, 청구항 1, 도면 1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이용하여 환자가 병원 외부에서 활동하는 동안 계속하여 의료진이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와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원격제어하기 위한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는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상태를 측정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전송되도록 하는 센서부;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상기 제어서버에 접속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접속확인부; 및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상기 제어서버에 소정 시간 이상 접속 중이지 않은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저장부; 상기 등록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장치정보저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제어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상태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제어되도록 하는 장치제어부;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소정 시간 이상 연결이 끊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연결확인부에 의해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와의 연결이 소정 시간 이상 끊어진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접속 중인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경보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확인이 없거나, 상기 사용자가 접속중이 아닌 경우에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문자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어서버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될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등록받는 단계;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로부터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상태 정보가 접속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소정 시간 이상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보신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제어정보를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태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제어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소정 시간 이상 상기 제어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경보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은 상기 제어서버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제어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가 외부에서 활동하는 중에도 계속적으로 체액배출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어서 환자가 병원에 있지 않아서 발생될 수 있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환자가 병원 밖에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에 따라 흡인 압력을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병원)측에 제공되는 출력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접속한 경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예를 도시한 것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서버에서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어서버(200)와 통신하여 장치 내에 구비된 음압(Suction pressure) 측정기, 누기(Air Leakage) 측정기, 체액배출량(body fluid drainage) 측정기 등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전송하고, 제어서버(200)에서 전송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장치를 제어한다.
한편, 병원 등 사용자는 PC나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300)을 이용하여 제어서버(200)에 접속하여 자신이 등록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들의 상태 정보를 볼 수 있으며, 각각의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렇게 입력된 제어정보는 제어서버(200)에 저장되며, 이를 이용하여 제어서버(200)는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를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한편,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경우 계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므로, 계속적으로 인터넷 등과 같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만약,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인터넷 등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 자체에서도 경보신호가 출력되어 환자가 인식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서도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거나, 사용자에게 문자메시지 등이 전송되도록 하여 병원 측에서도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는 통신부(110), 센서부(120), 제어부(130), 접속확인부(140), 알람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외에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의 체액배출장치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부(110)는 제어서버(200)와 무선 통신을 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통신부(110)에는 Wi-Fi 모듈 등이 장착되어 있어서 이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Wi-Fi 모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모든 방식의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주고 받는 데이터는 음압(Suction pressure) 측정기, 누기(Air Leakage) 측정기, 체액배출량(body fluid drainage) 측정기 등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값을 제어서버(200)에 전송하고, 제어서버(200)로부터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수신한다.
센서부(12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압(Suction pressure) 측정기, 누기(Air Leakage) 측정기, 체액배출량(body fluid drainage) 측정기 등의 센서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센서는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동작상태를 알려주는 상태정보를 생성하게 되며, 센서부(120)는 이 상태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하여 제어서버(200)에 전송하게 된다.
음압의 경우 환자와 가장 가까운 이중 튜브의 끝단의 압력을 의미하며, 공기 누기값은 유량 센서등을 이용하여 진공모터가 정지된 후 실시간으로 누기되는 공기를 측정한 값이며, 체액배출량은 환자의 흉막 내에 고이는 체액 및 슬러지 등이 배액을 통해 배액병에 들어간 양을 나타낸다.
각 센서의 구체적인 동작은 종래의 체액배출장치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30)는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30)에서 동작을 제어하는 기준이 되는 제어정보는 최초로 장치에 설정된 바에 따르지만, 제어서버에 접속하여 제어정보를 수신할 때에는 그 수신된 제어정보에 따라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정보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을 수 있다.
먼저, 음압의 경우 장치에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흡인 압력값은 -20 ~ -10 cmH2O가 되지만, 이 값은 환자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값이므로, 이러한 기준 정보는 제어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
석션(Suction)을 하기 위하여 진공모터가 만드는 목표 음압값도 환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 값은 제어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
배액병을 교체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배액량도 제어서버(20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각종 동작을 위한 기준 정보가 제어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직접적으로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명령어가 포함되어 제어서버(200)에 의해 직접적으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접속확인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제어서버(200)에 접속이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접속이 불가능하면 후술하는 알람부(150)를 통하여 경보 신호를 출력하여 환자가 그 사실을 알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에서 통신하는 방식이 Wi-Fi를 이용한 방식인데, Wi-Fi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통신이 되지 않는 경우 휴대폰 테더링, 와이브로 등 다른 통신 방식으로 제어서버(200)와의 통신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한다.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경우 계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어서버(200)와의 통신이 되지 않는 경우 이를 빨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여 만에 하나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알람부(150)는 환자에게 알려야 되는 각종 상황이 닥치게 되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램프를 점멸하는 등의 방식으로 경보신호를 출력한다.
환자에게 알려야 하는 상황은 앞에서 언급한 제어서버(200)에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을 수 있고, 그 외에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 자체적인 동작에 따라 경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션(Suction) 시간이 220초가 지나도록 설정된 목표 음압까지 도달하지 못하면 경보 신호가 출력되어 환자가 장치외 소모품의 결합 미비 등을 추측하여 장치 상태를 점검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공기 누기 범위가 5 lpm이 넘는 경우, 기본적인 음압의 설정범위를 초과하는 음압이 발생하는 경우, 배액병의 배액량이 기준값을 초과하여 배액병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전원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 등에 모두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의 제어서버(200)는 제1통신부(210), 제2통신부(220), 장치정보저장부(230), 사용자정보저장부(240), 입력부(250), 출력부(260), 장치제어부(270), 연결확인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통신부(210)는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방식 및 통신시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는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의 통신부(11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제2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일반 PC일 수도 있으며, 스마트폰 등 화면출력 및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일 수도 있다.
제2통신부(2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을 받아 사용자가 등록한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각 단말기에 대해 설정하는 제어정보를 입력받는다.
장치정보저장부(230)는 제어서버(200)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제어되는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에 대한 정보는 각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식별정보와 현재 사용 중인지 여부, 사용 중인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로부터 수신된 상태정보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정보저장부(240)는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와 각 사용자가 등록한 장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주로 병원 등의 의료진이 될 것이다.
하나의 병원(사용자)에는 하나의 ID가 발급되며, 각 사용자는 자신의 환자들에게 제공되어 사용 중인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등록한다.
한편, 사용자정보저장부(240)에는 등록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정보 외에 그 장치를 이용하는 환자에 대한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입력부(250)는 사용자의 접속을 받아 사용자가 자신이 관리하는 각 장치에 대한 제어정보를 입력받고, 장치의 등록, 환자 정보 입력 등 각종 입력사항을 입력받는다.
도 4는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에 따라 흡인 압력을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출력부(260)는 사용자가 접속을 하는 경우, 사용자가 관리하는 각 장치의 상태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출력되게 한다.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상태정보는 센서부(120)로부터 측정된 음압, 공기누기량, 체액 배액량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도 5는 사용자(병원)측에 제공되는 출력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왼편에 그 병원에 등록된 환자의 리스트가 있으며, 그 리스트 중 하나의 환자를 선택하면 환자 상태(공기누기량, 음압, 배액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된다.
도 6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접속한 경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출력부(260)는 장치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각종 경보신호 등도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의 알람부(150)에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의 동작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면, 그 정보는 제1통신부(210)를 통하여 출력부(260)에 전송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접속이 되어 있지 않거나, 소정 시간 경보신호가 출력되었는데도 이에 대한 확인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출력부(260)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문자메시지, 메신저 메시지 등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션(Suction) 시간이 220초가 지나도록 설정된 목표 음압까지 도달하지 못하면 경보 신호가 출력되어 환자가 장치외 소모품의 결합 미비 등을 추측하여 장치 상태를 점검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공기 누기 범위가 5 lpm이 넘는 경우, 기본적인 음압의 설정범위를 초과하는 음압이 발생하는 경우, 배액병의 배액량이 기준값을 초과하여 배액병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전원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 등에 모두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장치제어부(270)는 입력부(250)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정보에 따라 장치를 제어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환자별로 각기 다른 제어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같은 환자의 경우에도 환자의 상태에 따라 흡입 압력(음압) 등 각기 다른 제어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장치제어부(270)는 사용자가 입력부(25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출력부(260)를 통하여 출력되는 환자의 실시간 상태정보를 보면서 장치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연결확인부(280)는 등록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들이 지속적으로 연결이 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가 소정 시간 이상 연결이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연결확인부(280)는 출력부(260)를 통하여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부(260)는 사용자가 접속이 되어 있지 않거나, 접속은 되어 있지만 경보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 시간이 흘렀는데도 이에 대한 확인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문자메시지, 메신저 메시지 등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서버에서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정보저장부(240)는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와 각 사용자가 등록한 장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701).
하나의 병원(사용자)에는 하나의 ID가 발급되며, 각 사용자는 자신의 환자들에게 제공되어 사용 중인 휴대용 체액배출장치, 즉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되어야 하는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등록한다.
사용자정보저장부(240)에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등록할 때에는 그 정보 외에 그 장치를 이용하는 환자에 대한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만약 사용자가 접속하여 입력부(250)를 통하여 등록된 장치에 대한 제어정보를 입력하면(702), 장치제어부(270)는 그 제어정보를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에 전송하여 그 제어정보에 따라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703).
한편,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가 전송한 상태 정보가 제1통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되면(704), 이 정보는 장치정보저장부(230)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접속하면 출력부(260)를 통하여 도 5 및 도 6 등과 같이 출력되게 한다(705).
만약,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의 알람부(150)가 장치의 음압, 공기 누기 범위 등의 이상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연결확인부(280)가 소정 시간 이상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와 연결이 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등,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706), 출력부(260)는 이 사실을 사용자의 단말기에 출력한다(707).
이 때, 사용자가 접속이 되어 있지 않거나, 경보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 시간이 지났는데도 이에 대한 확인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출력부(260)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문자메시지, 메신저 메시지 등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장치를 켜게 되면 통신부(110)는 제어서버(200)에 접속하게 된다(801).
만약 제어서버(200)에 사용자가 입력하여 둔 제어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그 정보가 수신되며(802), 제어부(130)는 그 제어정보에 따라 장치를 제어한다(803).
만약, 제어서버(200)에 새로 입력된 제어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장치 내에 기 설정된 제어정보에 따라 장치를 제어한다(804).
한편, 센서부(120)에 의해 측정된 상태정보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제어서버(200)에 전송된다(805).
만약, 알람부(150)가 장치의 음압, 공기 누기 범위 등의 이상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접속확인부(140)가 소정 시간 이상 통신연결이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등,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806), 알람부(150)는 경보신호를 출력한다(807).
알람부(150)에서 경보신호를 출력할 때에는, 접속이 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 제어서버(200)에도 그 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1)

  1.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와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원격제어하기 위한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는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상태를 측정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전송되도록 하는 센서부;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상기 제어서버에 접속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접속확인부; 및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상기 제어서버에 소정 시간 이상 접속 중이지 않은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저장부;
    상기 등록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장치정보저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제어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상태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제어되도록 하는 장치제어부; 및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소정 시간 이상 연결이 끊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연결확인부에 의해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와의 연결이 소정 시간 이상 끊어진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접속 중인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경보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확인이 없거나, 상기 사용자가 접속중이 아닌 경우에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문자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시스템.
  3.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와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원격제어하기 위한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는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상태를 측정하여 생성된 상태정보가 상기 제어버에 전송되도록 하는 센서부;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상기 제어서버에 접속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접속확인부; 및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상기 제어서버에 소정 시간 이상 접속 중이지 않은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시스템.
  4.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와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원격제어하기 위한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저장부;
    상기 등록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정보저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제어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100)의 상태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제어되도록 하는 장치제어부; 및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소정 시간 이상 연결이 끊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연결확인부에 의해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와의 연결이 소정 시간 이상 끊어진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접속 중인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경보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확인이 없거나, 상기 사용자가 접속중이 아닌 경우에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문자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시스템.
  6. 제어서버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될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등록받는 단계;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로부터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상태정보가 접속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소정 시간 이상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보신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은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소정 시간 이상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경보신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하였는데 소정 시간 이상 상기 사용자의 확인이 없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문자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제어정보를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
  9. 휴대용 체액배출장치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태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제어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소정 시간 이상 상기 제어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경보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은
    상기 제어서버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체액배출장치가 제어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024472A 2014-02-28 2014-02-28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150102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472A KR20150102829A (ko) 2014-02-28 2014-02-28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472A KR20150102829A (ko) 2014-02-28 2014-02-28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829A true KR20150102829A (ko) 2015-09-08

Family

ID=54243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472A KR20150102829A (ko) 2014-02-28 2014-02-28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28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8458B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JP7467575B2 (ja) 負圧傷治療の準拠使用を監視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8480641B2 (en) Negative pressure woun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CN107683149B (zh) 具有检测、反馈和可连接性特征的改进的母乳挤出系统
US9314207B2 (en) Device and method for authorizing the operation of a medical apparatus using a portable identification device carried by an operator
CN105771033A (zh) 基于多传感器融合的无线输液监测系统及监测方法
JP2021515618A (ja) 胸部ドレナージ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115349150A (zh) 通气机的基于接近的远程查看和控制
EP2932885B1 (en) A system for use in surgical procedures
CN104874049A (zh) 一种远程智能监控输液泵系统
CN103566436A (zh) 输液监控方法和输液监控系统
WO2023284392A1 (zh) 医用环境后勤保障监测系统
US20170270264A1 (en) Remote control of messages for a dialysis apparatus
US10276038B2 (en) Remote notification system for medical devices
JP2020534896A (ja) 創傷療法システムでのデバイス動作モニタリングおよび制御
KR20150102829A (ko)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체액배출장치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방법 및 시스템
CN103520801A (zh) 可无线传输的输液监控系统
US201601921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CN215083422U (zh) 基于人工智能的便携式流量精密监测装置
KR20100013527A (ko)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EP3669917B1 (en) Anesthesia machine exhaust emissio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Rocco Remote-controlled, wireless chest drainage system: an experimental clinical setting
US10453323B2 (en) Remote notification system for medical devices
CN204379865U (zh) 一种微型人体内环境检测装置及血液净化内环境的网络化在线检测装置
Chitra et al. Automatic flow control electrolyte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