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527A -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527A
KR20100013527A KR1020080075091A KR20080075091A KR20100013527A KR 20100013527 A KR20100013527 A KR 20100013527A KR 1020080075091 A KR1020080075091 A KR 1020080075091A KR 20080075091 A KR20080075091 A KR 20080075091A KR 20100013527 A KR20100013527 A KR 20100013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car
user
health information
identification number
unique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주
정태휴
정종욱
신규재
주영태
Original Assignee
에스알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알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알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5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3527A/ko
Publication of KR20100013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혈압, 체온, 맥박과 같은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를 통합관리서버가 실시간으로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보호자의 단말기 및 병원서버로 긴급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특징적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현재 혈압, 체온, 맥박을 측정하고, 측정한 건강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전동카로 송신하는 건강정보 측정장치; 상기 건강정보 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 및 고유식별번호를 통합관리서버로 실시간 송신하는 전동카; 및 상기 전동카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사용자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긴급알림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 및 병원서버로 송신하는 통합관리서버; 를 포함한다.
전동카, 모니터링, 건강정보

Description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REMOTE MONITORING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HE ELECTRIC MOTION CAR}
본 발명은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합관리서버가 사용자의 건강정보 및 전동카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보호자의 단말기 및 병원서버로 긴급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동카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이동수단으로서의 역할만을 수행해왔다. 현재, 주위의 보호를 필요로하는 이들에게 있어, 갑작스럽게 건강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한 응급구조 네트워크의 구축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응급상황에 대한 대책이 미비한 실태에 기인하여, 최근에는 보호 대상자들의 건강상태를 보호자 또는 병원으로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는 응급구조 서비스의 제공이 공통 문제로 회자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혈압, 체온, 맥박과 같은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를 통합관리서버가 실시간으로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보호자의 단말기 및 병원서버로 긴급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특징적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현재 혈압, 체온, 맥박을 측정하고, 측정한 건강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전동카로 송신하는 건강정보 측정장치; 상기 건강정보 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 및 고유식별번호를 통합관리서버로 실시간 송신하는 전동카; 및 상기 전동카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사용자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긴급알림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 및 병원서버로 송신하는 통합관리서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강정보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손목 또는 상완부를 포함하는 인체의 소정위치에 부착되는 바이오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동카는, 상기 건강정보 측정장치로부터 사용자 건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 및 고유식별번호를 상기 통합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전동카의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GPS부; 및 상기 통신부 및 GPS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건강정보 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건강정보와, 위성을 통해 취득한 전동카의 위치정보, 그리고 전동카의 고유식별번호를 통합관리서버로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전동카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 및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고, 보호자 단말기 및 병원서버로 긴급알림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전동카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사용자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기준치를 벗어낫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기준치를 벗어낫을 경우 긴급알림신호를 생성하는 긴급알림 판단부; 상기 전동카의 고유식별번호와,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따라 기 설정된 보호자의 단말기 및 병원서버의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알림대상 DB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카로부터 수신한 고유식별번호를 바탕으로 상기 알림대상 DB를 검색하여, 고유식별번호에 설정되어 있는 보호자의 단말기 및 병원서버의 정보를 추출하는 알림대상 검색부; 및 상기 통신부, 긴급알림 판단부 및 알림대상 검색부를 제어함으로써, 고유식별번호에 설정되어 있는 보호자 단말기 및 병원서버로 긴급알림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긴급알림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는,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건 강정보 및 전동카의 위치정보를 조회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건강정보 측정장치가 사용자의 현재 혈압, 체온, 맥박을 측정하여, 측정한 건강정보를 전동카로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전동카가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전동카의 현재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c) 상기 전동카가 상기 사용자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 그리고 전동카 고유의 식별번호를 통합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통합관리서버가 수신한 사용자 건강정보와 사용자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기준치를 벗어낫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의 판단결과, 기준치를 벗어난 경우 상기 통합관리서버가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긴급알림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f) 상기 통합관리서버가 상기 전동카로부터 수신한 고유식별번호를 바탕으로, 고유식별번호에 설정되어 있는 보호자의 단말기 및 병원서버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g) 상기 통합관리서버가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설정되어 있는 보호자 단말기 및 병원서버로 긴급알림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e-1) 상기 (d) 단계의 판단결과, 기준치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 상기 (a) 단계로 절차를 이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는 통합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언제든지 보호대상자의 위치 및 건강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보호대상자의 건강에 갑작스럽게 이상이 발생할 경우, 보호자 또는 병원에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S)에 관한 전체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정보 측정장치(100), 전동카(200), 통합관리서버(300), 보호자 단말기(400) 및 병원서버(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건강정보 측정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목 또는 상완부 등의 인체의 소정위치에 부착되는 바이오 센서로서, 사용자의 현재 혈압, 체온, 맥박 등을 측정하고, 측정한 건강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전동카(2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건강정보 측정장치(100)와 전동카(200)의 통신방식은, ZigBee, BlueTooth, RF 통신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카(200)에 관한 세부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카(200)의 기술적 사상은,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 및 고 유식별번호를 통합관리서버(30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하는 것인 바, 사용자 이동수단으로서의 전동카(200)의 일반적인 기타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주요 부분만을 도식화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카(200)는 통신부(210), GPS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건강정보 측정장치(100)로부터 사용자 건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 및 고유식별번호를 통합관리서버(3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동카(200)와 통합관리서버(300)와의 통신방식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ess) 통신 등으로 설정 가능하다.
GPS부(220)는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전동카의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30)는 상기 통신부(210) 및 GPS부(220)를 제어함으로써, 건강정보 측정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현재 건강정보와, 위성을 통해 취득한 전동카의 위치정보, 그리고 전동카의 고유식별번호를 통합관리서버(300)로 송신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통합관리서버(300)는 상기 전동카(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현재 건강정보와 사용자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긴급알림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400) 및 병원서버(500)로 송신하 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310), 긴급알림 판단부(320), 알림대상 검색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10)는 전동카(20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건강정보와, 전동카(200)의 위치정보 및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고, 보호자 단말기(400) 및 병원서버(500)로 긴급알림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긴급알림 판단부(320)는 전동카(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사용자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기준치를 벗어낫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기준치를 벗어낫을 경우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긴급알림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알림대상 검색부(330)는 전동카(200)의 고유식별번호와,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따라 기 설정된 보호자의 단말기(400) 및 병원서버(500)의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알림대상 DB(331)를 포함한다. 즉, 알림대상 검색부(330)는 전동카(200)로부터 수신한 고유식별번호를 바탕으로 알림대상 DB(331)를 검색하여, 고유식별번호에 설정되어 있는 보호자의 단말기(400) 및 병원서버(500)의 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340)는 통신부(310), 긴급알림 판단부(320) 및 알림대상 검색부(330)를 제어함으로써, 고유식별번호에 설정되어 있는 보호자 단말기(400) 및 병원서버(500)로 긴급알림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긴급알림신호는 사용자의 건강정보 및 전동카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로서, 상기 긴급알림신호를 수신한 보호자 단말기(400) 및 병원서버(500)는 사용자의 긴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함으로써 긴급출동 서비스를 지 원하거나 돌봄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보호자 단말기(400)는 통합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건강정보 및 전동카의 위치정보를 조회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시스템(S)을 이용한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방법에 관하여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 또는 상완부 등에 부착된 건강정보 측정장치(100)는 사용자의 현재 혈압, 체온, 맥박 등을 측정하여, 측정한 건강정보를 전동카(200)로 송신한다(S100).
전동카(200)의 GPS부(220)는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전동카의 현재 위치정보를 취득하며(S200), 제어부(230)는 건강정보 측정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건강정보와, 위성을 통해 취득한 전동카의 위치정보, 그리고 전동카 고유의 식별번호를 통신부(210)를 통해 통합관리서버(300)로 송신하도록 한다(S300).
통합관리서버(300)의 긴급알림 판단부(320)는 수신한 사용자 건강정보와 사용자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기준치를 벗어낫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0).
제 S400 단계의 판단결과, 기준치를 벗어난 경우 긴급알림 판단부(320)는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긴급알림신호를 생성하고(S500), 알림대상 검색부(330)는 전동카(200)로부터 수신한 고유식별번호를 바탕으로 알림 대상 DB(331)를 검색하여, 고유식별번호에 설정되어 있는 보호자의 단말기(400) 및 병원서버(500)의 정보를 추출한다(S600).
이후, 제어부(340)는 통신부(310)를 통해 고유식별번호에 설정되어 있는 보호자 단말기(400) 및 병원서버(500)로 긴급알림신호를 송신하도록 한다(S700).
한편, 제 S400 단계의 판단결과, 기준치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 제 S100 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카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서버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건강정보 측정장치 200: 전동카
210: 통신부 220: GPS부
230: 제어부 300: 통합관리서버
310: 통신부 320: 긴급알림 판단부
330: 알림대상 검색부 331: 알림대상 DB
340: 제어부 400: 보호자 단말기
500: 병원서버

Claims (10)

  1.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혈압, 체온, 맥박을 측정하고, 측정한 건강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전동카(200)로 송신하는 건강정보 측정장치(100);
    상기 건강정보 측정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 및 고유식별번호를 통합관리서버(300)로 실시간 송신하는 전동카(200); 및
    상기 전동카(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사용자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긴급알림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400) 및 병원서버(500)로 송신하는 통합관리서버(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정보 측정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목 또는 상완부를 포함하는 인체의 소정위치에 부착되는 바이오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카(200)는,
    상기 건강정보 측정장치(100)로부터 사용자 건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 및 고유식별번호를 상기 통합관리서버(300)로 송신하는 통신부(210);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전동카의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GPS부(220); 및
    상기 통신부(210) 및 GPS부(22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건강정보 측정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건강정보와, 위성을 통해 취득한 전동카의 위치정보, 그리고 전동카의 고유식별번호를 통합관리서버(300)로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300)는,
    상기 전동카(200)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전동카(200)의 위치정보 및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고, 보호자 단말기(400) 및 병원서버(500)로 긴급알림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310);
    상기 전동카(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사용자 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기준치를 벗어낫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기준치를 벗어낫을 경우 긴급알림신호를 생성하는 긴급알림 판단부(320);
    상기 전동카(200)의 고유식별번호와,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따라 기 설정된 보호자의 단말기(400) 및 병원서버(500)의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알림대상 DB(331)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카(200)로부터 수신한 고유식별번호를 바탕으로 상기 알림대상 DB(331)를 검색하여, 고유식별번호에 설정되어 있는 보호자의 단말기(400) 및 병원서버(500)의 정보를 추출하는 알림대상 검색부(330); 및
    상기 통신부(310), 긴급알림 판단부(320) 및 알림대상 검색부(330)를 제어함으로써, 고유식별번호에 설정되어 있는 보호자 단말기(400) 및 병원서버(500)로 긴급알림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부(3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알림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건강정보 및 전동카의 위치정보를 조회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7.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a) 건강정보 측정장치(100)가 사용자의 현재 혈압, 체온, 맥박을 측정하여, 측정한 건강정보를 전동카(200)로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전동카(200)가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전동카의 현재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c) 상기 전동카(200)가 상기 사용자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 그리고 전동카 고유의 식별번호를 통합관리서버(300)로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통합관리서버(300)가 수신한 사용자 건강정보와 사용자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기준치를 벗어낫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의 판단결과, 기준치를 벗어난 경우 상기 통합관리서버(300)가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긴급알림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f) 상기 통합관리서버(300)가 상기 전동카(200)로부터 수신한 고유식별번호를 바탕으로, 고유식별번호에 설정되어 있는 보호자의 단말기(400) 및 병원서버(500)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g) 상기 통합관리서버(300)가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설정되어 있는 보호자 단말기(400) 및 병원서버(500)로 긴급알림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e-1) 상기 (d) 단계의 판단결과, 기준치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 상기 (a) 단계로 절차를 이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정보 측정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목 또는 상완부를 포함하는 인체 소정부위에 부착된 바이오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알림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전동카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방법.
KR1020080075091A 2008-07-31 2008-07-31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13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091A KR20100013527A (ko) 2008-07-31 2008-07-31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091A KR20100013527A (ko) 2008-07-31 2008-07-31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527A true KR20100013527A (ko) 2010-02-10

Family

ID=4208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091A KR20100013527A (ko) 2008-07-31 2008-07-31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35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1362A (zh) * 2018-07-31 2018-10-26 成都大学 一种综合管理老年健康科普基地平台
US11372936B2 (en) 2013-04-15 2022-06-28 Autoconnect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a control function based on a user profile
US11379541B2 (en) 2013-04-15 2022-07-05 Autoconnect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a control function based on a user profi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2936B2 (en) 2013-04-15 2022-06-28 Autoconnect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a control function based on a user profile
US11379541B2 (en) 2013-04-15 2022-07-05 Autoconnect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a control function based on a user profile
US11386168B2 (en) * 2013-04-15 2022-07-12 Autoconnect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a control function based on a user profile
CN108711362A (zh) * 2018-07-31 2018-10-26 成都大学 一种综合管理老年健康科普基地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3788B2 (en) Earpiece life monitor with capability of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4706040B2 (ja) 生命危機緊急通報システム
KR101090086B1 (ko) 생체신호 측정단말기, 이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응급구호 시스템
EP3084656B1 (en) Method for responding to a detected fall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RU2454924C2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жизненно важных показателей здоровья пациента
EP1589462A2 (en) Method of managing health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EP0880936A2 (en) Monitoring physical condition of a patient by telemetry
RU101347U1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жизненно важных показателей здоровья и оказания экстренной помощи пациенту
KR101648076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독거 노인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0788A (ko) 거동이 불편한 자, 장애인 및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6476124B2 (ja) 身体機能および/または身体特性をモニタするための装置ならびに方法
KR100916483B1 (ko)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309791A (ja) 作業者監視システム
KR20160101508A (ko) 독거노인 위급상황 관리시스템
KR100692803B1 (ko) 위치 기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13527A (ko) 전동카를 이용한 사용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96978B1 (ko) 환자 안전을 위한 위치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1157401B1 (ko) 무전기 통신을 이용한 생체신호 응급 전송 시스템
KR101744246B1 (ko) 마스크를 이용한 위치추적방법 및 시스템
KR100787148B1 (ko) 신체상태 무인 송출시스템
JP2012100005A (ja) 携帯端末、健康管理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を用いた健康管理方法
Kapoor et al. Intelligent ambulance with automatic traffic control
US11087613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n emergency event
CN109716412A (zh) 用于监视至少一个用户的身体状况的系统以及用于监视用户的身体状况的方法
KR101997225B1 (ko)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