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698A - Unraveling prevention method for knitted fabric - Google Patents
Unraveling prevention method for knitted fabric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2698A KR20150102698A KR1020150026214A KR20150026214A KR20150102698A KR 20150102698 A KR20150102698 A KR 20150102698A KR 1020150026214 A KR1020150026214 A KR 1020150026214A KR 20150026214 A KR20150026214 A KR 20150026214A KR 20150102698 A KR20150102698 A KR 201501026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itch
- knitting
- knitted fabric
- stitches
- yar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lass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6—Non-run fabrics or articl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종래보다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편성포의 풀림방지를 할 수 있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제1편사(1)에 의한 종단 스티치(12)에 대하여 제1편사(1)로 마무리 스티치(14)를 편성하는 공정 α와, 종단 스티치(12)의 근방의 편침을 사용하여 제2편사(2)로 폐기 편성포(20)를 편성하는 도중에 당해 제2편사(2)로 마무리 스티치(14)에 폐기 편성포(20)를 결합하는 결합 스티치(23)를 편성하는 공정 β와, 결합 스티치(23)에 연속해서 폐기 편성포(20)를 계속해서 편성하는 공정 γ를 구비한다. 공정 β는, 마무리 스티치(14)에 대하여 스플릿 스티치를 하는 공정 β1과, 스플릿 스티치에서 편성된 신규 스티치(22)에 대하여 결합 스티치(23)를 편성하고 마무리 스티치(14)의 일방의 싱커루프(14a)에 신규 스티치(22)의 양 싱커루프를 교차시키는 공정 β2를 구비하여도 좋다. 공정 γ는, 결합 스티치(23)와 폐기 편성포(20)의 기존 스티치(26)로 더블 스티치(24)를 형성하는 공정 γ1과, 더블 스티치(24)에 연속해서 폐기 편성포(20)를 계속해서 편성하는 공정 γ2를 구비하여도 좋다.[PROBLEMS] To provide a method of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ed fabric which can be more simply and reliably prevented from unwinding a knitted fabric.
A method for knitting a finishing stitch (14) with a first knitting yarn (1)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stitch (12) by a first knitting yarn (1) A step of knitting a joining stitch 23 for joining the waste knitted fabric 20 to the finishing stitch 14 with the second knitting yarn 2 while knitting the waste knitted fabric 20 with the second knitting yarn 2 And a step of continuously knitting the waste knitted fabric 20 in succession to the engaging stitch 23. The process β includes a step of performing split stitching with respect to the finishing stitch 14 and a step of forming a binding stitch 23 for the new stitch 22 knitted in the split stitch, 14a may be provided with a step? 2 for crossing the shearer loop of the new stitch 22. Process γ includes a process γ1 of forming double stitches 24 with the existing stitches 26 of the bonded stitches 23 and the disused knitted fabric 20 and the process γ1 of forming the double stitches 24 And a step? 2 for continuously knitt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編成布)를 편성한 후에 편성포의 종단 스티치(終端 stitch)로부터 편성포가 풀어지지 않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ed fabric in which a knitted fabric is not loosened from a terminal stitch of a knitted fabric after a knitted fabric is knitted using a weft knitting machine.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한 후에, 그 편성포의 웨일방향(wale方向)의 종단 스티치로부터 편성포가 풀어지지 않도록 풀림방지를 할 필요가 있다. 편성을 끝낸 편성포를 횡편기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편성포의 종단 스티치(코빼기 처리(bind-off 處理)를 한 경우에는, 코빼기의 최종 스티치)로부터 횡편기의 급사구(給絲口)로 연장되는 편사(編絲)를 절단하지만, 편사의 절단 끝이 잡아 당겨지면 종단 스티치로부터 스티치가 연쇄적으로 풀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종래에는 풀림방지를 실시하고 싶은 스티치가 되는 종단 스티치에 대하여 스티치를 여러 번 반복해서 편성하여, 폐기 편성포(廢棄 編成布)를 편성한 후에 편사를 절단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그렇게 함으로써 가령 절단 끝이 잡아 당겨져도, 우선 폐기 편성포의 스티치가 풀어지기 때문에 제품이 되는 편성포의 스티치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폐기 편성포의 뒤처리는, 편사의 절단후에 수작업(手作業)으로 폐기 편성포만을 풀어, 절단 끝을 종단 스티치 안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하고 있다.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knitted fabric from being loosened from the stitches in the wale direction (wale direction) of the knitted fabric after knitting the knitted fabric using the flat knitting machine. (In the case of a bind-off treatment, the final stitch of the knitting machine) in order to separate the knitted fabric from the knitting machine from the knitting machine, to the yarn feeder opening of the weft knitting machine The knitting yarn is cut, but if the cutting end of the knitting yarn is pulled out, the stitches are loosely released from the longitudinal stitches. Therefore, in the past, the stitches are repeatedly knitted to the end stitches to be loosened, and the knitting yarns are cut after knitting the waste knitted fabrics (for example, see
특허문헌1의 기술에서는, 수작업으로 폐기 편성포를 풀 때에 종단 스티치(코빼기의 최종 스티치) 직전까지 풀어서 멈추는 것이 어려워, 편성포의 스티치도 풀어지게 되어버릴 우려가 있다.In the technique of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중 하나는 종래보다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편성포의 풀림방지를 할 수 있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one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ed fabric which is simpler and more reliable than that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은,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와, 니들베드에 제1편사 및 제2편사의 각각을 급사하는 제1급사구 및 제2급사구를 가지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트랜스퍼가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한 후에, 그 편성포의 종단 스티치에 풀림방지처리를 실시하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있어서 이하의 공정 α∼공정 γ를 구비한다.The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needle beds at least before and after, a first feeding opening and a second feeding opening for feeding each of the first knitting yarn and the second knitting yarn to the needle bed, In the method for preventing unwinding of a knitting fabric in which a knitting yarn is knitted by using a knitting machine capable of transferring stitches between beds and the knitting stitches of the knitting stitches are subjected to a loosening preventing process, do.
[공정 α]… 상기 제1편사로 편성되는 편성포 중에서,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종단 스티치에 대하여 제1편사로 마무리 스티치를 편성한다.[Process alpha] ... The finishing stitch is knitted with the first knitting yar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stitches coupled to the needle bed among the knitting fabrics knitted with the first knitting yarn.
[공정 β]… 상기 종단 스티치의 근방의 편침을 사용하여 제2편사로 폐기 편성포를 편성하는 도중에 있어서, 당해 제2편사로 상기 마무리 스티치에 폐기 편성포를 결합하는 결합 스티치를 편성한다.[Process beta] ... A binding stitch for binding the waste knitted fabric to the finishing stitch is knitted by the second knitting yarn in the course of knitting the waste knitted fabric with the second knitting yarn using the knitting needle near the longitudinal stitch.
[공정 γ]… 상기 결합 스티치에 연속해서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하여 폐기 편성포를 계속해서 편성한다.[Process γ] ... A new stitch is knitted continuously to the engagement stitch to continue knitting the waste knitted fabric.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의 1형태로서, 상기 공정 β는 이하의 공정 β1과 공정 β2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 γ는 이하의 공정 γ1과 공정 γ2를 구비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As one form of the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the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1 and? 2, and the step?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1 and? 2.
[공정 β1]… 상기 마무리 스티치를 대향하는 니들베드로 트랜스퍼함과 아울러 상기 제2편사를 상기 마무리 스티치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마무리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었던 편침에 신규 스티치를 편성하는 스플릿 스티치를 한다.[Process? 1] ... The finishing stitch is taken out from the finishing stitch together with the opposite needle bed transfer case and the split knitting is performed for knitting a new stitch on the knitting needle to which the finishing stitch is attached.
[공정 β2]… 상기 신규 스티치에 대하여 상기 제2편사로 상기 결합 스티치를 편성하고, 상기 마무리 스티치의 일방의 싱커루프에 대하여 상기 신규 스티치의 양 싱커루프를 교차시킨다.[Process? 2] ... Knitting the engaging stitch with the second knitting yarn with respect to the new stitch, and crossing the shearer loops of the new stitch with respect to one of the sinker loops of the finishing stitch.
[공정 γ1]… 상기 결합 스티치를 폐기 편성포의 기존 스티치와 포개서 더블 스티치를 형성한다.[Process? 1] ... The engaging stitch is superposed on the existing stitch of the waste knitted fabric to form a double stitch.
[공정 γ2]… 상기 더블 스티치에 연속해서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하여 폐기 편성포를 계속해서 편성한다.[Process γ2] ... A new stitch is continuously knitted in succession to the double stitch to continuously knit the waste knitted fabric.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의 1형태로서, 상기 제1편사와 상기 제2편사는 서로 다른 색인 형태를 들 수 있다.
As one form of the loosening prevention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knitting yarn and the second knitting yarn may have different index shapes.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의하면, 종단 스티치에 대하여 편성된 마무리 스티치에 폐기 편성포를 결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종단 스티치(코빼기 처리를 한 경우에는, 코빼기의 최종 스티치)로부터 연장되는 제1편사의 절단 끝이 잡아 당겨져도 종단 스티치의 루프(loop)에 폐기 편성포가 걸려서 종단 스티치로부터 스티치가 풀어지지 않는다. 제1편사의 절단 끝은, 편성포 및 폐기 편성포를 횡편기로부터 분리한 후에 폐기 편성포를 잡아당김으로써 종단 스티치의 안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때에 마무리 스티치만이 풀어지고 제1편사가 종단 스티치에 얽힌 상태로 되기 때문에, 편성포가 풀어지는 것은 거의 없어진다. 제1편사의 절단 끝을 종단 스티치 안으로부터 인출하여 풀림방지가 완성되면, 폐기 편성포는 필요 없다. 본 발명의 풀림방지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편성포에서는, 폐기 편성포의 단부(端部)(편성시작측 또는 편성종료측 중에서 적어도 일방(一方))를 잡아당김으로써 폐기 편성포를 용이하게 편성포(제1편사)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unwinding prevention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ste knitted fabric is bonded to the finishing stitch knitted to the end stitch, the first knitted fabric extending from the end stitch (the final stitch in the case where the knitting process is performed, Even if the cutting end of the knitting yarn is pulled, the knitted fabric is caught in the loop of the end stitch and the stitch is not loosened from the end stitch. The cutting end of the first knitting yarn can be easily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longitudinal stitch by pulling the waste knitted fabric after separating the knitted fabric and the waste knitted fabric from the weft knitting machine. At this time, since only the finishing stitch is released and the first knitting yarn is entangled with the longitudinal stitch, the knitted fabric is hardly released. When the cutting end of the first knitting yarn is pulled out from the inside of the longitudinal stitch to prevent loosening, a waste knitted fabric is not necessary. In the knitted fabric obtained by the release preven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woven fabric (at least one of the knitting start side and the knitting end side) is pulled, The first knitting yarn).
공정 β에서 공정 β1 및 공정 β2를 실시하고, 공정 γ에서 공정 γ1 및 공정 γ2를 실시함으로써, 마무리 스티치의 일방의 싱커루프에 제2편사가 얽히는 것에 의한 폐기 편성포의 결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마무리 스티치(제1편사에 의한 편성포)에 대하여 제2편사로 다시 결합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제1편사의 절단 끝을 종단 스티치의 안으로부터 인출하는 작업을 하기 쉽고, 폐기 편성포를 편성포(제1편사)로부터 제거하는 작업도 하기 쉽다.Since the process? 1 and the process? 2 are carried out in the process? And the process? 1 and the process? 2 are carried out in the process?, The waste knitted fabric can be combined by entangling the second knitting yarn into one sinker loop of the finishing stitch, The finishing stitch (the knitted fabric by the first knitting yarn) does not need to be joined again to the second knitting yarn. Therefore, it is easy to take out the cut end of the first knitting yarn from the inside of the longitudinal stitch, and it is easy to remove the waste knitted fabric from the knitted fabric (first knitting yarn).
제1편사와 제2편사가 서로 다른 색임으로써, 편성포와 폐기 편성포의 구별을 하기 쉽다. 마무리 스티치에 서로 다른 색인 폐기 편성포가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폐기 편성포를 마무리 스티치의 마크(mark)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종단 스티치의 마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편사의 절단 끝을 종단 스티치의 안으로부터 인출하는 작업을 하기 쉽다. 또한 폐기 편성포를 편성포(제1편사)로부터 제거하는 작업도 하기 쉽다.
The first knitting yarn and the second knitting yarn are different colors, and it is easy to distinguish the knitted fabric from the waste knitted fabric. Since the different knitted fabric is bonded to the finishing stitch, the waste knitted fabric can be used as a mark of the finishing stitch, and further, it can be used as a mark of the end stitch. Therefore, it is easy to draw the cut end of the first knitting yarn from the inside of the longitudinal stitch. It is also easy to remove the waste knitted fabric from the knitted fabric (first knitting yarn).
도1은,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의해 편성된 종단 스티치 근방의 편성포 및 폐기 편성포의 편사의 상태를 나타내는 루프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knitting process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ed fabric according to
Fig. 2 is a loop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knitting yarn of the knitted fabric and the waste knitted fabric in the vicinity of the longitudinal stitch knitted by the loosening preventing method of the knitting fabric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이하에서는, 통모양 편성포(筒狀 編成布)를 편성하고, 그 통모양 편성포의 최종 스티치열(最終 stitch列)에 코빼기 처리(bind-off 處理)를 실시한 후에 하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knitting a tubular knitted fabric and performing a binding-off treatment on the final stitch row of the tubular knitted fabric (final stitch row) As an example, a method of preventing unwinding of a knitted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실시형태1>≪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도1 및 도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1에 기재된 편성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함과 아울러 적어도 일방(一方)의 니들베드가 래킹(racking) 가능한 2베드 횡편기(2-bed 橫編機)를 사용했다. 이 횡편기에 구비되는 편침(編針)은, 편침의 측면에 트랜스퍼용의 날개를 구비하지 않고, 훅(hook)을 가지는 바늘본체와 훅을 개폐하는 2매의 블레이드(blade)를 가지는 슬라이더(slider)를 구비하고, 2매의 블레이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반송을 할 수 있는 복합바늘이다. 또 사용하는 횡편기는 4베드 횡편기이더라도 좋다.A method of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ed fabric according to
도1은,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1의 좌란(左欄)의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우란(右欄)은 각 편성공정에 있어서 니들베드의 편성상태를 나타낸다. 우란에 있어서, FB는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를, BB는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를 나타내고, A∼S의 흑점은 편침, 검은색 동그라미는 그 편성공정에서 편성된 스티치, 흰색 동그라미는 편침에 결합되는 구스티치(舊stitch), 2중 동그라미는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 역V는 픽업 스티치(pickup stitch), 역삼각형은 급사구(給絲口)를 나타낸다. 또 스티치의 이동시에 이루어지는 FB, BB의 상대적인 래킹동작의 설명은 생략하고, 사용하는 바늘수는 실제의 편성보다 적게 하고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knitting process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ed fabric according to
S1에서는, 제1급사구(第1給絲口)(6)로부터 급사되는 제1편사(第1編絲)(1)로 편성된 통모양 편성포(10)의 최종코스(最終course)의 스티치열에 코빼기 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에서는 BB의 편침(G)∼편침(S) 및 FB의 편침(S)∼편침(G)에 통모양 편성포(10)의 종단 스티치열(終端 stitch列)이 결합되어 있다. 즉 여기에서 말하는 통모양 편성포(10)의 종단 스티치(12)(도2를 참조)는, FB의 편침(G)에 결합되는 스티치이다. 코빼기 처리는, 우선 BB의 편침(G)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인접하는 BB의 편침(I)에 결합되는 스티치에 포개서 더블 스티치를 형성하고, 이 더블 스티치에 계속해서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이 새로운 스티치의 형성에 의하여 더블 스티치가 편침으로부터 제거된다. 그리고 새로운 스티치를 BB의 편침(S)에 결합되는 스티치까지 동일한 순서로 반복한다. 그리고 편침(S)에 형성된 더블 스티치에 이어지는 새로운 스티치를 FB의 편침(S)에 결합되는 스티치에 포개고, 동일한 편성을 FB의 편침(G)에 결합되는 스티치까지 반복한다(S1∼S4를 참조).In S1, the yarn diameter of the tubular knitted
S2에서는, 상기한 통모양 편성포(10)의 코빼기 처리의 도중에 통모양 편성포(10)의 종단 스티치 근방의 공침(空針)을 사용하여, 제2급사구(8)로부터 급사되는 제2편사(2)로 폐기 편성포(廢棄 編成布)(20)(도2를 참조)의 편성시작부(編成始作部)를 편성한다. 편성시작부는, 도1의 좌측으로부터 우측방향을 향해서 제2급사구(8)를 이동시켜 편침(A)에 일방의 픽업 스티치(21)를 편성하고, 제2급사구(8)를 일단 편침(C)을 통과시켜서 도1의 우측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제2급사구(8)를 되돌려서 편침(C)에 타방(他方)의 픽업 스티치(21)를 편성하고 있다. 폐기 편성포(20)의 편성시작부의 스티치수(stitch數)는 예를 들면 1∼4 스티치 정도를 들 수 있다.The yarn is fed from the second feeding opening 8 to the second
S3에서는, 제1편사(1)로 통모양 편성포(10)에 대하여 코빼기 처리를 계속함과 동시에, 제2편사(2)로 폐기 편성포(20)를 편성한다. 편성시작부에 이어지는 폐기 편성포(20)의 편성에 있어서 후술하는 결합 스티치(結合 stitch)(23)까지의 편성은, 복수 코스(4코스∼30코스 정도)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가령 폐기 편성포(20)의 편성시작부에 연결되는 제2편사(2)가 잡아 당겨져도, 이 복수 코스의 스티치가 풀어지기 때문에 후술하는 결합 스티치(23)까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S3, the
S4에서는, 통모양 편성포(10)의 종단 스티치(12)에 대하여 제1편사(1)로 마무리 스티치(14)를 편성한다(본 발명의 공정 α에 상당(相當)). 여기에서는 통모양 편성포(10)에 코빼기 처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종단 스티치(12)의 이웃의 스티치에 형성된 더블 스티치에 편성된 새로운 인접 코빼기(隣接 bind-off)(11)(도2를 참조)를 종단 스티치(12)에 포개서 더블 스티치를 형성하고, 이 더블 스티치에 계속해서 마무리 스티치(14)를 편성한다. 이때에 통모양 편성포(10)는, 마무리 스티치(14)만이 FB의 편침(G)에 결합된 상태이다. 폐기 편성포(20)는, BB의 편침(C, A)에 스티치가 결합된 상태이다.In S4, the finishing
S4의 마무리 스티치(14)의 편성(공정 α)과, S2에 있어서의 폐기 편성포(20)의 편성시작의 편성은, 순서가 반대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통모양 편성포(10)의 코빼기 처리후에 종단 스티치(12)에 마무리 스티치(14)를 편성하고(공정 α), 이 마무리 스티치(14)를 편침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폐기 편성포(20)의 편성시작부를 편성하여, 폐기 편성포(20)를 복수 코스 편성한다.The order of the knitting (step?) Of the finishing
S5에서는, 제2편사(2)로 폐기 편성포(20)를 편성하는 도중에, 그 제2편사(2)로 마무리 스티치(14)에 있어서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를 한다. 폐기 편성포(20)에 있어서 BB의 편침(A, C)에 결합된 스티치를 FB의 편침(A, C)으로 트랜스퍼하고, 제2편사(2)를 급사하는 제2급사구(8)를 좌측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트랜스퍼된 FB의 편침(A, C)의 스티치에 연속해서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한다. 그 후에 제2급사구(8)를 우측방향으로 더 이동시켜서, 마무리 스티치(14)를 BB의 편침(G)으로 트랜스퍼하면서 제2편사(2)를 마무리 스티치(14)로부터 인출하여, FB의 편침(G)에 신규 스티치(新規 stitch)(22)를 편성한다(본 발명의 공정 β1에 상당).In step S5, during the knitting of the waste knitted
S6에서는, BB의 편침(G)으로 트랜스퍼된 마무리 스티치(14)를 FB의 편침(H)으로 트랜스퍼하고, 제2급사구(8)를 마무리 스티치(14)보다 좌측까지 이동시킨다. 이때에 마무리 스티치(14)를 트랜스퍼하는 편침은, 신규 스티치(22)가 결합되는 편침(G) 이외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신규 스티치(22)가 결합된 FB의 편침(G)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각각 3바늘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In step S6, the finishing
S7에서는, FB의 편침(H)으로 트랜스퍼된 마무리 스티치(14)를 BB의 편침(G)으로 이동시켜 되돌린 후에, 제2급사구(8)를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신규 스티치(22)에 대하여 제2편사(2)로 결합 스티치(23)를 편성한다(본 발명의 공정 β2에 상당). 이때에 마무리 스티치(14)의 좌측의 싱커루프(sinker loop)(14a)(도2를 참조)에 대하여 신규 스티치(22)의 양 싱커루프가 교차된 상태로 된다.The finishing
S8에서는, FB의 편침(G)에 결합되는 결합 스티치(23)를 BB의 편침(E)으로 트랜스퍼하고, FB의 편침(A, C)에 결합되는 폐기 편성포(20)의 스티치를 BB의 편침(C, E)으로 트랜스퍼한다. 즉 결합 스티치(23)와 폐기 편성포(20)의 기존 스티치(旣存 stitch)(26)를 포개서 더블 스티치(24)를 형성한다(본 발명의 공정 γ1에 상당). S9에서는, 제2급사구(8)를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더블 스티치(24)에 연속해서 제2편사(2)로 고정 스티치(固定 stitch)(25)를 편성하여, 폐기 편성포(20)를 계속해서 더 편성한다(본 발명의 공정 γ2에 상당).In S8, the binding
그 후에 결합 스티치(23)에 이어지는 폐기 편성포(20)의 편성은, 복수 코스(4코스∼30코스 정도)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가령 폐기 편성포(20)의 편성이 끝난 후에 제2편사(2)의 절단 끝이 잡아 당겨져도, 이 여러 코스의 스티치가 풀어지기 때문에 결합 스티치(23)까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 스티치(23)를 폐기 편성포(20)의 전체 코스수(course數)의 중간이 되도록 편성함으로써, 편성시작 또는 편성종료 중에서 어느 쪽으로부터 풀어지더라도 모두 어느 정도의 폐기 편성포(20)를 가지기 때문에, 결합 스티치(23)까지의 풀어짐을 더 방지할 수 있다.The knitting of the waste knitted
그 후에 통모양 편성포(10)의 마무리 스티치(14)에 대하여 폐기 편성포(20)가 결합 스티치(23)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마무리 스티치(14)로부터 제1급사구(6)로 연장되는 제1편사(1)를 절단한다. 이 절단은, 니들베드의 단부(端部)에 설치된 편사 지지절단장치(編絲 支持切斷裝置)(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마무리 스티치(14)를 BB의 편침(G)으로부터 제거하고, 또한 폐기 편성포(20)의 최종 스티치열을 편침(C, E)으로부터 제거한다.The finishing
이상의 방법에 의해 편성된 편성포에 있어서 종단 스티치(12) 근방의 폐기 편성포(20)의 편사의 상태를 도2에 나타낸다. 폐기 편성포(20)는, 통모양 편성포(10)에 있어서 마무리 스티치(14)의 일방의 싱커루프(14a)에만 제2편사(2)가 걸림으로써 통모양 편성포(10)에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1편사(1)의 절단 끝(10e)이 잡아 당겨졌다고 하여도, 종단 스티치(12)의 루프에 폐기 편성포(20)가 걸리기 때문에 종단 스티치(12)로부터 스티치가 풀어지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수작업(手作業)으로 폐기 편성포(20)를 잡아당기면, 제1편사(1)의 절단 끝(10e)은 종단 스티치(12) 안으로부터 인출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마무리 스티치(14)만이 풀어지고, 제1편사(1)가 종단 스티치(12)에 얽힌 상태가 되어 통모양 편성포(10)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편사(1)의 절단 끝(10e)을 종단 스티치(12) 안으로부터 인출하여 풀림방지가 완성되면, 수작업으로 폐기 편성포(20)의 편사의 단부를 잡아당겨 폐기 편성포(20)를 통모양 편성포(10)(제1편사(1))로부터 제거한다.2 shows the state of the knitted
여기에서는 통모양 편성포(10)의 최종 스티치열에 코빼기 처리한 후에 하는 풀림방지를 설명했지만, 편성포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편성포의 종단 스티치에 풀림방지를 할 때에 본 실시형태는 이용할 수 있다.Although description has been given here of the prevention of unwinding after the final stitch row of the tubular knitt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편사(1)와 제2편사(2)는, 색이나 종류가 서로 다른 편사를 이용할 수 있다. 제2편사(2)를 제1편사(1)와 다른 색으로 함으로써 통모양 편성포(10)와 폐기 편성포(20)의 구별을 하기 쉽다. 또한 제2편사(2)를 탄성사(彈性絲)로 함으로써 폐기 편성포(20)가 구슬모양의 덩어리로 되기 쉬워, 폐기 편성포(20)를 더 풀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통모양 편성포(10)에 코빼기 처리를 하면, 최종적으로 편침에 결합되는 스티치는 종단 스티치(12)에 편성된 마무리 스티치(14)만이 되어, 통모양 편성포(10)의 자체 중량에 의해 마무리 스티치(14)의 루프가 끊어질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무리 스티치(14)에 결합 스티치(23)를 통하여 폐기 편성포(20)가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마무리 스티치(14)에 걸리는 장력(張力)을 결합 스티치(23)에 분산시킬 수 있다. 폐기 편성포(20)가 탄성사에 의하여 구성됨으로써, 편성포가 내려갈 때에 받는 장력이나 진퇴 동작하는 바늘로부터 받는 마찰력(摩擦力)에 충분하게 저항할 수 있어, 통모양 편성포(10)를 더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변형예1-1><Modified Example 1-1>
실시형태1에서는, 트랜스퍼용의 날개를 가지지 않는 복합바늘(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3085657호 공보 등을 참조)을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했을 경우의 풀림방지방법을 설명했다. 이에 대하여 날개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도 풀림방지를 할 수 있다. 날개바늘은, 그 일방의 측면에 트랜스퍼용의 날개를 구비한 래치바늘(latch needle)(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5032822호 공보를 참조)이나 복합바늘(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5-78962호 공보 등을 참조)로서, 그 날개를 통하여 대향하는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트랜스퍼를 하는 구조를 구비한다. 그 때문에 대향하는 니들베드에 있어서 날개바늘의 훅 상호간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약간 어긋나 있다. 이 어긋남에 의하여, 날개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스플릿 스티치를 한 경우에(실시형태1의 도1의 S5), 마무리 스티치의 일방의 근원(root)에 신규 스티치의 양 싱커루프가 휘감긴다. 즉 스플릿 스티치를 하면 마무리 스티치의 일방의 싱커루프에 신규 스티치가 걸린 상태로 되기 때문에, 실시형태1의 S6 및 S7에서 했던 마무리 스티치를 이동시켜서 되돌리는 것과 제2급사구의 이동(되돌림)을 생략할 수 있다.In
<실시형태2>≪
실시형태1에서는, 마무리 스티치(14)의 일방의 싱커루프(14a)에 제2편사(2)를 휘감음으로써 마무리 스티치(14)에 폐기 편성포(20)를 결합하여 풀림방지를 했다. 마무리 스티치에 폐기 편성포를 결합하는 별도의 방법으로서, 마무리 스티치와 폐기 편성포의 기존 스티치를 포개서 더블 스티치를 형성하고, 이 더블 스티치에 연속해서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하여 더블 스티치를 고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실시형태2는, 결합 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 β 및 결합 스티치에 연속해서 폐기 편성포를 편성하는 공정 γ가 실시형태1과 다르고, 다른 공정에 관해서는 실시형태1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도1의 편성공정도를 참조하면서 실시형태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실시형태2에서는, 도1의 S5에 있어서 폐기 편성포의 편성에서 BB의 편침(A, C)에 결합된 스티치를 FB의 편침(A, C)으로 트랜스퍼하고, 제2편사를 급사하는 제2급사구(8)를 좌측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트랜스퍼된 FB의 편침(A, C)의 스티치에 연속해서 제2편사로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한다. 마무리 스티치에 대한 편성은 하지 않는다. 다음에 FB의 편침(G)에 결합되는 마무리 스티치를 BB의 편침(E)으로 트랜스퍼하고, FB의 편침(A, C)에 결합되는 폐기 편성포의 스티치를 BB의 편침(C, E)으로 트랜스퍼한다. 즉 마무리 스티치와 폐기 편성포의 기존 스티치를 포개서 더블 스티치를 형성한다. 이 더블 스티치에 연속해서 새로운 스티치(결합 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마무리 스티치에 폐기 편성포를 결합할 수 있다(본 발명의 공정 β에 상당). 결합 스티치에 연속해서 제2편사로 폐기 편성포를 계속해서 더 편성한다(본 발명의 공정 γ에 상당).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titches bonded to the knitting needles A and C of the BB are transferred to the knitting needles A and C of the FB in the knitting of the waste knitted fabric in S5 of Fig. 1, The
실시형태2의 방법에 의한 풀림방지방법에 있어서도, 상기 더블 스티치가 결합 스티치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폐기 편성포는 통모양 편성포에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1편사의 절단 끝이 잡아 당겨졌다고 하여도, 종단 스티치의 루프에 폐기 편성포가 걸리기 때문에 종단 스티치로부터 스티치가 풀어지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수작업으로 폐기 편성포를 잡아당기면, 제1편사의 절단 끝은 종단 스티치의 안으로부터 인출된다. 폐기 편성포를 통모양 편성포로부터 제거하는 작업도, 실시형태1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Also in the unwinding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 method of
1 ; 제1편사 10 ; 편성포(통모양 편성포) 10e ; 절단 끝
11 ; 인접 코빼기 12 ; 종단 스티치
14 ; 마무리 스티치 14a ; 싱커루프
2 ; 제2편사 20 ; 폐기 편성포
21 ; 픽업 스티치(편성시작부) 22 ; 신규 스티치 23 ; 결합 스티치
24 ; 더블 스티치 25 ; 고정 스티치 26 ; 기존 스티치
6 ; 제1급사구 8 ; 제2급사구One ; A
11;
14; Finishing
2 ; A
21; Pick-up stitch (knitting start portion) 22; New stitches 23; Joining stitch
24;
6;
Claims (3)
상기 제1편사로 편성되는 편성포 중에서,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종단 스티치에 대하여 제1편사로 마무리 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 α와,
상기 종단 스티치의 근방의 편침(編針)을 사용하여 제2편사로 폐기 편성포(廢棄 編成布)를 편성하는 도중에 있어서, 상기 제2편사로 상기 마무리 스티치에 폐기 편성포를 결합하는 결합 스티치(結合 stitch)를 편성하는 공정 β와,
상기 결합 스티치에 연속해서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하여 폐기 편성포를 계속해서 편성하는 공정 γ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At least a pair of front and rear needle beds, a first feeding opening (first feeding opening) for feeding the first knitting yarn (first knitting yarn) and the second knitting yarn to the needle bed, After a knitting fabric is knitted using a wef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transferring stitches between front and rear needle beds with a second class sand dune, A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ing fabric that performs unraveling prevention treatment on a stitch (terminal stitch)
A step a of knitting a finishing stitch with the first knitting yar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stitches coupled to the needle bed among the knitting fabrics knitted with the first knitting yarn,
Wherein during the course of knitting a waste knitted fabric with a knitting needle in the vicinity of the longitudinal stitch, the second knitting yarn is knitted with the knitting stitches stitch,
A step of knitting a new stitch in succession to the engagement stitch to continuously knit the waste knitted fabric
Thereby preventing loosening of the knitted fabric.
상기 공정 β는,
상기 마무리 스티치를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로 트랜스퍼함과 아울러 상기 제2편사를 상기 마무리 스티치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마무리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었던 편침에 신규 스티치(新規 stitch)를 편성하는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를 하는 공정 β1과,
상기 신규 스티치에 대하여 상기 제2편사로 상기 결합 스티치를 편성하고, 상기 마무리 스티치의 일방(一方)의 싱커루프(sinker loop)에 대하여 상기 신규 스티치의 양 싱커루프를 교차시키는 공정 β2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 γ는,
상기 결합 스티치를 폐기 편성포의 기존 스티치(旣存 stitch)와 포개서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를 형성하는 공정 γ1과,
상기 더블 스티치에 연속해서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하여 폐기 편성포를 계속해서 편성하는 공정 γ2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
The needle thread transfer box having the finishing stitch facing thereto and the second knitting yarn drawn out from the finishing stitch to form a split stitch split to knit a new stitch on the knitting needle to which the finishing stitch has been joined stitching step < RTI ID = 0.0 >
A step S2 of knitting the binding stitch with the second knitting yarn with respect to the new stitch and crossing the sinker loop of the new stitch with one sinker loop of the finishing stitch
Respectively,
The process?
A step? 1 of forming a double stitch by superimposing the engaging stitch on an existing stitch of a waste knitted fabric,
A step S2 for knitting a new stitch in succession to the double stitch to continuously knit the waste knitted fabric is carried out
Thereby preventing loosening of the knitted fabric.
상기 제1편사와 상기 제2편사는 서로 다른 색(色)인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knitting yarn and the second knitting yarn are colors different from each ot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038830A JP2015161053A (en) | 2014-02-28 | 2014-02-28 | Method for preventing raveling of knitted fabric |
JPJP-P-2014-038830 | 2014-02-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2698A true KR20150102698A (en) | 2015-09-07 |
KR101648748B1 KR101648748B1 (en) | 2016-08-17 |
Family
ID=5380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6214A KR101648748B1 (en) | 2014-02-28 | 2015-02-25 | Unraveling prevention method for knitted fabric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15161053A (en) |
KR (1) | KR101648748B1 (en) |
CN (1) | CN104878513A (en) |
DE (1) | DE102015002081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57565B2 (en) * | 2015-09-09 | 2018-01-10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How to fix the knitting yarn |
JP6518619B2 (en) * | 2016-04-04 | 2019-05-22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How to prevent knitting yarn |
CN107460610A (en) * | 2017-08-24 | 2017-12-12 | 无锡红豆居家服饰有限公司 | On-run crimping is knitted the weaving method of fabric |
CN107366080A (en) * | 2017-08-24 | 2017-11-21 | 无锡红豆居家服饰有限公司 | Weft knitting on-run crimping manufacturing method of fabric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47914B2 (en) * | 1988-09-21 | 1998-05-06 | 株式会社 島精機製作所 |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edge treatment method |
KR20030019599A (en) * | 2000-07-28 | 2003-03-06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Welt-seaming method and welt-seamed knitted fabric, and cad device for welt-seaming |
JP2013256723A (en) * | 2012-06-11 | 2013-12-26 | Shima Seiki Mfg Ltd | Method for preventing fraying of knitted fabric |
KR101356441B1 (en) * | 2008-12-24 | 2014-02-03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Method for preventing ravel of knitting yarn and knitted fabric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95933B2 (en) | 1989-08-30 | 1998-01-1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Computer system |
JPH0765258B2 (en) * | 1990-07-17 | 1995-07-12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Knitted fabric edge treatment method |
JP3009258B2 (en) | 1991-07-25 | 2000-02-14 | 株式会社クラレ | Easily collapsible resin composition |
JPH0578962A (en) | 1991-09-17 | 1993-03-30 | Shima Seiki Mfg Ltd | Compound needle for knitting machine |
JP5753374B2 (en) * | 2010-12-02 | 2015-07-22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Join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
JP5856783B2 (en) * | 2011-09-07 | 2016-02-10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How to create a knitted fabric |
JP5922903B2 (en) * | 2011-10-03 | 2016-05-24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
JP5979911B2 (en) * | 2012-02-27 | 2016-08-31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Piping method for the knitted fabric end |
JP5881479B2 (en) * | 2012-03-06 | 2016-03-09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How to stop knitting yarn |
JP5905347B2 (en) * | 2012-06-29 | 2016-04-20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
-
2014
- 2014-02-28 JP JP2014038830A patent/JP2015161053A/en not_active Withdrawn
-
2015
- 2015-02-18 DE DE102015002081.1A patent/DE102015002081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5-02-25 KR KR1020150026214A patent/KR101648748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5-02-27 CN CN201510088840.2A patent/CN104878513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47914B2 (en) * | 1988-09-21 | 1998-05-06 | 株式会社 島精機製作所 |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edge treatment method |
KR20030019599A (en) * | 2000-07-28 | 2003-03-06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Welt-seaming method and welt-seamed knitted fabric, and cad device for welt-seaming |
KR101356441B1 (en) * | 2008-12-24 | 2014-02-03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Method for preventing ravel of knitting yarn and knitted fabric |
JP2013256723A (en) * | 2012-06-11 | 2013-12-26 | Shima Seiki Mfg Ltd | Method for preventing fraying of knitted fabric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8748B1 (en) | 2016-08-17 |
DE102015002081A1 (en) | 2015-09-03 |
CN104878513A (en) | 2015-09-02 |
JP2015161053A (en) | 2015-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9502B1 (en) | Knitting method of fringed fabric | |
CN102264962B (en) | Method for preventing ravel of knitting yarn and knitted fabric | |
KR101648748B1 (en) | Unraveling prevention method for knitted fabric | |
JP5955241B2 (en) | How to stop knitting yarn | |
CN102383250B (en) | Set up method of knitted fabric | |
JP3541192B2 (en) | Knitting method for processing end yarns | |
KR101347648B1 (en) | Set-up method of knitted fabric | |
KR20140080414A (en) |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 |
KR20130025324A (en) | Partial knitting method and fabric | |
JP7271398B2 (en) |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and knitting method | |
JP5479048B2 (en) |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 |
KR101844741B1 (en) | Unraveling prevention method for knitting yarn | |
JP3099304B2 (en) | Unleash method | |
JP2013019062A (en) | Flat-knitting machine comprising stitch-holding bar and knitt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6153509B2 (en) | How to organize | |
WO2009016803A1 (en) | Fabric knitting method, and weft knitting machine | |
KR101414028B1 (en) | Method for preventing ravel of knitting fabric | |
JPS6043460B2 (en) | knitting machine | |
JP6292828B2 (en) |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and knitted fabric | |
JP2008121154A (en) | Method for knitting belt-like knitted fabric | |
JP4113296B2 (en) | Bind off treatment method | |
JP2010013763A (en) | Method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