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400A -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400A
KR20150102400A KR1020140024214A KR20140024214A KR20150102400A KR 20150102400 A KR20150102400 A KR 20150102400A KR 1020140024214 A KR1020140024214 A KR 1020140024214A KR 20140024214 A KR20140024214 A KR 20140024214A KR 20150102400 A KR20150102400 A KR 20150102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train
optical detector
detecting
magnetic lev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산전
Priority to KR1020140024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2400A/ko
Publication of KR20150102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3/00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 B61L3/02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 B61L3/06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controlling by electromagnetic or particle radiation, e.g. by light b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과는 반사도가 상이한 마커를 선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레이저를 조광하고 수광하여 마커의 개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상대 위치를 검출하고, 일정 간격마다 절대 좌표를 검출할 수 있는 절대 위치표시용 마커를 별도로 설치하여 정밀도가 높고, 설치비용이 낮은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열차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의 시공이 용이하고 간단하므로 경제적으로 유리하고, 위치 검출을 위한 신호처리중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위치 오차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정밀도가 대폭 개선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POSITION DETECTING APPARATUS FOR MAGNETIC LEVITATION TRAIN USING OF A MARKER}
본 발명은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바닥면과는 반사도가 상이한 마커를 선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레이저를 조광하고 수광하여 마커의 개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상대 위치를 검출하고, 일정 간격마다 절대 좌표를 검출할 수 있는 절대 위치표시용 마커를 별도로 설치하여 정밀도가 높고, 설치비용이 낮은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철도시스템에서 고속부상열차(철제차륜방식)의 위치 및 속도검지는 지상에 설치된 궤도회로와 열차에 설치된 타코메타 또는 오도메타 등을 사용하여 파악이 가능하다.
즉, 열차의 철제차륜에 설치된 타코메타 또는 오도메타 등을 사용하여 차륜회전시 출력되는 전압 펄스의 개수를 세어 열차의 이동거리와 속도를 측정하며, 지상에 설치된 궤도회로를 사용하여 레일에 구성된 궤도회로와 철제차륜의 단락에 의해 열차의 위치파악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궤도회로와 타코메타 또는 오도메타를 이용하는 얻어진 열차의 위치 및 속도정보는 열차의 운행제어 및 진로 쇄정, 열차의 간격조정 등 열차제어를 위한 핵심정보로 활용된다.
그러나, 차륜의 회전과 궤도와의 접촉이 발생하지 않는 자기부상열차의 경우에는 기존의 타코메타와 궤도회로에 기반한 열차의 위치 및 속도확인이 불가능하므로 궤도회로와 타코메타 등을 대신하여 무접촉 위치 감지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도 1a, 1b는 종래의 자기부상 열차용 무접촉 위치 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자기부상 열차용 무접촉 위치 감지장치는 차량신호발생기(4) 및 차량안테나(6)를 포함하는 자기부상열차(2)의 차상설비와; 교차 루프코일(8), 지상검지신호 정보처리장치(10)를 포함하는 지상설비로 구성된다.
먼저, 차상설비가 장착된 자기부상열차(2)가 상기 지상설비가 설치된 궤도구간 통과시 자기부상열차(2)의 차량신호발생기(4)에서 고주파 신호를 차량안테나(6)를 통해 궤도상의 교차루프코일(8)에 유도전압을 유기하면 유기된 전압신호를 지상검지 신호정보처리장치(10)에서 수신하고 연산처리하여 지상에서 교차루프코일이 설치된 궤도구간 안에서의 열차의 정확한 위치와 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안테나(6)에 의해 교차루프코일(8)에 유기된 전압은 차량안테나(6)와 만나는 교차루프코일(8)의 면적 크기에 따라 비례하는 특성을 가지며, 교차루프코일의 면적이 가장 큰 지점에 차량안테나가 위치할 경우 교차루프코일(8)에 유기되는 전압은 최대가 되고, 교차루프코일의 면적이 가장 작은 지점에 차량안테나가 위치할 경우 교차루프코일(8)에 유기되는 전압은 최소가 된다.
지상검지 신호정보처리장치(10)는 차량안테나(6)가 교차루프코일(8) 위를 통과함에 따라 유도되는 고주파 전압신호를 처리하여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안테나(6)와 교차루프코일(8)간의 관계가 유도되는 고주파 전압신호의 품질에 영향을 주므로 차량안테나(6)의 크기는 교차루프코일(8)의 교번간격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때, 차량안테나는 교차루프코일의 1개 교번간격만큼만 고주파 전압을 유도시키며 1개 교번 간격이 위치정보의 분해능에 해당한다.
따라서, 차량에 탑재된 상기 차량안테나(6)가 상기 교차루프코일(8)의 상부를 통과하게 되면 도 1b에 도시된 교차루프코일(8)과 유사한 형태의 전압이 검출되고, 검파과정을 거치면 + 성분의 파장이 남게 되며, 디지털 처리과정을 거치면 펄스파형으로 변환되어 각 펄스 개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실제의 주행거리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
주행거리의 연산은 궁극적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데 이용하여 현재 위치와 속도를 감지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자기부상 열차용 무접촉 위치 감지장치는 교차루프코일(8)을 선로를 따라서 매설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차량안테나(6)를 통해 상기 교차루프코일(8)을 유기하는 방식은 오차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한 종래의 자기부상 열차용 무접촉 위치 감지장치는 펄스파 카운트를 통한 상대 위치 검출장치인 바, 작은 오차가 누적되면 고 정밀성이 요구되는 자기부상열차의 위치에 오차가 발생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바닥면과는 반사도가 상이한 마커를 선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레이저를 조광하고 수광하여 마커의 개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상대 위치를 검출하고, 일정 간격마다 절대 좌표를 검출할 수 있는 절대 위치표시용 마커를 별도로 설치하여 정밀도가 높고, 설치비용이 낮은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로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감지용 마커(20)와; 임의의 상기 위치감지용 마커(20)의 측방에 병렬로 형성되어, 상기 위치감지용 마커(20)의 위치오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절대 위치값을 나타내는 위치 보상용 마커(22)와; 상기 위치감지용 마커(20)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반사광을 수광하는 위치 감지용 광학검출기(34)와; 상기 위치보상용 마커(22)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반사광을 수광하는 위치 보상용 광학검출기(36)와; 상기 위치 감지용 광학검출기(34) 및 위치 보상용 광학검출기(36)로부터 인가된 반사면 신호를 카운트하는 카운터(44)와; 상기 카운터(44)로부터 각 마커의 개수를 누적 연산한 값을 수신하여 전체 주행거리를 연산하고 현재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와 위치 감지용 마커(20)의 위치값을 비교하여 에러 위치를 보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감지용 마커(20) 및 위치 보상용 마커(22)는 반사면(26)과 이웃하는 비반사면(24)이 교번적으로 형성된 마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는 일정한 다수개의 상기 위치 감지용 마커(20)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와 위치 감지용 마커(20)의 위치값 불일치시, 상기 제어부(54)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의 위치값으로 현재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보정부(48)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와 위치 감지용 마커(20)의 위치값 및 상기 카운터(44)의 카운터값, 에러 위치값 및 위치 보상용 마커(22)의 절대 위치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감지용 광학검출기(34) 및 위치 보상용 광학검출기(36)의 후단에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42)가 각각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는 열차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의 시공이 용이하고 간단하며 시공기간이 짧으므로 경제적으로 유리하고, 위치 검출을 위한 신호처리중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위치 오차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정밀도가 대폭 개선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 1b는 종래의 자기부상 열차용 무접촉 위치 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를 통해 검출되는 위치감지용 마커와 위치 보상용 마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를 통해 검출되는 위치감지용 마커와 위치 보상용 마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30)는 바닥면과는 반사도가 상이한 마커를 선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레이저를 조광하고 수광하여 마커의 개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상대 위치를 검출하고, 일정 간격마다 절대 좌표를 검출할 수 있는 절대 위치표시용 마커를 별도로 설치하여 정밀도가 높고, 설치비용이 낮은 장치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30)는 설명의 편의상, 마커를 포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30)는 선로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감지용 마커(20)와; 임의의 상기 위치감지용 마커(20)의 측방에 병렬로 형성되어, 상기 위치감지용 마커(20)의 위치오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절대 위치값을 나타내는 위치 보상용 마커(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단, 상기 위치 감지용 마커(20) 및 위치 보상용 마커(22)는 자기부상열차(2)가 부상하여 주행하는 선로상에 부착되는 바, 상기 위치 감지용 마커(20) 및 위치 보상용 마커(22)는 반사면(26)과 이웃하는 비반사면(24)이 교번적으로 형성된 마커이므로 띠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띠의 상면에 반사면(26)과 비반사면(24)이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선로상에 그 띠를 부착할 수 있게 제공된다.
또한,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는 절대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로서,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위치 감지용 마커(20)의 누적 검출로 인한 오류분을 보상하기 위한 마커이다. 상기 위치보상용 마커(22)는 GPS 등과 같은 좌표값을 이용하여 부착됨으로써 절대 좌표값을 나타내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는 일정한 다수개의 상기 위치 감지용 마커(20)를 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30)는 차상 신호처리장치(32)가 포함되는 바, 그 차상 신호처리장치(32)는 차량 하부에 설치된 장치로서, 상기 위치감지용 마커(20)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반사광을 수광하는 위치 감지용 광학검출기(34)와; 상기 위치보상용 마커(22)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반사광을 수광하는 위치 보상용 광학검출기(36)와; 상기 위치 감지용 광학검출기(34) 및 위치 보상용 광학검출기(36)로부터 인가된 반사면 신호를 카운트하는 카운터(44)와; 상기 카운터(44)로부터 각 마커의 개수를 누적 연산한 값을 수신하여 전체 주행거리를 연산하고 현재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와 위치 감지용 마커(20)의 위치값을 비교하여 에러 위치를 보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위치 감지용 광학검출기(34) 및 위치 보상용 광학검출기(36)는 그 내부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조광부(38) 및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4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위치 감지용 광학검출기(34) 및 위치 보상용 광학검출기(36)의 후단에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42)가 각각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차상 신호처리장치(32)는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와 위치 감지용 마커(20)의 위치값 불일치시, 상기 제어부(54)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의 위치값으로 현재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보정부(4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차상 신호처리장치(32)는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와 위치 감지용 마커(20)의 위치값 및 상기 카운터(44)의 카운터값, 에러 위치값 및 위치 보상용 마커(22)의 절대 위치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상 신호처리장치(32)는 지상에 구비되어 해당 선로를 통과하는 해당 자기부상열차(2)의 위치정보를 신호처리하기 위한 열차 제어 지상설비(도 1a 참조, 12)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52)가 구비되고, 열차의 속도를 연산하기 위한 타이머(46)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30)는 선로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부착되어 상대 위치를 인지할 수 있게 한 위치 감지용 마커(20)와, 상기 위치 감지용 마커(20)의 측방에 일정 간격마다 부착되어 절대 위치를 인지할 수 있게 한 위치 보상용 마커(22)를 선로 상에 각각 부착한 상태에서, 차량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 감지용 마커(20)와 위치 보상용 마커(22)를 인지하여 차량 위치를 검출하는 차상 신호처리장치(32)를 포함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자기부상열차(2)가 주행을 개시하면, 상기 차량 신호처리장치(32)에 구비된 위치감지용 광학 검출기(34)와 위치 보상용 광학 검출기(36)의 마커 인식이 개시된다.
상기 위치감지용 광학 검출기(34)와 위치 보상용 광학 검출기(36)의 마커 인식은 상기 위치감지용 광학 검출기(34)와 위치 보상용 광학 검출기(36)의 내부에 각각 구비된 조광부(38)에서 레이저 광을 조광하고, 그 레이저 광이 상기 위치 감지용 마커(20)와, 위치 보상용 마커(22)에 구성된 반사면(26)에 각각 반사된 광을 수광부(40)를 통해 수광하는 바, 비반사면(24)에 의해 반복적으로 단절된 레이저광이 수광되므로 펄스 파형과 유사한 수광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카운터(44)는 해당 수광부(40)의 신호를 이용하여 카운트를 수행하는 바, 상기 위치 감지용 마커(20)는 선로를 따라서 지속적으로 형성되지만,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는 간헐적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열차 개시부터 인지되는 마커는 상기 위치 감지용 마커(20)이다.
즉, 상기 카운터(44)는 위치 감지용 광학 검출기(34)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누적 카운트하는 바, 상기 위치 감지용 광학검출기(34)의 신호는 증폭부(42)를 통해 증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운트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54)로 유입되고, 제어부(54)는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된 마커 카운트 개수별 위치정보를 추출함으로써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카운트 개수가 1만개라면 ○○역으로부터 △△역으로 500미터 진행한 위치라는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50)에 등록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54)가 카운터(44)로부터 카운트 개수 1만개의 검출신호가 인가되면 ‘○○역으로부터 △△역으로 500미터 진행한 위치’라고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카운트 개수와 GPS 좌표를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50)에 미리 등록해놓을 수도 있다.
어떤 방식이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30)를 통해서 현재의 상대위치를 검출해낼 수 있다.
상기 제어부(54)는 위치 검출값을 상기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하여 갱신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위치 보상용 검출기(36)가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의 상부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위치 감지용 검출기(34)와 마찬가지로, 상기 위치 보상용 검출기(36)의 내부에 구비된 조광부(38)에서 레이저 광을 조광하고, 그 레이저 광이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에 구성된 반사면(26)에 각각 반사된 광을 수광부(40)를 통해 수광하는 바, 비반사면(24)에 의해 반복적으로 단절된 레이저광이 수광되므로 펄스 파형과 유사한 수광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카운터(44)는 해당 수광부(40)의 신호를 이용하여 카운트를 수행하여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의 파형을 카운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카운터(44)는 위치 보상용 광학 검출기(36)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누적 카운트하는 바, 상기 위치 보상용 광학검출기(36)의 신호는 증폭부(42)를 통해 증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운트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54)로 유입되고, 제어부(54)는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된 마커 카운트 개수별 절대 위치정보를 추출함으로써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4)는 상기 위치보정부(48)를 통해 상기 위치 보상용 광학검출기(36)로부터 검출된 위치값과, 상기 위치 감지용 광학검출기(34)로부터 검출된 위치값을 비교하여 오차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고, 오차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그 오차값을 저장하고, 현재 위치를 상기 위치 보상용 광학검출기(36)로부터 검출된 위치값으로 보정하게 한다.
이러한 비교 분석을 통하면, 다양한 신호처리중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30)는 위치 오차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정밀도가 대폭 개선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0:위치감지용마커, 22:위치보상용마커,
30: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
32:차상 신호처리장치, 34:위치감지용 광학검출기, 36:위치보상용 광학검출기, 42:증폭부,
44:카운터, 46:타이머,
48:위치보정부, 50:데이터저장부,
52:통신부, 54:제어부.

Claims (6)

  1. 선로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감지용 마커(20)와;
    임의의 상기 위치감지용 마커(20)의 측방에 병렬로 형성되어, 상기 위치감지용 마커(20)의 위치오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절대 위치값을 나타내는 위치 보상용 마커(22)와;
    상기 위치감지용 마커(20)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반사광을 수광하는 위치 감지용 광학검출기(34)와;
    상기 위치보상용 마커(22)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반사광을 수광하는 위치 보상용 광학검출기(36)와;
    상기 위치 감지용 광학검출기(34) 및 위치 보상용 광학검출기(36)로부터 인가된 반사면 신호를 카운트하는 카운터(44)와;
    상기 카운터(44)로부터 각 마커의 개수를 누적 연산한 값을 수신하여 전체 주행거리를 연산하고 현재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와 위치 감지용 마커(20)의 위치값을 비교하여 에러 위치를 보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용 마커(20) 및 위치 보상용 마커(22)는 반사면(26)과 이웃하는 비반사면(24)이 교번적으로 형성된 마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는 일정한 다수개의 상기 위치 감지용 마커(20)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와 위치 감지용 마커(20)의 위치값 불일치시, 상기 제어부(54)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의 위치값으로 현재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보정부(48)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상용 마커(22)와 위치 감지용 마커(20)의 위치값 및 상기 카운터(44)의 카운터값, 에러 위치값 및 위치 보상용 마커(22)의 절대 위치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용 광학검출기(34) 및 위치 보상용 광학검출기(36)의 후단에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42)가 각각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
KR1020140024214A 2014-02-28 2014-02-28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 KR20150102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214A KR20150102400A (ko) 2014-02-28 2014-02-28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214A KR20150102400A (ko) 2014-02-28 2014-02-28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400A true KR20150102400A (ko) 2015-09-07

Family

ID=54243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214A KR20150102400A (ko) 2014-02-28 2014-02-28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24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315A (ko) * 2019-12-06 2021-06-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특정 위치 표식이 가능한 다중 광원 주사 및 검출을 이용한 고속 상대위치 측정방법
CN114715225A (zh) * 2021-01-05 2022-07-08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磁浮列车的无人驾驶系统
CN114715226A (zh) * 2021-01-05 2022-07-08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驾驶系统的控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315A (ko) * 2019-12-06 2021-06-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특정 위치 표식이 가능한 다중 광원 주사 및 검출을 이용한 고속 상대위치 측정방법
CN114715225A (zh) * 2021-01-05 2022-07-08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磁浮列车的无人驾驶系统
CN114715226A (zh) * 2021-01-05 2022-07-08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驾驶系统的控制方法
CN114715226B (zh) * 2021-01-05 2023-01-31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驾驶系统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0863B2 (en) Guideway mounted vehicle localization system
US11254338B2 (en) Guideway mounted vehicle localization and alignment system and method
US20120257195A1 (en) Arrangement for measuring sections of track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railroad tracks
US6397130B1 (en) Multi-sensor route detector for rail vehicle navigation
CA2102140C (en) Wayside monitoring of the angle-of-attack of railway vehicle wheelsets
US20070213926A1 (en) Method For Measuring Tracks
CN101866017B (zh) 基于移位循环唯一码的交通车辆磁定位方法
CN107531261B (zh) 对在cbtc(基于通信的列车控制系统)列车控制和列车安全系统中行驶的有轨车辆进行定位的方法和设备
JP5498633B2 (ja) 検測方法及び装置
CN109080666B (zh) 一种列车连续实时定位系统及方法
KR20150102400A (ko) 마커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
KR101648340B1 (ko) 철도차량의 위치를 검지하는 장치 및 그에 따른 방법
KR20150102403A (ko) 마그네틱 바와 rfid 태그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
KR102316770B1 (ko) 철도 선로상 차량의 위치 검지 장치 및 방법
US20100315071A1 (en) Read head
JP5216667B2 (ja) 速度検出装置、速度検出方法及び列車速度検出システム
RU2397094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рицельной остановки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20150051266A (ko) 거리 센서를 이용한 열차 위치 검지 시스템
EP29856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ting the center of beacons installed along guided vehicle routes
US20120160916A1 (en) Read head
KR20150102401A (ko) 마그네틱 바를 이용한 자기부상 열차용 열차 위치 검출장치
JP7343153B2 (ja) 列車位置検出装置
RU101839U1 (ru) Комплексная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локомотивная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скорости движения и пройденного пути
JP2023162471A (ja) 位置検知システム
KR101039421B1 (ko) 바이모달 트램의 분기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