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309A -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309A
KR20150102309A KR1020140024037A KR20140024037A KR20150102309A KR 20150102309 A KR20150102309 A KR 20150102309A KR 1020140024037 A KR1020140024037 A KR 1020140024037A KR 20140024037 A KR20140024037 A KR 20140024037A KR 20150102309 A KR20150102309 A KR 20150102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input member
conductor pattern
disposed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배
정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로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to KR102014002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2309A/ko
Priority to US14/570,742 priority patent/US20150247766A1/en
Priority to EP14200672.5A priority patent/EP2913650A1/en
Priority to CN201510008211.4A priority patent/CN104881165A/zh
Publication of KR20150102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8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resistive materials, i.e. materials of which the ohmic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magnitude or direction of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05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distributed 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 G01L5/226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to manipulators, e.g. the force due to gripping
    • G01L5/228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to manipulators, e.g. the force due to gripping using tactile array force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입력 오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기판 상에 손가락이 깍지를 낀 형상(interdigitate)으로 도전체가 패턴되어 있으며,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빗살 형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부에서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빗살 형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도전체 패턴과 손가락이 깍지를 낀 것처럼 배열되는 신호 입력 부재,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부의 가장 자리와 하부의 가장 자리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좌측의 가장 자리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좌측 지지부,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우측의 가장 자리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우측 지지부, 상기 스페이서, 좌측 지지부 및 우측 지지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신호 입력 부재와 이격되며,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서 저항값이 변화하는 피에조(piezo) 필름 및 상기 피에조 필름과 상기 신호 입력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피에조 필름으로 폭이 다른 키보다 큰 키 입력이 전달되는 영역의 하부에 놓여 있는 압력 보완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FOR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입력 오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나 네트워크 단말기 등의 기기에서 기기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위한 수단으로 키보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키보드는 기계적 구성을 갖추고 있는데, 사출물로 제작된 키 아래에 스프링과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키를 일정한 세기로 타격함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스위치가 조작되게 하여 키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기계적 구성을 갖추고 있는 키보드 이외에도 터치 패널 방식을 이용한 키보드가 등장하였다. 터치 패널 방식을 이용한 키보드는 인체(손가락)나 펜과의 접촉 여부를 그 접촉에 따른 인체 전류의 감지나, 압력이나 온도변화 등을 이용해서 감지하고 인식하는 기술수단을 갖고 있다. 특히, 압력의 변화를 이용해서 인체나 펜과의 접촉 여부를 센싱하는 방식의 터치 패널이 각광받고 있다.
한편, 이러한 압력 센서를 채용하는 터치 패널은 스페이서의 상면에 피에조(piezo) 필름이 배치되는데, 피에조 필름으로 폭이 다른 키보다 큰 키 입력(예를 들면, 스페이스 키 입력, 쉬프트 키 입력 또는 엔터 키 입력)이 전달되는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특허공보 10-1094165호가 2011.12.08.자로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폭이 다른 키보다 큰 키 입력이 전달되는 피에조 필름의 영역의 하부에 압력 보완부를 배열함으로써, 터치 입력 오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기판 상에 손가락이 깍지를 낀 형상(interdigitate)으로 도전체가 패턴되어 있으며,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빗살 형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부에서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빗살 형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도전체 패턴과 손가락이 깍지를 낀 것처럼 배열되는 신호 입력 부재,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부의 가장 자리와 하부의 가장 자리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좌측의 가장 자리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좌측 지지부,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우측의 가장 자리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우측 지지부, 상기 스페이서, 좌측 지지부 및 우측 지지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신호 입력 부재와 이격되며,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서 저항값이 변화하는 피에조(piezo) 필름 및 상기 피에조 필름과 상기 신호 입력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피에조 필름으로 폭이 다른 키보다 큰 키 입력이 전달되는 영역의 하부에 놓여 있는 압력 보완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상기 다른 키보다 큰 키 입력은 스페이스 키 입력, 쉬프트 키 입력 또는 엔터 키 입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상기 좌측 지지부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좌측의 가장 자리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상기 우측 지지부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우측의 가장 자리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상기 좌측 지지부나 상기 우측 지지부와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간격(D1)은 상기 좌측 지지부나 상기 우측 지지부와 가장 먼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간격(D2)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상기 좌측 지지부나 상기 우측 지지부와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간격(D1)은 상기 좌측 지지부나 상기 우측 지지부와 가장 먼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간격(D2)의 0.2 ~ 0.6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상기 좌측 지지부의 길이(L1)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길이(L2)의 0.1 ~ 0.6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상기 우측 지지부의 길이(R1)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길이(L2)의 0.1 ~ 0.6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상기 좌측 지지부의 높이는 0.08 ~ 0.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상기 우측 지지부의 높이는 0.08 ~ 0.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기판 상에 손가락이 깍지를 낀 형상(interdigitate)으로 도전체가 패턴되어 있으며,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빗살 형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부에서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빗살 형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도전체 패턴과 손가락이 깍지를 낀 것처럼 배열되는 신호 입력 부재,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가장 자리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신호 입력 부재와 이격되며,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서 저항값이 변화하는 피에조(piezo) 필름 및 상기 피에조 필름과 상기 신호 입력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피에조 필름으로 폭이 다른 키보다 큰 키 입력이 전달되는 영역의 하부에 놓여 있는 압력 보완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와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간격(D1)은 상기 스페이서와 가장 먼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간격(D2)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상기 다른 키보다 큰 키 입력은 스페이스 키 입력, 쉬프트 키 입력 또는 엔터 키 입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상기 스페이서와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간격(D1)은 상기 스페이서와 가장 먼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간격(D2)의 0.2 ~ 0.6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는 0.08 ~ 0.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폭이 다른 키보다 큰 키 입력이 전달되는 피에조 필름의 영역의 하부에 압력 보완부를 배열함으로써, 터치 입력 오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의 단면도.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신호 입력 부재(3300), 스페이서(3210, 3220), 피에조 필름(3100), 좌측 지지부(3230), 우측 지지부(3240) 및 압력 보완부(3410, 3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호 입력 부재(330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기판 상에 손가락이 깍지를 낀 형상(interdigitate)으로 도전체가 패턴되어 있다.
여기에서, 하나의 도전체 패턴(3310)은 빗살 형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부에서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도전체 패턴(3320)은 빗살 형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부에서 연결되고 하나의 도전체 패턴(3310)과 손가락이 깍지를 낀 것처럼 배열된다.
스페이서(3210, 3220)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3300)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3310, 332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부의 가장 자리와 하부의 가장 자리에 배치된다.
한편, 피에조 필름(3100)은 상기 스페이서(3210, 3220), 좌측 지지부(3230) 및 우측 지지부(324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신호 입력 부재(3300)와 이격되며,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가 커지면 저항값이 작아지고,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가 작아지면 저항값이 작아진다.
상기 피에조 필름(3100)에 터치가 가해지면 터치 압력의 크기에 따라서 저항값이 변화되며, 상술한 것처럼, 터치 압력이 커지면 저항값이 작아져 인가되는 전원 전압이 감소하므로, 키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좌측 지지부(3230)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좌측의 가장 자리의 중앙 일부 영역에 배치되며, 우측 지지부(3240)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우측의 가장 자리의 중앙 일부 영역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측 지지부(3230)의 길이(L1)나 상기 우측 지지부(3240)의 길이(R1)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길이(L2)의 0.1 ~ 0.6 배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좌측 지지부(3230)나 우측 지지부(3240)와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3300)의 도전체 패턴(3310, 3320)의 간격(D1)이 좌측 지지부(3230)나 우측 지지부(3240)와 가장 먼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3300)의 도전체 패턴(3310, 3320)의 간격(D2) 보다 작다.
구체적으로, 좌측 지지부(3230)나 우측 지지부(3240)와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3300)의 도전체 패턴(3310, 3320)의 간격(D1)이 좌측 지지부(3230)나 우측 지지부(3240)와 가장 먼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3300)의 도전체 패턴(3310, 3320)의 간격(D2)의 0.2 ~ 0.6 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상술한 것처럼,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좌측의 가장 자리의 중앙 일부 영역에 좌측 지지부(3230)를 배치하고,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우측의 가장 자리의 중앙 일부 영역에 우측 지지부(3240)를 배치함으로써, 좌측 지지부(3230)나 우측 지지부(3240)와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도전체 패턴(3310, 3320)으로 작은 압력이 전달되더라도, 터치 입력 오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상술한 것처럼, 좌측 지지부(3230)나 우측 지지부(3240)와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3300)의 도전체 패턴(3310, 3320)을 좌측 지지부(3230)나 우측 지지부(3240)와 가장 먼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3300)의 도전체 패턴(3310, 3320)보다 조밀하게 배열함으로써, 좌측 지지부(3230)나 우측 지지부(3240)와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도전체 패턴(3310, 3320)으로 작은 압력이 전달되더라도, 보다 더 효과적으로 터치 입력 오류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상기 좌측 지지부(3230)나 우측 지지부(3240)의 높이(H)를 0.08 ~ 0.15 mm 정도로 조절함으로써, 터치 입력의 압력을 도전체 패턴(3310, 3320)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면서도 압력 센서를 충분히 얇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상기 피에조 필름과 상기 신호 입력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피에조 필름으로 폭이 다른 키보다 큰 키 입력이 전달되는 영역의 하부에 놓여 있는 압력 보완부(3410, 34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다른 키보다 큰 키 입력은 스페이스 키 입력, 쉬프트 키 입력 또는 엔터 키 입력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폭이 다른 키보다 큰 키 입력이 전달되는 피에조 필름의 영역의 하부에 압력 보완부(3410, 3420)를 배열함으로써, 터치 입력 오류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압력 센서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압력 센서와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는 신호 입력 부재(4300), 스페이서(4200), 피에조 필름(4100) 및 압력 보완부(4410, 4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의 스페이서(4200)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4300)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4310, 432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가장 자리에 배치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100 : 피에조 필름
3210 : 스페이서
3220 : 스페이서
3230 : 좌측 지지부
3240 : 우측 지지부
3300 : 신호 입력 부재
3310 : 도전체 패턴
3320 : 도전체 패턴
3410 : 압력 보완부
3420 : 압력 보완부
4100 : 피에조 필름
4200 : 스페이서
4300 : 신호 입력 부재
4310 : 도전체 패턴
4320 : 도전체 패턴
4410 : 압력 보완부
4420 : 압력 보완부

Claims (14)

  1. 기판 상에 손가락이 깍지를 낀 형상(interdigitate)으로 도전체가 패턴되어 있으며,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빗살 형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부에서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빗살 형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도전체 패턴과 손가락이 깍지를 낀 것처럼 배열되는 신호 입력 부재;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부의 가장 자리와 하부의 가장 자리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좌측의 가장 자리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좌측 지지부;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우측의 가장 자리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우측 지지부;
    상기 스페이서, 좌측 지지부 및 우측 지지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신호 입력 부재와 이격되며,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서 저항값이 변화하는 피에조(piezo) 필름; 및
    상기 피에조 필름과 상기 신호 입력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피에조 필름으로 폭이 다른 키보다 큰 키 입력이 전달되는 영역의 하부에 놓여 있는 압력 보완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른 키보다 큰 키 입력은 스페이스 키 입력, 쉬프트 키 입력 또는 엔터 키 입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부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좌측의 가장 자리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측 지지부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우측의 가장 자리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부나 상기 우측 지지부와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간격(D1)은 상기 좌측 지지부나 상기 우측 지지부와 가장 먼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간격(D2)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부나 상기 우측 지지부와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간격(D1)은 상기 좌측 지지부나 상기 우측 지지부와 가장 먼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간격(D2)의 0.2 ~ 0.6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부의 길이(L1)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길이(L2)의 0.1 ~ 0.6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측 지지부의 길이(R1)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길이(L2)의 0.1 ~ 0.6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부의 높이는 0.08 ~ 0.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측 지지부의 높이는 0.08 ~ 0.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11. 기판 상에 손가락이 깍지를 낀 형상(interdigitate)으로 도전체가 패턴되어 있으며,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빗살 형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부에서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빗살 형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도전체 패턴과 손가락이 깍지를 낀 것처럼 배열되는 신호 입력 부재;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기판 상의 상기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가장 자리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신호 입력 부재와 이격되며,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서 저항값이 변화하는 피에조(piezo) 필름; 및
    상기 피에조 필름과 상기 신호 입력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피에조 필름으로 폭이 다른 키보다 큰 키 입력이 전달되는 영역의 하부에 놓여 있는 압력 보완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와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간격(D1)은 상기 스페이서와 가장 먼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간격(D2)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다른 키보다 큰 키 입력은 스페이스 키 입력, 쉬프트 키 입력 또는 엔터 키 입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와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간격(D1)은 상기 스페이서와 가장 먼 곳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 입력 부재의 도전체 패턴의 간격(D2)의 0.2 ~ 0.6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는 0.08 ~ 0.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KR1020140024037A 2014-02-28 2014-02-28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KR20150102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037A KR20150102309A (ko) 2014-02-28 2014-02-28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US14/570,742 US20150247766A1 (en) 2014-02-28 2014-12-15 Pressure sensor for touch panel
EP14200672.5A EP2913650A1 (en) 2014-02-28 2014-12-30 Pressure sensor for touch panel
CN201510008211.4A CN104881165A (zh) 2014-02-28 2015-01-07 触摸面板用压力传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037A KR20150102309A (ko) 2014-02-28 2014-02-28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309A true KR20150102309A (ko) 2015-09-07

Family

ID=5229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037A KR20150102309A (ko) 2014-02-28 2014-02-28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247766A1 (ko)
EP (1) EP2913650A1 (ko)
KR (1) KR20150102309A (ko)
CN (1) CN1048811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6091B2 (en) * 2013-03-12 2017-12-19 Interlink Electron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ss force detectors
TWI604361B (zh) * 2016-02-05 2017-11-01 速博思股份有限公司 具壓力觸覺功能之感測裝置
CN106020558A (zh) * 2016-06-22 2016-10-12 芯海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触控按键及控制方法
CN106197803A (zh) * 2016-07-21 2016-12-07 上海与德通讯技术有限公司 跌落数据的采集方法及终端设备
USD825449S1 (en) * 2016-09-02 2018-08-14 Arctech Solar Holding Co., Ltd. Photovoltaic panel
USD817865S1 (en) * 2016-10-04 2018-05-15 Solaria Corporation Black solar module article
CN107340918B (zh) * 2017-06-30 2020-12-0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CN107550205A (zh) * 2017-09-28 2018-01-09 合肥中科奥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辅助地垫及智能互动系统和互动方法
US10955301B2 (en) 2017-10-17 2021-03-23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Two-dimensional center of pressure sensor systems, devices, and methods
CN210864624U (zh) * 2020-01-22 2020-06-26 湃瑞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压力传感器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2880B2 (ja) * 2002-05-29 2008-02-27 富士通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
JP2008027016A (ja) * 2006-07-19 2008-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
WO2009096563A1 (ja) * 2008-01-30 2009-08-06 Kyocera Corporation 弾性波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94165B1 (ko) 2009-10-20 2011-12-1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터치 패드 및 압력센서
US9123698B2 (en) * 2010-08-25 2015-09-01 Broadcom Corporation Flexural plate wave device for chip cooling
US8982081B2 (en) * 2010-09-12 2015-03-17 Shenzhen New Degree Technology Co., Ltd. Displacement sensing touch panel and touch screen using the same
US20120090902A1 (en) * 2010-10-13 2012-04-19 Sunrex Technology Corp. Touch pad
US8692646B2 (en) * 2011-04-05 2014-04-08 Kang Won LEE Piezoresistive type touch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touch pad, pressure sensor, touch sensor, game console and keyboard having the panel
JP2012247372A (ja) * 2011-05-30 2012-12-13 Nippon Mektron Ltd 圧力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圧力検出モジュール
FR2989485B1 (fr) * 2012-04-11 2016-02-0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apteur tactil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capteur
KR101301277B1 (ko) * 2012-07-30 2013-08-27 주식회사 마블덱스 박막형 압력센서와 근접센서를 구비한 입력 장치.
KR20160008359A (ko) * 2014-07-14 2016-01-22 주식회사 코아로직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47766A1 (en) 2015-09-03
CN104881165A (zh) 2015-09-02
EP2913650A1 (en)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2309A (ko)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US1172327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ctuator switch
KR20160008359A (ko)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US8368505B2 (en) Switch using variable resistance layer to control state
KR101194528B1 (ko) 터치스크린용 키보드 패드
US8927890B2 (en) Capacitive keyswitch technologies
US20170201254A1 (en) Multi-State Capacitive Button
US20140354577A1 (en) Multi-State Capacitive Button
ATE502331T1 (de) Touchpad mit streifenförmigem eingabebereich
JP6246111B2 (ja) 静電容量型入力装置
KR101070114B1 (ko) 디스플레이용 어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제조 방법
US20160274709A1 (en) Pressure sensor for touch panel
KR20150102306A (ko)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US11256362B2 (en) Absorption correction for fabric touch sensing layer
US8264382B2 (en) Keyboard with a plurality of sensitive key elements
KR20150102305A (ko) 터치 패널용 압력 센서
KR20150124118A (ko) 무선 키보드
KR20150124117A (ko) 무선 키보드
KR101111254B1 (ko) 하이브리드 돔 키이 및 이를 이용한 키이 모듈
KR20150124116A (ko) 무선 키보드
US8648810B2 (en) Integrated input apparatus
TWM471623U (zh) 電腦鍵盤
CN106033015A (zh) 触摸面板用压力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