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243A -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 Google Patents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243A
KR20150102243A KR1020140023868A KR20140023868A KR20150102243A KR 20150102243 A KR20150102243 A KR 20150102243A KR 1020140023868 A KR1020140023868 A KR 1020140023868A KR 20140023868 A KR20140023868 A KR 20140023868A KR 20150102243 A KR20150102243 A KR 20150102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or
lifting
grill
ceiling
lifting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5947B1 (ko
Inventor
신정훈
Original Assignee
신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훈 filed Critical 신정훈
Priority to KR1020140023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94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2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66D1/34Attachment of ropes or cables to drums or barr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먼지집진기 하단에 형성되는 리프팅그릴측에 승강릴을 통하여 승하강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한 후, 먼지집진기 하단에 리프팅그릴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필터층과 공기정화물질를 이용하여 실내 먼지 및 공기가 효과적으로 정화되게 하고, 승강릴을 통하여 리프팅그릴이 지상으로 하강한 후에는 리프팅그릴 상단에 장치된 필터층과 공기정화물질의 청소 및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A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먼지집진기 하단에 형성되는 리프팅그릴측에 승강릴을 통하여 승하강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한 후, 먼지집진기 하단에 리프팅그릴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필터층과 공기정화물질를 이용하여 실내 먼지 및 공기가 효과적으로 정화되게 하고, 승강릴을 통하여 리프팅그릴이 지상으로 하강한 후에는 리프팅그릴 상단에 장치된 필터층과 공기정화물질의 청소 및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은 주택, 사무실, 지하 공간 등의 실내 공간에서 하루 시간의 80% 정도를 생활하고 있는데, 이러한 실내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에게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은 일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 건강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실내 공기의 먼지나 악취, 유해가스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먼지집진기가 다양한 구성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먼지집진기를 이용하여 실내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청정한 공기로 바꿀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종래 먼지집진기는 실내의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 사용되기 때문에 공간 효율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공중에 부유하는 먼지 등을 포집하여 정화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먼지집진기를 실내 천장면에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공기중에 부유하는 먼지 뿐 만 아니라, 공기를 효과적으로 청정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장기간 먼지집진기를 사용시 내부에 장치된 필터부 및 기타 주요 부품의 성능이 저하되었을 때 먼지집진기가 높은 천장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 청소 및 주요 부품 교체가 불편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2364호 [특허문헌 2]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132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먼지집진기 하단에 형성되는 리프팅그릴측에 승강릴을 통하여 승하강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한 후, 먼지집진기 하단에 리프팅그릴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필터층과 공기정화물질를 이용하여 실내 먼지 및 공기가 효과적으로 정화되게 하고, 승강릴을 통하여 리프팅그릴이 지상으로 하강한 후에는 리프팅그릴 상단에 장치된 필터층과 공기정화물질의 청소 및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리프팅그릴 승하강 기능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프팅그릴 상단 모서리에 형성된 다수의 저장통중 어느 하나의 저장통에 물을 충진하고, 충진된 물에 의해 실내 가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리프팅그릴 승하강 기능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천장면에 설치된 먼지집진기의 외주면에 LED조명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한 리프팅그릴 승하강 기능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먼지집진기를 실내 천장면에 설치하되, 상기 먼지집진기 하단에 결합 사용되는 리프팅그릴은 먼지집진기 내부에 장치된 승강릴을 통하여 지상으로 승하강되게 하는 것과,
리프팅그릴은 먼지집진기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리프팅그릴 상단에 형성된 필터층과 공기정화물질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정화를 실시하고, 지상으로 하강한 후에는 리프팅그릴 상단에 형성된 필터층과 공기정화물질의 청소 및 교체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과,
리프팅그릴 상단에는 흡입구 상단에 적층 형성되는 필터층, 공기정화물질이 담아지는 저장통, 각기 다른 향기물질이 담아지는 향기통이 형성되어 리프팅그릴과 함께 승하강되는 것과,
리프팅그릴의 상단 각 모서리에 공기정화물질인 물, 숯, 편백나무, 세균방지액이 각기 독립적으로 담아지는 저장통이 형성되는 것과,
저장통중 어느 하나의 저장통에 물이 충진되고, 저장통에 충진된 물을 통하여 실내 가습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과,
저장통 사이에 향기통이 각각 형성되고, 향기통 내부에는 팩 형태의 서로 다른 향기물질이 담아져 사용되는 것과,
저장통 상단에 각각 개폐기를 설치하되, 상기 개폐기는 저장통 상단에 밀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 상단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저장통 상단을 걔폐시킬 수 있도록 먼지집진기 내부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것과,
개폐기는 마이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고 지상에서 실시간으로 송수신되고 있는 리모컨의 조작에 의해 다수의 개폐기중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저장통 상단을 개폐하는 것과,
먼지집진기 하단에 모터팬을 설치하되, 상기 모터팬은 좌우, 전후 4방향에 각각 형성되고 마이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모터팬이 작동되는 것과,
리프팅그릴이 상승하여 먼지집진기 하단에 결합 완료되면 먼지집진기 내벽에 설치되어 있는 스톱퍼의 실린더가 상기 리프팅그릴 상단 내벽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에 삽입되어 리프팅그릴이 지상으로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먼지집진기 몸체 외벽에 리프팅그릴을 수동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리프팅그릴스위치가 형성되는 것과,
먼지집진기 외주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형성된 체결편을 통하여 먼지집진기 외주면에서 탈부착되는 LED조명으로 구성되는 것과,
LED조명 몸체 한쪽에는 수동으로 LED조명을 온 오프시킬 수 있는 조명스위치가 형성되는 것과,
승강릴은 먼지집진기 내부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본체와, 리프팅그릴 상단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승강체로 구성되는 것과,
본체 내부에는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2개의 드럼이 형성된 상태에서 와이어의 양 끝단중 하나의 끝단은 드럼의 상단에 다른 끝단은 다른 드럼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구동모터가 정,역 회전할 때 와이어가 동시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본체 내부 좌우측에 형성된 상부 가이드롤러를 통과한 와이어는 승강체의 수평유지롤러와 하부 가이드롤러를 통과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과,
와이어가 드럼에 감기거나 풀림시 승강체의 수평유지롤을 통과하면서 수직인 와이어와 수평인 승강체가 항상 직각을 이루게 하면서 리프팅그릴의 수평이 유지되게 하는 것과,
승강체의 하부 가이드롤러 사이에 위치한 중간지점의 와이어를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에 회전공간을 갖는 풀림관을 통해 연결되게 하여, 와이어가 드럼에 감기거나 풀림시 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천장면에 먼지집진기가 설치되어 있고, 이 먼지집진기 하단에는 리프팅그릴이 승강릴을 통하여 지상으로 하강할 수 있는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먼지집진기 하단에 리프팅그릴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필터층과 공기정화물질를 이용하여 실내 먼지 및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승강릴을 통하여 리프팅그릴이 지상으로 하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지상에서 리프팅그릴 상단에 장치된 필터층과 공기정화물질 및 주요 부품을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거나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프팅그릴 상단 모서리에 형성된 다수의 저장통중 어느 하나의 저장통에 물이 충진 사용되기 때문에 충진된 물에 의해 실내 가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천장면에 설치된 먼지집진기의 외주면에 LED조명이 탈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먼지집진기의 외주면에 LED조명을 탈부착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집진기가 리프링그릴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그릴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집진기의 와이어에 풀림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4는 도3의 측면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집진기 외주면에 LED조명이 설치된 상태를 정면 구성도.
도6은 도5의 측면 구성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그릴의 평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7에서와 같이 먼지집진기(100)를 실내 천장면에 설치하되, 상기 먼지집진기(100) 하단에 결합 사용되는 리프팅그릴(300)은 먼지집진기(100) 내부에 장치된 승강릴(200)을 통하여 지상으로 승하강되게 하는 기본적인 구성을 갖으며, 먼지집진기(100)는 크게 승강릴(200), 리프팅그릴(300), LED조명(400)으로 나뉘어진다.
먼지집진기(100)는 실내 천장면에 설치 사용되고 몸체 외벽에는 리프팅그릴(300)을 수동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리프팅그릴스위치(120)가 형성된다.
리프팅그릴(300)은 먼지집진기(100) 하단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리프팅그릴(300) 상단에 형성된 필터층(310)과 공기정화물질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정화를 실시하고, 지상으로 하강한 후에는 리프팅그릴(300) 상단에 형성된 필터층(310)과 공기정화물질의 청소 및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리프팅그릴(300) 상단에는 흡입구(320)가 형성되고 흡입구(320) 상단에는 먼지 집진필터(312), 니코틴 집진필터(311)으로 이루어진 필터층(310)이 형성된다. 또한 리프팅그릴(300)의 상단 각 모서리에는 공기정화물질인 물, 숯, 편백나무, 세균방지액이 각기 독립적으로 담아지는 저장통(340)이 형성되고, 저장통(340) 사이에는 팩 형태의 서로 다른 향기물질이 담아져 사용되는 향기통(33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정화물질과 향기물질은 어느 한 물질에 한정되지 않고 시중에 널리 판매되고 있는 공기정화물질과 향기물질이 선택 사용될 것이다.
한편, 상기 다수의 저장통(340)중 어느 하나의 저장통에는 물이 충진 사용되는데 이는 저장통(340)에 충진된 물을 통하여 실내 가습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저장통(340) 상단에 각각 설치 사용되는 개폐기(600)는 저장통(340) 상단에 밀착되는 뚜껑(620)과, 상기 뚜껑(620) 상단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저장통(340) 상단을 걔폐시킬 수 있도록 먼지집진기(100) 내부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610)로 구성되며, 이러한 개폐기(600)는 마이컴(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고 지상에서 실시간으로 송수신되고 있는 리모컨(500)의 조작에 의해 다수의 개폐기(600)중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저장통(340) 상단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저장통(340) 상단을 개폐하는 기능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저장통(340)에 담아진 각각의 공기정화물질 향이 선택적으로 실내로 배출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먼지집진기(100) 하단에 형성되는 모터팬(110)은 먼지집진기(100) 좌우, 전후 4방향에 각각 형성되고 마이컴(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모터팬(110)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먼지집진기(100)가 실내 천정면 중간에 설치되면 모터팬(110) 모두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각이진 구석진 곳에 설치되면 구석진 곳에 위치한 모터팬의 작동은 정지시키고 외부로 노출된 모터팬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리프팅그릴(300)이 상승하여 먼지집진기(100) 하단에 결합 완료되면 먼지집진기(100) 내벽에 설치되어 있는 스톱퍼(800)의 실린더(810)가 상기 리프팅그릴(300) 상단 내벽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820)에 삽입되어 리프팅그릴(300)이 지상으로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LED조명(400)은 먼지집진기(100) 외주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형성된 체결편(420)을 통하여 먼지집진기(100) 외주면에서 탈부착되고, LED조명(400) 몸체 한쪽에는 수동으로 LED조명(400)을 온 오프시킬 수 있는 조명스위치(410)가 형성된다.
승강릴(200)은 먼지집진기(100) 내부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본체(910)와, 리프팅그릴(300) 상단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승강체(920)로 크게 나뉘어진다.
본체(210) 내부에는 구동모터(240)의 출력축에 2개의 드럼이 형성된 상태에서 와이어(230)의 양 끝단중 하나의 끝단은 드럼(250)의 상단에 다른 끝단은 다른 드럼(250)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구동모터(240)가 정,역 회전할 때 와이어(230)가 동시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본체(210) 내부 좌우측에 형성된 상부 가이드롤러(260)를 통과한 와이어(230)는 승강체(220)의 수평유지롤러(280)와 하부 가이드롤러(270)를 통과하여 서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하부 가이드롤러(270)는 상부 가이드롤러(260)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수평유지롤러(280)는 하부 가이드롤러(270) 상단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와이어(230)가 드럼(250)에 감기거나 풀림시 수평유지롤(270)이 와이어(230)를 좌,우 흔들림 없이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수직 상태인 와이어(230)와 수평 상태인 승강체(220)는 항상 직각(90˚)유지됨으로 리프팅그릴(300)이 승하강시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이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승강체(220의 하부 가이드롤러(270) 사이에 위치한 중간지점의 와이어(230)를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을 회전공간(291)을 갖는 풀림관(290) 내부에 연결하면, 와이어(230)가 드럼(250)에 감기거나 풀림시 절단된 와이어(230) 끝단이 풀림관(290)의 회전공간(291)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와이어의 꼬임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리모컨(500)에는 승강릴(200)이 승하강할 수 있는 승강 하강 버튼과, 다수의 개폐기(600)를 개별적으로 온 오프시킬 수 있는 버튼과, 다수의 모터팬(110)을 개별적으로 온 오프시킬 수 있는 버튼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리모컨(500)은 마이컴(700)과 실시간으로 송수신된다. 이와 같은 마이컴(700)의 제어에 의해 각 장치가 제어되게 하는 기술 내용은 통상 사용되는 기술 내용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지집진기(100) 외벽에 설치된 리프팅그릴스위치(120)와, LED조명(400) 외벽에 설치된 조명스위치(410)는 리모컨(500)을 분실하거나 또는 오작동시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스위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먼지집진기(100)를 실내 천장면에 설치한 다음 LED조명(400)을 먼지집진기(100) 외주면에 위치시킨 후 체결편(420)을 이용하여 LED조명(400)을 천정면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리모컨(500)에 형성된 하강버튼을 누르면 마이컴(7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340가 작동함에 따라 드럼(250)에 권취되어 있던 와이어(230)가 상부 가이드롤러(260), 수평유지롤러(280), 하부 가이드롤러(270)를 따라 안내되면서 풀리기 때문에 리프팅그릴(300)은 지상으로 하강하게 된다.
리프팅그릴(300)이 지상으로 하강 완료되면 리프팅그릴(300) 상단에 형성된 저장통(340) 내부에 공기정화물질인 물, 숯, 편백나무, 세균방지액을 각기 독립적으로 담고, 향기통(330) 내부에는 향기물질(아로마향, 편백나무향 등)을 각각 담은 후 지상에서 리모컨(500)을 작동시키면 구동모터(340)는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한다.
구동모터(340)가 작동하면 드럼(250) 외주면에 와이어(230)가 감기면서 리프링그릴(300)을 상승시킨다. 이때 와이어(230)는 상부 가이드롤러(260), 수평유지롤러(280), 하부 가이드롤러(270)를 따라 안내되고, 안내되면서 리프팅그릴(300)이 먼지집진기(100) 하단에 결합 완료되면 스톱퍼(800)의 실린더(810)가 고정홈(820)에 삽입되기 때문에 리프팅그릴(300)은 아래로 추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먼지집진기(100)를 작동시키면 모터팬(240)이 작동함에 따라 실내 먼지 및 공기는 흡입구(320)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니코틴 집진필터(311), 먼지 집진필터(312)로 이루어진 필터층(310)에 의해 필터링되고 필터링된 깨끗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하나의 저장통(340에 담아진 물은 실내를 자연 가습하게 되고, 나머지 저장통(340)에 충진된 공기정화물질과 향기통(330)에 담아진 향기물질은 실내로 천천히 배출하게 된다.
만약, 저장통(340)에 담아진 하나의 공기정화물질 예를 들어 숯이 담아진 저장통(340) 상단을 차단하고자 할때에는 숯이 담아진 저장통(340) 상단에 형성된 개폐기(600)를 작동시키면 솔레노이드(610)가 하강하고, 하강하면서 솔레노이드(610) 하단에 형성된 뚜껑(620)이 저장통(340) 상단을 차단하기 때문에 저장통(340) 내부에 충진된 숯의 성분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것이다.
100 ; 먼지집진기 110 ; 모터팬 120 ; 리프팅그릴스위치
200 ; 승강릴 210 ; 본체 220 ; 승강체
230 ; 와이어 240 ; 구동모터 250 ; 드럼
260 ; 상부 가이드롤러 270 ; 하부 가이드롤러 280 ; 수평유지롤러
290 ; 풀림관 291 ; 회전공간 300 ; 리프팅그릴
310 ; 필터층 311 ; 니코틴 집진필터 312 ; 먼지 집진필터
320 ; 흡입구 330 ; 향기통 340 ; 저장통
400 ; LED조명 410 ; 조명스위치 420 ; 체결편
500 ; 리모컨 600 ; 개폐기 610 ; 솔레노이드
620 ; 뚜껑 700 ; 마이컴 800 ; 스톱퍼
810 ; 실린더 820 ; 고정홈

Claims (17)

  1. 먼지집진기를 실내 천장면에 설치하되, 상기 먼지집진기 하단에 결합 사용되는 리프팅그릴은 먼지집진기 내부에 장치된 승강릴을 통하여 지상으로 승하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그릴 승하강 기능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그릴은 먼지집진기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리프팅그릴 상단에 형성된 필터층과 공기정화물질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정화를 실시하고, 지상으로 하강한 후에는 리프팅그릴 상단에 형성된 필터층과 공기정화물질의 청소 및 교체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그릴 상단에는 흡입구 상단에 적층 형성되는 필터층, 공기정화물질이 담아지는 저장통, 각기 다른 향기물질이 담아지는 향기통이 형성되어 리프팅그릴과 함께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그릴의 상단 각 모서리에 공기정화물질인 물, 숯, 편백나무, 세균방지액이 각기 독립적으로 담아지는 저장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그릴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중 어느 하나의 저장통에 물이 충진되고, 저장통에 충진된 물을 통하여 실내 가습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 사이에 향기통이 각각 형성되고, 향기통 내부에는 팩 형태의 서로 다른 향기물질이 담아져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 상단에 각각 개폐기를 설치하되, 상기 개폐기는 저장통 상단에 밀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 상단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저장통 상단을 걔폐시킬 수 있도록 먼지집진기 내부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마이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고 지상에서 실시간으로 송수신되고 있는 리모컨의 조작에 의해 다수의 개폐기중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저장통 상단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집진기 하단에 모터팬을 설치하되, 상기 모터팬은 좌우, 전후 4방향에 각각 형성되고 마이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모터팬이 작동되는 것을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그릴이 상승하여 먼지집진기 하단에 결합 완료되면 먼지집진기 내벽에 설치되어 있는 스톱퍼의 실린더가 상기 리프팅그릴 상단 내벽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에 삽입되어 리프팅그릴이 지상으로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집진기 몸체 외벽에는 리프팅그릴을 수동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리프팅그릴스위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집진기 외주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형성된 체결편을 통하여 먼지집진기 외주면에서 탈부착되는 LED조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LED조명 몸체 한쪽에는 수동으로 LED조명을 온 오프시킬 수 있는 조명스위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릴은 먼지집진기 내부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본체와, 리프팅그릴 상단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승강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2개의 드럼이 형성된 상태에서 와이어의 양 끝단중 하나의 끝단은 드럼의 상단에 다른 끝단은 다른 드럼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구동모터가 정,역 회전할 때 와이어가 동시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본체 내부 좌우측에 형성된 상부 가이드롤러를 통과한 와이어는 승강체의 수평유지롤러와 하부 가이드롤러를 통과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드럼에 감기거나 풀림시 승강체의 수평유지롤을 통과하면서 수직인 와이어와 수평인 승강체가 항상 직각을 이루게 하면서 리프팅그릴의 수평이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의 하부 가이드롤러 사이에 위치한 중간지점의 와이어를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을 회전공간을 갖는 풀림관 내부에 연결하여, 와이어가 드럼에 감기거나 풀림시 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KR1020140023868A 2014-02-28 2014-02-28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KR101575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868A KR101575947B1 (ko) 2014-02-28 2014-02-28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868A KR101575947B1 (ko) 2014-02-28 2014-02-28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243A true KR20150102243A (ko) 2015-09-07
KR101575947B1 KR101575947B1 (ko) 2015-12-10

Family

ID=5424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868A KR101575947B1 (ko) 2014-02-28 2014-02-28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9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663B1 (ko) * 2020-12-29 2021-09-01 주식회사 디오텍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343B1 (ko) * 2017-05-19 2020-03-02 주식회사 릴테크 승강식 미세먼지 집진장치
WO2021040418A1 (en) 2019-08-30 2021-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4798A (ja) * 1999-02-10 2000-08-29 Nippon Cable Syst Inc 天井取付型空気調和機のグリル昇降装置
KR101178201B1 (ko) * 2009-02-25 2013-01-09 주식회사 엠.에스.라이팅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663B1 (ko) * 2020-12-29 2021-09-01 주식회사 디오텍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947B1 (ko)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27057C (zh) 蒸发式加湿器
CN107559981B (zh) 一种空气净化机
JP4808201B2 (ja) 加湿装置及び空気清浄機
CN208694595U (zh) 一种新型公共场所用气体净化设备
KR101575947B1 (ko)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CN204460570U (zh) 液体供给装置、加湿装置以及容器
KR20130125887A (ko) 필터 자동교체 환기 유닛 및 이를 갖는 환기 시스템
JP2000070055A (ja) 衣服収納ロッカー
KR101435764B1 (ko)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공기청정기
KR101152684B1 (ko) 겔 타입 피톤치드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0929715B1 (ko) 먼지 털이 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치
CN203564177U (zh) 玻璃清洁装置
CN107806665A (zh) 一种便于清洗的空调净化器
KR20110128440A (ko) 공기 청정 가습기
KR20140102041A (ko) 흡연용 부스
CN206987678U (zh) 一种医院病房用空气净化窗
KR200495246Y1 (ko) 공기 청정기가 내장된 침대 프레임
CN104607003A (zh) 湿滤水洗空气清新净化头
CN109114704B (zh) 室内空气净化装置
KR102151548B1 (ko) 공기청정기
KR102074951B1 (ko) 공기환경개선장치
CN210772544U (zh)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CN202595865U (zh) 除臭马桶
KR20110045506A (ko) 대나무숯 가습 장치 및 대나무숯 가습 장치를 포함하는 분경 장치
CN211503055U (zh) 一种智能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