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548B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1548B1 KR102151548B1 KR1020190066930A KR20190066930A KR102151548B1 KR 102151548 B1 KR102151548 B1 KR 102151548B1 KR 1020190066930 A KR1020190066930 A KR 1020190066930A KR 20190066930 A KR20190066930 A KR 20190066930A KR 102151548 B1 KR102151548 B1 KR 1021515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air
- space
- filter
-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24F3/1603—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 F24F2003/1667—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24F2110/22—Humidity of the outside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미세먼지, 중금속, 냄새 및 곰팡이 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정화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공기청정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청정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공기를 상기 공간을 향해 공급하는 흡입부, 상기 공간에서 흡입부를 둘러싸며 상기 흡입부와 결합되는 포집부 및 상기 공간에서 상기 포집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필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포집부와 분리된 위치에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패턴 또는 문양 형태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청정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공기를 상기 공간을 향해 공급하는 흡입부, 상기 공간에서 흡입부를 둘러싸며 상기 흡입부와 결합되는 포집부 및 상기 공간에서 상기 포집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필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포집부와 분리된 위치에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패턴 또는 문양 형태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공기청정기는 단일의 필터만을 사용하여 공기중의 중금속, 입자가 큰 먼지들, 곰팡이, 비듬, 꽃가루 등을 제거하는 성능이 상대적으로 낮다.
그리고 공기중의 중금속, 입자가 큰 먼지들, 곰팡이, 비듬, 꽃가루들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필터들이 필요한데 기존의 공기청정기는 복수의 필터들을 삽입하기 어려운 구조적인 한계가 존재하고, 필터들이 늘어난 만큼 효과적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기능이 부족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0095호는 소형 공기청정기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8558호는 차량 거치형 공기청정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들을 필터링하고 정화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미세먼지, 중금속, 냄새 및 곰팡이 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정화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공기청정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청정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공기를 상기 공간을 향해 공급하는 흡입부, 상기 공간에서 흡입부를 둘러싸며 상기 흡입부와 결합되는 포집부 및 상기 공간에서 상기 포집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필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포집부와 분리된 위치에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패턴 또는 문양 형태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포집부를 둘러싸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내측면은 상기 포집부를 둘러싸고 외측면은 상기 통공들과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는 상기 공간에서 상기 포집부 및 필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간을 분리하고, 부착된 팬을 통해 상기 포집부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필터부를 향해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는 상기 흡입부 또는 배출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고, 흡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를 광을 통해 살균하도록 형성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공간에서 상기 포집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는 상기 필터들 각각 및 상기 포집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들 및 포집부를 분리시키고, 팬을 통해 상기 포집부의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필터들 각각을 향해 공급하는 배출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는 상기 흡입부의 테두리 및 하부를 둘러싸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폴리에스테르 PEEK, 폴리에스테르 불소수지,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스테르 PET, 폴리에스테르 PEA, 폴리에스테르 PTFE, 폴리아미드들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는 상기 케이스와 분리되고, 상기 공간으로 유입되는 미세먼지 농도, 외부의 습도 및 온도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감지하는 제어부와 무선으로 연동되어 상기 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청정기는 복수의 필터들이 삽입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곰팡이, 중금속 및 냄새를 효과적으로 정화한다.
또한, 공기청정기는 유입되는 공기를 다양한 방향으로 배출시켜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공기 정화가 가능하고, UV 광을 통해 공기를 살균하여 공기 정화 기능이 개선된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5들은 도 3의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5들은 도 3의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2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00)는 케이스(200), 흡입부(220), 포집부(240), 필터부(260), 살균부(280) 및 조작부(290)들을 포함한다.
공기청정기(100)는 소형 공기청정기로서, 상대적으로 작은 원룸, 방 또는 차량 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고, 내부에 먼지들을 포집하는 장치 및 필터가 형성되어 미세먼지 황사먼지, 곰팡이, 진드기, 애완동물 비듬 또는 꽃가루를 정화한다.
케이스(200)는 하부에 위치하는 일단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원통형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내부의 공간이 상부의 개구부(5)를 통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케이스(200)의 외측면에는 마름모, 원형, 꽃문양, 별문양 또는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바문양으로 케이스(200)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케이스(200)의 외부 및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통공(20)들이 형성된다.
케이스(20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케이스(200)의 외측면에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통공(20)들은 공기청정기(100)의 세련된 외관에 기여한다.
또한, 마름모, 원형, 꽃문양, 별문양 또는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바문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통공(20)들은 케이스(2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공(20)을 지날때 풍량을 감소시켜 자연스러운 바람을 발생시키며 소음이 낮은 장점이 있다.
흡입부(220)는 팬(222), 캡(224) 및 커버(226)들을 포함한다.
흡입부(2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개구부(5)에 삽입되고, 단일 또는 복수의 팬들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면 하부를 향해 공기를 이동시켜 상기 공간에 흡입한 공기를 공급한다.
팬(222)의 중앙에는 모터가 배치되고, 가장자리는 복수의 날개들이 상기 모터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날개들의 회전을 통해 상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하부를 향해 이동시킨다.
캡(224)의 상부측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팬(222)의 상부에 배치되고, 마름모, 원형, 꽃문양, 별문양 또는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바문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캡(224)의 상부측을 상하부로 관통하는 상부통공들이 형성된다.
캡(224)의 하부측은 상부측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팬(222)의 측면을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측의 내측면은 팬(222)의 날개들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커버(226)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마름모, 원형, 꽃문양, 별문양 또는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바문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커버(226)를 상부 뚜는 하부를 향해 관통하는 하부통공들이 형성된다.
커버(226)의 가장자리 일부분은 캡(224)의 하부측 가장자리와 결합되어 캡(224) 및 커버(226) 사이에 팬(222)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는 회전공간을 형성하고, 팬(222)은 상기 회전공간에서 회전하면서 상부의 공기를 상기 공간을 향해 이동시킨다.
포집부(240)의 일단은 상기 공간에서 흡입부(220)의 하부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흡입부(220)와 결합되고, 타단은 원통형으로 하부를 향해 연장되면서 서로 연결되어 주머니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포집부(240)는 포집망(242)을 더 포함한다.
포집망(242)의 일단은 커버(226) 또는 캡(224)의 외측면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고 서로 연결되어 커버(226)의 하부 공간을 둘러싸는 주머니 또는 용기 형태로 형성된다.
포집망(242)은 폴리에스테르 PEEK, 폴리에스테르 불소수지,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스테르 PET, 폴리에스테르 PEA, 폴리에스테르 PTFE, 폴리아미드들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통해 망 형태로 제조된다.
포집망(242)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망사 및 상기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망사를 둘러싸는 폴리 에스테르 망사의 2중 구조로 제작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포집망(242)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황사먼지, 곰팡이, 진드기, 애완동물 비듬 또는 꽃가루 중 어느 하나는 포집망(242)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부의 공기는 캡(224), 팬(222) 및 커버(226)를 통해 하부를 향해 이동하여 포집망(242)의 내부로 이동하고, 포집망(242)을 지나 포집망(242)의 외부로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황사먼지, 곰팡이, 진드기, 애완동물 비듬 또는 꽃가루 중 어느 하나는 포집망(242)에 부착되어 필터링된다.
필터부(260)는 중금속필터(261), 헤파필터(262), 탈취필터(263) 및 극세사필터(264)들을 포함한다.
필터부(260)는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포집부(240)를 둘러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면은 포집부(240)의 타단 외측면을 둘러싸며, 외측면은 케이스(200)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포집부(240)를 지나 1차적으로 정화된 공기는 흡입부(220)의 풍력에 의해 필터부(260)를 지나 케이스(200)의 내측면을 향해 이동하면서 필터부(260)에 의해 2차적으로 정화되며, 정화된 공기는 통공(20)들을 지나 외부를 향해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중금속필터(261)는 포집망(242)에 인접한 위치에서 일단은 케이스(200)의 저면 내측면에 원형의 형태로 밀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후술될 차단판(287)과 밀착되며 포집망(242)을 둘러싼다.
포집망(242)을 거쳐 배출되는 공기는 중금속필터(26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되는 중금속이 중금속필터(261)에 부착되고, 중금속필터(261)를 통과하는 공기는 중금속이 제거된다.
헤파필터(262)는 상기 공간에서 일단은 케이스(200)의 저면 내측면에 원형의 형태로 밀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후술될 차단판(287)과 밀착되며, 중금속필터(261)를 둘러싼다.
중금속필터(261)에서 중금속이 제거된 공기는 헤파필터(26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헤파필터(262)에 부착되고, 헤파필터(262)를 통과하는 공기에서는 미세먼지가 제거된다.
탈취필터(263)는 상기 공간에서 일단이 케이스(200)의 저면 내측면에 원형의 형태로 밀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후술될 차단판(287)과 밀착되며, 헤파필터(262)를 둘러싼다.
헤파필터(262)에서 미세먼지들이 제거된 공기는 탈취필터(26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냄새가 탈취되고, 탈취필터(263)를 통과하면 공기 중의 악취가 제거된다.
극세사필터(264)는 상기 공간에서 일단이 케이스(200)의 저면 내측면에 원형의 형태로 밀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후술될 차단판(287)과 밀착되며, 탈취필터(263)를 둘러싼다.
탈취필터(263)에서 탈취된 공기는 극세사필터(264)를 관통하면서 케이스(200)의 내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공기중의 잔여 먼지 또는 미세먼지들이 제거된다.
따라서, 중금속필터(261), 헤파필터(262), 탈취필터(263) 및 극세사필터(264)들을 통과하는 공기는 중금속, 미세먼지, 냄새 및 먼지들이 제거된 상태로 통공(20)을 지나 외부로 이동한다.
살균부(280)의 상측부는 환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고, 하측부는 상측부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케이스(200)의 타단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살균부(280)는 케이스(200)의 상부에서 흡입부(220)를 둘러싸는 캡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200)의 타단과 결합되고, 상측부 하부에 형성되는 살균장치를 통해 상기 중공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한다.
구체적으로, 살균부(280)는 상부커버(281), 램프(282)들, 배터리(284)들, 측면커버(286) 및 차단판(287)들을 포함한다.
상부커버(281)는 중앙에 중공(1)이 형성되는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흡입부(220)의 상부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저면에는 램프(282)들 및 배터리(284)들이 부착된다.
측면커버(286)의 상측부는 환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커버(281)의 저면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상측부에서 하부를 향해 원통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케이스(200)의 타단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차단판(287)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면은 캡(224)의 하부측 측면을 둘러싸면서 캡(225)과 결합되거나 포집망(242)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포집망(242)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차단판(287)의 외측면은 상기 공간에서 케이스(20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공간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차단판(287)의 저면은 필터부(260)의 상부를 커버한다.
따라서, 차단판(287)은 팬(222)을 통해 포집망(24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필터부(260)의 필터링 효과를 개선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단판(287)은 중금속필터(261), 헤파필터(262), 탈취필터(263) 또는 극세사필터(264) 중 어느 하나의 교체를 위해 케이스(200)에서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램프(282)들 각각은 중공(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상부커버(281)의 저면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UV광을 방출하여 흡입부(220)를 통해 중공(1)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한다.
배터리(284)들은 램프(282)와 이격된 위치에서 중공(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상부커버(281)의 저면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램프(282)들 및 팬(2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램프(282)들 및 팬(222)에 전력을 공급한다.
팬(222) 및 배터리(284)들은 측면커버(286)가 케이스(200)와 결합되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량에 공기청정기(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살균부(280)만 케이스(200)에서 탈착이 가능하므로 배터리(284)들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조작부(290)는 측면커버(286)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전원버튼(291), 저속버튼(292), 고속버튼(293), 초고속버튼(294) 및 살균버튼(295)들을 포함한다.
전원버튼(291)은 측면커버(286)의 외측에 형성되고, 전원버튼(291)의 구동에 따라 공기청정기(100)의 구동이 시작되거나 정지된다.
저속버튼(292)은 전원버튼(291)에 인접한 위치에서 측면커버(286)의 외측에 형성되고, 저속버튼(292)의 구동에 의해 팬(222)이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회전한다.
고속버튼(293)은 저속버튼(292)에 인접한 위치에서 저속버튼(292)을 사이에 두고 전원버튼(291)과 이격되도록 측면커버(286)의 외측에 형성되며, 고속버튼(293)의 구동에 의해 팬(222)은 저속버튼(292)을 통한 회전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로 회전한다.
초고속버튼(294)은 고속버튼(293)에 인접한 위치에서 고속버튼(293)을 사이에 두고 저속버튼(292)과 이격되도록 측면커버(286)의 외측에 형성되며, 초고속버튼(294)의 구동에 의해 팬(222)은 고속버튼(293)을 통한 회전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로 회전한다.
살균버튼(295)은 초고속버튼(294)에 인접한 위치에서 초고속버튼(294)을 사이에 두고 고속버튼(293)과 이격되도록 측면커버(286)의 외측에 형성되고, 살균버튼(295)의 구동에 의해 램프(282)들이 발광하여 중공(1)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 및 5들은 도 3의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3 내지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20)는 케이스(300), 흡입부(320), 포집부(340), 필터부(360), 배출부(380), 살균부(385), 조작부(390) 및 표시부(700)들을 포함한다.
공기청정기(120)는 내부에 공간(7)이 형성되고, 상부에 공간(7)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부(6)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개구부(6)에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전방에 형성된 통공들을 통해 공기를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300)의 일단은 직사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케이스(300)의 일단 가장자리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타단 상부는 직사각형의 개구부(6)를 제외한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케이스(300)는 전면판(310), 후면판(312), 측면판(314, 316)들 및 저면판(319)들을 포함한다.
전면판(310)은 케이스(300)의 전방에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후면판(312)은 전면판(310)의 후방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전면판(310)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측면판(314, 316)들 각각은 전면판(310) 및 후면판(312)들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이 전면판(310) 및 후면판(312)과 결합되어 공간(7)을 둘러싼다.
저면판(319)은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 상부 일부분이 전면판(310), 측면판(314, 316)들 및 후면판(312)의 하부와 결합되어 케이스(300) 안쪽의 공간(7)의 하부를 커버한다.
상부판(318)은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판(310) 및 측면판(314, 316)들의 전방쪽 일부분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개구부(6)를 제외한 공간(7)의 상부를 커버한다.
흡입부(320)는 프레임(322), 타공판(324), 팬(325)들, 삽입판(326) 및 삽입판(327)들을 포함한다.
흡입부(320)는 개구부(6)에 삽입되어 케이스(20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외부공간과 공간(7) 사이를 밀폐시키며, 부착된 팬들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공간(7)을 향해 공급한다.
프레임(322)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일렬로 배치되는 팬(325)들을 둘러싸는 형태로 팬(325)들과 결합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개구부(6)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면은 후면판(312), 측면판(314, 316)들 및 후술될 배출부(380)와 밀착되어 외부공간과 공간(7)을 분리시킨다.
삽입판(326, 327)들 각각의 일단은 프레임(322)의 일측 및 타측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삽입판(326, 327)들 각각의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포집망(342)의 안쪽에서 포집망(342)의 내측면과 접착 또는 부착된다.
타공판(324)은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공판(324)을 상하부로 관통하는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며, 타공판(324)의 외측면은 팬(325)들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후면판(312), 측면판(314, 316)들 및 배출부(380)와 밀착되어 팬(325)들의 상부에 고정된다.
살균부(385)는 램프(386, 387)들을 포함한다.
살균부(385)는 흡입부(320)의 하부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UV광을 발광하여 흡입부(320)를 통해 공간(7)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한다.
램프(385, 387)들 각각은 공간(7)에서 팬(325)들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를 향하도록 삽입판(326, 327)들 각각에 결합되고, UV 광을 발광하여, 팬(325)들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한다.
포집부(340)는 포집망(342)을 포함한다.
포집부(340)의 상측부는 공간(7)에서 흡입부(320)의 하부를 둘러싸며 흡입부(320)와 결합되고, 하측부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공간(7)의 일부를 망 형태로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포집망(342)의 상측부는 삽입판(326, 327)들 각각을 둘러싸면서 프레임(322)의 저면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일단의 하부에 해당하는 공간(7)의 일부를 둘러싸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팬(325)들을 통해 포집망(34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들은 포집망(342)에 흡착되고, 포집망(342)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후술될 배출부(380)를 통해 전방을 향해 이동한다.
포집망(342)은 폴리에스테르 PEEK, 폴리에스테르 불소수지,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스테르 PET, 폴리에스테르 PEA, 폴리에스테르 PTFE, 폴리아미드들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통해 망 형태로 제조된다.
포집망(342)은 폴리에스테르 망사 및 상기 폴리 에스테르 망사를 둘러싸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2중 구조로 제작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포집망(342)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황사먼지, 곰팡이, 진드기, 애완동물 비듬 또는 꽃가루 중 어느 하나는 포집망(342)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 망사를 1차로 통과하는 공기 중의 상대적으로 큰 먼지는 폴리에스테르 망사에 부착되어 1차 정화되고, 폴리에스테르 망사를 통과한 미세먼지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에 부착된다.
따라서, 포집망(34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황사먼지, 곰팡이, 진드기, 애완동물 비듬 또는 꽃가루 중 어느 하나는 포집망(342)에 부착되어 필터링된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망사는 25㎛ 내지 40㎛의 밀도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는 폴리우레탄 휠타폼, 폴리에스테르 PEEK, 폴리에스테르 불소수지,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스테르 PET, 폴리에스테르 PEA, 폴리에스테르 PTFE, 폴리 아미드 부직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 에스테르 망사는 폴리우레탄 PEEK, 폴리에스테르 불소수지,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스테르PET, 폴리에스테르 PEA, 폴리에스테르 PTFE, 폴리아미드 망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필터부(360)는 중금속필터(361), 헤파필터(362), 탈취필터(363) 및 극세사필터(364)들을 포함한다.
필터부(360)는 공간(7)에서 포집부(340)의 전방에 배치되고, 포집부(340)를 통해 제1차 정화된 공기에 포함되는 중금속, 미세먼지, 냄새 및 먼지들을 필터링한다.
중금속필터(361)는 포집망(342)의 전방에 해당하는 공간(7)에서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는 저면판(319)과 밀착되고, 상부는 상부판(318)의 저면과 밀착되며, 양측면은 측면판(314, 316)들과 밀착된다.
포집망(342)에서 정화된 공기는 중금속필터(361)를 통과하면, 공기에 포함되는 중금속이 중금속필터(361)에 부착되고, 중금속필터(361)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중금속이 제거된다.
헤파필터(362)는 중금속필터(361)의 전방에 해당하는 공간(7)에서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는 저면판(319)과 밀착되고, 상부는 상부판(318)의 저면과 밀착되며, 양측면은 측면판(314, 316)들과 밀착된다.
중금속필터(361)에서 중금속이 제거된 공기는 헤파필터(362)를 통과하면,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먼지가 헤파필터(362)에 부착되고, 헤파필터(362)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미세먼지가 제거된다.
탈취필터(363)는 헤파필터(362)의 전방에 해당하는 공간(7)에서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는 저면판(319)과 밀착되고, 상부는 상부판(318)의 저면과 밀착되며, 양측면은 측면판(314, 316)들과 밀착된다.
헤파필터(362)에서 중금속이 제거된 공기는 탈취필터(363)를 통과하면, 공기의 악취가 탈취필터(363)에 의해 제거된다.
극세사필터(364)는 탈취필터(363)의 전방에 해당하는 공간(7)에서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는 저면판(319)과 밀착되고, 상부는 상부판(318)의 저면과 밀착되며, 양측면은 측면판(314, 316)들과 밀착된다.
탈취필터(363)에서 냄새가 제거된 공기는 극세사필터(364)를 통과하면, 잔존 먼지들이 극세사필터(364)에 부착되고, 극세사필터(364)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잔존먼지들이 제거된다.
배출부(380)는 공간(7)에서 포집부(340) 및 필터부(360) 사이에 배치되어 공간(7)을 분리하고, 부착된 팬들을 통해 포집부(340)에서 1차 정화된 공기를 필터부(360)를 향해 이동시킨다.
배출부(380)는 프레임(381) 및 팬(382)들을 포함한다.
팬(382)들 각각은 격자형태로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배치되고, 외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한정된 공간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숫자의 팬(382)들이 배치되며, 복수의 팬(382)들의 구동을 통해 포집부(340)에서 정화되는 공기가 필터부(360)를 향해 이동한다.
프레임(381)은 서로 격자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외측면이 밀착된 팬(382)들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환형태로 형성되고, 프레임(381)의 외측면은 측면판(314, 316)들, 저면판(319) 및 상부판(318)과 밀착된다.
따라서, 팬(382)들을 통해 포집부(340)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부(360)를 거쳐 전면판(310)을 향해 이동하고, 전면판(310)의 내측면에 충돌하는 공기는 통공(30)들을 통해 케이스(30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작부(390)는 전원버튼(391), 저속버튼(392), 고속버튼(393), 초고속버튼(394) 및 살균버튼(395)들을 포함한다.
조작부(390)는 전면판(310)의 상부 전방에 형성되고, 전방에 부착되는 버튼들의 조작을 통해 공기청정기(120)의 전원, 팬(325, 382)들의 회전속도, 살균부(385)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버튼(391)은 조작부(390)의 중앙쪽에 형성되고, 전원버튼(391)의 구동에 의해 공기청정기(140)의 전원을 제어한다.
저속버튼(392)은 전원버튼(391)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저속버튼(392)의 구동에 의해 팬(325)들 또는 배출부(380)의 팬(382)들의 속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회전한다.
고속버튼(393)은 저속버튼(392)에 인접한 위치에서 전원버튼(391)의 상부에 형성되고, 고속버튼(393)의 구동에 의해 팬(325)들 또는 배출부(380)의 팬(382)들은 저속버튼(392)으로 구동하는 팬(325)들 또는 팬(382)들의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회전한다.
초고속버튼(394)은 고속버튼(393)에 인접한 위치에서 전원버튼(391)의 상부에 형성되고, 초고속버튼(394)의 구동에 의해 팬(325)들 또는 배출부(380)의 팬(382)들은 고속버튼(393)으로 구동하는 팬(325)들 또는 팬(382)들의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회전한다.
살균버튼(395)은 조작부(390)의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되고, 살균버튼(395)의 구동에 의해 살균부(385)의 구동이 제어되어 살균버튼(395)의 구동에 의해 램프(386)가 발광하거나 소등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390)에는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무선 연결 표시램프, 미세먼지 상황 표시부, 습도표시부, 온도표시부 및 AI 연동표시부들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700)는 표시프레임(710), 거치대(720), 고정부(730), 미세먼지표시부(740), 습도표시부(750), 온도표시부(760) 및 시간표시부(770)들을 포함한다.
표시부(700)는 케이스(300)와 분리되어 케이스(30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조작부(390)에 내장된 제어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케이스(300) 내외부의 공기정화상태, 습도, 온도 및 시간을 표시한다.
표시프레임(710)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표시제어부 및 배터리가 내장된다.
거치대(720)의 일단은 표시프레임(710)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후 전방을 향해 절곡되며, 타단 저면은 지면에 밀착되어 표시프레임(710)을 지지한다.
미세먼지표시부(740)는 표시프레임(710)의 전방 상부에 디스플레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감지하는 미세먼지 상태를 수치로 표시하거나 나쁨, 보통, 좋음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표시한다.
습도표시부(750)는 표시프레임(710)의 전방 일측에 디스플레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감지하는 습도 상태를 수치로 표시하거나 나쁨, 보통, 좋음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표시한다.
온도표시부(760)는 표시프레임(710)의 전방 하부에 디스플레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감지하는 온도 상태를 수치로 표시하여 원거리에서 상기 제어부에 인접한 환경의 온도를 인지할 수 있다.
시간표시부(770)는 표시프레임(710)의 전방 타측에 디스플레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현재 시간 또는 표시부(700)가 배치되는 환경의 시간을 수치로 표시한다.
표시부(700)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사용자가 유지하기 원하는 케이스(300) 주변의 미세먼지 수치를 조작부를 통해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는 자체 AI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팬(324, 382)들을 구동시키고, 살균부(385)를 작동시켜 공기를 자동을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설치된 자체 AI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공기청정기(120)를 작동시키는 타이밍을 스스로 학습하여 자동으로 공기청정기(120)를 가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공기청정기(140)는 케이스(302), 배출부(490) 및 필터부(500)들을 제외하면, 도 3 내지 5들에 개시된 공기청정기(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내지 7들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40)는 케이스(302), 배출부(490) 및 필터부(500)들을 포함한다.
공기청정기(140)는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8)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고, 정화된 공기를 전방 및 후방을 향해 배출하여 양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케이스(302)는 도 3의 케이스(300)가 포함하는 측면판(314, 316)들, 후면판(312) 및 저면판(319)들을 대신하여, 측면판(303, 304)들, 상부판(306) 및 후면판(307)들을 포함한다.
측면판(303, 304)들 각각은 케이스(302)의 일측 및 타측을 커버하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도 3의 측면판(314, 316)들보다 상대적으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다.
측면판(303)의 전방은 전면판(310)의 일측 테두리에 결합되고, 하부는 저면판(305)의 일측 테두리에 결합되며, 후방은 후면판(312)의 일측 테두리에 결합되며, 전방 상부 일부분은 상부판(318) 및 타공판(324)의 일측에 결합된다.
측면판(304)의 전방은 전면판(310)의 타측 테두리에 결합되고, 하부는 저면판(305)의 타측 테두리에 결합되며, 후방은 후면판(312)의 타측 테두리에 결합되며 전방 상부 일부분은 상부판(318) 및 타공판(324)의 타측에 결합된다.
상부판(306)은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공판(324) 및 후면판(31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케이스(302)의 후방 상부를 향해 개방된 공간(9)의 일부를 밀폐시킨다.
상부판(318, 306)들 각각은 포집부(340)의 전방 및 후방 각각에 배치되는 배출부(380, 490)들 각각의 상부에 밀착되어 외부공간과 배출부(380, 490)들 각각이 배치되는 공간을 서로 분리시킨다.
상부판(318, 306)들 각각은 케이스(302)로부터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부판(318, 306)들 각각을 케이스(302)에서 탈착시켜 필터부(500)의 필터들의 교체가 가능하다.
후면판(307)은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케이스(302)의 후방에 배치되어 후면판(307)의 상부 테두리는 상부판(306)의 후방에 결합되고, 양측은 측면판(303, 304)들과 결합되며, 하부는 저면판(305)과 결합된다.
후면판(307)에는 마름모, 원형, 꽃문양, 별문양 또는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바문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통공(40)들이 형성되어 배출부(490)를 통해 후방을 향해 이동하는 공기는 후면판(307)의 내측면에서 풍량이 감속되고 통공(40)들을 통해 외부로 이동한다.
배출부(490)는 배출프레임(491) 및 팬(392)들을 포함한다.
배출부(49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면이 상부판(306), 측면판(303, 304)들의 내측면 및 저면판(305)과 밀착되고, 케이스(302)의 내부에 해당하는 공간(9)에서 포집부(340)의 후방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배출부(490)는 설치된 복수의 팬들을 통해 포집부(340)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후방을 향해 이동시키고, 후방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배출부(490)의 후방에 배치되는 필터들을 거쳐 외부로 이동한다.
팬(392)들 각각은 팬(382)들 각각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치되어 팬(382)들 각각과 마주하도록 격자 형태로 배치되고, 팬(392)들 각각의 외측면은 서로 밀착되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배출프레임(491)은 서로 밀착되며 배치되는 팬(392)들의 외측을 둘러싸며 팬(392)들을 둘러싸는 직사각 환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면은 측면판(303, 304), 상부판(306) 및 저면판(305)들과 밀착되어 포집부(340)가 위치한 공간과 배출프레임(491)의 후방에 위치한 공간을 서로 분리시킨다.
따라서, 포집부(340)에서 정화된 공기는 팬(392)들을 거쳐서 후방을 향해 이동하고, 후방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필터부(500)를 통해 정화된 후 통공(40)들을 통해 외부로 이동한다.
필터부(500)는 중금속필터(371), 헤파필터(372), 탈취필터(373) 및 극세사필터(374)들을 더 포함한다.
필터부(500)는 공간(9)에서 배출부(380)의 전방 및 배출부(490)의 후방에 해당하는 공간에 배치되어 배출부(380, 490)들을 통해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는 공기를 정화한다.
중금속필터(371)는 포집망(342)의 후방에 해당하는 공간(9)에서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는 저면판(305)과 밀착되고, 상부는 상부판(306)의 저면과 밀착되며, 양측면은 측면판(303, 304)들과 밀착된다.
포집망(342)에서 정화된 공기는 중금속필터(371)를 통과하면, 공기에 포함되는 중금속이 중금속필터(371)에 부착되고, 중금속필터(371)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중금속이 제거된다.
헤파필터(372)는 중금속필터(371)의 후방에 해당하는 공간(9)에서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는 저면판(305)과 밀착되고, 상부는 상부판(306)의 저면과 밀착되며, 양측면은 측면판(303, 304)들과 밀착된다.
중금속필터(371)에서 중금속이 제거된 공기는 헤파필터(372)를 통과하면,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먼지가 헤파필터(372)에 부착되고, 헤파필터(372)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미세먼지가 제거된다.
탈취필터(373)는 헤파필터(372)의 후방에 해당하는 공간(9)에서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는 저면판(305)과 밀착되고, 상부는 상부판(306)의 저면과 밀착되며, 양측면은 측면판(303, 304)들과 밀착된다.
헤파필터(372)에서 중금속이 제거된 공기는 탈취필터(373)를 통과하면, 공기의 악취가 탈취필터(373)에 의해 제거된다.
극세사필터(374)는 탈취필터(373)의 후방에 해당하는 공간(9)에서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는 저면판(305)과 밀착되고, 상부는 상부판(306)의 저면과 밀착되며, 양측면은 측면판(303, 304)들과 밀착된다.
탈취필터(373)에서 냄새가 제거된 공기는 극세사필터(374)를 통과하면, 잔존 먼지들이 극세사필터(374)에 부착되고, 극세사필터(374)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잔존먼지들이 제거된다.
따라서, 포집부(340)로 유입된 공기는 공간(9)에서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이동하여 필터부(500)를 통해 정화된 후 공기청정기(140)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도 8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부(280)는 라이터(286), 경사대(287), 연기센서(288) 및 차단판(289)들을 더 포함한다.
상부커버(280)의 개구부(5) 일측에 위치하는 직사각 형태의 상부면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홈(60)이 형성되고, 홈(60)의 일측쪽 내측면 일부분은 개구부(5)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홈(62)이 형성된다.
홈(60)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쪽 내측면의 일부분은 원기둥 형태로 타측을 향해 함몰되며, 함몰된 공간에는 라이터(286)가 형성된다.
라이터(286)는 배터리(284)들과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불꽃, 아크 또는 화염을 발생시키고, 연소가 필요한 물건의 일부분을 라이터(286)가 위치한 함몰된 공간에 삽입시키면 자동으로 작동한다.
경사대(287)는 홈(60)에 해당하는 공간에서 상부커버(281)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되고, 개구부(5)와 이격된 위치의 일측에서 개구부(5)가 위치한 타측을 향해 두께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며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면에는 개구부(5) 및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연소가 진행되어 연기가 발생되는 물건을 홈(60)에 배치하면, 상기 경사면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물건이 개구부(5)를 향해 이동하므로, 발생된 연기가 개구부(5) 및 홈(60) 사이에 해당하는 상부커버(281)를 관통하여 개구부(5) 및 홈(60)들을 연결하는 흡입통로(70)를 통해 개구부(5)로 효과적으로 이동한다.
연기센서(288)는 라이터(286)에 인접한 위치에서 홈(60)에 위치한 상부커버(281)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팬(2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기를 감지하면 팬(222)의 속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시킨다.
차단판(289)은 개구부(5)에 인접한 홈(60)의 타측 상부를 커버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경사대(287)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부커버(281)와 결합되어 개구부(5)에 인접한 경사대(287)의 상부 일부분을 커버한다.
따라서, 상기 물건이 홈(60)에 배치되어 연기를 발생시키면, 연기는 흡입통로(70) 및 팬(222)의 구동에 의해 효과적으로 포집망(242)의 내부로 이동하고, 흡입통로(7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물건의 재들은 포집망(242)에 의해 효과적으로 필터링되며, 연기는 필터부(260)를 거쳐 정화된다.
또한, 차단판(289)에 의해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연기의 이동이 차단되어 발생되는 연기는 효과적으로 흡입통로(70)로 이동하고, 경사대(287)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물건이 차단판(289)의 하부를 향해 이동하므로, 공기청정기(100)의 효과적인 공기청정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공기청정기 200, 300, 302: 케이스
220, 320: 흡입부 240, 340: 포집부
260, 360, 500: 필터부 280, 385: 살균부
290, 390: 조작부 380, 490: 배출부
220, 320: 흡입부 240, 340: 포집부
260, 360, 500: 필터부 280, 385: 살균부
290, 390: 조작부 380, 490: 배출부
Claims (8)
-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공기를 상기 공간을 향해 공급하는 흡입부;
상기 공간에서 흡입부를 둘러싸며 상기 흡입부와 결합되는 포집부;
상기 공간에서 상기 포집부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는 필터들을 포함하는 필터부; 및
상기 공간에서 상기 포집부 및 필터들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들 및 포집부를 분리하고, 부착된 팬들을 통해 상기 포집부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필터들 각각 향해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필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포집부와 분리된 위치에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마름모, 원형 및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태의 통공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포집부를 둘러싸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내측면은 상기 포집부를 둘러싸고 외측면은 상기 통공들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 또는 배출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고, 흡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를 광을 통해 살균하도록 형성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흡입부의 테두리 및 하부를 둘러싸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폴리에스테르 PEEK, 폴리에스테르 불소수지,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스테르 PET, 폴리에스테르 PEA, 폴리에스테르 PTFE, 폴리아미드들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분리되고, 상기 공간으로 유입되는 미세먼지 농도, 외부의 습도 및 온도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감지하는 제어부와 무선으로 연동되어 상기 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6930A KR102151548B1 (ko) | 2019-06-05 | 2019-06-05 | 공기청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6930A KR102151548B1 (ko) | 2019-06-05 | 2019-06-05 | 공기청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1548B1 true KR102151548B1 (ko) | 2020-09-03 |
Family
ID=7245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6930A KR102151548B1 (ko) | 2019-06-05 | 2019-06-05 | 공기청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154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91223A (zh) * | 2021-03-05 | 2021-07-09 | 绍兴智明草科技有限公司 | 基于放置位置进行机器学习的物联网空气净化方法及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70145A (ja) * | 1999-12-20 | 2001-06-26 | Fujitsu General Ltd | 空気清浄機 |
KR100718249B1 (ko) * | 2006-08-11 | 2007-05-15 | 주식회사 나우텍 | 모듈형 공기정화장치 |
KR20170031945A (ko) * | 2015-09-14 | 2017-03-22 | 장대규 | 소형 공기청정기 |
KR20180088558A (ko) | 2017-01-26 | 2018-08-06 | (주)카인클린 | 차량 거치형 공기청정기 |
-
2019
- 2019-06-05 KR KR1020190066930A patent/KR1021515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70145A (ja) * | 1999-12-20 | 2001-06-26 | Fujitsu General Ltd | 空気清浄機 |
KR100718249B1 (ko) * | 2006-08-11 | 2007-05-15 | 주식회사 나우텍 | 모듈형 공기정화장치 |
KR20170031945A (ko) * | 2015-09-14 | 2017-03-22 | 장대규 | 소형 공기청정기 |
KR101830095B1 (ko) | 2015-09-14 | 2018-02-20 | 장대규 | 소형 공기청정기 |
KR20180088558A (ko) | 2017-01-26 | 2018-08-06 | (주)카인클린 | 차량 거치형 공기청정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91223A (zh) * | 2021-03-05 | 2021-07-09 | 绍兴智明草科技有限公司 | 基于放置位置进行机器学习的物联网空气净化方法及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196325B (zh) | 一种移动式室内环境洁净机器人 | |
JP6212222B2 (ja) | 空気清浄機 | |
CN104949212B (zh) | 空气净化器 | |
CN107624078B (zh) | 空气净化器 | |
EP1937128A2 (en) | Vacuum cleaner with ultraviolet light source and ozone | |
KR102464930B1 (ko) |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공기 정화기 | |
JP6193502B2 (ja) | 加湿機 | |
KR102231447B1 (ko) | 필터 다단 적층형 공기청정기 | |
KR101912444B1 (ko) |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 |
JP2009035405A (ja) | 空気清浄ユニット | |
KR102151548B1 (ko) | 공기청정기 | |
CN110972972B (zh) | 一种带除异味装置的宠物智能窝 | |
CN106175607B (zh) | 具有电动灌装洁净空气功能的清洁机器人 | |
KR101185250B1 (ko) | 공기청정기 | |
KR200419443Y1 (ko) | 서랍형 공기청정기 | |
CN106214064A (zh) | 具有手动灌装洁净空气功能的环境洁净机器人 | |
TWI753493B (zh) | 真空吸塵器 | |
JPH10241455A (ja) |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 |
CN104197426B (zh) | 全触媒式空气净化器 | |
KR102110122B1 (ko) | 공기 청정기 | |
JP2000167326A (ja) | 除塵装置 | |
KR200417118Y1 (ko) | 공기정화기 | |
JP7109109B2 (ja) | 空気清浄装置 | |
CN208768964U (zh) | 一种烟灰缸 | |
KR20200002647U (ko) | 조명겸용 공기청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