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224A - 염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224A
KR20150102224A KR1020140023833A KR20140023833A KR20150102224A KR 20150102224 A KR20150102224 A KR 20150102224A KR 1020140023833 A KR1020140023833 A KR 1020140023833A KR 20140023833 A KR20140023833 A KR 20140023833A KR 20150102224 A KR20150102224 A KR 20150102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air
extract
dye
benton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보경
Original Assignee
최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보경 filed Critical 최보경
Priority to KR1020140023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2224A/ko
Publication of KR20150102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2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알러지를 유발하는 p-페닐렌디아민(p-Phenylenediamine:PPD)을 배제하고, 감잎추출물, 창포추출물, 치자추출물, 감초추출물, 난황레시틴의 천연추출물과 벤토나이트(Bentonite), 이온성 복합미네랄(Ionized mineral compound)을 첨가함으로써 염색시 두피자극을 진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염색 후 모발의 코팅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한편, 염색에 따른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건강한 머릿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염모제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산화염료로서 황산톨루엔-2,5-디아민 1.0∼10.0중량%, m-아미노페놀(m-Aminophenol) 0.45∼0.55중량%, p-아미노-o-크레솔((p-Amino-o-Cresol) 0.003∼0.005중량%, m-페닐렌디아민(m-Phenylenediamine) 0.06∼0.08중량%, 레조시놀(Resorcinol) 0.25∼0.35중량%가 함유되고; 킬레이트화제(Chelating agent)로서 디소듐 EDTA(Disodium EDTA) 0.14∼0.16중량%가 함유되며; 안정제로서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0.45∼0.55중량%, 소듐바이설파이트(Sodium Bisulfite) 0.45∼0.55중량%가 함유되는 한편, 기제로서 암모늄글리시리제이트(Ammonium Glycyrrhizate) 0.09∼0.11중량%,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0.19∼0.21중량%, 수산화칼륨(KOH) 0.25∼0.35중량%, 트레오닌(Threonin) 0.04∼0.06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 0.4∼0.6중량%, 소듐메틸스테아로일타우레이트(Sodium Methyl Stearoyl Taurate) 3.5∼4.5중량%, DL-판테놀(DL-Panthenol) 0.09∼0.11중량%, 구연산(Citric Acid) 0.9∼1.1중량%,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0.85∼0.95중량%,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Polyoxyethylene Cetylether) 4.7∼5.5중량%,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3.8∼4.2중량%, 스테아린산(Stearic Acid) 2.8∼3.2중량%, 스테아라마이드 DEA(Stearamide DEA) 5.0∼5.7중량%,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Cetrimonium Chloride) 5.8∼6.3중량%, 창포추출물 0.3∼0.5중량%, 감초추출물 0.3∼0.5중량%, 치자추출물 0.3∼0.5중량%, 감잎추출물 0.3∼0.5중량%, 벤토나이트(Bentonite) 0.3∼0.5중량%, 이온성 복합미네랄 0.3∼0.5중량%, 난황레시틴 0.2∼0.3중량%가 함유되고; 알킬화제로서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3∼0.5중량%가 함유되며; 용제로서 정제수 55.487∼60.065중량%가 첨가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염모제 조성물{Hairdye compositions}
본 발명은 염모제(染毛劑)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러지를 유발하는 p-페닐렌디아민(p-Phenylenediamine:PPD)을 배제하고, 감잎추출물, 창포추출물, 치자추출물, 감초추출물, 난황레시틴의 천연추출물과 벤토나이트(Bentonite), 이온성 복합미네랄(Ionized mineral compound)을 첨가함으로써 염색시 두피자극을 진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염색 후 모발의 코팅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한편, 염색에 따른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건강한 머릿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毛髮)에 대한 염색은 모발속에 인공의 색소를 넣어 착색시키는 것을 일컫는다.
모발을 염색하는데 사용되는 염모제(染毛劑)는 염색효과의 차이에 따라 일시적 염모제, 반영구적 염모제, 영구적 염모제로 구분할 수 있는바, 상기 영구적 염모제는 색소가 모표피(毛表皮)를 침투하여 모피질 안에 색소분자를 침전시키도록 하는 것이고, 침투와 산화제의 추가작용에 의해 상기 염모제는 탈색과 착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영구적 염모제는 사용되는 염료에 따라 식물성 염모제, 금속 염모제 및 산화염모제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종래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모발염모제는 산화염모제 중에서도 알칼리성 산화염모제이다.
상기 알칼리성 산화염모제는 알칼리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pH를 높여주어 모발을 팽윤시켜 염료의 모발침착을 촉진할 수 있고, 산화제의 주성분인 과산화수소(H2O2)로 하여금 모발내의 멜라닌 색소를 빨리 파괴하도록 촉매역할을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알칼리제는 연약한 피부를 가진 사람에 있어서는 피부트러블이나 알러지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알칼리제는 pH를 높여주어 모발을 팽윤시키기 때문에 모발의 윤기 및 광택을 감소시키고, 모발 성분을 용해시킴에 따라 모발이 심하게 손상되는 경우가 있어 부자연스러운 색이 되거나 머릿결을 상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최근에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머리를 염색하는 소비자가 크게 늘어나는 추세이고, 처음 모발 염색을 시작하는 연령대가 점차 낮아짐에 따라 피부염이나 안면 부종 등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염모제에 함유되어 색상을 발현시키는 염료제는 점막과 눈에 극렬한 자극을 주어 과민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고, 피부염에서 발진이 일어나기도 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성의 염모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 특허공개 제2000-61526호(황토를 함유하는 염색제)가 제안되었다.
상기 특허공개 제2000-61526호의 선행기술은 미네랄이 풍부한 황토의 성질을 이용하기 위해 인체에 무해하고 독성이 없는 황토 흙을 가공하여 머리 염색제에 첨가하는 것이다.
또, 국내 특허공개 제2002-46100호는 피부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지 않은 영구 염모제를 제시하고 있는데, 염모제에 직접 염료(타르색소), 니트로염료 및 천연염료 등에서 선택된 염료를 사용하여 피부의 알러지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모발에로의 염료 침투가 용이하고 염색 지속력이 우수한 조성을 언급하고 있다.
또, 국내 등록특허 제10-0453679호에서는 헤나, 인디고, 센타우레아, 대황가루, 라이첸 또는 리트무스를 함유하는 염모제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는바, 상기 등록특허 제10-0453679호의 선행기술에서는 화학 염료대신 천연 염료 및 천연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색상, 컨디션 및 머리결에 도움을 것으로서 알칼리제와 산화제의 격렬한 작용으로부터 모발을 보호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또, 국내 특허공개 제2005-26759호에서는 천연 식물성 염모제가 제시되었는바, 상기 특허공개 제2005-26759호의 선행기술에서는 천연 식물로 헤나잎 분말과 쪽빛을 내는 쪽잎 분말을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 비율에 따라 염색 색상을 달리하여 모발을 염색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천연 염료를 사용한 염모제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유기농 재료나 생약 성분들을 함유하는 염모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 국내 공개특허 제2005-115530호는 홍삼 추출물 0.01∼5.00 중량%, 당약 추출물 0.01∼5.00 중량%, 천궁 추출물 0.01∼5.00 중량%, 감초 추출물 0.01∼5.00 중량%, 염료 0.001∼5.00 중량%, 기제 17.00∼30.00 중량%를 함유하여 염착성, 염색견뢰도, 모발 컨디셔닝, 모발보호 효과가 우수한 염모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5525호에서는 '두족류의 먹물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이 제안되었다.
상기한 등록특허 제10-0755525호의 선행기술은 ' m-Aminophenol, Resorcine, p-Phenylenediamine 및 p-Aminophenol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산화염료와, 킬레이트제와, 산화방지제와, 유화제와, 증점제와, 가용화제와, 보존제와, 용제와, 착향제와, pH조절제와, 보습제와, 안정제와, 알칼리제와, Methylpolysiloxane emulsion, Dimethicone/Dimethylconol(Gum20%), Henna추출물, Urea, DL-Panthenol, Polyquaternium-7, Hydroxyethylcellulose, Hydrolyzed silk 및 Polyquaternium-1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발보호제와, 산화제로 이루어진 염모제 조성물에 있어서, 두족류(頭足類)의 먹물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의 요지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에서는 산화염료로서, 대표적인 알러지 유발물질인 p-페닐렌디아민(PPD)이 사용됨에 따라 염색시 두피를 자극하여 알러지가 발생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알러지를 유발하는 p-페닐렌디아민(p-Phenylenediamine:PPD)을 배제하고, 감잎추출물, 창포추출물, 치자추출물, 감초추출물, 난황레시틴의 천연추출물과 벤토나이트(Bentonite), 이온성 복합미네랄(Ionized mineral compound)을 첨가함으로써 염색시 두피자극을 진정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염색 후 모발의 코팅력이 향상되도록 한 새로운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색에 따른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건강한 머릿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화염료로서 황산톨루엔-2,5-디아민 1.0∼10.0중량%, m-아미노페놀(m-Aminophenol) 0.45∼0.55중량%, p-아미노-o-크레솔((p-Amino-o-Cresol) 0.003∼0.005중량%, m-페닐렌디아민(m-Phenylenediamine) 0.06∼0.08중량%, 레조시놀(Resorcinol) 0.25∼0.35중량%가 함유되고; 킬레이트화제(Chelating agent)로서 디소듐 EDTA(Disodium EDTA) 0.14∼0.16중량%가 함유되며; 안정제로서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0.45∼0.55중량%, 소듐바이설파이트(Sodium Bisulfite) 0.45∼0.55중량%가 함유되는 한편, 기제로서 암모늄글리시리제이트(Ammonium Glycyrrhizate) 0.09∼0.11중량%,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0.19∼0.21중량%, 수산화칼륨(KOH) 0.25∼0.35중량%, 트레오닌(Threonin) 0.04∼0.06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 0.4∼0.6중량%, 소듐메틸스테아로일타우레이트(Sodium Methyl Stearoyl Taurate) 3.5∼4.5중량%, DL-판테놀(DL-Panthenol) 0.09∼0.11중량%, 구연산(Citric Acid) 0.9∼1.1중량%,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0.85∼0.95중량%,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Polyoxyethylene Cetylether) 4.7∼5.5중량%,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3.8∼4.2중량%, 스테아린산(Stearic Acid) 2.8∼3.2중량%, 스테아라마이드 DEA(Stearamide DEA) 5.0∼5.7중량%,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Cetrimonium Chloride) 5.8∼6.3중량%, 창포추출물 0.3∼0.5중량%, 감초추출물 0.3∼0.5중량%, 치자추출물 0.3∼0.5중량%, 감잎추출물 0.3∼0.5중량%, 벤토나이트(Bentonite) 0.3∼0.5중량%, 이온성 복합미네랄 0.3∼0.5중량%, 난황레시틴 0.2∼0.3중량%가 함유되고; 알킬화제로서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3∼0.5중량%가 함유되며; 용제로서 정제수 55.487∼60.065중량%가 첨가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두피 알러지를 유발하는 p-페닐렌디아민(PPD)를 전혀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염색과정 및 염색 후 두피에서의 알러지 반응이 최소화되며, 염모제에 감잎추출물, 치자추출물, 창포추출물, 감초추출물, 난황레시틴의 천연재료와 벤토나이트가 첨가됨에 따라 염색 후 두피자극이 진정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에는 다량의 폴리쿼터늄이 함유됨에 따라 염색 후 모발의 코팅력이 매우 우수한 것은 물론, 모발건강의 필수 성분인 케라틴 단백질과 콜라겐이 다량으로 함유됨에 따라 염색에 따른 모발손상이 최소화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하면, 탄닌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된 감잎추출물이 첨가되기 때문에 염색시 발생할 수 있는 두피의 염증이 억제되고, 염색 후에도 건강한 머릿결이 유지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암모니아 타입의 순한 제품이 얻어지기 때문에 두피와 모발에 자극이 적은 것은 물론, 냄새가 없어 보다 쾌적한 상태에서 모발을 염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에서는 산화염료로서 황산톨루엔-2,5-디아민 1.0∼10.0중량%, m-아미노페놀 0.45∼0.55중량%, p-아미노-o-크레솔 0.003∼0.005중량%, m-페닐렌디아민 0.06∼0.08중량%, 레조시놀 0.25∼0.35중량%가 함유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산화염료중의 하나인 황산톨루엔-2,5-디아민은 염료중간체로서, 염료중간체 끼리 또는 커플러(Coupler)와 산화중합하여 발색(發色)하며, 나머지 m-아미노페놀, p-아미노-o-크레솔, m-페닐렌디아민 및 레조시놀은 커플러로서, 단독으로는 발색하지 않고, 염료중간체와 중합해 발색한다.
또, 킬레이트화제(Chelating agent)로서 디소듐 EDTA(Disodium EDTA) 0.14∼0.16중량%가 첨가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디소듐 EDTA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에 두개의 나트륨(Na)분자가 결합된 물질로서, 특정 금속이온에 대한 강한 친화력을 띠는 특성이 있어 조성물내에서 침전물의 발생을 방지하고, 조성물이 금속이온에 의하여 산패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 안정제로서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0.45∼0.55중량%와 소듐바이설파이트(Sodium Bisulfite) 0.45∼0.55중량%가 함유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스코르빈산은 수용액을 안정화시키며, 소듐바이설파이트(NaHSO3)는 pH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의 기제로서 암모늄글리시리제이트(Ammonium Glycyrrhizate) 0.09∼0.11중량%,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0.19∼0.21중량%, 수산화칼륨(KOH) 0.25∼0.35중량%, 트레오닌(Threonin) 0.04∼0.06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 0.4∼0.6중량%, 소듐메틸스테아로일타우레이트(Sodium Methyl Stearoyl Taurate) 3.5∼4.5중량%, DL-판테놀(DL-Panthenol) 0.09∼0.11중량%, 구연산(Citric Acid) 0.9∼1.1중량%,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0.85∼0.95중량%,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Polyoxyethylene Cetylether) 4.7∼5.5중량%,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3.8∼4.2중량%, 스테아린산(Stearic Acid) 2.8∼3.2중량%, 스테아라마이드 DEA(Stearamide DEA) 5.0∼5.7중량%,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Cetrimonium Chloride) 5.8∼6.3중량%가 함유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암모늄글리시리제이트(Ammonium Glycyrrhizate:C42H65NO16)는 감미제, 향료, 피부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에 염화디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 또는 염화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을 부가시켜 얻은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모발고정제의 기능을 한다.
또, 상기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KOH)은 pH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필수 아미노산의 일종인 트레오닌(Threonin:HO2CCH(NH2)CH(OH)CH3)은 모발컨디셔닝제 및 피부컨디셔닝제의 기능을 한다.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은 콜라겐가수분해물과 야자유지방산과의 축합물의 칼륨염의 수용액으로서, 염색시 피막을 형성하면서 피부유연·연화작용을 하고, 수분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소듐메틸스테아로일타우레이트(Sodium Methyl Stearoyl Taurate:C21H42NNaO4S)는 유화제의 기능을 하게 된다.
또, 상기 DL-판테놀(DL-Panthenol:C9H19NO4)은 헤어컨디셔닝의 기능을 하고, 구연산(Citric Acid:C6H8O7)은 pH조절제로서의 기능을 하며, 세틸알코올(C16H34O) 및 스테아릴알코올(C18H38O)로 이루어진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은 야채 등에서 추출되는 식물성 물질로 수분을 저장하고 보호하는 기능이 있어 피부를 촉촉하게 하며 매끄럽게 하고, 화장품에 유화제, 보습제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Polyoxyethylene Cetylether)는 유화안정제로서 작용하며,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는 계면활성제로서 작용하는데, 이는 지방알콜 콜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계로서 독성 및 자극성이 적어 피부나 눈에 접촉하더라도 심한 자극을 주지는 않는다.
상기 스테아린산(Stearic Acid:CH3(CH2)16CO2H)은 피부안정성이 뛰어난 식물성 포화 지방산으로서, 계면활성제-세정제, 계면활성제-유화제 및 향료로 사용된다.
또, 상기 스테아라마이드 DEA(Stearamide DEA)는 스테아린산의 에탄올아마이드의 혼합물로서 거품형성을 위한 계면활성제의 기능을 하게 되고,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Cetrimonium chloride:C19H42ClN) 또한 계면활성제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기제에 더하여 천연 재료인 창포추출물 0.3∼0.5중량%, 감초추출물 0.3∼0.5중량%, 치자추출물 0.3∼0.5중량%, 감잎추출물 0.3∼0.5중량%가 함유되며, 난황레시틴 0.2∼0.3중량%, 벤토나이트(Bentonite) 0.3∼0.5중량% 및 이온성 복합미네랄 0.3∼0.5중량%가 함유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창포추출물(Acorus Calamus Root Extract)은 창포의 근경(根莖)에서 추출한 것으로, 탄닌, 비타민,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으며, 특히 비타민과 아스코르빈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두피세척효과, 머리에 윤기를 주는 영양효과, 발모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a(Licorice)Root Extract)은 광과 감초(Glycyrrhiza glabra) 또는 창과 감초(Glycyrrhiza inflata)의 뿌리에서 추출한 것으로서 산화방지제, 피부보습제, 피부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해독작용을 하며 세포를 재생하는 효능이 있어 노화를 방지한다.
또, 소염작용이 뛰어나 상처를 치유하며 아토피와 트러블성 피부에 적합하다.
상기 치자추출물(Gardenia Extract)은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또는 그 밖의 동속 식물(Rubiaceae)의 과실을 정제수,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액으로 추출하여 얻은 것으로서, 착색제의 용도로 사용되고, 상기 감잎추출물(Diospyros kaki leaf Extract)은 세포재생효과 및 항산화작용, 비타민C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미백효과에 탁월하며, 피부의 탄력과 건강함을 부여해 준다.
또, 상기 감잎추출물에는 탄닌 성분도 다량 함유돼 있어 피부에 지혈성 수렴작용은 물론 피부에 탄력을 주고 매끈한 피부결로 만들어 주며, 다양한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와 페놀류, 쿠어마린류 등의 화합물도 다량 함유돼 있어 탄닌과 함께 피부에 수렴효과를 주면서 상처를 아물게 하고, 트러블을 일으키는 균을 제거함으로써 깨끗하고 건강한 피부로 완성해 준다
상기 벤토나이트(Bentonite)는 우수한 흡착력과 미세한 극미립자가 모발, 두피, 피부 깊숙이 침투해 노화의 외적 요인인 노폐물, 피지, 중금속, 모낭충, 유해균, 각질 등을 흡착 배출하고 66가지의 미량 미네랄과 수분, 산소, 원적외선, 음이온 등이 피부에 작용하여 탄력 있고 건강한 모발 및 자연 피부로 가꾸어 주는 기능을 한다.
또, 상기 이온성 복합미네랄(Ionized Mineral Compound)은 항균성분의 이온성 복합 미네랄이 유해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난황레시틴(Egg Yolk Lecithin)는 인을 함유하는 인지질의 하나로서 유화제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의 알킬화제로서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3∼0.5중량%가 함유된다.
상기 알칼리화제는 pH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염결합을 절단시켜 모발이 팽윤되도록 하여 환원제의 작용을 높이는 것으로,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이 적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의 용제로서 정제수 55.487∼60.065중량%가 첨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조성을 갖는 염모제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산화염료, 킬레이트화제, 안정제, 기제 및 알칼리화제를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과 정제수의 양을 정확히 계량한다.
그런 다음, 산화염료인 황산톨루엔-2,5-디아민 m-아미노페놀, p-아미노-o-크레솔, m-페닐렌디아민, 레조시놀과, 킬레이트화제인 디소듐 EDTA와, 안정제인 아스코르빈산, 소듐바이설파이트와, 기제인 암모늄글리시리제이트, 폴리쿼터늄-10, 수산화칼륨(KOH), 트레오닌,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소듐메틸스테아로일타우레이트, DL-판테놀, 구연산, 창포추출물, 감초추출물, 치자추출물, 감잎추출물, 벤토나이트, 이온성 복합미네랄, 난황레시틴과, 용제인 정제수를 가온·용해하여 수상(水狀)의 결합액을 조제한다.
또, 기제중의 세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스테아린산, 스테아라마이드 DEA,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를 가온·용해하여 유상(油狀)의 결합액을 조제한다.
그런 다음, 상기 수상 결합액과 유상 결합액을 혼합한 후 냉각하고, 냉각된 수상 결합액과 유상 결합액의 혼합물에 알칼리화제인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여 혼합하면, 본 발명의 조성을 갖는 염모제가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염모제를 이용하여 모발을 염색하는 경우, 두피알러지를 유발하는 p-페닐렌디아민(PPD)를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아 염색과정 및 염색 후 두피에서의 알러지 반응이 최소화되며, 염모제에 감잎추출물, 치자추출물, 창포추출물, 감초추출물, 난황레시틴의 천연재료와 벤토나이트가 첨가됨에 따라 염색 후 두피자극이 진정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에는 다량의 폴리쿼터늄이 함유되어 있어 염색 후 모발의 코팅력이 매우 우수하고, 모발건강의 필수 성분인 케라틴 단백질과 콜라겐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염색에 따른 모발손상이 최소화된다.
또, 탄닌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된 감잎추출물이 첨가되기 때문에 염색시 발생할 수 있는 두피의 염증이 억제되고, 염색 후에도 건강한 머릿결이 유지되며, 암모니아 타입의 순한 제품이 얻어지기 때문에 두피와 모발에 자극이 적은 것은 물론, 냄새가 없어 보다 쾌적한 상태로 모발을 염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산화염료로서 황산톨루엔-2,5-디아민 1.0∼10.0중량%, m-아미노페놀 0.45∼0.55중량%, p-아미노-o-크레솔 0.003∼0.005중량%, m-페닐렌디아민 0.06∼0.08중량%, 레조시놀 0.25∼0.35중량%가 함유되고;
    킬레이트화제(Chelating agent)로서 디소듐 EDTA(Disodium EDTA) 0.14∼0.16중량%가 함유되며;
    안정제로서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0.45∼0.55중량%, 소듐바이설파이트(Sodium Bisulfite) 0.45∼0.55중량%가 함유되는 한편;
    기제로서 암모늄글리시리제이트(Ammonium Glycyrrhizate) 0.09∼0.11중량%,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0.19∼0.21중량%, 수산화칼륨(KOH) 0.25∼0.35중량%, 트레오닌(Threonin) 0.04∼0.06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 0.4∼0.6중량%, 소듐메틸스테아로일타우레이트(Sodium Methyl Stearoyl Taurate) 3.5∼4.5중량%, DL-판테놀(DL-Panthenol) 0.09∼0.11중량%, 구연산(Citric Acid) 0.9∼1.1중량%,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0.85∼0.95중량%,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Polyoxyethylene Cetylether) 4.7∼5.5중량%,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3.8∼4.2중량%, 스테아린산(Stearic Acid) 2.8∼3.2중량%, 스테아라마이드 DEA(Stearamide DEA) 5.0∼5.7중량%,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Cetrimonium Chloride) 5.8∼6.3중량%, 창포추출물 0.3∼0.5중량%, 감초추출물 0.3∼0.5중량%, 치자추출물 0.3∼0.5중량%, 감잎추출물 0.3∼0.5중량%, 벤토나이트(Bentonite) 0.3∼0.5중량%, 이온성 복합미네랄 0.3∼0.5중량%, 난황레시틴 0.2∼0.3중량%가 함유되고;
    알킬화제로서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3∼0.5중량%가 함유되며;
    용제로서 정제수 55.487∼60.065중량%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20140023833A 2014-02-28 2014-02-28 염모제 조성물 KR20150102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833A KR20150102224A (ko) 2014-02-28 2014-02-28 염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833A KR20150102224A (ko) 2014-02-28 2014-02-28 염모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224A true KR20150102224A (ko) 2015-09-07

Family

ID=54243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833A KR20150102224A (ko) 2014-02-28 2014-02-28 염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22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508B1 (ko) * 2020-09-02 2021-04-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벤토나이트를 염색하기 위한 조성물 및 벤토나이트 염색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508B1 (ko) * 2020-09-02 2021-04-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벤토나이트를 염색하기 위한 조성물 및 벤토나이트 염색방법
JP2022042472A (ja) * 2020-09-02 2022-03-14 韓国地質資源研究院 ベントナイトを染色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ベントナイト染色方法
CN114195163A (zh) * 2020-09-02 2022-03-18 韩国地质资源研究院 用于染色膨润土的组合物及膨润土染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608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20230390182A1 (en) Process for obtaining an aqueous extract of lavender, compositions comprising such an extract, and their cosmetic uses
KR101045328B1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CN109431915A (zh) 一种天然植物组合物、染发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1959920A1 (en) Use of rooibos extract for protecting hair colour
CN112641662B (zh) 一种舒缓抗敏组合物及其应用
KR100998694B1 (ko) 모발 코팅 및 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1636807B1 (ko) 천연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두피 자극 완화용 염모제용 혼합첨가제 조성물
KR20150102224A (ko) 염모제 조성물
RU2671511C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и кожей головы (варианты)
ES2803377T3 (es) Utilización cosmética de un extracto del fruto de Arbutus unedo
KR20160037016A (ko) 흰머리 예방, 새치복원 및 빠른 발모 효과를 갖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92828B1 (ko) 달팽이 점액 추출물이 함유된 염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6479A (ko) 녹차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KR101482616B1 (ko) 비파추출물을 함유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염모제
CN109745262B (zh) 一种用于美白淡斑面霜的组合物
RU2704490C1 (ru) Композиция против выпадения и стимулирующая рост волос
KR101851306B1 (ko) 탄산수를 포함하는 산화성 염모제 조성물
US20030215409A1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human keratinous fibers
KR101828022B1 (ko)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물을 포함하는 산화성 염모제 조성물
JP2001131031A (ja) 頭皮頭髪用組成物
FI20205712A1 (en) Hair dye compositions containing ingredients from Nordic plants and a mild neutralizing agent
JP2015193550A (ja) 毛包ケラチノサイト幹細胞のdna損傷抑制剤
KR102633761B1 (ko) 유니플라본을 함유한 새치 커버용 샴푸 및 트리트먼트 조성물
KR102569171B1 (ko) 모발 톤업 샴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모발 톤업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