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212A - 위치 판단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위치 판단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212A
KR20150102212A KR1020140023802A KR20140023802A KR20150102212A KR 20150102212 A KR20150102212 A KR 20150102212A KR 1020140023802 A KR1020140023802 A KR 1020140023802A KR 20140023802 A KR20140023802 A KR 20140023802A KR 20150102212 A KR20150102212 A KR 20150102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ing
signal information
information
area
curren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1757B1 (ko
Inventor
안현기
김성은
김용
김응선
홍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3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75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2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도상 소정의 위치에서의 신호와 관련된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신호 정보를 샘플링 하는 단계, 디바이스의 위치에서 신호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샘플링 한 신호 정보와 측정한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위치 판단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위치 판단 방법 및 디바이스.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osition}
개시된 하나 이상의 실시 예는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 및 위치를 판단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디바이스가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기술이 등장한 바 있다. 또한, 디바이스가 디바이스의 위치를 GPS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획득하는 기술도 개시된 바 있다.
GPS를 사용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지도 정보뿐 아니라 위치 정보까지 수신하여 획득한 지도 정보 상에서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실내의 경우 GPS를 직접 수신하기 어렵다. 따라서 실내의 경우와 같이 직접적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디바이스는 GPS외의 방식으로 디바이스의 위치를 예측해야 한다.
본 발명은 신호와 관련된 신호 정보를 이용해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 및 측정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서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판단 방법은 지도상 소정의 위치에서의 신호와 관련된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신호 정보를 샘플링 하는 단계, 디바이스의 위치에서 신호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샘플링 한 신호 정보와 측정한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판단 방법은 선택하는 단계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판단 방법은 예측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단계, 재선택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신호 정보를 리샘플링하는 단계, 디바이스의 위치에서 신호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리샘플링한 신호 정보와 측정한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판단 방법은 상기 위치 판단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판단 방법 및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샘플링 한 신호 정보와 측정한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재선택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신호 정보를 리샘플링하여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이동하는 경우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를 비교하여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소정의 위치가 좁은 통로 내에 위치할 때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B는 소정의 위치가 넓은 통로 내에 위치할 때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신호 정보를 포함한 지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신호 정보를 샘플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샘플링 위치 선택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실시예의 일반적 원리를 설명하며, 여기에 청구된 개념을 한정하지 않는다. 게다가 여기에 기재된 특정의 특징들은 여러 가지 가능한 조합과 치환에서 다른 기재된 특징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여기에 구체적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으면, 모든 용어는 종래 기술 또는 사전, 논문에서 정의된 대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의미뿐만 아니라 명세서로부터 암시된 의미를 포함하는 가장 넓은 가능한 해석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판단 방법 및 디바이스(1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11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지도상 소정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소정의 위치는 지도상 임의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과,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없는 영역이 구분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가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11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가 디바이스(110)의 위치를 판단할 때 지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디바이스(110)가 샘플링 한 신호 정보와 측정한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디바이스(110)는 지도상 소정의 위치에서의 신호와 관련된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소정의 위치는 지도상 임의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경우 소정의 위치는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 내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를 경우 소정의 위치는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 내로 제한될 수 있다.
신호와 관련된 신호 정보는 자기장 정보, WiFi 신호 정보, 블루투스 신호 정보 및 RF 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도상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해서 자기장 세기 정보가 일정한 또는 소정의 간격으로 매핑된 지도 정보를 디바이스(110)가 획득할 수 있다.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와 관련해서는 도 6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단계 S220에서 디바이스(110)는 단계 S210에서 획득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할 수 있다.
샘플링 위치들은 디바이스(110)가 디바이스(110)의 위치를 예측하기 위해서 지도 정보로부터 신호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샘플링 위치에서 획득한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220에서 디바이스(110)는 단계 S210에서 획득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인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는 지도 정보에서 제공되는 신호 정보의 수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즉,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110)의 위치를 예측하기 위해 지도 정보에서 제공되는 신호 정보의 일부만을 이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단계 S210에서 획득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하므로, 단계 S210에서 획득한 지도 정보에 따라 디바이스(110)가 선택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서 디바이스(110)가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를 선택할 때,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에 따라 디바이스(110)가 선택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서 디바이스(110)가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를 선택할 때,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에 따라 디바이스(110)가 선택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10)는 단계 S220에서 지도 정보를 통해 획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로의 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10)는 단계 S220에서 소정의 위치가 통로상에 위치할 때, 통로의 폭이 넓은 경우보다 통로의 폭이 좁은 경우에 샘플링 위치들을 더 높은 빈도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단계 S220에서 소정의 위치가 통로상에 위치하는 경우,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의 범위 내에서 샘플링 위치를 선택할 때, 디바이스(110)는 통로의 폭이 넓은 경우보다 통로의 폭이 좁은 경우에 샘플링 위치들을 더 높은 빈도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단계 S220에서 소정의 위치가 통로상에 위치하는 경우,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의 범위 내에서 샘플링 위치를 선택할 때, 디바이스(110)는 통로의 폭이 넓은 경우보다 통로의 폭이 좁은 경우에 단위 넓이당 선택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가 더 크도록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를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할 경우 좁은 통로에 위치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는 넓은 통로에 위치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예측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경우 재선택되는 샘플링 위치들이 넓은 통로상에 위치할 확률이 샘플링 위치들이 좁은 통로상에 위치할 확률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디바이스(110)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를 고려하여 샘플링 위치들을 결정할 경우 통로의 너비와 상관 없이 하나의 통로에 위치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예측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경우 샘플링 위치들이 재선택될 확률은 통로의 너비와 상관 없이 유사할 수 있다.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4에서 후술한다.
단계 S230에서 디바이스(110)는 단계 S220에서 선택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신호 정보를 샘플링 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110)는 단계 S220에서 선택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 대응하는 신호 정보를 지도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110)의 위치에서 신호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가 디바이스(110)의 위치에서 신호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10)가 신호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센서는 자기장 신호 측정 센서, WiFi 신호 측정 센서, 블루투스 신호 측정 센서, RF 신호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50에서 디바이스(110)는 단계 S230에서 샘플링 한 신호 정보와 단계 S240에서 측정한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는 단계 S230에서 샘플링 한 신호 정보와 단계 S240에서 측정한 신호 정보의 차이가 가장 작을 때의 샘플링 위치를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로 예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는 단계 S230에서 샘플링 한 신호 정보와 단계 S240에서 측정한 신호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을 때의 샘플링 위치를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로 예측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하나 이상의 샘플링 위치를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로 예측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디바이스(110)가 재선택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신호 정보를 리샘플링하여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310, 단계 S320, 단계 S340 및 단계 S350은 단계 S210, S220, S230 및 단계 S240 에 대응되므로 전체적인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330에서 디바이스(110)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넓은 경우보다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좁은 경우에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를 더 큰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의 범위 내에서 샘플링 위치를 선택할 때, 디바이스(110)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넓은 경우보다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좁은 경우에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를 더 큰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의 범위 내에서 샘플링 위치를 선택할 때, 디바이스(110)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넓은 경우보다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좁은 경우에 단위 넓이당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를 더 큰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소정의 위치가 통로상에 위치하는 경우,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의 범위 내에서 샘플링 위치를 선택할 때, 디바이스(110)는 통로의 폭이 넓은 경우보다 통로의 폭이 좁은 경우에 단위 넓이당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를 더 큰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를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할 경우 좁은 통로에 위치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는 넓은 통로에서 샘플링 위치들의 수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예측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경우 재선택되는 샘플링 위치들이 넓은 통로상에 위치할 확률이 샘플링 위치들이 좁은 통로상에 위치할 확률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디바이스(110)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를 고려하여 샘플링 위치들의 수를 결정할 경우 통로의 너비와 상관 없이 하나의 통로에 위치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예측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경우 샘플링 위치들이 재선택될 확률은 통로의 너비와 상관 없이 유사할 수 있다.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의 자세한 의미에 대해서는 도 5에서 후술한다.
단계 S360에서 디바이스(110)는 단계 S340에서 샘플링 한 신호 정보와 단계 S350에서 측정한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디바이스(110)의 하나 이상의 현재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가 단계 S340에서 샘플링 한 신호 정보와 단계 S350에서 측정한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를 예측할 때 예측되는 현재 위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단계 S360을 구현하는 방법은 단계 S250과 관련하여 상술된 내용을 채용할 수 있다.
단계 S370에서 디바이스(110)는 단계 S360에서 예측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할 수 있다.
단계 S370에서 디바이스(110)는 단계 S360에서 예측한 현재 위치로부터 인접한 영역은 단계 S360에서 예측한 현재 위치로부터 인접하지 않은 영역보다 샘플링 위치들의 수가 많도록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할 수 있다. 또는 단계 S370에서 디바이스(110)는 단계 S360에서 예측한 현재 위치로부터 인접한 영역은 단계 S360에서 예측한 현재 위치로부터 인접하지 않은 영역보다 단위 면적당 샘플링 위치들의 수가 많도록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는 단계 S360에서 예측한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의 영역에서는 소정의 거리 외의 영역보다 단위 면적당 샘플링 위치들의 수가 많도록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는 단계 S360에서 예측한 현재 위치에 가까울수록 단위 면적당 생플링 위치들의 수가 많도록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할 수 있다.
단계 S370에서 디바이스(110)가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방법은 단계 S320에서 상술한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하는 내용을 채용할 수 있다.
단계 S380에서 디바이스(110)는 단계 S370에서 재선택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신호 정보를 리샘플링 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110)는 단계 S370에서 재선택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다시 신호 정보를 샘플링 할 수 있다.
단계 S380에서 디바이스(110)가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신호 정보를 리샘플링하는 방법은 단계 S340에서 상술한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신호 정보를 샘플링 하는 내용을 채용할 수 있다.
단계 S390에서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110)의 위치에서 신호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390에서 디바이스(110)가 신호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은 단계 S350에서 상술한 디바이스(110)가 신호 정보를 측정하는 내용을 채용할 수 있다.
단계 S395에서 디바이스(110)는 단계 S380에서 리샘플링한 신호 정보와 단계 S390에서 측정한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는 단계 S380에서 리샘플링한 신호 정보와 단계 S390에서 측정한 신호 정보의 차이가 가장 작을 때의 리샘플링 위치를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로 예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는 단계 S380에서 리샘플링한 신호 정보와 단계 S390에서 측정한 신호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을 때의 리샘플링 위치를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로 예측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하나 이상의 리샘플링 위치를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로 예측할 수 있다.
단계 S395에서 디바이스(110)가 리샘플링한 신호 정보와 측정한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방법은 단계 S360에서 상술한 디바이스(110)가 샘플링 한 신호 정보와 측정한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디바이스(110)의 하나 이상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내용을 채용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디바이스(110)가 이동하는 경우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를 비교하여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410, S420, S430, S440, S450, S460, S485, S490은 각각 단계 S310, S320, S340, S350, S360, S370, S380, S390에 대응되므로 전체적인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470에서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110)가 이동하는 경우 디바이스(110)의 이동과 관련된 정보인 디바이스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110)가 이동하는 경우 디바이스(110)가 이동한 만큼 단계 S420에서 선택된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이동된 위치를 샘플링 위치로 재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가 오른쪽으로 1m 이동한 경우 단계 S420에서 선택된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1m 오른쪽으로 이동된 위치를 디바이스(110)는 샘플링 위치로 재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디바이스(11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디바이스(110)는 단계 S420에서 선택된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오른쪽 방향에 있는 새로운 위치를 계속해서 샘플링 위치들로 재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110)가 이동하는 경우 디바이스(110)가 이동한 만큼 단계 S460에서 재선택된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이동된 위치를 샘플링 위치로 재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가 오른쪽으로 1m 이동한 경우 단계 S460에서 재선택된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1m만큼 오른쪽으로 이동된 위치를 디바이스(110)는 샘플링 위치로 재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디바이스(11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디바이스(110)는 단계 S460에서 재선택된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오른쪽 방향에 있는 새로운 위치를 계속해서 샘플링 위치들로 재선택할 수 있다.
단계 S480에서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가 위치할 수 없는 영역을 고려하여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는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할 때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없는 영역에서는 샘플링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샘플링 위치를 재선택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할 때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없는 영역은 재선택 대상에서 배제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없는 영역에서 샘플링이 수행되지 않도록 선택되는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할 수 있다.
단계 S495에서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110)가 이동하는 경우 측정한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와 샘플링 한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를 비교하여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110)가 이동하는 경우 디바이스(110)의 위치에서 측정한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110)가 이동하는 경우 샘플링 한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10)는 측정을 통해 획득한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와 획득한 샘플링 한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를 비교하여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110)가 이동하는 경우에 측정한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와 샘플링 한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를 비교하여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가 가장 작은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를 획득한 샘플링 위치를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로 예측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소정의 위치가 좁은 통로 내에 위치할 때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를 판단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소정의 위치가 좁은 통로 내에 위치할 때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는 벽으로 막혀있는 공간 때문에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위치가 좁은 통로 내에 위치할 때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는 소정의 위치가 넓은 통로 내에 위치할 때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보다 좁을 수 있다.
도 5B는 소정의 위치가 넓은 통로 내에 위치할 때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를 판단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소정의 위치가 넓은 통로 내에 위치할 때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는 소정의 위치가 좁은 통로 내에 위치할 때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보다 더 넓을 수 있다.
도 6A는 신호 정보를 포함한 지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소정의 신호 정보가 지도상에 매핑된 지도 정보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신호 정보가 자기장 세기 정보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도상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해서 자기장 세기 정보(610)가 일정한 간격으로 매핑될 수 있다. 또는 지도상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인지와 상관 없이 지도상 영역에 대해서 자기장 세기 정보(610)가 일정한 간격으로 매핑될 수 있다.
지도 정보는 지도 상에 자기장 세기 정보(610)가 일정한 간격으로 매핑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지도 정보는 지도 상에 자기장 세기 정보(610)가 소정의 간격으로 매핑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는 신호 정보를 샘플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바이스(110)는 소정의 신호 정보가 매핑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모든 선택 가능한 위치에서 매번 신호 정보를 샘플링 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된 샘플링 위치들(620)에 대해서만 신호 정보를 샘플링 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가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할 때 선택된 샘플링 위치들(620) 사이의 간격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는 좁은 통로에서는 선택된 샘플링 위치들(620)의 간격이 좁고, 넓은 통로에서는 선택된 샘플링 위치들(620)의 간격이 넓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5B에서 상술한 바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디바이스(110) 및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의 일 실시 예이다. 디바이스(110)는 상술한 위치 판단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상술한 위치 판단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실시 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10)는 지도 정보 획득부(710),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 신호 정보 샘플링부(730), 신호 정보 측정부(740), 현재 위치 예측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1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1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지도 정보 획득부(710)는 지도상 소정의 위치에서의 신호와 관련된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소정의 위치는 지도상 임의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경우 소정의 위치는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 내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를 경우 소정의 위치는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 내로 제한될 수 있다.
신호와 관련된 신호 정보는 자기장 정보, WiFi 신호 정보, 블루투스 신호 정보 및 RF 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도상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해서 자기장 세기 정보가 일정한 간격으로 매핑된 지도 정보를 디바이스(110)가 획득할 수 있다.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와 관련해서는 도6에서 상술한 바 있다.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는 지도 정보 획득부(710)에서 획득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할 수 있다.
샘플링 위치들은 디바이스(110)가 디바이스(110)의 위치를 예측하기 위해서 지도 정보로부터 신호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샘플링 위치에서 획득한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는 지도 정보 획득부(710)에서 획득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인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는 지도 정보에서 제공되는 신호 정보의 수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즉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110)의 위치를 예측하기 위해 지도 정보에서 제공되는 신호 정보의 일부만을 이용할 수 있다.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는 지도 정보 획득부(710)에서 획득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하므로, 지도 정보 획득부(710)에서 획득한 지도 정보에 따라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가 선택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서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가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를 선택할 때,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에 따라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가 선택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서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가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를 선택할 때,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에 따라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가 선택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는 지도 정보를 통해 획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로의 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는 소정의 위치가 통로상에 위치할 때, 통로의 폭이 넓은 경우보다 통로의 폭이 좁은 경우에 샘플링 위치들을 더 높은 빈도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는 소정의 위치가 통로상에 위치하는 경우,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의 범위 내에서 샘플링 위치를 선택할 때, 통로의 폭이 넓은 경우보다 통로의 폭이 좁은 경우에 샘플링 위치들을 더 높은 빈도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는 소정의 위치가 통로상에 위치하는 경우,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의 범위 내에서 샘플링 위치를 선택할 때, 통로의 폭이 넓은 경우보다 통로의 폭이 좁은 경우에 단위 넓이당 선택되는 샘플링 위치들을 수가 더 크도록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할 수 있다.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를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할 경우 좁은 통로에 위치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는 넓은 통로에서 샘플링 위치들의 수보다 작다. 따라서 예측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경우 재선택되는 샘플링 위치들은 넓은 통로상에 위치할 확률이 더 높을 수 있다.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를 고려하여 샘플링 위치들을 결정할 경우 통로의 너비와 상관 없이 하나의 통로에 위치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예측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경우 샘플링 위치들이 재선택될 확률은 통로의 너비와 상관 없이 유사할 수 있다.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상술한 바 있다.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는 현재 위치 예측부(750)에서 예측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할 수 있다.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는 현재 위치 예측부(750)에서 예측한 현재 위치로부터 인접한 영역은 현재 위치 예측부(750)에서 예측한 현재 위치로부터 인접하지 않은 영역보다 샘플링 위치들의 수가 많도록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할 수 있다.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는 디바이스(110)가 이동하는 경우 디바이스(110)의 이동과 관련된 정보인 디바이스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할 수 있다.
신호 정보 샘플링부(730)는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에서 선택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신호 정보를 샘플링 할 수 있다.
또는 신호 정보 샘플링부(730)는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에서 선택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 대응하는 신호 정보를 지도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신호 정보 샘플링부(730)는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에서 재선택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신호 정보를 리샘플링 할 수 있다.
신호 정보 측정부(740)는 디바이스(110)의 위치에서 신호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신호 정보 측정부(740)가 디바이스(110)의 위치에서 신호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신호 정보 측정부(740)가 신호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센서는 자기장 신호 측정 센서, WiFi 신호 측정 센서, 블루투스 신호 측정 센서, RF 신호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위치 예측부(750)는 신호 정보 샘플링부(730)에서 샘플링 한 신호 정보와 신호 정보 측정부(740)에서 측정한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현재 위치 예측부(750)에서 예측한 현재 위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위치 예측부(750)는 신호 정보 샘플링부(730)에서 샘플링 한 신호 정보와 신호 정보 측정부(740)에서 측정한 신호 정보의 차이가 가장 작을 때의 샘플링 위치를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로 예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현재 위치 예측부(750)는 신호 정보 샘플링부(730)에서 샘플링 한 신호 정보와 신호 정보 측정부(740)에서 측정한 신호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을 때의 샘플링 위치를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로 예측할 수 있다. 현재 위치 예측부(750)는 하나 이상의 샘플링 위치를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로 예측할 수 있다.
현재 위치 예측부(750)는 신호 정보 샘플링부(730)에서 리샘플링한 신호 정보와 신호 정보 측정부(740)에서 측정한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현재 위치 예측부(750)는 디바이스(110)가 이동하는 경우 신호 정보 측정부(740)에서 측정한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와, 신호 정보 샘플링부(730)에서 샘플링 한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를 비교하여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샘플링 위치 선택부(720)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를 결정하는 샘플링 수 결정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샘플링 수 결정부(810)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넓은 경우보다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좁은 경우에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가 더 크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샘플링 수 결정부(810)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샘플링 수 결정부(810)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넓은 경우보다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좁은 경우에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를 더 큰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의 범위 내에서 샘플링 위치를 선택할 때, 샘플링 수 결정부(810)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넓은 경우보다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좁은 경우에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를 더 큰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의 범위 내에서 샘플링 위치를 선택할 때, 샘플링 수 결정부(810)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넓은 경우보다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좁은 경우에 단위 넓이당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를 더 큰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소정의 위치가 통로상에 위치하는 경우,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의 범위 내에서 샘플링 위치를 선택할 때, 샘플링 수 결정부(810)는 통로의 폭이 넓은 경우보다 통로의 폭이 좁은 경우에 단위 넓이당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를 더 큰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샘플링 수 결정부(810)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를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할 경우 좁은 통로에 위치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는 넓은 통로에서 샘플링 위치들의 수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예측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경우 재선택되는 샘플링 위치들이 넓은 통로상에 위치할 확률이 샘플링 위치들이 좁은 통로상에 위치할 확률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샘플링 수 결정부(810)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를 고려하여 샘플링 위치들의 수를 결정할 경우 통로의 너비와 상관 없이 하나의 통로에 위치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예측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경우 샘플링 위치들이 재선택될 확률은 통로의 너비와 상관 없이 유사할 수 있다.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의 자세한 의미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상술한 바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ngerprint 지도 수신부(910)는 건물의 radio 및 자기장 fingerprint 지도를 외부에서 수신하거나 저장된 곳에서 불러올 수 있다.
또한, Fingerprint 지도 수신부(910)는 외부에서 수신하거나 저장된 곳에서 불러온 건물의 radio 및 자기장 fingerprint 지도 정보를 파티클 필터를 이용한 자기장 기반 위치 추정부(940) 및 Radio 신호기반 위치 추정부(950)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할 수 있다.
센서 측정부(920)는 자기장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측정부(920)는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정보를 파티클 필터를 이용한 자기장 기반 위치 추정부(940) 및 Radio 신호기반 위치 추정부(950)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할 수 있다.
Electric 지도 수신부(930)는 건물의 평면도를 외부에서 수신하거나 저장된 곳에서 불러올 수 있다.
Electric 지도 수신부(930)는 외부에서 수신하거나 저장된 곳에서 불러온 건물의 평면도와 관련된 정보를 탐색 영역 설정부(960)로 송신할 수 있다.
파티클 필터를 이용한 자기장 기반 위치 추정부(940)는 파티클 필터를 이용하여 자기장 신호를 기초로 하여 디바이스(110)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Radio 신호기반 위치 추정부(950)는 radio fingerprint 지도 방식의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Radio 신호기반 위치 추정부(950)는 Radio 신호를 기반으로하여 추정한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탐색 영역 설정부(960)로 송신할 수 있다.
탐색 영역 설정부(960)는 radio 지도 기반으로 추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특정 범위만큼 탐색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탐색 영역 설정부(960)는 radio 지도 기반으로 추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탐색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파티클 개수 및 이동 방향 설정부(970)로 송신할 수 있다.
파티클 개수 및 이동 방향 설정부(970)는 탐색 영역을 electric 지도에서 찾고 복도의 폭이 좁은 곳에서도 일정 수의 파티클이 분포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복도 폭이 좁은 곳에서는 파티클이 이동하는 방향의 폭을 좁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파티클 개수 및 이동 방향 설정부(970)는 설정한 탐색 영역과 관련된 정보, 설정된 파티클 개수와 관련된 정보 및 설정된 이동 방향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파티클 필터를 이용한 자기장 기반 위치 추정부(940)로 송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파티클을 탐색 영역에 분포시킬 때 복도가 좁은 지역에 파티클의 개수가 일정 수준 이상 될 수 있도록 재분포시킬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10)는 좁은 복도상의 파티클은 파티클의 진행 방향을 일정한 각도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상술한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은 일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서 하나의 샘플링 위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10)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전술한 위치 판단 방법 및 디바이스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례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각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판단 방법 및 디바이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 예들은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도상 소정의 위치에서의 신호와 관련된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상기 신호 정보를 샘플링 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에서 상기 신호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샘플링 한 신호 정보와 상기 측정한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위치 판단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상기 디바이스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위치 판단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 내에 상기 디바이스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넓은 경우보다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 내에 상기 디바이스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좁은 경우에 상기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가 더 크도록 결정하는 디바이스 위치 판단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한 현재 위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예측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단계;
    상기 재선택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상기 신호 정보를 리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에서 상기 신호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리샘플링한 신호 정보와 상기 측정한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위치 판단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한 현재 위치로부터 인접한 영역은 상기 예측한 현재 위치로부터 인접하지 않은 영역보다 샘플링 위치들의 수가 많도록 상기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디바이스 위치 판단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의 이동과 관련된 정보인 디바이스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위치 판단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측정한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와 상기 샘플링 한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를 비교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위치 판단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위치할 수 없는 영역을 고려하여 상기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위치 판단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위치할 수 없는 영역을 고려하여 상기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위치할 수 없는 영역에서 샘플링이 수행되지 않도록 상기 선택되는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디바이스 위치 판단 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정보는 자기장 정보, WiFi 신호 정보, 블루투스 신호 정보 및 RF 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위치 판단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지도 정보를 통해 획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로의 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하는 디바이스 위치 판단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위치가 상기 통로상에 위치할 때, 상기 통로의 폭이 넓은 경우보다 상기 통로의 폭이 좁은 경우에 샘플링 위치들을 더 높은 빈도로 선택하는 디바이스 위치 판단 방법.
  13. 위치를 판단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지도상 소정의 위치에서의 신호와 관련된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획득하는 지도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 선택부;
    상기 선택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상기 신호 정보를 샘플링 하는 신호 정보 샘플링부;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에서 상기 신호 정보를 측정하는 신호 정보 측정부; 및
    상기 샘플링 한 신호 정보와 상기 측정한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현재 위치 예측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위치 선택부는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상기 디바이스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를 결정하는 샘플링 수 결정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수 결정부는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 내에 상기 디바이스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넓은 경우보다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 내에 상기 디바이스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좁은 경우에 상기 선택하는 샘플링 위치들의 수가 더 크도록 결정하는 디바이스.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한 현재 위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샘플링 위치 선택부는 상기 예측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고,
    상기 신호 정보 샘플링부는 상기 재선택되는 복수개의 샘플링 위치들에서 상기 신호 정보를 리샘플링하고,
    상기 현재 위치 예측부는 상기 리샘플링한 신호 정보와 상기 측정한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위치 선택부는
    상기 예측한 현재 위치로부터 인접한 영역은 상기 예측한 현재 위치로부터 인접하지 않은 영역보다 샘플링 위치들의 수가 많도록 상기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위치 선택부는
    상기 디바이스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의 이동과 관련된 정보인 디바이스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샘플링 위치들을 재선택하는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예측부는
    상기 디바이스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측정한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와, 상기 샘플링 한 신호 정보의 변화 추이를 비교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디바이스.
  20.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023802A 2014-02-28 2014-02-28 위치 판단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231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802A KR102231757B1 (ko) 2014-02-28 2014-02-28 위치 판단 방법 및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802A KR102231757B1 (ko) 2014-02-28 2014-02-28 위치 판단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212A true KR20150102212A (ko) 2015-09-07
KR102231757B1 KR102231757B1 (ko) 2021-03-24

Family

ID=5424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802A KR102231757B1 (ko) 2014-02-28 2014-02-28 위치 판단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648B1 (ko) 2022-11-29 2024-03-15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기로용 저취투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9137A (ko) * 2012-05-17 2013-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에서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9137A (ko) * 2012-05-17 2013-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에서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648B1 (ko) 2022-11-29 2024-03-15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기로용 저취투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757B1 (ko)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36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cation of user
KR101898357B1 (ko) 레인지-비종속 근접도 결정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JP5820926B2 (ja) ジオフェンスモニタリング用の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の選択
JP5770933B2 (ja) ジオフェンス退出のモニタリング
US20120208549A1 (en) Automatic check-out upon location departure
KR20140043835A (ko) 거동 모델에 기초하여 액세스 단말에서 포지셔닝 절차를 선택적으로 수행
WO2017160467A1 (en) Improving reliability in mobile device positioning in a crowdsourcing system
US100759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ing state transition
US9247518B2 (en) Mobile device positioning responsive to externally generated regional candidate position fix mode selection
KR20140119180A (ko) 네트워크 내의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검출
JP5420070B2 (ja) セルラー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内で移動する無線通信装置の位置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と、セルラー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無線通信装置
US10038972B1 (en) Monitoring outdoor and indoor regions with mobile devices
JP6431386B2 (ja) 屋内屋外判定装置、屋内屋外判定方法、無線通信端末
WO2018200334A1 (en) Bluetooth device locator
KR101342593B1 (ko) 이동 단말에 대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80070396A1 (en) Peer-to-peer network connectivity in a mobile environment
EP3293483B1 (en) Improved floor detection based on determined floor detection parameters
KR20150102212A (ko) 위치 판단 방법 및 디바이스.
US8442554B2 (en) Method for identifying location of mobile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2055001B1 (ko) 그룹핑을 이용한 측위 방법 및 장치
KR20150061389A (ko) 디바이스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2161056B1 (ko) 사용자의 실내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Kroll et al. Context-aware indoor-outdoor detection for seamless smartphone positioning
KR20150096275A (ko) 정보 획득 방법 및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