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635A -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635A
KR20150101635A KR1020140023175A KR20140023175A KR20150101635A KR 20150101635 A KR20150101635 A KR 20150101635A KR 1020140023175 A KR1020140023175 A KR 1020140023175A KR 20140023175 A KR20140023175 A KR 20140023175A KR 20150101635 A KR20150101635 A KR 20150101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keyword
content providing
window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946B1 (ko
Inventor
노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Priority to KR102014002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946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메시지 입력창에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이 개시된다.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키워드 DB를 유지하는 단계;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들 중 키워드 DB에 매칭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가 키워드 DB에 매칭하는 경우,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KEYWORD AND USER DEVICE}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의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색 광고는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면,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정보들이 노출된다. 이 때,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사이트에서는 키워드를 입력한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다양한 개인정보까지 서버에 전달하므로 개인정보의 보안 측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사이트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하여 텍스트 형태의 사이트 목록을 제시하거나 또는 키워드와 관련있거나 또는 무관한 배너들을 사이트 곳곳에 배치함으로써 정보 전달력이 부족한 점이 있었다.
또한, 검색어에 대응하여 노출된 사이트 목록이나 배너들은 사용자가 해당 페이지를 벗어나지 않으면 계속해서 노출되지만,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가 계속해서 노출되는 것을 꺼려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가 스스로 컨텐츠의 노출을 제어할 필요도 있었다.
본 발명은 개인정보의 해킹이 어려운 텍스트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단어에서 키워드를 인식하고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노출함으로써 개인정보의 보호가 강화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동의를 획득하는 경우에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노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필요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텍스트 입력창에 키워드와 매칭하는 단어가 입력된 이후에 컨텐츠의 노출 시간을 키워드의 중요도에 따라 다르게 결정함으로써 키워드의 중요도를 비즈니스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컨텐츠를 노출하는 컨텐츠 제공창을 사용자의 간단한 행위로도 사라지거나 가려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컨텐츠의 노출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키워드 DB를 유지하는 단계;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에 대해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단어가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하는 경우,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창을 오버랩하는 컨텐츠 제공창 또는 텍스트 입력창의 주변에 위치한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의 속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할 수 있다.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노출할 것인지 여부에 관한 사용자 동의를 질의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동의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창에 적용되는 사용자 행위에 따라 컨텐츠가 노출된 컨텐츠 제공창을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노출된 이후에 텍스트 입력창에서 입력 캐럿이 키워드마다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 키워드 DB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성된 텍스트가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시점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삭제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의 노출을 홀딩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로 구성된 텍스트가 미리 설정된 길이 이상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에 설정된 컨텐츠의 필터링 조건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가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키워드 DB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와 매칭하는 키워드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의 텍스트 입력창과 구분되는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상기 텍스트 입력창을 오버랩하는 컨텐츠 제공창 또는 텍스트 입력창의 주변에 위치한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상기 키워드의 속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어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컨텐츠가 노출된 이후에 텍스트 입력창에서 입력 캐럿이 키워드마다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 키워드 DB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키워드에 설정된 컨텐츠의 필터링 조건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상기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제공창에 적용되는 사용자 행위에 따라 컨텐츠가 노출된 컨텐츠 제공창을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키워드 DB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메모리;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해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단어와 매칭된 키워드가 존재하는 경우,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에 요청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텍스트 입력창을 오버랩하는 컨텐츠 제공창 또는 텍스트 입력창의 주변에 위치한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키워드의 속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컨텐츠 제공창에 적용되는 사용자 행위에 따라 컨텐츠가 노출된 컨텐츠 제공창을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컨텐츠가 노출된 이후에 텍스트 입력창에서 입력 캐럿이 키워드마다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키워드 DB를 제공하는 제공부; 상기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와 매칭하는 키워드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의 텍스트 입력창과 구분되는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상기 텍스트 입력창을 오버랩하는 컨텐츠 제공창 또는 텍스트 입력창의 주변에 위치한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상기 키워드의 속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어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컨텐츠가 노출된 이후에 텍스트 입력창에서 입력 캐럿이 키워드마다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제공창에 적용되는 사용자 행위에 따라 컨텐츠가 노출된 컨텐츠 제공창을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정보의 해킹이 어려운 텍스트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단어에서 키워드를 인식하고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노출함으로써 개인정보의 보호가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동의를 획득하는 경우에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노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필요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텍스트 입력창에 키워드와 매칭하는 단어가 입력된 이후에 컨텐츠의 노출 시간을 키워드의 중요도에 따라 다르게 결정함으로써 키워드의 중요도를 비즈니스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노출하는 컨텐츠 제공창을 사용자의 간단한 행위로도 사라지거나 가려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컨텐츠의 노출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창을 통해 컨텐츠를 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메신져에서 컨텐츠 제공창을 통해 컨텐츠를 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 제공창이 사라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가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1) 및 컨텐츠 제공 서버(10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은 복수의 키워드들로 구성된 키워드 D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키워드 DB는 사용자 단말(101)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키워드 DB는 컨텐츠 제공 서버(102)에서 제공되는 키워드와 키워드에 대응하는 노출 정보를 포함하는 DB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노출 정보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키워드는 컨텐츠 제공 서버(102)에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등록된 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키워드 DB는 컨텐츠 제공 서버(102)에 포함된 키워드 DB와 1:1로 매칭되거나, 일부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키워드 DB는 컨텐츠 제공 서버(102)에 포함된 키워드 DB의 변경 내용을 반영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DB는 사용자의 메모리에 계속적으로 저장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 용량 또는 프로세서의 처리 속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메모리는 특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저장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동적램(DRAM), 정적램(SRAM)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와, 롬(ROM), 플래시 메모리, 마그네틱 기억 장치(하드디스크, 디스켓 드라이브, 마그네틱 드라이브), 광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에서 동작하는 메신져 프로그램 또는 SNS 프로그램 등에서 제공하는 텍스트 입력창에 적어도 하나의 단어가 입력될 수 있다. 텍스트 입력창이 포함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의 프로그램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1)은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해 키워드 DB에 포함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텍스트 입력창은 댓글 입력창, 메시지 입력창 등 적어도 하나의 단어가 입력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창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들 중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102)에 요청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102)는 사용자 단말(101)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1)은 텍스트 입력창과 구분되는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01)은 메모리(201), 프로세서(202) 및 디스플레이(203)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1)는 복수의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DB가 저장된다. 키워드 DB는 컨텐츠 제공 서버(102)에 의해 필요에 따라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해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텍스트 입력창에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성된 텍스트가 입력된 경우, 프로세서(202)는 형태소 분석을 통해 텍스트를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202)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해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키워드는 품사와 언어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한 음절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어가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하는 지를 판단하기 위해, 프로세서(202)는 단어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 또는 의미를 가지는 키워드가 키워드 DB에 존재하는 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단어와 유사한 키워드는 단어와 비교했을 때 일정 음절이하의 차이를 나타내는 키워드이거나 또는 단어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나타내는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키워드 DB가 메모리(201)에 미리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01)은 텍스트 입력창에 키워드가 입력되는 시점에서 입력된 내용을 컨텐츠 제공 서버(102)에 전송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컨텐츠 제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해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가 매칭하는 경우, 프로세서(202)는 컨텐츠 제공 서버(102)에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프로세서(202)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3)는 텍스트 입력창과 구분되는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102)는 제공부(301), 수신부(302), 추출부(303) 및 송신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공부(301)는 사용자 단말(101)에 키워드 DB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1)에 저장된 키워드 DB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제공부(301)는 사용자 단말(101)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키워드 DB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키워드 DB는 컨텐츠 제공 서버(102)에서 제공되는 키워드와 키워드에 대응하는 노출 정보를 포함하는 DB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노출 정보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키워드는 컨텐츠 제공 서버(102)에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등록된 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수신부(302)는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와 매칭하는 키워드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1)의 화면에 표시된 텍스트 입력창에 적어도 하나의 단어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101)은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해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단어가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컨텐츠 제공 서버(102)에 키워드를 전달할 수 있다.
추출부(303)는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수신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는 키워드의 속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는 키워드에 설정된 컨텐츠의 필터링 조건에 따라 추출될 수 있다.
송신부(304)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01)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1)은 텍스트 입력창과 구분되는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는 텍스트 입력창을 오버랩하는 컨텐츠 제공창 또는 텍스트 입력창의 주변에 위치한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1)은 컨텐츠가 노출된 이후에 텍스트 입력창에서 입력 캐럿이 키워드마다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1)은 컨텐츠 제공창에 적용되는 사용자 행위에 따라 컨텐츠가 노출된 컨텐츠 제공창을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창을 통해 컨텐츠를 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101)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들 중 키워드로 인식된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키워드에 대응한 컨텐츠가 컨텐츠 제공창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설명한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창은 해킹이 어려워 개인정보의 보안이 강화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메신져 어플리케이션을 예시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메신져 어플리케이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는 텍스트 입력창을 제시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텍스트 입력창에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성된 텍스트를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1)은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해 메모리에 기록된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키워드 DB는 미리 컨텐츠 제공 서버(102)로부터 제공되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만약,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와 매칭하는 키워드가 키워드 DB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키워드를 컨텐츠 제공 서버(102)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1)은 텍스트 입력창에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성된 텍스트에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1)은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노출할 것인지 여부에 관한 사용자 동의를 질의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동의를 획득하는 경우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즉, 반드시 키워드가 입력되면 컨텐츠가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동의 여부에 따라 컨텐츠를 노출함으로써 컨텐츠 노출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동의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전달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1)은 사용자 동의 여부를 최초 1회에 대해 문의하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문의하거나 또는 키워드가 키워드 DB에 매칭할 때마다 문의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성된 텍스트가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시점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삭제되면 컨텐츠의 노출을 홀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성된 텍스트를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한 후에 매우 짧은 시간 이내에 바로 삭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컨텐츠를 노출하지 않고 홀딩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은 사용자 단말(101)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성된 텍스트가 미리 설정된 길이 이상인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성된 텍스트가 미리 설정된 길이보다 짧아서 텍스트를 작성한 사용자의 의도가 불명확하거나 또는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하지 않을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102)는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전달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1)에 제공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단말(101)은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창을 통해 노출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제공창은 텍스트 입력창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제공창은 텍스트 입력창을 오버랩하여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창은 사용자 행위에 따라 이동하거나 또는 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1)의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제공창을 손을 원하는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스와이핑(swiping)하거나 또는 화면에 접촉하지 않고 원하는 방향으로 손을 움직이는 경우, 컨텐츠 제공창은 상기 방향에 따라 이동하거나 또는 사라질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메신져에서 컨텐츠 제공창을 통해 컨텐츠를 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 단말(101)이 메신져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사용자는 텍스트 입력창(501)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성된 텍스트를 입력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고하면, 3개의 단어로 구성된 텍스트가 입력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1)은 텍스트 입력창(501)에 입력된 텍스트에서 단어 1과 단어2 사이에 존재하는 특정 단어를 키워드 1로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특정 단어는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 1과 매칭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이 텍스트 입력창(501)에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성된 텍스트에서 키워드 1을 인식하는 경우, 키워드 1에 대응하는 컨텐츠들이 컨텐츠 제공창(50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키워드를 입력하면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바로 컨텐츠 제공창(502)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는 키워드의 속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에 따라 (i) 어플리케이션 목록, (ii) 이벤트 정보, 업체 정보, 오프라인 매장 정보, 광고 정보 등이 표시된 페이지, (iii)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링크 또는 설치 링크 등의 컨텐츠가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가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는 경우,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링크 또는 설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키워드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하는 경우, 컨텐츠는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키워드가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와 관련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 광고 등이 (i) 웹사이트에 제공하는 컨텐츠, (ii) 텍스트 입력창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가 가공되어 컨텐츠 제공창(502)에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컨텐츠의 유형은 일례에 불과하고, 어떤 형태의 컨텐츠라도 키워드에 대응하는 경우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도 5와 같이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복수인 경우, 해당 컨텐츠들이 종류에 따라 컨텐츠 제공창(502)에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링크 리스트, 페이지 리스트 등으로 구분되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키워드는 컨텐츠의 필터링 조건이 키워드의 메타데이터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키워드가 시간과 관련된 경우, 키워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동안 유효한 컨텐츠가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가 “점심”인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인 11:00~14:00동안 유효한 컨텐츠가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키워드가 지역과 관련된 경우, 키워드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1)의 현재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지역 범위에 유효한 컨텐츠가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가 “공원”인 경우, 현재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지역 범위(반경 10km 이내)에 유효한 컨텐츠가 노출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 제공창이 사라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Step 1에서,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창에 단어 1과 키워드 1로 인식되는 특정 단어를 입력하면, 키워드 1과 관련된 컨텐츠가 컨텐츠 제공창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이 후에, step 2에서,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창에 단어 1과 특정 단어 이후에 계속해서 단어 2와 단어 3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 캐럿(커서)이 단어 3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만약, 키워드에 설정된 입력 캐럿의 위치가 특정 단어 이후에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2개의 단어 다음에 위치를 의미한다면, 입력 캐럿이 단어 3 이후에 위치하는 순간 키워드 1에 따라 노출된 컨텐츠가 사라지거나 또는 해당 컨텐츠가 가려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노출된 이후에 텍스트 입력창에서 입력 캐럿이 키워드마다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1)은 점심이라는 키워드는 키워드로 인식된 특정 단어 이후에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2개의 단어 다음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맛집이라는 키워드는 키워드로 인식된 특정 단어 이후에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3개의 단어 다음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키워드마다 설정된 입력 캐럿의 위치는 키워드로 인식된 특정 단어 이후에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단어의 개수와 연관될 수 있다. 이 때, 단어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컨텐츠의 노출 유지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므로, 단어의 개수는 키워드의 중요도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단어의 개수에 따라 키워드에 대해 적용되는 비즈니스 비용 (예를 들면, 키워드에 따라 노출되는 컨텐츠가 광고인 경우, 광고주에게 적용되는 과금)도 증가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701)에서, 사용자 단말(101)은 복수의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DB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키워드 DB는 컨텐츠 제공 서버(102)에 의해 필요에 따라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단계(702)에서, 사용자 단말(101)은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들에 대해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1)은 텍스트 입력창에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성된 텍스트가 입력된 경우, 텍스트에서 키워드로 인식되는 단어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텍스트 입력창에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성된 텍스트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형태소 분석을 통해 텍스트를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101)은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해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키워드는 품사와 언어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한 음절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어가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하는 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1)은 단어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 또는 의미를 가지는 키워드가 키워드 DB에 존재하는 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단어와 유사한 키워드는 단어와 비교했을 때 일정 음절이하의 차이를 나타내는 키워드이거나 또는 단어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나타내는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키워드 DB가 사용자 단말(101)에 미리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01)은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와 매칭하는 키워드가 인식되면, 키워드에 매칭하는 단어가 입력되는 시점에 실시간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703)에서, 사용자 단말(101)은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해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가 매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컨텐츠 제공 서버(102)에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1)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704)에서, 사용자 단말(101)은 텍스트 입력창과 구분되는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가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801)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102)는 사용자 단말(101)에 키워드 DB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1)에 저장된 키워드 DB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102)는 사용자 단말(101)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키워드 DB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802)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102)는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 중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와 매칭하는 키워드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1)의 화면에 표시된 텍스트 입력창에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성된 텍스트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입력된 텍스트에서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를 인식할 수 있다. 만약, 텍스트에서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가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컨텐츠 제공 서버(102)에 키워드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803)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102)는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수신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는 키워드의 속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는 키워드에 설정된 컨텐츠의 필터링 조건에 따라 추출될 수 있다.
단계(804)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102)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01)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1)은 텍스트 입력창과 구분되는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는 텍스트 입력창을 오버랩하는 컨텐츠 제공창 또는 텍스트 입력창의 주변에 위치한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1)은 컨텐츠가 노출된 이후에 텍스트 입력창에서 입력 캐럿이 키워드마다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1)은 컨텐츠 제공창에 적용되는 사용자 행위에 따라 컨텐츠가 노출된 컨텐츠 제공창을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1: 사용자 단말
102: 컨텐츠 제공 서버

Claims (19)

  1.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키워드 DB를 유지하는 단계;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해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단어가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하는 경우,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창을 오버랩하는 컨텐츠 제공창 또는 텍스트 입력창의 주변에 위치한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의 속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노출할 것인지 여부에 관한 사용자 동의를 질의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동의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창에 적용되는 사용자 행위에 따라 컨텐츠가 노출된 컨텐츠 제공창을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노출된 이후에 텍스트 입력창에서 입력 캐럿이 키워드마다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DB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성된 텍스트가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시점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삭제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의 노출을 홀딩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로 구성된 텍스트가 미리 설정된 길이 이상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에 설정된 컨텐츠의 필터링 조건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1. 컨텐츠 제공 서버가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 키워드 DB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와 매칭하는 키워드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의 텍스트 입력창과 구분되는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텍스트 입력창을 오버랩하는 컨텐츠 제공창 또는 텍스트 입력창의 주변에 위치한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키워드의 속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어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DB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5.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키워드 DB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메모리;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해 키워드 DB에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단어와 매칭된 키워드가 존재하는 경우,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에 요청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텍스트 입력창을 오버랩하는 컨텐츠 제공창 또는 텍스트 입력창의 주변에 위치한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하는 사용자 단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키워드의 속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창에 노출하는 사용자 단말.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컨텐츠 제공창에 적용되는 사용자 행위에 따라 컨텐츠가 노출된 컨텐츠 제공창을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컨텐츠가 노출된 이후에 텍스트 입력창에서 입력 캐럿이 키워드마다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컨텐츠 제공창에 컨텐츠를 노출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40023175A 2014-02-27 2014-02-27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KR101605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175A KR101605946B1 (ko) 2014-02-27 2014-02-27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175A KR101605946B1 (ko) 2014-02-27 2014-02-27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635A true KR20150101635A (ko) 2015-09-04
KR101605946B1 KR101605946B1 (ko) 2016-03-23

Family

ID=54242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175A KR101605946B1 (ko) 2014-02-27 2014-02-27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9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593A1 (ko) * 2015-10-16 2017-04-20 홍교식 검색 키워드에 연동된 멀티 접속정보 제공장치 및 그 시스템과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593A1 (ko) * 2015-10-16 2017-04-20 홍교식 검색 키워드에 연동된 멀티 접속정보 제공장치 및 그 시스템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946B1 (ko)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12531B2 (en) Data content filter
US9280682B2 (en) Automated management of private information
US9600134B2 (en) Selecting portions of computer-accessible documents for post-selection processing
KR101794902B1 (ko) 인테그레이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덴티티 확인
US2023028939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custom content using universal deep linking across web and mobile applications
EP3114641B1 (en) Reading group ebook synchronization
US10262157B2 (en) Application recommendation based on permissions
US2021029486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hyperlinking user-specific content on a website or mobile applications
US1117618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dress matching
KR20220070181A (ko) 딥러닝 기반의 문서 유사도 측정 모델을 이용한 중복 문서 탐지 방법 및 시스템
US20140278982A1 (en) Clustering of ads with organic map content
KR101605946B1 (ko)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KR101584225B1 (ko) 메신저의 대화 내용을 바탕으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202301259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managing sensitive information
US1053478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me matching
US20160012495A1 (en) Soliciting customer feedback based on indoor positioning system detection of physical customer presence
TWI579711B (zh) 用以顯示伺服器能力之方法與系統及相關聯之機器可讀儲存媒體
WO2015200113A1 (en)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use of alternate user contact information
KR101586482B1 (ko) 사용자 상태에 맞춘 검색결과 변환 방법 및 시스템
KR102375770B1 (ko) 인플루언서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6844540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102381699B1 (ko) 정보 검색 단말기 및 방법
KR20210101178A (ko) 트랜잭션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25763B1 (ko) 토픽별 중요 친구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KR20160054687A (ko) 메신저를 활용한 즐겨찾기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