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117A - 원형 편직장치 - Google Patents

원형 편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117A
KR20150101117A KR1020140022386A KR20140022386A KR20150101117A KR 20150101117 A KR20150101117 A KR 20150101117A KR 1020140022386 A KR1020140022386 A KR 1020140022386A KR 20140022386 A KR20140022386 A KR 20140022386A KR 20150101117 A KR20150101117 A KR 20150101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fabric
yarn
yarn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4220B1 (ko
Inventor
정병용
Original Assignee
정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용 filed Critical 정병용
Priority to KR1020140022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220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편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실이 거치되는 실 안내판에 의해 실을 제공받아 이 실을 스타킹, 레깅스와 같은 직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 가이드핀, 실 가이드핀이 결합되는 핀 결합부재, 전방이 핀 결합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핀 고정판 및 장바늘, 단바늘과 같은 바늘 및 싱커부재가 장착된 박음질부재로 이루어진 사도장치 상기 사도장치를 통해 공급된 복수의 실을 통해 직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며, 상기 박음질부재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상부 직물제조부와, 이 상부 직물제조부로 실의 공급을 안내하는 제1안내 패널을 포함하는 상부 편직부 상기 상부 편직부의 하측에 서로 대응되게 구성되어 상부 편직부를 통해 제조된 직물에 자수와 같은 디자인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부 직물제조부와, 이 하부 직물제조부로 실의 공급을 안재하는 제2안내 패널이 구성된 하부 편직부 상기 상부 편직부 및 하부 편직부에 각각 구성되어 직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수단 상기 상부 편직부의 상측에 구성되어 상부 및 하부 편직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과, 화전축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부재를 포함하는 편직 콘트롤러 및 상기 편직 콘트롤러, 상부 및 하부 편직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어 프레임, 하부 편직부, 사도장치, 박음질부재가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제어 프레임 치 고정 프레임이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부 및 하부 편직부를 통해 제조가 완료된 직물이 배축되는지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형 편직장치{knitting machune}
본 발명은 원형 편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 편직장치를 통해 하나의 사도에서 2종류의 실이 공급되어 스타킹, 레깅스와 같이 직물을 단시간 내에 대향 생산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 스타킹, 레깅스와 같은 직물에 자수와 같은 디자인이 함께 제작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진 직물을 편직할 수 있는 편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직기는 실로 뜨개질을 하는 것처럼 직물을 짜는 기계를 통칭하는 것으로, 의류, 장갑, 양말 등과 같은 대량생산에 필요한 직물 제조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양말용 편직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양말용 편직기는, 서로 다른 종류의 실을 내리는 다수의 편직기용 사도(10)와, 상기 다수의 편직기용 사도(10)가 결합되는 고정구(20)와, 단바늘(31), L형 싱커(32), 장바늘(33), S형 싱커(34), 캠(35) 등이 장착되며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자전하도록 구성되는 실린더(30)와, 상기 고정구(20)와 실린더(30)를 결합시키는 싱커커(40)와, 상기 편직기용 사도(10)를 회동시키기 위한 사도 올림부(50)와, 상기 단바늘(31)과 장바늘(33) 중 어느 한 바늘을 선택적으로 올리기 위한 바늘선택(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편직기용 사도는 속실용 사도(12)와 기능실용 사도(14)와 겉실용 사도(16) 등으로 구분되며, 각 사도의 위치 및 개수는 편직하고자 하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20)는 상기 편직기용 사도(10)의 중단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브래킷(22)을 구비하여, 상기 편직기용 사도(10)는 힌지브래킷(22)과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도 올림부(50)는 단순히 편직기용 사도(10)의 일단부를 상향으로 올릴 수만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편직기용 사도(1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지는 못한다. 따라서 상기 편직기용 사도(10)의 타단부에는 상기 편직기용 사도(10)의 타단부를 사향으로 끌어 올림으로써 상기 편직기용 사도(1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위한 복귀스프링(24)이 구비된다.
상기 사도 올림부(50)는 상기 캠(35)을 타고 구름으로써 캠레버(51)를 회동시키는 베어링(52)과, 상기 캠레버(51)의 회동에 의해 일측이 위로 들어 올려저 상기 편직기용 사도(10)의 일측을 사양으로 밀어 올리는 사도레버(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편직기용 사도(10)는 상기 실린더(3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일측이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상기 편직기용 사도(10)에 걸려 있는 실의 공급경로가 제어된다.
또한 상기 바늘 선택부(60)는, 별도의 수평에어실린더(62)에 의해 실린더(30)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단바늘(31)과 장바늘(33) 중 어떤 바늘이 올려질 지를 결정하는 슬라이드바(61)와, 상기 실린더(30)의 회전방향 및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늘 선택부(60)는, 상시 센서(63)에 의해 감지되는 실린더(30)의 회전방향에 따라 단바늘(31) 또는 장바늘(33)이 선택적으로 올라가게 한다.
이와 같은 오래 기술에 따른 편직장치는 편직물 생산성 향상에 한계가 생기게 되며, 상기 편직기용 사도(10)의 회동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하기 때문에 속실과 기능실, 겉실이 짜지는 순서가 변경되어 제품의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편직장치는 사도(10)를 통해 공급되는 실의 종류가 각각 분리된 상태로 별도로 공급이 이루어지며, 실의 수에 따라 사도(10)의 수 역시 동일하게 늘어나 장비의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실의 공급시간 또한 동시에 늘어나 직물의 제조에 필요한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대량 생산에 불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순히 양말에 한정되어 제조가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 단일 제품생산만을 위해 사용하기에는 장비의 가격이 매우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 들어 여성들이 즐겨 신는 스타킹, 레깅스와 같은 직물을 단시간 내에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편직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편직기는 단색으로 구성되는 종류의 직물의 제조가 가능할 뿐, 다양한 생상 및 디자인으로 이루어지는 직물의 제조가 어려움 문제점이 있어, 직물 제조의 다양성에 매우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08489호 (2009. 07. 13.)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형 편직장치를 통해 하나의 사도에서 2종류의 실이 공급되어 스타킹, 레깅스와 같은 직물을 단시간 내에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 스타킹, 레깅스와 같은 직물에 자수와 같은 디자인이 함께 제작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진 직물을 편직할 수 있는 원형 편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사도에 2종류의 실이 동시에 공급됨에 따라 편직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편직기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부품 수가 감소되는 만큼 고장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원형 편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실이 거치되는 실 안내판에 의해 실을 제공받아 이 실을 스타킹, 레깅스와 같은 직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 가이드핀, 실 가이드핀이 결합되는 핀 결합부재, 전방이 핀 결합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핀 고정판 및 장바늘, 단바늘과 같은 바늘 및 싱커부재가 장착된 박음직부재로 이루어진 사도장치 상기 사도창치를 통해 공급된 복수의 실을 통해 직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며, 상기 박음질부재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상부직물제조부와, 이 상부 직물제조부로 실의 공급을 안내하는 제1안내 패널을 포함하는 상부 편직부 상기 상부 편직부의 하측에 서로 대응하게 구성되어 상부 편직부를 통해 제조된 직물에 자수와 같은 디자인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부 직물제조부와 이 하부 직물제조부로 실의 공급을 안내하는 제2안내 패널이 구성된 하부 편직부 상기 상부 상부 편직부 및 하부 편직부에 각각 구성되어 직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금수단 상기 상부 편직부의 상측에 구성되어 상부 및 하부 편직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회전축의 호전 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부재를 포함하는 편직 콘트롤러 및 상기 편직 콘트롤러, 상부 및 하부 편직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어 프레임, 하부 편직부, 사도장치, 박음질부재가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제어 프레임 치 고정 프레임이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부 및 하부 편직부를 통해 제조가 완료된 직물이 배출되는 지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 결합부재는 일면에 장홀의 형태로 이루어진 조절공이 현성되어 상기 핀 고정판과 슬라이딩되게 결합되고, 위치 조절이 완료된 핀 결합부재를 고정시키는 핀 고정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도장치에는 프레임 수단에 고정 결합되어 공급되는 복수의 실의 공급위치에 대한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사도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안내 패널은 소정의 압력을 가진 에어가 공급될 수 있도록 에어 공급수단과 연통하는 에어 공급홀, 에어가 이동하는 이동 홈, 상기 이동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좌우로 슬라이딩하면서 공급된 실이 상부 및 하부 직물제조부에서 박음질부재를 통해 직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직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 편직장치를 통해 하나의 사도에서 2종류의 실이 공급되어 스타킹, 레깅스와 같은 직물을 단시간 내에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 스타킹, 레깅스와 같은 직물에 자수와 같은 디자인이 함께 제작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진 직물을 편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사도에 2종류의 실이 동시에 공급됨에 따라 편직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편직기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부품 수가 감소되는 만큼 고장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편직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편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편직장치를 사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편직장치를 상부 편직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편직장치를 하부 편직부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편직장치의 안내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편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편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편직장치의 사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면, 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편직장치의 하부 편직부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편직장치의 안내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원형 편직장치는, 사도장치(110), 상부 편직부(210), 하부 편직부(310), 편직 콘트롤러(410) 및 프레임 수단(5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도장치(110)는 2종류 이상의 실을 편직장치로 공급하는 것으로, 복수의 실이 거치되는 실 안내판(130)에 의해 안내되는 실을 제공받아 이 실을 편직장치의 상부 편직부(210)와 하부 편직부(320)로 공급하여 직물의 편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사도장치(110)는 실 안내판(130)으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실을 공급받아 이 복수의 실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실 가이드핀(112)과, 이 실 가이드핀(112)이 결합되는 핀 결합부재(114)와, 전방이 핀 결합부재(113)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며, 후방에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진 핀 위치조절부재(115)가 결합되는 핀 고정판(116) 및 사도장치(110)를 프레임 수단(510)에 고정시키는 고정패널(1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실 가이드핀(112)은 실 안내판(130)으로부터 안내되는 실의 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되어 핀 결합부재(114)에는 그 후방 면에 장홀의 형태로 이루어진 조절공(114a)이 형성되며, 이 조절공(114a)에 체결수단이 관통하면서 핀 고정판(116)에 결합이 이루어지며, 일면에는 위치 조절이 완료된 핀 결합부재(114)를 고정시키는 핀 고정체(114b)가 구성된다.
핀 고정체(114b)는 통상의 볼트로 구성되어 위치 조절이 완료된 상태의 핀 결합부재(114)와 핀 고정판(116)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도장치(110)의 일면에는 이 사도장치(110)의 고정패널(118)이 결합되며, 후술할 프레임 수단(510)의 고정 프레임(520)에 사도장치(110)를 고정시키는 사도 고정부재(120)가 구성된다.
여기서, 사도 고정부재(120)는 사도장치(110)를 통해 공급되는 실의 공급위치의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2종류 이상의 실이 동시에 공급된다 하더라도 실의 꼬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사도장치(110)는 편직 장치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4개 이상 다수 구성되고, 하나의 사도장치(110)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싫이 동시에 공급됨에 따라 최소 8개 이상의 다른 종류의 실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직물이 단시간에 제조가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사도장치(110)에는 이 사도장치(110)를 통해 공급되는 복수의 실을 이용하여 박음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박음질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선된다.
박음질부재(130)는 사도장치(110)의 일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복수의 실이 상부 및 하부 편직부(210, 310)측으로 공급되면, 이 실을 박음질하여 스타킹, 레깅스와 같은 직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장바는, 단바늘 과 같은 바늘들과, 이 바늘들이 상부 및 하부 편직부(210, 310)측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싱커부재가 장착된다.
상부 편직부(210)는 상부에 편직 콘트롤러(410)가 연결 구성되며, 이 편직 콘트롤러(41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스타킹, 레깅스와 같은 직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상부 편직부(210)는 편직 콘트롤러(410)에 구성된 회전수단이 관통하되, 이 회전수단의 외주면과 연결되게 구성되어 회전수단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 하면서 공급되는 복수의 실을 이용하여 직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바늘 부재가 구비된 싱커부재가 공압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상부 직물제조부(212)가 구성되며, 이 상부 직물제조부(212)의 외주에 구성되어 상부 직물 제조부(212)로 실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제1안내 패널(220)이 구성된다.
제1안내 패널(220)은 상부 직물제조부(2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부 직물 제조부(212)의 각 분기점을 기준으로 감쌀 수 있도록 총 4개로 구성되어 서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안내 패널(220)은 에어 공급수단(150)이 복수 연결 설치되어 있어서, 이 에어 공급수단(150)과 연통하는 에어 공급홀(222)이 형성되며, 이 에어 공급홀(222)을 통해 공급된 에어는 이동홈(224)을 따라 이동하면서 실 안내부재(226)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부 직물제조부(212)로 공급된 복수의 실이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실 안내부재(226)는 이동홈(224)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하면서 공급된 실이 상부 직물제조부(212)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 공급된 실이 수용된 상부 직물제조부(212)에서 박음질부재(130)를 통해 직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하부 편직부(310)는 상부 편직부(210)의 하측에 서로 대응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 편직부(210)를 통해 제조된 직물에 자수와 같은 다양한 디자인이 제작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부 편직부(310)는 상부 편직부(210)에 구성된 상부 직물제조부(212)와 연결되어 이 상부 직물제조부(212)로부터 제도된 직물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하향 이동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 편직부(210)와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하우 직물제조부(312)가 구성된다 이러한 하부 직물제조부(312)에는 상부 직물제조부(212)와 마찬가지 로 박음질부재(130)가 구성되어 있어서, 2종류의 실이 공급되면, 이 실을 통해 스타킹, 레깅스와 같은 직물에 자수와 같은 디자인을 제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부 직물제조부(312)의 외면에는 하부 직물제조부(312)로 실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제2안내 패널(320)이 구성된다.
제2안내 패널(320)은 하부 직물제조부(3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이 하부 직물 제조부(312)의 각 분기점을 기준으로 감쌀 수 있도록 총 4개로 구성되어 서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에어 공급수단(150)과 연통하는 에어 공급홀(222)과, 공급된 에어가 이동하는 이동홈(224)과, 이 이동홈(224)을 따라 이동하는 실 안내부재(226)가 구성된다.
여기서, 에어 공급수단(150)은 에어 콤푸레셔와 같은 장치를 통해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에어를 에어호스(152)를 통해 편직장치로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상부 편직부(210) 및 하부 편직부(310)에 각각 구성되어 직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에어를 공급하며, 사도장치(110)의 핀 위치조절부재(115)에도 소정의 공압을 제공하여 2종류 이상의 복수의 실이 공급될 때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편직 콘트롤러(410)는 상부 편직부(210)의 상측에 구성되며, 이 상부 편직부(210) 및 하부 편직부(310)를 회전시키며, 제조될 직물에 따라 회전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부 편직부(210) 및 하부 편직부(310)를 관통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10)이 구성되고, 회전축(41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20)과, 회전축(41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저감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편직 콘트롤러(410)의 진동 저감부재(430)는 상부 편직부 (210) 및 하부 편직부(310)를 관통하는 회전축(410)의 하단을 지지하며, 이 회전축(410)의 진동 저감 효율을 극대화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편직 콘트롤러(410)에는 상부 편직부(210)와 연결 구성되도록 하며, 프레임 수단(5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고정패널(440)이 구성됨으로써, 편직 콘트롤러(410)와 상부 편직부(210)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한다.
프레임 수단(510)은 편직 콘트롤러(410)가 고정 결합되어 상부 편직부(210) 및 하부 편직부(310)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어 프레임(510)과, 하부 편직부(310), 사도장치(110), 박음질부재(130) 등이 고정 성치되어 직물의 제조시, 실의 위치에 대한 편차를 최소화하는 고정 프레임(520)과, 하부 편직부(310)의 하단이 위치하며, 편직장치가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540)이 연결 설치되고, 상부 및 하부 편직부(210, 310)를 통해 제조가 완료된 직물이 배출되는 지지 하우징(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 프레임(510)에는 실 안내판(130)이 고정 결합되는 안내판 프레임(512)이 구성되고, 고정 프레임(520)에는 사도 고정부재(120)가 고정 결합되는 사도 결합 패널(522)이 구성된다.
지지 하우징(530)에는 회전축(410)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내장 설치되며, 제조가 완료된 직물이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수단(550)이 구성되며, 이 가이드수단(550)은 하부 편직부(310)의 제2안내 패널(320) 하측에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원형 편직장치는 하나의 사도에서 2종류의 실이 공급되어 스타킹, 레깅스와 같은 직물을 단시간 내에 대량생간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 스타킹, 레깅스와 같은 직물을 편직할 수 있고, 하나의 사도에 2종류의 실이 동시에 공급됨에 따라 편직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편직기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부품 수가 감소되는 만큼 고장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 한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직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사도장치 120: 사도 고정부재
130: 박음직 부재 150: 에어 공급 수단
210: 상부 편직부 212: 상부 직물제조부
220: 제1안내패널 310: 하부 편직부
312: 하부 직물제조부 320: 제2안내패널
410: 편직 콘트롤러 510: 프레임 수단

Claims (6)

  1. 복수의 실이 거치되는 실 안내판에 의해 실을 제공받아 이 실을 스타킹, 레깅스와 같은 직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 가이드핀, 실 가이드핀이 결합되는 핀 결합부재, 전방이 핀 결합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핀 고정판 및 장바늘, 단 바늘과 같은 바늘 및 싱커부재가 장착된 박음질부재로 이루어진 사도장치; 상기 사도장치를 통해 공급된 복수의 실을 통해 직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며, 상기 박음질부재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상부 직물제조부와, 이 상부 직물제조부로 실의 공급을 안내하는 제1안내 패널을 포함하는 상부 편직부;
    상기 상부 편직부의 하측에 서로 대응되게 구성되어 상부 편직부를 통해 제조된 직물에 자수와 같은 디자인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부 직물제조부와, 이 하부 직물제조부로 실의 공급을 안내하는 제2안내 패널이 구성된 하부 편직부; 상기 상부 편직부 및 하부 편직부에 각각 구성되어 직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수단; 상기 상부 편직부의 상측에 구성되어 상부 및 하부 편직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회전축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도 저감부재를 포함하는 편직 콘트롤러; 및 상기 편직 콘트롤러, 상부 및 하부 편직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어 프레임, 하부 편직부, 사도장치, 박음질부재가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사기 제어 프레임 치고정 프레임이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부 및 하부 편직부를 통해 제조가 완료된 직물이 배출되는 지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결합부재는 일면에 장홀의 형태로 이루어진 조절공이 형성되어 상기핀 고정판과 슬라이딩되게 결합되고, 위치 조절이 완료된 핀 경합부재를 고정시키는 핀 고정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도장치에는 프레임 수단에 고정 결합되어 공급되는 복수의 실의 공급 위치에 대한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발생하는 사도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직 장치.
  4. 없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도장치는 편직장치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4개 이상 다수 구성되고, 하나의 사도장치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실이 동시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안내 패널은 소정의 압력을 가진 에어가 공급될 수 있도록 에어 공급수단과 연통하는 에어 공급홀, 에어가 이동하는 이동홈,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좌우로 슬라이딩하면서 공급된 실이 상부 및 하부 직물제조부에서 박음질부재를 통해 직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직장치.
KR1020140022386A 2014-02-26 2014-02-26 원형 편직장치 KR101574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386A KR101574220B1 (ko) 2014-02-26 2014-02-26 원형 편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386A KR101574220B1 (ko) 2014-02-26 2014-02-26 원형 편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117A true KR20150101117A (ko) 2015-09-03
KR101574220B1 KR101574220B1 (ko) 2015-12-03

Family

ID=5424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386A KR101574220B1 (ko) 2014-02-26 2014-02-26 원형 편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2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6175A (zh) * 2018-10-26 2018-12-21 浙江叶晓机械科技有限公司 多类型纱线编织机的供线装置及编织工艺
CN109056175B (zh) * 2018-10-26 2024-05-31 浙江叶晓机械科技有限公司 多类型纱线编织机的供线装置及编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033Y1 (ko) 2000-12-20 2001-06-01 강문환 다색 양말 편직기의 실 분사장치
KR100893563B1 (ko) 2007-05-25 2009-04-17 (주) 태영기계 편직기용 사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말편직기
KR100908489B1 (ko) 2007-07-30 2009-07-21 (주) 태영기계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6175A (zh) * 2018-10-26 2018-12-21 浙江叶晓机械科技有限公司 多类型纱线编织机的供线装置及编织工艺
CN109056175B (zh) * 2018-10-26 2024-05-31 浙江叶晓机械科技有限公司 多类型纱线编织机的供线装置及编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220B1 (ko)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4324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knitwear, hosiery textile items or seamless items with variable compression
ITBS20130137A1 (it) Macchina tessile circolare
ITMI20091712A1 (it)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per la produzione di capi di abbigliamento del tipo "seamless", a funzionalita' incrementata.
CN103492624B (zh) 具有高的针脚形成精度的无缝类型的圆形织袜机器
CN106337248A (zh) 平针针织机
KR101574220B1 (ko) 원형 편직장치
ITMI20111696A1 (it) Macchina per maglieria, particolarmente ad elevata finezza, con camme di azionamento degli aghi perfezionate.
US7757519B2 (en) Method to produce textiles articles with warp-knitting machines and machine to carry out such a method
JP2018503000A5 (ko)
KR101403225B1 (ko) 다양한 스티치들의 타입과 레이아웃 이용하여 직물을재봉하기 위한 다기능 재봉기
CZ18934U1 (cs) Maloprumerový pletací stroj
RU2661818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икотажного изделия и полученное таким способом изделие
KR101155205B1 (ko) 색상 무늬 메쉬를 형성하는 직물 편직기
KR200451069Y1 (ko) 더블 실린더형 환편기용 스팽글 안내장치
CN101021028B (zh) 无缝内衣机的导纱喂纱装置
KR100922320B1 (ko)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싱커장치
KR101361304B1 (ko)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
US302928A (en) Looping attachment foe knitting machines
US122535A (en) Improvement in knitting-machines
US409856A (en) Looping attachment for knitting-machines
JP2010133060A (ja) ダブル編用丸編機
US741113A (en) Knitting-machine.
US812314A (en) Knitting-machine.
US2879652A (en) Circular seamless hose knitting machine
US425362A (en) Charles j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