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672A - 기준 심볼들을 사용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표시의 도출 - Google Patents

기준 심볼들을 사용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표시의 도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672A
KR20150100672A KR1020157016154A KR20157016154A KR20150100672A KR 20150100672 A KR20150100672 A KR 20150100672A KR 1020157016154 A KR1020157016154 A KR 1020157016154A KR 20157016154 A KR20157016154 A KR 20157016154A KR 20150100672 A KR20150100672 A KR 20150100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iguration
identity number
reference signal
resource elements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8765B1 (ko
Inventor
매튜 윌리엄 웹
히데지 와카바야시
스티븐 트루러브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00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32Without explicit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5Pilot or known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7Selecting a data network PoA [Point of Attac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5Long term evolution [L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셀에 의해 전송된 기준 신호들(RS)의 시간 및 주파수에서의 내용들 및/또는 위치들에 대한 섭동이 이루어져, 섭동은 네트워크 기능의 가용성 또는 구성, 특히 협대역 가상 캐리어 동작을 제공하기 위한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셀의 능력 또는 구성에 관한 정보를 암시한다. 사용된 기준 신호들의 시간 및 주파수에서의 내용들 및/또는 위치들은 전형적으로 물리적 셀 아이덴티티(PCI)에 기초한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어떤 식별가능한 RS 리소스들에 의해 전달된 PCI는 변화되고: 다른 실시예들에서, RS는 '예상치 못한' 리소스들에서 전송된다. 네트워크 기능 구성 정보는 이들 전송과 셀의 실제의 PCI 및/또는 '예상된' RS 전송 리소스들 간의 관계로부터 추론된다.

Description

기준 심볼들을 사용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표시의 도출{DERIVING AN INDICATION OF A COMMUNICATIONS PARAMETER USING REFERENCE SYMBOLS}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디바이스들에서 통신 파라미터의 표시를 도출하는 방법들, 시스템들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eNodeB들과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들은 증가하는 수의 네트워크 기능들을 제공해야 함에 따라, 각각의 네트워크 엔티티가 네트워크 시그널링 과정에서의 적절한 포인트에서 이들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것이 보다 더 중요해지고 있다. 다른 네트워크 기능 능력들의 네트워크 엔티티들이 많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서로 함께 배치되는 것이 예상되고: 결과적으로, 특정한 네트워크 능력에 액세스하려는 원거리 통신 디바이스(즉, 사용자 단말기, UE)는 그러한 서비스를 요구하는 어떤 주어진 네트워크 엔티티가 실제로 그 서비스를 전달할 수 있다고 추정할 수 없고, 이 능력이 없는 경우에, UE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그 능력을 요구하는 것을 다시 시작하여야 하므로, 소모된 시간 및 처리 전력의 면에서 페널티가 발생한다.
MTC 디바이스들과 같은, 소정 부류의 원거리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반자율 또는 자율 무선 통신 단말기들)는 예를 들어, 비교적 빈번하지 않은 간격들로 소량의 데이터의 전송에 의해, 특성화되는 "저 능력" 통신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한다. MTC 디바이스들은 개별적으로 그들이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들에 부담을 덜 주어 동일한 네트워크들 내에 등가의 "완전 능력" 단말기들보다 많은 수가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MTC 단말기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호스트 캐리어들"의 대역폭 내에서 동작하는 "가상 캐리어"를 도입하는 것이 제안되었는데: 이 제안된 가상 캐리어 개념은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OFDM 기반 무선 액세스 기술들의 전송 리소스들 내에 통합하고 OFDM과 유사한 방식으로 주파수 스펙트럼을 세분화한다. 종래의 OFDM형 다운링크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와 다르게, 가상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다운링크 OFDM 호스트 캐리어의 완전 대역폭을 처리할 필요없이 수신되고 디코드될 수 있다.
가상 캐리어 개념은 다수의 동시 계류 중인 특허 출원들(GB 1101970.0 [2], GB 1101981.7 [3], GB 1101966.8 [4], GB 1101983.3 [5], GB 1101853.8 [6], GB 1101982.5 [7], GB 1101980.9 [8] 및 GB 1101972.6 [9]을 포함함)에 기술되어 있고, 그 내용들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도입된다.
"가상 캐리어" 동작은 셀 내의 적합한 "VC" 기능에 의해 지원될 필요가 있다(즉, 서빙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제공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UE가 셀에 액세스하는 초기 절차들은 셀이 실제로 VC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처리 노력을 허비할 수 있다. MTC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저 전력 및 오랜 배터리 수명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되고, 따라서 이 경우에 이렇게 허비된 노력을 최소화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현재의 시스템들에서, 초기 절차들은 주로 UE는 (예를 들어,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 운영자(PLMN) 아이덴티티(identity)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 금지되지 않는다면) 확실히 셀에 접속하고자 하지만, 이것은 제한된 능력을 갖는 UE에는 해당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서 주로 설계된다. 특히 MTC 시나리오들에서는, 많은 MTC UE들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를 시도하는 것을 트리거하는 이벤트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네트워크를 오버로드시킬 수 있고 결국 UE들이 eNB에서의 전송 전력 및 처리 전력을 절약하고 잠재적으로 상당한 간섭을 줄이기 위해서 접속을 시도조차 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UE들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셀 획득을 위한 종래의 초기 절차는 이러한 능력들을 효율적으로 표시하는 어떤 설비(또는 이러한 기능을 제공할 능력)를 현재 갖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무선 원거리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엔티티 능력의 효율적인 통신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과 관련된 통신 파라미터의 표시를 도출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가 제공되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각각이 단말기들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통신 리소스 요소들을 제공하고,
상기 통신 리소스 요소들은 복수의 시분할된 무선 프레임들에 모이고,
각각의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리소스 요소들의 제1 서브셋이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전달하고, 기지국을 위한 상기 동기 신호들은 제1 아이덴티티 번호와 관련되고,
각각의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리소스 요소들의 제2 서브셋이 기준 심볼들을 포함하는 기준 신호들을 전달하고, 상기 제2 서브셋은 제1 구성 및 제2 구성을 포함하는 복수의 별개의 구성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1 구성 내의 상기 기준 심볼들은 상기 제1 아이덴티티 번호에 따라 변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가지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상기 통신 리소스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및
상기 수신된 통신 리소스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갖고, 동작 시에,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통신 리소스 요소들에 존재하는 상기 기준 심볼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의 값들을 결정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제2 구성 내의 상기 기준 심볼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으로부터 추론된다.
통신 파라미터는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능력(또는 능력의 부재)과 같은, 셀 또는 네트워크의 정적 특성에 대응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통신 파라미터는 바람직하게는 셀 트래픽 혼잡 레벨에 의존하는 네트워크 공유 및/또는 실시간 네트워크 능력과 같은, 셀 또는 네트워크의 동적 특성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통신 시스템은 이동 단밀기(UE)에 최소의 처리 노력으로 초기 액세스 절차의 초기 단계들에서 eNodeB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네트워크 능력은 관련된 eNodeB의 호스트 캐리어 내의 가상 캐리어를 구현하는 능력일 수 있다.
따라서, UE는 VC 동작을 지원하지 않고, 또는 적합한 구성에서 그것을 지원하지 않은 셀에서,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UE가 미리 접속을 시도하지 않는 것을 선호할 셀에서 초기 절차를 포기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은 동기 신호들로부터의 물리 계층 셀 아이덴티티(PCI)의 추출 이후의 포기를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PBCH 및 MIB가 디코드되고 나서 셀 획득의 포기를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UE에서의 상당한 처리 절약을 나타내며, 이는 MTC형 배치용으로 구상된 것들과 같은 전력 및 배터리 제한된 디바이스에서 중요하다. 특히 장점들은 전부는 아니고 일부 셀들이 VC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배치들에서 누적된다.
액세스 부류 금지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UE가 이미 셀의 리소스들에 액세스하는 과정에 있기 전까지는 가용하지가 않으므로, 처리 노력의 허비를 막기에는 너무 늦다.
본 개시의 다양한 다른 양태들 및 실시예들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제공된다.
본 개시의 제1 및 다른 양태들과 관련하여 위해 설명된 개시의 특징들 및 양태들은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고 본 개시의 다른 양태들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들과 조합될 수 있고, 위에 설명된 특정한 조합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유사한 부분들이 대응하는 참조 번호들로 표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만 이제부터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를 제공하고;
도 2는 종래의 LTE 무선 프레임을 도시한 개략도를 제공하고;
도 3은 종래의 LTE 다운링크 무선 서브 프레임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를 제공하고;
도 4a는 가상 캐리어를 갖는 LTE 다운링크 무선 서브 프레임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를 제공하고;
도 4b는 복수의 가상 캐리어가 호스트 캐리어의 다수의 주파수에 삽입된 LTE 다운링크 무선 서브 프레임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를 제공하고;
도 5는 셀 획득 전과 그 동안에 종래의 LTE에서의 UE에 의해 취해진 초기 단계들을 도시하고;
도 6은 실시예들이 다룬 소정의 시나리오들을 도시한 이동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의 개략도를 제공하고;
도 7은 셀 획득 전과 그 동안에 제1 실시예에 따라 CSI-RS 값들을 사용하여 UE에 의해 취해진 단계들을 도시하고;
도 8은 셀 획득 전과 그 동안에 제2 실시예에 따라 CSI-RS 값들을 사용하여 UE에 의해 취해진 단계들을 도시하고;
도 9는 셀 획득 전과 그 동안에 제3 실시예에 따라 CSI-RS 값들을 사용하여 UE에 의해 취해진 단계들을 도시하고;
도 10은 셀 획득 전과 그 동안에 제1 및 제3 실시예의 특징들의 조합에 따라 UE에 의해 취해진 단계들을 도시하고;
도 11a 내지 도 11d는 1, 2, 및 4개의 안테나 포트가 사용된 경우들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의 CRS 리소스 요소들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12는 (1개의 안테나 포트가 사용된 경우에서의) CRS 리소스 요소들의 "정상" 구성과 "예비된" 구성을 비교하는 것으로, 예비된 구성에서의 CRS는 제4 실시예에 따라, 동기 시그널링으로부터 추론된 PCI 이외의 PCI를 사용하여 발생된다.
도 1은 예를 들어 3GPP 정의된 UMTS 및/또는 롱텀 에볼루션(LTE)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종래의 이동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의 어떤 기본 기능을 도시한 개략도를 제공한다.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102)에 접속된 복수의 기지국(101)을 포함한다. 각각의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 MT 또는 사용자 단말기, UE라고도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들(104)과 데이터가 통신될 수 있는 커버리지 영역(103)(즉, 셀)을 제공한다. 데이터는 무선 다운링크를 통해 그들의 각각의 커버리지 영역(103) 내에서 기지국(101)으로부터 단말기 디바이스들(104)에 전송된다. 데이터는 무선 업링크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들(104)로부터 기지국들(101)에 전송된다. 코어 네트워크(102)는 각각의 기지국들(101)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인증, 이동성 관리, 과금 등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한다.
3GPP 정의된 롱텀 에볼루션(LTE) 아키텍처에 따라 구성된 것들과 같은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들은 무선 다운링크(소위 OFDMA) 및 무선 업링크(소위 SC-FDMA)를 위해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기반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도 2는 OFDM 기반 LTE 다운링크 무선 프레임(201)을 예시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LTE 다운링크 무선 프레임은 LTE 기지국(향상된 Node B, "eNodeB" 또는 "eNB"라고 다양하게 알려지고 - 이들 용어는 동일한 의미임)으로부터 전송되고 10ms 지속된다. 다운링크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고, 각각의 서브 프레임은 1ms 지속된다. 주 동기 신호(PSS) 및 보조 동기 신호(SSS)는 LTE 프레임의 제1 및 제6 서브 프레임에서 전송된다. 주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은 LTE 프레임의 제1 서브 프레임에서 전송된다. PSS, SSS 및 PBCH는 아래에 보다 더 상세히 논의된다.
도 3은 일예의 종래의 다운링크 LTE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 그리드의 개략도이다. 서브 프레임은 1ms 주기에 걸쳐 전송된, 소정 수의 "심볼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심볼은 다운링크 무선 캐리어의 대역폭에 걸쳐 분포된 소정 수의 직교 서브 캐리어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평 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수직 축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일예의 서브 프레임은 20㎒ 대역폭, R320에 걸쳐 분산된 14개의 심볼 및 1200개의 서브 캐리어를 포함한다. LTE에서의 전송을 위한 사용자 데이터의 최소 할당은 1개의 슬롯(0.5 서브 프레임)에 걸쳐 전송된 12개의 서브 캐리어를 포함하는 "리소스 블록"이다. 도 3의 서브 프레임 그리드 내의 각 개개의 박스는 하나의 심볼을 통해 전송된 12개의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므로, 도 3의 한 행은 2개의 리소스 블록에 대응한다.
제어 데이터는 리소스 블록보다 작은 단위들로 할당될 수 있고 - LTE에서의 전송을 위한 최소 할당은 "리소스 요소"이다. "리소스 요소"라고 하는 용어는 한 심볼 내의 한 서브캐리어 상의 데이터를 말한다. 기준 신호들과 같은 제어 데이터에는 리소스 블록들 내의 특정한 리소스 요소들이 할당될 수 있다.
도 3은 4개의 LTE 단말기들(340, 341, 342, 343)에 대한 리소스 할당을 빗금으로 도시한다. 예를 들어, 제1 LTE 단말기(UE1)를 위한 리소스 할당(342)은 12의 서브 캐리어의 5개의 블록(즉, 60개의 서브 캐리어)에 걸쳐 연장하고, 제2 LTE 단말기(UE2)를 위한 리소스 할당(343)은 12개의 서브 캐리어의 6개의 블록에 걸쳐 연장하는 등등이다.
제어 채널 데이터는 서브 프레임의 첫번째 n개의 심볼(여기서 n은 3㎒ 이상의 채널 대역폭에 대해서는 1 내지 3개의 심볼이고 n은 1.4㎒의 채널 대역폭에 대해서는 2 내지 4개의 심볼임)을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의 제어 영역(300)(도 3의 점선 음영으로 표시됨)에서 전송된다.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해, 다음의 설명은 n의 최대값이 3이도록 3㎒ 이상의 채널 대역폭을 갖는 호스트 캐리어들에 관한 것이다. 제어 채널(300)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CFICH) 및 물리적 HARQ 표시자 채널(PHICH)을 포함한다
PDCCH는 서브 프레임의 어떤 심볼들 상의 어떤 서브 캐리어들이 특정한 LTE 단말기들에 할당되었는지를 표시하는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서브 프레임의 제어 영역(300)에서 전송된 PDCCH 데이터는 UE1에는 참조 번호(342)에 의해 식별된 리소스들의 영역이 할당되고, UE2에는 참조 번호(343)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의 영역이 할당된 것 등등을 표시할 것이다.
PCFICH는 제어 영역의 크기를 표시하는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즉, 1.4㎒의 채널 대역폭들의 경우에 1 내지 3개의 심볼, 또는 2 내지 4개의 심볼).
PHICH는 이전에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HARQ(하이브리드 자동 요구) 데이터를 포함한다.
시간-주파수 리소스 그리드의 중심 대역(310) 내의 심볼들은 주 동기 신호(PSS), 보조 동기 신호(SSS) 및 주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을 (제1 및 제6 서브프레임에서) 포함하는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이 중심 대역(310)은 전형적으로 (1.08㎒의 전송 대역폭에 대응하는) 72개 서브 캐리어 폭이다. PSS 및 SSS는 검출될 때, LTE 단말기 디바이스가 프레임, 서브프레임, 슬롯 및 심볼 동기를 달성하고,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향상된 Node B의 셀 아이덴티티(PCI)를 결정하게 하는 동기 신호들이다. PBCH는 LTE 단말기들이 셀에 적절히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하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을 포함하는, 셀에 관한 정보를 전달한다.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통해 개개의 LTE 단말기들에 전송된 데이터는 서브 프레임의 다른 리소스 요소들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들 채널들에 대한 추가의 설명이 이하에 제공된다.
도 3은 또한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고 R344의 대역폭에 걸쳐 연장하는 PDSCH(344)의 영역을 도시한다. 종래의 LTE 무선 프레임들 내의 서브프레임들에 걸쳐 기준 신호들(RS)이 분포되고: 이들은 이후 더 논의되지만 명료성의 목적을 위해 도 3에 도시되지 않는다.
머신형 통신( MTC ) 디바이스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3 및 4세대 네트워크들의 기대된 광범위한 사용은 가용한 높은 데이터 속도를 이용하기보다는, 대신에 강건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고 커버리지 영역의 편재성을 증가시키는 부류의 디바이스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의 병행 개발에 이르게 하였다. 이 병행 부류의 디바이스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은 MTC 디바이스들 및 소위 머신 투 머신(M2M)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고, 이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반자율 또는 자율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전형적으로 비교적 빈번하지 않게 소량의 데이터를 통신한다.
MTC(및 M2M) 디바이스들의 예들은 예를 들어, 고객의 집에 배치되고 가스, 수도, 전기 등과 같은 공공 사업의 고객 소비에 관한 정보를 중심 MTC 서버 데이터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소위 스마트 미터; 운송 및 물류 트랙킹, 도로 통행료 및 모니터링 시스템들과 같은 "트랙 및 트레이스"; MTC 가능 센서, 조명, 진단 장치 등을 갖는 원격 유지 및 제어 시스템; 환경 감시; 판매 시점 관리 지불 시스템 및 자동 판매기; 보안 시스템 등을 포함한다.
MTC형 디바이스들의 특성들에 관한 추가 정보 및 MTC 디바이스들이 적용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추가 예들은 예를 들어, ETSI TS 122 368 V10.530(2011-07)/3GPP TS 22.368 버전 10.5.0 릴리스 10)[1]과 같은 대응하는 표준에서 발견될 수 있다.
MTC형 단말기와 같은 단말기가 3 및 4세대 이동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된 넓은 커버리지 영역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지만, 성공적인 사용에는 현재 단점과 과제가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종래의 3 또는 4세대 단말기 디바이스와 다르게, MTC형 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고: 또한 MTC 디바이스들은 보통 직접 유지 또는 교체를 위해 쉬운 액세스를 할 형편이 안 되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고 - 신뢰성있고 효율적인 동작이 중요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백 데이터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MTC형 단말기에 의해 수행된 기능의 유형이 특정하게 복잡한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지만, 3 및 4세대 이동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는 전형적으로 보다 복잡하고 비싼 무선 트랜시버들이 구현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관한 진보된 변조 기술들(16QAM 또는 64QAM 등)을 이용한다.
스마트폰이 전형적인 스마트폰형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강력한 프로세서를 전형적으로 필요로 함에 따라 스마트폰에 이러한 복잡한 트랜시버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정당화된다. 그러나, 위에 지적된 바와 같이, LTE형 네트워크들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해 이제 비교적 저렴하고 덜 복잡한 디바이스들을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다른 동작 기능, 예를 들어, 감소된 대역폭 동작을 갖는 디바이스들에 네트워크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한 이 추진과 병행하여, 이러한 디바이스들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가용한 대역폭의 사용을 최적화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많은 시나리오들에서, 이들과 같이 저 능력 단말기들에 완전 캐리어 대역폭에 걸쳐 LTE 다운링크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제어)할 수 있는 종래의 고성능 LTE 수신기 유닛을 제공하면 단지 소량의 데이터만을 전달할 필요만 있는 장치를 과도하게 복잡하게 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LTE 네트워크에서의 저 능력 MTC형 디바이스들의 광범위한 배치의 실시를 제한할 수 있다. MTC 디바이스들과 같은 저 능력 단말기들에 단말기에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의 양에 보다 비례하는 보다 간단한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하다.
가상 캐리어 개념
MTC 디바이스들과 같은 저 능력 단말기들에 맞추어진 "가상 캐리어"는 이로써 종래의 OFDM형 다운링크 캐리어(즉, "호스트 캐리어")의 전송 리소스들 내에 제공된다. 종래의 OFDM형 다운링크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와 다르게, 가상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다운링크 호스트 OFDM 캐리어의 완전 대역폭을 처리할 필요없이 수신되고 디코드될 수 있다. 따라서, 가상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복잡성이 감소된 수신기 유닛을 사용하여 수신되고 디코드될 수 있다.
"가상 캐리어"란 용어는 본질적으로 OFDM 기반 무선 액세스 기술(WiMAX 또는 LTE)을 위한 호스트 캐리어 내의 MTC형 디바이스들에 대한 협대역 할당에 대응한다.
가상 캐리어 개념은 다수의 동시 계류 중인 특허 출원들(GB 1101970.0 [2], GB 1101981.7 [3], GB 1101966.8 [4], GB 1101983.3 [5], GB 1101853.8 [6], GB 1101982.5 [7], GB 1101980.9 [8], 및 GB 1101972.6 [9]을 포함함)에 기술되어 있고, 그 내용들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도입된다. 그러나, 참조의 편의상, 가상 캐리어들의 개념의 소정 양태들의 개요가 부록 1에 제시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LTE와 같은 OFDM 기반 통신 시스템들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는 서브 프레임마다 다른 서브 캐리어들을 통해 전송되도록 동적으로 할당된다. 따라서, 서브 프레임마다, 네트워크는 어떤 심볼들 상의 어떤 서브 캐리어들이 어떤 단말기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지를 시그널링한다(즉, 다운링크 그랜트 시그널링).
셀 획득을 위한 초기 절차들
이후에 이어지는 UE가 초기에 셀을 획득하는 절차는 GB 1113801.3 [10]에 상세히 논의되었고(또한 "캠프-온" 과정으로 참조됨), 여기서는 상세히 다루지 않겠다. 이 절차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i) 주파수 획득.
ii) 주 동기 신호 획득(서브프레임, 획득된 슬롯 및 심볼 타이밍, 획득된 보조 동기 신호 스크램블링 코드).
iii) 보조 동기 신호 획득(획득된 프레임 타이밍, 획득된 셀 그룹 ID 시퀀스).
iv) PSS 및 SSS로부터, 물리 계층 셀 아이덴티티(PCI)가 계산될 수 있다.
v) PCI로부터, 셀 특정 기준 신호(CRS)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vi) PBCH 및 MIB를 디코드한다.
vii) PCFICH를 디코드하고 얼마나 많은 심볼이 PDCCH에 할당되는지를 검출한다.
viii) PDCCH로부터의 SIB1을 위한 DCI를 디코드한다.
ix) SIB1을 디코드하고 다른 SIB들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얻는다.
x) (SIB1 이외의) SIB들을 디코드한다.
이들 단계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아이덴티티
LTE에서, 각각의 셀은 관련된 물리 계층 셀 아이덴티티(PCI)를 갖는다. 각각 3개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168개 그룹으로 이루어진 504개의 PCI가 있다. 그들은 FDD에서 각 셀 내의 LTE 프레임의 제1 및 6 서브 프레임들에서 전송된, 주 및 보조 동기 시퀀스들(PSS 및 SSS)의 조합을 처리함으로써 추출되고: PSS는 PCI들의 그룹 내에서 3개의 아이덴티티 중 하나를 추론하는 데 사용되고 SSS는 168개의 그룹 중 하나를 추론하는 데 사용된다(도 5에서 단계 iv)). 종래의 LTE 네트워크는 PCI들이, PSS/SSS 전송들 내에 끼워 넣어질 때, 주파수 재사용 팩터 1을 갖는 배치들에서 다른 셀 아이덴티티들을 UE들이 검출하게 하는 양호한 비상관 속성들을 갖기 때문에 셀 ID에 기초하여 계획된다.
기준 신호들
3GPP TS 36.211(버전 11.0.0)은 eNodeB(eNB)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다양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RS들)을 특정하고: 다음의 논의에서 특히 관심이 있는 것은 셀 특정 기준 신호들(CRS) 및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들(CSI-RS)이다. 각각의 RS는 안테나 포트들의 서브셋을 사용한다. 안테나 포트들은 안테나의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물리적 안테나들 상에 매핑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테나 포트들은 UE의 관점으로부터 다운링크 전송들을 나타낸다.
관련 3GPP 표준의 릴리스 8(및 나중 것)은 셀 특정 기준 신호들(CRS)에 권한을 준다. CRS는 4개까지의 안테나 포트(포트 0 내지 3)에 대해 정의되고 서브프레임마다 및 리소스 블록마다 셀에서 브로드캐스트된다. CRS를 발생하는 데 사용되는 의사-랜덤 시퀀스는 (3GPP TS 36.211에 섹션 6.10.1.1에서 기술된) 적어도 셀의 PCI의 기능이다.
또한, 현재의 시스템들에서, 주어진 안테나 포트 상의 CRS는 서브프레임마다 동일한 OFDM 심볼들에서 전송되지만, 그들이 전송되는 리소스 블록 내의 서브캐리어들은 기준 위치로부터 오프셋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υshift = 0에 대해 4개까지의 안테나 포트들 상의 CRS 위치들을 도시한다. 오프셋은 도 11a 내지 도 11d의 기준 심볼들의 위치에서의 수직 시프트에 대응하고 다음 식과 같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Figure pct00002
는 PCI이다(도면은 3GPP TS 36.211로부터 도출된다). 바꾸어 말하면, 서브 캐리어들의 수직 시프트는 PCI의 함수이다(이것은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3GPP TS 36.211에 섹션 6.10.1.2에서 기술되어 있다).
릴리스 10 및 후속하는 3GPP 표준은 eNB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는 다른 RS: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들(CSI-RS)을 도입한다. CSI-RS는 8개까지의 안테나 포트(포트 15 내지 22)에 대해 정의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PDSCH(도 3 참조)에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내에 리소스 요소들을 차지하므로 의미있는 채널 품질 측정을 제공하는 데 유용하다.
CSI-RS의 구성은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RRC)을 통해 UE들에 시그널링되고 다음을 포함하고, TS 36.331 참조:
· UE가 CSI-RS가 그 안에서 발생할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는 그 리소스 요소들(RE들)의 구성('CSI-RS 구성') - 표준은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14개의 심볼이 있는 32개의 그러한 구성을 특정하고;
· UE가 CSI-RS가 사실상 그 안에서 전송될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는 그 서브프레임들의 구성('CSI-RS 서브프레임 구성') - 서브프레임 구성은 CSI-RS가 전송되는 주기성 및 CSI-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들이 시스템 프레임 수(SFN)=0인 무선 프레임들의 시작에 대해 오프셋되는 서브프레임들의 수를 정의하고;
· 사용 중인 CSI-RS 안테나 포트들의 수는: 1, 2, 4 또는 8이다.
CSI-RS에서 전송된 시퀀스는 규격들에서 정의된 의사 랜덤 시퀀스 발생기로부터 나온다. 이 발생기의 초기화는 PCI에 의존하므로 전송된 시퀀스는 PCI의 함수이다.
기준 신호들에 대한 섭동들
eNodeB 능력에 관한 적시의 정보로 셀 획득을 시도하는 UE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셀에 의해 전송된 RS들의 내용들 및 위치들에 대한 소정의 "섭동"들이 VC 동작의 가용성 또는 구성과 같은, 셀의 능력 또는 구성에 관한 정보를 암시하거나 알리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와 "정적 특성"이라는 용어들은 이후 서로 교환가능하게 사용되고, 이 둘은 이러한 셀 능력들 및 구성들을 포괄한다.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된 RS들의 내용들은 전형적으로 셀의 PCI에 기초하고, 결국 어떤 실시예에서 어떤 식별가능한 RS 리소스들에 의해 전달된 PCI는 변화되고, 또는 RS는 '예상치 못한' 리소스들에서 전송되고, 이들 전송들과 셀의 실제 PCI 및/또는 '예상된' RS 전송 리소스들 간의 다양한 관계는 VC 구성 정보를 전달한다.
eNodeB는 셀 내의 이러한 섭동들의 적용에 관해 UE를 직접 구성하는 방식을 갖지 않는데, 왜냐하면 실시예들은 UE가 셀로부터 적합한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기 전에 동작하기 때문이고: 바꾸어 말하면, 이들 실시예의 동작이 UE들에 투명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기준 신호들에 대한 섭동들의 적용은 또한 표준 규격들에서의 섭동들을, 예를 들어, 특정한 UE 카테고리/카테고리들 및 단지 관련 카테고리/카테고리들의 UE들에 링크하고 그 링크에 따라 셀 전송들을 해석함으로써 다른 유형의 통신 파라미터들을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쉽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운영자는 그들의 네트워크의 이들 양태를 적합한 방식으로 계획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이제 셀에서의 가상 캐리어(VC) 능력의 표시에 관한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달리 표명하지 않는다면, UE들에 대한 참조는 이로써 VC를 통한 동작을 지원하는 UE이다.
CSI- RS 아이덴티티 분할에 의한 VC 구성 표시
도 7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셀의 주어진 능력은 예비된 CSI-RS 구성을 통해 전송된 기준 신호들이 발생되는 방식을 변경("섭동")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TS 36.211의 테이블 6.10.5.2-1 또는 테이블 6.10.5.2-2에서의 CSI-RS 구성 중 적절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는 섭동의 적용에서의 사용을 위해 예비된다. 이 예비된 리소스 구성에서 셀의 PCI 이외의 PCI에 기초한 기준 신호 발생 시퀀스의 초기화로 기준 신호가 전송되고: 전형적으로 "미스매치된 PCI"는 UE가 전송들을 수신할 가능성이 많은 어떤 지리적으로 가까운 셀과 관련되지 않은 예비된 PCI, 또는 전체 네트워크에서 예비된 PCI일 것이다. 이것은 TS 36.211 섹션 6.10.5.1에서의 시퀀스 발생을 위한 식에서, 양 nID는 셀의 PCI,
Figure pct00003
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 전개된, cinit에 대한 결과적인 식에서, 양자의 경우에, nID는 예비된 PCI 값,
Figure pct00004
으로 교체된다:
Figure pct00005
UE는 어떤 조합이 사용 중인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각각의 예비된 PCI 값을 갖는 각각의 잠재적인 예비된 CSI-RS 구성을 찾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예비된 세트들을 가능한 한 작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속하는 능력 검출 과정에 대한 변화들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특정한 순서로 기술되지 않는다:
1. 예비된 CSI-RS 구성에 예비된 또는 미스매치된 PCI가 존재한다는 것은 그 자신에 대해 또는 PSS/SSS에서 통신된 셀의 실제 PCI를 참조하여, VC의 정적 특성(들)을 암시한다.
2. 예비된 CSI-RS 구성에 예비된 또는 미스매치된 PCI가 존재한다는 것은 그것이 발견되는 구성과 함께 VC의 정적 특성(들)을 암시한다.
3. 하나보다 많은 예비된 CSI-RS 구성이 있다면, 그들은 전송 셀의 것과 다르고 서로 다른 상이한 (예비된 또는 매스매치된) PCI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페어링은 전송 셀의 다른 정적 특성(들)을 알린다.
이 실시예의 상기 변화들은 조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PCI 값들은 정적 특성(들)의 상태들 또는 값들에 개별적으로 매핑된다. 대안적으로, PCI 값들의 그룹들('분할'이라고도 함)은 이러한 상태들 또는 값들과 관련될 수 있다.
이동 네트워크 운영자(MNO)는 셀들이 그들의 실제 아이덴티티로서, 가까운 셀들 내의 예비된 CSI-RS 구성에서 사용 중인 것과 동일한 PCI를 전송하지 않도록 셀 ID들을 계획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 상태들 또는 값들이 특정한 기준 신호 구성에서의 특정한 PCI(또는 PCI 분할)의 존재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정적 특성들의 예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 셀이 VC를 전송하는지, 또는 전송할 수 있는지 여부.
· 모든 VC UE들이 제일 먼저 디코드를 시도하여야 하는 주요 VC의 주파수 영역 내의 위치.
· 분할은 CSI-RS 구성과 같은, 셀 내의 VC 동작에 고유한 기준 신호 구성의 정적 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
· UE들은 소정의 분할들에 속하는 PCI들을 전송하는 셀들에 대한 무선 액세스에 우선권을 주기 위해서 초기화/제조의 시간에, 예를 들어, 전체 네트워크 로드가 감소될 수 있는 야간에 사전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UE들은 네트워크로부터 리소스를 요구할지를 결정할 때 이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데이터가 보통 시간 제한이 없는 MTC 디바이스들에 관련된다.
· UE가 셀에 대한 가능한 트래픽 로딩의 어떤 조기 표시를 가질 수 있도록, 셀이 네트워크 공유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
한 예에서, 예비된 CSI-RS 구성에서 제1 분할로부터 미스매치된 PCI를 전송하는 셀은 VC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UE에 의해 추정될 수 있는 반면 제2 분할로부터 PCI를 전송하는 셀은 VC 동작을 지원하는 것으로 UE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 VC 순응 셀들에서만 동작할 수 있는 UE는 셀이 VC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초기 절차들을 포기하고 다른 셀을 획득하기를 시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VC 순응 셀들에서 동작하지만 비 VC 순응 셀들에서도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UE는 셀을 포기할지 또는 계속할지에 대한 구현 선택으로 남겨 질 것이다. 예비된 CSI-RS 구성에서의 제1 분할로부터 미스매치된 PCI의 전송의 취지를 알지 못하는 UE들은 종래의 초기 절차들을 간단히 계속할 것이다.
CSI-RS 구성, PCI 및 VC의 존재 유무와 같은 정적 특성 간의 연관성은 규격들에서 정의될 수 있었고, 이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배치는 셀 ID들이 올바르게 할당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MNO에 의한 계획을 필요로 할 것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단말기에 대한 UE 절차의 차이를 도시한다. '적절한 VC 획득 절차들'은 VC의 어떤 구현이 셀에서 사용 중인지 및/또는 UE에 의해 인지되는지에 따라 다르다. UE가 주어진 셀에 대한 절차를 포기한다면, 대체 셀에 대해 다시 절차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이러한 대체 셀에 대해, 예를 들어 인접 셀에 대한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들을 할 수 있도록 정상적인 PCI를 결정하는 것에 관한 한 이미 진행하였을 수 있다.
그러므로 시스템은 예비된 CSI-RS를 셀이 전송한 것과 다른 PCI 값으로 전송하다는 개념을 도입하고, 여기서 그 다른 PCI 값은 셀의 PCI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셀의 전송들 및/또는 능력들의 성질에 관한 정보를 암시한다.
CSI- RS 구성 전용 분할에 의한 VC 구성 표시
도 8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성을 갖는데: 셀의 일반적 PCI를 사용하여 발생된 기준 심볼 스크램블링 시퀀스가 항상 예비된 CSI-RS 구성에서 전송되고, (미스매치된 PCI는 사용되지 않고) 정적 특성은 UE가 검출한 어떤 예비된 CSI-RS 구성에 의해 간단히 표시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그러므로, UE들은 그들 중 하나 이상이 셀에 의해 전송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예비된 구성들의 특정된 세트 중에서 찾을 수 있으므로, 정적 특성(들)을 추론한다. CSI-RS 구성들은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계획될 수 있으므로 이 실시예는 쉽게 실현되고 셀간 간섭이 적합한 네트워크 설계에 의해 피해진다.
CSI- RS 서브프레임 구성에 의한 VC 구성 표시
그 버전들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제3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예비된 CSI-RS 구성이 사용되는 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들과 동일한 경로를 따른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정적 특성은 그 (또는 각각의) 예비된 CSI-RS 구성과 관련된 서브프레임 CSI-RS 구성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버전에서, 검출된 CSI-RS 구성은 그 구성이 예비되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그렇다면 예비된 CSI-RS 구성과 관련된 서브프레임 CSI-RS 구성이 VC 능력을 암시하는지를 확인하도록 테스트된다. 이 버전에서, PCI 분할은 이 네트워크에서 사용 중이 아니라는 것이 (제한없이) 추정된다.
도 10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대안적 버전에서, PCI 분할 및 CSI-RS 예비 둘 다가 사용 중일 때 UE 절차의 예가 주어진다. 제1과 제3 실시예는 이로써 조합된다. 그러나, 이 예는 2개의 실시예들의 조합을 이 특정한 구현으로 제한하지 않고: UE 절차의 "결정" 단계들(조건부 결과로 "예"와 "아니오"로 다이아몬드로 표시됨)은 예를 들어 실시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순서로 접근될 수 있다.
CSI-RS의 (TS 36.211의 테이블 6.10.5.3-1로부터의) 서브프레임 구성은 이로써 특정한 서브프레임 CSI-RS 구성으로 발생하는 CSI-RS 구성만, 및 어느 실시예가 확장되는지에 따라, 셀 내의 사용 중인 그것과 다른 PCI 값이 VC의 정적 특성들을 나타내는 추가적인 팩터이다.
종래의 기술들과 다르게, 위에 설명된 시스템의 소정의 실시예들은 RRC 접속 설정 전에 셀의 전송의 성질을 표시하는 목적을 위해 예비된 CSI-RS 구성(및/또는 서브프레임 CSI-RS 구성)을 제공한다.
CRS 리소스 시프팅에 의한 VC 구성 정보
제4 실시예에서, 한 유형의 섭동이 CRS에 적용된다.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내에 CRS를 지니고 있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직 시프트는 PCI의 함수이다. UE는 주어진 PCI에 기초한 CRS가 주파수 오프셋 υshift, PCI의 모듈로-6 나눔에 따라 정의된 리소스들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예상한다. 이것은 도 12에 도시되는데, 여기서 주파수 오프셋 υshift=0은 (밝은 회색)으로 도시되는 것과 함께 주파수 오프셋 υshift=2는 (어두운 회색)으로 도시된다.
또한, CRS 자체는 PCI 값,
Figure pct00006
의 함수인, 값, cinit로 초기화된 의사 랜덤 시퀀스를 사용하는, TS 36.211 섹션 6.10.1.1에서 기술된 시퀀스 발생을 위한 식을 사용하여 발생된다. (TS 36.211 섹션 6.10.1.1에서의) cinit에 대한 표현은 아래에 전개된다:
Figure pct00007
CRS의 시퀀스 발생을 위해 그리고 그 식에서 사용된 cinit에 대한 식은 이로써 전형적으로, CSI-RS의 시퀀스 발생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표현이다. 셀의 PCI 이외의 PCI의 사용은 시퀀스 발생을 위한 식이 표준의 관련된 섹션에서 특정된 cinit과 다른 cinit로 초기화되게 할 것이다. 위의 cinit에 대한 표현에서,
Figure pct00008
은 이 양자의 경우에, 예비된 PCI 값,
Figure pct00009
으로 교체된다.
504개의 PCI들에서, 84개는 각 υshift를 공유하고 각각의 PCI는 정확하게 하나의 정의된 υshift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셀에 의해 전송된 종래의 CRS에 부가하여, 예비된 PCI 값으로부터 발생된 시퀀스를 포함하는 추가의 CRS가 (예비된 PCI 나눔 모듈로 6로부터 도출된) 예상된 시프트와 다른 υshift로 전송되어, CRS가 현재의 규격("시프트된" 또는 "예상치 못한" 리소스들)에 따라 예상되는 리소스와 매치하지 않는 미리 정의된 리소스들에서 전송된다. 그러므로, 도 12의 어두운 회색의 음영 리소스 요소들은 다른 PCI 값을 다시 표시할 수 있는 그들의 내용들 및 주파수 시프트된 리소스 구성을 발생하기 위해 예비된 PCI 값의 사용을 조합하는 리소스 요소들을 나타낼 수 있는 반면, 밝은 회색의 음영 리소스 요소들은 "정상적인" 종래의 CRS를 나타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이러한 예상치 못한 또는 미스매치된 리소스 요소들은 VC의 존재를 포함하는, 앞서 나열된, 그런 정적 특성들과 같은, 가상 캐리어에 대해 셀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암시하도록 취해진다.
PCI 값과 시프트된 리소스 구성의 임의의 주어진 조합의 취지를 알고 있는 UE는 예비된 PCI 값으로부터 발생된 시퀀스를 갖는 그러한 "예상치 못한" CRS를 미리 정의된 리소스들에서 찾고, 하나를 찾았을 때, 그것을 그에 따라 해석하여, 관련 구성을 얻거나 또는 그 조합이 예를 들어, VC 지원을 표시하지 않으면 초기 절차들을 포기한다.
이 실시예는 이들 예비된 PCI들이 위에 설명된 능력 표시 기술의 취지를 알지 못하는 UE들의 예상들에 따라 "잘못된" 것으로 특성화될 수 있는 리소스들에서만 언제나 발생하기 때문에 앞선 실시예들보다 덜한 셀 ID 계획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의 UE의 응답은 특정한 구현일 것이다. PCI 조합과의 이러한 미스매치된 CRS 리소스는 기술을 알지 못하는 UE에 의해 실제로 검출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그것이 전송된 그러한 리소스들에 대해 디코드하기를 시도하지 않을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올바른 리소스들에서 PCI들을 전달하는 CRS만을 찾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 실시예의 변형들에서, 규격들은 예비된 PCI에 따른 CRS가 전송될 수 있는 가능한 '시프트된' 리소소들의 수(현재의 규격에서 5개까지)를 정의할 수 있고, UE가 검출하는 조인트 조합은 VC의 구성을 암시한다. 이것은 UE에 대한 보다 높은 블라인드 서치 로드를 가지지만 시스템에서의 보다 큰 융통성을 이루게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들을 위해, LTE 표준은 CRS에 대한 "서브프레임 구성"을 정의하지 않는다. 그러나, CRS는 CRS가 "프레임마다" 존재한다는 점에서 "서브프레임 구성"의 형태를 암시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라 전송된 추가적인 CRS는 서브프레임마다 또는 리소스 블록마다 전송될 필요가 없다. 이 경우에, 그들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들 및 리소스 블록들은 (규격에서 또는 제조 또는 초기화시에 제공될 수 있는) 미리 정의된 정보에 포함될 필요가 있다. "CRS" 서브프레임 구성"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의 맥락에서 설명된 CSI-RS와 동일한 패턴을 따를 수 있다.
셀의 전송 구조에 관한 사항들을 암시하기 위한 미스매치된 PCI-대-CRS 리소스의 매핑의 사용은 CRS의 내용들을 사용하기 위한 비종래의 방식이다.
도 6은 3개의 eNodeB들(620, 630, 640)의 각각의 셀들(602, 604, 606) 내의 전형적인 VC-UE(610)를 도시한다. eNodeB(620)는 종래의 LTE를 제공할 수 있지만 VC 기능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eNodeB(640)는 종래의 LTE 및 VC 기능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 때 높은 트래픽 상황을 겪고 오버로드를 피하기를 원한다. eNodeB(630)는 종래의 LTE 및 VC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eNodeB(620)의 경우에,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는 VC 기능의 부재가 셀 획득 중에 가용한 기준 심볼 시그널링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eNodeB(640)가 다른 환경하에서 종래의 LTE 및 VC 기능을 제공할 수 있지만, 가용한 기준 심볼 시그널링은 동적으로 섭동되어, 결국 셀 획득을 초기화하기 전에 eNodeB(640)로부터 기준 심볼들을 버퍼링하는 어떤 UE는 VC 기능이 이 eNodeB로부터 현재 가용하지 않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이들 "섭동" 기술들을 구현함으로써, 요구된 VC 기능에 액세스하기를 시도하고 실패하는데 VC-UE에 의해 소모된 시간과 처리 노력이 종래의 구성의 무선 통신 시스템과 비교하여 감소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들은 가상 캐리어 능력(정적인지 동적인지)의 표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VC 능력은 설명된 "섭동"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는 유일한 통신 파라미터는 아니다. 실제로, 위에 설명된 능력 표시 기술들은 이러한 표시가 셀 획득 전의 단계에서 유리한, 예를 들어 셀이 네트워크 공유하여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어떤 통신 파라미터의 표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수정들이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실시예들은 LTE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는 GSM, 3G/UMTS, CDMA2000, WiMAX 등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PCI들이 실시예들에서 예비될 수 있는 예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 짝수 번호의 PCI들(0, 2, 4,...)
· 홀수 번호의 PCI들(1, 3, 5,...)
· 정의된 범위에 걸친 연속하는 PCI 값들
· 특정한 관계가 없는 어떤 특정 값들
3GPP LTE 표준의 릴리스 10에서, UE들은 많아야 하나의 CSI-RS 구성을 가질 수 있고: 릴리스 11은 이 요건을 완화하고 임의 수의 구성들을 허용한다. 위에 설명된 기술들은 정상 목적들을 위한 CSI-RS 구성(들)이 일반적인 방법들, 즉 RRC 시그널링에 의해 보내질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실을 교란시키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UE는 어떤 실시예가 동작 중에 있는 경우 그것을 확인하기 위해 CSI-RS 구성들 중에 예비된 가능성을 위한 초기 획득 과정 중에 별도로 찾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RRC-구성된 CSI-RS 구성(들)은 나중에 독립적으로 보내질 수 있고, 첫번째 3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예비된 CSI-RS 구성(들)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CRS 및 CSI-RS에 관해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RS의 2개의 세트는 반드시 동일한 유형이 공존할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또한 "정상적인" 종래의 CSI-RS가 전혀 구성될 수 없는 제2 실시예를 제4 실시예와 조합한 시나리오를 포괄하고: 네트워크는 제4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예비된 CSI-RS 구성만으로 그리고 CRS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위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논의된 PCI, CSI-RS 구성 및 미스매치된 CRS 리소스들에서의 예비는 UE가 그것이 셀과의 RRC 접속을 얻기 전에, 그리고 인터셉트하기 위해, 적절하다면, 가능한 대로 곧 초기 셀 절차들을 포기하기 위해 이러한 표시들을 찾기 위해 구성될 수 있도록 미리 특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개시는 네트워크 운영자와 단말기 제조자 간의 약정에 의해 호환 가능한 UE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것과 같은 MTC 단말기라는 용어는 사용자 단말기(UE), 이동 통신 디바이스, 단말기 디바이스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UE들에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와의 공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임의의 무선 네트워크 엔티티를 말하며: 이 용어는 상기에서 e-NodeB와 상호 교환하여 사용되었고 이것은 LTE 내의 등가적인 네트워크 엔티티들 및 eNode-B들; Node-B들, 피코-, 펨토 및 마이크로 기지국 장비, 중계기; 리피터 등을 포함하는 대안적인 무선 액세스 아키텍처들을 포괄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독자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일반적으로 상호 배타적이 아니고 각각의 특징들이 적절한 경우에 교환 및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부록 1: 가상 캐리어들
가상 캐리어 개념은 다수의 동시 계류 중인 특허 출원들(GB 1101970.0 [2], GB 1101981.7 [3], GB 1101966.8 [4], GB 1101983.3 [5], GB 1101853.8 [6], GB 1101982.5 [7], GB 1101980.9 [8] 및 GB 1101972.6 [9]을 포함함)에 기술되어 있다. 가상 캐리어들의 개념의 소정의 양태들이 이하에 기술된다. 이 섹션에서, 다음과 같은 약자가 자주 사용된다: 가상 캐리어 - VC, 호스트 캐리어 - HC, 사용자 단말기 - UE, 리소스 블록 - RB, 무선 주파수 - RF, 및 기저대역 - BB.
종래의 OFDM과 같이, 가상 캐리어 개념은 중심 주파수로부터의 소정의 오프셋들에 배치된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갖고: 이로써 중심 주파수는 전체 가상 캐리어를 특성화한다.
전형적인 가상 캐리어 대역폭은 LTE에서 최소 3GPP 대역폭에 따른 6개의 리소스 블록(즉, 72개의 서브 캐리어)이다. 그러나, 다음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VC의 대역폭은 6개의 RB로 결코 제한되지 않는다.
LTE용 3GPP 표준의 릴리스 8(REL8 LTE)에 따라, VC 리소스들은 전형적으로 호스트 캐리어 중심 주파수 상에 중심을 둔 리소스 블록들에 배치되고 시스템 대역폭에 관계없이 (그 HC 중심 주파수의 양측에) 대칭으로 할당된다.
도 4a 및 도 4b는 호스트 캐리어 중심 주파수 상에 중심을 둔 리소스 블록들을 차지하는 가상 캐리어(401)를 갖는 다운링크 LTE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그리드의 개략도이다. 가상 캐리어 중심 주파수(403)는 호스트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401)이도록 선택된다.
도 3에 도시한 종래의 LTE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에 따르면, 첫번째 n개의 심볼은 PDCCH, PCFICH 또는 PHICH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와 같은 다운링크 제어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예비된 제어 영역(300)을 형성한다.
가상 캐리어(401) 상의 신호들은 호스트 캐리어 상에 동작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올바른 동작을 위해 요구하고 알려진 미리 결정된 위치(예를 들어, 도 3에서의 중심 주파수 대역(310) 내의 PSS, SSS 및 PBCH)에서 찾을 것으로 예상하는 호스트 캐리어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가상 캐리어는 그러한 호스트 캐리어 리소스들 안에 있지만 그들과 논리적으로 구별되는 리소스들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4a 및 도 4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상 캐리어(401)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는 제한된 대역폭에 걸쳐 전송된다. 이것은 호스트 캐리어의 것보다 작은 임의의 적합한 대역폭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예에서, 가상 캐리어는 2.16㎒ 전송 대역폭과 등가인, 12개의 서브 캐리어의 12개의 블록을 포함하는 대역폭(즉, 144개의 서브 캐리어)에 걸쳐 전송된다. 따라서, 가상 캐리어(401)를 사용하는 단말기에는 단지 2.16㎒의 대역폭에 걸쳐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수신기만 설치되면 된다. 이것은 저 능력 단말기들(예를 들어, MTC형 단말기들)이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단말기들에 신호의 전체 대역폭에 걸쳐 OFDM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수신기들이 종래와 같이 설치되어야 하는 OFDM형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여전히 동작하는 단순화된 수신기 유닛들이 구비되게 한다.
종래의 LTE 단말기가 셀에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를 시작하기 전에, 그것은 먼저 셀에 캠프 온 한다. 유사하게, 적응된 캠프-온 과정은 가상 캐리어를 사용하는 단말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가상 캐리어들을 위한 적합한 캠프-온 과정은 GB 1113801.3 [10]에 기술되어 있고; 이 캠프 온 과정은 여기에 참고되어 포함된다.
GB 1113801.3 [10]에 기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LTE"와 가상 캐리어 구현 둘 다는 호스트 캐리어 중심 대역 내에 마스터 정보 블록(MIB)을 이미 지니고 있는, PBCH 내의 가상 캐리어를 위한 위치 정보를 편리하게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상 캐리어 위치 정보는 중심 대역 내이지만 PBCH 밖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항상 PBCH 다음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중심 대역 내이지만 PBCH의 밖인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PBCH는 가상 캐리어들을 사용하는 목적을 위해 수정되지 않지만, 가상 캐리어 단말기는 있다면, 가상 캐리어를 검출하기 위해 위치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제공된다면, 가상 캐리어 위치 정보가 호스트 캐리어 내에 어딘가 제공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가상 캐리어 단말기는 그것의 수신기들을 중심 대역 상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가상 캐리어 단말기는 다음에 위치 정보를 찾기 위해 그것의 수신기 설정들을 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중심 대역 내에 그것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제공된 가상 캐리어 위치 정보의 양에 따라, 가상 캐리어 단말기는 가상 캐리어 전송들을 수신하기 위해 그것의 수신기를 조정할 수 있고, 또는 그것이 그렇게 할 수 있기 전에 추가의 위치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캐리어 단말기가 가상 캐리어 존재 및/또는 가상 캐리어 대역폭을 나타내지만 정확한 가상 캐리어 주파수 범위에 관한 어떤 상세를 나타내지 않는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다면, 또는 가상 캐리어 단말기가 어떤 위치 정보도 제공받지 않는다면, 가상 캐리어 단말기는 다음에 가상 캐리어를 위한 호스트 캐리어를 스캔할 수 있다(예를 들어, 소위 블라인드 서치 과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도 역시 GB 1113801.3 [10]에 상세히 논의되어 있다.
독자는 가상 채널들의 여러 가지 예들이 동일한 셀 내에서 다른 주파수 범위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5는 3개의 다른 가상 채널들을 나타내는 다운링크 LTE 서브프레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다음의 숫자로 매겨진 조항들은 본 기술의 다른 예의 양태들 및 특징들을 제공한다.
1. 무선 통신 시스템과 관련된 통신 파라미터의 표시를 도출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각각이 단말기들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통신 리소스 요소들을 제공하고,
상기 통신 리소스 요소들은 복수의 시분할된 무선 프레임들에 모이고,
각각의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리소스 요소들의 제1 서브셋이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전달하고, 기지국을 위한 상기 동기 신호들은 제1 아이덴티티 번호와 관련되고,
각각의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리소스 요소들의 제2 서브셋이 기준 심볼들을 포함하는 기준 신호들을 전달하고, 상기 제2 서브셋은 제1 구성 및 제2 구성을 포함하는 복수의 별개의 구성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1 구성 내의 상기 기준 심볼들은 상기 제1 아이덴티티 번호에 따라 변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가지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상기 통신 리소스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및 상기 수신된 통신 리소스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갖고, 동작 시에,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통신 리소스 요소들에 존재하는 상기 기준 심볼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의 값들을 결정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제2 구성 내의 상기 기준 심볼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으로부터 추론되는 이동 단말기.
2. 상기 추론된 통신 파라미터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제공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정적 특성인 제1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3. 상기 정적 특성은 협대역 캐리어를 제공하는 상기 기지국의 능력이고, 상기 협대역 캐리어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상기 리소스 요소들의 제3 서브셋을 차지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의해 공급된 대역폭 미만의 대역폭을 갖는 제2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4. 상기 기준 심볼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각각의 수신된 기준 심볼들이 속하는 기준 신호 구성이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제2 구성 내의 기준 심볼들의 존재로부터 추론되는 제1항 내지 제3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5.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제2 구성과 상기 제1 구성 간의 차이로부터 추론되는 제4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6. 상기 제2 구성은 상기 복수의 별개의 구성들 중 미리 결정된 것인 제4항 또는 제5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7. 상기 제2 구성은 통신 파라미터들의 값들을 표시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예비되는 제6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8. 상기 기준 심볼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기준 신호 시퀀스이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결정된 상기 기준 심볼 속성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값은 상기 기준 신호 시퀀스에 대응하는 값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 값의 상기 추론은 상기 제2 구성에서의 상기 기준 신호 시퀀스에 의존하는 제1항 내지 제7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9. 상기 기준 신호 시퀀스는 상기 제1 아이덴티티 번호와 다른 제2 아이덴티티 번호에 따라 변화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상기 값은 상기 제2 구성에서 사용된 상기 제2 아이덴티티 번호의 값으로부터 추론되는 제8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10.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상기 값은 상기 제2 아이덴티티 번호와 상기 제1 구성에서 사용된 상기 제1 아이덴티티 번호 간의 차이로부터 추론되는 제9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11. 상기 제2 구성에서의 상기 기준 신호 시퀀스는 상기 제2 아이덴티티 번호의 함수로서 발생되는 제9항 또는 제10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12. 상기 기준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기준 신호 서브프레임 구성이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결정된 상기 기준 심볼 속성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값은 상기 기준 신호 서브프레임 구성에 대응하는 값이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상기 값이 추론되는, 상기 제2 구성에서의 상기 기준 심볼들의 상기 속성은 상기 제1 구성이 속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구성과 다른 서브 프레임 구성 내의 기준 심볼들의 존재인 제1항 내지 제11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13. 상기 기준 심볼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기준 신호 서브프레임 구성;
기준 신호 구성; 및
기준 신호 시퀀스 중 적어도 2개의 조합이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는 상기 제2 구성에서의 상기 기준 심볼들의 속성들의 상기 조합으로부터 추론되는 제1항 내지 제12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14. 상기 제1 아이덴티티 번호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제1 구성에서의 상기 기준 심볼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상기 기준 신호 시퀀스이고, 상기 제1 구성은 상기 제1 아이덴티티 번호의 함수로서 발생된 제1 기준 신호 시퀀스로 기준 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성은 상기 제1 기준 신호 시퀀스와 구별되는 제2 기준 신호 시퀀스로 기준 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 시퀀스는 상기 제2 아이덴티티 번호를 사용하여 발생되고, 상기 제2 아이덴티티 번호는 예비된 아이덴티티 번호에 대응하는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15. 상기 제1 기준 신호 시퀀스는 시드로서 상기 제1 아이덴티티 번호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 알고리즘에서 발생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 시퀀스는 시드로서 제2 아이덴티티 번호를 사용하여, 상기 기준 신호 알고리즘에서 발생되는 제14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16. 상기 제2 서브셋 내의 상기 기준 심볼들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들, CSI-RS를 포함하는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17. 상기 제2 서브셋 내의 상기 기준 심볼들은 셀 특정 기준 신호들, CRS를 포함하는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18. 상기 기준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각각의 수신된 기준 심볼들이 속하는 상기 셀 특정 기준 신호 구성이고, 상기 제2 구성은 제2 아이덴티티 번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별개의 구성들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제2 구성에서의 상기 기준 심볼들은 상기 제2 아이덴티티 번호를 사용하여 발생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상기 값은 상기 제2 구성에서의 상기 셀 특정 기준 신호들을 발생하는 데 사용된 상기 아이덴티티 번호는 상기 제1 아이덴티티 번호와 다르다는 것을 결정함으로써 추론되는 제17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19. 상기 제2 아이덴티티 번호는 통신 파라미터들의 값들을 표시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예비된 미리 결정된 아이덴티티 번호인 제18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20. 단말기들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파라미터의 표시를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통신 리소스 요소들을 제공하고,
상기 통신 리소스 요소들은 복수의 시분할된 무선 프레임들에 모이고,
각각의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리소스 요소들의 제1 서브셋이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전달하고, 기지국을 위한 상기 동기 신호들은 제1 아이덴티티 번호와 관련되고,
각각의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리소스 요소들의 제2 서브셋이 기준 심볼들을 전달하고, 상기 제2 서브셋은 제1 구성 및 제2 구성을 포함하는 복수의 별개의 구성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1 구성 내의 상기 기준 심볼들은 상기 제1 아이덴티티 번호에 따라 변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상기 통신 리소스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통신 리소스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여 상기 수신된 통신 리소스 요소들에 존재하는 상기 기준 심볼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의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값을 상기 제2 구성 내의 상기 기준 심볼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으로부터 추론하는 단계
포함하는 방법.
참고 문헌
[1] ETSI TS 122 368 V10.530(2011-07)/3GPP TS 22.368 버전 10.5.0 릴리스 10)
[2] 영국 특허 출원 GB 1101970.0
[3] 영국 특허 출원 GB 1101981.7
[4] 영국 특허 출원 GB 1101966.8
[5] 영국 특허 출원 GB 1101983.3
[6] 영국 특허 출원 GB 1101853.8
[7] 영국 특허 출원 GB 1101982.5
[8] 영국 특허 출원 GB 1101980.9
[9] 영국 특허 출원 GB 1101972.6
[10] 영국 특허 출원 GB 1113801.3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과 관련된 통신 파라미터의 표시를 도출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각각이 단말기들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통신 리소스 요소들을 제공하고,
    상기 통신 리소스 요소들은 복수의 시분할된 무선 프레임들에 모이고,
    각각의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리소스 요소들의 제1 서브셋이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전달하고, 기지국을 위한 상기 동기 신호들은 제1 아이덴티티 번호와 관련되고,
    각각의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리소스 요소들의 제2 서브셋이 기준 심볼들을 포함하는 기준 신호들을 전달하고, 상기 제2 서브셋은 제1 구성 및 제2 구성을 포함하는 복수의 별개의 구성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1 구성 내의 상기 기준 심볼들은 상기 제1 아이덴티티 번호에 따라 변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가지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상기 통신 리소스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및
    상기 수신된 통신 리소스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갖고, 동작 시에,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통신 리소스 요소들에 존재하는 상기 기준 심볼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의 값들을 결정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제2 구성 내의 상기 기준 심볼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으로부터 추론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된 통신 파라미터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제공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정적 특성인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적 특성은 협대역 캐리어를 제공하는 상기 기지국의 능력이고, 상기 협대역 캐리어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상기 리소스 요소들의 제3 서브셋을 차지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의해 공급된 대역폭 미만의 대역폭을 갖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심볼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각각의 수신된 기준 심볼들이 속하는 기준 신호 구성이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제2 구성 내의 기준 심볼들의 존재로부터 추론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제2 구성과 상기 제1 구성 간의 차이로부터 추론되는 이동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은 상기 복수의 별개의 구성들 중 미리 결정된 것인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은 통신 파라미터들의 값들을 표시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예비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심볼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기준 신호 시퀀스이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결정된 상기 기준 심볼 속성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값은 상기 기준 신호 시퀀스에 대응하는 값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 값의 상기 추론은 상기 제2 구성에서의 상기 기준 신호 시퀀스에 의존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시퀀스는 상기 제1 아이덴티티 번호와 다른 제2 아이덴티티 번호에 따라 변화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상기 값은 상기 제2 구성에서 사용된 상기 제2 아이덴티티 번호의 값으로부터 추론되는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상기 값은 상기 제2 아이덴티티 번호와 상기 제1 구성에서 사용된 상기 제1 아이덴티티 번호 간의 차이로부터 추론되는 이동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에서의 상기 기준 신호 시퀀스는 상기 제2 아이덴티티 번호의 함수로서 발생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기준 신호 서브프레임 구성이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결정된 상기 기준 심볼 특성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값은 상기 기준 신호 서브프레임 구성에 대응하는 값이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상기 값이 추론되는, 상기 제2 구성에서의 상기 기준 심볼들의 상기 속성은 상기 제1 구성이 속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구성과 다른 서브 프레임 구성 내의 기준 심볼들의 존재인 이동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심볼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기준 신호 서브프레임 구성;
    기준 신호 구성; 및
    기준 신호 시퀀스 중 적어도 2개의 조합이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는 상기 제2 구성에서의 상기 기준 심볼들의 속성들의 상기 조합으로부터 추론되는 이동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덴티티 번호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제1 구성에서의 상기 기준 심볼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기준 신호 시퀀스이고, 상기 제1 구성은 상기 제1 아이덴티티 번호의 함수로서 발생된 제1 기준 신호 시퀀스로 기준 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성은 상기 제1 기준 신호 시퀀스와 구별되는 제2 기준 신호 시퀀스로 기준 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 시퀀스는 제2 아이덴티티 번호를 사용하여 발생되고, 상기 제2 아이덴티티 번호는 예비된 아이덴티티 번호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신호 시퀀스는 시드로서 상기 제1 아이덴티티 번호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 알고리즘에서 발생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 시퀀스는 시드로서 상기 제2 아이덴티티 번호를 사용하여, 상기 기준 신호 알고리즘에서 발생되는 이동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셋 내의 상기 기준 심볼들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들, CSI-RS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셋 내의 상기 기준 심볼들은 셀 특정 기준 신호들, CRS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각각의 수신된 기준 심볼들이 속하는 상기 셀 특정 기준 신호 구성이고, 상기 제2 구성은 제2 아이덴티티 번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별개의 구성들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제2 구성에서의 상기 기준 심볼들은 상기 제2 아이덴티티 번호를 사용하여 발생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상기 값은 상기 제2 구성에서의 상기 셀 특정 기준 신호들을 발생하는 데 사용된 상기 아이덴티티 번호는 상기 제1 아이덴티티 번호와 다르다는 것을 결정함으로써 추론되는 이동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덴티티 번호는 통신 파라미터들의 값들을 표시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예비된 미리 결정된 아이덴티티 번호인 이동 단말기.
  20. 단말기들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파라미터의 표시를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통신 리소스 요소들을 제공하고,
    상기 통신 리소스 요소들은 복수의 시분할된 무선 프레임들에 모이고,
    각각의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리소스 요소들의 제1 서브셋이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전달하고, 기지국을 위한 상기 동기 신호들은 제1 아이덴티티 번호와 관련되고,
    각각의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리소스 요소들의 제2 서브셋이 기준 심볼들을 전달하고, 상기 제2 서브셋은 제1 구성 및 제2 구성을 포함하는 복수의 별개의 구성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1 구성 내의 상기 기준 심볼들은 상기 제1 아이덴티티 번호에 따라 변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상기 통신 리소스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통신 리소스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여 상기 수신된 통신 리소스 요소들에 존재하는 상기 기준 심볼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의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값을 상기 제2 구성 내의 상기 기준 심볼들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으로부터 추론하는 단계
    포함하는 방법.
KR1020157016154A 2012-12-21 2013-11-26 기준 심볼들을 사용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표시의 도출 KR102118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223313.6A GB2509161B (en) 2012-12-21 2012-12-21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GB1223313.6 2012-12-21
PCT/GB2013/053125 WO2014096769A1 (en) 2012-12-21 2013-11-26 Deriving an indication of a communications parameter using reference symbo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672A true KR20150100672A (ko) 2015-09-02
KR102118765B1 KR102118765B1 (ko) 2020-06-03

Family

ID=47682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154A KR102118765B1 (ko) 2012-12-21 2013-11-26 기준 심볼들을 사용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표시의 도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00997B2 (ko)
EP (1) EP2936724B1 (ko)
JP (1) JP6309023B2 (ko)
KR (1) KR102118765B1 (ko)
CN (1) CN104871473B (ko)
GB (1) GB2509161B (ko)
WO (1) WO20140967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527A (ko) * 2012-12-21 2015-08-26 소니 주식회사 기준 심볼들을 사용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표시의 도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3075B2 (en) * 2014-01-10 2017-07-18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hannel for small cell discovery
CN106034345B (zh) * 2015-04-17 2021-02-09 索尼公司 终端侧、基站侧设备,终端设备,基站和无线通信方法
EP3340700A4 (en) * 2015-08-21 2019-04-17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180132118A (ko) * 2016-04-14 2018-12-1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정보 송신 방법 및 시스템, 및 디바이스
JP2019517208A (ja) 2016-05-13 2019-06-20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ダウンリンク制御情報の送信方法、ダウンリンク制御情報の検出方法、及びデバイス
US10498437B2 (en) * 2016-06-01 2019-12-03 Qualcomm Incorporated Conveying hypotheses through resource selection of synchronization and broadcast channels
US10887035B2 (en) 2016-06-01 2021-01-05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synchronization channels
US11218236B2 (en) 2016-06-01 2022-01-04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synchronization channels
US11563505B2 (en) 2016-06-01 2023-01-24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synchronization channels
US10218406B2 (en) * 2016-09-02 2019-02-26 Qualcomm Incorporated Narrowband communication for different device capabilities in unlicensed spectrum
CN108668355B (zh) * 2017-04-01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网络侧设备及终端
RU2746801C1 (ru) * 2017-08-10 2021-04-21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Улучшенный контроль канала управления
CN110446258B (zh) * 2018-05-04 2022-03-2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寻呼机会的位置确定方法及通信设备
CN110557239B (zh) * 2019-08-30 2022-05-27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小区特定参考信号crs序列的确定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32311A1 (en) * 2009-03-12 2010-09-16 Qualcomm Incorporated Concurrent transmission of ack/nack, cqi and cqi from user equipment
WO2012104629A2 (en) * 2011-02-04 2012-08-09 Wireless Technology Solutions Llc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US20120236773A1 (en) * 2007-08-07 2012-09-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ack/nack bits and their embedding in the cqi reference signal
WO2012149559A1 (en) * 2011-04-29 2012-11-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and related method of signali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382B1 (ko) 2003-11-15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JP4015651B2 (ja) 2004-08-27 2007-11-28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8035285A (ja) * 2006-07-28 2008-02-14 Kyocera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8571120B2 (en) * 2006-09-22 2013-10-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acknowledge/not acknowledge (ACK/NACK) bits and their embedding in the reference signal
CN101536353B (zh) 2006-11-13 2014-03-05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mimo系统中基于导频模式控制信令的方法和装置
US8913672B2 (en) * 2008-09-12 2014-12-16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ly identifying system waveform in uplink transmission
WO2010147445A2 (ko) * 2009-06-19 2010-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셀 탐색 방법 및 장치
US9252930B2 (en) * 2011-01-07 2016-02-02 Futurewei Technologies, Inc.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equipment
GB2487757B (en) 2011-02-03 2015-11-04 Nvidia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GB2487906B (en) 2011-02-04 2015-02-25 Wireless Tech Solutions Llc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GB2488513B (en) 2011-02-04 2015-06-24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n
GB2487909B8 (en) 2011-02-04 2015-01-21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GB2487907B (en) 2011-02-04 2015-08-26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GB2487782B (en) 2011-02-04 2015-05-20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GB2487780B (en) 2011-02-04 2015-01-14 Sca Ipla Holdings Inc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
GB2493703C (en) 2011-08-11 2020-03-04 Sca Ipla Holdings Inc OFDM subcarrier allocation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6773A1 (en) * 2007-08-07 2012-09-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ack/nack bits and their embedding in the cqi reference signal
US20100232311A1 (en) * 2009-03-12 2010-09-16 Qualcomm Incorporated Concurrent transmission of ack/nack, cqi and cqi from user equipment
WO2012104629A2 (en) * 2011-02-04 2012-08-09 Wireless Technology Solutions Llc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WO2012149559A1 (en) * 2011-04-29 2012-11-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and related method of signal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36.211 va.6.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527A (ko) * 2012-12-21 2015-08-26 소니 주식회사 기준 심볼들을 사용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표시의 도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08317A (ja) 2016-03-17
US9800997B2 (en) 2017-10-24
CN104871473A (zh) 2015-08-26
GB2509161B (en) 2018-09-26
EP2936724A1 (en) 2015-10-28
EP2936724B1 (en) 2018-08-08
GB201223313D0 (en) 2013-02-06
US20150289079A1 (en) 2015-10-08
WO2014096769A1 (en) 2014-06-26
GB2509161A (en) 2014-06-25
CN104871473B (zh) 2018-04-20
JP6309023B2 (ja) 2018-04-11
KR102118765B1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765B1 (ko) 기준 심볼들을 사용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표시의 도출
KR102201145B1 (ko) 기준 심볼들을 사용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표시의 도출
KR102616072B1 (ko) 협대역 통신들에 대한 공통 동기화 채널 설계
US10117238B2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network element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on a virtual carrier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s with a narrow band EPDCCH
EP2742640B1 (en) Allocating resources and transmitting data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comprising machine type communication applications
EP2671342B1 (en) Inserting virtual carrier in conventional ofdm host carrier in communications system
US10785774B2 (en)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US20160182197A1 (en) Inserting virtual carrier in conventional ofdm host carrier in communications system
EP2742639B1 (en) Allocating resources and transmitting data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comprising machine type communication applications
EP2891374B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on a virtual carrier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s with a narrow band epdcch
KR20150063052A (ko) Rf 단말기 능력의 통신
JP2016511957A (ja) マシンタイプコミュニケーションに対応したセル間干渉制御
KR20150063053A (ko) Mtc 타입 단말기들에 대한 전송 리소스들의 할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