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9365A - Antenna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ntenna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9365A
KR20150099365A KR1020140046805A KR20140046805A KR20150099365A KR 20150099365 A KR20150099365 A KR 20150099365A KR 1020140046805 A KR1020140046805 A KR 1020140046805A KR 20140046805 A KR20140046805 A KR 20140046805A KR 20150099365 A KR20150099365 A KR 20150099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terminal
shor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8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97171B1 (en
Inventor
박종호
정을영
노진원
백형일
김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ublication of KR20150099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3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1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04B5/72
    • H04B5/79

Abstract

Disclosed are an antenn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nd wireless charging, and a wireless charger having the same. The antenna device increases local area communications range, while maintaining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by stacking radiation patterns on both sides of a coil for wireless charging to have an overlapped area. The disclosed antenn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nd wireless charging comprises a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including multiple coils for wireless charging; a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s antenna module stacked on one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and overlapped with one of the coils for wireless charging; and a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s antenna module stacked on the other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and overlapped with another one of the coils for wireless charging.

Description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ANTENNA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ER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the antenna device. [0002]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기차, 버스 등에 설치되어 휴대 단말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휴대 단말을 무선 충전하는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To an antenna device for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the same.

기술의 발전과 함께 휴대폰, 피디에이(PDA), 피엠피(PMP), 내비게이션, 랩톱 등과 같은 휴대 단말들은 통화, 동영상/음악 재생, 길안내 등과 같은 기본 기능 이외에도 디엠비, 무선 인터넷, 기기 간의 근거리 통신, 무선 충전 등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고 있다. 그에 따라, 휴대 단말에는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를 구비한다.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such as phone, video / music playback, and navigation,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PMPs, navigation devices, Charging and other functions.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and a wireless charging antenna.

근거리 통신 및 무선 충전 등의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무선 충전과 근거리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차량, 노트북, 랩톱, 휴대용 충전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들은 휴대 단말과 같이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을 구비한다.As the popularity of portable terminals having functions such as local area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increases, vehicles, notebooks, laptops, and portable chargers that support wireless charging and local communication functions are being developed. Such devices include an antenna module includ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and a wireless charging antenna, such as a portable terminal.

종래의 안테나 모듈은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의 내부에 무선 충전용 안테나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의 안테나 모듈은 중앙부에서 널 포인트(NULL POINT)가 발생하여 근거리 통신 범위(즉, 인식 범위)가 감소하고, 무선 충전용 안테나와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간의 신호 간섭이 발생하여 통신 성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 conventional antenna module, a wireless charging antenna is disposed inside an antenna for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In the antenna module having such a structure, a NULL POINT is generated in the center part, the local communication range (i.e., recognition range) is reduced, and signal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and the LAN for short- .

종래의 안테나 모듈은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의 양측에 무선 충전용 안테나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안테나 모듈은 무선 충전용 안테나의 코일이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의 양측에 분산 배치되어 무선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antenna module, a wireless charging antenna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ntenna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he antenna module of such a structure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coils of the wireless recharging antenna are dispersed on both sides of the antenna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is lowered.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26323호(명칭: NFC 모듈, 특히 이동 전화기용 NFC 모듈)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126323 (name: NFC module, especially NFC module for mobile phone) 한국등록특허 제10-1098263호(명칭: 엔에프시 루프 안테나)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98263 (entitled "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무선 충전용 코일의 양측부에 무선통신용 방사 패턴들을 중첩영역을 갖도록 적층하여 무선 충전 효율을 유지하면서 근거리 통신 범위가 증가하도록 한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dio- And a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는 복수의 무선 충전용 코일들을 구비하는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에 적층되고, 복수의 무선 충전용 코일들 중 하나와 중첩되는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 및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에 적층되고, 복수의 무선 충전용 코일들 중 다른 하나와 중첩되는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tenn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coils; A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stacked on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and overlapping with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coils; And a second short 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stacked on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and overlapping with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coils.

이때,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은, 실딩 시트에 형성된 개구부의 외주를 따라 와이어가 복수 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무선 충전용 코일; 및 실딩 시트에 형성된 다른 개구부의 외주를 따라 와이어가 복수 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무선 충전용 코일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무선 충전용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무선 충전용 코일 및 제2무선 충전용 코일은 동일 방향으로 권선되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includes: a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formed in a loop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wound around an outer periphery of an opening formed in a shielding sheet; And a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formed in a loop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wound around an outer periphery of another opening formed in the shielding shee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Here,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may be formed by winding in the same direction.

한편,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은, 실딩 시트에 형성된 또 다른 개구부의 외주를 따라 와이어가 복수 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무선 충전용 코일 및 제2무선 충전용 코일과 중첩되어 형성되는 제3무선 충전용 코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rechargeable antenna module is formed in a loop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another opening formed in the shielding sheet, and the third wireless charging coil and the third wireless charging coil And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harging coil.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은 제1무선 충전용 코일의 일측과 중첩 적층되어 제1중첩 영역을 형성하고, 제1무선 충전용 코일은 제1중첩 영역에서 커플링 효과에 의해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할 수 있다.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is stacked on one side of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to form a first overlap region, and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is connected to the first short- Lt; RTI ID = 0.0 > radiator < / RTI >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은 제2무선 충전용 코일의 일측과 중첩 적층되어 제2중첩 영역을 형성하고, 제2무선 충전용 코일은 제2중첩 영역에서 커플링 효과에 의해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할 수 있다.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is stacked on one side of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to form a second overlapping area,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is stacked on the second short- Lt; RTI ID = 0.0 > radiator < / RTI >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은, 제1안테나 시트에 형성된 개구부의 외주를 따라 와이어가 복수 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방사 패턴; 제1방사 패턴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1단자; 및 제1방사 패턴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includes: a first radiation pattern formed in a loop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wound around an outer periphery of an opening formed in a first antenna sheet;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And a second terminal coupled to the output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은, 제2안테나 시트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의 외주를 따라 와이어가 복수 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방사 패턴; 제2방사 패턴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3단자; 및 제2방사 패턴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4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includes: a second radiation pattern formed in a loop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wound around an outer periphery of an opening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a second antenna sheet; A third terminal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And a fourth terminal coupled to the output of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이때, 제1단자는 제3단자와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제4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terminal.

또한, 제1단자가 제1안테나 시트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면 제3단자는 제2안테나 시트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고, 제1단자가 제1안테나 시트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면 제3단자는 제2안테나 시트의 일측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terminal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antenna sheet, the third terminal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second antenna sheet. If the first terminal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ntenna sheet, 2 antenna sheet.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는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 및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을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과 중첩영역을 갖도록 적층함으로써, 중앙부에 배치된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에서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중앙부에서 널 포인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are stacked so as to have the overlap region with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and the first shor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null point from being generated at the center by receiving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ignal from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또한,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는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 및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을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과 중첩영역을 갖도록 적층함으로써, 무선 충전 효율을 유지하면서 근거리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an stack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with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so as to have an overlap area,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ocal communication performance.

또한,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는 중앙부에서 널 포인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근거리 통신의 통신 범위(즉, 인식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tenna apparatus and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ha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ing apparatus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mmunication range (that is, the recognition range) of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by preventing null points from occurring in the central por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특성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에서 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과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의 중첩 정도에 따른 안테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n antenn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8 are diagrams for comparing and comparing antenna characteristic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and FIG.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ntenna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egree of overlap between a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a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n antenn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100; 이하, 안테나 장치)는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110),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 및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테나 장치(100)는 차량의 기어박스에 구비되어, 휴대 단말과 근거리 통신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한다. 이때, 안테나 장치(100)는 노트북, 랩톱, 휴대용 충전기 등에 단말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안테나 장치(100)는 무선 충전 처리 모듈(170) 및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19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1, a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ntenna device)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110, a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a second short- 150). The antenna device 100 is provided in the gear box of the vehicle, and performs near-fiel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At this time, the antenna device 1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erminal, for example, a notebook computer, a laptop computer, or a portable charger. Here, the antenna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harging processing module 170 and a local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190.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110)은 개구부의 외주를 따라 와이어가 복수 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무선 충전용 코일을 구비한다. 복수의 무선 충전용 코일은 무선 충전 처리 모듈(170)에 각각 병렬로 연결된다. 무선 충전용 코일은 무선 충전 처리 모듈(170)로부터 교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인접 배치된 휴대 단말의 무선 충전을 수행한다.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coils formed in a loop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woun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ning.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coil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wireless charging processing module 170, respectively. The wireless charging coil performs wireless charging of the adjacently arranged mobile terminals as AC current is appli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processing module 170. [

이를 위해,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110)은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 내지 제3무선 충전용 코일(116)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 및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실딩 시트의 상부에 적층되고, 제3무선 충전용 코일(116)은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 및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의 상부에 적층된다. 여기서, 제3무선 충전용 코일(116)은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 및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과 소정영역이 중첩되어 적층된다.For this purpose,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110 includes a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to a third wireless charging coil 116. Here,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are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ielding shee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third wireless charging coil 116 is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ielding sheet, (112)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Here, the third wireless charging coil 116 is stacked with a predetermined area overlapping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물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110)은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 및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을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 및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실딩 시트의 상부에 적층된다.Of course, as shown in FIG. 2,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110 may include a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and a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Here,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are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hielding sheet at predetermined intervals.

이때,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은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과의 커플링 효과에 의해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한다.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은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과의 커플링 효과에 의해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한다.At this time,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operates as an auxiliary radiator of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by a coupling effect with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operates as an auxiliary radiator of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by a coupling effect with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은 제1방사 패턴(132)을 구비한다. 이때, 제1방사 패턴(132)은 제1안테나 시트에 형성된 개구부의 외주를 따라 와이어가 복수 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방사 패턴(132)은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190)과 연결되는 제1단자(134) 및 제2단자(136)가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제1단자(134)는 제1방사 패턴(132)의 양단 중에서 전류가 인입되는 입력단에 형성되고, 제2단자(136)는 제1방사 패턴(132)의 양단 중에서 전류가 출력되는 출력단에 형성된다.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has a first radiation pattern 132. At this time,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2 is formed in a loop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wound around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first antenna sheet.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2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terminal 134 and the second terminal 136 connected to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190, respectively. The first terminal 134 is formed at an input end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2 and the second terminal 136 is connected to an output end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2, As shown in FIG.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은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110)의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의 일측(즉,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의 좌측) 상부에 적층된다. 이때,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은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110)의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과 소정영역 중첩되어 제1중첩 영역(220)을 형성하며 적층된다. 이때,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은 제1중첩 영역(220)에서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과의 커플링이 발생한다. 그에 따라,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이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한다.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is stacked on one side of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of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110 (i.e.,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At this time,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overlaps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of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110 to form a first overlap region 220 and is stacked. At this time,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occurs in the first overlapping area 220. Accordingly,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operates as an auxiliary radiator of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은 제2방사 패턴(152)을 구비한다. 이때, 제2방사 패턴(152)은 제2안테나 시트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의 외주를 따라 와이어가 복수 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방사 패턴(152)은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190)과 연결되는 제3단자(154) 및 제4단자(156)가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제3단자(154)는 제2방사 패턴(152)의 양단 중에서 전류가 인입되는 일단에 형성되고, 제4단자(156)는 제2방사 패턴(152)의 양단 중에서 전류가 출력되는 일단에 형성된다.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has a second radiation pattern 152. At this time,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152 is formed in a loop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ning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ntenna sheet.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152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third terminal 154 and the fourth terminal 156 connected to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190, respectively. Here, the third terminal 15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152, and the fourth terminal 156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152, As shown in FIG.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은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110)의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의 일측(즉,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의 우측) 상부에 적층된다. 이때,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은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110)의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과 소정영역 중첩되어 제2중첩 영역(240)을 형성하며 적층된다. 이때,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은 제2중첩 영역(240)에서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과의 커플링이 발생한다. 그에 따라,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이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한다.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is stacked on one side of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of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110 (i.e.,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At this time,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overlaps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of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110 in a predetermined area to form a second overlapping area 240. At this time, coupling of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with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occurs in the second overlapping area 240. Accordingly,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operates as an auxiliary radiator of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이때,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제1방사 패턴(132) 및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제2방사 패턴(152)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방사 패턴(132)이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권선되는 경우, 제2방사 패턴(152)도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권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2 of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152 of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That is, whe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2 is woun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152 is also woun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또한,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입력단인 제1단자(134) 및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입력단인 제3단자(154)는 서로 다른 위치(즉, 상단 및 하단, 또는 하단 및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단자(134)가 상단에 배치되면 제3단자(154)는 하단에 배치되고, 제1단자(134)가 하단에 배치되면 제3단자(154)는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terminal 134 as an input terminal of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the third terminal 154 as an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different positions Or lower and upper ends). That is, when the first terminal 134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the third terminal 154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and when the first terminal 134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the third terminal 154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

여기서,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 및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입력단인 제1단자(134) 및 제3단자(154)는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190)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 및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출력단인 제2단자(136) 및 제4단자(156)는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190)의 입력단과 연결된다. The first terminal 134 and the third terminal 154 which are the input terminals of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ar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hort- The second terminal 136 and the fourth terminal 156 which are the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ar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190.

이러한 구조에 의해, 안테나 장치(100)는 제1중첩 영역(220)에 배치된 제1방사 패턴(132)과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의 커플링 효과에 의해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이 제1방사 패턴(132)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하고, 제2중첩 영역(240)에 배치된 제2방사 패턴(152)과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의 커플링 효과에 의해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이 제2방사 패턴(152)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한다.With this structure, the antenna device 100 is able to transmit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2 and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which are arranged in the first overlapping area 220, The second radiating pattern 112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disposed in the second overlapping region 240 operate as the auxiliary radiating element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2,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operates as an auxiliary radiator of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152. [

그에 따라, 안테나 장치(100)는 중앙부에 배치된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 및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에서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안테나 장치(100)의 중앙부에서 널 포인트 발생을 방지하고 근거리 통신의 통신 범위(즉, 인식 범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The antenna device 100 receives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And the communication range (that is, the recognition range) of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is increased.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특성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to 8 are views for comparing and comparing antenna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장치(100)의 제1구조는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과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이 동일 방향으로 권선되어 배치된다.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제1방사 패턴(132)과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제2방사 패턴(152)은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입력단인 제1단자(134)는 하단에 배치되고,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입력단인 제3단자(154)는 상단에 배치된다. 이때,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입력단인 제1단자(134)는 제2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의 입력단인 제3단자(154)와 연결되고,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출력단인 제2단자(136)는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출력단인 제4단자(156)와 연결된다. 제1단자(134) 및 제3단자(154)는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190)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2단자(136) 및 제4단자(156)는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190)의 입력단과 연결된다.3, the first structure of the antenna device 100 is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are wound in the same directio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2 of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152 of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the third terminal 154, which is th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The first terminal 134 of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is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154 of the second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the second terminal 136, which is an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ourth terminal 156, which is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The first terminal 134 and the third terminal 154 ar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190 and the second terminal 136 and the fourth terminal 156 ar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190. [ Lt; / RTI >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장치(100)의 제2구조는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과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이 동일 방향으로 권선되어 배치된다.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제1방사 패턴(132)과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제2방사 패턴(152)은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입력단인 제1단자(134)는 상단에 배치되고,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입력단인 제3단자(154)는 하단에 배치된다. 이때,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입력단인 제1단자(134)는 제2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의 입력단인 제3단자(154)와 연결되고,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출력단인 제2단자(136)는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출력단인 제4단자(156)와 연결된다. 제1단자(134) 및 제3단자(154)는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190)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2단자(136) 및 제4단자(156)는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190)의 입력단과 연결된다.Next,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structure of the antenna device 100 is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are wound in the same directio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2 of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152 of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the third terminal 154, which is th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The first terminal 134 of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is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154 of the second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the second terminal 136, which is an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ourth terminal 156, which is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The first terminal 134 and the third terminal 154 ar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190 and the second terminal 136 and the fourth terminal 156 ar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190. [ Lt; / RTI >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장치(100)의 제3구조는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과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이 서로 다른 방향 방향으로 권선되어 배치된다. 즉,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권선되고,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은 시계 방향으로 권선되어 배치된다.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제1방사 패턴(132)과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제2방사 패턴(152)은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입력단인 제1단자(134)는 하단에 배치되고,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입력단인 제3단자(154)는 상단에 배치된다. 이때,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입력단인 제1단자(134)는 제2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의 입력단인 제3단자(154)와 연결되고,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출력단인 제2단자(136)는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출력단인 제4단자(156)와 연결된다. 제1단자(134) 및 제3단자(154)는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190)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2단자(136) 및 제4단자(156)는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190)의 입력단과 연결된다.5, the third structure of the antenna device 100 is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are wound in different directions . That is,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is woun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is wound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2 of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152 of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the third terminal 154, which is th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The first terminal 134 of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is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154 of the second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the second terminal 136, which is an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ourth terminal 156, which is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The first terminal 134 and the third terminal 154 ar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190 and the second terminal 136 and the fourth terminal 156 ar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190. [ Lt; / RTI >

마지막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장치(100)의 제4구조는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과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이 동일 방향으로 권선되어 배치된다. 제1근거리 통신 아테나 모듈의 제1방사 패턴(132)과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제2방사 패턴(15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입력단인 제1단자(134) 및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입력단인 제3단자(154)는 상단에 배치된다. 이때,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입력단인 제1단자(134)는 제2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의 입력단인 제3단자(154)와 연결되고,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출력단인 제2단자(136)는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출력단인 제4단자(156)와 연결된다. 제1단자(134) 및 제3단자(154)는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190)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2단자(136) 및 제4단자(156)는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190)의 입력단과 연결된다.Finally, as shown in FIG. 6, the fourth structure of the antenna device 100 is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are wound in the same directio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2 of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thena module and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152 of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2 of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The first terminal 134 as an input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154 as an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are disposed at the upper end. The first terminal 134 of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is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154 of the second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the second terminal 136, which is an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ourth terminal 156, which is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The first terminal 134 and the third terminal 154 ar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190 and the second terminal 136 and the fourth terminal 156 ar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190. [ Lt; / RTI >

도 7을 참조하여 안테나 장치(100)의 중앙부(즉, 제3무선 충전용 코일(116)의 중앙)에서 근거리 통신 성능을 비교하면,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 및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이 동일 방향으로 권선되고,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과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입력단의 위치가 상단 및 하단으로 각각 배치된 제1구조 및 제2구조의 안테나 장치(100)의 경우 중앙부에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구조 및 제2구조의 안테나 장치(100)는 휴대 단말의 P2P 모드시 중앙부에서 대략 13mm 정도의 인식 범위를 형성하고, EV1 Card의 리더 모드시 중앙부에서 대략 12mm 정도의 인식 범위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7, when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performance is compared at the center of the antenna device 100 (i.e., at the center of the third wireless charging coil 116),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The coils 114 are woun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positions of the input terminals of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are arrang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antenna apparatus 100, it can be confirmed that short-range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the central part. At this time, the antenna device 100 of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forms a recognition range of about 13 mm at the center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P2P mode, and forms a recognition range of about 12 mm at the center of the EV1 card in the reader mode .

이에 비해,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 및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권선된 제3구조의 경우 중앙부에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지만, 근거리 통신의 인식 범위가 제1구조 및 제2구조에 비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case of the third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are wound in different directions, short-range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the central portion,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한편,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 및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이 동일 방향으로 권선되고,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과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입력단이 상단에 배치되어 제1근거리 통신 아테나 모듈의 제1방사 패턴(132)과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50)의 제2방사 패턴(15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제4구조의 안테나 장치(100)의 경우, 중앙부에서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first RF charging coil 112 and the second RF charging coil 114 are woun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input ends of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and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are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2 of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Athena module and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152 of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0 are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antenna device 100 ), It can be confirmed that short-range communication is not performed in the central part.

도 8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100)는 제1무선 충전 코일 내지 제3무선 충전 코일을 구비하는 종래의 무선 충전 안테나와 동등한 무선 충전 효율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antenna device 100 maintains a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equivalent to that of a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antenna having a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to a third wireless charging coil.

이를 통해, 안테나 장치(100)는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110)의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 및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이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된 경우, 제1근거리 통신 모듈 및 제2근거리 통신 모듈의 입력단인 제1단자(134)와 제3단자(154)가 서로 다른 위치(즉, 상단 및 하단, 또는 하단 및 상단)에 배치됨으로써, 무선 충전 효율을 유지하면서 안테나 장치(100)의 중앙부에서의 널 포인트 발생을 방지하여 근거리 통신의 통신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When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of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110 are coiled in the same direction, the antenna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short- The first terminal 134 and the third terminal 154, which are the input terminals of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i.e., upper and lower ends, or lower and upper end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null point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station 100 and to increase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에서 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과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110)의 중첩 정도에 따른 안테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9 및 도 10에 기재된 중첩 정도는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 및 제2무선 충전용 코일(114)의 일측부 면적과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130)의 제1방사패턴(132)과 제1무선 충전용 코일(112)이 중첩되어 형성되는 제1중첩 영역(220)의 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ntenna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egree of overlap betwe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110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the degree of overlapping between the one side area of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4 and the area of one side of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0, Refers to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first overlap region 220 formed by overlapping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and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2.

도 9를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과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110)이 중첩되지 않으면 휴대 단말의 P2P 모드시 중앙부에서 인식이 되지 않고, EV1 Card의 리더 모드시 중앙부에서 대략 6 mm 정도의 인식 범위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9, if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110 do not overlap, the antenna device 100 can not recognize the cente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P2P mode, The recognition range of about 6 mm is formed.

안테나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과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110)의 중첩 정도가 0%에서 40% 까지 증가하면 휴대 단말의 P2P 모드 및 EV1 Card의 리더 모드시 중앙부에서 형성되는 인식 범위가 증가하고, 대략 50% 이상이 되면 휴대 단말의 P2P 모드 및 EV1 Card의 리더 모드시 중앙부에서 형성되는 인식 범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안테나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과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110)의 중첩 정도가 커질수록 중앙부에서의 근거리 통신 성능이 개선되지만, 충첩 정도가 50% 이상이 되면 근거리 통신 성능이 기대효과를 만족하지 못한다.When the degree of overlap between the local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110 increases from 0% to 40%, the antenna device 100 increases the recognition range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in the P2P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reader mode of the EV1 card And the recognition range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in the P2P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reader mode of the EV1 card decreases when it is about 50% or more. That is, as the degree of overlap betwe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110 increases, the antenna device 100 improve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performance at the central portion. However, .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과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110)의 중첩 정도가 대략 0% 내지 30% 정도에서 종래와 동등한 무선 충전 효율을 가지지만, 중첩 정도가 대략 30% 이상이 되면 무선 충전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antenna device 100 has a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equivalent to that of the prior art when the degree of overlap betwe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110 is approximately 0% to 30% Is about 30% or more, th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decreases.

이를 통해, 안테나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과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110)의 중첩 정도가 대략 10% 내지 20% 정도에서 형성되는 경우 무선 충전 효율을 유지하면서 근거리 통신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egree of overlap betwe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110 is about 10% to 20%, the antenna device 100 can improv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th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는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 및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을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과 중첩영역을 갖도록 적층함으로써, 중앙부에 배치된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에서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중앙부에서 널 포인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are disposed at the central portion by stacking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the second shor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null point from being generated at the center by receiving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ignal from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또한,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는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 및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을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과 중첩영역을 갖도록 적층함으로써, 무선 충전 효율을 유지하면서 근거리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an stack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with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so as to have an overlap area,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ocal communication performance.

또한,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는 중앙부에서 널 포인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근거리 통신의 통신 범위(즉, 인식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tenna apparatus and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ha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ing apparatus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mmunication range (that is, the recognition range) of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by preventing null points from occurring in the central portion.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100: 안테나 장치 110: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
112: 제1무선 충전용 코일 114: 제2무선 충전용 코일
116: 제3무선 충전용 코일 130: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
132: 제1방사 패턴 134: 제1단자
136: 제2단자 150: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
152: 제2방사 패턴 154: 제3단자
156: 제4단자 170: 무선 충전 처리 모듈
190: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 220: 제1중첩 영역
240: 제2중첩 영역
100: Antenna device 110: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112: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114: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116: third wireless charging coil 130: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32: first radiation pattern 134: first terminal
136: second terminal 150: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152: second radiation pattern 154: third terminal
156: fourth terminal 170: wireless charging processing module
190: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220: first overlap region
240: second overlap region

Claims (11)

복수의 무선 충전용 코일들을 구비하는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
상기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에 적층되고, 상기 복수의 무선 충전용 코일들 중 하나와 중첩되는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 및
상기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에 적층되고, 상기 복수의 무선 충전용 코일들 중 다른 하나와 중첩되는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A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coils;
A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stacked on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and overlapping with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coils; And
And a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stacked on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and overlapped with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coi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은,
실딩 시트에 형성된 개구부의 외주를 따라 와이어가 복수 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무선 충전용 코일; 및
상기 실딩 시트에 형성된 다른 개구부의 외주를 따라 와이어가 복수 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무선 충전용 코일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무선 충전용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includes:
A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formed in a loop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wound along an outer periphery of an opening formed in a shielding sheet; And
And a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formed in a loop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another opening formed in the shielding shee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An antenna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 충전용 코일 및 상기 제2무선 충전용 코일은 동일 방향으로 권선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are formed by being wound in the same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은,
실딩 시트에 형성된 또 다른 개구부의 외주를 따라 와이어가 복수 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무선 충전용 코일 및 상기 제2무선 충전용 코일과 중첩되어 형성되는 제3무선 충전용 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module includes:
A third wireless charging coil which is formed by overlapping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is formed in a loop shape formed by winding a wire a plurality of times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another opening formed in the shielding sheet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1무선 충전용 코일의 일측과 중첩 적층되어 제1중첩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무선 충전용 코일은 상기 제1중첩 영역에서 커플링 효과에 의해 상기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is stacked on one side of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to form a first overlap region,
Wherein the first wireless charging coil operates as an auxiliary radiator of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by a coupling effect in the first overlap reg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2무선 충전용 코일의 일측과 중첩 적층되어 제2중첩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2무선 충전용 코일은 상기 제2중첩 영역에서 커플링 효과에 의해 상기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is stacked on one side of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to form a second overlap region,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coil operates as an auxiliary radiator of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by a coupling effect in the second overlapping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은,
제1안테나 시트에 형성된 개구부의 외주를 따라 와이어가 복수 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방사 패턴;
상기 제1방사 패턴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1단자; 및
상기 제1방사 패턴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includes:
A first radiation pattern formed in a loop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wound along an outer periphery of an opening formed in a first antenna sheet;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And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은,
제2안테나 시트에 형성된 개구부의 외주를 따라 와이어가 복수 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방사 패턴;
상기 제2방사 패턴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3단자; 및
상기 제2방사 패턴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4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comprises:
A second radiation pattern formed in a loop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wound along an outer periphery of an opening formed in a second antenna sheet;
A third terminal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And
And a fourth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제3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4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ourth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가 상기 제1안테나 시트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면 상기 제3단자는 상기 제2안테나 시트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단자가 상기 제1안테나 시트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면 상기 제3단자는 상기 제2안테나 시트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first terminal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antenna sheet, the third terminal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antenna sheet. When the first terminal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antenna sheet, And the third terminal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second antenna sheet.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및 무선 충전용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A wireless charging device compri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KR1020140046805A 2014-02-21 2014-04-18 Antenna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er having the same KR10159717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746 2014-02-21
KR20140020746 2014-02-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001A Division KR101597168B1 (en) 2014-02-21 2015-05-29 Antenna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e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365A true KR20150099365A (en) 2015-08-31
KR101597171B1 KR101597171B1 (en) 2016-02-24

Family

ID=540605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805A KR101597171B1 (en) 2014-02-21 2014-04-18 Antenna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er having the same
KR1020150076001A KR101597168B1 (en) 2014-02-21 2015-05-29 Antenna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er hav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001A KR101597168B1 (en) 2014-02-21 2015-05-29 Antenna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59717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780A (en) * 2017-12-21 2019-07-01 한국과학기술원 Foldable coil apparatus with high efficiency and low electromagnetic field mode
CN112009276A (en) * 2019-05-28 2020-12-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721B1 (en) 2015-10-23 2018-02-09 주식회사 아모텍 Antenna module for car
US10332663B2 (en) 2016-02-05 2019-06-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module and wireless power receiver using the same
KR20180115932A (en) * 2017-04-14 2018-10-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ing a plurality of wireless power antennas disposed in superposition
KR20190017483A (en) * 2017-08-11 2019-02-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Wireless charger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coil
CN111314890B (en) * 2018-12-12 2022-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Vehicle-mounted terminal
KR102129590B1 (en) * 2019-06-13 2020-07-02 신혜중 Hybrid type wireless charging and receiving antenna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340619B1 (en) * 2020-04-20 2021-12-20 신혜중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a device for burying wires in parallel
CN112671112A (en) * 2021-01-13 2021-04-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device
KR20230172097A (en) * 2022-06-15 2023-12-22 주식회사 아모텍 Booster antenna sheet for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323A (en) 2007-04-04 2009-12-08 자첵 코발스키 Nfc module, particularly for mobile telephone
KR20110035196A (en) * 2009-09-30 2011-04-06 한국전기연구원 Spiral antenna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ing spiral antenna
KR101098263B1 (en) 2011-08-04 2011-12-23 에이큐 주식회사 Nfc loop antenna
KR20140011955A (en) * 2012-07-18 2014-01-29 주식회사 아모텍 Antenna module for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antenna
KR20140021693A (en) * 2014-02-03 2014-02-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Dual-mode antenn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323A (en) 2007-04-04 2009-12-08 자첵 코발스키 Nfc module, particularly for mobile telephone
KR20110035196A (en) * 2009-09-30 2011-04-06 한국전기연구원 Spiral antenna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ing spiral antenna
KR101098263B1 (en) 2011-08-04 2011-12-23 에이큐 주식회사 Nfc loop antenna
KR20140011955A (en) * 2012-07-18 2014-01-29 주식회사 아모텍 Antenna module for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antenna
KR20140021693A (en) * 2014-02-03 2014-02-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Dual-mode antenn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780A (en) * 2017-12-21 2019-07-01 한국과학기술원 Foldable coil apparatus with high efficiency and low electromagnetic field mode
CN112009276A (en) * 2019-05-28 2020-12-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171B1 (en) 2016-02-24
KR101597168B1 (en) 2016-02-24
KR20150099478A (en) 201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168B1 (en) Antenna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er having the same
US10461426B2 (en) Wirel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terminal to which same is applied
KR102194806B1 (en) Wirel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KR101559527B1 (en) Nfc antenn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the same
KR101843897B1 (en)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JP7436186B2 (en) Vehicle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140102617A (en)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40102618A (en)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08172B1 (en) Circuit Board for NFC Antenna with Wireless Charging
KR102452017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KR20200026140A (en) Combo antenna module
KR101977046B1 (en) Antenna module
KR101582657B1 (en) Nfc antenn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the same
KR10154252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922530B1 (en)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KR102119533B1 (en) Rear cover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antenna
KR20140025143A (en) Nfc antenna module
CN109643842B (en) Antenna module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972053B1 (en)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JP5003835B1 (en) Non-contact charging module and non-contact charg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2006371B1 (en)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US20220277886A1 (en) Coil module
KR20140121549A (en) Circuit board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harge coil
JP2018121036A (en)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994744B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