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533B1 - Rear cover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antenna - Google Patents

Rear cover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antenn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533B1
KR102119533B1 KR1020130119263A KR20130119263A KR102119533B1 KR 102119533 B1 KR102119533 B1 KR 102119533B1 KR 1020130119263 A KR1020130119263 A KR 1020130119263A KR 20130119263 A KR20130119263 A KR 20130119263A KR 102119533 B1 KR102119533 B1 KR 102119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rear cover
antenna
short
rang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2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40574A (en
Inventor
백형일
노진원
임기상
이도형
이치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KR1020130119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533B1/en
Priority to CN201480055231.0A priority patent/CN105637704B/en
Priority to PCT/KR2014/009438 priority patent/WO2015053535A1/en
Priority to US15/027,413 priority patent/US10205489B2/en
Publication of KR2015004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5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5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금속 재질로 형성된 휴대 단말의 후면 커버에 슬릿을 형성하여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패턴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하도록 한 후면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이 제시된다. 제시된 후면 커버는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와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릿과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의 커플링에 의해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한다.A rear cover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which are formed with slits on a rear cover of a portable terminal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operate as an auxiliary radiator of an antenna pattern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The proposed rear cover operates as an auxiliary radiator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by coupling one or more slits formed in an area overlapping wi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Description

후면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REAR COVER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ANTENNA}Rear cover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REAR COVER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ANTENNA}

본 발명은 후면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에 내장되어 근거리 통신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용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 단말의 후면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cover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r cover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built-in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provid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기술의 발전과 함께 휴대폰, 피디에이(PDA), 피엠피(PMP), 내비게이션, 랩톱 등과 같은 휴대 단말들은 통화, 동영상/음악 재생, 길안내 등과 같은 기본 기능 이외에도 디엠비, 무선 인터넷, 기기 간의 근거리 통신 등의 기능이 추가로 제공하고 있다. 그에 따라, 휴대 단말에는 무선 인터넷, 블루투스 등과 같이 무선통신을 위한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다.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PDAs), PMPs, navigations, laptops, etc., in addition to basic functions such as calls, video/music playback, directions, etc. Additional functionality is provided.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ntenna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reless Internet, Bluetooth, and the like.

이외에도, 최근에는 근거리 통신(즉, NFC)을 이용하여 단말 간의 정보 교환, 결제, 티켓 예매, 검색 등의 기능을 휴대 단말에 적용하는 추세에 있다. 이를 위해, 휴대 단말에는 근거리 통신 방식에 사용되는 휴대 단말용 안테나 모듈(즉, NFC 안테나 모듈)이 장착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NFC 안테나 모듈은 전자태그(RFID)의 하나로 대략 13.56㎐ 정도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한다. NFC는 결제뿐만 아니라 슈퍼마켓이나 일반 상점에서 물품 정보나 방문객을 위한 여행 정보 전송, 교통, 출입통제 잠금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In addition, recently, there is a trend to apply functions such as information exchange, payment, ticket reservation, and search between terminals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that is, NFC) to the mobile terminal. To this end, the portab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n antenna module (ie, NFC antenna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used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At this time, the NFC antenna module used is a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uses a frequency band of approximately 13.56 GHz as one of the electronic tags (RFID), and transmits data between terminals at a distance of 10 cm. NFC is widely used not only for payment, but also for the transmission of goods information or travel information for visitors, transportation, and access control locks in supermarkets and general stores.

NFC 안테나 모듈은 평면형태로 형성되어 배터리팩, 후면 커버(Back cover; 또는 리어 커버(rear cover)) 등에 실장된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NFC 안테나 모듈은 휴대 단말(10)의 배터리(22) 상부에 적층되는 실딩 시트(24; Shielding Sheet, 예를 들면, 페라이트 시트 등의 메탈 플레이트)와, 실딩 시트(24)의 상부에 적층되는 방사체 패턴(26)으로 구성되어, 휴대 단말(10)의 배터리 팩(20) 내부에 실장된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 안테나 모듈은 방사체 패턴(26)의 내부방향으로 방사체 패턴(26)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방사 패치(2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he NFC antenna module is formed in a flat shape and mounted on a battery pack, a back cover, or a rear cover.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1, conventionally, the NFC antenna module is a shielding sheet 24 (metal plate such as a shielding sheet, for example, a ferrite sheet) stacked on the battery 22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it is composed of a radiator pattern 26 stacked on top of the shielding sheet 24, it is mounted inside the battery pack 20 of the mobile terminal 10. Of cours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NFC antenn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radiation patch 28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radiator pattern 26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radiator pattern 26.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의 후면 커버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형성기 때문에, 배터리팩, 후면 커버 등에 실장되는 NFC 안테나의 통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In general, the back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is formed of a polycarbonate material, so it does not affect the communication of the NFC antenna mounted on the battery pack, the back cover, and the like.

하지만, 최근 소비자에 의해 선호되는 트랜드(일례로, 그립감, 외간 등의 디자인 트랜드)로 인해 금속(metal) 재질의 후면 커버의 제작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 경우, 금속 재질에 의해 안테나 신호가 차폐되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recent years, due to a trend favored by consumers (for example, design trends such as grip and outer space), there is a tendency to increase the demand for manufacturing a metal back cover. In this case, the antenna signal is shielded by the metal material,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short-range communication cannot be performed.

선행문헌1: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5117호(명칭: 이동 단말기)Prior Literature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85117 (nam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된 휴대 단말의 후면 커버에 슬릿을 형성하여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패턴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하도록 한 후면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by forming a slit in the rear cover of a mobile terminal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operate as an auxiliary radiator of the antenna pattern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It is aimed at provid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는, 휴대 단말의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와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a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r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t least one slit formed in an area overlapping with an antenna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후면 커버는 제1외측에서 내측 중앙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슬릿; 일측이 제1슬릿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내측 중앙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슬릿; 제2외측에서 내측 중앙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슬릿; 및 일측이 제2슬릿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내측 중앙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4슬릿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rear cover includes a first slit formed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outer side to an inner central line; A second sli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lit and the other end formed in an inner center line direction; A third slit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center line from the second outer side;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lit, the other end may include a fourth slit formed in the inner center line direction.

이때, 제2슬릿의 타단 및 제4슬릿의 타단은 이격되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lit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slit are formed spaced apart.

후면 커버는 제3외측에서 제4외측으로 형성되는 제5슬릿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rear cover may further include a fifth slit formed from the third outer side to the fourth outer side.

후면 커버는 하나 이상의 슬릿과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의 커플링에 의해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한다.The rear cover operates as an auxiliary radiator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by coupling one or more slits wit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은, 휴대 단말 본체; 휴대 단말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팩; 휴대 단말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는 상술한 후면 커버; 및 휴대 단말 본체, 배터리팩 및 후면 커버 중에 어느 하나에 조립되는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ortab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body; A battery pack mounted inside the mobile terminal body; The above-described rear cover mounted on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body;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assembled to any one of the mobile terminal body, battery pack and the back cover.

본 발명에 의하면, 후면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휴대 단말의 후면 커버에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금속 재질의 후면 커버가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패턴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하여 안테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cover and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re formed with slits on the rear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formed of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metal back cover operates as an auxiliary radiator of the antenna pattern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to improve antenna characteristics. It has the effect.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용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ntenna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structures or function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용 안테나 모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용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n antenna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3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ntenna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은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00), 후면 커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100 and a rear cover 200.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00)는 휴대 단말의 기구물(예를 들면, 배터리팩(미도시) 또는 후면 커버(200))에 실장된다.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00)는 베이스 시트(120) 및 안테나 패턴(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100 is mounted on a device (eg, a battery pack (not shown) or a back cover 200)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100 includes a base sheet 120 and an antenna pattern 140.

베이스 시트(120)는 휴대 단말의 기구물에 설치된다. 즉, 베이스 시트(120)는 상면에 안테나 패턴(140; 예를 들면, NFC 안테나 패턴)이 적층되고, 하면이 휴대 단말의 기구물에 결합된다. 베이스 시트(120)는 안테나 패턴(140)과 휴대 단말의 기구물들 간의 차폐를 수행하는 실딩 시트(Shielding Sheet)로 동작한다. 베이스 시트(120)는 페라이트 시트, 폴리머 시트, 나노 리본 시트, 철 계열 시트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The base sheet 120 is installed on the appli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base sheet 120 is an antenna pattern 140 (eg, an NFC antenna pattern) is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s coupled to the appli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base sheet 120 operates as a shielding sheet that performs shielding between the antenna pattern 140 and the devices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base sheet 120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ferrite sheet, a polymer sheet, a nano ribbon sheet, and an iron-based sheet.

안테나 패턴(140)은 연성회로기판의 상면에 미세 라인이 루프 형상으로 인쇄되어 구성된다. 물론, 안테나 패턴(140)은 베이스 시트(120)의 외주부를 따라 베이스 시트(120) 상면의 중심 방향으로 와이어가 복수 회 감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antenna pattern 140 is formed by printing fine lines in a loop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Of course, the antenna pattern 140 may be formed in a loop shape in which the wire is wound a plurality of times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heet 120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se sheet 120.

후면 커버(20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형성된다. 이때, 후면 커버(200)는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00)의 안테나 패턴(140) 중에서 가장 강한 자기장이 형성되는 부분이 실장되는 영역에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형성된다.The rear cover 20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and one or more slits are formed. At this time, one or more slits are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strongest magnetic field is mounted among the antenna patterns 140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100.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200)는 제1슬릿(210), 제2슬릿(220) 제3슬릿(230), 제4슬릿(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슬릿(210)은 후면 커버(200)의 제1외측(즉, 좌측)에서 내측 중앙선 방향(도 3의 가상선 A~A`)으로 형성된다. 제2슬릿(220)은 일측이 제1슬릿(210)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내측 중앙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2슬릿(220)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슬릿(230)은 후면 커버(200)의 제2외측(즉, 우측)에서 내측 중앙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4슬릿(240)은 일측이 제2슬릿(220)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내측 중앙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4슬릿(240)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슬릿(220) 및 제4슬릿(240)은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00)의 형성에 따라 "

Figure 112019111141261-pat00001
"형상, "
Figure 112019111141261-pat00002
"형상, "
Figure 112019111141261-pat00003
"형상, "
Figure 112019111141261-pat00004
"형상, "
Figure 112019111141261-pat00005
"형상, "
Figure 112019111141261-pat00006
" 형상, "ㄱ" 형상, "ㄴ"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200)는 후면 커버(200)의 제3외측(즉, 상측)에서 제4외측(즉, 하측)으로 직선형태의 제5슬릿(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rear cover 200 includes a first slit 210, a second slit 220, a third slit 230, and a fourth slit 240. The first slit 210 is formed from the first outer side (ie, the left side) of the rear cover 200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center line (imaginary lines A to A` in FIG. 3 ). One side of the second slit 22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lit 210, and the other end is formed in an inner center line direction. At this time, the second slit 220 is formed in a "⊂" shape. The third slit 230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center line from the second outer side (ie, the right side) of the rear cover 200. One side of the fourth slit 24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lit 220, and the other end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center line. At this time, the fourth slit 240 is formed in a "⊃" shape. Here, as shown in FIGS. 5 to 9, the second slits 220 and the fourth slits 240 are formed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the antenna 100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igure 112019111141261-pat00001
"shape, "
Figure 112019111141261-pat00002
"shape, "
Figure 112019111141261-pat00003
"shape, "
Figure 112019111141261-pat00004
"shape, "
Figure 112019111141261-pat00005
"shape, "
Figure 112019111141261-pat00006
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hape," a, "b" shape, etc. Of course, as shown in Figure 10, the rear cover 200 is the third outer side of the rear cover 200 (i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ifth slit (250) in a straight line from the upper side (ie, the lower side) to the fourth side.

후면 커버(200)는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00)와 슬릿이 중첩되는 영역에서 커플링(Coupling)이 발생하여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00)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한다. 일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200)에 형성된 슬릿과 중첩되어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00)가 실장되면,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00)의 안테나 패턴(140)과 슬릿이 중첩되는 영역에서 커플링(Coupling)이 발생한다. 그에 따라, 금속 재질의 후면 커버(200)는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00)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한다.The rear cover 200 operates as an auxiliary radiator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100 because coupling occurs in a region wher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100 and the slit overlap.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11, when the antenna 100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is mounted by overlapping the slit formed in the rear cover 200, the antenna pattern 140 and the slit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100 overlap. In the coupling (Coupling) occurs. Accordingly, the metal back cover 200 operates as an auxiliary radiator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100.

상술한 바와 같이, 후면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휴대 단말의 후면 커버에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금속 재질의 후면 커버가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패턴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하여 안테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ar cover and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form a slit in the rear cover of the portable terminal formed of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metallic back cover operates as an auxiliary radiator of the antenna pattern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to improve antenna characteristics. It has the effect.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ut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it can be practiced.

100: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120: 베이스 시트
140: 안테나 패턴 200: 후면 커버
210: 제1슬릿 220: 제2슬릿
230: 제3슬릿 240: 제4슬릿
250: 제5슬릿
100: antenna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120: base sheet
140: antenna pattern 200: rear cover
210: first slit 220: second slit
230: third slit 240: fourth slit
250: fifth slit

Claims (6)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후면 커버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와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하되,
제1외측에서 내측 중앙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슬릿;
일측이 상기 제1슬릿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내측 중앙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슬릿;
제2외측에서 상기 내측 중앙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슬릿; 및
일측이 상기 제2슬릿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내측 중앙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4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커버.
In the back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It includes at least one slit formed in an area overlapp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A first slit formed in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outer side to the inner center line;
A second sli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lit and the other end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center line;
A third slit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center line from the second outer side; And
A rear cover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lit,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fourth slit formed in the inner center line dire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릿의 타단 및 상기 제4슬릿의 타단을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커버.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lit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slit are formed apart.
제1항에 있어서,
제3외측에서 제4외측으로 형성되는 제5슬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커버.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fth slit formed from the third outer side to the fourth oute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릿과 상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의 커플링에 의해 상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의 보조 방사체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커버.
According to claim 1,
A rear c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as an auxiliary radiator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by coupling the one or more slits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휴대 단말 본체;
상기 휴대 단말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팩;
상기 휴대 단말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는 후면 커버; 및
상기 휴대 단말 본체, 배터리팩 및 후면 커버 중에 어느 하나에 조립되는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커버는,
제1외측에서 내측 중앙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슬릿;
일측이 상기 제1슬릿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내측 중앙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슬릿;
제2외측에서 상기 내측 중앙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슬릿; 및
일측이 상기 제2슬릿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내측 중앙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4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A mobile terminal body;
A battery pack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A rear cover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body; And
It includes an antenna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that is assembled to any one of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battery pack and the back cover,
The rear cover,
A first slit formed in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outer side to the inner center line;
A second sli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lit and the other end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center line;
A third slit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center line from the second outer side;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lit, and the other end including a fourth slit formed in the inner center line direction.
KR1020130119263A 2013-10-07 2013-10-07 Rear cover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antenna KR1021195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263A KR102119533B1 (en) 2013-10-07 2013-10-07 Rear cover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antenna
CN201480055231.0A CN105637704B (en) 2013-10-07 2014-10-07 Rear cover and have a rear cover can carried terminal
PCT/KR2014/009438 WO2015053535A1 (en) 2013-10-07 2014-10-07 Rear cover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US15/027,413 US10205489B2 (en) 2013-10-07 2014-10-07 Rear cover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263A KR102119533B1 (en) 2013-10-07 2013-10-07 Rear cover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antenn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574A KR20150040574A (en) 2015-04-15
KR102119533B1 true KR102119533B1 (en) 2020-06-08

Family

ID=5303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263A KR102119533B1 (en) 2013-10-07 2013-10-07 Rear cover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antenn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5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843B1 (en) * 2015-09-13 2017-04-07 주식회사 아이엠텍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KR20170032498A (en) * 2015-09-13 2017-03-23 주식회사 아이엠텍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KR102561104B1 (en) * 2016-11-24 202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Including Conductive Housing
KR102121795B1 (en) * 2018-05-04 2020-06-11 주식회사 아모텍 Antenna module
KR20230172098A (en) * 2022-06-15 2023-12-22 주식회사 아모텍 Booster antenna for portable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044B1 (en) * 2012-02-07 2013-08-07 주식회사 아모텍 Antenna module for portab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5117A (en) 2012-01-19 2013-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044B1 (en) * 2012-02-07 2013-08-07 주식회사 아모텍 Antenna module for por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574A (en)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5489B2 (en) Rear cover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KR101619322B1 (en) Nfc antenna module using metal case
KR101559527B1 (en) Nfc antenn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the same
KR101658011B1 (en) Multi layer antenna module
KR102119533B1 (en) Rear cover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antenna
KR101715901B1 (en) Antenna module
US2016002051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Same
KR20140102617A (en)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917350B2 (en) Multi loop antenna module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91044B1 (en) Antenna module for portable device
KR101977046B1 (en) Antenna module
KR101392142B1 (en) NFC antenna module
KR101582657B1 (en) Nfc antenn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the same
KR20180047823A (en) Antenna module
US2016007965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Same
CN110178264A (en) Anneta module
KR102121795B1 (en) Antenna module
KR101875446B1 (en) Rear cover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71872B1 (en) Antenna module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KR20150043206A (en) Rear cover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WO2016152662A1 (en) Antenna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2529467B1 (en) Antenna module
KR20170083474A (en) Multi layer antenn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