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897B1 -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3897B1 KR101843897B1 KR1020170152389A KR20170152389A KR101843897B1 KR 101843897 B1 KR101843897 B1 KR 101843897B1 KR 1020170152389 A KR1020170152389 A KR 1020170152389A KR 20170152389 A KR20170152389 A KR 20170152389A KR 101843897 B1 KR101843897 B1 KR 1018438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wireless communication
- wireless
- antenna
- communication coi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46 magnetic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Abstract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루프 패턴을 각각 갖는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를 포함하는 NFC 안테나, 및 상기 NFC 안테나와 연결되어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의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루프 패턴을 갖는 유도 코일부와, 상기 유도 코일부의 내측 테두리를 이루는 코일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충전 안테나로 이루어진다.
이에, 본 실시예는 무선 충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NFC 인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 wireless antenna capable of simultaneously supporting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a wireless terminal us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n NFC antenna including a first coil portion and a second coil portion each having at least one first loop pattern, and an NFC antenna connected to the NFC antenna and formed at least between the first coil portion and the second coil portion And a charging antenna including an induction coil part having one second loop pattern and a coil rim constituting an inner rim of the induction coil part.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NFC recognition efficiency while wirelessly charging.
Description
본 개시는 무선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스마트폰은 이동 통신 및 정보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화상 통화 뿐만 아니라, 컨텐츠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전술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ies, smart phones provide various wireless Internet services such as video services as well as content services. These smart phones are apply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echnology to provide the aforementioned services.
NFC 기술은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서,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 있는 단말기들 사이에서 쌍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NFC technology is a non-contac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frequency band of 13.56 MHz, which means a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data bidirectionally between terminals within a distance of 10 cm.
더 나아가, 최근의 스마트폰은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NFC 기능을 가진 루프 안테나에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진 루프 안테나를 동시에 제공하는 형태로 무선 안테나의 설계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Further, in recent smart phones, a loop antenna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is simultaneously provided to a loop antenna having the NFC function in order to enhance the user's convenience.
무선 충전은 스마트폰을 충전기에 직접 올려놓거나, 충전기의 근처에 두기만 하여도 충전이되는 비접속식 충전을 의미한다. 무선 충전을 위한 방식으로는 자기유도 방식, 자기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을 들 수 있는데, 이중에서 자기유도 방식이 최근 각광받고 있다.Wireless charging refers to non-connection charging, which can be done by simply placing the smartphone directly on the charger or by placing it near the charger. The wireless charging methods include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 magnetic resonance method, and an electromagnetic wave method.
그러나, 종래에는 매우 작은 스마트폰에 자기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루프 안테나 및 NFC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루프 안테나를 동시에 제공해야 되기 때문에, 두 루프 안테나간 간섭 영향에 의한 충전 효율이 저하되거나 NFC 인식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However, in the past, a very small smart phone has to be provided with a loop antenna that supports a magnetic induction type wireless charging and a loop antenna that supports an NFC communication function at the same time. Therefore, charging efficiency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wo loop antennas is reduced, The recognition efficiency is lowered.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루프 안테나의 내측에 NFC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루프 안테나를 더 추가하는 형태로 설계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wireless antenna designed to additionally include a loop antenna supporting an NFC communication function inside a loop antenna supporting wireless charging, and a wireless terminal using the same. .
또한, 본 개시는 NFC 통신 기능의 추가된 루프 안테나와 무선 충전을 위한 루프 안테나간 이격 거리를 최적하여 설계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antenna designed to optimize a distance between an added loop antenna for NFC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loop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a wireless terminal using the sam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1 루프 패턴을 각각 갖는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를 포함하는 NFC 안테나, 및 상기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의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루프 패턴을 갖는 유도 코일부와, 상기 유도 코일부의 내측 테두리를 이루는 코일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충전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안테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provided an NFC antenna including a first coil portion and a second coil portion each having at least one first loop pattern, and at least an NFC antenna formed between the first coil portion and the second coil por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antenna including a charging antenna including an induction coil part having one second loop pattern and a coil rim constituting an inner rim of the induction coil part.
상기 NFC 안테나는 상기 제1 코일부의 내면 일측과 상기 제2 코일부의 외면 일측 사이에 연결되는 코일접속부를 더 포함한다.The NFC antenna further includes a coil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betwee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il portion and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il portion.
상기 제2 코일부는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및 PMA(Power Matters Alliance)의 표준에서 정의된 R(저항) 스펙치 또는 Q(Quilty Factor) 스펙치를 만족하는 범위안에서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second coil units may be determine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a R (resistance) or Q (quilty factor) specification defined in a standard of WPC (Wireless Power Consortium) and PMA (Power Matrix Alliance).
상기 제2 코일부의 개수는 하나의 내부 턴(inner turn)을 가질 수 있다.The number of the second coil sections may have one inner turn.
상기 제2 코일부와 상기 코일 테두리부의 사이는 상기 R(저항) 스펙치 또는 Q(Quilty Factor) 스펙치를 만족하는 범위안에서 간격이 결정될 수 있다.The gap between the second coil portion and the coil rim portion may be determined within a range satisfying the R (resistance) or Q (quilty factor) specification.
상기 저항 스펙치는 4 내지 6(Ω)을 가지며, 상기 Q 스펙치는 23 내지 27을 가질 수 있다.The resistance specification may have 4 to 6 (?), And the Q-spec may have 23 to 27.
상기 제2 코일부와 상기 코일 테두리부의 간격은 40 내지 70 ㎛ 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oil part and the coil rim may have a length of 40 to 70 mu m.
상기 NFC 안테나는 상기 제1 코일부의 내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코일부의 제1 종단 단자를 이룰 수 있다.The NFC antenna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il section to form a first end terminal of the first coil section.
상기 제2 코일부는 상기 제1 루프 패턴의 종단에 형성된 제2 종단 단자가 상기 종단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il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econd terminal terminal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loop pattern is electrically contacted with the terminal terminal portion.
상기 제1 루프 패턴과 제2 루프 패턴은 나선형 루프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loop pattern and the second loop pattern may be formed in a spiral loop pattern.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각 무선 안테나, 상기 무선 안테나를 장착하는 연성회로기판(FPCB), 상기 무선 안테나에서 발생된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 및 상기 NFC 안테나로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NFC 안테나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NFC 칩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wireless antennas, a flexible circuit board (FPCB) for mounting the wireless antennas, a battery for charging electric power generated from the wireless antennas, And an NFC chip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unication data from the NFC antenna.
상기 제1 루프 패턴과 제2 루프 패턴은 나선형 루프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loop pattern and the second loop pattern may be formed in a spiral loop pattern.
상기 무선 안테나는 절곡되어 상기 연성회로기판(FPCB)의 두면에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antenna may be bent and formed on two sides of the FPCB.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들은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유도 코일부의 내측과 외측에 NFC 통신을 하는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를 형성하고, 그 사이를 연결하면 무선 충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NFC 인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that perform NFC communication are formed inside and outside the induction coil part supporting wireless charging, and when they are connected, wireless charging is possible and NFC The recogni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본 실시예들은 WPC 및 PMA의 표준에서 정의된 R(저항) 스펙치 또는 Q(Quilty Factor) 스펙치를 만족하는 범위안에서 제2 코일부와 코일 테두리부간 간격이 결정되거나 제2 코일부의 개수가 최적으로 결정됨으로써, 서로간 간섭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coil portion and the coil edge portion is determined within a range satisfying the R (resistance) or Q (quilty factor) specification defined in the WPC and PMA standards, or the number of the second coil portions The interference phenomenon between them can be suppressed.
따라서, 간섭 현상이 억제되면, 이 또한, 무선 충전 효율과 NFC 인식 효율이 향상된다.Therefore, when the interference phenomenon is suppressed, th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and the NFC recognition efficiency are also improved.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안테나의 안테나 구조를 일례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안테나의 접속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내부 턴 개수에 따른 내부 턴 간격 대비 R 스펙치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내부 턴 간격 대비 Q 스펙치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의 무선 안테나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1의 무선 안테나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의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antenna structure of a wireless antenn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wireless antenna shown in FIG.
FIG. 4 is a graph showing comparison of R specs versus internal turn intervals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ternal turns of FIGS. 1 and 2. FIG.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Q specs with respect to the internal turn intervals of FIGS. 1 and 2.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ireless terminal to which the wireless antenna of FIG. 1 is applied.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wireless terminal to which the wireless antenna of FIG. 1 is applied.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지, 이들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는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를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서 사용된다.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For example,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are used as an application for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및/또는'은 열거되는 관련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임의의 및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m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 / or"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include any and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related item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무선 안테나의 예><Example of wireless antenna>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안테나의 안테나 구조를 일례로 나타낸 단면도이다.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ntenna structure of a wireless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안테나(100)는 NFC 통신을 하기 위한 NFC 안테나(110), 상기 NFC 안테나(110)의 코일과 연계되어 무선 충전을 하기 위한 충전 안테나(12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NFC 안테나(110)는 NFC 통신을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루프 패턴(111)을 갖는 제1 코일부(111)와 상기 제1 코일부(111)의 내측에 형성되되 제1 코일부(111)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제1 루프 패턴(112)을 갖는 제2 코일부(112)를 포함한다.The
제1 루프 패턴은 여러개의 나선형 형태를 밀착시켜 감아 놓은 패턴 구조로서, 예컨대 제1 코일부(111)의 제1 루프 패턴은 대략 사각형 의 나선형 패턴 구조들로 이루어지고, 제2 코일부(112)의 제1 루프 패턴은 대략 원형의 나선형 패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loop pattern of the
결국, 제1 코일부(111)의 제1 루프 패턴과 제2 코일부(112)의 제1 루프 패턴은 동일한 나선형 패턴 구조를 갖지만 형태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패턴 구조를 갖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As a result, the first loop pattern of the
여기서, 제2 코일부(112)의 제1 루프 패턴은 제1 코일부(111)의 제1 루프 패턴과 달리, 나선형 패턴의 개수면에서 제한이 따를 수 있다.Here, unlike the first loop pattern of the
그 이유로는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및/또는 PMA(Power Matters Alliance)의 표준에서 정의된 R(저항) 스펙치 및/또는 Q(Quilty Factor) 스펙치를 만족해야만 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R (Resistance) specification and / or the Q (Quilty Factor) specification defined by the standards of WPC (Wireless Power Consortium) and / or PMA (Power Matters Alliance) must be satisfied.
일반적으로,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및/또는 PMA(Power Matters Alliance)의 표준에서 권고하고 있는 R 스펙치는 4 내지 6(Ω)의 범위로 규정되고 있으며, Q 스펙치는 23.00 내지 27.00의 범위로 규정되어 있다.In general, the R specification recommended in the standards of the WPC (Wireless Power Consortium) and / or the PMA (Power Matters Alliance) is specified in the range of 4 to 6 (Ω), and the Q specification is set in the range of 23.00 to 27.00 .
가령, 이 범위를 벗어나면, 무선 충전 및/또는 NFC 인식률의 효율면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및/또는 PMA(Power Matters Alliance)의 표준에서는 그와 같이 규정을 두고 있는 것이다.For example, beyond this range, the Wireless Power Consortium (WPC) and / or Power Matters Alliance (WPC) standards are stipulated as such, because they degrade in terms of the efficiency of wireless charging and / or NFC recognition rates.
이에 따라, 제2 코일부(112)의 제1 루프 패턴은 전술한 R 스펙치 및/또는 Q 스펙치의 범위를 만족하는 범위안에서 개수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first loop patterns of the
예를 들면, 제2 코일부(112)의 제1 루프 패턴은 하나의 내부 턴(inner turn, '감긴 횟수'를 의미함)을 가질 때 무선 충전 효율 및/또는 NFC 인식률 효율면에 있어 최적의 개수 조건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loop pattern of the
다시 말해, 제2 코일(112)부의 제1 루프 패턴이 하나의 내부 턴(inner turn)을 가질 때 R 스펙치 및/또는 Q 스펙치를 만족시켜 무선 충전 효율 및/또는 NFC 인식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loop pattern of the
한편, 하나의 내부 턴에 대한 예는 도 1에 도시하였고, 두개의 내부 턴에 대한 예는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1의 하나의 내부 턴은 도 2의 두개의 내부 턴에 비하여 효과면에서 우수함을 앞서 밝혔다.On the other hand, an example of one internal turn is shown in FIG. 1, and an example of two internal turns is shown in FIG. The one internal turn of FIG. 1 is superior to the two internal turns of FIG. 2 in terms of effectiveness.
반면, 일 실시예에서, 충전 안테나(120)는 WPC 및 PMA의 표준에서 권고하는 안테나 규격을 모두 충족시키기 위하여 NFC 안테나(110)의 제1 코일부(111)와 제2 코일부(112) 사이에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이를 위해, 충전 안테나(12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루프 패턴을 갖는 유도 코일부(121) 및 상기 유도 코일부(121)의 내측 테두리를 이루는 코일 테두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제2 루프 패턴은 여러개의 나선형 형태를 밀착시켜 감아 놓은 패턴 구조로서, 예컨대 유도 코일부(121)의 제2 루프 패턴은 대략 원형의 나선형 패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loop pattern of the
코일 테두리부(122)는 유도 코일부(121)가 원형일때 내측 원형보다 크고, 외측 원형보다 크도록 유도 코일부(121)를 하부에서 충분히 덮는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예를 들면, 코일 테두리부(122)는 유도 코일부(121)의 원형 외측으로부터 튀어나온 외측 테두리를 형성시키고, 유도 코일부(121)의 원형 내측으로부터 튀어나온 내측 테두리를 형성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다음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안테나(110)는 제1 코일부(111)의 내면 일측과 제2 코일부(112)의 외면 일측 사이에 연결되는 코일접속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이 처럼, 코일접속부(113)로 연결되면, 제1 코일부(111)와 제2 코일부(112)는 전기적으로 되어, 제1 코일부(111), 제2 코일부(112)와 유도 코일부(121)간 자기장 교류를 더욱 활성화시킴으로써, NFC 인식률을 높이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The
더욱이, NFC 인식률과 충전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 코일부(112)와 코일 테두리부(122)의 내측 테두리의 사이는 WPC 및/또는 PMA의 표준에서 정의된 R(저항) 스펙치 및/또는 Q(Quilty Factor) 스펙치를 만족하는 범위안에서 그 사이의 간격(L, 이하에서는 '내부 턴 간격(inner turn interval)'이라 지칭하기도 함)이 결정될 수 있다.Furthermore,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NFC recognition rate and the charging efficiency, the
예를 들면, WPC 및/또는 PMA의 표준에서 권고하는 R 스펙치가 4 내지 6(Ω)의 범위를 가지거나 Q 스펙치가 23.00 내지 27.00의 범위를 가질 경우, 그 범위안에서 40 내지 70 ㎛ 의 길이(L)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 spec. Recommended in the WPC and / or PMA standard has a range of 4 to 6 (OMEGA), or the Q-spec has a range of 23.00 to 27.00, a length of 40 to 70 mu m L).
이에 대한 적합성은 차후의 도 4 및 도 5에서 충분히 설명할 예정이다.Suitability for this will be fully explained in Figs. 4 and 5 below.
<접속 구조의 예><Example of connection structur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안테나의 접속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도면부호는 앞서 설명한 도 1의 도면 부호를 포함한 동일한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wireless antenna shown in FIG.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Fig. 3 exemplify the same structure including the reference numerals of Fig. 1 described above.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안테나(100)는 접속 구조면에서 NFC 안테나(110)의 접속 구조와 충전 안테나(120)의 접속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NFC 안테나(110)의 접속 구조는 제1 코일부(111)의 내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코일부(111)의 제1 종단을 이루는 종단 단자부(114)를 더 포함하고, 제2 코일부(112)는 내부 턴의 횟수만큼 감아져 종단에 형성된 제2 종단 단자(1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종단 단자부(114)는 제1 코일부(111)의 내면 일측과 제2 코일부(112)의 외면 일측 사이에 연결되는 것과 달리, 제2 코일부(112)로부터 이격되되 제1 코일부(111)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이런 경우, 제2 종단 단자(115)는 종단 단자부(114)와 전기적으로 접점될 수 있다. 이러한 점점 구조를 가지면, NFC 인식률을 높이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이에 더하여, NFC 안테나(110)의 접속 구조는 제1 코일부(111)의 내면에 형성된 마지막의 나선형 제1 루프 패턴의 다른 내측 종단에 형성된 내측의 접속 단자(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상기 접속 단자(116)는 제1 코일부(111)의 외측 종단에 형성된 접속 단자(117)로부터 전기적으로 접점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서, 충전 안테나(120)의 접속 구조는 NFC 안테나(110)와의 사이에서 발생된 자기 유도 방식의 자기장을 통해 발생된 전력을 배터리(미도시)로 전송하기 위하여,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 단자(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harging
충전 안테나(120)의 접속 단자(123)는 나선형 제2 루프 패턴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무선 안테나(100)가 장착된 대상체(예: 이동 단말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내부 구조에 따라 위치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NFC 안테나(110)의 접속 구조도 대상체의 내부 또는 형상 구조에 따라 다양한 접접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positioned depending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a target object (e.g., mobile terminal, wearable device, etc.) equipped with the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무선 안테나(100)는 연성회로기판(101)에 형성(인쇄)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무선 안테나(100)의 각 접속 구조는 연성회로기판(101)에 형성된 커넥터(102)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02)는 대상체의 내부에 있는 NFC 칩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
도 4는 도 1 및 도 2의 내부 턴 개수에 따른 내부 턴 간격 대비 R 스펙치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4 is a graph showing comparison of R specs versus internal turn intervals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ternal turns of FIGS. 1 and 2. FIG.
도 4를 참조하면, 내부 턴의 개수가 0개인 경우에는 최적의 내부 턴 간격으로 결정된 40 내지 70 ㎛ 대응하여 3 내지 4(Ω)의 R 스펙치를 가지며, 내부 턴의 개수가 최적인 한개인 경우에는 내부 턴 간격으로 결정된 40 내지 70 ㎛ 대응하여 4 내지 6(Ω)의 R 스펙치를 가진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number of internal turns is 0, the R spec having an average internal turn interval of 40 to 70 μm corresponding to 3 to 4 (Ω) Has an R spectral value of 4 to 6 (OMEGA) corresponding to 40 to 70 mu m determined by an internal turn interval.
반면, 내부 턴의 개수가 두개인 경우에는 최적의 내부 턴 간격으로 결정된 40 내지 70 ㎛ 대응하여 6 내지 8(Ω)의 R 스펙치를 가짐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internal turns is two, it can be seen that R spec has a value ranging from 6 to 8 (OMEGA) corresponding to 40 to 70 mu m determined by the optimum internal turn interval.
여기서, WPC 및/또는 PMA의 표준에서 권고하는 R 스펙치는 6 내지 8(Ω)의 값을 가져야 하므로, 이 범위안에 있는 40 내지 70 ㎛ 의 내부 턴 간격 스펙과 하나의 내부 턴 스펙을 가질 때 비로소 NFC 인식률이 높아지고, 충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었다.Here, the R spec. Recommended in the WPC and / or PMA standards should have a value of 6 to 8 (OMEGA). Therefore, when the internal turn interval specification of 40 to 70 mu m and the one internal turn specification within this range are satisfied The NFC recognition rate is increased, and the charg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이러한 향상은 전술한 40 내지 70 ㎛ 의 내부 턴 간격 스펙과 하나의 내부 턴 스펙 뿐만 아니라,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NFC 안테나(110)의 구조로부터 기인함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is improvement results from the structure of the
나머지 두 형태의 내부 턴 간격과 내부 턴 스팩인 경우에는 WPC 및/또는 PMA의 표준에서 권고하는 R 스펙치를 만족시키지 못함으로써, NFC 인식률과 충전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In the case of the internal turn interval and the internal turn interval of the other two types, the NFC recognition rate and the charging efficiency were inferior due to the failure to satisfy the R specification recommended by the WPC and / or PMA standards.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
도 5는 도 1 및 도 2의 내부 턴 간격 대비 Q 스펙치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Q specs with respect to the internal turn intervals of FIGS. 1 and 2. FIG.
도 5를 참조하면, 내부 턴의 개수가 두개인 경우에는 최적의 내부 턴 간격으로 결정된 40 내지 70 ㎛ 대응하여 17 내지 22의 Q 스펙치를 가지며, 내부 턴의 개수가 최적인 한개인 경우에는 내부 턴 간격으로 결정된 40 내지 70 ㎛ 대응하여 23 내지 27의 Q 스펙치를 가진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re are two internal turns, the Q specs corresponding to 40 to 70 mu m determined to be the optimum internal turn intervals are 17 to 22, and when the number of internal turns is optimal, And has Q spectra of 23 to 27 corresponding to 40 to 70 mu m determined at intervals.
반면, 내부 턴의 개수가 0개인 경우에는 최적의 내부 턴 간격으로 결정된 40 내지 70 ㎛ 대응하여 30 내지 33의 Q 스펙치를 가짐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inner turns is 0, it is found that the Q spec of 30 to 33 corresponds to 40 to 70 mu m determined by the optimum inner turn interval.
여기서, WPC 및/또는 PMA의 표준에서 권고하는 Q 스펙치는 23 내지 27의 값을 가져야 하므로, 이 범위안에 있는 40 내지 70 ㎛ 의 내부 턴 간격 스펙과 하나의 내부 턴 스펙을 가질 때 비로소 NFC 인식률이 높아지고, 충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었다.Here, since the Q spec. Recommended in the WPC and / or PMA standard should have a value of 23 to 27, when the internal turn interval specification of 40 to 70 占 퐉 and the one internal turn specification within this range are satisfied, And the charging efficiency could be improved.
나머지 두 형태의 내부 턴 간격과 내부 턴 스팩인 경우에는 WPC 및/또는 PMA의 표준에서 권고하는 Q 스펙치를 만족시키지 못함으로써, NFC 인식률과 충전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In the case of the inner turn interval and the internal turn interval of the other two types, the NFC recognition rate and the charging efficiency were inferior due to failing to satisfy the Q specification recommended by the WPC and / or PMA standards.
<무선 단말기의 예><Example of wireless terminal>
도 6은 도 1의 무선 안테나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ireless terminal to which the wireless antenna of FIG. 1 is applied.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1000)는 무선 안테나(100), 연성회로기판(200, FPCB), 배터리(300) 및 NFC 칩(400)을 포함한다. 이러한 무선 안테나(10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의 설명은 생략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6, a
먼저, 연성회로기판(200)은 무선 단말기(1000)의 내부에 일방향으로 배치되어, 무선 안테나(100)의 루프 패턴들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연성회로기판(200)은 배터리팩 안에 장착될 수 있다.First, the
배터리(300)는 무선 안테나(100)에서 전송된 전력을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터리(300)는 착탈식 배터리이거나 고정형 배터리일 수 있다.The
마지막으로, NFC 칩(400)은 NFC 안테나(110)로 전력을 공급하여 NFC 안테나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NFC 칩(400)은 태그 또는 리더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inally, the
예를 들면, 무선 단말기(100)와 NFC 근거리 통신하는 외부 기기(미도시)가 리더기일 경우 NFC 칩(400)은 태크로서 동작할 수 있고, 외부 기기가 태그로 동작될 경우, 상기 NFC 칩(400)은 리더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NFC 칩(400)은 태그 및 리더기 모두 동작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performing NFC local communication with the
이에 따라, NFC 칩(400)은 태그 및/또는 리더기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무선 단말기(1000)는 NFC 통신을 통해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휴대 중에도 무선 충전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이 좋다.Meanwhile, the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이 동시에 적용이 필요한 무선 기기라면, 본 실시예에서 말하는 무선 단말기의 범주와 동일하거나 그 안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 MP3와 같은 휴대용 무선 기기 뿐만 아니라, 자동차 무선 기기와 같은 대형 무선 기기일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f it is a wireless device requiring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it may be said to be the same as or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wireless terminal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it can be a portable wireless device such as a wearable device, MP3, as well as a large wireless device such as a car radio.
<무선 단말기의 다른 예>≪ Another Example of Wireless Terminal >
도 7은 도 1의 무선 안테나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의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wireless terminal to which the wireless antenna of FIG. 1 is applied.
도 7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1000)는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무선 안테나(100), 상기 무선 안테나(100)를 장착하는 연성회로기판(500, FPCB), 상기 무선 안테나(100)에서 발생된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300) 및 상기 무선 안테나(100)에 구비된 NFC 안테나(110)로 전력을 공급하여 NFC 안테나(110)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NFC 칩(4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a
여기서, 연성회로기판(500)은 도 6에서 설명한 연성회로기판(200)의 구조와 기능적인 면에서 동일할 수 있지만, 무선 단말기(1000)의 절곡된 부위(1001)를 따라 형성된 두면, 예컨대 무선 단말기(1000)의 상면(1002)과 배면(1003)에 나뉘어 배치되는 차이점을 가질 수 있다.The
무선 단말기(1000)의 상면(1002)에는 일부분의 연성회로기판(500)과 무선 안테나(100)가 배치되고, 무선 단말기(1000)의 배면(1003)에는 나머지의 연성회로기판(500)과 무선 안테나(100)가 배치될 수 있다. A part of the
그러나, 전술한 무선 안테나(100)의 절곡 및 배치 위치는 일례에 불과한 것일 뿐, 절곡된 상태로 배치되는데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bending and disposing positions of the
이와 같이 배치된 이유는 소형의 무선 단말기(1000)이거나 플렉시블 형태의 무선 단말기(1000)과 같이 컴팩트화된 무선 단말기에 용이하게 적용되도록 하는데 있다.The reason why the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안테나(100)를 여러 면에 절곡시켜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무선 단말기에 적용되도록 적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r constructions. You can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erefo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0 : 무선 안테나 110 : NFC 안테나
111 : 제1 코일부 112 : 제2 코일부
113 : 코일접속부 114 : 종단 단자부
120 : 충전 안테나 121 : 유도 코일부
122 : 코일 테두리부 200 : 연성회로기판
300 : 배터리 400 : NFC 칩
1000 : 무선 단말기100: Wireless antenna 110: NFC antenna
111: first coil part 112: second coil part
113: coil connection part 114: terminal terminal part
120: Charging antenna 121: Induction coil part
122: coil rim 200: flexible circuit board
300: Battery 400: NFC chip
1000: Wireless terminal
Claims (25)
무선충전코일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코일부는 상기 제1무선통신코일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무선통신코일부는 상기 무선충전코일부 내측에 배치되는 무선 안테나.A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including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art an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art; And
A wireless charging antenna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coil portion,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coil unit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ar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coil unit is disposed inside the wireless charging coil unit.
상기 제1무선통신코일부와 상기 제2무선통신코일부는 다른 형태를 가지는 무선 안테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ar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art have different forms.
상기 제1무선통신코일부는 사각형 형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무선통신코일부는 원형 형태를 포함하는 무선 안테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ortion includes a rectangular shape,
Wherei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ortion includes a circular shape.
상기 제1무선통신코일부와 상기 제2무선통신코일부는 다른 곡률을 가지는 무선 안테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ar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art have different curvatures.
상기 무선충전코일부와 상기 제2무선통신코일부는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무선 안테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coil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coil unit have a corresponding curvature.
상기 제1무선통신코일부와 상기 제2무선통신코일부의 감긴 횟수가 다른 무선 안테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ar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art have different winding counts.
상기 제2무선통신코일부의 감긴 횟수는 1회인 무선 안테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number of time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art is wound is one time.
상기 제1무선통신코일부의 감긴 횟수는 상기 제2무선통신코일부의 감긴 횟수보다 큰 무선 안테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number of turns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coil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urns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coil.
상기 무선충전코일부의 감긴 횟수는 상기 제1무선통신코일부의 감긴 횟수보다 큰 무선 안테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number of turns of the wirelessly-charged coil section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urns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coil section.
상기 무선충전코일부의 감긴 횟수는 상기 제2무선통신코일부의 감긴 횟수보다 큰 무선 안테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number of turns of the wireless charging coil portion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urns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ortion.
상기 무선통신안테나는 상기 제1무선통신코일부와 상기 제2무선통신코일부를 연결하는 코일접속부를 포함하는 무선 안테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includes a coil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ortion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ortion.
상기 코일접속부는 상기 무선충전코일부와 중첩되는 무선 안테나.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coil connection portion overlaps with the wireless charging coil portion.
상기 제1무선통신코일부와 상기 제2무선통신코일부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무선통신코일부와 상기 제2무선통신코일부는 동일한 전류 회전 방향을 가지도록 감긴 무선 안테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coil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coil unit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ar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art are wound so as to have the same current rotation direction.
상기 무선통신안테나 및 상기 무선충전안테나는 연성회로기판에 형성된 무선 안테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and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are formed on a flexible circuit board.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무선통신안테나 및 상기 무선충전안테나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무선 안테나.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lexible circuit board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and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상기 무선충전코일부가 배치되는 코일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안테나.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coil rim portion in which the wireless recharging coil portion is disposed.
상기 제1무선통신코일부는 상기 코일테두리부 외측에 배치되는 무선 안테나.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coil portion is disposed outside the coil rim portion.
상기 제2무선통신코일부는 상기 코일테두리부 내측에 배치되는 무선 안테나.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coil unit is disposed inside the coil rim.
상기 코일접속부는 상기 코일테두리부와 중첩되는 무선 안테나.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coil connection portion overlaps with the coil rim portion.
상기 코일테두리부의 면적은 상기 무선충전코일부의 면적보다 큰 무선 안테나.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an area of the coil rim portion is larger than an area of the wirelessly-charged coil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2389A KR101843897B1 (en) | 2017-11-15 | 2017-11-15 |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2389A KR101843897B1 (en) | 2017-11-15 | 2017-11-15 |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96051A Division KR20170005670A (en) | 2015-07-06 | 2015-07-06 |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9086A KR20170129086A (en) | 2017-11-24 |
KR101843897B1 true KR101843897B1 (en) | 2018-03-30 |
Family
ID=6081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2389A KR101843897B1 (en) | 2017-11-15 | 2017-11-15 |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389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61426B2 (en) | 2015-07-06 | 2019-10-29 | Lg Innotek Co., Ltd. | Wirel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terminal to which same is applied |
KR20230105109A (en) | 2022-01-03 | 2023-07-11 | 한솔테크닉스(주) | Antenna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6345A (en) * | 2017-12-22 | 2019-07-0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Wireless charger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coil |
KR102449497B1 (en) * | 2021-06-22 | 2022-10-11 | 주식회사 노바랩스 | Wireless Earphones and Charging Case with Antenna for Charging and Communicatio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3574B1 (en) * | 2012-03-13 | 2012-07-06 | 주식회사 나노맥 | Electromagnetic waves absorber for b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wireless antenna for b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130016588A (en) * | 2011-08-08 | 2013-02-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rtable terminal with wireless charging coil and antenna element in same plane |
KR20130045306A (en) * | 2013-04-12 | 2013-05-03 |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 Attenna apparatus with ntc attenna annd wireless charging coil |
KR101467706B1 (en) * | 2013-11-21 | 2014-12-01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The improved NFC antenna structure for reducing the proximity effect due to the coupled current loops |
KR101505456B1 (en) * | 2014-01-07 | 2015-03-30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Structure of switched dual mode NFC/WPT antenna |
-
2017
- 2017-11-15 KR KR1020170152389A patent/KR10184389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16588A (en) * | 2011-08-08 | 2013-02-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rtable terminal with wireless charging coil and antenna element in same plane |
KR101163574B1 (en) * | 2012-03-13 | 2012-07-06 | 주식회사 나노맥 | Electromagnetic waves absorber for b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wireless antenna for b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130045306A (en) * | 2013-04-12 | 2013-05-03 |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 Attenna apparatus with ntc attenna annd wireless charging coil |
KR101467706B1 (en) * | 2013-11-21 | 2014-12-01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The improved NFC antenna structure for reducing the proximity effect due to the coupled current loops |
KR101505456B1 (en) * | 2014-01-07 | 2015-03-30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Structure of switched dual mode NFC/WPT antenna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61426B2 (en) | 2015-07-06 | 2019-10-29 | Lg Innotek Co., Ltd. | Wirel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terminal to which same is applied |
US10476160B2 (en) | 2015-07-06 | 2019-11-12 | Lg Innotek Co., Ltd. | Wirel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terminal to which same is applied |
US10727592B2 (en) | 2015-07-06 | 2020-07-28 | Lg Innotek Co., Ltd. | Wirel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terminal to which same is applied |
KR20230105109A (en) | 2022-01-03 | 2023-07-11 | 한솔테크닉스(주) | Antenna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9086A (en) | 2017-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05670A (en) |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 |
US9941048B2 (en) | Non-contact wireless communication coil, transmission coil, and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101843897B1 (en) |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2194806B1 (en) | Wirel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 |
CN107408823B (en) | Multi-turn coil on metal backboard | |
US8581542B2 (en) | Receive antenna arrangement for wireless power | |
KR101865540B1 (en) |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portable auxili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US10204734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non-contact charging modul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 |
US10186875B2 (en) |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
KR20140061131A (en) | A receiving coil of wireless power receiver including a coil unit for nfc and a coil unit for wireless power charging | |
KR101503221B1 (en) | Double spiral antenna module for resonance type of wireless charge of wearable device | |
JP2020195275A (en) | Vehicl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 |
CN103534870A (en) | Antenna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 |
KR101922530B1 (en) |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532052B1 (en) | Antenna patch comprising common terminals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 |
KR101508172B1 (en) | Circuit Board for NFC Antenna with Wireless Charging | |
KR101972053B1 (en) |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2006371B1 (en) |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160043900A (en) | Coil structure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CN206819359U (en) | A kind of high-performance wireless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Tag read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