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820A -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 - Google Patents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820A
KR20150098820A KR1020140020150A KR20140020150A KR20150098820A KR 20150098820 A KR20150098820 A KR 20150098820A KR 1020140020150 A KR1020140020150 A KR 1020140020150A KR 20140020150 A KR20140020150 A KR 20140020150A KR 20150098820 A KR20150098820 A KR 20150098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voice
english
text
multimedia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905B1 (ko
Inventor
이밝음
Original Assignee
㈜빅스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스바이트 filed Critical ㈜빅스바이트
Priority to KR1020140020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905B1/ko
Publication of KR20150098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부; 상기 영어 음성을 음성파일로 생성하는 음성파일생성부; 상기 영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텍스트파일을 생성하는 텍스트파일생성부; 단어 단위로 상기 음성파일과 상기 텍스트파일 사이의 대응정보를 메타데이터로 생성하여 상기 음성파일 및 상기 텍스트파일에 각각 삽입하여 주는 대응정보생성부; 및 상기 음성파일과 상기 텍스트파일을 결합하여 멀티미디어파일을 생성하되 상기 대응정보에 근거해 단어 단위로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상의 위치를 지시하여 주는 포인터를 생성하여 삽입하여 주는 멀티미디어파일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A system for creating English word decoding multimedia file aiming at enhancing literacy}
본 발명은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어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파일, 텍스트파일 및 단어 단위로 주어지는 상기 음성파일과 상기 텍스트파일 사이의 대응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음성파일과 상기 텍스트파일을 결합하여 멀티미디어파일을 생성하되 상기 대응정보에 근거해 단어 단위로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상의 위치를 지시하여 주는 포인터가 포함된 멀티미디어파일을 생성하여 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글로벌 공용어로서의 영어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영어교육 또는 영어학습과 관련하여 다양한 교육방법 및 교육교재 등이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나라의 영어교육 또는 영어학습은 독해능력의 배양에 지나치게 치중되어 있다는 지적이 계속되어 왔고, 이의 극복을 위해 말하기능력이나 쓰기능력의 향상을 위한 방안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 무선인터넷 기술, 태블릿 PC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단말기 기술 및 음성검색 등에 활용되는 음성인식 기술 등이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기술들을 이용한 영어교육 또는 영어학습을 통해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50019호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인식 영어학습서비스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28983호는 음성인식 기술 등을 이용한 영어 능력 평가 및 진단 처방 시스템 등에 관해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가운데 영어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파일과 텍스트파일을 생성하고 이들을 자동으로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멀티미디어파일을 생성하되 단어 단위로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상의 위치를 지시하여 주는 포인터가 포함된 멀티미디어파일을 생성하여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영어 음성을 단어 단위로 디코딩 인지할 수 있게 해주는 콘텐츠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주는 기술은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50019호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인식 영어 학습서비스방법", 2004.09.30.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28983호 "영어 능력 평가 및 진단 처방 시스템, 이를 이용한 영어능력 평가 및 진단 처방 방법, 그리고 영어 능력 평가 및 진단 처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006.09.27.
본 발명은 영어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파일과 텍스트파일을 생성하고 이들을 자동으로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멀티미디어파일을 생성하되 단어 단위로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상의 위치를 지시하여 주는 포인터가 포함된 멀티미디어파일을 생성하여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영어 음성을 단어 단위로 디코딩 인지할 수 있게 해주는 콘텐츠의 효율적 제작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영어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부; 상기 영어 음성을 음성파일로 생성하는 음성파일생성부; 상기 영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텍스트파일을 생성하는 텍스트파일생성부; 단어 단위로 상기 음성파일과 상기 텍스트파일 사이의 대응정보를 메타데이터로 생성하여 상기 음성파일 및 상기 텍스트파일에 각각 삽입하여 주는 대응정보생성부; 및 상기 음성파일과 상기 텍스트파일을 결합하여 멀티미디어파일을 생성하되 상기 대응정보에 근거해 단어 단위로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상의 위치를 지시하여 주는 포인터를 생성하여 삽입하여 주는 멀티미디어파일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리터러시(literacy)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인터는 출력되는 멀티미디어파일의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상의 단어 상단 또는 하단을 따라 이동하는 도형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은 포인터의 모양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입력받는 모양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파일생성부는 상기 멀티미디어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포인터를 삽입하되 상기 모양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모양의 포인터를 삽입하여 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영어 음성을 입력받아 만들어지는 음성파일, 텍스트파일 및 단어 단위로 주어지는 상기 음성파일과 상기 텍스트파일 사이의 대응정보를 기초로, 상기 음성파일과 상기 텍스트파일이 결합되되 상기 대응정보에 근거해 단어 단위로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상의 위치를 지시하여 주는 포인터가 포함된 멀티미디어파일을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된다.
2. 위의 멀티미디어파일은 사용자로 하여금 영어 음성을 단어 단위로 디코딩하여 문자와 함께 인지할 수 있게 해주는 영어학습 콘텐츠로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멀티미디어파일의 출력 실시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영어 리터러시(literacy)라 함은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을 종합적으로 이르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영어의 이해, 소리내어 읽는 능력 등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문 단어 디코딩 시스템은 음성입력부(10), 음성파일생성부(20), 텍스트파일생성부(30), 대응정보생성부(40), 멀티미디어파일생성부(50) 및 모양입력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음성입력부(10)는 영어 음성을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음성입력부(10)는 통상의 마이크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파일생성부(20) 및 상기 텍스트파일생성부(30)에 영어 음성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음성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어 음성은 특정 영문장에 대한 읽기 음성 일수도 있고, 연설이나 일상 회화 등이 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영어학습 콘텐츠 제작의 자료로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영어 원어민의 영문 읽기 음성이 주요한 입력 대상이 될 것이나 그 범위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음성파일생성부(20)는 상기 음성입력부(10)가 입력받은 영어 음성을 음성파일로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음성파일생성부(20)는 디지털녹음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파일생성부(20)에 의해 생성된 음성파일은 멀티미디어파일의 음성부로 사용되게 된다.
상기 텍스트파일생성부(30)는 상기 음성입력부(10)가 입력받은 영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텍스트파일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텍스트파일생성부(30)는 음성파형으로부터 언어정보를 추출해내도록 되어 있는 음성인식모듈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성격상 연속음성인식 기술이 적용된 것이어야 한다. 상기 텍스트파일생성부(30)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파일은 멀티미디어파일의 텍스트부로 사용되게 된다.
상기 대응정보생성부(40)는 단어 단위로 상기 음성파일과 상기 텍스트파일 사이의 대응정보를 메타데이터로 생성하여 상기 음성파일 및 상기 텍스트파일에 각각 삽입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대응정보생성부(40)는 상기 대응정보의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팅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대응정보는 상기 음성파일과 상기 텍스트파일 사이에 단어 단위로 일대일로 생성되는 싱크(syncronization, 동조)정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대응정보생성부(40)는 상기 음성파일이 "I am happy."라는 영어 음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에 상응하는 텍스트파일이 생성되었다고 할 때 상기 음성파일의 재생구간 중 "I", "am", "happy" 부분에 각각 001, 002 및 003 등과 같은 특정 코드를 부여하여 삽입하고, 상기 텍스트파일 상의 각 단어 "I", "am", "happy"에는 상기 특정 코드에 대응되는 001-1, 002-2 및 003-3 등과 같은 싱크(sync) 코드를 부여하여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파일생성부(50)는 상기 음성파일과 상기 텍스트파일을 결합하여 멀티미디어파일을 생성하되 상기 대응정보에 근거해 단어 단위로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상의 위치를 지시하여 주는 포인터를 생성하여 삽입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멀티미디어파일생성부(50)는 상기 음성파일과 상기 텍스트파일의 결합 및 상기 포인터 생성·삽입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팅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위의 구체적인 예를 이어서 살펴보면 상기 멀티미디어파일생성부(50)는 "I am happy."라는 음성과 텍스트로 각각 이루어진 음성파일 및 텍스트파일을 결합하여 멀티미디어파일을 생성하되 상기 음성파일 및 상기 텍스트파일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대응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음성파일로 이루어진 음성부의 재생시 상기 텍스트파일로 이루어진 텍스트부의 해당 단어를 지시하여 주는 표시정보인 포인터를 삽입하여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포인터는 출력되는 멀티미디어파일의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상의 단어 상단 또는 하단을 따라 이동하는 도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모양입력부(60)는 선택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포인터의 모양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모양입력부(60)는 터치스크린, 마우스, 키보드 등의 통상적인 입력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제작되어 있는 2 이상의 모양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해주는 방식의 선택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에 상기 모양입력부(60)가 구비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파일생성부(50)는 상기 멀티미디어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포인터를 삽입하되 상기 모양입력부(60)를 통해 입력된 모양의 포인터를 삽입하여 주게 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멀티미디어파일의 출력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멀티미디어파일이 출력되고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는데, 상기 멀티미디어파일이 출력될 때 단어 단위로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스마일 케릭터 도형으로 이루어진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마일 케릭터 도형으로 이루어진 포인터는 상기 멀티미디어파일의 음성부의 진행에 맞추어 상기 텍스트의 단어 하단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있다.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영어 음성을 단어 단위로 디코딩하여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멀티미디어파일이 자동적으로 생성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 음성입력부 20: 음성파일생성부
30: 텍스트파일생성부 40: 대응정보생성부
50: 멀티미디어파일생성부 60: 모양입력부

Claims (3)

  1. 영어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부;
    상기 영어 음성을 음성파일로 생성하는 음성파일생성부;
    상기 영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텍스트파일을 생성하는 텍스트파일생성부;
    단어 단위로 상기 음성파일과 상기 텍스트파일 사이의 대응정보를 메타데이터로 생성하여 상기 음성파일 및 상기 텍스트파일에 각각 삽입하여 주는 대응정보생성부; 및
    상기 음성파일과 상기 텍스트파일을 결합하여 멀티미디어파일을 생성하되 상기 대응정보에 근거해 단어 단위로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상의 위치를 지시하여 주는 포인터를 생성하여 삽입하여 주는 멀티미디어파일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리터러시(literacy)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포인터는 출력되는 멀티미디어파일의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상의 단어 상단 또는 하단을 따라 이동하는 도형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
  3. 제2항에서,
    포인터의 모양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입력받는 모양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파일생성부는 상기 멀티미디어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포인터를 삽입하되 상기 모양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모양의 포인터를 삽입하여 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
KR1020140020150A 2014-02-21 2014-02-21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 KR10157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150A KR101579905B1 (ko) 2014-02-21 2014-02-21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150A KR101579905B1 (ko) 2014-02-21 2014-02-21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820A true KR20150098820A (ko) 2015-08-31
KR101579905B1 KR101579905B1 (ko) 2015-12-23

Family

ID=5406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150A KR101579905B1 (ko) 2014-02-21 2014-02-21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824A (ko) * 2019-03-29 2020-10-07 아이피랩 주식회사 음성파일이 연동된 텍스트 링크 생성 어플리케이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019B1 (ko) 2001-11-17 2004-09-30 전준호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인식 영어 학습서비스방법
KR100628983B1 (ko) 2004-09-22 2006-09-27 김용명 영어 능력 평가 및 진단 처방 시스템, 이를 이용한 영어능력 평가 및 진단 처방 방법, 그리고 영어 능력 평가 및진단 처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KR20080075266A (ko) * 2007-02-12 2008-08-18 주식회사 이지씨앤씨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의 인덱싱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미디어 데이터파일의 인덱싱 정보를 검색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019B1 (ko) 2001-11-17 2004-09-30 전준호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인식 영어 학습서비스방법
KR100628983B1 (ko) 2004-09-22 2006-09-27 김용명 영어 능력 평가 및 진단 처방 시스템, 이를 이용한 영어능력 평가 및 진단 처방 방법, 그리고 영어 능력 평가 및진단 처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KR20080075266A (ko) * 2007-02-12 2008-08-18 주식회사 이지씨앤씨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의 인덱싱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미디어 데이터파일의 인덱싱 정보를 검색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824A (ko) * 2019-03-29 2020-10-07 아이피랩 주식회사 음성파일이 연동된 텍스트 링크 생성 어플리케이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905B1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16511B (zh) 意图识别和情绪的文本到语音学习系统
KR102582291B1 (ko) 감정 정보 기반의 음성 합성 방법 및 장치
US20200294487A1 (en) Hands-free annotations of audio text
CN106575500B (zh) 基于面部结构合成话音的方法和装置
CN105244022B (zh) 音视频字幕生成方法及装置
US20200035209A1 (en) Automatic song generation
US10043519B2 (en) Generation of text from an audio speech signal
US10692494B2 (en) Application-independent content translation
CN105704538A (zh) 一种音视频字幕生成方法及系统
US9558733B1 (en) Audibly indicating secondary content with spoken text
US20180226073A1 (en) Context-based cognitive speech to text engine
CN104240703A (zh) 语音信息处理方法和装置
CN103955454A (zh) 一种在白话文与文言文之间进行文体转换的方法和设备
CN111079423A (zh) 一种听写报读音频的生成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50105075A (ko) 자동 통역 장치 및 방법
US10276150B2 (en) Correction system, method of correction,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567449B1 (ko) 음성인식에 기반한 애니메이션 재생이 가능한 전자책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579905B1 (ko)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영어단어 디코딩 멀티미디어파일 생성시스템
US9865250B1 (en) Audibly indicating secondary content with spoken text
Wilcock et al. Bringing Cognitive Infocommunications to small language communities
Graham et al. Evaluating OpenAI's Whisper ASR: Performance analysis across diverse accents and speaker traits
Arawjo et al. Typetalker: A speech synthesis-based multi-modal commenting system
JP6342792B2 (ja) 音声認識方法、音声認識装置及び音声認識プログラム
KR20090112882A (ko) 텍스트 투 스피치와 토킹해드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자료제공서비스
JP2015114559A (ja) 二次元コード記録方法及び該二次元コードの読み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