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611A -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611A
KR20150098611A KR1020157013477A KR20157013477A KR20150098611A KR 20150098611 A KR20150098611 A KR 20150098611A KR 1020157013477 A KR1020157013477 A KR 1020157013477A KR 20157013477 A KR20157013477 A KR 20157013477A KR 20150098611 A KR20150098611 A KR 20150098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pa
subject
derivative
composition
pur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싱글레어
Original Assignee
디킨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킨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디킨 유니버시티
Publication of KR20150098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23L1/3008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61K31/23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etretin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2Alcohol-ab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besity (AREA)
  • Addiction (AREA)
  • Myc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Psychia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메가-3 형태(DPA 22: 5n-3)의 도코사펜타네오익산(docosapentaneoic acid: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을 감소시키는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식후 킬로미크론(chylomicrons)의 지방산 결합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n-3 DPA의 능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Method for reducing triglycerides}
2012년 10월 23일 출원된 미국 특허 제 61/717,157 호의 우선권 주장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본 명세서에 있는 모든 인용된 문헌 또는 참조문헌,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문헌에서 인용되고 참조된 모든 문헌은, 본 명세서에 언급된 또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삽입된 문헌에 있는 제품에 대한 제조사의 지시사항, 상세한 설명, 제품 명세서 그리고 제품 쉬트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본 발명은 오메가-3 형태(DPA 22: 5n-3)의 도코사펜타네오익산(docosapentaneoic acid: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을 감소시키는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식후 킬로미크론(chylomicrons)의 지방산 결합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n-3 DPA의 능력에 관한 것이다.
장쇄 n-3 고도불포화 지방산(n-3 PUFA), 다시 말해 EPA 및 DHA의 유익한 심장혈관 건강 작용에 관련하여 방대한 양의 정보가 존재한다. 반면에 7, 10, 13, 16, 19 도코사펜타에노산(docosapentaenoic acid) 또는 클루파노돈산(clupanodonic acid)으로 알려진 중간 산물 도코사펜타엔산(DPA 22:5 n-3)에 대해서는 조금 알려져 있다.
필수 오메가-3 형태 지방산 알파-리놀레산(ALA, 18:3n-3)은 n-3 계열의 고도불포화 지방산(PUFA) 계열 형태는 신장(elongation) 및 탈 포화에 의해 인 비보 상에서 대사될 수 있다. 또한 잠재적으로 ALA,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 20:5n-3), 도코사헥사에노산(docosahexaenoic acid: DHA, 22:6n-3) 및 도코사펜타엔산(docosapentaenoic acid: DPA, 22:5n-3)으로부터 대사된 것은, 주로 생선 및 생선 오일 제품에 식재료로부터 제공되지만, DPA의 레벨은 생선 오일에 매우 낮게 존재한다.
종래의 연구들은 인간 대상이 바다표범 오일을 섭취한 경우 조직 지질상에 DPA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 될 뿐만 아니라(Murphy et al., (1999) Mol Cell Biochem 177, 257-69) 순환하는 지질 단편에 DPA의 레벨이 유의하게 상승하는 것을 입증하였다(Conquer et al., (1999) Thromb Res 96,239-50, Meyer et al., (2009) Lipids 44, 827-35, Mann et al., (2010) Lipids 45, 669-681). 그러나, 이와 같은 효과는 체인 신장(elongation)을 통해 DPA의 상당한 양을 생성하는 능력을 갖는 EPA의 높은 레벨과 바다표범 오일 지방산의 약 50%를 차지함으로 인해 직접적인 DPA의 소비에 기인한다고 할 수 없다.
쥐에, 순수한 DPA에 단기간 투여는 유의하게 간에 DHA의 농도 및 역변환 과정에 의해, 간, 심장 및 골격근에 EPA의 농도를 증가시켰다(Kaur et al., (2010) Br J Nutr 130, 32-7). 특히 쥐의 신장에서 DPA로부터 EPA로의 명백한 역변환은 또한 다른 사람에 의해 최근 연구에서 입증되었다.
인간에서, 식후 대사 및 정화된 n-3 DPA의 생물학적 영향과 관련된 지식은 제한적이다.
트리글리세라이드의 고 레벨과 관련된 증상, 예컨대 심혈관-관련 질환, 비만, 및 알코올 중독의 발생 빈도는 최근 세계적으로 증가를 나타내므로 이러한 조건에 대한 개선된 치료법을 필요로 한다.
도 1은 올리브 오일(열린 원), 또는 EPA와 올리브 오일(닫힌 사각형) 또는 DPA와 올리브 오일(닫힌 삼각형)을 포함한 식사 후 (a) 혈장 내에 트리아실클리세롤 농도(mmol/l +/- 표준 편차, n=10) 및 (b) 킬로미크론 리치(rich) 단편을 보여준다. 올리브 오일 식사 후(p=0.021) 또는 EPA 식사 후(p=0.034) 일치하는 영역과 비교하였을 경우 DPA 식사 후 킬로미크론 TAG 커브 하에 증가 영역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장에서, DPA와 컨트롤 식사 후 TAG 영역 간의 상이함은 유의한 경향성을 나타냈다(p=0.078). 올리브 오일 아침식사와 DPA 아침식사 간의 각 시점에 유의한 차이(p<0.05)는 별표로 표시하였다.

도 2는 올리브 오일(올리브, 흰색 바) 또는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 회색 바) 또는 도코사펜타에노산(docosapentaenoic acid: DPA, 검은색 바)과 혼합된 올리브오일을 포함하는 식사 1-5 시간 후 식후의 킬로미크론 트리아실클리세롤 지방산(20:4n-6, 20:5n-3, 22:5n-3 및 22:6n-3)을 보여준다. 바의 시리즈는 채혈한 시간(1-5 시간)을 나타내고 별표는 일치하는 시점에 식사 간격 간의 유의성을 보여준다. 값은 전체 킬로미크론 트리아실클리세롤 지방산의 몰 비율(평균 +/- 표준 편차, n=10)이다. 관찰된 간격: EPA(20:5n3) 1-5 시간 EPA 식사 및 올리브 오일 식사; 1-5 시간 EPA 식사 및 DPA 식사; DPA(22:5n3) 2 시간, 3 시간 (p=0.06), 4-5 시간 DPA 식사 및 올리브 오일 식사 ; 3-5 시간 DPA 식사 및 EPA 식사; DHA(22:6n3) 2 시간, 3 시간 DPA 식사 및 올리브 오일 식사 ; 올리브 오일 식사에 5시간 EPA 식사.

도 3은 올리브 오일(올리브, 흰색 바) 또는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 회색 바) 또는 도코사펜타에노산(docosapentaenoic acid: DPA, 검은색 바)과 혼합된 올리브오일을 포함하는 식사 1-5 시간 후 식후의 킬로미크론 인지질 지방산(20:4n-6, 20:5n-3, 22:5n-3 및 22:6n-3)을 보여준다. 바의 시리즈는 채혈한 시간(1-5 시간)을 나타내고 별표는 일치하는 시점에 식사 간격 간의 유의성을 보여준다. 값은 전체 킬로미크론 인지질 지방산의 몰 비율(평균 +/- 표준 편차, n=10)이다. 관찰된 간격: EPA(20:5n3) 2 시간 EPA 식사 및 올리브 오일 식사; 2 시간 EPA 식사 및 DPA 식사; DPA(22:5n3) 2 시간 EPA 식사 및 올리브 오일 식사; DHA(22:6n3) 2시간 EPA 식사 및 올리브 오일 식사.
도 4는 대략 1, 3 및 5 시간에 올리브 오일(흰색 바), 에이코사펜타엔산과 혼합된 올리브 오일(EPA, 20:5n-3, 회색 바) 및 도코사펜타에노산과 혼합된 올리브 오일(DPA, 22:5n-3, 검은색 바)을 포함하는 아침식사 후 트리아실글리세롤(아실 카본 수: 이중결합의 수)을 포함하는 PUFA를 보여준다. 반 정량적 값은 전체 킬로미크론 TAGs의 몰랄 퍼센트(평균 +/- 표준 편차, n=10)로 표현하였다. 자연적 손실 실험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일반적인 트리아실클리세롤은 바의 각 그룹 위에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인간 대상의 도코사펜타에노산; DPA (22:5n-3) 및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20:5n-3)의 식후 대사에 이어서 상기 지방산의 섭취를 비교 및 연구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분자 레벨 리피도믹(lipidomic) 분석 방법은 킬로미크론(chylomicrons) 트리아실글리세롤(triacylglycerols: TAG) 및 인지질에서 n-3 고도불포화 지방산의 특정 실험과 인간 혈장에 지질의 구조 및 조성물을 발견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혈장 및 킬로미크론-리치(rich) 단편 모두에서 트리클리세라이드 레벨이 DPA 단독 섭취 후에 공복 수준에 근접하게 남아있으며 더욱이, DPA는 트리클리세라이드에서 EPA의 비율이 증가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실질적으로 정제된 DPA가 심혈관 질환, 킬로미크론혈증 증후군 및 비만과 같은 고 혈장 트리클리세라이드와 관련된 질환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낮추는 것에 대한 이점을 강하게 제시한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정제된 형태의 n-3 도코사펜타엔산(docosapentaenoic acid: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식후 트리클리세라이드에서 EPA의 비율이 증가시키지 않았다. 일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식후 킬로미크론혈증을 감소시킨다.
일 예에서, n-3 DPA는 유리 지방산 형태로 제공된다. 일 예에서, 상기 n-3 DPA는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로 제공된다. 일 예에서, 상기 n-3 DPA는 에틸 에스테르 형태로 제공된다.
일 예에서, 상기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는 조성물의 최소 10%, 최소 20%, 최소 30%, 최소 40%, 최소 50%, 최소 60%, 최소 70%, 최소 80%, 최소 90%, 최소 95%, 최소 96%, 최소 97%, 최소 98%, 최소 99%, 최소 99.5%, 최소 99.8 중량%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거나 또는 대상의 혈액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식후 상승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용도를 위한 n-3 도코사펜타엔산(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에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용도를 위한 n-3 도코사펜타엔산(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예에서, n-3 DPA는 유리 지방산 형태로 제공된다. 일 예에서, 상기 n-3 DPA는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로 제공된다. 일 예에서, 상기 n-3 DPA는 에틸 에스테르 형태로 제공된다.
본 명세서는 또한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hypertriglyceridemia) 또는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대상(subject)에서 치료 또는 예방하는 용도를 위한 정제된 n-3 도코사펜타엔산(DPA) 또는 그의 유도체의 용도, 또는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에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용도를 위한 정제된 n-3 도코사펜타엔산(DPA) 또는 그의 유도체의 용도, 또는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예에서 대상에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을 투여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해 찾아낸 중요한 발견으로 EPA의 투여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효과로 DPA의 투여가 킬로미크론에 지방산의 결합을 거의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상기 조성물의 투여는 식후 트리글리세라이드에서 EPA의 비율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식후 킬로미크론혈증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일 예에서, 식후 킬로미크론혈증에 감소는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 5 시간 내에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치료 또는 예방하거나 또는 대상에 혈액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식후 상승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것에 대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정제된 n-3 도코사펜타엔산(DPA) 또는 그의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대상에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에 공복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유효한 시간 동안 정제된 n-3 도코사펜타엔산(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복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예에서, 상기 방법은 식후 트리글리세라이드에서 EPA의 비율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일 예에서, 상기 방법은 식후 킬로미클론혈증을 감소시킨다.
일 예에서, 상기 치료받는 대상은 최소 약 200 mg/dl, 최소 약 300 mg/dl, 최소 약 400 mg/dl, 최소 약 500 mg/dl, 최소 약 600 mg/dl, 최소 약 700 mg/dl, 최소 약 800 mg/dl, 최소 약 900 mg/dl, 최소 약 1000 mg/dl, 최소 약 1100 mg/dl, 최소 약 1200 mg/dl, 최소 약 1300 mg/dl, 최소 약 1400 mg/dl, 또는 최소 약 1500 mg/dl의 공복 레벨 기준을 갖는다. 일 예에서, 상기 치료받는 대상은 약 400 mg/dl에서 약 2500 mg/dl, 약 450 mg/dl에서 약 2000 mg/dl 또는 약 500 mg/dl에서 약 1500 mg/dl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 공급 또는 공복 기준을 갖는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500 mg/dl에서 약 2000 mg/dl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 공복 기준을 갖는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공복 트리글리세라이드의 감소가 대상에서 발생하는지 여부를 손쉽게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예에서, 비교는 n-3 도코사펜타엔산(DPA) 또는 그의 유도체의 투여 전 및 후 측정된 공복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 간에 이루어진다.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의 측정에 시간 주기는 최소 24 시간, 몇 일, 몇 주 또는 몇 달일 수 있지만, 임상적 판단에 따를 것이다. 공복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의 감소 퍼센트는 최소 5%, 최소 10%, 최소 15%, 최소 20%, 최소 30%, 최소 35%, 최소 40%, 최소 45%, 최소 5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효율적인 양을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치료 또는 예방 또는 대상에 혈액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식후 상승에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효율적인 양을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방법 제공한다.
일 예에서, 본 발명에 어떠한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n-3 DPA는 유리 지방산 형태로 제공된다. 일 예에서, 상기 n-3 DPA는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로 제공된다. 일 예에서, 상기 n-3 DPA는 에틸 에스테르 형태로 제공된다.
일 예에서, 본 발명에 어떠한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치료는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의 감소를 발생시킨다. 일 예에서, 본 발명에 어떠한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치료는 혈장 킬로미크론혈증에 감소를 발생시킨다.
일 예에서, 본 발명에 어떠한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에 따르면, 혈액 트리글리세라이드는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혈청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혈액 내에 킬로미크론-리치(rich) 단편이다.
일 예에서, 본 발명에 어떠한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조성물을 투여 받지 않은 대상에 비해 지질 단백질 입자 사이즈가 감소된다.
일 예에서, 본 발명에 어떠한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최소 10%, 최소 20%, 최소 30%, 최소 40%, 최소 50%, 최소 60%, 최소 70%, 최소 80%, 최소 90%, 최소 95%, 최소 96%, 최소 97%, 최소 98%, 최소 99%, 최소 99.5%, 최소 99.8 중량%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본 발명에 어떠한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 또는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DHA) 또는 EPA와 DHA의 혼합보다 약 10% 이하를 포함, 약 9% 이하를 포함, 약 8% 이하를 포함, 약 7% 이하를 포함, 약 6% 이하를 포함, 약 5% 이하를 포함, 약 4% 이하를 포함, 약 3% 이하를 포함, 약 2% 이하를 포함, 약 1% 이하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DHA 및/또는 EPA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DHA 및/또는 E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상기 n-3 DPA는 알부민에 결합된다.
일 예에서, 본 발명에 어떠한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과 관련된 질환은 (i) 심혈관-관련 질환, (ii) 루마티스성 관절염, (iii) 레이노(Raynaud) 증후군, (iv) 낭창(lupus), (v) 생리통, (vi) 타입 II 당뇨병, (vii) 비만, (viii) 결장 질환, (viv) 골관절염, (x) 기능 저하증, (xi) 신장 질환 및 (xii) 골다공증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예에서, 상기 질환은 가족성의 지질단백질 리파아제 결핍증(킬로미크론혈증 증후군)이다.
일 예에서, 본 발명의 어떠한 용도 또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대상은 정상 수준(즉 >150 mg/dl) 이상 증가된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을 발생시키는 약물로 치료된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i) 타목시펜(tamoxifen), (ii) 스테로이드, (iii) 베타-블로커(beta-blockers), (iv) 이뇨제, (v) 에스트로겐, (vi) 경구 레티오이드류 및 (vii) 피임약으로부터 선택된 약물을 복용한다.
일 예에서, 본 발명의 어떠한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대상은 프로테아제 억제제 약물을 복용하는 HIV 대상자이다.
일 예에서, 본 발명의 어떠한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대상은 알코올 중독자이다.
일 예에서, 본 발명의 어떠한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대상은 가족성 지질단백질 리파아제 결핍증(킬로미크론혈증 증후군)을 갖는다.
일 예에서, 본 발명의 어떠한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대상에 i) 스타틴(statins), ii) 피브레이트(fibrates), iii) 니코틴산(nicotinic acid), iv) LovazaTM(n-3 EPA 에틸 에스테르 및 n-3 DHA 에틸 에스테르 제형 포함) 및 v) VascepaTM(n-3 EPA 제형 포함) 중 하나 이상 선택된 기존의 제제로 치료하고,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이 증가 또는 감소되지 않는 것을 경험하였다. 일 예에서, 하나 이상의 상기 제제로서의 치료를 중단하고 본 발명의 용도 또는 방법에 의해 치료하였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다음 i) 고혈압 약물, ii) 항응고제 iii) 당뇨병 약물, iv) 아스피린, v)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및 vi) 만성 건선을 위한 국소 스테로이드를 하나 이상을 복용하지 않는다.
일 예에서, 본 발명은 스타틴 또는 니아신 연장 방출성 단독요법으로 치료가 불충분한(프레드릭슨 타입 IV 과지질혈증) 대상에서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을 감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대상에 초고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예컨대, 타입 IV 및 V 과지질혈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예에서, 본 발명의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에 따라 치료받은 상기 대상은 약 250 nmol/㎖ 이하, 약 200 nmol/㎖ 이하, 약 150 nmol/㎖ 이하, 약 100 nmol/㎖ 이하 또는 약 50 nmol/㎖ 이하의 총 지방산의 공복 기준 절대 혈장 레벨을 나타낸다.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은 약 70 ㎍/㎖ 이하, 약 60 ㎍/㎖ 이하, 약 50 ㎍/㎖ 이하, 약 40 ㎍/㎖ 이하, 약 30 ㎍/㎖ 이하, 또는 약 25 ㎍/㎖ 이하의 공복 기준 혈장, 혈장 또는 적혈구 막 n-3 DPA 레벨을 나타낸다.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은 혈장에 총 지방산의 약 0.40% 이하의 공복 기준 혈장 n-3 DPA 레벨을 나타낸다.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은 적혈구에 총 지방산의 약 1.8% 이하의 공복 기준 적혈구 n-3 DPA 레벨을 나타낸다.
일 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초기 치료 전 대상의 기준 지질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다음을 하나 이상 갖는 대상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 약 200 mg/dl에서 약 400 mg/dl, 또는 최소 약 210 mg/dl, 또는 최소 약 220 mg/dl, 또는 최소 약 230 mg/dl, 또는 최소 약 240 mg/dl, 또는 최소 약 250 mg/dl, 또는 최소 약 260 mg/dl, 또는 최소 약 270 mg/dl, 또는 최소 약 280 mg/dl, 또는 최소 약 290 mg/dl, 또는 최소 약 300 mg/dl의 기준 비-HDL-C 레벨;
(ii) 약 250 mg/dl에서 약 400 mg/dl, 또는 최소 약 260 mg/dl, 또는 최소 약 270 mg/dl, 또는 최소 약 280 mg/dl, 또는 최소 약 290 mg/dl, 또는 최소 약 300 mg/dl의 기준 총 콜레스테롤 레벨;
(iii) 약 140 mg/dl에서 약 200 mg/dl, 또는 최소 약 150 mg/dl, 또는 최소 약 160 mg/dl, 또는 최소 약 170 mg/dl, 또는 최소 약 180 mg/dl, 또는 최소 약 190 mg/dl의 기준 VLDL-C 레벨;
(iv) 약 10에서 약 60 mg/dl, 또는 약 40 mg/dl 이하, 또는 약 35 mg/dl 이하, 또는 약 30 mg/dl 이하, 또는 25 mg/dl, 또는 약 20 mg/dl 이하, 또는 약 15 mg/dl 이하의 기준 HDL-C 레벨; 및/또는
(v) 약 50에서 약 300 mg/dl, 또는 약 100 mg/dl 이상, 또는 약 90 mg/dl 이상, 또는 약 80 mg/dl 이상, 또는 약 70 mg/dl 이상, 또는 약 60 mg/dl 이상, 또는 약 50 mg/dl 이상의 기준 LDL-C 레벨.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대상의 공복 apoB-48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론에 얽매이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혈청 apoB-48 레벨은 콜레스테롤 레벨과 연관성이 없지만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와는 연관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Sakai N et al (2003) Journal of Lipid Research vol 44:1256).
일 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한 다음의 치료, 상기 대상은 하나 이상의 다음의 결과를 나타낸다:
(i) 기준에 비해 최소 약 5%, 최소 약 10%, 최소 약 15%, 최소 약20%, 최소 약 30%, 최소 약 35%, 최소 약 40%, 최소 약 45%, 최소 약 50%, 최소 약 55%, 최소 약 60%, 또는 최소 약 70%의 혈청 또는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의 감소;
(ii) 비-HDL-C 레벨에 30% 미만의 증가, 20% 미만의 증가, 10% 미만의 증가, 5% 미만의 증가 또는 기준에 비해 증가하지 않는 또는 최소 약 1%, 최소 약 3%, 최소 약 5%, 최소 약 10%, 최소 약 15%, 최소 약 20%, 최소 약 25%, 최소 약 30%, 최소 약 35%, 최소 약 40%, 최소 약 45%, 최소 약 50%, 최소 약 55% 또는 최소 약 75%의 비-HDL-C 레벨의 감소;
(iii) 주로 HDL-C 레벨에 변화가 없고, HDLC 레벨에 변화가 없고, 또는 기준에 비해 최소 약 5%, 최소 약 10%, 최소 약 20%, 최소 약 25%, 최소 약 30%, 최소 약 35%, 최소 약 40%, 최소 약 45%, 최소 약 50%, 최소 약 55%, 또는 최소 약 75% 의 HDL-C의 증가;
(iv) LDL-C 레벨에 60% 미만의 증가, 50% 미만의 증가, 40% 미만의 증가, 30% 미만의 증가, 20% 미만의 증가, 10% 미만의 증가, 5% 미만의 증가 또는 증가하지 않는 또는 기준에 비해 최소 약 5%, 최소 약 10%, 최소 약 15%, 최소 약 20%, 최소 약 25%, 최소 약 30%, 최소 약 35%, 최소 약 40%, 최소 약 45%, 최소 약 50%, 최소 약 55% 또는 최소 약 75%의 LDL-C 레벨의 감소;
(v) 기준에 비해 최소 약 5%, 최소 약 10%, 최소 약 15%, 최소 약 20%, 최소 약 25%, 최소 약 30%, 최소 약 35%, 최소 약 40%, 최소 약 45%, 최소 약 50% 또는 최소 약 100%의 VLDL 레벨의 감소.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기준에 비해 아포지질단백질 B100(apo B) 레벨의 감소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기준에 배해 아포지질단백질 A-I(apo A-I) 레벨의 증가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기준에 비해 apo A-I/apo B100 비율의 증가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기준에 비해 지질단백질(a) 레벨의 감소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기준에 비해 평균 LDL 입자 수의 감소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기준에 비해 산화된 LDL의 감소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기준에 비해 포스포리파아제 A2의 감소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기준에 비해 세포내 부착 분자-1의 감소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기준에 비해 플라즈미노겐 활성제 억제제-1의 감소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기준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의 감소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기준에 비해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hsCRP)의 감소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본 발명 따른 어떠한 방법 또는 용도에 따르면, 상기 대상은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본 발명에 따라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섭취 12 시간 전에 금식한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본 발명에 따라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섭취 10 시간 동안 금식한다.
일 예에서, 상기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식후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의 증가를 방지한다.
일 예에서, 식후의 트리글리세라이드가 최소 약 1-12 시간, 최소 약 2-10 시간, 최소 약 3-8 시간, 또는 최소 약 2-5 시간 동안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본 발명에 따라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체중 감량 보충제를 제공한다. 일 예에서, 상기 체중 감량 보충제는 고상 식품 또는 음료와 혼합될 수 있는 경구 형으로 제공된다. 일예에서, 체중 감량 보충제는 경구 섭취용 캡슐로서 제공된다. 일 예에서, 체중 감량 보충제는 비만 환자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에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본 발명에 따라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사용하여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체중 감량 보충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제를 제공한다. 일 예에서, 상기 식품 첨가제는 고상 식품에 첨가된다. 일 예에서, 상기 식품 첨가제는 액상 식품에 첨가된다. 일 예에서, 상기 식품 첨가제는 동물 사료에 첨가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본 발명에 따라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에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식품 첨가제로서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 예에서, 상기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기능성 식품, 영양-보충 식품, 유아 또는 미숙아에게 먹이기에 적합한 제조물, 임산부용 식품, 및 노인용 식품으로부터 선택된 식품에 식품 첨가제로서 사용된다. 일 예에서, 상기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는 카르니틴 및/또는 피브레이트와 결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동물 사료에 보충하기 위한 식품 첨가제로서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장품 제형으로서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 예에서, 상기 화장품 제형은 국소적 제형이다. 일 예에서, 상기 국소적 제형은 보습 크림 또는 로션, 막대형비누, 립스틱, 샴푸 또는 건조, 습진 및 건선을 위한 피부 치료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또는 대상에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용도에 대한 설명서와 함께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일 예에서, 상기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n-3 DPA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하루에 약 1-4 번 대상에게 투여된다.
일 예에서, 상기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n-3 DPA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음식 섭취 전에, 음식 섭취 동안에 또는 음식 섭취 후 바로 투여한다. 일 예에서, 상기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n-3 DPA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음식 섭취 전 1 시간 이내, 30 분 이내 또는 15 분 이내에 대상에게 투여된다. 일 예에서, 상기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n-3 DPA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음식 섭취 후 15 분 이내, 30 분 이내 또는 45 분 이내에 투여된다.
일반적 기재
본 명세서에서 명시된 다양한 정량 값에서 수치 값의 사용은,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언급한 범위 내에 최소 및 최대 값을 명시하는 근사치는 모두 “약”이라는 단어로 시작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값에 의해 형성될수 있는 어떠한 범위뿐만 아니라 인용된 최소 및 최대 값 사이의 모든 값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범위로 여겨진다.
용어 "및/또는", 예컨대, "X 및/또는 Y"는 "X 및 Y" 또는 "X 또는 Y"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양쪽의 의미 또는 어느 하나의 의미에 대한 명백한 뒷받침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하거나 또는 문맥에 따라 달리 해석되지 않는 한, 단계의 예, 물질의 조성, 단계의 그룹 또는 물질의 조성물에 그룹 또는 단계, 물질의 조성물들은 물질의 조성물에 단계 또는 그룹의 이들의 하나 및 복수(즉, 하나 이상)를 포함하여 취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은 당업계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변이 및 다른 변형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모든 변이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들을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 및 조합하여 그리고 임의의 모든 조합 및 임의의 2개 이상을 포함하는 단계 또는 기능들이 언급 또는 설명된, 모든 단계, 특징, 조성물과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는 본원에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의한 범위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능적으로 유사한 제품, 조성물 및 방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 내에 속하는 것임을 명백히 한다.
본 명세서의 어떤 예는 구체적으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어떠한 다른 예에서 준용하여 취해져야 한다.
선택된 정의들
본 명세서에 전반에 걸쳐, 문맥에 따라 달리 해석되지 않는 한, 용어 “포함하는” 또는 “포함하는”또는 “포함”과 같은 변형은 명시된 단계 또는 요소 또는 정수 또는 요소 또는 정수 또는 단계의 그룹의 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지만, 다른 단계 또는 요소 또는 정수 또는 요소 또는 정수의 그룹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킬로미크론(chylomicron)”은 트리글리세라이드(85-92%), 인지질(6-12%), 콜레스테롤(1-3%) 및 단백질(1-2%)로 구성된 지질단백질 입자를 의미한다. 킬로미크론은 혈류 내에서 이동하는 지방 및 콜레스테롤이라 할 수 있는 지질단백질(킬로미크론, VLDL, IDL, LDL, HDL)의 하나 또는 다섯 가지의 주요 그룹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DPA"는 오메가-3(ω3 또는 n-3)를 의미하고 천연 형태,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 유리 지방산 형태, 인지질 형태 뿐만 아니라 화학적 변형, 결합, 이의 염 또는 앞서 기술한 어떠한 혼합물에 의해 제조된 유도체 형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DPA의“그의 유도체”는 알킬 에스테르, 에틸 어세테르, 메틸 에스테르, 프로필 에스테르 또는 부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른 예에서, 상기 DPA는 에틸-DPA, 리튬-DPA, 모노-, 디-,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DPA 또는 DPA의 어떠한 다른 에스테르 또는 염, 또는 DPA의 자유 산 형태의 형태이다. DPA는 또한 2-치환 유도체 또는 산화 속도는 느리지만 어떠한 상당한 정도에 생물학적 작용에 달리 변화가 없는 다른 유도체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심장 혈관 관련 질환”은 심장 또는 혈관(예컨대, 동맥 및 정맥)의 어떠한 질병 또는 질환 및 이의 어떠한 증상을 의미한다. 심장 혈관 관련 질병 및 질환의 비-제한적인 예는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과콜레스테롤혈증, 혼합 고지혈증, 관상동맥 심장질환, 혈관 질환, 뇌졸증, 동맥경화, 부정맥, 고혈압, 심근 경색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대상”은 인간 또는 비-인간 대상을 포함하는, 어떠한 대상을 의미로 취해져야 한다. 상기 비-인간 대상은 비-인간 영장류, 유제류(소, 돼지, 양, 염소, 말, 물소 및 들소), 개, 고양이, 토끼목(토끼, 산토끼 및 새앙 토끼), 설치류(마우스, 쥐, 기니피그, 햄스터 및 게르빌루스쥐), 조류 및 생선을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인간이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은 전통적 서양 식단을 섭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서양 식단”은 일반적으로 총 칼로리의 퍼센트에 약 45%에서 약 50% 탄수화물, 약 35%에서 약 40% 지방 및 약 10%에서 약 15% 단백질로 구성된 전형적인 식단을 의미한다. 서양 식단은 대체로 또는 부가적으로
붉고 가공된 고기, 사탕류, 개량된 곡물 및 디저트를 상대적으로 높게, 예를 들어 원천으로부터 총 칼로리의 50% 이상, 60% 이상, 또는 70% 이상의 섭취로 특징지어 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은 3 개의 지방산과 결합하는 글리세롤로 구성된 에스테르를 의미한다. 트리글리세라이드는 포화 및 불포화 화합물로 나뉠 수 있다. 포화 화합물은 수소원자와 결합할 수 있는 탄소원자가 점유한 장소 전체를 이용할 수 있는, 수소로 포화된다. 불포화 화합물은 수소원자가 탄소원자와 결합할 수 있는 장소의 수를 감소시키는 탄소원자 사이에 이중 결합을 갖는다. 포화 화합물은 수소 원자와 결합하는 다른 결합과 탄소 원자 사이의 단일 결합을 갖는다. 불포화 지방은 높은 멜팅(melting)점을 갖는 고상일 가능성이 높다.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자유롭게 세포막을 통과 할 수 없다. 리포단백질 리파아제는 지방산과 클리세롤로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분해해야 한다. 유리 지방산은 지방산 수송체를 통해 세포로 흡수될 수 있다.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초 저밀도 지질단백질 및 킬로미크론의 주요 성분이고 에너지원 대사 및 식이 지방의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은 공복 레벨 상의 혈장 또는 혈청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 상승을 의미하고 일반적으로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높은 혈중 레벨을 의미한다. 높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은 일반적으로 약 200에서 약 499 mg/dl 범위이다. 매우 높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은 일반적으로 >500 mg/dl 이다. 기준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일반적으로 대상이 공복 상태인, 즉, 상기 대상이 8 및 12 시간 동안 금식한 경우에 측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지방산”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인지질로부터 파생된 분자를 의미하고 포화 또는 불포화 상태에 하나의 긴 지방족 꼬리(체인)과 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된다. 다른 분자에 부착하지 않는 경우, 그것들은 “유리”지방산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지방산은 4-28 탄소 원자 짝수 체인을 갖는다. 단쇄 지방산(SCFA)은 여섯 개 이하의 탄소 지방족 꼬리를 갖는 지방산이다. 중쇄 지방산(MCFA)은 6-12 탄소의 지방족 꼬리를 갖는 지방산이다. 장쇄 지방산(LCFA)은 13-21 탄소의 지방족 꼬리를 갖는 지방산이다. 긴 사슬 지방산(VLCFA)은 22 탄소의 지방족 꼬리를 갖는 지방산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고도불포화 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s)”또는 PUFAs는 백본에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지방산을 의미한다. 불포화는 분자가 수소의 최대량 미만을 포함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고도불포화 지방산은 오메가 3 및 오메가 6 형태 지방산으로 나뉠 수 있다. 오메가 3 지방산은 메틸 탄소로부터 3 개 탄소가 떨어져 이중결합을 갖는다. 오메가 3 불포화 지방산의 예는 헥사데카트리엔산(hexadecatrienoic acid)(16:3 (n-3)),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18:3(n-3)), 스테아리돈산(stearidonic acid)(18:4 (n-3)), 에이코사트리엔산(eicosatrienoic acid)(20:3 (n-3)), 에이코사테트라엔산(eicosatetraenoic acid)(20:4 (n-3)),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20:5 (n-3)), 헨에이코사펜타엔산(heneicosapentaenoic acid)(21:5 (n-3)), 도카사펜타엔산(docasapentaenoic acid)(22:5 (n-3)),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22:6 (n-3)), 테트라코사펜타엔산(tetracosapentaenoic acid)(24:5 (n-3)), 테트라토사헥사엔산(tetracosahexaenoic acid)(24:6 (n-3))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효량”은 500 mg/dl에서 약 2000 mg/dl 및/또는 대상에 심혈관 질병 또는 질환에 감소 또는 완화에 충분한 공복 기준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을 갖는 대상에 공복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감소시키는 DPA 또는 유도체 또는 이의 조합의 충분한 양을 의미하도록 한다. 당업계의 기술자는 예를 들어, 특정 대상 및/또는 형태 또는 질병의 심각성 또는 레벨에 의존하여 양이 변화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용어는 특정 양으로 발명의 조성물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예컨대, DPA 및/또는 유도체(들)의 중량 또는 양에 대한 것이며, 오히려 본 발명은 대상에서 명시된 결과를 달성하기위해 충분한 DPA 및/또는 유도체(들)의 어떠한 양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유효량”은 “치료학적 유효량”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기 용어 “치료학적 유효량”은 질환의 임상적 진단 또는 임상적 특성을 관찰하고 지정한 낮은 레벨로서 상승된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과 관련된 임상 질환에 하나 이상의 증상을 감소, 억제 또는 예방하는 DPA의 충분한 양을 의미하도록 한다. 상기 용어는 또한 의문의 물질이 대상 또는 조성물에 다른 구성요소와 상호작용으로 허용하지 않는 독성을 생산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업계의 기술자는 예를 들어, 특정 대상 및/또는 형태 또는 질병의 심각성 또는 레벨에 의존하여 양이 변화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용어는 특정 양으로 발명의 조성물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예컨대, DPA 및/또는 유도체(들)의 중량 또는 양에 대한 것이며, 오히려 본 발명은 대상에서 명시된 결과를 달성하기위해 충분한 DPA 및/또는 유도체(들)의 어떠한 양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하는”, “치료하다” 또는 “치료”는 명시된 질환의 최소 하나에 증상을 감소 또는 제거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된 n-3 DPA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상기 치료는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한 n-3 DPA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감소는 공복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의 기준 레벨에 대하여 특정 시간 주기 동안 측정된다. 일 예에서,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에 감소는 기준에 비해 최소 약 5%, 최소 약 10%, 최소 약 15%, 최소 약 20%, 최소 약 25%, 최소 약 30%, 최소 약 35%, 최소 약 40%, 최소 약 45%, 최소 약 50%, 최소 약 60%, 최소 약 70%, 최소 약 80% 또는 최소 약 90% 이다. 일 예에서, 치료는 또한 예방적 치료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하는”, “예방하다” 또는 “예방”은 명시된 질환의 최소 하나의 증상에 발전을 정지 또는 방해하기 위하여 충분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n-3 DPA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의 투여는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식후 상승을 억제한다.
용어 “실질적으로 정제된”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가 세포 물질 또는 DPA가 파생된 원천에서 오염 단백질이 실질적으로 없다 것으로 이해된다. 일 예에서, 상기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는 최소 10%, 최소 20%, 최소 30%, 최소 40%, 최소 50%, 최소 60%, 최소 70%, 최소 80%, 최소 90%, 최소 95%, 최소 96%, 최소 97%, 최소 98%, 최소 99%, 최소 99.5%, 최소 99.8% 중량이 포함된다. 상기 용어는 또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10% 이하,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5% 이하, 4% 이하, 3% 이하, 2% 이하, 1% 이하, 0.5% 이하에 EPA 또는 DHA 또는 EPA와 DHA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 지질단백질의 측정
지질 파라미터의 측정은 임상적으로 허용가능한 방법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글리세라이드, 전체 콜레스테롤, HDL-C 및 공복 혈당은 혈장으로부터 샘플링하여 종래에 알려진 방법에 따라 표준 측광 기술을 사용하여 또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LDL-C 및 VLDL-C는 초원심분리기 및 후속 정량 분석기에 의해 혈장 지질단백질 분획을 사용하여 수치화되거나 또는 측정될 수 있다. Apo A1, Apo B 및 hsCRP은 표준 네펠로메트리(nephelometry) 기술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a) 지질단백질은 표준 비탁(turbidimetric) 면역 기술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포스포리파아제 A2는 효소 면역분리(enzymatic immunoseparation) 기술을 사용하여 EDTA 혈장 또는 혈정으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산화된 LDL 및 세포 내 부착 분자-1(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은 표준 효소 면역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혈장으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표준 교재, 예컨대 Tietz Fundamentals of Clinical Chemistry, 6th Ed. (Burtis, Ashwood and Borter Eds.), WB Saunders Company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코사펜타엔산(Docosapentaenoic acid: DPA)(22:5n-3)
혈장 및 적혈구 모두에 n-3 DPA는 식용 생선 또는 장쇄 n-3 지방산 섭취와 거의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Jing Qi Sun et al (2008) Am J Clin Nutr 88:216-23).
인 비보, DPA는 24:5n-3 및 생산된 DHA에 퍼옥시좀(peroxisomal) 베타-산화 전 24:6n-3에 불포화에 연장(elongation)을 DHA에서 DPA의 변환에 필요로 하는 동안 지방산 엘론게아제(elongases) 2, 5의 작용에 의하여 EPA의 사슬 연장에 의해 형성된다. 최근 검토된 바와 같이, ALA 보충제는 일반적으로 혈장 EPA 및 DPA에 증가를 초래하지만, DHA 레벨에는 작은 영향 또는 영향이 없다(Brenna et al., (2009)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s 80:85-91).
n-6 지방산은 DAP의 다른 이성질체(isomer)이다. n-6 DPA 함량은 고환 조직을 제외한, 대부분의 동물 조직에서 낮다. 생선 및 생선 오일에서, DPA의 n-3 이성질체는 실질적으로 n-6 이성질체보다 높다. n-3 및 n-6 DPA의 생리학적 작용은 아실 사슬의 두 이중 결합의 위치에도 불구하고 완전하게 다르다.
n-3 DPA는 순수한 화합물의 제한된 가용성 때문에 광범위하게 연구되지 않는다. 인 비트로 n-3 DPA는 EPA로 다시 역-변환되지만, 쉽게 DHA로의 대사가 나타나지는 않는다. 인 비보 연구들은 주로 간에서, DHA에서 n-3 DPA의 제한된 변환을 나타내지만, 또한 EPA로의 역-변환은 다수의 조직에서 명백하게 나타난다.
n-3 DPA의 유용성
본 발명의 연구 결과는 정제된 n-3 DPA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낮은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에 정제된 n-3 DPA에 대한 중요한 역할을 제시한다. 상기 대상은 다이어트 또는 유전적인 메카니즘을 통해 발생되는 심혈관 질병의 위험이 있는 사람들 일 수 있다.
단독 n-3 DPA의 섭취 후 공복 레벨에 가깝게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이 유지되다는 점은 단독 n-3 DPA는 시판 중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EPA에 강력한 대안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체중 제어 또는 체중 감량을 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하여 유효한 체중 감량 보충제로 제공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구 결과는 또한 비만 치료에서의 정제된 n-3 DPA에 대한 역할을 제시한다.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비만치료 보급 경쟁을 위한 새로운 도구가 필요하다. 현재 리파아제 억제제인, 오를리스타트(orlistat)는 오직 비만을 위한 장-기간 치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수많은 약물들이 비만 치료제로 승인되었다: 그러나 암페타민(amphetamine), 리모나반트(rimonabant) 및 시부트라민(sibutramine)과 같은 대부분의 치료제의 경우 부작용 때문에 시장에서 철수되었다.
GlaxoSmithKline에 의해 판매되는 Lovaza(미국) 및 OmacorTM(유럽)은 매우 높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을 낮추기 위한 것으로 미국 식품의약품국(FDA)에 의해 승인되었다. 오메가-3 지방산의 에틸 에스테르 최소 900 mg을 포함하는 각 1 g 캡슐은 생선 오일로부터 공급되었다. 대부분은 생선 오일의 다른 지방산을 구성하는 리마인더와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대략 465 mg, 약 50% EPA) 및 도코사헥사엔산(DHA- 대략 375 mg, 약 40%)의 에틸 에스테르의 조합이다. Lovaza는 또한 비활성 성분 α-토코페롤(tocopherol), 젤라틴(gelatin), 클리세롤(glycerol) 및 정제된 물을 포함한다(http://us.gsk.com/products/assets/us_lovaza.pdf for prescribing information 참조). 높은 또는 매우 높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갖는 환자에서 Lovaza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감소시킴이 입증되었고, VLDL-콜레스테롤 및 비-HDL 콜레스테롤은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은 증가시키는 것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Lovaza는 45% 이상 L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킬 수 있고 간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알라닌 트랜스아미나제(alanine transaminase) 레벨을 상승시킨다.
2012년 7월에, 아마린(Amarin) 회사의 약물, Vascepa는 FDA 승인을 받았다. 약물은 매우 높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뿐만 아니라 높은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치료를 위해 승인되었다. Vascepa의 각 캡슐은 에이소사펜타엑산(EPA)의 에틸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정제된 n-3 DPA의 효능은 정제되어 현재 시판 중인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낮추는 약물 가능성 및 실행 가능한 강력한 대안으로서 n-3 DPA가 제공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DPA의 정제
오메가-3 지방산은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두 지방산이 부착된 글리세롤) 및 인지질 형태(두 지방산 및 콜린과 같은 염기를 갖는 글리세롤)에 천연 형태에서 발견된다. 주 지질은 진화과정 동안 인간 조상에 의해 섭취되었을 것이다. 생선 오일 및 바다표범 오일에 n-3 EPA 및 n-3 DHA 뿐만 아니라 n-3 DPA이 포함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다른 지방산에 n-3 DPA의 상대적인 낮은 비율을 고려할 때, 대상에서 분석을 위한 순수한 형태로 n-3 DPA를 분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n-3 DPA은 고등어, 정어리, 청어, 대구, 참치, 꽁치 등과 같은 해양 동물의 지방 및 오일 그리고 해양 플랑크톤 또는 바다표범 지방 또는 오일로부터 얻을 수 있지만, 그 농도는 상기 원천에서 매우 낮다. 더욱이, 치료학적 유용성을 위해 n-3 DPA의 충분한 양을 바다표범 지방 또는 오일로부터 획득하는 것과 관련하여 중요한 윤리적 문제가 있다. n-3 DPA는 항-산화제와 혼합 및 HPLC를 사용하는 크로마트그래프 정제에 따른 n-3 EPA에 2 탄소 원자를 추가함으로서 n-3 EPA로부터 표준 기술에 의해 합성되어 제조될 수 있다.
n-3 EPA 제조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설명된다. 예를 들어, US 5840944 호는 지방산의 혼합물 및 천연 오일 및 지방으로부터 생산된 에스테르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분할에 대상에 EPA를 포함하는 증류를 유도하기 위한 수많은 증류 컬럼을 사용하여 높은 압력 하에서 정밀하게 정제하는 정제된 EPA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 제조 방법을 기술한다. EPA 정제의 다른 예에는 예를 들어, US 4331695, US 4377526, US 4615839, US 4792418, US 5006281, US 5518918, US 5130061, US 6451567, US 6800299, US 68446942, US 2005/0129739, US 2011/0098356, US7119118 Abu-Nasr et al (1954) J. Am. Oil Chemists Soc 31:41-45, Teshima et al (1978) in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Scientific Fisheries 44(8):927, and Belarbi El Hassan et al (2000) Enzyme and Microbial Technology 26:516-529)에 기술되어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EPA에 대한 제조방법은 다음 단락에서 설명된다. EPA로부터 수득된 오일은 지방산의 어떠한 실질적 분해를 방지하기에 가능할 만큼 가급적 신선하다. 바람직하게는, 본래 생선은 최대한 차가운 환경에서 얻는다.
효소 Δ5-불포화를 위한 최적의 효소학적 활성, EPA에서 에이코사테트라엔산의 전환에 촉진은 9℃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추운 환경에 생선은 따뜻한 물에 생선보다 EPA가 높다. 생선에 환경을 조절하여 EPA를 증가시킨 경우 더 많은 EPA 생산 양을 수득할 수 있다. 만약 생선에 α-리놀렌산이 풍부한 음식을 공급하고 9℃에 소금물에 놓아둔다면, EPA의 최적의 양이 생산될 것이다.
EPA를 포함하는 천연 지방 또는 오일은 감화(saponification) 또는 지방산의 에스테르 또는 지방산에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변환하기 위해서 알코올 분해 대상이다. 선택된 방법은, 그러나 높은 온도 및 과산화 및 시스-트랜스 변환을 초래할 수 있는 강 염기성 조건을 피해야 한다. 일 예에서, 가수분해 방법은 약 35-40℃ 온도 및 약 6-7 pH에 효소 리파아제를 사용하는 효소적 가수분해이다. 리파아제는 종래와 같이 시스테인 또는 아스코르브산의 트레이스에 의해 활성화되어야 한다. 천연 지방 및 오일의 가수분해를 위한 대체 방법은 지방 및 리파아제 또는 염기와 같은 오일에 부분적 가수분해이다. 수산화 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염기는 또한 부분적 천연지방 또는 오일을 가수 분해할 수 있다. 오일의 원천인 부분적으로 가수 분해된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약 15-20 분 동안 염기로 처리하였다.
가수분해 단계 후, 불감화된(unsaponified) 재료들은 메틸렌 클로라이드, 석유 에테르, 에틸 에테르 등과 같은 비극성 유기 용매로 제거하였다. 유기 용매는 비타민 A 및 D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비-감화된 재료 및 콜레스테롤, PCBs를 제거한다. 상기 과정은 원하는 순도에 도달 할 때 가지 여러 번 반복된다.
유리 지방산은 수성 단계에서 산성화에 의해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어떠한 산은, 아세트산과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성화는 별도 유기 단계에서 분리를 위한 유리 지방산을 발생할 것이다. 수성 단계를 그 다음에 폐지된다. 염화 나트륨고 같은 소량의 염의 추가는 분리를 향상시킬 것이다. 유리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기 단계는 그 후 아세톤으로 용해시키고 -20℃에서 하룻밤동안 냉장하엿다. 포화 지방산은 고화 및 필터링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오메가-3 지방산은 에탄올 및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염의 혼합물의 추가에 의한 아세톤 용액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혼합물을 약 -20℃에 냉동 하에 하룻밤동안 방치하였다. 아세톤은 증발시켰다. 상기 과정은 물의 양을 줄이기 위하여 여러 번 반복할 수 있다. 유리 지방산은 약제학적 허용가능한 또는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또는 토코페롤(tocopherol)과 같은 식품 등급 항산화제, 종래의 추가에 의한 산화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개별 DHA 및 EPA 오메가-3 지방산은 상이한 용해도를 갖는 산의 염 형성에 의해 각각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의 마그네슘 염은 아세톤에서 상이한 용해도를 갖는다. 용액은 약 -20℃에서 냉각 하에 하룻밤동안 놔둔다. DHA 염보다 아세톤에서 덜 용해되는 EPA 염은 흰색 조각으로 침전된다. 흰색 조각을 여과하고 산성화에 의한 염으로부터 재구성하였다. DHA 염은 용액 안에 유지되고, 상기 DHA는 용액을 산성화 및 종래의 방법에 의해 유리 DHA를 회복시켜 수득할 수 있다. 순수한 ω-3 지방산은 마그네슘 또는 지방산의 아세톤 염에서 용해되는 다른 그룹 II 금속 염의 아세톤에서 상이한 용해성을 기초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반면 예시된 과정은 지방산 EPA 염이 냉각하여 침전된 유기 용매로서 아세톤 사용에 반복으로 설명되고, 다른 유기 용매를 상기 목적에 사용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DHA로부터 EPA를 분리하기 위한 냉각 용액의 적당한 온도 및 부피 감소의 적적절한 양은 특정 용매 및 특정 EPA 및 DHA 염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상기 파라미터는 과도한 실험 없이 당업계의 기술자들에 의해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용액은 침전이 시작되는 약간 낮은 온도에서 냉각될 수 있으며 침전이 완료될 때까지 온도가 유지된다.
택일적으로, EPA의 유리 지방산은 크로마토그래피(예컨대, HPLC)의 사용에 의해 다른 지방산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낮은 알코올의 에스테르에 지방산의 변환 후 수행될 수 있다. 에스테르화는 알려진 조건, 예를 들어 실온에서 1-24 시간 동안, 10-50% BF3-에탄올 용액, 5-10% HCL-무수의 에탄올 용액과 같은 시약에 의한 처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저온 결정화, 우레아 첨가, 액상-액상 항류 분배 크로마토그래프 및 이와 같은 것은 혼합물로부터 EPA 에틸 에스테르 분리를 위하여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정제 EPA 에틸 에스테르로부터 유리 EPA를 수득하기 위하여, 상기 에스테르는 알칼리에 의해 가수분해되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및 이와 같은 유기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수득된 유리 EPA는 DPA를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EPA로부터 DPA의 제조는 연장 반응이 필수적이다. 상기 기술은 당업계의 기술자들에게는 익숙할 것이며, 예를 들어 US7968692, 및 US8071341를 참조한다. 상기 DPA는 크로마토그래피, 예컨대 HPLC에 의해 정제다.
정제 n-3 DPA(예컨대, Maxomega DPA 97 FFA)는 상업 제품 예컨대,Equateq (BASF)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Maxomega DPA 97 FFA는 유리 지방산 형태에서 DPA에 97 중량% 포함되고 천연 해양 EPA 에틸 에스테르 농축액(EPA 98 FFA)으로부터 생산된 합성 지방산이다. EPA(Maxomega EPA 98 FFA)는 생선 오일로부터 파생된 정제 제품이다. 생선 오일은 표준 정제 및 정제 기술에 의해 정제되고,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이 실시되고, 증류 및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농축되고, 가수분해, 정제 및 항-산화제와 혼합에 의해 지방산 형태로 변환된다. DPA 97 FFA는 EPA 98 FFA로부터 정제 및 항산화제와 혼합되기 전 표준 합성 절차에 의해 생산된다.
조성물
어떠한 생물학적 허용가능한 약물 형태, 및 그의 조성물은 본 발명에 의해 예상될 수 있다. 약물 형태의 예는 제한 없이 츄어블정, 빠르게 용해되는 정제, 발포성제, 재구성 가능한 분말제, 엘릭시르제, 액체, 용액, 현탁액, 에멀젼, 정제, 멀티-층 정제, 비-층 정제, 캡슐제, 연질 젤라틴 캡슐, 경질 젤라틴 캡슐, 캐플릿(caplets), 로젠지(lozenges), 씹을 수있는 로젠지, 비드, 분말, 과립, 입자, 미립자, 분산성 과립, 캡슐, 세정제(douches), 좌약, 크림, 국소적, 흡입제, 에어로솔 흡입제, 패치, 입자 흡입제, depot 주입제, 경구제, 주사제, 주입, 건강 바, 과자, 시리얼, 곡물 코팅, 식품, 영양 식품, 기능성 식품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제형의 제제는 당업계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유효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입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상기 용어 “구강으로 전달될 수 있는”또는 경구 투여는 치료학적 제제 전달의 어떠한 형태(예컨대,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대상을 위한 그의 조성물, 상기 제제 또는 조성물의 섭취 여부 및 대상의 입에 제제 또는 조성물을 놓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경구 투여”는 구강 및 설하 뿐만 아니라 식도 투여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정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는 캡슐 안에 존재하고 캡슐은 예컨대 연질 젤라틴 캡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사용 방식에 관하여 제한이 없다. 대표적 사용 방식은 식품, 식품 첨가제, 약제, 체중 보충제, 약제 첨가제, 및 사료를 포함한다.
일반 음식 외의, 식품 조성물의 예는 기능성 식품, 영양-보충 식품, 유아 또는 미숙아에게 먹이기에 적합한 제조물, 임산부용 식품, 및 노인용 식품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스프와 같은 요리, 오일 및 지방이 가열 매체로 사용된 도넛과 같은 식품, 버터와 같은 오일 및 지방 식품, 음식을 요리하는 과정 동안에 오일 및 지방이 추가된 쿠키와 같은 가공식품 또는 음식을 요리하는 과정 동안에 오일 및 지방이 뿌려지거나 첨가된 비스킷과 같은 식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오일 또는 지방이 포함되지 않은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식품의 정의는 기능성 식품이 포함된다. 기능성 식품 및 약제는 영양제, 분말, 과립제, 알약, 내부 용액, 현탁액, 에멀젼, 시럽, 캡슐 등과 같은 가공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복용량 단위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용어 “복용량 단위” 및 “투여량 단위”는 치료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단일 투여에 적합한 치료학적 제제의 양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일부를 의미한다. 상기 투여량 단위는 하루 또는 치료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 에 따라 1 회 내지 복수로(즉, 1 내지 약 10, 1 내지 8, 1 내지 6, 1 내지 4, 1 내지 2)투여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1 내지 약 200 주, 약 1 내지 약 100 주, 약 1 내지 약 80 주, 약 1 내지 약 50 주, 약 1 내지 약 40 주, 약 1 내지 약 20 주, 약 1 내지 약 15 주, 약 1 내지 약 12 주, 약 1 내지 약 10 주, 약 1 내지 약 5 주, 약 1 내지 약 2 주, 약 1 주의 기간에 걸쳐 투여된다.
일 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산화제(예컨대, 토코페롤) 또는 0.5% 이하, 또는 0.05% 이하의 양의 다른 물질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약 0.05 중량% 내지 약 0.4 중량% 토코페롤, 또는 0.4 중량% 토코페롤 또는 0.2 중량% 토코페롤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추가 부형제를 포함하지만, 젤라틴, 글리세롤, 폴리올, 소르비톨 및 물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에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는 약 50 mg 내지 약 5000 mg, 약 75 mg 내지 약 2500 mg, 또는 약 100 mg 내지 약 1000 mg, 약 75 mg, 약 100 mg, 약 125 mg, 약 150 mg, 약 175 mg, 약 200 mg, 약 225 mg, 약 250 mg, 약 275 mg, 약 300 mg, 약 325 mg, 약 350 mg, 약 375 mg, 약 400 mg, 약 425 mg, 약 450 mg, 약 475 mg, 약 500 mg, 약 525 mg, 약 550 mg, 약 575 mg, 약 600 mg, 약 625 mg, 약 650 mg, 약 675 mg, 약 700 mg, 약 725 mg, 약 750 mg, 약 775 mg, 약 800 mg, 약 825 mg, 약 850 mg, 약 875 mg, 약 900 mg, 약 925 mg, 약 950 mg, 약 975 mg, 약 1000 mg, 약 1025 mg, 약 1050 mg, 약 1075 mg, 약 1200 mg, 약 1250 mg, 약 1300 mg, 약 1350 mg, 약 1400 mg, 약 1450 mg, 약 1500 mg, 약 1550 mg, 약 1600 mg, 약 1650 mg, 약 1700 mg, 약 1750 mg, 약1800 mg, 약 1850 mg, 약 1900 mg, 약 1950 mg, 또는 약 2000 mg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일 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캡슐 상에 조성물을 약 300 mg 내지 약 1 g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복용량 형태는 젤 또는 액상 캡슐이고 약 1 내지 약 20 캡슐의 블리스터(blister) 패키지로 포장된다.
일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루에 한 번 또는 두 번 대상에게 투여한다. 다른 예에서, 조성물은 매일 1, 2, 3 또는 4 캡슐을 대상에게 투여한다.
상기 조성물은 식사 전, 식사 중 또는 식사 섭취 후에 즉시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 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국소 적용을 위해, 예를 들어 화장품임 제형화된다. 본 발명에 따라 N-3 DPA를 포함될 수 있는 국소 제품들은 수분 크림 및 로션, 막대형비누, 립스틱, 샴푸 및 건조, 습진 및 건선에 대한 피부 치료제를 포함한다.
키트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치료 방법 용도에 대한 설명서와 정제 n-3 DPA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일반적으로 시트당 약 1-20 캡슐의 블리스터 포장으로 또는 약 20-100을 적합한 용기 수단으로 또는 약 20-50을 개별 캡슐로 포장한 투여량을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추가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방법
지원 대상
무작위로 선정된 20-30 세 사이에 건강한 보통 체중 여성 10명을 3 가지 다른 아침 식사로 연구하였다. 대상자들은 20-25 ㎏/m2 사이에 BMI를 가지며 오메가-3 PUFA의 습관적 총 소비는 PUFA 식품 섭취 빈도 조사지로부터 조사된 하루 당 500 mg 이하이다(Sullivan et al., (2006) Lipids 41:845-850; Swierk et al., (2011) Nutr 6:641-646). 적혈구에 EPA 및 DHA 비율에 대한 기준 값은 1.0 + 0.1 및 6.7 + 0.6% (평균 + 평균의 표준오차)이다. 자신의 기록된 의학적 상태 및 가족력을 기초로 심혈관 질환의 어떠한 형태를 갖는 대상자들은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동의서를 작성하였다. 윤리적 승인은 디킨대학교 인간 연구 윤리위원회로부터 수득하였다(EC2011-023).
연구 절차
위약(올리브 오일) 또는 활성 오일(EPA 또는 DPA)을 포함하는 아침식사 섭취 후, 공복상태에서 혈액을 채취하는 식후 연구로 시간 당 식후 혈액 샘플을 5 시간까지 채취하였다. 6 일 후 까지, 대상자들은 위약 또는 활성 오일 섭취를 계속하고 7 일에 공복상태에서 샘플을 채취하고, 7 일 후부터 두 주 동안‘세척(washout)’기간을 갖는다.
참가자들은 연구 전날 밤 표준화된 저녁 식사(파스타(건조 200 g), 토마토 볶음 소스(70 g) 및 패킷 푸딩)를 섭취하고 저녁식사 후 10 시간 하룻밤동안 단식하는 지정된 치침에 따랐다.
연구 아침식사는 끓인 물 70 ㎖ 및 오일 20 g과 혼합된 인스턴트 으깬 감자(Continental Deb™, Unilever, Australasia) 180 g으로 구성된다. 세 끼에 각 18 g 지질을 올리브 오일(La Espanola Pure Olive Oil, Seville,Spain)로 구성된다. DPA(Equateq Ltd, Breasclete, Callanish,Scotland) 2 g의 DPA 아침식사, EPA(Equateq Ltd, Breasclete, Callanish, Scotland) 2 g의 EPA 아침식사 및 올리브 오일 2 g을 첨가한 컨트롤(올리브 오일) 식사가 포함된다. EPA 및 DPA는 유리 지방산으로 올리브 오일에 포함된다. 상기 대상자는 식사에 소금, 후추 또는 닭고기 맛 소금을 사용할 수 있고 임의의 연구기간동안 물이 함께 제공된다. 대상자들은 15 분 이내에 연구를 위한 식사를 섭취하였다.
DPA 식사 후, 실사를 하는 두 케이스 및 설사를 하지 않지만 배탈이 난 한 케이스가 있었다. 설사를 하는 한 케이스는 EPA 식사 후로 기록되었고, 올리브 오일 식사 후 불만사항은 없었다. 모든 불만사항은 아침식사 후 2-3 시간에 발생하였다.
크로스-오버(cross-over) 시험의 3 주 기간 동안, 대상자들에게 생선을 포함하는 장쇄 오메가-3 PUFA 산물이 풍부한 제품, 붉은 고기 및 오메가-3 강화된 제품들(<2 해양 및/또는 2 붉은 고기 식사/주 및 <2 오메가-3 강화된 제품/주)에 섭취에 자제를 요청하였다.
혈장, 킬로미크론(chylomicron) 및 킬로미크론 지질의 분리
정맥 혈액은 공복 상태 및 거의 1-5 시간 식사 후에 재취하였다. EDTA 혈액 샘플은 즉시 혈장 분리를 위해 591 × g에서 15 분 동안 원심 분리하였다.
킬로미크론-풍부한 단편(Svedberg flotation unit (Sf) > 400), 축약어“킬리미크론”은 종래에 기술된 베큠 울트라 원심분리기 및 TLA 100.4 로터(Beckman instruments, Palo Alto, CA, USA)를 사용하는 울트라원심분리에 의해 혈장으로부터 분리하였다(et al., 2006). 간략하게 EDTA 혈장 1.8 ㎖를 울트라원심분리기 튜브 상에 식염수(농도 = 1.006 kg/ℓ)에 더하고 23 ℃에서 30 분 동안 35,000 × g 로 원심 분리 하였다. 상층 1 ㎖는 킬로미크론-풍부한 단편을 제거하기 위해 흡입하였다. 모든 샘플은 분석 전에 -80℃에서 동결하였다.
TAG-농도 분석
혈장 내에 TAG 농도 및 분리된 킬로미크론을 제조사의 지침서(Roche, Lavel, Quebec, Canada)에 따른 시판 중인 키트(TRIGL)을 사용하는 효소 비색(colorimetric )법에 의하여 Roche Cobas Integra 400 plus autoanalyser(Roche, Lavel, Quebec, Canada)로 측정하였다.
지방산 분석
Triheptadecanoin(Sigma-Aldrich, St.Louis, MO, USA), dinonadecanoylphosphatidylcholine(Sigma-Aldrich, St.Louis, MO, USA) 및cholesterylpentadecanoate(Nu-Chek Prep. Inc., Elysian, MN, USA)의 내부 표준 혼합물을 분리한 킬로미크론에 첨가하였다. 그 다음 메탄올 1.5 ㎖, 클로로포름 3 ㎖ 및 물에 0.88 % KCl을 첨가하고 혼합한 용액 0.8 ㎖을 각각 첨가한 후 완전하게 볼텍싱하였다. 상기 튜브에 층을 분리하기 위해 3 분 동안 2000 × g로 원심분리하고 클로로포름 리치 층을 건조하여 제거 및 증발시켰다(Folch et al., (1957) J Biol Chem 226:497-509). TAGs 및 인지질을 실리카 컬럼을 기초로 하는 고상 정제로 정제 지질 혼합물로부터 분리하였다(Hamilton and Comai, (1988) Lipids 23:1146-1149).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FAME)는 메톡사이드 나트륨(sodium methoxide)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간략하게, 지질을 건조(dry) 디에틸에스테르 1 ㎖에 현탁하였다. 25 ㎕ 메틸아세테이트와 첨가하고 혼합한 25 ㎕ 메톡사이드 나트륨을 5 분간 반응시키고 가끔씩 흔들어주었다. 상기 반응은 6 ㎕ 아세트산으로 정지시켰다. 상기 튜브에 상등액을 제거하고 건조를 위해 가볍게 증발시킨 후, 5분 동안 2000 × g로 원심 분리 하였다. 얻어진 FAME를 헥산(hexane)(Christie (1982) J Lipid Res 23:1072-1075)에 100 ㎕ 삽입하여 이동시켰다. 상기 FAME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AOC-20i auto injector를 장착한 Shimadzu GC-2010), 발광 이온화 검출기(Shimadzu corporation, Kyoto, Japan) 및 벽이 코팅된 개방 관형 컬럼 DB-23 (60 m x 0.25 mm i.d., liquid film 0.25 ㎛, Agilent technologies, J.W. Scientific, Santa Clara, CA, USA)으로 분석하였다. 비분할/분할 주입을 사용하였고 분할은 1 분 후 오픈되었다. Supelco 37 Component FAME Mix(Supelco, St. Louis, MO, USA), 68D(Nu-Check-Prep, Elysian, MN, USA) 및 GLC-490(Nu-Check-Prep, Elysian, MN, USA)을 외부 표준으로 사용하였다.
리피도믹스(lipidomics)
1, 3 및 5 시간 킬로미크론 시료의 리피도믹(lipidomic) 분석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Analyst 1.5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Applied Biosystems 4000 QTRAP 질량 분석기를 사용하는 전기 분무 이온화 탠덤 질량 분석기에 의해 실시하였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는 Zorbax C18, 1.8 ㎛, 50 × 2.1 mm 컬럼(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으로 실시하였다. 킬로미크론의 지질을 클로로포름:메탄올 (2:1, 20 용량)으로 정제, 혼합, 초음파처리(sonicated)(30 분) 그리고 20 분 동안 방치하였다.
시료를 원심 분리하고(16 000 × g, 10 분) 상등액을 96 웰 PPE 플레이트에 옮기고 40℃에서 질소의 스트림까지 건조하였다. 분석 전 즉시, 시료를 부탄올 및 10 mM 암모늄 퍼메이트(ammonium formate:NH4COOH)를 포함하는 메탄올이 포화된 물로 현탁하였다. 이동(mobil) 상태는 모두에 10 mM NH4COOH를 포함하는 30:20:50 비율(A) 및 75:20:5(B)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탄올:물이다. TAG를 85% 이동 상태(B)의 등용 흐름(100 ㎕/분)으로 분리하였다. 인지질 및 콜레스테릴 에스테르는 개시 조건으로 평형화하기 전 2 분간 100%B로 작동하고나서 8 분에 걸쳐 0%B 및 100%A 내지 100%B 및 0%A로 구배에 의해 분리하였다. 개별 TAG의 정량은 양이온 모드에서 정시간 다중-반응 모니터링(MRM)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Murphy et al., (2007) Anal Biochem 366:59-70). 지질 농도 (pmol/㎖)는 TAGs에 대한 triheptadecanoin(Sigma Aldrich, St Louis MO, USA), 콜레스테릴 에스테르에 대한 cholestyl ester-18:0D6(CDN isotopes, Quebec, Canada), 포스파티딜 콜린에 대한 phosphatidyl choline-13:0/13:0(Avanti Polar Lipids, Alabaster AL, USA) 및 에타놀아민 및 포스파티딜 이노시톨에 대한 phosphatidyl ethanolamine-17:0/17:0(Avanti Polar Lipids, Alabaster AL, USA)의 내부 표준 피크 영역에서 각 종류의 피크영역과 관련하여 계산하였다(Multiquant 1.2 software 사용). TAG 종류에 대한 표준이 이용될 수 없으므로, 반응 차이에 대한 수정이 만들어 질 수 없고 상이한 종류들의 상대적 비율은 반-정량적으로 취해져야 한다.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EPA, DPA 또는 DHA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TAGs는 추가적으로 중성 손실 실험을 위해 선택되었다. 선택된 각 분자 종류를 16:0, 16:1, 18:1, 18:2, 18:3, 20:4, 20:5, 22:5 및 22:6의 중성 손실에 대해 스크리닝하였다. 가장 가능성있는 TAG 지방산 혼합물을 상기 결과로부터 예측하였다.
통계 분석
데이터의 정규 분포는 Shapiro-Wilk 시험으로 테스트하였다. 데이터의 정상 상태에 따라, 시료 쌍 t-test 또는 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 컨트롤로 측정된 반응과 비교하여 사용하였다. 반복 측정에 대한 ANOVA(GLM)는 다중 비교를 위해 사용하였다. 본페로니 교정(Bonferroni correction)과 시료 쌍 t-test 또는 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는 사후 검정을 위해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p < 0.05로 나타내었다. 통계적 분석은 SPSS 18.0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실시하였다(SPSS Inc, Chicago,IL,USA).
결과
실시예 1 트리아실클리세롤(Triacylglycerol ) 농도(mmol/ℓ)
킬로미크론 TAGs는 DPA 아침식사 후 거의 공복 레벨로 유지되었다(도 1). DPA 식사 후 킬로미크론 TAG 곡선 아래 증가 영역은 올리브 오일 식사(p=0.021) 후 영역 또는 EPA 식사(p=0.034) 후 영역과 상응하는 것을 비교한 경우 의미 있게 감소되었다. 혈장에서, DPA 및 컨트롤 식사 후 TAG 영역 간의 차이는 의미 있는 경향성이 있었다(p=0.078). 단일 시점의, 상기 TAG 농도는 컨트롤과 비교하여 한, 두 시간에서 DPA 아침 식사 후 더 낮아졌다(각각의 혈장에 대해 p=0.024 및 p=0.014 그리고 각각의 킬로미크론에 대해 p=0.017 및 p=0.068)(도 1).
실시예 2 킬로미크론 TAG 고도불포화 지방산
1 내지 5 시간에 식후 EPA는 올리브 오일 단독 또는 DAP를 포함하는 아침식사 후 보다 EPA를 포함하는 아침식사 후 킬로미크론 TAGs에 의미 있게 높아졌다(도 2). 상응하는 DPA 함량은 올리브 오일 식사 후(2-5 시간, 3 시간 차이에 대한 p 값이 0.06임) 또는 EPA 식사 후(3-5 시간)보다 DPA 아침식사 후 의미 있게 더 높았다. DHA는 2시간 및 3시간에 올리브 오일 아침식사보다 DPA 아침식사 후 의미 있게 증가하였고, 5시간에 올리브 오일 아침식사에 비해 EPA 아침식사 후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도 2).
실시예 3 킬로미크론 인지질
킬로미크론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물은 킬로미크론 TAGs 보다 식사에 의해 덜 영향을 받았다. 2 시간에 EPA의 비율은 두 개의 다른 아침식사 및 2 시간과 비교하여 EPA 아침식사 후 증가하였고, EPA 아침식사는 또한 올리브 오일 아침식사에 비해 DPA 및 DHA 양을 증가시켰다(표 1 및 도 3). 다른 시점에서 고도불포화 지방산의 보급에 차이는 없었다.
올리브 오일, EPA 및 DPA를 포함하는 식사 후 2 시간에 킬로미크론 인지질에 장쇄 고도불포화 지방산
FA (mmol/L) Olive oil EPA DPA
AA 20:4n-6 7.3 +/- 1.8 8.8 +/- 1.8 6.9 +/- 3.5
EPA 20:5n-3 0.6 +/- 0.1a 2.0 +/- 1.6b 0.7 +/- 0.3a
DPA 22:5n-3 0.5 +/- 0.1a 0.8 +/- 0.2b 0.5 +/- 0.3ab
DHA 22:6n-3 2.7 +/- 0.9a 3.8 +/- 0.5b 2.6 +/- 1.6ab
값은 10명의 대상자에 대한 전체 킬로미크론 인지질 지방산 +/-표준 편차의 몰랄(molar) 비율이다. 유의차 p<0.05는 각 행에서 다른 문자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4 킬리미크론 TAGs 포함 PUFA
아침식사 그룹 간에 PUFA를 포함하는 TAGs의 농도에 유의차이다(도 4). TAGs의 상기 그룹에 기여하는 우세한 종류는 지방산의 중성 손실을 모니터링 하는 광범위한 다중 반응 모니터링 실험을 사용하여 예측하였다. 주요 종류들에는 20:5/18:1/18:1 및 20:5/18:1/16:0을 포함하는 EPA 아침식사 후에 EPA를 포함한다. DPA의 전반적인 존재는 TAG 농도 및 지방산 조성물 데이터로부터 본 EPA 보다 낮다. DPA 아침식사 후 PUFA를 포함하는 주요 TAGs는 22:5/18:1/16:0, 22:5/18:2/18:1 및 22:5/18:1/18:1이다. TAG 54:5,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18:1/16:0이 모든 식사 후 같은 양으로 검출되었다.
비록 전체 반응에 매우 적당하지만, DHA에 몇 가지 명백한 변환은 TAG 58:9(더 바람직하게는 22:6/18:2/18:1)에 가시화되어 3 및 5 시간 시점에 올리브 아침식사에 비해 EPA 및 DPA 아침식사 후 TAG의 수가 의미 있게 더 많았다. 도 4에 제시된 TAGs 포함하는 PUFA를 제외하고 TAGs 181/18:1/16:0, 18:1/18:1/18:1 및 18:2/18:1/16:0은 모든 식사 후 풍부한 TAGs 이었다.
측정된 인지질 종류 중, 포스파티딜 콜린(phosphatidyl cholines)은 HPLC-MS/MS로 측정된 이노시톨(inositols), 에탄올아민(ethanolamines) 및 세린(serines)에 이어, 킬로미크론에서 가장 많은 인지질 종류이다. 단일 인지질 상에 아침식사 중간에 차이 또는 측정된 시점 내에 명확한 증가 또는 감소는 없었다.
아침식사 중간에 킬로미크론 콜레스데릴 에스테르 종류 또는 측정하는 세 시점(1, 3, 및 5 시간)에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킬로미크론 콜레스테릴 에스테르에 광범위한 지방산은 18:2 이어서 대략 동일한 양에 16:0, 18:1 및 20:4 이어서 16:1, 18:3, 20:5 및 22:6 이다.
리마커(remarkers)
DPA는 EPA의 연장 대사산물이며 EPA 및 DHA 사이의 중간 산물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은 올리브 오일을 포함한 식사 중에 순수한 DPA 및 EPA의 식후 대사물질을 발견하였다.
연구의 주요 발견은 올리브 오일 18 g에 n-3 DPA 2 g은 거의 완전하게 5 시간 내에 킬로미크론에 지방산의 혼입을 제거한다. 반면에, 상기 효과는 EPA의 추가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론에 얽매이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DPA에 의한 킬로미크론혈증 감소는 DPA가 췌장 리파아제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경우를 설명할 수 있다. DPA가 리파아제의 작용을 저해할 경우, 상기 결과는 킬로미크론혈증을 감소시키거나 느리게 하고 킬로미크론 TAGs 특히, 올레산(올리브 오일 18 g 섭취로부터의)의 레벨을 감소시킨다. 상기 효과 모두 본 발명의 연구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섭취한 지방의 일부가 리파아제에 의해 철저하게 또는 효율적으로 소화되지 않으면, 섭취한 지방의 일부는 라파아제에 의해 철저하게 또는 효율적으로 소화되지 않으며 지방의 일부는 malabsorb 화 되고 상기 feaces를 잃는다. 이러한 가설은 DPA 아침식사 후 3 시간에 설사 또는 위장 장애를 보고한 10 명의 대상자 중 3 명의 관찰 기록에 의해 지지되었다.
TAG 저장기와 관련 가능한 또 다른 설명은 내장세포에 존재하는 발견이다(Lambert (2012) Biochim Biophys Acta 1821:721-726).
다른 가능한 메카니즘은 예컨대 담즙 염 포함, 점막 세포에 흡수, TAG 합성의 중단 또는 킬로미크론의 패킹(packaging) 및 킬로미크론 교환의 강화에 다른 가능성이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대상자 일부에서 관찰된 설사는 오히려 점막 세포 또는 혈액에서 보다 장내에서 발생할 영향을 지지한다.
상기 본 발명의 연구 결과는 EPA 및 DPA가 식후 다르게 물질 대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37)

  1. 실질적으로 정제된 형태의 n-3 도코사펜타엔산(docosapentaenoic acid: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는 상기 조성물의 최소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hypertriglyceridemia) 또는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대상(subject)에서 치료 또는 예방하는 용도를 위한 n-3 도코사펜타엔산(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상의 혈액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의 식후 상승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3 DPA는 유리 지방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3 DPA는 에틸 에스테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hypertriglyceridemia) 또는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대상(subject)에서 치료 또는 예방하는 용도를 위한,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상기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상의 혈관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의 식후 상승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9. 상기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조성물, 또는 상기 제 7 항 또는 제 8 항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식후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에서 EPA의 비율이 증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또는 용도.
  10. 상기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조성물, 또는 상기 제 7 항 또는 제 8 항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후 킬로미크론혈증(chylomicronemia)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또는 용도.
  11.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상기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n-3 DPA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의약으로서의 용도.
  12. 대상(subject)에서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hypertriglyceridemia) 또는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의 용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대상의 혈액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의 식후 상승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4. 공복 트리글리세라이드(fasting triglycerides)를 감소시키기에 유효한 시간 동안 정제된 n-3 DPA(docosapentaenoic acid)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상기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공복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감소시키는 방법.
  15. 정제된 n-3 DPA(docosapentaenoic acid)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상기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을 대상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hypertriglyceridemia) 또는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대상의 혈관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식후 상승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약 400 mg/dl 내지 약 2500 mg/dl의 기준 공복 트리글리세라이드(fasting triglyceride) 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또는 방법.
  18.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를 받는 상기 대상은 약 500 mg/dl 내지 약 2000 mg/dl의 기준 공복 트리글리세라이드(fasting triglyceride) 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또는 방법.
  19.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3 DPA는 유리 지방산 형태,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 또는 에틸 에스테르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는 상기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에 대하여 최소 1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
  21.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된 n-3 DPA 또는 조성물은 약 10% 이하의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 또는 도코사펙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DHA) 또는 EPA 및 DHA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
  22.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및/또는 과콜레스테롤혈증과 관련된 질환은 (i) 심혈관-관련 질환, (ii) 류마티스성 관절염, (iii) 레이노(Raynaud) 증후군, (iv) 낭창(lupus), (v) 생리통, (vi) 타입 II 당뇨병, (vii) 비만, (viii) 결장 질환, (viv) 골관절염, (x) 기능 저하증, (xi) 신장 질환 및 (xii) 골다공증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
  23.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정상 레벨 이상으로 상승하는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발생시키는 약물 치료를 받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
  24.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i) 타목시펜(tamoxifen), (ii) 스테로이드, (iii) 베타-블로커(beta-blockers), (iv) 이뇨제, (v) 에스트로겐, (vi) 경구 레티오이드류 및 (vii) 피임약으로부터 선택되는 약물을 복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
  25. 상기 선행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프로테아제 억제제 약물을 복용하는 HIV 대상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
  26. 상기 선행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알코올 중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
  27. 상기 선행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가족성의 지질단백질 리파아제 결핍(킬로미크론혈증 증후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
  28. 상기 선행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i) 스타틴(statins), ii) 피브레이트(fibrates), iii) 니코틴산(nicotinic acid), iv) LovazaTM 및 v) VascepaTM 중 하나 이상 선택된 제제로 치료받았고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 저밀도 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레벨 및 비-고밀도 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non-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레벨이 증가 하거나 또는 감소하지 않는 경험을 하였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
  29.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상기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유효량을 대상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에서 초고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레벨(very high plasma triglyceride levels)(예컨대, IV 및 V 과지질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
  30. 상기 선행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의 50 mg 내지 약 5000 mg의 복용량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조성물 또는 방법.
  31.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체중 감량 보충제.
  32. 대상에서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체중 감량 보충제로서의,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n-3 DPA 또는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용도.
  33. 정제된 n-3 DPA 또는 상기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제.
  34. 제 33 항에 있어서, 기 식품 첨가제는 기능성 식품, 영양-보충 식품, 유아 또는 미숙아에게 먹이기에 적합한 제조물, 임산부용 식품, 및 노인용 식품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용도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첨가제.
  35. 동물 사료를 보충하기 위한 식품 첨가제로서의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의 용도.
  36.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
  37. 정제된 n-3 DPA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및 설명서를 포함하는, 대상(subject)에서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hypertriglyceridemia) 또는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 용도의 키트.
KR1020157013477A 2012-10-23 2013-10-23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KR201500986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17157P 2012-10-23 2012-10-23
US61/717,157 2012-10-23
PCT/AU2013/001225 WO2014063190A1 (en) 2012-10-23 2013-10-23 Method for reducing triglyceri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611A true KR20150098611A (ko) 2015-08-28

Family

ID=5054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477A KR20150098611A (ko) 2012-10-23 2013-10-23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50258050A1 (ko)
EP (1) EP2911657A4 (ko)
JP (1) JP2016500055A (ko)
KR (1) KR20150098611A (ko)
AU (1) AU2013334478A1 (ko)
CA (1) CA2889238A1 (ko)
MX (1) MX2015005235A (ko)
WO (1) WO20140631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19110D0 (en) * 1988-08-11 1988-09-14 Norsk Hydro As Antihypertensive drug & method for production
US7070970B2 (en) * 1999-08-23 2006-07-04 Abbott Laboratories Elongase genes and uses thereof
GB0301701D0 (en) * 2003-01-24 2003-02-26 Ensay Ltd Psoriasis and Eicosapentaenoic acid
FR2878747B1 (fr) * 2004-12-03 2007-03-30 Pierre Fabre Medicament Sa Utilisation d'acide(s) gras omega-3 pour le traitement de l'hypercholesterolemie causee par un traitement anti-retroviral chez les patients infectes par le vih
CN1951399B (zh) * 2005-10-18 2010-12-01 天津贝特药业有限公司 一种海狗油的分子蒸馏制备方法
SG10201708952TA (en) * 2009-06-15 2017-12-28 Ian Osterloh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lowering triglycerides without raising ldl-c levels in a subject on concomitant statin therapy
WO2011060492A1 (en) * 2009-11-18 2011-05-26 The University Of Sydney Combination for treating metabolic disorders
SG183883A1 (en) * 2010-03-04 2012-10-30 Amarin Pharma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JP5946833B2 (ja) * 2010-09-24 2016-07-06 プロノヴァ・バイオファーマ・ノルゲ・アーエスPronova BioPharma Norge AS ω3脂肪酸を濃縮する方法
CN101978951A (zh) * 2010-11-16 2011-02-23 王京南 Dpa酯脂肪乳静脉注射液及制造方法
WO2012112527A1 (en) * 2011-02-16 2012-08-23 Pivotal Therapeutics, Inc. Omega 3 formulations comprising epa, dha and dpa for treatment of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US20120302639A1 (en) * 2011-02-16 2012-11-29 Pivotal Therapeutics Inc. Omega 3 formulations for treatment of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protection against sudden death
CN103930104A (zh) * 2011-07-21 2014-07-16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脂肪酸组合物
DK2800563T3 (en) * 2012-01-06 2018-10-08 Omthera Pharmaceuticals Inc DPA Enriched Compositions of Multi-Saturated Omega-3 Fatty Acids in Free Acid 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11657A4 (en) 2016-08-03
WO2014063190A1 (en) 2014-05-01
JP2016500055A (ja) 2016-01-07
EP2911657A1 (en) 2015-09-02
CA2889238A1 (en) 2014-05-01
AU2013334478A1 (en) 2015-05-21
US20150258050A1 (en) 2015-09-17
MX2015005235A (es)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7466B2 (en) Oils enriched with diacylglycerols and phytosterol esters and unit dosage forms thereof for use in therapy
US20140107200A1 (en) Omega-3 pentaenoic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230310470A1 (en) Intelligent delivery of ingested and absorbed molecules
AU2019216634A1 (en) Omega-3 pentaenoic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EP2968246A1 (en) Omega-3 pentaenoic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JP2012508791A (ja) アテローム性動脈硬化症の治療のための循環酸化低密度リポタンパク質‐ベータ‐2‐糖タンパク質1複合体を減少させる方法
US20140194512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docosapentaenoic acid and methods of use
KR20150098611A (ko)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JP2007106700A (ja) 血中vldl−tg低下剤及びその使用方法
Kryzhanovskii et al. ω-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the cardiovascular system
US20150159115A1 (en) Purification of dpa enriched oil
JP2023055877A (ja) 血清中tmao低減用組成物
JP2000086521A (ja) 経口用抗アレルギー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