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440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440A
KR20150098440A KR1020140019718A KR20140019718A KR20150098440A KR 20150098440 A KR20150098440 A KR 20150098440A KR 1020140019718 A KR1020140019718 A KR 1020140019718A KR 20140019718 A KR20140019718 A KR 20140019718A KR 20150098440 A KR20150098440 A KR 20150098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ndwidth
narrowband
audio signal
wide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4122B1 (ko
Inventor
손백권
김준태
이철환
최재구
이남일
최철민
김강열
김미향
박의순
황호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122B1/ko
Priority to EP15155721.2A priority patent/EP2911152B1/en
Priority to US14/626,255 priority patent/US9640192B2/en
Priority to CN201510087808.2A priority patent/CN104869226A/zh
Publication of KR20150098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03Changing voice quality, e.g. pitch or forma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 G10L19/24Variable rate codecs, e.g. for generating different qualities using a scalable representation such as hierarchical encoding or layered encod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38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using band spread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변경 전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에서 변경 후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변경시키는 대역폭 변경부 및 대역폭 변경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술 및 통신망의 발달로 사용자간 의사소통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선 전화뿐만 아니라 무선 전화, 인터넷 전화, 영상 통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이동 통신 기술은 때와 장소를 불문하고 언제든지 상대방과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편리성에 의해 이동 통신 장치는 현재 대부분의 사람이 구비하는 전자 장치가 되었다.
이동 통신 기술은 음성 통화만이 가능한 1세대부터 2세대 및 3세대 이동 통신 기술을 거쳐 최근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4세대 이동 통신 기술도 개발되었다. 음성 통화의 경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 주로 3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기존 3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의 경우 음성 신호를 AMR-NB(Adaptive MultiRate-NarrowBand) 방식으로 압축하였으나 최근, VoLTE(Voice over LTE)와 같은 고품질 음성 서비스가 제공되며 AMR-NB에 비해 넓은 주파수 대역과 높은 음질을 제공할 수 있는 AMR-WB(Adaptive MultiRate-WideBand) 압축 방식이 개발되었다.
최근 이동 통신 장치는 AMR-NB 방식 및 AMR-WB 방식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생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3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하는 중 네트워크 상황 또는 핸드오버 등의 이유로 AMR-NB 방식 서비스에서 AMR-WB 방식 서비스로 전환되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음성 통화 중 압축 방식이 변하는 경우 사용자는 갑작스러운 음질 변화를 겪게되어 통화 집중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통화 중 오디오 신호의 압축 방식 변화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품질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급격한 음질 변화를 막아 자연스럽게 통화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통화 중 오디오 신호의 품질이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오디오 신호의 변경 또는 음질 변화를 알려 줄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변경 전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에서 변경 후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변경시키는 대역폭 변경부 및 상기 대역폭 변경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역폭 변경부는,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상기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상기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확장시킨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상기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회복시키는 대역폭 확장부 및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협대역 신호에서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상기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상기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축소시킨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상기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회복시키는 대역폭 축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역폭 확장부는, 상기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고대역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되는 고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를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협대역 신호 및 상기 고대역 신호를 합성하는 신호 합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역폭 확장부는, 상기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변경된 대역폭에 대응되는 고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협대역 신호 및 상기 고대역 신호를 합성하는 신호 합성부 및 컷오프 주파수를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감소시키며 상기 합성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역폭 축소부는, 컷오프 주파수를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증가시키며 상기 광대역 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저장한 후 상기 대역폭 변경부로 출력하는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대역폭 변경부는,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협대역 신호에서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상기 버퍼로부터 입력되는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상기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변경시키는 대역폭 확장부 및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상기 버퍼로부터 입력되는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변경시키는 대역폭 축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역폭 확장부는, 상기 버퍼로부터 입력되는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고대역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되는 고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를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점진적으로 확장시키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협대역 신호 및 상기 고대역 신호를 합성하는 신호 합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역폭 확장부는, 상기 버퍼로부터 입력되는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변경된 대역폭에 대응되는 고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협대역 신호 및 상기 고대역 신호를 합성하는 신호 합성부 및 컷오프 주파수를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증가시키며 상기 합성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역폭 축소부는, 컷오프 주파수를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감소시키며 상기 버퍼로부터 입력되는 광대역 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오디오 신호의 음질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오디오 신호의 음질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변경 전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에서 변경 후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변경시키는 과정 및 상기 대역폭이 변경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변경시키는 과정은,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상기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상기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확장시키는 과정 및 대역폭이 확장된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기존 대역폭으로 회복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역폭을 확장시키는 과정은, 상기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고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협대역 신호 및 상기 고대역 신호를 합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역폭을 회복시키는 과정은, 상기 고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를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점진적으로 축소시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역폭을 회복시키는 과정은, 저역통과필터의 컷오프 주파수를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감소시키며 상기 합성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역폭을 변경시키는 과정은,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협대역 신호에서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상기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상기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축소시키는 과정 및 상기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기존 대역폭으로 회복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역폭을 회복시키는 과정은, 저역통과필터의 컷오프 주파수를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증가시키며 상기 광대역 신호를 필터링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오디오 신호의 음질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오디오 신호의 음질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더라도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은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급격한 음질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는 오디오 신호의 음질 변경 여부 및 음질 변경의 이유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역폭 변경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역폭 확장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역폭 확장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신부(110), 신호 처리부(120), 감지부(130), 대역폭 변경부(140), 오디오 출력부(150), 제어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휴대폰, 스마트 TV, 데스크탑, 테블릿 PC, 노트북 PC 등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수신부(110)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11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하는 경우 송신측 전자 장치로부터 상대방의 음성이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오디오를 재생하는 경우 웹 서버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20)는 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120)는 오디오 신호에 디코더, 믹서, 필터, 이퀄라이저, 등을 이용하여 신호 처리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신호 처리부(120)가 대역폭 변경부(140) 이전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신호 처리부(120)의 일부 구성이 대역폭 변경부(140) 이후에 위치할 수도 있다.
감지부(130)는 수신부(110)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30)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이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는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 또는 핸드오버 등의 이유로 변경될 수 있다. 감지부(130)는 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신호 처리부(120)에서 신호 처리되는 오디오 신호의 코덱 종류, 샘플링 레이트 및 대역폭을 확인하여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하는 중 핸드오버가 발생하여 오디오 신호의 코덱이 AMR-WB 에서 AMR-NB로 변경될 수 있다. 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경우 오디오 신호를 AMR-NB 및 AMR-WB 두 가지 방식으로 압축할 수 있다. AMR-NB 압축 방식은 4kHz 이하의 주파수(예를 들어, 200 - 3400Hz)를 가지는 오디오 신호를 8kHz의 샘플링 레이트로 샘플링할 수 있다. 그리고, AMR-WB 압축 방식은 8kHz 이하의 주파수(예를 들어, 80 - 7000Hz)를 가지는 오디오 신호를 16kHz의 샘플링 레이트로 샘플링할 수 있다. 즉, AMR-WB 압축 방식의 오디오 신호는 AMR-NB 방식의 오디오 신호에 비해 약 두 배의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130)는 오디오 신호의 코덱, 샘플링 레이트 및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여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 네트워크 트래픽에 의해 저음질의 오디오 신호로 변경되어 수신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웹 서버는 네트워크 트래픽에 의해 고음질의 오디오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 협대역 또는 낮은 샘플링 레이트의 오디오 신호로 변경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130)는 오디오 신호의 샘플링 레이트 및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여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30)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이 변경되면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의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AMR-WB 압축 방식의 오디오 신호에서 AMR-NB 압축 방식의 오디오 신호로 변경될 수 있다. 감지부(130)는 AMR-WB 방식의 오디오 신호가 가지는 주파수 대역은 80 - 7000Hz이며 AMR-NB 방식의 오디오 신호가 가지는 주파수 대역은 200 - 3700Hz이므로 감지부(130)는 오디오 신호의 최대 주파수가 3300Hz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감지부(130)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오디오 신호의 변경 여부 및 대역폭의 차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 잔존 용량 및 네트워크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관련 정보를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대역폭 변경부(140)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변경 전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에서 변경 후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즉, 대역폭 변경부(140)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더라도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급격한 음질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대역폭 변경부(14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역폭 변경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역폭 변경부(140)는 대역폭 확장부(141) 및 대역폭 축소부(146)를 포함한다.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대역폭 확장부(141)가 동작할 수 있으며, 협대역 신호에서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대역폭 축소부(146)가 동작할 수 있다.
대역폭 확장부(141)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확장시킨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대역폭 확장부(141)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역폭 확장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대역폭 확장부(141)는 신호 생성부(142) 및 신호 합성부(143)를 포함한다.
신호 생성부(142)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고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R-NB 압축 방식의 오디오 신호는 200 - 3700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신호 생성부(142)는 AMR-NB 압축 방식의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AMR-WB 압축 방식의 오디오 신호가 가지는 3700 - 7000Hz의 고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생성부(142)는 생성되는 고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를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점진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부(142)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최초 3700 - 7000 Hz의 고대역 신호를 생성하고, 이후, 생성되는 고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축소시킬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신호 생성부(142)는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신호 합성부(143)는 협대역 신호 및 신호 생성부(142)에서 생성된 고대역 신호를 합성한다. 이에 따라, 대역폭 확장부(141)는 수신되는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확장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협대역 신호로 회복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역폭 확장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대역폭 확장부(141)는 신호 생성부(142), 신호 합성부(143) 및 필터링부(144)를 포함한다.
신호 생성부(142)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변경된 대역폭에 대응되는 고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R-NB 압축 방식의 오디오 신호는 200 - 3700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신호 생성부(142)는 AMR-NB 압축 방식의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AMR-WB 압축 방식의 오디오 신호가 가지는 3700 - 7000Hz의 고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합성부(143)는 협대역 신호 및 신호 생성부(142)에서 생성된 고대역 신호를 합성한다.
필터링부(144)는 신호 합성부(143)에서 합성된 신호를 필터링한다. 필터링부(144)는 합성된 신호 중 신호 생성부(142)에서 생성된 고대역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부(142)에서 3700 - 7000 Hz의 고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필터링부(144)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고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인 7000Hz로부터 최소 주파수인 3700Hz로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장하며 고대역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필터링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필터링부(144)는 고대역 신호를 모두 필터링하게되므로 협대역 신호만이 출력될 수 있다.
특히, 필터링부(144)는 저역통과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필터링부(144)가 저역통과필터로 구현되는 경우 저역통과필터는 컷오프 주파수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감소시키며 합성된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 이 경과하면 대역폭 확장부(141)의 동작이 종료되며 수신되는 협대역 신호가 원래의 대역폭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대역폭 확장부(141)는 설정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확장한 후 점진적으로 원래의 대역폭으로 회복시킬지 또는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지속적으로 확장할지 설정할 수 있다.
대역폭을 확장한 후 점진적으로 원래의 대역폭으로 회복시키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협대역 신호를 광대역 신호로 지속적으로 확장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지속적으로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확장하여 사용자에게 고음질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대역폭 확장부(141)는 협대역 신호를 광대역 신호로 지속적으로 확장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도 배터리 잔존 용량 또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의 잔존 용량이 충분하고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이 정상적이면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지속적으로 확장하여 사용자에게 고음질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 용량이 기 설정된 용량 이하인 경우에는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시간 이후 원래의 협대역 신호가 출력되면 대역폭 확장부(141)가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이 높아 협대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고대역 신호를 생성하더라도 음질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네트워크 트래픽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시간 이후 원래의 협대역 신호가 출력되면 대역폭 확장부(141)가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대역폭 축소부(146)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협대역 신호에서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축소시킨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대역폭 축소부(146)는 수신되는 광대역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필터링부(미도시)는 저역통과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필터링부(미도시)가 저역통과필터로 구현되는 경우 저역통과필터는 컷오프 주파수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증가시키며 광대역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50)는 대역폭 변경부(14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50)는 앰프, 스피커 등의 오디오 출력 장치 또는 외부 앰프, 이어폰 등으로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출력 포트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5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히, 도 5는 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x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y축은 시간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최대 주파수 f2를 가지는 광대역 신호가 출력되는 중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시각 t1에 최대 주파수 f1을 가지는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협대역 신호와 고대역 신호가 합성된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고대역 신호는 최초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인 f1으로부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인 f2의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고대역 신호의 최대주파수는 기 설정된 시간(t2 - t1) 동안 f2에서 f1으로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시각 t2 이후에는 협대역 신호만이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히, 도 6은 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협대역 신호에서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x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y축은 시간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최대 주파수 f1를 가지는 협대역 신호가 출력되는 중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시각 t1에 최대 주파수 f2을 가지는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광대역 신호의 f1 내지 f2 주파수 대역이 필터링되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는 기 설정된 시간(t2 - t1) 동안 f1에서 f2로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시각 t2 이후에는 원래의 광대역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거나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더라도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은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급격한 음질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부(150)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오디오 신호의 음질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이 확장되는 경우와 축소되는 경우를 구분하기 위해 각각 상이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50)는 음질 변경의 이유(예를 들어, 배터리 잔존 용량 또는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오디오 신호의 음질 변경 여부 및 음질 변경의 이유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제어부(16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수신부(110), 신호 처리부(120), 감지부(130), 대역폭 변경부(140), 오디오 출력부(150) 및 디스플레이부(170) 각각을 제어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60)는 감지부(130)로부터 오디오 신호의 변경 여부 및 대역폭의 차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대역폭 변경부(1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대역폭 변경부(14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부(110)에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신호 처리부(120)를 거쳐 오디오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감지부(130)에 의해 오디오 신호의 변경이 감지되면 제어부(160)는 대역폭 변경부(140)를 동작시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변경시킬 수 있다.
감지부(130)에 의해 오디오 신호의 변경이 감지되면 제어부(160)는 대역폭 확장부(141) 또는 대역폭 축소부(146)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대역폭 확장부(141)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협대역 신호에서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대역폭 축소부(146)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하여 최초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과 동일한 대역폭을 가지는 신호가 출력되면 대역폭 변경부(140)의 동작을 종료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오디오 신호의 음질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문자 또는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음질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오브젝트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질 상승 또는 저하 여부, 음질 변경의 이유(예를 들어, 배터리 잔존 용량 또는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오디오 신호의 음질 변경 여부 및 음질 변경의 이유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 1에 도신된 수신부(110), 신호 처리부(120), 감지부(130), 대역폭 변경부(140), 오디오 출력부(150), 제어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 외에 버퍼(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구성 중 버퍼(18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의 동작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버퍼(180)는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저장한 후 대역폭 변경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대역폭 변경부(140)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더라도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은 변경 전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대역폭 변경부(140)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버퍼(18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변경 전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에서 변경 후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오디오 신호가 버퍼(180)에 저장되는 시간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대역폭 변경부(140)는 대역폭 확장부(141) 및 대역폭 축소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협대역 신호에서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대역폭 확장부(141)가 동작할 수 있으며,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대역폭 축소부(146)가 동작할 수 있다.
대역폭 확장부(141)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협대역 신호에서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버퍼(180)로부터 입력되는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역폭 확장부(141)는 신호 생성부(142) 및 신호 합성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142)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협대역 신호에서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버퍼(180)로부터 입력되는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고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생성부(142)는 생성되는 고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를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신호 합성부(143)는 협대역 신호 및 신호 생성부(142)에서 생성된 고대역 신호를 합성한다. 이에 따라, 대역폭 확장부(141)는 버퍼(180)로부터 입력되는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광대역 신호로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대역폭 확장부(141)는 신호 생성부(142), 신호 합성부(143) 및 필터링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142)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버퍼(180)로부터 입력되는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변경된 대역폭에 대응되는 고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R-NB 압축 방식의 오디오 신호는 200 - 3700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신호 생성부(142)는 AMR-NB 압축 방식의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AMR-WB 압축 방식의 오디오 신호가 가지는 3700 - 7000Hz의 고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합성부(143)는 협대역 신호 및 신호 생성부(142)에서 생성된 고대역 신호를 합성한다.
필터링부(144)는 신호 합성부(143)에서 합성된 신호를 필터링한다. 필터링부(144)는 합성된 신호 중 신호 생성부(142)에서 생성된 고대역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부(142)에서 3700 - 7000 Hz의 고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필터링부(144)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고대역 신호의 최소 주파수인 3700Hz로부터 최대 주파수인 7000Hz로 범위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며 고대역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필터링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필터링부(144)는 신호를 필터링하지 않으므로 광대역 신호와 동일한 대역폭을 가지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특히, 필터링부(144)는 저역통과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필터링부(144)가 저역통과필터로 구현되는 경우 저역통과필터는 컷오프 주파수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증가시키며 합성된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대역폭 확장부(141)의 동작이 종료되며 버퍼(180)로부터 입력되는 광대역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대역폭 축소부(146)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버퍼(180)로부터 입력되는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대역폭 축소부(146)는 버퍼(180)로부터 입력되는 광대역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필터링부(미도시)는 저역통과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필터링부(미도시)가 저역통과필터로 구현되는 경우 저역통과필터는 컷오프 주파수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감소시키며 버퍼(180)로부터 입력되는 광대역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50)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오디오 신호의 음질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변경된 오디오 신호는 버퍼(180)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 이후 출력되므로 오디오 신호의 실제 출력 타이밍에 맞추어 오디오 신호의 음질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오디오 신호의 음질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변경된 오디오 신호는 버퍼(180)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 이후 출력되므로 오디오 신호의 실제 출력 타이밍에 맞추어 오디오 신호의 음질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히, 도 8은 전자 장치(100)가 버퍼(180)를 포함하며 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x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y축은 시간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최대 주파수 f2를 가지는 광대역 신호가 출력되는 중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시각 t1에 최대 주파수 f1을 가지는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는 기 설정된 시간(t2 - t1) 동안 f2에서 f1로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시각 t2에는 협대역 신호와 동일한 대역폭을 가지는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시각 t2 이후에는 버퍼(180)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저장된 협대역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히, 도 9는 전자 장치(100)가 버퍼(180)를 포함하며 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협대역 신호에서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x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y축은 시간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최대 주파수 f1를 가지는 협대역 신호가 출력되는 중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시각 t1에 최대 주파수 f2을 가지는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협대역 신호와 고대역 신호가 합성된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고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는 기 설정된 시간(t2 - t1) 동안 f1에서 f2로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시각 t2에는 광대역 신호와 동일한 대역폭을 가지는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시각 t2 이후에는 버퍼(180)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저장된 광대역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거나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더라도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은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급격한 음질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먼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S101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하는 경우 송신측 전자 장치로부터 상대방의 음성이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오디오를 재생하는 경우 웹 서버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한다(S1020). 구체적으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이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코덱 종류, 샘플링 레이트 및 대역폭을 확인하여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이 변경되면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의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지 않으면(S1020-No),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040).
그리고,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S1020-Yes),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변경 전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에서 변경 후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S1030).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점진적으로 변경시키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확장시킨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기존 신호의 대역폭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고대역 신호를 생성하고 협대역 신호 및 생성된 고대역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협대역 신호를 광대역 신호로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점진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고대역 신호를 생성할 때 고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를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점진적으로 축소시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저역통과필터의 컷오프 주파수를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감소시키며 합성된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협대역 신호에서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축소시킨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기존 신호의 대역폭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역통과필터의 컷오프 주파수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증가시키며 광대역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가 버퍼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저장된 후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협대역 신호에서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버퍼로부터 입력되는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고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되는 고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를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협대역 신호 및 생성되는 고대역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버퍼로부터 입력되는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변경된 대역폭에 대응되는 고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저역통과필터의 컷오프 주파수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증가시키며 합성된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가 버퍼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저장된 후 출력될 때,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버퍼로부터 입력되는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역통과필터의 컷오프 주파수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감소시키며 버퍼로부터 입력되는 광대역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후, 대역폭이 변경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S1040).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는 도 5, 도 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오디오 신호의 음질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오디오 신호의 음질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오디오 신호의 음질 변경 여부 및 음질 변경의 이유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단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비휘발성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전자 장치 110 : 수신부
120 : 신호 처리부 130 : 감지부
140 : 대역폭 변경부 150 : 오디오 출력부
160 : 제어부 170 : 디스플레이부
180 : 버퍼

Claims (20)

  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변경 전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에서 변경 후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변경시키는 대역폭 변경부; 및
    상기 대역폭 변경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변경부는,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상기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상기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확장시킨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상기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회복시키는 대역폭 확장부; 및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협대역 신호에서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상기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상기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축소시킨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상기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회복시키는 대역폭 축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확장부는,
    상기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고대역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되는 고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를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협대역 신호 및 상기 고대역 신호를 합성하는 신호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확장부는,
    상기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변경된 대역폭에 대응되는 고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협대역 신호 및 상기 고대역 신호를 합성하는 신호 합성부; 및
    컷오프 주파수를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감소시키며 상기 합성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축소부는,
    컷오프 주파수를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증가시키며 상기 광대역 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저장한 후 상기 대역폭 변경부로 출력하는 버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역폭 변경부는,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협대역 신호에서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상기 버퍼로부터 입력되는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상기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변경시키는 대역폭 확장부; 및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상기 버퍼로부터 입력되는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변경시키는 대역폭 축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확장부는,
    상기 버퍼로부터 입력되는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고대역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되는 고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를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점진적으로 확장시키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협대역 신호 및 상기 고대역 신호를 합성하는 신호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확장부는,
    상기 버퍼로부터 입력되는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변경된 대역폭에 대응되는 고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협대역 신호 및 상기 고대역 신호를 합성하는 신호 합성부; 및
    컷오프 주파수를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증가시키며 상기 합성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축소부는,
    컷오프 주파수를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감소시키며 상기 버퍼로부터 입력되는 광대역 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오디오 신호의 음질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오디오 신호의 음질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변경 전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에서 변경 후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변경시키는 과정; 및
    상기 대역폭이 변경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변경시키는 과정은,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광대역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상기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상기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확장시키는 과정; 및
    대역폭이 확장된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기존 대역폭으로 회복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을 확장시키는 과정은,
    상기 협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고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협대역 신호 및 상기 고대역 신호를 합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을 회복시키는 과정은,
    상기 고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를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점진적으로 축소시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을 회복시키는 과정은,
    저역통과필터의 컷오프 주파수를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감소시키며 상기 합성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을 변경시키는 과정은,
    상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협대역 신호에서 광대역 신호로 변경되면, 상기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상기 협대역 신호의 대역폭으로 축소시키는 과정; 및
    상기 광대역 신호의 대역폭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기존 대역폭으로 회복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을 회복시키는 과정은,
    저역통과필터의 컷오프 주파수를 상기 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부터 상기 광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증가시키며 상기 광대역 신호를 필터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오디오 신호의 음질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경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오디오 신호의 음질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40019718A 2014-02-20 2014-02-20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864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718A KR101864122B1 (ko) 2014-02-20 2014-02-20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EP15155721.2A EP2911152B1 (en) 2014-02-20 2015-02-19 Gradual bandwidth adaptation for encoded audio signals
US14/626,255 US9640192B2 (en) 2014-02-20 2015-02-19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CN201510087808.2A CN104869226A (zh) 2014-02-20 2015-02-25 电子设备和控制电子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718A KR101864122B1 (ko) 2014-02-20 2014-02-20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440A true KR20150098440A (ko) 2015-08-28
KR101864122B1 KR101864122B1 (ko) 2018-06-05

Family

ID=52596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718A KR101864122B1 (ko) 2014-02-20 2014-02-20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40192B2 (ko)
EP (1) EP2911152B1 (ko)
KR (1) KR101864122B1 (ko)
CN (1) CN1048692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4997A (zh) * 2016-03-04 2017-09-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通话处理方法、装置及终端
US9712686B1 (en) * 2016-03-30 2017-07-18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Printer diagnostics using external microphone
CN107087069B (zh) * 2017-04-19 2020-02-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语音通话方法及移动终端
US11094346B2 (en) * 2018-11-12 2021-08-17 Netfli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streaming of multimedia content
US11546705B2 (en) 2020-06-22 2023-01-03 Gn Audio A/S Adaptive multi-band hear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3717A (ja) * 2000-05-08 2003-11-11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多重帯域能力を有する通信接続においてソース信号帯域の変更を行う方法及び構成
US8000968B1 (en) * 2011-04-26 2011-08-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speech or audio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4581C2 (de) 1998-02-05 2000-08-17 Siemens Ag Verfahren und Funk-Kommunikationssystem zur Übertragung von Sprachinformation
US6539355B1 (en) 1998-10-15 2003-03-25 Sony Corporation Signal band expan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ignal synthesis method and apparatus
GB2351889B (en) 1999-07-06 2003-12-17 Ericsson Telefon Ab L M Speech band expansion
DE10102173A1 (de) 2001-01-18 2002-07-25 Siemens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m Umsetzen von parametrisch codier-ten Sprachsignalen verschiedener Bandbreite in Sprachsignale
US20040064324A1 (en) 2002-08-08 2004-04-01 Graumann David L. Bandwidth expansion using alias modulation
DE10252070B4 (de) 2002-11-08 2010-07-15 Palm, Inc. (n.d.Ges. d. Staates Delaware), Sunnyvale Kommunikationsendgerät mit parametrierter Bandbreitenerweiterung und Verfahren zur Bandbreitenerweiterung dafür
US20040138876A1 (en) 2003-01-10 2004-07-1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rtificial bandwidth expansion in speech processing
JP2004260528A (ja) * 2003-02-26 2004-09-16 Mitsubishi Electric Corp 音声放送受信装置および音声放送受信方法
US8712768B2 (en) 2004-05-25 2014-04-29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artificial bandwidth expansion
JP2006042128A (ja) * 2004-07-29 2006-02-09 Sony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7340379B2 (en) 2005-02-18 2008-03-04 Ans, Inc. Automated acquisition and notification system
US7676043B1 (en) 2005-02-28 2010-03-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udio bandwidth expansion
US7813931B2 (en) 2005-04-20 2010-10-12 QNX Software Systems, Co. System for improving speech quality and intelligibility with bandwidth compression/expansion
CN1992937B (zh) * 2005-12-28 2010-1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具有流媒体终端适配功能的移动终端设备
CN100531379C (zh) * 2005-12-28 2009-08-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流媒体移动终端适配系统
CN100531378C (zh) * 2005-12-28 2009-08-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具有终端适配功能的流媒体系统
CN100531380C (zh) * 2005-12-28 2009-08-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流媒体移动终端的适配方法
US20080004866A1 (en) 2006-06-30 2008-01-03 Nokia Corporation Artificial Bandwidth Expansion Method For A Multichannel Signal
US20080188965A1 (en) 2007-02-06 2008-08-07 Rane Corporation Remote audio device network system and method
KR100905585B1 (ko) 2007-03-02 200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신호의 대역폭 확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355376B1 (ko) 2007-04-30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주파수 영역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EP2207166B1 (en) 2007-11-02 2013-06-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An audio decoding method and device
CN100585699C (zh) 2007-11-02 2010-01-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音频解码的方法和装置
CN101425292B (zh) 2007-11-02 2013-01-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音频信号的解码方法及装置
CN101499278B (zh) 2008-02-01 2011-12-28 华为技术有限公司 音频信号切换处理方法和装置
CN101609678B (zh) 2008-12-30 2011-07-27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压缩方法及其压缩装置
CN101964189B (zh) 2010-04-28 2012-08-08 华为技术有限公司 语音频信号切换方法及装置
EP2640052B1 (en) 2010-11-10 2019-07-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erminal and coding mode selection method
CN103295578B (zh) 2012-03-01 2016-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语音频信号处理方法和装置
US20130242858A1 (en) 2012-03-13 2013-09-19 Microsemi Semiconductor (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deband and super-wideband telephon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3717A (ja) * 2000-05-08 2003-11-11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多重帯域能力を有する通信接続においてソース信号帯域の変更を行う方法及び構成
US8000968B1 (en) * 2011-04-26 2011-08-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speech or audio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35644A1 (en) 2015-08-20
US9640192B2 (en) 2017-05-02
EP2911152B1 (en) 2018-04-11
KR101864122B1 (ko) 2018-06-05
EP2911152A1 (en) 2015-08-26
CN104869226A (zh)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122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7032030A1 (zh) 一种音量调节方法及用户终端
EP36443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audio signals
CN103038824B (zh) 具有耐噪声音频传感器的免提单元
JP5942864B2 (ja) 端末装置、コンテンツ送信方法、コンテンツ送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CN107077849A (zh) 用于恢复音频信号的方法和设备
JP6114915B2 (ja) 音声入力選択装置及び音声入力選択方法
CN104301782A (zh) 用于输出音频的方法、装置和终端
EP1897350B1 (en) Switchable audio circuits for mobile terminals an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the same
US9633667B2 (en) Adaptive audio signal filtering
US20160284362A1 (en) Noise reduction apparatus, noise reduction method, and program
US94381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apting a user volume input range on an electronic device
US202002962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menu in portable terminal
US11146671B2 (en) Adaptive video interface switching
US98426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ommunication quality of radio
CN106656361B (zh) 频率同步方法及装置
CN114371823B (zh) 一种多媒体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
JP6555395B2 (ja) 車載装置、車載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00210140A1 (en) Radio gateway audio port configuration
CN112866476A (zh) 通话氛围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TWI588819B (zh) 語音處理之方法、語音通訊裝置及其電腦程式產品
JP6212354B2 (ja) 携帯型情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US111708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udio information
JP2013115523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228673B2 (en) Adaptive interface swit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