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7961A - 연약지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7961A
KR20150097961A KR1020140018884A KR20140018884A KR20150097961A KR 20150097961 A KR20150097961 A KR 20150097961A KR 1020140018884 A KR1020140018884 A KR 1020140018884A KR 20140018884 A KR20140018884 A KR 20140018884A KR 20150097961 A KR20150097961 A KR 20150097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drain pipe
horizontal
uni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089B1 (ko
Inventor
이재옥
Original Assignee
이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옥 filed Critical 이재옥
Priority to KR1020140018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0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97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는,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연약지반의 지중에 수직 삽입되어, 상기 연약지반의 지중에 포함된 간극수를 상향으로 배출시키는 둘 이상의 수직 드레인관; 상기 연약지반의 지표면에 수평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수평 드레인관; 상기 수직 드레인관의 상단을 상기 수평 드레인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결시켜 상기 수직 드레인관을 통해 배출되는 간극수를 상기 수평 드레인관으로 안내하는 연결유닛; 각 수평 드레인관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배출되는 간극수를 포집하여 상기 연약지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는 모래나 자갈로 제작되는 별도의 수평배수층 대신 파이프 형태의 배수관으로 간극수를 배수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수평배수층 시공에 요구되는 공사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간극수의 배수능력이 향상되며, 간극수 배수를 위한 자재 재사용을 통해 시공비 절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연약지반 배수장치 {A draining device for weak ground}
본 발명은 연약지반 개발 시 지반에 함유 되어 있는 물을 뽑아내어 배출시키기 위한 연약지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래나 자갈로 제작되는 별도의 수평배수층 없이 연약지반 내의 물을 배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약지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척지대, 호안지대, 강변지대나 해안지대 등 토양 중 간극수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지역은 지반이 연약하여 지반 상부에 토목구조물이나 건축물 등이 안정되게 건설될 수 없다. 따라서, 연약지반에 토목공사나 건축공사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간극수를 배수처리하고 연약지반을 압밀 침하시켜 안정화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연약지반을 안정화하는 공법중의 하나인 PBD(Plastic Board Drain)공법은 수직배수공법으로서, 연약지반의 지중에 배수재인 플라스틱 수직 드레인관을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설치한 후, 연약지반의 지중에 내재되어 있는 간극수를 수직으로 삽입 설치된 수직 드레인관을 통하여 지표면으로 상승시켜 배출시키는 시공방법이다.
또한, 수직배수공법에 의하여 지표면으로 배출된 간극수를 수평으로 배출시키는 수평배수공법이 적용되고 있는데, 수평배수공법은 수직배수공법의 배수재를 통하여 지표면으로 배출된 간극수를 수평으로 배출시키는 역할과 함께 성토층 속으로 지하수가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고, 시공기계의 주행성능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평배수공법으로는, 연약지반의 지표면 상에 모래나 자갈을 일정한 두께로 포설하여 수직배수공법의 수직배수재를 통하여 지표면으로 배출된 간극수를 수평으로 배출시키는 방법이 대표적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모래 및 자갈은 그 생산능력에 한계가 있으며, 모래 및 자갈의 수급이 어려운 공사현장에 포설하는 경우에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KR 10-2011-004188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모래나 자갈로 제작되는 별도의 수평배수층 대신 파이프 형태의 배수관으로 간극수를 배수시키도록 구성되어, 수평배수층 시공에 요구되는 공사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간극수의 배수능력이 향상되며, 간극수 배수를 위한 자재를 재사용할 수 있어 시공비 절감이 가능한 연약지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는,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연약지반의 지중에 수직 삽입되어, 상기 연약지반의 지중에 포함된 간극수를 상향으로 배출시키는 둘 이상의 수직 드레인관; 상기 연약지반의 지표면에 수평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수평 드레인관; 상기 수직 드레인관의 상단을 상기 수평 드레인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결시켜 상기 수직 드레인관을 통해 배출되는 간극수를 상기 수평 드레인관으로 안내하는 연결유닛; 각 수평 드레인관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배출되는 간극수를 포집하여 상기 연약지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유닛은, 연성을 갖는 호스 형상으로 제작되어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수직 드레인관의 상단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지상으로 인출되는 연결호스와, 상기 연결호스의 길이방향 타측과 상기 수평 드레인관의 길이방향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유닛은 상기 수평 드레인관보다 직경이 큰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드레인관은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배수유닛의 측벽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 드레인관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배출되는 간극수가 상기 배수유닛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 드레인관은 2열로 배열되고, 상기 배수유닛은, 십자 형상의 내부 유로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직 드레인관의 두 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수직 드레인관을 향하는 측의 양측 유로 입구에 각각 수평 드레인관이 연결되는 둘 이상의 십자소켓과, 이웃하는 두 개의 십자소켓의 내부유로를 연결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유닛은, 간극수 배출 측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배수유닛 중 간극수 배출 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유닛 내부의 간극수를 진공압으로 배출시키는 펌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는 모래나 자갈로 제작되는 별도의 수평배수층 대신 파이프 형태의 배수관으로 간극수를 배수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수평배수층 시공에 요구되는 공사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간극수의 배수능력이 향상되며, 간극수 배수를 위한 자재 재사용을 통해 시공비 절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에 포함되는 연결유닛 및 수평 드레인관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 제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 제3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에 포함되는 연결유닛 및 수평 드레인관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는 간척지대나 호안지대, 강변지대, 해안지대 등과 같이 토양 중 간극수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연약지반에 토목구조물이나 건축물 등이 안정되게 건설하기 위하여, 간극수를 배수처리하고 연약지반을 압밀 침하시켜 안정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수 개의 수직 드레인관(100)을 연약지반 지중에 수직 삽입시킴으로써 지반 내의 간극수를 지상으로 배출시키는 PBD(Plastic Board Drain)공법 수행을 위해 활용된다.
이때, PBD공법을 이용한 종래의 배수장치는 수직 드레인관(100)을 통해 지상으로 배출되는 간극수를 별도의 집수정으로 포집시키기 위해 모래나 자갈이 일정한 두께로 포설된 수평배수층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왔는데, 이와 같은 수평배수층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시공기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모래나 자갈을 구입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즉, 별도의 수평배수층 없이도 수직 드레인관(100)을 통해 지상으로 배출되는 간극수를 집수정으로 포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는,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연약지반의 지중에 수직 삽입되어 상기 연약지반의 지중에 포함된 간극수를 상향으로 배출시키는 둘 이상의 수직 드레인관(100)과, 상기 연약지반의 지표면에 수평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수평 드레인관(200)과, 상기 수직 드레인관(100)의 상단을 상기 수평 드레인관(200)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결시켜 상기 수직 드레인관(100)을 통해 배출되는 간극수를 상기 수평 드레인관(200)으로 안내하는 연결유닛(300)과, 각 수평 드레인관(20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배출되는 간극수를 포집하여 상기 연약지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드레인관(100), 수평 드레인관(200), 연결유닛(300), 배수유닛(400)이 모두 설치 완료되면, 토사를 소정의 두께로 성토하여 연약지반 내의 간극수가 성토압을 받게 한다. 성토압을 받은 간극수는 상기 수직 드레인관(100) 내측으로 유입된 후 상향으로 배출되는데, 이와 같이 간극수가 수직 드레인관(100)을 통해 지상으로 배출되는 원리 및 이를 위한 구조는 종래의 PBD공법에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배수유닛(400)은 수평 드레인관(200)보다 직경이 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평 드레인관(200)은 길이방향 타측(수직 드레인관(100)과 연결된 반대측)이 상기 배수유닛(400)의 측벽에 연결되는바, 수직 드레인관(100)을 통해 지상으로 배출되는 간극수는 연결유닛(300)과 수평 드레인관(200)을 거쳐 배수유닛(400)으로 포집된 후, 상기 배수유닛(400)의 내부 유로를 따라 집수정으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는, 모래나 자갈로 이루어지는 수평배수층을 별도로 설치하지 아니하더라도 수직 드레인관(100)을 통해 지상으로 배출되는 간극수를 집수정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수평배수층 설치를 위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연약지반 배수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직 드레인관(100)을 통해 지상으로 배출된 간극수 중 일부가 상기 수평배수층을 통해 다시 연약지반으로 되돌아가므로, 배수효율이 비교적 낮다는 문제점이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는 수직 드레인관(100)을 통해 지상으로 배출된 간극수가 모두 배수유닛(400)을 통해 집수정으로 안내되므로, 배수효율이 극대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수평배수층은 한 번 사용한 이후 회수하여 재사용이 어렵지만,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배수장치는 연약지반 배수공정이 완료된 이후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수직 드레인관(100)을 2열 종대로 배열시키고, 배수유닛(400)을 드레인관의 열 사이에 배치시킨 후, 각각의 수직 드레인관(100)에 연결된 수평 드레인관(200)을 배수유닛(400)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시키면, 모든 수직 드레인관(100)을 통해 지상으로 배출되는 간극수가 하나의 배수유닛(400)으로 모두 포집되는바, 간극수 처리가 매우 간편해진다는 장점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 개의 수직 드레인관(100)이 2열로 배열되는 구조만이 도시되고 있으나, 상기 수직 드레인관(100)은 1열로 배열될 수도 있고, 지그재그 패턴으로 불규칙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한편, 수직 드레인관(100)을 통해 배출되는 간극수가 모두 배수유닛(400)으로 포집되기 위해서는 수직 드레인관(100)과 연결유닛(300)과 수평 드레인관(200)과 배수유닛(400)이 밀실하게 연결되어야 하는데, 토목공사의 특성상 수직 드레인관(100)과 수평 드레인관(200)과 배수유닛(400)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배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된다. 즉, 수직 드레인관(100)과 수평 드레인관(200)을 연결하는 연결유닛(300)이 하나의 엘 보우(L-bow)관으로 적용되면 수직 드레인관(100)과 연결유닛(300)과 수평 드레인관(200)과 배수유닛(400)을 밀실하게 연결시키는 작업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연결유닛(300)은, 수직 드레인관(100)과 수평 드레인관(200)의 설치 위치에 어느 정도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수직 드레인관(100)과 수평 드레인관(200)을 밀실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구조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유닛(3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을 갖는 호스 형상으로 제작되어 길이방향 일측이 드레인관의 상단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지상으로 인출되는 연결호스(310)와, 상기 연결호스(310)의 길이방향 타측과 수평 드레인관(200)의 길이방향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320)은 연결호스(310)와 수평 드레인관(200)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면서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와 같이 약간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기준치 이상의 강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유닛(300)이 어느 방향으로든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연결호스(3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수직 드레인관(100)과 수평 드레인관(200)의 위치가 일정수준 어긋난다 하더라도 상기 연결호스(310)가 수직 드레인관(100)과 수평 드레인관(200)을 밀실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수직 드레인관(100)을 통해 배출되는 간극수가 모두 배수유닛(400)으로 포집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연결호스(310)는 내부 유로가 막히지 아니하면서 사방으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다면, 어떠한 재료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호스(310)는 소방호스와 같이 섬유재로 제작될 수도 있고, 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자바라관 구조로도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평 드레인관(200)이 연성이 큰 재료로 제작되더라도 수직 드레인관(100)과 수평 드레인관(200)의 위치가 일정수준 어긋난다 하더라도 수직 드레인관(100)과 수평 드레인관(200)이 밀실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수평 드레인관(200)이 연성이 큰 재료로 제작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성요소가 모두 결합된 상태에서 배수유닛(400)이 좌우측으로 구르게 될 때 상기 수평 드레인관(200)이 접힘으로써 내부 유로가 막힐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드레인관(200)은 상기 배수유닛(400)의 구름응력에 어느 정도 버틸 수 있도록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갖도록 제작되고, 연결호스(310)가 큰 연성을 갖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종래의 연약지반 배수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연약지반의 특성에 맞는 수평배수층을 맞춤식으로 제작해야 하므로 연약지반 배수를 위한 시공기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는 연약지반의 특성에 상관없이 기성품으로 제작된 수직 드레인관(100)을 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연약지반 배수를 위한 시공기간이 매우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배수유닛(400)이 직선형태의 파이프 구조로 제작되면, 수평 드레인관(200)을 통해 배수유닛(400) 내부로 포집된 간극수의 배출속도에 한계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즉, 배수유닛(400) 내부로 포집된 간극수가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유닛(400)은 간극수 배출 측(도 4에서는 좌측)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유닛(400)의 경사각은 간극수의 유량 및 배수유닛(400)의 규격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 제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는, 배수유닛(400)을 경사지게 배치하지 아니하더라도 배수유닛(400) 내측으로 포집된 간극수가 보다 빠르고 원활하게 집수정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배수유닛(400) 중 간극수 배출 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유닛(400) 내부의 간극수를 진공압으로 배출시키는 펌프(5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펌프(500)가 추가로 구비되면, 배수유닛(400) 내부 유로의 간극수를 집수정 측으로 빠르게 유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유닛(400) 내부 유로에 진공압을 형성함으로써 수직 드레인관(100) 내의 간극수가 보다 원활하게 배수유닛(400)으로 포집될 수 있으므로, 연약지반 내의 간극수 배수효율이 현저히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펌프(500)를 추가로 구비하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배수유닛(400)을 경사지게 기울여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배수유닛(400) 설치가 매우 간편해지고, 이에 따라 전체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펌프(500)는 배수유닛(400) 내에 포집되어 있는 간극수를 집수정 측으로 빠르게 유동시킬 수만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펌프로도 적용될 수 있는바, 상기 펌프(500)의 종류 및 규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배수장치 제3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연약지반은 함수율 및 넓이 등에 있어 많은 편차가 있으므로, 지중으로 수직 삽입되어야 하는 수직 드레인관(100)의 개수 역시 연약지반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증감될 수 있다. 이때 배수유닛(400)의 길이는 수직 드레인관(100)의 개수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하는데, 지중으로 삽입되는 수직 드레인관(100)의 개수는 현장 조건에 따라 편차가 매우 크므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수유닛(400)이 하나의 직선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면, 연약지반 종류별로 다양한 길이의 배수유닛(400)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발생된다.
또한, 연약지반이 매우 넓어 매우 긴 배수유닛(400)이 필요한 경우, 상기 배수유닛(400)을 제작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유닛(400)을 운반하는 데에도 여러 가지 어려움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유닛(400)은 현장조건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유닛(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형상의 내부 유로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직 드레인관(100)의 두 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수직 드레인관(100)을 향하는 측(도 6에서는 좌우측)의 양측 유로 입구에 각각 수평 드레인관(200)이 연결되는 둘 이상의 십자소켓(410)과, 길이방향 양측이 수직 드레인관(100)이 연결되지 아니한 측(도 6에서는 전후방측)의 유로 입구에 결합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십자소켓(410)의 내부유로를 연결하는 배수관(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관(420)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십자소켓(410)의 외측 유로 입구에도 장착되어, 간극수의 배출방향을 가이드 하도록 활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수직 드레인관(100)을 통해 배출되는 간극수를 포집하는 배수유닛(400)이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 가능한 구조의 십자소켓(410)과 배수관(420)으로 구성되면, 작업자는 현장조건에 따라 배수유닛(400)의 전체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매우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약지반의 종류별로 배수유닛(400)을 각각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재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뿐만 아니라, 배수유닛(400)의 운반이 매우 간편해진다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이때, 십자소켓(410)과 배수관(420)은 단순히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십자소켓(410)의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배수관(420)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십자소켓(410)과 배수관(420)은 착탈 가능한 구조라면 어떠한 결합구조로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수직 드레인관(100)과 연결유닛(300)의 결합을 공고히 하기 위해 연결된 부분에는 스탬플러, 볼트, 못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수직 드레인관 200 : 수평 드레인관
300 : 연결유닛 310 : 연결호스
320 : 연결브라켓 400 : 배수유닛
410 : 십자소켓 420 : 배수관
500 : 펌프

Claims (6)

  1.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연약지반의 지중에 수직 삽입되어, 상기 연약지반의 지중에 포함된 간극수를 상향으로 배출시키는 둘 이상의 수직 드레인관(100);
    상기 연약지반의 지표면에 수평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수평 드레인관(200);
    상기 수직 드레인관(100)의 상단을 상기 수평 드레인관(200)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결시켜 상기 수직 드레인관(100)을 통해 배출되는 간극수를 상기 수평 드레인관(200)으로 안내하는 연결유닛(300);
    각 수평 드레인관(20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배출되는 간극수를 포집하여 상기 연약지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유닛(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300)은,
    연성을 갖는 호스 형상으로 제작되어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수직 드레인관(100)의 상단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지상으로 인출되는 연결호스(310)와,
    상기 연결호스(310)의 길이방향 타측과 상기 수평 드레인관(200)의 길이방향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배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닛(400)은 상기 수평 드레인관(200)보다 직경이 큰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드레인관(200)은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배수유닛(400)의 측벽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 드레인관(20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배출되는 간극수가 상기 배수유닛(4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배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드레인관(100)은 2열로 배열되고,
    상기 배수유닛(400)은, 십자 형상의 내부 유로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직 드레인관(100)의 두 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수직 드레인관(100)을 향하는 측의 양측 유로 입구에 각각 수평 드레인관(200)이 연결되는 둘 이상의 십자소켓(410)과, 이웃하는 두 개의 십자소켓(410)의 내부유로를 연결하는 배수관(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배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닛(400)은, 간극수 배출 측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배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닛(400) 중 간극수 배출 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유닛(400) 내부의 간극수를 진공압으로 배출시키는 펌프(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배수장치.
KR1020140018884A 2014-02-19 2014-02-19 연약지반 배수장치 KR101665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884A KR101665089B1 (ko) 2014-02-19 2014-02-19 연약지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884A KR101665089B1 (ko) 2014-02-19 2014-02-19 연약지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961A true KR20150097961A (ko) 2015-08-27
KR101665089B1 KR101665089B1 (ko) 2016-10-17

Family

ID=5405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884A KR101665089B1 (ko) 2014-02-19 2014-02-19 연약지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4456B (zh) * 2019-09-29 2021-03-26 温州大学 一种基于传统排水板上速装横向排水体的排水板的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3931A (ko) * 2005-05-30 2006-12-05 주식회사 상지엔지니어링 원통형 유공주름드레인과 지표점토층의 진공차단막을이용한 연약지반의 지중진공압밀탈수촉진공법 및탈수흡출구의 결합구조
JP2010127055A (ja) * 2008-12-01 2010-06-10 Toa Harbor Works Co Ltd 連結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軟弱地盤改良装置
KR20110041889A (ko) 2009-10-16 2011-04-22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연약지반 배수촉진 공법용 수평드레인배수재 및 그 수평드레인배수재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3931A (ko) * 2005-05-30 2006-12-05 주식회사 상지엔지니어링 원통형 유공주름드레인과 지표점토층의 진공차단막을이용한 연약지반의 지중진공압밀탈수촉진공법 및탈수흡출구의 결합구조
JP2010127055A (ja) * 2008-12-01 2010-06-10 Toa Harbor Works Co Ltd 連結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軟弱地盤改良装置
KR20110041889A (ko) 2009-10-16 2011-04-22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연약지반 배수촉진 공법용 수평드레인배수재 및 그 수평드레인배수재의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089B1 (ko) 201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5874B1 (en) Drain assembly for use in an outdoor setting
CN204716291U (zh) 隧道泄压引排水装置
CN102296580A (zh) 一种边坡浅层排水系统
JP6934697B2 (ja) 地盤改良方法
KR20100123237A (ko) 필터 막힘 검측부를 가지는 지하수 배수장치
KR101665089B1 (ko) 연약지반 배수장치
JP6155263B2 (ja) 地下水をチャネリング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290411B1 (ko) 진공압밀공법의 기수 분리 배출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65477A (ko) 메쉬형 개구부가 형성된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KR20150065476A (ko)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CN102787614A (zh) 水垫塘开挖边坡的排水结构
CN206859243U (zh) 一种浆砌片石挡土墙排水结构
KR101684271B1 (ko) 연약지반 배수재
CN106703009A (zh) 一种真空预压排水组件
CN114000497A (zh) 一种减少预制桩挤土效应的方法
CN111877310A (zh) 一种立体网络型排渗系统及尾矿坝
CN206385527U (zh) 一种真空预压排水组件
KR20150002028U (ko) 다발관을 이용한 경사면 배수구조
KR101327172B1 (ko) 차수와 흙막이장치를 이용한 차수와 흙막이공법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90012970A (ko) 여러 개의 타원형 필터관속에 모래를 주입한연직배수공법의 배수재
KR101293329B1 (ko) 차수와 흙막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수와 흙막이공법
KR101551897B1 (ko)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
KR200489652Y1 (ko) 배수 기능이 구비된 조경용 축대목
CN212896303U (zh) 一种立体网络型排渗系统及尾矿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