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7369A -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7369A
KR20150097369A KR1020140111369A KR20140111369A KR20150097369A KR 20150097369 A KR20150097369 A KR 20150097369A KR 1020140111369 A KR1020140111369 A KR 1020140111369A KR 20140111369 A KR20140111369 A KR 20140111369A KR 20150097369 A KR20150097369 A KR 20150097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optical element
electronic device
imag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186B1 (ko
Inventor
샤오후이 지아오
하이타오 왕
밍차이 지오우
타오 홍
웨이밍 리
씨잉 왕
남동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5/00146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22712A1/ko
Priority to US15/119,595 priority patent/US10324686B2/en
Publication of KR20150097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20Perspective compu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7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fly-eye lenses, e.g. arrangements of circular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5/00Indexing scheme for image rendering
    • G06T2215/16Using real world measurements to influence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광학 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상기 광학 소자의 위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광학 소자가 오버랩된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광학 소자를 통해 3D 영상을 생성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광학 소자가 이탈된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2D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장치는 스마트 폰으로 발전되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장치는 입체적 디스플레이(autostereoscopic display)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입체적 디스플레이 기능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자연적으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연속적 시차 변화를 가지는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기술이다.
상기 모바일 장치는 일반적으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및/또는 렌즈 어레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나타난 광선의 방향을 3D 공간의 서로 다른 방향에 굴절(refraction)되도록 구현하여 3D 영상을 생성한다.
실시예들은 2D 디스플레이 동작과 3D 디스플레이 동작을 스위칭할 수 있고, 2D 영상과 3D 영상을 모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병렬 렌더링을 통해 다시점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신속하게 3D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광학 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상기 광학 소자의 위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광학 소자가 오버랩된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광학 소자를 통해 3D 영상을 생성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광학 소자가 이탈된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2D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상기 광학 소자의 변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3D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렌더링 파라미터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변위는 회전 파라미터와 병진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학 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광학 소자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위한 모드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선택부와,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학 소자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센서와, 측정된 변위에 기초하여 렌더링을 위한 렌더링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파라미터 생성부와, 상기 렌더링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3D 영상을 생성하는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 processing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학 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간의 얼라이닝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얼라이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얼라이닝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렌더링 파리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광학 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센서와, 상기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학 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모드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 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드 선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부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상기 음성 명령을 처리하여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음성 명령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드 선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소자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마이크로프리즘 어레이(microprism array), 및 렌티큘라 렌즈 어레이(lenticular lens arr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광학 소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전자 장치의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용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커버는 flip close 방식, flip over 방식, 슬라이드 방식 및 회전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광학 소자의 위치 관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광학 소자가 오버랩된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광학 소자를 통해 3D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광학 소자가 이탈된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2D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상기 광학 소자의 변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3D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렌더링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상기 측정된 변위는 회전 파라미터와 병진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소자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마이크로프리즘 어레이(microprism array), 및 렌티큘라 렌즈 어레이(lenticular lens arr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광학 소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전자 장치의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flip close 방식, flip over 방식, 슬라이드 방식 및 회전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의 이동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광학 소자가 렌즈 어레이로 구현될 경우 렌즈 어레이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3D 디스플레이 동작 상태에서 렌즈 어레이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모드 선택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모드 선택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모드 선택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변위 센서로부터 생성된 변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파라미터 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5에 도시된 파라미터 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GPU의 3D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의 이동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electric device; 10)는 본체(main body; 100)와 커버(cover; 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PC(personal computer), 데이터 서버, 또는 휴대용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장치는 랩탑(laptop) 컴퓨터, 이동 전화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MI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휴대용 게임 콘솔(handheld game console), 또는 e-북(e-book)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전자 장치(10)를 이동 전화기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커버(200)는 본체(100)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200)는 본체(100)에 결합된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커버(200)는 본체(100)와 분리가 가능한 착탈식(removal)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커버(200)는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힘에 의하여 본체(100)를 기준으로 동작(또는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200)는 본체(100)의 일부에 오버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커버(200)는 본체(100)의 전부에 오버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는 물리적 힘에 의하여 본체(100)의 전부에 오버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커버(200)가 flip close 방식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지만, 커버(2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200)는 flip over 방식, 슬라이드 방식, 또는 회전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커버(200)는 전자 장치(10)의 전자 소자들 중 일부를 포함하고, 커버(200)에 포함된 전자 소자들은 본체(100)에 구현된 전자 소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버(200)의 재질은 투명(transparent), 반투명(translucency), 또는 불투명(opaque)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광학 소자(optical element; 310), ,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330), 및 제어부(controller; 35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소자(310)는 커버(200)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소자(330)는 커버(200)에 내장될 수 있다. 광학 소자(33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2D 영상(2D image)으로부터 방출된 광선들(rays)을 굴절하여 3D 영상(3D image)을 디스플레이(또는 생성)할 수 있다.
광학 소자(310)는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와 렌즈 어레이(lens arr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광학 소자가 렌즈 어레이로 구현될 경우 렌즈 어레이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소자(310)가 렌즈 어레이로 구현될 경우 렌즈가 위로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보호층(protective layer)은 렌즈 어레이가 마손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은 투명 재질이고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층(touch layer)일 수도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소자(310)가 렌즈 어레이로 구현될 경우 렌즈가 아래로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터치층은 렌즈 어레이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호층이 렌즈 어레이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렌즈 어레이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마이크로프리즘 어레이(microprism array), 또는 렌티큘라 렌즈 어레이(lenticular lens array)일 수 있다.
광학 소자(310)가 렌즈 어레이, 예를 들어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로 구현될 때, 광학 소자(310)는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시차 영상을 동시에 제공하고, 복수의 시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광학 소자(310)는 리얼(real)하고 자연적인(natural)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의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회전할 때, 광학 소자(310)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통해 수평 및 수직 두 방향의 서로 다른 시각 영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전자 장치(10)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10)의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자동으로 회전하더라도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광학 소자(310)의 재질은 투명(transparent)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광학 소자(310)를 렌즈 어레이(310)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LCD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터치 스트린 패널, FTF-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LED(Liquid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OLED(Organic LED) 디스플레이 패널, AMOLED(Active Matrix OLED)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본체(100)에 포함될 수 있다.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2D 디스플레이 동작 또는 3D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대한 렌즈 어레이(310)의 위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330) 및 렌즈 어레이(310)를 통해 3D 영상을 생성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2D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350)는 모드 선택부(mode selector; 351), GPU(graphic processing unit; 353), 변위 센서(displacement sensor; 355), 파라미터 생성부(357; parameter generator), 및 얼라이닝부(aligning unit; 359)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선택부(351)는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위치 상태에 기초하여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위한 모드 선택 신호(mode selection signal; SEL)를 생성할 수 있다. 모드 선택부(351)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2D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1 레벨, 예를 들어 로우 레벨(low level) 또는 로직(logic) 0인 모드 선택 신호(SEL)를 생성할 수 있다. 모드 선택부(351)는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3D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2 레벨, 예를 들어 하이 레벨(high level) 또는 로직 1인 모드 선택 신호(SEL)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전자 장치(10)는 2D 디스플레이 동작과 3D 디스플레이 동작을 스위칭할 수 있고, 2D 영상과 3D 영상을 모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3D 디스플레이 동작 상태에서 렌즈 어레이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3D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때, 렌즈 어레이(310)의 미리 설정된 평면과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패널 간의 간격(G)은 렌즈 어레이(310)의 초점 거리와 일치할 수 있다. 커버(200)가 본체(100)에 오버랩된 상태일 때, 커버(200)에 포함된 렌즈 어레이(310)와 본체(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330) 간의 간격(G)은 렌즈 어레이(310)의 초점 거리와 일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선택부(351)는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오버랩된 상태일 때,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3D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드 선택 신호(SEL)를 생성할 수 있다. 오버랩된 상태는 커버(200)가 본체(100)의 위에 있고, 커버(200)와 본체(100)의 오버랩 면적이 미리 설정된 면적과 같거나 초과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면적은 커버(200)와 본체(100)가 오버랩할 수 있는 최대 면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200)가 flip close 방식으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10)의 오버랩된 상태는 커버(200)와 본체(100)가 완전히 오버랩된 상태, 예를 들어, 커버(200)가 본체(100)에 완전히 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커버(20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10)의 오버랩된 상태는 커버(200)가 안쪽으로 슬라이드하여 반대쪽 위치에 완전히 도달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면적은 커버(200)와 본체(100)가 완전히 오버랩될 수 있는 최대 면적의 90%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90%는 일 실시예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모드 선택부(351)는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오버랩된 상태 이외의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2D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드 선택 신호(SEL)를 생성할 수 있다. 오버랩된 상태 이외의 상태는 렌즈 어레이(310)가 디스플레이 패널(330)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드 선택부(351)는 모드 선택 신호(SEL)를 GPU(353) 및/또는 변위 센서(355)로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모드 선택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모드 선택부(351A)는 모드 제어부(mode controller; 351-1)와 위치 센서(position sensor; 351-3)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선택부(351A)는 도 5에 도시된 모드 선택부(35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위치 센서(351-3)는 본체(100) 및/또는 커버(200)에 설치될 수 있다. 위치 센서(351-3)는 커버(200)의 동작 방식, 예를 들어 flip close 방식, flip over 방식, 슬라이드 방식, 또는 회전 방식을 통해 커버(200)가 본체(100)로 움직일 때,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위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 신호(SS)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센서(351-3)는 감지 신호(SS)를 모드 제어부(351-1)로 출력할 수 있다.
모드 제어부(351-1)는 감지 신호(SS)에 응답하여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위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모드 선택 신호(SEL)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제어부(351-1)는 감지 신호(SS)에 응답하여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 간의 오버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제어부(351-1)는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오버랩된 상태일 때,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3D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드 선택 신호(SEL)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모드 제어부(351-1)는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오버랩된 상태 이외의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2D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드 선택 신호(SEL)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모드 선택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모드 선택부(351B)는 모드 제어부(351-1)와 스위칭 버튼부(switching button unit; 351-5)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선택부(351B)는 도 5에 도시된 모드 선택부(35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스위칭 버튼부(351-5)는 전자 장치(10)의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모드 제어부(351-1)는 스위칭 버튼부(351-5)로부터 출력된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모드 선택 신호(SEL)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신호의 레벨이 제1 레벨, 예를 들어 로우 레벨(low level) 또는 로직(logic) 0일 때, 모드 제어부(351-1)는 디스플레이 패널(310)이 2D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드 선택 신호(SEL)를 생성할 수 있다. 스위칭 신호의 레벨이 제2 레벨, 예를 들어 하이 레벨(high level) 또는 로직 1일 때, 모드 제어부(351-1)는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10)이 3D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드 선택 신호(SEL)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의 사용자는 스위칭 버튼부(351-5)를 통해 2D 디스플레이 동작 또는 3D 디스플레이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모드 선택부(351B)는 도 7에 도시된 위치 센서(3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의 사용자는 위치 센서(351-3)의 동작 상태, 예를 들어 ON/OFF를 선택할 수 있다. 위치 센서(351-3)의 동작 상태가 ON 상태일 때, 모드 선택부(351B)는 위치 센서(351-3)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디스플레이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위치 센서(351-3)의 동작 상태가 OFF 상태일 때, 모드 선택부(351B)는 스위칭 버튼부(351-5)를 통해 디스플레이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간단한 스위칭으로 2D 디스플레이 동작과 3D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모드 선택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모드 선택부(351C)는 모드 제어부(351-1)와 음성 명령 처리부(voice command processing unit; 351-7)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선택부(351C)는 도 5에 도시된 모드 선택부(35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음성 명령 처리부(351-7) 전자 장치(10)의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 명령을 처리하고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 명령 처리부(351-7)는 전반적으로 음성 인식 및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명령 처리부(351-7)는 마이크로폰(microphone; 미도시)에 연결된 독립형 회로일 수 있고, 또는 계산부(computing unit; 미도시)에 집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산부는 프로세서(processor),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드 제어부(351-1)는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모드 선택 신호(SEL)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신호의 레벨이 제1 레벨, 예를 들어 로우 레벨(low level) 또는 로직(logic) 0일 때, 모드 제어부(351-1)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2D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드 선택 신호(SEL)를 생성할 수 있다. 스위칭 신호의 레벨이 제2 레벨, 예를 들어 하이 레벨(high level) 또는 로직 1일 때, 모드 제어부(351-1)는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3D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드 선택 신호(SEL)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200)가 본체(100)에 오버랩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의 사용자가 음성 명령의 일 예로 "3D 디스플레이"를 말할 때, 모드 선택부(330-3)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3D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드 선택 신호(SEL)를 생성할 수 있다.
모드 선택부(351C)는 도 7에 도시된 위치 센서(3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의 사용자는 위치 센서(351-3)의 동작 상태, 예를 들어 ON/OFF를 선택할 수 있다. 위치 센서(351-3)의 동작 상태가 ON 상태일 때, 모드 선택부(351C)는 위치 센서(351-3)를 통해 디스플레이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위치 센서(351-3)의 동작 상태가 OFF 상태일 때, 모드 선택부(351C)는 음성 명령 처리부(351-7)를 통해 디스플레이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간단한 스위칭으로 2D 디스플레이 동작과 3D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가 휴대용 장치로 구현될 때, 상술한 2D/3D 디스플레이 스위칭 동작을 통해 사용자는 통화, 메시지 작성 및 캘린더 확인 등의 이동 전화기의 기본 기능을 사용시 2D 디스플레이 동작을 이용하고, 비디오 또는 게임 등의 기능을 사용시 3D 디스플레이 동작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변위 센서(355)는 모드 선택 신호(SEL)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선택 신호(SEL)가 제2 레벨일 때, 변위 센서(355)는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변위 센서(355)는 렌즈 어레이(310)의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대한 변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변위(DI)를 파라미터 생성부(357)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변위(DI)는 렌즈 어레이(310)의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대한 회전 파라미터(rotation parameter; R)와 병진 파라미터(translation parameter; 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은 3x3의 회전 매트릭스이고, 2x2의 병진 벡터를 의미할 수 있다.
변위 센서(355)는 적어도 하나의 변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변위 센서(355)는 인덕턴스형(inductance type) 변위 센서, 커패시턴스형(capacitance type) 변위 센서, 인덕토신(inductosyn), 래스터(raster) 센서, 자기 변형(Magnetostriction) 변위 센서, 자기 그리드(magnetic grid) 센서, 회전 변압기 및 광전 인코더(photoelectric encoder)를 포함할 수 있다.
변위 센서(355)는 본체(100) 및/또는 커버(20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위 센서(355)는 제1 변위센서 및 제2 변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변위 센서는 본체(100)에 설치되고, 제2 변위 센서는 커버(200)에 설치될 수 있다.
얼라이닝부(359)는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 간의 얼라이닝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얼라이닝부(359)는 제1 얼라이닝부와 제2 얼라이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얼라이닝부는 본체(100)에 설치되고, 제2 얼라이닝부(200)는 커버(200)에 설치될 수 있다.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가 오버랩된 상태일 때, 얼라이닝부(359)는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얼라이닝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라이닝부(359)는 요철 구조를 통해 얼라이닝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얼라이닝부는 얼라이닝 홀(hole)/홈(groove)으로 구현되고, 제2 얼라이닝부는 얼라이닝 돌출(또는 돌출부)로 구현될 수 있다. 얼라이닝부(359)는 제2 얼라이닝부가 제1 얼라이닝부에 삽입될 때,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얼라이닝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얼라이닝부(359)는 작용력(force)을 통해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얼라이닝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얼라이닝부와 제2 얼라이닝부는 자성체일 수 있다. 또한, 제1 얼라닝부와 제2 얼라이닝부 중에서 어느 하나는 자성체이고, 다른 하나는 자성을 구비하는 금속체일 수 있다. 얼라이닝부(359)는 제1 얼라이닝부와 제2 얼라이닝부가 자기력을 통해 서로 얼라이닝될 때,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얼라이닝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얼라이닝부와 제2 얼라이닝부는 전자기력(electromagnetic force)에 의하여 얼라이닝될 수 있다.
얼라이닝부(359)는 얼라이닝 상태 정보를 GPU(353)로 출력할 수 있다. 얼라이닝부(359)는 상기 상술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파라미터 생성부(357)는 측정된 변위(DI)를 수신할 수 있다. 파라미터 생성부(357)는 측정된 변위(DI)에 포함된 회전 파라미터(R)와 병진 파라미터(T)에 기초하여 렌더링을 위한 렌더링 파라미터(R_PR)를 계산할 수 있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파라미터 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고, 12a 및 도 12b는 도 5에 도시된 파라미터 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b를 참조하면, 파라미터 생성부(357)는 회전 파라미터(R)와 병진 파라미터(T)에 따라 렌즈 어레이(310)에 포함된 각 렌즈의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대한 공간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1010).
파라미터 생성부(357)는 계산된 공간 위치에 기초하여 인터레이스 영상의 각 픽셀에 대응하는 렌즈를 결정할 수 있다(1020).
파리미터 생성부(370)는 결정된 렌즈에 기초하여 라이트 필드의 라이트 필드 광선들을 클러스터링(clustering)하여 복수의 광선 클러스터들(C1, C2, 및 C3)을 생성할 수 있다(1030). 복수의 광선 클러스터들(C1, C2, 및 C3) 각각은 절두체들(view frustums; VF1, VF2, 및 VF3)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평 방향에 따른 3개의 광선 클러스터들(C1, C2, 및 C3)과 3개의 광선 클러스터들(C1, C2, 및 C3)에 대응하는 3개의 절두체들(VF1, VF2, 및 VF3)만을 도시하였다.
광선 클러스터(C1)의 복수의 광선들은 하나의 절두체(VF1)에 대응할 수 있다. 광선 클러스터(C2)의 복수의 광선들은 하나의 절두체(VF2)에 대응할 수 있다. 광선 클러스터(C3)의 복수의 광선들은 하나의 절두체(VF3)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두체들(VF1, VF2, 및 VF3) 각각은 원근 절두체(perspective view frustum)일 수 있다. 또한, 절두체들(VF1, VF2, 및 VF3) 각각은 경사진 원근 절두체(shear perspective view frustum)일 수 있다.
복수의 광선 클러스터들(C1, C2, 및 C3)에 대응하는 절두체들(VF1, VF2, 및 VF3)은 렌더링을 위한 렌더링 파라미터(R_PR)를 가질 수 있다.
렌더링 파라미터(R_PR)는 절두체들(VF1, VF2, 및 VF3)의 시점(viewpoint), 및 시야각(view angle)을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 생성부(357)는 복수의 광선 클러스터들(C1, C2, 및 C3)에 대응하는 각 절두체를 위한 렌더링 파라미터(R_PR)를 계산할 수 있다(1040).
파라미터 생성부(357)는 렌더링 파라미터(R_PR)를 GPU(353)로 전송할 수 있다(1050).
GPU(353)는 모드 선택 신호(SEL)에 응답하여 2D 영상 데이터 또는 3D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모드 선택 신호(SEL)가 제1 레벨일 때, GPU(353)는 2D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2D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3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2D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모드 선택 신호(SEL)가 제2 레벨일 때, GPU(353)는 3D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3D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3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3D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데이터는 인터레이스 3D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GPU의 3D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GPU(353)는 얼라이닝부(359)로부터 출력된 얼라이닝 상태 정보로부터 렌즈 어레이(31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얼라이닝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때, 렌더링 파라미터(R_PR)를 이용하여 3D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GPU(353)는 렌더링 파라미터(R_PR)에 기초하여 기하 복제(geometry duplication)를 통해 다시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1210). 예를 들어, GPU(353)는 3D 컨텐츠를 각 광선 클러스터(C1 내지 C3)에 기하 복제하고, 각 광선 클러스터(C1 내지 C3)에 대응하는 절두체들(VF1, VF2, 및 VF3)을 한번에 병렬 렌더링하여 다시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시점 영상은 GPU(353)의 지오메트리 세이더(geometry shader)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GPU(353)는 다시점 영상을 하나의 텍스처 영상으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1220).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장치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T-RAM(thyristor RAM), Z-RAM(zero capacitor RAM), 또는 TTRAM(Twin Transistor RAM)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 MRAM(Magnetic RAM), 스핀전달토크 MRAM(Spin-Transfer Torque(STT)-MRAM), Conductive bridging RAM(CBRAM), FeRAM(Ferroelectric RAM), PRAM(Phase change RAM), 저항 메모리(Resistive RAM: RRAM), 나노튜브 RRAM(Nanotube RRAM), 폴리머 RAM(Polymer RAM: PoRAM), 나노 부유 게이트 메모리(Nano Floating Gate Memory: NFGM), 홀로그래픽 메모리(holographic memory), 분자 전자 메모리 소자(Molecular Electronics Memory Device), 또는 절연 저항 변화 메모리(Insulator Resistance Change Memory)로 구현될 수 있다.
GPU(353)는 다시점 영상을 픽셀 재정리하여 3D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1230). 픽셀 재정리는 GPU(353)의 픽셀 세이더(pixel shader 또는 Fragment Shader)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GPU(353)는 3D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330)로 출력할 수 있다(1240). GPU(353)는 병렬 렌더링을 통해 다시점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신속하게 3D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flip close 방식으로 2D/3D 디스플레이를 스위칭할 수 있다. 커넥터(connector; 400)는 전자 장치(10)의 짧은 에지(short edge)를 회전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flip close 방식으로 2D/3D 디스플레이를 스위칭할 수 있다. 커넥터(400)는 전자 장치(10)의 긴 에지(long edge)를 회전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2D/3D 디스플레이를 스위칭할 수 있다. 슬라이드 방향은 전자 장치(10)의 긴 에지(long edge)에 수직된 방향일 수 있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2D/3D 디스플레이를 스위칭할 수 있다. 슬라이드 방향은 전자 장치(10)의 짧은 에지(short edge)에 수직된 방향일 수 있다.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회전 방식으로 2D/3D 디스플레이를 스위칭할 수 있다. 도 18에서는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 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다.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flip close 방식으로 2D/3D 디스플레이를 스위칭할 수 있다. 이때, 커버(200)는 본체(100)의 일부에 오버랩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flip close 방식으로 2D/3D 디스플레이를 스위칭할 수 있다. 이때, 커버(200)의 재질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flip over 방식으로 2D/3D 디스플레이를 스위칭할 수 있다. 커버(200)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정면에서 본체(100)의 뒷면까지 flip할 수 있다. 커버(200)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표면까지 flip할 때, 전자 장치(10)는 3D 디스플레이 동작 상태일 수 있다. 커버(200)가 flip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표면에 벗어날 때, 전자 장치(10)는 2D 디스플레이 동작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커버(200)를 본체(100)의 뒷면까지 flip하여 완전히 접힐 때, 전자 장치(10)는 2D 디스플레이 상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패널;
    광학 소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상기 광학 소자의 위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광학 소자가 오버랩된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광학 소자를 통해 3D 영상을 생성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광학 소자가 이탈된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2D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상기 광학 소자의 변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3D 영상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렌더링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변위는 회전 파라미터와 병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학 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광학 소자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위한 모드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선택부;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학 소자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센서;
    측정된 변위에 기초하여 렌더링을 위한 렌더링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파라미터 생성부; 및
    상기 렌더링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3D 영상을 생성하는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 processing unit)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학 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간의 얼라이닝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얼라이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얼라이닝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렌더링 파리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광학 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학 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모드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 버튼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드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상기 음성 명령을 처리하여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음성 명령 처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드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마이크로프리즘 어레이(microprism array), 및 렌티큘라 렌즈 어레이(lenticular lens arr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전자 장치의 본체에 설치되는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용 장치인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flip close 방식, flip over 방식, 슬라이드 방식 및 회전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
  14.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광학 소자의 위치 관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광학 소자가 오버랩된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광학 소자를 통해 3D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광학 소자가 이탈된 상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2D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상기 광학 소자의 변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3D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렌더링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변위는 회전 파라미터와 병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마이크로프리즘 어레이(microprism array), 및 렌티큘라 렌즈 어레이(lenticular lens arr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전자 장치의 본체에 설치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flip close 방식, flip over 방식, 슬라이드 방식 및 회전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40111369A 2014-02-17 2014-08-26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87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1466 WO2015122712A1 (ko) 2014-02-17 2015-02-13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5/119,595 US10324686B2 (en) 2014-02-17 2015-02-13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053867.3 2014-02-17
CN201410053867.3A CN104853008B (zh) 2014-02-17 2014-02-17 可切换二维显示和三维显示的便携式设备和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369A true KR20150097369A (ko) 2015-08-26
KR102187186B1 KR102187186B1 (ko) 2020-12-04

Family

ID=53852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369A KR102187186B1 (ko) 2014-02-17 2014-08-26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24686B2 (ko)
KR (1) KR102187186B1 (ko)
CN (1) CN1048530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384B1 (ko) * 2016-02-17 2023-02-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972A (ko) * 2004-10-25 2004-11-18 이정혜 소형 디스플레이 패널에 3차원 영상의 구현방법
KR20060060409A (ko) * 2004-11-30 2006-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화상표시장치
US20140003704A1 (en) * 2012-06-27 2014-01-02 Imec Taiwan Co. Imag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6733A1 (de) 2003-04-08 2004-10-28 X3D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r Umrüstung eines 2D-Bildschirmes zu einem autostereoskopischen Bildschirm und Adapterrahmen
GB0400371D0 (en) * 2004-01-09 2004-02-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olumetric display
US8139104B2 (en) 2004-04-13 2012-03-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100782831B1 (ko) 2006-01-03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해상도의 필드 순차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319237A (ja) 2006-05-30 2007-12-13 Namco Bandai Games Inc 遊技装置
JP5250755B2 (ja) * 2008-03-25 2013-07-31 株式会社サンメディカル技術研究所 補助人工心臓ポンプ駆動装置及び補助人工心臓システム
KR101497511B1 (ko) * 2008-09-19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평면 영상과 입체 영상을 동시에 표현하는 영상 표시 장치
JP5551899B2 (ja) * 2009-07-14 2014-07-16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10157329A1 (en) * 2009-12-28 2011-06-30 Acer Incorporated Method for switching to display three-dimensional images and digital display system
US20110157322A1 (en) * 2009-12-31 2011-06-30 Broadcom Corporation Controlling a pixel array to support an adaptable light manipulator
KR101312954B1 (ko) 2011-03-31 2013-10-01 주식회사 리코시스 3차원 테마를 표현하는 커버페이지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45109A (ko) 2011-10-25 201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US9137848B2 (en) * 2012-01-31 2015-09-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307774B1 (ko) 2012-05-22 2013-09-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2d-3d 스위처블 액정렌즈의 설계방법
KR102104588B1 (ko) * 2012-07-11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096466B2 (ja) * 2012-10-23 2017-03-15 株式会社東芝 画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972A (ko) * 2004-10-25 2004-11-18 이정혜 소형 디스플레이 패널에 3차원 영상의 구현방법
KR20060060409A (ko) * 2004-11-30 2006-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화상표시장치
US20140003704A1 (en) * 2012-06-27 2014-01-02 Imec Taiwan Co. Imag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53008A (zh) 2015-08-19
CN104853008B (zh) 2020-05-19
US10324686B2 (en) 2019-06-18
KR102187186B1 (ko) 2020-12-04
US20170054971A1 (en)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0478B2 (en) Autostereoscopic rendering and display apparatus
US96326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 3-D environment using a multi-input interface
RU255972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ввод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отображаемой информацией
US9224237B2 (en) Simulating three-dimensional views using planes of content
KR102051656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20110267264A1 (en) Display system with multiple optical sensors
US9041734B2 (en) Simulating three-dimensional features
US20160217602A1 (en) Method for generating eia and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same
US201200546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3d) object
KR10212650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1026104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image
US201301067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multi-display input
BR112014016867B1 (pt) Dispositivo de visualização móvel, método para permitir que um usuário possa obter tanto uma visualização de conteúdo tridimensional quanto uma visualização de conteúdo bidimensional com a utilização de um dispositivo de visualização móvel e meio legível por computador
US20150138184A1 (en) Spatially interactive computing device
US9389703B1 (en) Virtual screen bezel
BRPI1106895A2 (pt) Aparelho de processamento de informação, método implementado por computador e mídia legível por computador
US943265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ereoscopic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20170109920A1 (en) Method and apparatus rendering caustics
US20160104322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splay control signal and a method thereof
AU20112449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ereoscopic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11508131B1 (en) Generating composite stereoscopic images
KR102187186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841719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5867597B (zh) 3d交互方法及3d显示设备
WO2016041333A1 (zh) 一种3d显示装置及用于该3d显示装置的感应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