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988A -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988A
KR20150096988A KR1020140017962A KR20140017962A KR20150096988A KR 20150096988 A KR20150096988 A KR 20150096988A KR 1020140017962 A KR1020140017962 A KR 1020140017962A KR 20140017962 A KR20140017962 A KR 20140017962A KR 20150096988 A KR20150096988 A KR 20150096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bile terminal
state
hin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7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6988A/ko
Publication of KR20150096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착탈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측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외력을 흡수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일부와 일치되어 상기 측면의 일부를 덮는 제1상태와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상태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CASE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SE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착탈 가능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화면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에 케이스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면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멀티미디어를 시청할 때, 상기 이동 단말기를 바닥면 등에 거치하고 싶은 사용자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해선 케이스를 준비하여야 하고, 이동 단말기를 바닥에 거치하기 위해서는 거치대를 따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가 존재해 왔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동시에 바닥에 대하여 거치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에 대하여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 착탈가능한 케이스로 이동 단말기를 보호하며, 동시에 상기 이동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가 거치 상태에 놓이면 이동 단말기에서 이를 감지하여 기존과는 다른 화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 결합가능한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측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외력을 흡수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일부와 일치되어 상기 측면의 일부를 덮는 제1상태와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상태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와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프레임에는 상기 제2프레임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되는 힌지핀, 및 상기 제2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핀이 삽입되는 힌지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홀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톱니 형상의 요철부, 및 상기 제1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과 이루는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요철부가 걸림가능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홀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홀에 삽입된 상기 힌지핀이 상기 힌지홀의 양단부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핀이 상기 힌지홀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요철부는 상기 스토퍼에 걸림되어 상기 제2프레임의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힌지핀이 상기 힌지홀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요철부는 상기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제2프레임의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힌지홀 내부에는 상기 힌지핀이 상기 힌지홀의 일측 단부로 이동되어 상기 요철부가 상기 스토퍼에 걸림되도록, 상기 힌지핀을 상기 일측 단부를 향해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요철부가 접촉되면 마찰력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프레임의 다른 일부를 덮거나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과 제3프레임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는 루프를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은,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프레임의 이탈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3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의 다른 일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3프레임의 이탈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3프레임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돌기부 사이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돌기부 사이에 수용된 프레임이 이탈가능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기설정된 회전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이 걸림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돌기부 단부에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2프레임의 회전 상태가 감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홀센서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홀센서와 이격되는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측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외력을 흡수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 각각 상기 제1프레임의 각 모퉁이를 덮으며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제2, 제3 및 제4부재를 포함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가능하도록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4부재 사이 및 상기 제2부재와 상기 제3부재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부재와 상기 제3부재가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가능하도록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 및 상기 제3부재와 상기 제4부재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2힌지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부재와 상기 제3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축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자석과의 상대적 위치를 감지하는 홀센서, 화면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홀센서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와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측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외력을 흡수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어느 일부와 일치되어 상기 측면의 어느 일부를 덮는 제1상태와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상태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홀센서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홀센서와 이격되는 자석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센서와 상기 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제2프레임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회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제1화면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회전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회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1화면정보와 다른 제2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제2화면정보는 동영상의 재생과 관련된 화면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는 이동 단말기를 외력으로부터 보호가능하고, 이동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톱니 형상의 요철부 및 상기 요철부가 걸림 가능한 스토퍼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는 제1프레임의 측면을 둘러싸는 4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프레임은 상기 4개의 부재를 회전되도록 연결하는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1프레임과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케이스로 두 가지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는 홀센서와 케이스에 구비된 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고,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제어부는 상기 회전을 감지시 디스플레이에 회전 전의 화면 정보와 다른 화면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프레임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가 바닥면에 대하여 거치되는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의 힌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라인 A-A 및 라인 B-B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를 보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1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스(100)는 이동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110)은 상기 이동 단말기와 결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외부를 보호할 수 있다. 제2프레임(120)은 상기 제1프레임(110)과 결합되고, 제2프레임(120)은 상기 제1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케이스(100)는 경우에 따라 제3프레임(115)이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제2프레임(120)이 제1프레임(110)과 일치된 상태로 합쳐져서, 상기 제1프레임(110)을 덮도록 배치되는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 1의 (c)는 제2프레임(120)이 제1프레임(110)과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100)가 바닥면에 대하여 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울러, 도 1의 (d)는 상기 제1프레임(110)과 결합하여 구비되는 제3프레임(115)이 상기 제1프레임(1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의 네 변 중 길이가 긴 변이 바닥과 닿으며 바닥에 대하여 기립가능하도록, 상기 제2프레임(120)이 상기 제1프레임(110)의 네 변 중 길이가 짧은 두 변과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100)는 제1프레임(110), 제2프레임(120) 및 힌지부(130)를 포함한다.
제1프레임(110)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프레임(110)에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키버튼, 이어폰 잭, 케이블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10)에는 내측면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된 내부돌기(112)가 구비될 수 있다. 양측으로 돌출된 상기 내부돌기(112) 사이에 이동 단말기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110)과 이동 단말기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돌기(112)는 돌출되어 있어, 이동 단말기가 삽입되면 이동 단말기의 전면과 후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돌기(112)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이나 후면의 일부(가장자리)와 측면으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110)은 이러한 외력을 흡수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11)가 상기 제1프레임(110)에 외측면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프레임(1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11)는 상기 제2프레임(120)이 상기 제1프레임과 일치된 상태로 상기 제1프레임을 덮고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돌기부(111)는 상기 돌기부(111) 내에 제2프레임(120)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2프레임(120)의 이탈을 제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111)에는, 상기 제2프레임(120)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걸림되는 걸림부(336a, 336b 도 4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프레임(120)은 힌지부(130)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1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120)은 상기 제1프레임(110)에 일치되어 상기 측면의 일부를 덮는 제1상태(도 1의 (b))와, 상기 제1프레임(1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상태(도 1의 (c)) 사이에서 회전한다.
제1상태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이 상기 케이스(100)와 결합할 이동 단말기의 측면에 해당하는 면을 따라 중첩되어 배치된 상태이다. 그리고, 제2상태는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이 서로 경사되게 배치되어 이동 단말기가 바닥면에 기립되도록, 제2프레임(120)이 제1프레임(110)에 대하여 회전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120)은 자석(140)을 구비할 수 있다.(도 1의 (a))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상기 자석(140)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홀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프레임(120)의 자석(140)은 상기 제2프레임(120)의 회전 상태가 감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홀센서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프레임(120)이 상기 제1프레임(110)과 경사져 배치되는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자석(140)은 상기 홀센서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홀센서는 상기 제2프레임(120)의 회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힌지부(130)는 힌지핀(131)과 힌지홀(132)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핀(131)은 제1프레임(110)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1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홀(132)은 상기 제2프레임(12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홀(132)에는 상기 힌지핀(131)이 삽입되어 상기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130)는 상기 제2프레임(120)을 상기 제1프레임(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제3프레임(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115)은 상기 힌지부(130)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프레임(115)은 상기 제2프레임(120)이 덮지 않는 상기 제1프레임(110)의 다른 일부를 덮거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1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도 1의 (d)) 또한, 상기 제3프레임(115)은 상기 제2프레임(120)과 함께 상기 제1프레임(110)의 측면을 감싸는 루프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프레임(115)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돌기부(111)는 상기 제3프레임(115)의 이탈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3프레임(115)이 상기 제1프레임(110)과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프레임(110)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3프레임(115)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나타난 것과 달리 상기 제3프레임(115)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100)는 다른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고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1프레임(110)의 형상은 제3프레임(115)이 제1프레임(110)에 결합시 나타나는 형상이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100)를 파지하였을 때의 그립감, 또는 상기 케이스(100)의 대칭적인 균형을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의 (c)에서 제3프레임(115)이 제1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되어, 형상은 도 1의 (c) 모습과 같지만 제3프레임(115)이 구비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2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네 변 중 길이가 짧은 변이 바닥면에 대하여 거치 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프레임(220)이 상기 제1프레임(210)의 네 변 중 길이가 긴 두 변과 힌지부(230)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도 2의 (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2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제2프레임(220)이 제1프레임(210)과 일치되고, 제2프레임(220)이 상기 제1프레임(210)을 덮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c)는 제2프레임(220)이 제1프레임(210)과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200)가 바닥면에 대하여 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d)는 상기 제1프레임(210)과 결합하여 구비되는 제3프레임(215)이 상기 제1프레임(210)과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상태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상기 케이스(200)와 결합할 이동 단말기의 측면에 해당하는 면을 따라 중첩되어 배치된 상태이다. 제2상태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서로 경사되게 배치되어 이동 단말기가 바닥면에 기립되도록, 제2프레임(220)이 제1프레임(210)에 대하여 회전된 상태이다.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에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키버튼, 이어폰 잭, 케이블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251a, 251b, 252)가 구비될 수 있다.
기타의 설명은 상기 도 1에서의 설명과 동일,유사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3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300)는 제1프레임(310), 제2프레임(320), 제1힌지부(330a) 및 제2힌지부(330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프레임(320)은 제1 내지 제4부재(321, 322, 323, 324)를 포함한다.
도 3의 (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3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제2프레임(320)이 제1프레임(310)과 일치되고, 제2프레임(320)이 상기 제1프레임(310)을 덮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의 (c)는 상기 케이스(300)의 짧은 변이 바닥에 닿도록 상기 케이스(300)가 바닥에 대하여 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의 (d)는 상기 케이스(300)의 긴 변이 바닥에 닿도록 상기 케이스(300)가 바닥에 대하여 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프레임(310)은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측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외력을 흡수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제1프레임(310)에 관한 특징은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했던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다.
제2프레임(320)은 각각 상기 제1프레임(310)의 각 모퉁이를 덮으며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부재(321, 322, 323, 3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부재(321)는 제2부재(322)와 연결되어 있고, 제2부재(322)는 제3부재(323)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3부재(323)는 제4부재(324)와 연결되고, 제4부재(324)는 제1부재(321)와 연결된다. 제1 내지 제4부재(321, 322, 323, 324)는 각각 제1프레임(310)의 각 모퉁이를 감싸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부재는 제1프레임(310)에 접촉하며 모퉁이를 감싸도록 굴곡이 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부재(321, 322, 323, 324)는 상기 제1프레임(310)을 둘러싸는 루프를 이룬다.
제1힌지부(330a, (b) 참조)는 두 개의 제1힌지핀(331a)과 상기 제1힌지핀(331a)이 삽입되고, 각 부재(321, 322, 323, 324)에 구비된 힌지홀(3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힌지부(330a)는 상기 제1부재(321)와 상기 제4부재(324) 사이 및 상기 제2부재(322)와 상기 제3부재(323)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부재(321) 및 제2부재(322)는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프레임(3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거나, 상기 제3부재(323) 및 제4부재(324)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프레임(310)에 대하여 상대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3부재(323) 및 제4부재(324)는 제1프레임(310)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제1프레임(3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하여, 케이스(300)(그리고, 상기 케이스(300) 내부에 결합되는 이동 단말기)는 바닥면에 대하여 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321) 및 제2부재(322)의 회전도 가능하다.
제2힌지부(330b, 도 3의 (b)참조)는 두 개의 제2힌지핀(331b)과, 상기 제2힌지핀(331b)이 삽입되고 짧은 변에 배치되는 각 부재의 힌지홀(332)을 포함한다. 도 3의 (d)를 참조하면, 상기 제1부재(321)와 상기 제4부재(324)가 상기 제1프레임(3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가능하도록 , 제2힌지부(330b)는 상기 제1부재(321)와 상기 제2부재(322) 사이 및 상기 제3부재(323)와 상기 제4부재(324)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한다. 도 3의 (d)를 참조하면, 상기 제2부재(322)와 상기 제3부재(323)가 상기 제1프레임(3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300)는 또한 바닥면에 대하여 기립가능하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부재(321)와 상기 제2부재(322)(또는 상기 제3부재(323)와 제4부재(324))는 상기 제1프레임(310)에 대하여 제1축(36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2부재(322)와 상기 제3부재(323)(또는 상기 제1부재(321)와 제4부재(324))는 상기 제1프레임(310)에 대하여 상기 제1축(361)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축(36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축(361)은 양측으로 구비된 상기 제1힌지부(330a)를 연결한 가상의 선일 수 있고, 상기 제2축(362)은 양측으로 구비된 상기 제2힌지부(330b)를 연결한 가상의 선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축(361)과 제2축(362)이 수직하게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3부재(321) 및 제4부재(322)가 제1프레임(310)에 대하여 회전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때에, 이동 단말기의 긴 변이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기립될 수 있다.(도 3의 (c)) 또한, 상기 제2부재(322) 및 제3부재(323)가 회전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는 긴 변이 바닥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기립될 수 있다.(도 3의 (d))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3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홀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부재(324)에는 상기 제4부재(324)가 상기 제1프레임(310)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 상기 제1프레임(310)과 이격될 수 있는 제1자석(340a)이 구비된다. 도 3의 (c)와 (d)를 참조하면, 상기 제1자석(340a)은 상기 케이스(300)의 폭방향이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긴 변이 지면에 평하게 배치되는 두 가지 경우 모두에서 상기 제1프레임(310)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자석(340a)과,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내지 제3 부재에 배치되는 제2자석(미도시)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는 상기 케이스(300)의 회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가 바닥면에 대하여 거치되는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제2프레임(320)이 상기 제1프레임(310, 도 3 참조)과 일치되어 결합되어 있는 모습이고, 도 4의 (b)는 제4부재(324)가 상기 제1프레임(31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된 모습이며, 도 4의 (c)는 상기 제4부재(324)가 상기 제1프레임(310)에 대하여 회전한 후 제1프레임(310)에 걸림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기립된 모습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부에는 상기 제2프레임(320)의 제1부재(321)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제4부재(324)가 구비된다. 상기 제1부재(321) 및 제4부재(324)의 양측에는, 상기 제1프레임(310)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부재(321) 및 제4부재(324)가 이탈을 제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311)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부(311)에는, 상기 제2프레임(320)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걸림되는 걸림부(33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각도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바닥면에 대하여 기립하게 세워 편안하게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는 각도로써, 바닥과 이루는 각도가 약 30도에서 60도 사이로 선택가능하다. 기설정된 회전 상태에서 상기 제2프레임(320)이 걸림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310)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돌기부(311)의 단부에 상기 걸림부(3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311) 사이에는 제2프레임(320)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외력에 의해 상기 돌기부(311) 사이에 수용된 제2프레임(320)(또는 제2프레임(320)의 각 부재)이 이탈가능하도록 상기 돌기부(311)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부(336)는 제1걸림부(336a)와 제2걸림부(33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걸림부(336a)는 도 4의 (b)에서 상기 제4부재(324)가 상기 돌기부(311)에 닿는 면이다. 또한, 제2걸림부(336b)는 도 4의 (c)에서 상기 제4부재(324)가 상기 돌기부(311)에 닿는 면이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걸림부(336a)와 제2걸림부(336b)를 통해, 상기 제2프레임(320)이 상기 제1프레임(31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4부재(324)는 상기 돌기부(311)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으로부터 이탈이 제한되므로, 사용자는 손가락 등으로 상기 제4부재(324)가 양측의 상기 돌기부(311)내에서 이탈되도록 외력을 가한다. 예를 들어, 제4부재(324)를 상기 제1부재(32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4부재(324)가 상기 돌기부(311)로부터 이탈된다. 이탈된 상기 제4부재(324)는 상기 제1프레임(310)과 상대 회전되어 제1걸림부(336a)를 넘어서 회전될 때까지 상기 돌기부(311)에 의해 원활한 회전이 다소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제4부재(324)가 제1프레임(310)에 대하여 더 큰 각도로 회전되면 상기 제4부재(324)는 돌기부(311)에 의해 제한받지 않고 회전될 수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4부재(324)가 제1프레임(310)에 대하여 더 큰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4부재(324)는 상기 돌기부(311)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336b)에 걸려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 회전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320)의 각 부재에 각각 구비되는 요철부(333, 도 5 참조)와 스토퍼(334, 도 5 참조)가 맞닿지 않도록, 상기 제4부재(324)를 상기 제1부재(3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긴 후 상기 제4부재(324)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4부재(324)는 제3부재(323, 도 3 참조)와 연결되어 회전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의 힌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상기 제1힌지부(330a, 도 3 참조) 및 제2힌지부(330b, 도 3 참조)를 포함하는 각 힌지부는 힌지핀(331), 힌지홀(332), 요철부(333), 스토퍼(334) 및 탄성부재(3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홀(332)은 상기 제1부재(321) 및 제4부재(324)에 구비된다. 제4부재(324)에 구비되는 힌지홀(332)은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4부재(324)에 형성된 힌지홀(332)은 상기 힌지홀(332)에 삽입된 상기 힌지핀(331)이 상기 힌지홀(332)의 양단부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장공형태의 상기 힌지홀(332)이 구비된 제4부재(324)를 당기거나 밀어, 상기 힌지핀(331)이 상기 힌지홀(332)의 양단부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힌지핀(331)은 상기 제1부재(321) 및 제4부재(3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도 6의 (b) 참조) 상기 힌지핀(331)이 상기 힌지홀(332)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4의 (a) 또는 (c) 참조), 요철부(333)는 상기 스토퍼(334)에 걸림되어 상기 제4부재(324)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핀(331)이 상기 힌지홀(332)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4의 (b) 참조), 상기 요철부(333)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제4부재(324)의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4부재(324)(혹은, 제2프레임)을 회전시키려는 경우, 상기 스토퍼(334)에서 상기 요철부(333)가 빠져나가도록 제4부재(324)(또는 제2프레임)를 잡아당기면 된다.
탄성부재(335)는 상기 힌지홀(332) 내부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핀(331)이 상기 힌지홀(332)의 일측 단부로 이동되어 상기 요철부(333)가 상기 스토퍼(334)에 걸림되도록, 상기 탄성부재(335)(예를 들어, 스프링 등)는 상기 힌지핀(331)을 상기 일측 단부를 향해 가압할 수 있다.
요철부(333)는 상기 제4부재(324)(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홀(332)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부재(324)의 상기 제1부재(321)와 연결되는 단부에 힌지홀(332) 및 요철부(333)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걸림턱(336a)과 제2걸림턱(336b) 사이에서 상기 제2프레임(320)이 상기 제1프레임(310)과 임의의 각도에서 경사지게 배치가능하도록, 상기 요철부는 일정한 각도를 갖는 요철을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334)는 제1부재(321)의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334)는 상기 요철부(333)와 맞닿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의 단부(334a)는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과 이루는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요철부(333)가 걸림가능하도록 톱니 형상이 끼움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부(333)가 상기 스토퍼(334)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334)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요철부(333)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334)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요철부(333)의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요철부(333)가 형성되는 제2프레임(도면에서는 제4부재(324))의 회전이 제한되어,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이루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에서, 제3프레임(115)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334)는 상기 제3프레임(115)에 형성될 수 있고, 제3프레임(115)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스토퍼(334)는 제1프레임(1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b)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를 라인 A-A 및 라인 B-B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써 상기 제1프레임(310)에 상기 제2부재(322)(제2프레임(320, 도 3 참조))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6의 (b)는 라인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써 상기 제1힌지부(330a)에서 상기 제1프레임(310)과 상기 제2부재(322) 및 제3부재(323)(제2프레임(32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프레임(320)은 상기 제1 내지 제4부재(321, 322, 323, 324, 도 3 참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310)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프레임(320)의 이탈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2프레임(320)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는 돌기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제3프레임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돌기부(311)가 상기 제3프레임의 이탈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3프레임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311)는 상기 제2프레임(320)의 이탈이 용이하도록 한쪽에서의 돌출높이와, 다른쪽에서의 돌출높이가 다를 수 있다. 다만, 도면과는 달리 상기 돌기부(311)는 같은 높이로 돌출될 수도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힌지부(330a, 도 3 참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상기 제2부재(322) 및 제3부재(323)는 서로 중첩되어 하나의 힌지핀(331)에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3부재(323)가 회전되어, 상기 제1프레임(310)과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부재(323)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310)의 일측에 돌기부(311)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힌지핀(331)은 제2부재(322)와 제3부재(323)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320)은 제1 내지 제4부재(321, 322, 323, 324)로 이루어져 서로 연결되어 제1프레임(310)을 둘러싸는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프레임(320)은 상기 제1프레임(310)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 6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2프레임(320)은 상기 돌기부(311)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310)과 결합되어 제1프레임(3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1)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300)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300')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이동 단말기 세트(300')는 이동 단말기(101)와 상기 이동 단말기(101)에 결합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300)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01)는 홀센서(103), 디스플레이(102), 제어부를 포함한다.
홀센서(103a, 103b)는 이동 단말기(10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센서(103a, 103b)는 자석(340a, 340b)과의 상대적 위치를 감지가능하다. 상기 홀센서(103)는 상기 이동 단말기(101)와 결합되는 케이스에 구비되는 자석과의 상대적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2)는 상기 이동 단말기(101) 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102)에는 여러 가지 화면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홀센서(103)와 상기 디스플레이(102)를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101) 내부의 다른 전자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00)는,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프레임(310) 및 제2프레임(3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310) 및 제2프레임(320)의 기본적 구성은 상기 설명과 동일, 유사하다.
상기 제2프레임(320)은 상기 제1상태(도 7의 (a)상태)에서 상기 홀센서(103)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상태(도 7의 (b) 또는 (c) 상태)에서 상기 홀센서(103)와 이격되는 자석(340a, 340b)을 구비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4부재(324)에 제1자석(340a)이 구비되고, 제3부재(323)에 제2자석(340b)이 구비된다. 다만, 상기 자석(340a, 340b)은 도면에 표시된 것과 달리, 상기 제2프레임(320)의 제1 내지 제4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석(340a, 340b)이 배치되는 위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101)에 구비되는 홀센서(103)와 상기 제1상태에서 인접하고, 상기 제2상태에서 이격될 수 있는 곳이 바람직하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4부재(324) 및 제3부재(323)에는 각각 제1자석(340a) 및 제2자석(340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이 포함된 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각 자석(340a, 340b)과 홀센서(103a, 103b)가 이격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1)에 구비된 각 홀센서(103a, 103b)는 상기 케이스의 회전상태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상기 회전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02)부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제어한다.
계속해서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02)에는 제1화면정보(105)가 표시된다. 상기 제1화면정보(105)는 이동 단말기(101)에 표시되는 임의의 화면정보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화면정보(105)는 상기 디스플레이(102)가 오프(Off)된 상태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프레임(320)이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회전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회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1화면정보(105)와 다른 제2화면정보(106)를 상기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는 상기 제2화면정보(106)는 동영상 또는 멀티 미디어의 재생과 관련된 화면 정보일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화면정보(106)는 사용자에게 상기 이동 단말기(101)에 기록되어 있는 동영상을 플레이할 수 있는 모드(예를 들어, 시네마 모드, 동영상 모드 등)로 화면을 전환시키는 것을 선택하는 팝업창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화면정보(106)는 상기 이동 단말기(101)의 설정에서 상기 팝업창이 뜨지 않게 설정하거나 다른 화면정보를 선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부재(321) 및 제4부재(324)가 상기 제1프레임(310)에 대하여 회전하면, 상기 제4부재(324)에 구비된 제1자석(340a)이 상기 제1홀센서(103a)로부터 멀어지고,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02)에 '시네마 모드를 시작하겠습니까?'라는 문구가 담긴 팝업창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3부재(323) 및 제4부재(324)가 상기 제1프레임(3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 상기 제3부재(323)에 구비된 제2자석(340b)이 상기 제2홀센서(103b)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또한 이를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02)에 '시네마 모드를 시작하겠습니까?'라는 문구가 담긴 팝업창을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200, 300 : 케이스 101 : 이동 단말기
102 : 디스플레이 103 : 홀센서
105 : 제1화면정보 106 : 제2화면정보
110, 210, 310 : 제1프레임 111, 211, 311 : 돌기부
112, 212, 312 : 내부돌기 120, 220, 320 : 제2프레임
115, 215, 315 :제3프레임 130, 230, 330 : 힌지부
131, 231, 331 : 힌지핀 132, 332 : 힌지홀
251 : 제1개구부 252 : 제2개구부
321 : 제1부재 322 : 제2부재
323 : 제3부재 324 : 제4부재
330 : 힌지부 333 : 요철부
334 : 스토퍼 334a : 스토퍼홈
335 : 스프링 336 : 걸림부
340 : 자석 361 : 제1축
362 : 제2축

Claims (17)

  1.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측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외력을 흡수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일부와 일치되어 상기 측면의 일부를 덮는 제1상태와,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상태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되는 힌지핀; 및
    상기 제2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핀이 삽입되는 힌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홀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톱니 형상의 요철부; 및
    상기 제1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과 이루는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요철부가 걸림가능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홀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홀에 삽입된 상기 힌지핀이 상기 힌지홀의 양단부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핀이 상기 힌지홀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요철부는 상기 스토퍼에 걸림되어 상기 제2프레임의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힌지핀이 상기 힌지홀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요철부는 상기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제2프레임의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홀 내부에는, 상기 힌지핀이 상기 힌지홀의 일측 단부로 이동되어 상기 요철부가 상기 스토퍼에 걸림되도록, 상기 힌지핀을 상기 일측 단부를 향해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요철부가 접촉되면, 마찰력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프레임의 다른 일부를 덮거나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과 제3프레임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는 루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프레임은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프레임의 이탈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3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의 다른 일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3프레임의 이탈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3프레임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돌기부 사이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돌기부 사이에 수용된 프레임이 이탈가능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기설정된 회전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이 걸림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돌기부 단부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12.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측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외력을 흡수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
    각각 상기 제1프레임의 각 모퉁이를 덮으며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제2, 제3 및 제4부재를 포함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가능하도록,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4부재 사이 및 상기 제2부재와 상기 제3부재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부재와 상기 제3부재가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가능하도록,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 및 상기 제3부재와 상기 제4부재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2힌지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부재와 상기 제3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축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2프레임의 회전 상태가 감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홀센서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홀센서와 이격되는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15. 자석과의 상대적 위치를 감지하는 홀센서, 화면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홀센서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와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측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외력을 흡수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어느 일부와 일치되어 상기 측면의 어느 일부를 덮는 제1상태와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상태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홀센서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홀센서와 이격되는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센서와 상기 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제2프레임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회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제1화면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회전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회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1화면정보와 다른 제2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제2화면정보는 동영상의 재생과 관련된 화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
KR1020140017962A 2014-02-17 2014-02-17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 KR20150096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962A KR20150096988A (ko) 2014-02-17 2014-02-17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962A KR20150096988A (ko) 2014-02-17 2014-02-17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988A true KR20150096988A (ko) 2015-08-26

Family

ID=5405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962A KR20150096988A (ko) 2014-02-17 2014-02-17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698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632B1 (ko) * 2017-02-24 2018-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케이스
KR102228884B1 (ko) * 2020-02-04 2021-03-17 김학성 휴대폰 케이스
KR20230020123A (ko) * 2021-08-03 2023-02-10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휴대폰 보호용 프리스탑형 스탠드 케이스
KR20230020122A (ko) * 2021-08-03 2023-02-10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휴대폰 보호용 스탠드 케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632B1 (ko) * 2017-02-24 2018-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케이스
WO2018155836A1 (ko) * 2017-02-24 2018-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케이스
KR102228884B1 (ko) * 2020-02-04 2021-03-17 김학성 휴대폰 케이스
KR20230020123A (ko) * 2021-08-03 2023-02-10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휴대폰 보호용 프리스탑형 스탠드 케이스
KR20230020122A (ko) * 2021-08-03 2023-02-10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휴대폰 보호용 스탠드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96207B2 (ja) ビデオカメラ
KR101608754B1 (ko)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의 액세서리
EP1869678B1 (en) Portable media player
KR20150096988A (ko)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세트
JP4346567B2 (ja) 携帯情報端末
US20180004256A1 (en) Camera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EP2156243A1 (en) Thin active camera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0836283B1 (ko) 수납가능한 키보드를 갖는 확장형 스탠드 컴퓨터 시스템
JP2009514129A (ja) ソケット組立体
US20090273705A1 (en) Television Broadcast Display Apparatus
JP4129003B2 (ja) 電子機器
TWI227678B (en) Entertainment apparatus and monitor device using this apparatus
EP1798939B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ith rotatable opening/closing operation
JP6650952B2 (ja) 携帯電話ケース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176943B1 (ko)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US20220117104A1 (en) Media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power-delivery mechanism with integrated stand
US20070165996A1 (en) Electronic apparatus
US8988872B2 (en)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having a connector rotatably mounted on a base
US20170212411A1 (en) Camera support and concealment device
JP2010080209A (ja) 小型電子機器
JP6238773B2 (ja) 電子機器
KR101483605B1 (ko) 빔프로젝터를 갖는 태블릿컴퓨터
KR101573037B1 (ko)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CN211014987U (zh) 投影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