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842A -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 셋톱박스 및 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 셋톱박스 및 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842A
KR20150096842A KR1020140017633A KR20140017633A KR20150096842A KR 20150096842 A KR20150096842 A KR 20150096842A KR 1020140017633 A KR1020140017633 A KR 1020140017633A KR 20140017633 A KR20140017633 A KR 20140017633A KR 20150096842 A KR20150096842 A KR 20150096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signal
unit
mobile communication
top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395B1 (ko
Inventor
문지현
오의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17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395B1/ko
Publication of KR20150096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6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the same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e.g. when family members are watching the same movie o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 셋톱박스 및 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은, 방송서버로부터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를 복사하는 셋톱박스; 및 셋톱박스에 의해 복사되는 오디오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 셋톱박스 및 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Digital Broadcasting Output System, Set-Top Box and Digital Broadcasting Signal Output Method, Mobile and Sound Signal Output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 셋톱박스 및 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인에게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다수의 사용자가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고음질의 오디오신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유동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 셋톱박스 및 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최근, 컨버전스 홈(Convergence Home)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컨버전스 홈 서비스를 이루는 근간은 가족 구성원이 보유하고 있는 개인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홈 내 위치하는 PC(Personal Computer),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셋톱박스(set-top box) 등의 홈 디바이스 간에 원활한 네트워킹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컨버전스 홈 서비스를 제공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홈 내 모든 디바이스 간의 네트워크를 사용자가 아주 쉽고 편리하게 접속/형성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IPTV를 통해 디지털방송신호를 시청하는 경우에 IPTV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타인에게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잡음이 없는 고음질의 오디오신호를 듣고자 할 때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IPTV에 설치된 이어폰 연결단자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오디오신호를 청취하면서 IPTV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시청함으로써 타인에게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디지털방송신호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경우에는 IPTV에 설치된 이어폰의 연결단자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오디오신호를 청취할 수 있는 사용자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어폰을 IPTV에 연결하는 경우, 사용자의 유동범위는 이어폰의 길이에 한정되기 때문에 IPTV로부터 근접된 거리에서 디지털방송신호를 시청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5454호 (공개일자: 2006. 04. 2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타인에게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다수의 사용자가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고음질의 오디오신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유동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 셋톱박스 및 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은, 방송서버로부터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를 복사하는 셋톱박스; 및 셋톱박스에 의해 복사되는 오디오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는, 방송서버로부터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수신부; 방송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방송신호출력부; 방송신호출력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를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오디오신호추출부; 및 오디오신호추출부에 의해 추출되는 오디오신호를 무선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오디오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셋톱박스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요청신호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신호출력부는 요청신호수신부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오디오신호추출부에 의해 추출되는 오디오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출력한다.
전술한 셋톱박스는, 방송신호출력부에 의해 현재에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방송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송정보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셋톱박스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페어링수행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요청신호수신부는 페어링수행부에 의해 페어링이 수행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전술한 셋톱박스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송신호출력부는 오디오신호출력부를 통해 오디오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볼륨조절부를 조절하여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설정된 값 이하로 조절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셋톱박스로부터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신호수신부; 셋톱박스로부터 디스플레이로 현재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방송정보를 수신하는 방송정보수신부; 및 방송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는, 방송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셋톱박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로 현재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와 동기화시키는 동기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셋톱박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페어링수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신호수신부는 페어링수행부에 의해 셋톱박스가 페어링이 수행된 경우에 셋톱박스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수신한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는, 페어링수행부에 의해 셋톱박스와 페어링이 수행되면, 셋톱박스에 오디오신호를 요청하는 오디오신호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신호수신부는 오디오신호요청부에 의한 요청에 대응하여 셋톱박스로부터 디스플레이로 현재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오디오신호를 수신한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는, 방송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송정보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은, 셋톱박스에 의해 수행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에 있어서, 방송서버로부터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디지털방송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단계에 의해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를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오디오신호 추출단계에 의해 추출되는 오디오신호를 무선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신호 출력단계는 요청신호 수신단계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오디오신호 추출단계에 의해 추출되는 오디오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출력한다.
전술한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은,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단계에 의해 현재에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방송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신호 수신단계는 페어링 수행단계에 의해 페어링이 수행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전술한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은, 오디오신호 출력단계에 의해 오디오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의 볼륨을 설정된 값 이하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오디오신호 출력방법에 있어서, 셋톱박스로부터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셋톱박스로부터 디스플레이로 현재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방송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방송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오디오신호 출력방법은, 방송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셋톱박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로 현재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와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오디오신호 출력방법은, 셋톱박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신호 수신단계는 페어링 수행단계에 의해 셋톱박스가 페어링이 수행된 경우에 셋톱박스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수신한다.
전술한 오디오신호 출력방법은, 페어링 수행단계에 의해 셋톱박스와 페어링이 수행되면, 셋톱박스에 오디오신호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신호 수신단계는 오디오신호 요청단계에 의한 요청에 대응하여 셋톱박스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수신한다.
전술한 오디오신호 출력방법은, 방송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인에게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다수의 사용자가 셋톱박스와 페어링을 수행하여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고음질의 오디오신호를 청취하면서 디지털방송신호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셋톱박스로부터 무선으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유동범위를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 셋톱박스 및 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은 셋톱박스(1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셋톱박스(1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서 방송서버(20)와 연결되며, 방송서버(20)로부터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30)에 출력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30)는 IPTV와 같이 디지털방송신호의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모두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셋톱박스(100)는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를 추출한다. 여기서, 셋톱박스(100)는 디스플레이(30)와 서로 독립적인 장치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셋톱박스(100)는 디스플레이(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셋톱박스(100)에 의해 추출되는 오디오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이어폰, 스피커 등과 같은 음향출력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셋톱박스(100)로부터 디스플레이(300)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방송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방송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와 동기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셋톱박스(100) 내에 구비되는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의 통신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거나, 댁내 환경에 설치된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의 AP(Access Point)를 통해서 셋톱박스(1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는 도 1에 나타낸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의 셋톱박스(1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100)는 방송신호수신부(110), 방송신호출력부(120), 오디오신호추출부(130), 오디오신호출력부(140), 요청신호수신부(150), 방송정보전송부(160), 페어링수행부(170) 및 볼륨조절부(180)를 포함한다.
방송신호수신부(110)는 네트워크(10)를 방송서버(20)로부터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네트워크(10)는 유무선 인터넷뿐만 아니라 지상파망 및 위성망을 포함한다. 또한, 방송서버(2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방송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서버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방송국서버를 포함한다. 이때, 방송신호수신부(110)는 복수의 방송서버(20)로부터 각각에 대응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방송신호출력부(120)는 방송신호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방송신호출력부(120)는 복수의 방송서버(20)로부터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30)는 IPTV와 같이 디지털방송신호의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모두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오디오신호추출부(130)는 방송신호출력부(120)에 의해 디스플레이(30)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를 실시간으로 추출한다. 즉, 오디오신호추출부(130)는 현재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의 오디오신호를 실시간으로 추출한다. 여기서, 오디오신호추출부(130)는 현재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의 오디오신호를 복사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오디오신호출력부(140)는 오디오신호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되는 오디오신호를 무선으로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이때, 오디오신호출력부(140)는 블루투스, UWB, IrDA 등의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오디오신호를 직접 전송하거나, 댁내 환경에 설치된 와이파이, 와이브로 등의 AP를 통하여 오디오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요청신호수신부(150)는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신호출력부(140)는 요청신호수신부(15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오디오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되는 오디오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방송정보전송부(160)는 방송신호출력부(120)에 의해 현재에 디스플레이(30)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방송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즉, 방송정보전송부(160)는 현재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출력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채널정보, 방송시간 길이정보, 현재의 진행시간 정보 등의 방송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한다.
페어링수행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200)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한다. 여기서, 페어링은 셋톱박스(100)와 이동통신단말기(200)가 짝을 이루어 상호간에 직접적인 세션(session)을 개설하기 위한 것으로서, 페어링수행부(170)는 복수의 이동통신단말기(2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신호수신부(150)는 페어링수행부(170)에 의해 페어링이 수행된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볼륨조절부(180)는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의 볼륨의 조절한다. 이때, 방송신호출력부(120)는 오디오신호출력부(140)를 통해 오디오신호가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되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출력 설정값을 저장하고, 볼륨조절부(180)를 조절하여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설정된 값 이하로 낮추거나 오디오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이동통신단말기(200)로의 오디오신호 전송이 중지되는 경우, 방송신호출력부(120)는 저장된 오디오신호의 출력 설정값을 참조하여 볼륨조절부(180)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의 볼륨을 재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도 1에 나타낸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의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오디오신호수신부(210), 방송정보수신부(220), 오디오신호출력부(230), 동기화부(240), 페어링수행부(250), 오디오신호요청부(260) 및 방송정보표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신호수신부(210)는 셋톱박스(100)로부터 디스플레이(30)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를 수신한다. 즉, 오디오신호수신부(210)는 디스플레이(30)를 통해 디지털방송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셋톱박스(100)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오디오신호를 수신한다.
방송정보수신부(220)는 셋톱박스(100)로부터 디스플레이(30)로 현재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방송정보를 수신한다. 즉, 방송정보수신부(220)는 디스플레이(30)를 통해 디지털방송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셋톱박스(100)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채널정보, 방송시간 길이정보, 현재의 진행시간 정보, EPG 정보 등의 방송정보를 수신한다.
오디오신호출력부(230)는 방송신호수신부(220)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정보에기초하여 오디오신호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한다. 즉, 오디오신호출력부(230)는 방송정보수신부(220)에 의해 수신되는 채널정보, 방송시간 길이정보, 현재의 진행시간 정보, EPG 정보 등의 방송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신호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스피커(도시하지 않음) 또는 이어폰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동기화부(240)는 방송정보수신부(220)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신호수신부(210)에 의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셋톱박스(100)에 의해 디스플레이(30)로 현재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와 동기화시킨다. 예를 들어, 동기화부(240)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시간길이 정보 및 현재의 진행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신호를 디지털방송신호와 동일한 진행시간에 맞추어 동기화할 수 있다. 그러나, 동기화 방법은 기재된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동기화 방법을 이용하여 오디오신호를 디지털방송신호와 동기화할 수 있다.
페어링수행부(250)는 셋톱박스(100)와 페어링을 수행한다. 이때, 페어링수행부(250)는 셋톱박스(100)와 짝을 이루어 독립적인 통신세션을 개설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신호수신부(210)는 페어링수행부(250)에 의해 셋톱박스(100)와 페어링이 수행된 경우에 해당 셋톱박스(100)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신호요청부(260)는 페어링수행부(250)에 의해 셋톱박스(100)와 페어링이 수행되면, 셋톱박스(100)에 오디오신호를 요청한다. 이 경우, 오디오신호수신부(210)는 오디오신호요청부(260)에 의한 요청에 대응하여 셋톱박스(100)로부터 디스플레이(30)로 현재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오디오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정보표시부(270)는 방송정보수신부(220)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즉, 방송정보표시부(270)는 방송정보수신부(220)를 통해 현재 디스플레이(30)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방송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방송정보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방송신호의 채널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200)에 표시된 방송정보와 함께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오디오신호요청부(260)는 셋톱박스(100)에 오디오신호를 요청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셋톱박스(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셋톱박스(100)는 네트워크(10)를 방송서버(20)로부터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한다(S110).
셋톱박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200)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할 수 있다(S120). 여기서, 셋톱박스(100)는 디지털방송신호의 수신 후에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페어링의 수행과정은 디지털방송신호의 수신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셋톱박스(100)는 페어링이 수행된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30). 페어링이 수행된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셋톱박스(100)는 방송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출력하면서(S140),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방송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50). 여기서, 셋톱박스(100)는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한 후, 디지털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출력하면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방송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디지털방송신호의 출력 및 방송정보 출력 수행과정은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기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셋톱박스(100)는 현재 디스플레이(30)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를 실시간으로 추출한다(S160).
이때, 셋톱박스(100)는 추출되는 오디오신호를 무선으로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하며(S170),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의 볼륨의 조절한다(S180). 이때, 셋톱박스(100)는 오디오신호가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되는 경우,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설정된 값 이하로 낮추거나 오디오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오디오신호 전송이 중지되는 경우, 셋톱박스(100)는 오디오신호의 볼륨 조절전의 저장된 설정값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의 볼륨을 재조절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셋톱박스(100)와 페어링을 수행한다(S210). 이때,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셋톱박스(100)와 짝을 이루어 독립적인 통신세션을 개설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셋톱박스(100)와 페어링이 수행되면, 셋톱박스(100)에 오디오신호를 요청한다(S220).
셋톱박스(100)에 대한 오디오신호의 요청에 대응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셋톱박스(100)로부터 디스플레이(30)로 현재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를 수신한다(S230).
또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셋톱박스(100)로부터 디스플레이(30)로 현재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방송정보를 수신한다(S240).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오디오신호 수신 이후에 방송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방송정보의 수신은 오디오신호의 요청 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수신되는 방송정보와 함께 오디오신호 요청메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오디오신호 요청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셋톱박스(10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정보의 채널정보, 시간길이정보, 현재의 진행시간 정보 등에 기초하여 오디오신호를 셋톱박스(100)에 의해 디스플레이(30)로 현재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와 싱크를 맞춤으로써 서로 동기화시킨다(S250).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셋톱박스(10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S260). 또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스피커 또는 이어폰 단자를 통해 출력한다(S270). 이를 통해, 사용자는 타인에게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고음질의 오디오신호를 청취하면서 디지털방송신호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1)

  1. 방송서버로부터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를 복사하는 셋톱박스; 및
    상기 셋톱박스에 의해 복사되는 오디오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
  2. 방송서버로부터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수신부;
    상기 방송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방송신호출력부;
    상기 방송신호출력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를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오디오신호추출부; 및
    상기 오디오신호추출부에 의해 추출되는 오디오신호를 무선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오디오신호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요청신호수신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신호출력부는 상기 요청신호수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오디오신호추출부에 의해 추출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출력부에 의해 현재에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방송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송정보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
  5.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페어링수행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요청신호수신부는 상기 페어링수행부에 의해 페어링이 수행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송신호출력부는 상기 오디오신호출력부를 통해 오디오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볼륨조절부를 조절하여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설정된 값 이하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
  7. 셋톱박스로부터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신호수신부;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로 현재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방송정보를 수신하는 방송정보수신부; 및
    상기 방송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신호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셋톱박스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로 현재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와 동기화시키는 동기화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페어링수행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신호수신부는 상기 페어링수행부에 의해 상기 셋톱박스가 페어링이 수행된 경우에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수행부에 의해 상기 셋톱박스와 페어링이 수행되면, 상기 셋톱박스에 오디오신호를 요청하는 오디오신호요청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신호수신부는 상기 오디오신호요청부에 의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로 현재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송정보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2. 셋톱박스에 의해 수행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에 있어서,
    방송서버로부터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방송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디지털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단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를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신호 추출단계에 의해 추출되는 오디오신호를 무선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신호 출력단계는 상기 요청신호 수신단계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오디오신호 추출단계에 의해 추출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단계에 의해 현재에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방송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요청신호 수신단계는 상기 페어링 수행단계에 의해 페어링이 수행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오디오신호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신호 출력단계에 의해 오디오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 중 오디오신호의 볼륨을 설정된 값 이하로 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17.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오디오신호 출력방법에 있어서,
    셋톱박스로부터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로 현재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방송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출력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셋톱박스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로 현재 출력되는 디지털방송신호와 동기화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출력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신호 수신단계는 상기 페어링 수행단계에 의해 상기 셋톱박스가 페어링이 수행된 경우에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출력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수행단계에 의해 상기 셋톱박스와 페어링이 수행되면, 상기 셋톱박스에 오디오신호를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신호 수신단계는 상기 오디오신호 요청단계에 의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출력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출력방법.
KR1020140017633A 2014-02-17 2014-02-17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 셋톱박스 및 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 KR102279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633A KR102279395B1 (ko) 2014-02-17 2014-02-17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 셋톱박스 및 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633A KR102279395B1 (ko) 2014-02-17 2014-02-17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 셋톱박스 및 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842A true KR20150096842A (ko) 2015-08-26
KR102279395B1 KR102279395B1 (ko) 2021-07-19

Family

ID=5405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633A KR102279395B1 (ko) 2014-02-17 2014-02-17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 셋톱박스 및 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3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494B1 (ko) * 2020-02-18 2021-07-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454A (ko) 2004-10-22 2006-04-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텔레비전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출력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57415A (ko) * 2008-11-21 2010-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배터리 레벨 통지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83947A (ko) * 2011-01-19 2012-07-27 훈 백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 셋톱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제어 시스템
KR101278027B1 (ko) * 2011-09-09 2013-06-21 디지털시스 주식회사 양방향통신을 이용하는 휴먼인터페이스상에서 상이 해상도 공조 가능한 모바일 장치
KR20130137923A (ko) * 2012-06-08 2013-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454A (ko) 2004-10-22 2006-04-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텔레비전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출력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57415A (ko) * 2008-11-21 2010-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배터리 레벨 통지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83947A (ko) * 2011-01-19 2012-07-27 훈 백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 셋톱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제어 시스템
KR101278027B1 (ko) * 2011-09-09 2013-06-21 디지털시스 주식회사 양방향통신을 이용하는 휴먼인터페이스상에서 상이 해상도 공조 가능한 모바일 장치
KR20130137923A (ko) * 2012-06-08 2013-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494B1 (ko) * 2020-02-18 2021-07-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395B1 (ko) 202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8345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ation of multiple headsets
EP2891315B1 (en) Audio forwarding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EP2852168A1 (en) Video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caption server
US9357215B2 (en) Audio output distribution
US949749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outputting audio
KR20090053141A (ko)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의 동기설정방법
US8522296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same according to configuration setting values received from outside
US20220021980A1 (en) Terminal, audio cooperative reproduction system, and content display apparatus
KR20110034229A (ko) 채널 조정 방법 및 장치
JP5872449B2 (ja) 音響信号の映像表示への同期性を向上させるシステム、補聴器、および方法
US115283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playback of independent audio and video streams through a network
KR102279395B1 (ko)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 셋톱박스 및 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
KR20220017775A (ko)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2876874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15111478A1 (ja) 外部端末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02165449B1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커서 제어 방법
KR201100425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4028274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object which provides additional service in connection with a broadcast service in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WO2013185702A1 (zh) 一种多设备环境下业务内容管理系统及方法
EP3486789A1 (en)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ent repro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reproduction device
US8610829B2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tion of program contents
WO2015134878A1 (en) Simultaneous subtitle closed caption system
KR2023003406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6171481A (ja) 信号受信装置及び信号受信プログラムならびに信号受信方法
KR20140128152A (ko) 텔레비젼 멀티미디어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